KR20140074297A - 아기띠 - Google Patents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297A
KR20140074297A KR1020147006660A KR20147006660A KR20140074297A KR 20140074297 A KR20140074297 A KR 20140074297A KR 1020147006660 A KR1020147006660 A KR 1020147006660A KR 20147006660 A KR20147006660 A KR 20147006660A KR 20140074297 A KR20140074297 A KR 20140074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support
user
cover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0848B1 (ko
Inventor
히로코 구로스
아키코 후지시마
모모에 가메이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유아를 지지하는 서포트 본체(5)와, 유저(2)의 좌우의 어깨 둘레를 따르도록 연장되고, 또한 양단부가 서포트 본체(5)와 결합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20)와, 유저(2)의 배면측에서 어깨 벨트(20)를 서로 연결하는 배면측 버클(32)을 구비하고, 서포트 본체(5)를 유저(2)의 전방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어깨 벨트(20)를 유저의 좌우의 어깨 둘레에 각각 장착함으로써, 유저(2)의 전방측에서 서포트 본체(5) 내에 상기 유아를 세워 안기 상태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아기띠에 있어서, 한 쌍의 어깨 벨트(20)와 배면측 버클(32) 사이에, 유저(2)에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관해 배면측 버클(32)보다도 확장된 등받이부(31)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아기띠 {BABY CARRIER}
본 발명은 유아를 세워 안기 형태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유아를 세워 안기 형태로 지지하는 아기띠로서는, 유아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본체에 한 쌍의 어깨 벨트가 결합되고, 그들 어깨 벨트를 유저의 좌우의 어깨 둘레에 장착하여 지지하는 구성의 아기띠가 일반적이다. 유저의 배면측에서 어깨 벨트를 서로 연결하고, 그것에 의해 어깨 벨트의 위치의 안정화 등을 도모한 아기띠도 제공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68073호 공보
종래의 아기띠는, 유아의 하중이 좌우의 어깨 벨트를 따라 유저의 어깨에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유저의 어깨 둘레의 피로감을 높일 우려가 있다. 좌우의 어깨 벨트를 버클 등의 연결구로 서로 연결해도 그 경향은 그다지 변함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깨 벨트에 전해지는 하중을 유저의 배면측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한 아기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아기띠는, 유아를 지지하는 서포트 본체와, 유저의 좌우의 어깨 둘레를 따르도록 연장되고, 또한 양단부가 상기 서포트 본체와 결합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와, 상기 유저의 배면측에서 상기 한 쌍의 어깨 벨트를 서로 연결하는 배면측 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 본체를 상기 유저의 전방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어깨 벨트를 상기 유저의 좌우의 어깨 둘레에 각각 장착함으로써, 상기 유저의 전방측에서 상기 서포트 본체 내에 상기 유아를 세워 안기 상태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아기띠이며, 상기 한 쌍의 어깨 벨트와 상기 배면측 연결구 사이에는, 상기 유저에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관해 상기 배면측 연결구보다도 확장된 등받이부가 설치된 것이다.
본 발명의 아기띠에 의하면, 어깨 벨트를 유저의 배면측에서 연결하였을 때, 어깨 벨트에 전해지는 하중이 등받이부에도 분산된다. 등받이부는, 배면측 연결구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으므로, 배면측 연결구와 동일 정도, 또는 그 미만의 폭이 작은 벨트 등의 연결구에서 어깨 벨트끼리를 연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저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하중을 받는 부분의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면측에 있어서의 하중의 분산을 도모하고, 유저의 어깨에의 하중의 집중을 완화하여 유저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어깨 벨트는, 상기 유저의 배면측에서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어깨 벨트와 결합되는 일단부로부터 상기 아기띠의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타단부에 상기 배면측 연결구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등받이부가 그 일단부에 있어서 어깨 벨트와 결합되고, 그 등받이부에 배면측 연결구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어깨 벨트에 전해지는 하중을 등받이부에 확실하게 분산시켜 유저의 어깨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본체에는, 상기 유저와의 사이에 상기 유아를 상기 세워 안기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유저의 전방에 배치 가능한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엔터 서포트부의 좌우 방향 양측으로부터 상기 유아의 측방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연장되어 상단부가 상기 어깨 벨트와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서포트부가 설치되고, 상기 센터 서포트부의 상기 유저와 대향하는 측에는, 상기 유아를 상기 세워 안기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통해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대향하는 홀드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홀드 커버의 하단부가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홀드 커버의 상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톱 벨트부가 설치되고, 상기 톱 벨트부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는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톱 벨트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단부는 홀드 커버 연결구를 통해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톱 벨트부보다도 하방의 영역에서는, 상기 홀드 커버의 측부가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에 대해 분리되어도 된다.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는, 홀드 커버 연결구를 풀러 홀드 커버의 톱 벨트부의 한쪽의 단부를 사이드 서포트부로부터 분리하고, 톱 벨트부의 다른 쪽의 단부는 사이드 서포트부와 결합시켜 둠으로써, 센터 서포트부 및 한쪽의 사이드 서포트부를 홀드 커버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열어 서포트 본체의 수용 스페이스를 확대하여, 유아를 빼고 넣는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사이드 서포트부가 이격된 상태에서도, 홀드 커버부와 센터 서포트부의 하단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그들 사이에서 유아의 엉덩이부의 주위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그로 인해 유아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유아를 수용한 후, 톱 벨트부의 단부를 홀드 커버 연결구에 의해 사이드 서포트부와 연결하는 것만으로 홀드 커버와 센터 서포트부 사이의 스페이스에 수용된 유아를 센터 서포트부와 한 쌍의 사이드 서포트부로 덮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홀드 커버 사이에는, 상기 홀드 커버와의 사이에서 유아의 엉덩이부의 주위를 지지하는 낙하 방지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낙하 방지 커버의 하단부는 센터 서포트부 및 상기 홀드 커버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낙하 방지 커버의 좌우 방향의 단부는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에 결합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한쪽의 사이드 서포트부를 열었을 때에, 낙하 방지 커버와 홀드 커버 사이에 유아의 엉덩이부 둘레를 수용하여 유아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낙하 방지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또한, 상기 낙하 방지 커버의 상단부를, 상기 센터 서포트부 및 상기 홀드 커버보다도 낮은 위치로 한 경우에는, 센터 서포트부를 전방으로 크게 열어도, 낙하 방지 커버의 상단부가 홀드 커버에 대해 전방으로 크게 이격되는 일은 없다. 