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476A - 아기띠 - Google Patents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476A
KR20230111476A KR1020220007395A KR20220007395A KR20230111476A KR 20230111476 A KR20230111476 A KR 20230111476A KR 1020220007395 A KR1020220007395 A KR 1020220007395A KR 20220007395 A KR20220007395 A KR 20220007395A KR 20230111476 A KR20230111476 A KR 20230111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rsion
user
edge line
unit
disper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신
Original Assignee
임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신 filed Critical 임영신
Priority to KR1020220007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476A/ko
Publication of KR20230111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47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는, 일단이 사용자 상체의 일측 어깨를 감싸고 타단이 사용자의 상체 전면 타측 허리방향으로 크로스 되는 일측지지부, 일단이 사용자 상체의 타측 어깨를 감싸고 타단이 사용자의 상체 전면 일측 허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지지부와 교차 되도록 크로스 되는 타측지지부, 상기 사용자의 상체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에서 상기 일측지지부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여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일측분산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체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에서 상기 타측지지부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여 탄성 지지하되, 상기 일측분산부와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타측분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아기띠의 전면에 안착되는 아기의 하중을 사용자 후면에 배치된 서로 교차되는 방향의 띠 결합구조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 및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기띠{Baby Carri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의 보호자는 두 팔로 아기의 체중을 지탱하며 아기를 돌보거나 안게 된다. 이러한 자세에 의한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아이를 등에 업거나, 가슴 전면에서 아기를 안을 수 있도록 하는 아기띠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아기띠는 아기를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도록 전면 방향의 구조와, 이를 적절하게 지지 및