그로 인해, 낙하 방지 커버에 의한 낙하 방지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홀드 커버 연결구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서포트부와 상기 센터 서포트부 사이에는,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 결합 부분을 상기 결합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가르도록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슬릿을 닫도록 하여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를 연결하는 사이드 연결구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홀드 커버 연결구를 풀러 한쪽의 사이드 서포트부를 홀드 커버로부터 전방으로 열 때, 사이드 연결구에 의한 연결도 해제함으로써 슬릿이 열려 사이드 서포트부의 측방에 큰 개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개구를 통하여 유아를 빼고 넣을 수 있으므로, 유아를 상방으로 크게 들어올리는 조작은 불필요하다. 그로 인해, 유아의 빼고 넣기를 원활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포트 본체의 하부에는 유저의 허리부에 장착되는 허리 패드가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 본체에는 상기 유아를 세워 앞보기 안기 상태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서포트 본체와 상기 허리 패드의 연결 부분에는, 당해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서 상기 서포트 본체와 상기 허리 패드를 연결하는 중앙 연결구와, 상기 중앙 연결구에 대한 좌우 방향 양측에서 상기 서포트 본체와 상기 허리 패드를 연결하는 측방 연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측방 연결구는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측방 연결구가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세워 앞보기 안기 상태로 수용된 유아의 양 다리를 빼내기 위한 간극이 발생하도록 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유아를 세워 앞보기 안기 상태로 수용하는 경우, 서포트 본체와 허리 패드 사이의 간극을 통해 유아의 양 다리를 허리 패드의 전방으로 빼낼 수 있다. 그로 인해, 세워 앞보기 안기 상태로 유아를 지지할 때에 유아에게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강요할 우려가 없다. 한편, 세워 대면 안기 상태로 유아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중앙 연결구 및 측방 연결구를 이용하여 서포트 본체와 허리 패드를 보다 넓은 범위에서 서로 연결하고, 그로 인해, 서포트 본체와 허리 패드의 일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리 패드에는, 상기 측방 연결구를 설치하기 위한 상방으로 돌출된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측방 연결구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허리 패드의 하방으로 폴딩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측방 연결부를 분리하여 연결부를 하방으로 폴딩함으로써, 서포트 본체와 허리 패드 사이의 간극을 확대하고, 그로 인해 유아의 양 다리를 통과시키는 데에 충분한 크기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아기띠의 사용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아기띠의 정면도.
도 3은 아기띠에 설치된 서포트 본체의 정면도.
도 4는 서포트 본체의 이면도.
도 5는 사이드 파스너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사이드 파스너를 플랩으로 덮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헤드 서포트 벨트와 어깨 벨트의 연결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한쪽의 어깨 벨트에 설치된 포켓의 주위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다른 쪽의 어깨 벨트에 설치된 포켓의 주위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센터 서포트부에 대한 홀드 커버 등의 접합 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도 10의 XI-X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XII-X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3은 홀드 커버에 대해 센터 서포트부를 열어 낙하 방지 커버를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아기띠에 설치된 허리 패드의 정면도.
도 15는 서포트 본체와 허리 패드의 연결 부분을 분리 상태에서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서포트 본체와 허리 패드의 연결 부분의 부분 확대도.
도 17은 세워 안기 형태에서의 사용에 대비하여 아기띠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허리 패드를 유저에게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배면측 버클을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아기띠를 유저에게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아기띠를 장착한 유저를 그 배면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세워 대면 안기 형태로 유아를 수용할 때의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도 21에 이어지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홀드 커버의 양측으로 유아의 양 다리를 통과시키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도 22에 이어지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도 24에 이어지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에서의 사용에 대비하여 서포트 본체와 허리 패드를 연결하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도 26에 이어지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로 유아를 수용할 때의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도 28에 이어지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도 29에 이어지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도 30에 이어지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아기띠를 유저에게 장착하기 전의 단계에서, 유아를 세워 대면 안기 형태로 아기띠에 수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등받이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등받이부의 새로운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아기띠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형태의 아기띠(1)는 성인의 유저(2)가 유아(3)를 대면 상태로 안는 세워 대면 안기 형태[도 1의 (a)의 형태]와, 유아(3)를 앞보기의 상태로 안는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도 1의 (b)의 형태]와, 유아(3)를 옆을 향한 자세로 안는 가로로 안기 형태[도 1의 (c)의 형태]와, 유아(3)를 업는 업기 형태[도 1의 (d)의 형태]의 4개의 형태로부터 하나의 형태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세워 대면 안기 형태, 또는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아기띠(1)를 설명한다. 가로로 안기 형태에서는, 가로로 안기 시트(4)가 추가적으로 사용되지만, 그 상세한 것은 본 발명의 요지 외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세워 대면 안기 형태 및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를, 세워 안기 형태라고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2는 아기띠(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아기띠(1)는 서포트 본체(5)와 허리 패드(6)를 구비하고 있다. 서포트 본체(5)와 허리 패드(6)는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서포트 본체(5)는 복수매의 천을 봉합하여 구성된 기본 구조를 갖고, 유아(3)의 엉덩이부로부터 머리부까지의 범위를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부품이다. 허리 패드(6)는 유저(2)의 허리 둘레에 장착되어 아기띠(1)의 하중을 허리 둘레로 분산시키기 위한 부품이다.
도 3은 서포트 본체(5)의 정면도, 도 4는 그 이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본체(5)에는 센터 서포트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센터 서포트부(10)는 세워 대면 안기 형태에 있어서 유아(3)를 배면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에서 유아(3)를 전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부분이며, 1매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센터 서포트부(10)의 좌우 방향의 양측에는, 유아(3)를 양측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는 사이드 서포트부(12)라고 표기한다.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의 상부와 센터 서포트부(10) 사이에는 절입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서포트부(12A)는, 센터 서포트부(10)에 일체로 결합된 1매의 커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우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서포트부(12B)는, 그 하부가 센터 서포트부(10)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그 상부는 사이드 파스너(15)를 통해 센터 서포트부(10)와 연결되어 있다. 사이드 파스너(15)는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부(12B)의 결합 위치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사이드 파스너(15)를 개방한 경우,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부(12B) 사이에는,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부(12B)의 결합 부분을 그 상단부로부터 당해 결합 부분의 하방을 향하여 가르도록 하여 슬릿(16)이 출현한다. 그로 인해,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12B) 사이에는, 상하 방향을 따른 비교적 긴 개구부가 발생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파스너(15)를 폐쇄한 경우에는, 사이드 서포트부(12B)가 센터 서포트부(10)와 연속한다. 그로 인해, 사이드 서포트부(12A)와 마찬가지로 1매의 커버 형상의 지지 부재로서 사이드 서포트부(12B)가 기능한다. 또한,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부(12B)의 경계 부분에는 플랩(17)이 설치되어 있다. 플랩(17)은 센터 서포트부(10)와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플랩(17)과 사이드 서포트부(12B)의 각각에는 한 쌍의 호크(18)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파스너(15) 상에 플랩(17)을 덮어 호크(18)로 잠금으로써, 사이드 파스너(15)를 덮어 은폐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서포트부(12)의 상단부에는, 좌우 한 쌍의 어깨 벨트(20) 각각의 상단부(20a)가 분리 불가능한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사이드 서포트부(12)의 상부는 센터 서포트부(10)에 대해 절입부(14)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므로, 그들 상부는 어깨 벨트(20)의 일부(기부)로서 실질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센터 서포트부(10)의 상방에는, 유아(3)를 머리부를 지지하기 위한 헤드 서포트부(21)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헤드 서포트부(21)는 센터 서포트부(10)에 대해 굴곡선(21a)을 따라 폴딩 가능하다. 헤드 서포트부(21)의 양단부에는, 헤드 서포트 벨트(22)(도 2 참조)의 일단부(22a)가 분리 불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각 헤드 서포트 벨트(22)는, 어깨 벨트(20)와 헤드 서포트부(21)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서포트 벨트(22)의 타단부(22b)는 헤드 서포트 버클(23)을 개재하여 어깨 벨트(20)와 연결 가능하다. 헤드 서포트 버클(23)은, 헤드 서포트 벨트(22)에 고정되는 수형 버클부(23A)와, 어깨 벨트(20)에 고정되는 암형 버클부(23B)를 구비하고 있다. 버클부(23A, 23B)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헤드 서포트부(21)와 어깨 벨트(20)가 서로 연결되고, 버클부(23A, 23B)를 분리함으로써, 헤드 서포트부(21)와 어깨 벨트(2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각 헤드 서포트 벨트(22)의 외주에는 헤드 서포트 커버(24)가 설치된다. 헤드 서포트 커버(24)는, 2세트의 호크(25A, 25B)를 서로 끼워 맞춤으로써, 헤드 서포트 버클(23)을 덮어 은폐하도록 하여 헤드 서포트 벨트(22)의 외주에 설치 가능하다.
각 어깨 벨트(20)의 하부에는, 겨드랑이 벨트(26)가 길이 조정 수단으로서의 래더 로크(27)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겨드랑이 벨트(26)의 선단에는, 겨드랑이 벨트 버클(28)의 암형 버클부(28A)가 설치되어 있다. 래더 로크(27)로부터 암형 버클부(28A)까지의 부분이 겨드랑이 벨트(26)의 유효 길이이며, 그 유효 길이는 래더 로크(27)에 대한 겨드랑이 벨트(26)의 설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증감 가능하다. 또한, 래더 로크(27)로부터는 겨드랑이 벨트(26)의 나머지 길이 부분이 늘어져 있고, 그 선단에는 겨드랑이 벨트(26)를 미사용 시에 묶기 위한 고무제의 벨트 고정 밴드(29)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서포트부(12)의 내부에는, 겨드랑이 벨트 버클(28)의 수형 버클부(28B)가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서포트부(12)의 외주에는, 수형 버클부(28B)에 액세스하기 위한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겨드랑이 벨트(26)의 선단의 암형 버클부(28A)는, 그들 개구부를 통해 사이드 서포트부(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형 버클부(28B)와 맞물려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어깨 벨트(20)에는, 아기띠(1)의 좌우 방향 내측, 바꿔 말하면 반대측의 어깨 벨트(20)와 대향하는 측으로 열리는 포켓(30)이 설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켓(30)의 개구 단부 테두리에는, 등받이부(31)를 개재하여 배면측 버클(배면측 연결구)(32)의 암형 버클부(32A) 또는 수형 버클부(32B)가 설치되어 있다. 버클부(32A, 32B)를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좌우의 어깨 벨트(20)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등받이부(31)는 그 일단부가 포켓(30)의 개구 단부 테두리에서 어깨 벨트(20)와 접합되고, 또한 그 접합 부분으로부터 아기띠(1)의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타단부에 버클부(32A 또는 32B)가 설치되어 있다. 등받이부(31)는 버클부(32A, 32B)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즉, 등받이부(31)는 그 선단부가 버클부(32A, 32B)와 동일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고, 또한, 선단부로부터 어깨 벨트(20)에의 접합부를 향하는 것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점차 확대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도 20도 참조). 등받이부(31)는 서포트 본체(5)나 어깨 벨트(20)에 사용되는 직물의 천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메쉬 소재가 등받이부(31)의 소재로서 적절하게 이용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어깨 벨트(20)의 포켓(30)에는 프론트 벨트(33)가 수납되어 있다. 프론트 벨트(33)는 포켓(30)의 내부에서 어깨 벨트(20)와 접합되어 있다. 프론트 벨트(33)의 선단부에는, 프론트 버클(34)의 수형 버클부(34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쪽의 어깨 벨트(20)의 포켓(30)의 내부에는, 프론트 버클(34)의 암형 버클부(34B)가 설치되어 있다. 암형 버클부(34B)는 수형 버클부(34A)와 맞물림 가능하다. 그들 버클부(34A, 34B)를 맞물리게 함으로써도 어깨 벨트(20)끼리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배면측 버클(32)의 버클부(32A, 32B) 및 프론트 버클(34)의 버클부(34A, 34B)는 포켓(30) 내에 수납 가능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어깨 벨트(20)의 포켓(30)에는, 암형 버클부(32A)를 포켓(30) 내에 구속하기 위한 고무제의 버클 고정 밴드(35)와, 프론트 벨트(33) 및 수형 버클부(34A)를 수납하기 위한 프론트 벨트 포켓(3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쪽의 어깨 벨트(20)의 포켓(30)에는, 암형 버클부(34B)를 수납하는 프론트 버클 포켓(37)이 설치되어 있다. 배면측 버클(32)의 수형 버클부(32B)는, 프론트 버클(34)의 암형 버클부(34B) 및 프론트 버클 포켓(37)과 포켓(30)의 내면 사이의 간극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본체(5)의 이면측에는 홀드 커버(40) 및 낙하 방지 커버(41)가 설치되어 있다. 홀드 커버(40)는 센터 서포트부(10)와 대향하는 1매의 시트 형상의 지지 부재로서 구성되고, 그 하단부가 센터 서포트부(10)의 하단부에 접합되어 있다. 센터 서포트부(10)와 홀드 커버(40) 사이의 스페이스가, 세워 안기 형태로 유아(3)를 수용하는 스페이스로 된다. 또한, 도 4에서는 홀드 커버(4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편측을 비틀어, 낙하 방지 커버(41)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홀드 커버(40)는 세워 대면 안기 형태에서 유아(3)의 가랑이로부터 가슴부를 덮고,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에서 유아(3)의 엉덩이부로부터 배면부에 걸친 부분을 덮는 지지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낙하 방지 커버(41)는 센터 서포트부(10)와 홀드 커버(40) 사이에 배치되고, 유아(3)의 엉덩이부를 덮는 시트 형상의 지지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낙하 방지 커버(41)도 그 하단부가 센터 서포트부(10)의 하단부에 접합되어 있다.
도 10은, 센터 서포트부(10)에 대한 홀드 커버(40) 등의 접합 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그 접합 부분의 도 10에 있어서의 XI-X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2는 접합 부분의 도 10에 있어서의 XII-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 각각은, 표면측 시트(12a) 및 이면측 시트(12b)를 겹친 구성을 갖고 있다. 낙하 방지 커버(41)는 그 좌우 방향의 양단부(도 1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있어서 시트(12a, 12b)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시트(12a, 12b)와 봉제 위치 SP1에서 일체로 봉합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낙하 방지 커버(41)의 좌우 방향의 단부는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와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1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홀드 커버(40) 및 낙하 방지 커버(41)의 하단부는, 센터 서포트부(10)의 하단부와 홀드 커버(40)의 하단부 사이에 낙하 방지 커버(41)의 하단부가 끼워지도록 하여 서로 겹치고, 봉제 위치 SP2에서 일체로 봉합되어 있다. 그로 인해, 홀드 커버(40) 및 낙하 방지 커버(41) 각각의 하단부가 센터 서포트부(10)의 하단부에 접합된다. 센터 서포트부(10)와 커버(40, 41)의 접합 위치에는, 에지 커버(42)가 일체로 꿰매져 있다. 에지 커버(42)는 커버(40, 41)의 봉합 부분을 은폐하도록 센터 서포트부(10)의 이면측(도 12에 있어서 우측)까지 폴딩되어 파스너 커버(43)(도 4도 참조)와 겹쳐진다. 커버(42, 43)의 겹침 부분은 에지 커버(44)에 의해 덮이고, 그들 커버(42, 43, 44)는 봉제 위치 SP3에서 일체로 봉합되어 있다. 또한, 커버(44), 센터 서포트부(10), 낙하 방지 커버(41) 및 홀드 커버(40)는 봉제 위치 SP4에서 일체로 봉합되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홀드 커버(40)의 상단부에는 톱 벨트부(40a)가 주머니 형상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꿰매져 있다. 낙하 방지 커버(41)의 상단부에는 폴딩부(41a)가 형성되어 꿰매져 있다. 폴딩부(41a)는 센터 서포트부(10) 및 톱 벨트부(40a) 각각의 상단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드 커버(40)는 그 톱 벨트부(40a)의 일단부(40b)에서 사이드 서포트부(12A)와 분리 불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이에 대해 톱 벨트부(40a)의 타단부(40c)는 사이드 서포트부(12B)에 대해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홀드 커버(40)는 사이드 서포트부(12B)측을 자유 단부로 하여 비틀어지도록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와 같이 홀드 커버(40)를 비틀음으로써, 유아(3)의 수용 스페이스를 사이드 서포트부(12B)측을 향하여 열릴 수 있다. 또한, 홀드 커버(40)의 톱 벨트부(40a)보다도 하방의 영역에 있어서, 홀드 커버(40)의 양측부는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에 대해 분리되고, 그들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낙하 방지 커버(41)는 그 양단부가 사이드 서포트부(12)와 접합되고, 하단부가 센터 서포트부(10)와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낙하 방지 커버(41)는 센터 서포트부(10)에 대해 상방으로 열리는 포켓과 같이 부속된다. 단, 사이드 파스너(15)를 개방하여 사이드 서포트부(12B)를 연 경우에는, 낙하 방지 커버(41)의 일단부가 사이드 서포트부(12B)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므로, 낙하 방지 커버(41)에 의해 형성되는 포켓도 측방으로 열린다. 또한, 도 1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홀드 커버(40)는 센터 서포트부(10)의 접합부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것에 따라서 점차 좌우 방향으로 폭이 확대되는 형상을 갖고, 그 상단부의 톱 벨트부(40a)는 좌우 방향으로 다소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낙하 방지 커버(41)는 메쉬 소재로 형성되고, 다소의 신축성을 갖고 있다. 특히, 낙하 방지 커버(41)의 상단부의 폴딩부(41a)는 신축성이 많은 소재, 일례로서 고무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도 10에 부분적으로 나타내었지만, 센터 서포트부(10)도 메쉬 소재로 형성된다.
도 4로 되돌아와 설명을 계속한다. 홀드 커버(40)에 있어서의 톱 벨트부(40a)는 그 내부에 홀드 벨트(45)를 구비하고 있다. 홀드 벨트(45)의 일단부는 톱 벨트부(40a)의 내면측에 접합되고, 타단부(선단부)에는 홀드 버클(46)의 수형 버클부(46A)가 설치되어 있다. 수형 버클부(46A)는, 톱 벨트부(40a)의 단부(40c)를 향하게 되어 있고, 그 단부(40c)는 수형 버클부(46A)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열려 있다. 사이드 서포트(12B)의 이면측에는, 홀드 버클(46)의 암형 버클부(46B)가 설치되어 있다. 버클부(46A, 46B)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홀드 커버(40)의 톱 벨트부(40a)의 단부(40c)를 사이드 서포트부(12B)와 결합하고, 그로 인해 어깨 벨트(20)를 톱 벨트부(40a)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파스너 커버(43)는 센터 서포트부(10)의 하단부뿐만 아니라,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의 하단부에도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다. 중앙의 파스너 커버(43) 상의 2개소에는, 파스너 커버 호크(47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서포트 본체(5)의 이면측(도 4에 도시하는 측)에는, 가로로 안기 시트 설치용의 면 파스너(48)가 설치되어 있다.
도 14는, 허리 패드(6)의 정면도이다. 허리 패드(6)는 상하 방향으로 적당한 폭을 갖는 패드 본체(50)와, 그 패드 본체(50)의 일단부(50a)에 고정된 허리 벨트(51)를 갖고 있다. 허리 벨트(51)에는 허리 버클(52)의 수형 버클부(52A)가 설치되고, 패드 본체(50)의 타단부(50b)에는 허리 버클(52)의 암형 버클부(52B)가 설치되어 있다. 버클부(52A, 52B)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허리 벨트(51)를 패드 본체(50)의 단부(50b)와 연결하여, 허리 패드(6)의 전체를 루프 형상으로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허리 벨트(51)에 대한 수형 버클부(52A)의 설치 위치는, 허리 벨트(51)의 길이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패드 본체(50)의 단부(50a)로부터 수형 버클부(52A)의 위치까지가 허리 벨트(51)의 유효 길이이다. 허리 벨트(51)의 수형 버클부(52A)보다도 앞쪽으로 빼내어진 나머지 길이 부분은, 수형 버클부(52A)로부터 폴딩되어 허리 벨트(51) 상의 벨트 홀더(53)에 끼워 넣어진다.
패드 본체(50)의 중앙 상부에는, 센터 파스너(55)의 한쪽의 파스너 테이프(55A)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파스너 테이프(55A)의 양측에는, 패드 본체(50)의 단부(50a, 50b)를 향하는 것에 따라서 서서히 높이가 증가하는 연결부(50c)가 설치되어 있다. 각 연결부(50c)의 상부에는, 사이드 파스너(56)의 한쪽의 파스너 테이프(56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파스너 테이프(55A)의 하방의 2개소에는 파스너 커버 호크(47B)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본체(5) 의 하단부 테두리부의 형상은, 패드 본체(50)의 상단부 테두리부의 형상과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본체(5)의 하측 테두리부이며, 파스너 커버(43)를 걷어올린 위치에는, 센터 파스너(55)의 다른 쪽의 파스너 테이프(55B)와, 사이드 파스너(56)의 다른 쪽의 파스너 테이프(56B)가 설치되어 있다. 센터 파스너(55)의 파스너 테이프(55A, 55B)를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센터 서포트부(10)의 하부와 허리 패드(6)의 중앙 상부가 연결되고, 사이드 파스너(56)의 파스너 테이프(56A, 56B)를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사이드 서포트부(12)의 하부와 허리 패드(6)의 좌우의 연결부(50c)가 연결된다. 또한, 도 16은 한쪽의 사이드 서포트부(12B)만을 도시하지만, 반대측의 사이드 서포트부(12A)와 허리 패드(6)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패드 본체(50)의 파스너 커버 호크(47B)는, 파스너 커버(43) 상의 파스너 커버 호크(47A)와 위치를 정렬하여 설치되어 있다. 파스너 커버 호크(47A, 47B)를 끼워 맞춤으로써, 파스너 커버(43)를 허리 패드(6)에 연결할 수 있다.
이어서, 세워 안기 형태에 있어서의 아기띠(1)의 사용 수순을 설명한다. 이하는, 아기띠(1)를 유저(2)에 장착하고, 그 후에 유아(3)를 아기띠(1)에 수용하는 수순이다. 도 17은, 세워 안기 형태에 있어서의 사용에 대비하여 아기띠(1)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의 상태에 있어서는, 우선, 서포트 본체(5)와 허리 패드(6)가 연결된다. 세워 대면 안기 형태의 경우에는, 센터 파스너(55) 및 한 쌍의 사이드 파스너(56)(도 17에서는 은폐되어 보이지 않음)를 이용하여 서포트 본체(5)와 허리 패드(6)가 연결되고,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의 경우에는 센터 파스너(55)만을 이용하여 서포트 본체(5)와 허리 패드(6)가 연결된다. 어깨 벨트(20)로부터는 배면측 버클(32)의 버클부(32A, 32B)가 등받이부(31)와 함께 인출된다. 겨드랑이 벨트(26)는 겨드랑이 벨트 버클(28)을 이용하여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와 연결된다. 헤드 서포트부(21)는 헤드 서포트 벨트(22) 및 헤드 서포트 버클(23)을 이용하여 어깨 벨트(20)와 연결된다(도 7 참조). 홀드 커버(40)의 톱 벨트부(40a)(이면측에 은폐되어 보이지 않음)는 홀드 버클(46)을 이용하여 사이드 서포트부(12B)와 연결된다. 사이드 파스너(15)(도 3 참조)는 폐쇄되고, 플랩(17)도 사이드 서포트부(12B) 상에 고정된다.
이상의 상태로부터, 세워 대면 안기 형태로 유아(3)를 지지하는 수순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패드(6)를 그 패드 본체(50)의 중앙부가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유저(2)의 허리부에 세트하고, 허리 버클(52)의 버클부(52A, 52B)를 맞물리게 하여 허리 패드(6)를 유저(2)에 장착한다. 이때, 허리 버클(52)의 수형 버클부(52A)의 허리 벨트(51) 상에 있어서의 위치를 변화시켜, 허리 벨트(51)를 적절한 길이로 조정한다. 이어서, 배면측 버클(32)의 버클부(32A, 32B)를 맞물리게 하여 등받이부(31)를 서로 연결한다. 그 후,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32)와 어깨 벨트(20)에 의해 형성된 고리로 들어가도록 하여 아기띠(1)를 유저(2)에 장착한다. 이때, 서포트 본체(5)는 그 홀드 커버(40)가 유저(2)의 가슴부에 접하고, 센터 서포트부(10)가 유저(2)가 볼 때 홀드 커버(40)보다도 먼 곳에 위치하는 방향에서 유저(2)에 장착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기띠(1)를 장착한 상태에서, 좌우의 어깨 벨트(20)는 상하 방향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배면측 버클(32) 및 등받이부(31)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등받이부(31)가 배면측 버클(32)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으므로, 배면측 버클(32)과 동일 정도, 또는 배면측 버클(32)보다도 상하 방향의 폭이 작은 벨트 등의 연결구에 의해 어깨 벨트(20)끼리를 연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저(2)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하중을 받는 부분의 면적이 확대된다. 이에 의해, 배면측에 있어서의 하중의 분산을 도모하고, 유저(2)의 어깨에의 하중의 집중을 완화하여 유저(2)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아기띠(1)를 유저(2)에 장착한 후에는, 아기띠(1)에 유아(3)를 수용하는 수순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하의 수순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2)가 의자(C) 등에 앉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헤드 서포트 버클(23)을 풀러 헤드 서포트부(21)와 어깨 벨트(20)의 연결을 해제한다. 또한, 플랩(17)을 잠그는 호크(18)를 벗겨, 사이드 파스너(15)를 개방한다(도 3 참조). 이에 의해, 센터 서포트부(10)를 전방으로 폴딩되도록 연다. 또한, 도 2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홀드 커버(40)는 어깨 벨트(20) 사이에서 유저(2)의 가슴부에 밀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유아(3)를 유저(2)와 마주보게 되도록 하여 안아 올려 아기띠(1)에 태운다. 이때, 도 2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서포트부(10)를 전방으로 열어 낙하 방지 커버(41)와 홀드 커버(40) 사이에 스페이스 S1을 발생시키고, 그 스페이스 S1에 유아(3)가 들어가도록 하여, 유아(3)의 양 다리(3a)를 홀드 커버(40)의 양측에 통과시킨다.
이에 의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3)의 엉덩이부의 주위를 홀드 커버(40)와 낙하 방지 커버(41) 사이에 수용하여, 유아(3)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서포트 본체(5)의 센터 서포트부(10)가 전방으로 크게 열린 상태이어도, 센터 서포트부(10)와 홀드 커버(40)가 그들의 하단부에 있어서 결합되어 있으므로, 유아(3)가 하방으로 낙하할 우려가 없다. 그 낙하 방지 효과는, 낙하 방지 커버(41)와 홀드 커버(40) 사이에 유아(3)의 엉덩이부의 주위를 수용함으로써, 더욱 확실하게 발휘된다. 또한, 낙하 방지 커버(41)의 상단부는 홀드 커버(40)나 센터 서포트부(10) 각각의 상단부보다도 충분히 낮으므로, 센터 서포트부(10)의 상부를 크게 열어도 낙하 방지 커버(41)의 상단부는 홀드 커버(40)로부터 전방으로 크게 이격되는 일이 없어, 유아(3)의 지지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없다. 이들 작용에 의해, 유아(3)의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아(3)를 태울 때에는,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부(12B) 사이가 측방으로 크게 열려 있으므로, 유아(3)를 높게 들어올리는 일 없이, 아기띠(1)의 측방으로부터 홀드 커버(40)와 센터 서포트부(10) 사이의 스페이스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본체(5)를 유아(3)의 배면측에 덮도록 하여 들어올리고, 헤드 서포트 버클(23)을 맞물리게 한다. 또한, 사이드 파스너(15)를 폐쇄하여 사이드 서포트부(12B)와 센터 서포트부(10)를 연결한다. 그 후,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7)을 사이드 서포트부(12B)에 덮어 호크(18)를 끼워 맞춘다. 이상에 의해, 세워 대면 안기 형태에 있어서의 유아(3)의 지지가 완료된다. 또한, 유아(3)를 내려놓을 때에는, 대략 상기와 반대의 수순에 따르면 된다. 그 경우도, 서포트 본체(5)를 열었을 때에 낙하 방지 커버(41)가 유아(3)의 엉덩이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유아(3)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파스너(15)를 개방함으로써,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부(12B) 사이를 크게 열어 유아(3)를 아기띠(1)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이어서, 도 17의 상태로부터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로 유아(3)를 지지하는 수순을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아기띠(1)를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서포트 본체(5)와 허리 패드(6)는, 센터 파스너(55)만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그 상태를 도 26에 도시한다. 이 경우, 사이드 파스너(56)(도면에서는 은폐되어 보이지 않음)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와 허리 패드(6)의 패드 본체(50)에 있어서의 연결부(50c)와의 사이에는 간극 S2가 발생한다. 그들 간극 S2는,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에서, 유아(3)가 그 양 다리를 서포트 본체(5)의 전방으로 빼내기 위한 통로로서 이용된다. 또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50c)가 하방으로 폴딩되어 패드 본체(50)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에 의해, 간극 S2가 확대되어, 유아(3)의 양 다리를 통과시키기 위해 충분한 크기의 간극 S2를 확보할 수 있다.
아기띠(1)를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유저(2)에 대한 아기띠(1)의 장착은, 도 18∼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세워 대면 안기 형태에 있어서의 수순과 동일한 수순으로 행하면 된다. 아기띠(1)의 장착 후는 우선,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서포트 버클(23)을 푸는 동시에, 호크(18)를 벗겨 사이드 파스너(15)를 개방하고, 센터 서포트부(10)를 전방으로 폴딩하도록 하여 연다. 계속해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3)를 앞보기 자세로 안아 올려 아기띠(1)에 태운다. 이때도, 도 23과 마찬가지로, 센터 서포트부(10)를 전방으로 열어 낙하 방지 커버(41)와 홀드 커버(40) 사이에 스페이스 S1을 발생시키고, 그 스페이스 S1에 유아(3)가 들어가도록 하여, 유아(3)의 양 다리(3a)를 홀드 커버(40)의 양측으로 통과시킨다. 이에 의해, 유아(3)의 엉덩이부의 주위를 홀드 커버(40)와 낙하 방지 커버(41) 사이에 수용하여, 유아(3)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 본체(5)의 센터 서포트부(10)가 전방으로 크게 열린 상태이어도, 유아(3)의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부(12B) 사이가 크게 열려 있으므로, 유아(3)를 아기띠(1)의 측방으로부터 수용할 수 있어, 유아(3)를 높게 들어올릴 필요는 없다. 또한,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와 허리 패드(6)의 연결부(50c) 사이에는 간극 S2가 열려 있으므로, 그 간극 S2를 통해 유아(3)의 양 다리를 아기띠(1)의 전방으로 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로 인해, 유아(3)의 발의 움직임이 방해되지 않아, 유아(3)가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강요당할 우려가 없다.
계속해서,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서포트부(10)를 들어올려 유아(3)의 가슴부에 밀착시킨다. 또한, 헤드 서포트부(21)를 하향으로 폴딩하고, 그 양단부를 헤드 서포트 버클(23)에 의해 어깨 벨트(20)와 연결한다. 또한, 사이드 파스너(15)를 폐쇄하여 사이드 서포트부(12B)와 센터 서포트부(10)를 연결하고, 그 후,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7)을 사이드 서포트부(12B)에 덮어 호크(18)를 끼워 맞춘다. 이상에 의해,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에 있어서의 유아(3)의 지지가 완료된다. 또한, 유아(3)를 내려놓을 때에는, 대략 상기와 반대의 수순에 따르면 된다. 그 경우도, 서포트 본체(5)를 열었을 때에 낙하 방지 커버(41)가 유아(3)의 엉덩이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유아(3)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파스너(15)를 개방함으로써,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부(12B) 사이를 크게 열어 유아(3)를 아기띠(1)로부터 측방으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아기띠(1)를 유저(2)에 장착한 후에 유아(3)를 아기띠(1)에 수용하는 수순을 나타내었지만, 아기띠(1)에 유아(3)를 태운 후에 아기띠(1)를 유저(2)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세워 대면 안기 형태에 있어서, 아기띠(1)에 먼저 유아(3)를 태운 상태를 도 32에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도 32의 상태로부터, 허리 패드(6)를 유저(2)에 장착하고, 계속해서, 배면측 버클(32)을 맞물리게 하여 어깨 벨트(20)를 서로 연결하고, 그 후, 도 19와 마찬가지로, 등받이부(32)와 어깨 벨트(20)에 의해 형성된 고리로 들어가도록 하여 아기띠(1)를 유저(2)에 장착하면 된다.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유아(3)를 아기띠(1)에 수용한 후에 아기띠(1)를 유저(2)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아기띠(1)를 업기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7의 준비 형태에 대해 배면측 버클(32)의 버클부(32A, 32B)를 어깨 벨트(20) 내에 수납하고, 그 대신에, 프론트 벨트(33)(도 2 참조)를 인출한다. 그 상태에서, 도 32와 마찬가지로 하여 아기띠(1)에 유아(3)를 수용하고, 유아(3)가 배면측이 되도록 하여 아기띠(1)를 등에 메어 어깨 벨트(20)를 유저(2)에 장착하고, 또한, 프론트 벨트(33)와 프론트 버클(34)을 이용하여, 유저(2)의 가슴측에서 어깨 벨트(20)를 서로 연결하면 된다.
또한, 이상의 형태에 있어서는, 배면측 버클(32)이 배면측 연결구에 상당하고, 홀드 버클(46)이 홀드 커버 연결구에 상당하고, 사이드 파스너(15)가 사이드 연결구에 상당하고, 센터 파스너(55)가 중앙 연결구에 상당하고, 사이드 파스너(56)가 측방 연결구에 상당한다. 단, 배면측 연결구 및 홀드 커버 연결구에는, 버클(32, 46)로 한정되지 않고,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적절한 연결구가 사용되어도 된다. 사이드 연결구에 대해서는, 파스너로 한정되지 않고,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적절한 연결구가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사이드 파스너(15) 대신에, 버튼, 면 파스너 등을 사이드 연결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중앙 연결구 및 측방 연결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한 형태에서는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와 어깨 벨트(20)가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지만,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는 어깨 벨트(20)에 대해 버클 그 외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어깨 벨트(20)에 대해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도 된다. 홀드 커버(40)의 톱 벨트부(40a)의 단부(40b)는 사이드 서포트부(12A)와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지만, 반대측의 단부(40c)와 마찬가지로 홀드 버클(46) 등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단부(40b)를 사이드 서포트부(12A)와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해도 된다. 그 경우에도, 유아(3)를 빼고 넣을 때에 단부(40b)를 사이드 서포트부(12A)와 결합하고, 단부(40c)를 사이드 서포트부(12B)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또는, 사이드 서포트부(12A)와 센터 서포트부(10) 사이에도 슬릿(16) 및 사이드 파스너(15)를 설치함과 함께, 톱 벨트(40a)의 양단부(40a, 40b)를 버클(46)에 의해 사이드 서포트부(12)와 연결하고, 그로 인해, 유아(3)를 빼고 넣을 때에 사이드 서포트부(12A 또는 12B)를 택일적으로 센터 서포트부(10)에 대해 열도록 해도 된다.
등받이부(31)는 일단부가 어깨 벨트(20)와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배면측 버클(32)이 설치되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적당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깨 벨트(20)의 일부를 좌우 방향 중심측으로 팽창하도록 확장부(31A)를 형성하여 그들의 선단에 버클(32)을 장착하고, 그로 인해, 확장부(31A)를 등받이부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또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측 버클(32)의 버클부(32A, 32B)를 상하 방향의 폭이 작은 연결 벨트(60)에 의해 어깨 벨트(20)와 연결함과 함께, 그들의 연결 벨트(60)의 도중에 버클부(32A, 32B)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확장된 별도 부품으로서의 등받이 패드(61)를 장착하고, 그들 등받이 패드(61)를 등받이부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또한, 도 34에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등받이 패드(61)를 더욱 일체화하여 어깨 벨트(20)의 사이에 단일 등받이 패드(61)가 등받이부로서 설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아기띠는, 유저와 서포트 본체 사이의 스페이스에, 유아를 세워 안기 형태로 수용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가로로 안기 형태, 또는 업기 형태에 있어서의 사용은 불가능해도 된다.

Claims (8)

  1. 유아를 지지하는 서포트 본체와, 유저의 좌우의 어깨 둘레를 따르도록 연장되고, 또한 양단부가 상기 서포트 본체와 결합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와, 상기 유저의 배면측에서 상기 한 쌍의 어깨 벨트를 서로 연결하는 배면측 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 본체를 상기 유저의 전방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어깨 벨트를 상기 유저의 좌우의 어깨 둘레에 각각 장착함으로써, 상기 유저의 전방측에서 상기 서포트 본체 내에 상기 유아를 세워 안기 상태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아기띠이며,
    상기 한 쌍의 어깨 벨트와 상기 배면측 연결구 사이에는, 상기 유저에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관해 상기 배면측 연결구보다도 확장된 등받이부가 설치되어 있는, 아기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 벨트는, 상기 유저의 배면측에서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어깨 벨트와 결합되는 일단부로부터 상기 아기띠의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타단부에 상기 배면측 연결구가 설치되어 있는, 캐리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본체에는, 상기 유저와의 사이에 상기 유아를 상기 세워 안기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유저의 전방에 배치 가능한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엔터 서포트부의 좌우 방향 양측으로부터 상기 유아의 측방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연장되어 상단부가 상기 어깨 벨트와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서포트부가 설치되고, 상기 센터 서포트부의 상기 유저와 대향하는 측에는, 상기 유아를 상기 세워 안기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통해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대향하는 홀드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홀드 커버의 하단부가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홀드 커버의 상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톱 벨트부가 설치되고, 상기 톱 벨트부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는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톱 벨트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단부는 홀드 커버 연결구를 통해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톱 벨트부보다도 하방의 영역에서는, 상기 홀드 커버의 측부가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에 대해 분리되어 있는, 아기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홀드 커버 사이에는, 상기 홀드 커버와의 사이에서 유아의 엉덩이부의 주위를 지지하는 낙하 방지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낙하 방지 커버의 하단부는 센터 서포트부 및 상기 홀드 커버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낙하 방지 커버의 좌우 방향의 단부는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에 결합되어 있는, 아기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방지 커버의 상단부는, 상기 센터 서포트부 및 상기 홀드 커버 각각의 상단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는, 아기띠.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커버 연결구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서포트부와 상기 센터 서포트부 사이에는,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의 결합 부분을 상기 결합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가르도록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슬릿을 닫도록 하여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를 연결하는 사이드 연결구가 설치되어 있는, 아기띠.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본체의 하부에는 유저의 허리부에 장착되는 허리 패드가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 본체에는 상기 유아를 세워 앞보기 안기 상태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서포트 본체와 상기 허리 패드의 연결 부분에는, 당해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서 상기 서포트 본체와 상기 허리 패드를 연결하는 중앙 연결구와, 상기 중앙 연결구에 대한 좌우 방향 양측에서 상기 서포트 본체와 상기 허리 패드를 연결하는 측방 연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측방 연결구는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측방 연결구가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세워 앞보기 안기 상태로 수용된 유아의 양 다리를 빼기 위한 간극이 발생하는, 아기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패드에는, 상기 측방 연결구를 설치하기 위한 상방으로 돌출된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측방 연결구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허리 패드의 하방으로 폴딩 가능하게 된, 아기띠.
KR1020147006660A 2011-10-13 2012-10-12 아기띠 KR101970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25868 2011-10-13
JP2011225868A JP5848575B2 (ja) 2011-10-13 2011-10-13 子守帯
PCT/JP2012/076535 WO2013054925A1 (ja) 2011-10-13 2012-10-12 子守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297A true KR20140074297A (ko) 2014-06-17
KR101970848B1 KR101970848B1 (ko) 2019-04-19

Family

ID=48081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660A KR101970848B1 (ko) 2011-10-13 2012-10-12 아기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48575B2 (ko)
KR (1) KR101970848B1 (ko)
CN (1) CN103889279B (ko)
TW (1) TWI555488B (ko)
WO (1) WO20130549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207A (ko) 2015-05-29 2016-12-07 황경희 포대기
KR102186824B1 (ko) * 2020-08-07 2020-12-04 (주)풍국산업 스트랩의 폭 너비 조절이 가능한 가방용 멜빵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3008A1 (en) * 2015-07-17 2017-01-26 Jöran Lundh Baby carrier
JP7010659B2 (ja) * 2017-10-26 2022-01-26 ニューウェルブランズ・ジャパン合同会社 子守帯
CN110384365A (zh) * 2018-04-19 2019-10-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抱婴带
KR20230111476A (ko) 2022-01-18 2023-07-25 임영신 아기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319A (ko) * 2002-08-30 2004-03-09 이충만 아기띠
JP2007268073A (ja) 2006-03-31 2007-10-18 Combi Corp 子守帯
KR20100010120U (ko) * 2009-04-07 2010-10-15 오민혁 다리폭 조절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1535A (en) * 1995-11-09 1998-08-11 Lisco, Inc. Soft infant carrier
EP0995380A1 (en) * 1998-10-20 2000-04-26 Evenflo Company, Inc. "Side entry carrier"
JP3071665U (ja) * 2000-03-10 2000-09-14 長沢幸株式会社 子守バンド
US7484645B2 (en) * 2004-02-12 2009-02-03 Evenflo Company, Inc. Child carrier with side buckle and venting
JP2006075441A (ja) * 2004-09-10 2006-03-23 Nagasawa Ko Kk 子守帯
JP4633444B2 (ja) * 2004-11-09 2011-02-16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子守帯
DE202007016924U1 (de) * 2007-12-04 2009-04-09 Botkus, Breido, Dipl.-Designer Babytragesystem mit Schlafsackfunktion
US20100072236A1 (en) * 2008-09-19 2010-03-25 Michael A Parness Multifunctional child carrier
KR20110000781U (ko) * 2009-07-17 2011-01-25 김윤섭 사용하기 쉽고 휴대가 쉬운 나비형 아기띠
US7766199B1 (en) * 2009-07-24 2010-08-03 Gabriela Caperon Baby carri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319A (ko) * 2002-08-30 2004-03-09 이충만 아기띠
JP2007268073A (ja) 2006-03-31 2007-10-18 Combi Corp 子守帯
KR20100010120U (ko) * 2009-04-07 2010-10-15 오민혁 다리폭 조절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캐리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207A (ko) 2015-05-29 2016-12-07 황경희 포대기
KR102186824B1 (ko) * 2020-08-07 2020-12-04 (주)풍국산업 스트랩의 폭 너비 조절이 가능한 가방용 멜빵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85567A (ja) 2013-05-13
KR101970848B1 (ko) 2019-04-19
CN103889279B (zh) 2017-03-29
JP5848575B2 (ja) 2016-01-27
WO2013054925A1 (ja) 2013-04-18
TWI555488B (zh) 2016-11-01
CN103889279A (zh) 2014-06-25
TW201320934A (zh) 201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5634B2 (en) Infant carrier with adjustable side panels and torso band
KR101970848B1 (ko) 아기띠
US8579168B2 (en) Multifunction infant carrier with lumbar belt
EP2421413B1 (en) A baby carrier
US6363558B1 (en) Infant support with an improved securement device
US20120241487A1 (en) Multifunction infant carrier
US20150374139A1 (en) Infant carrier with expandable seat
US20120061429A1 (en) Baby carrier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lifting of a child into and out of the same
CN111904214B (zh) 抱婴背带
US10631664B2 (en) Two-piece baby carrier
WO2005037026A1 (ja) 子守帯
JP2014176493A (ja) 子守帯
WO2012079787A1 (en) Child carrier
KR200453681Y1 (ko) 휠체어용 안전 벨트
JP6933954B2 (ja) 子守帯
JP4441231B2 (ja) 子守帯
KR200482177Y1 (ko) 유아용 아기띠
JP3054676U (ja) 子守バンド
JP3131283U (ja) ベビーキャリア
CN217987162U (zh) 婴儿背带
JP5558123B2 (ja) 子守帯
JP2005118475A (ja) 子守帯
JP6778078B2 (ja) 子守帯
JP5467902B2 (ja) 子守帯
JP4463523B2 (ja) 帯状物品の連結構造、これを用いた子守帯、及び固定側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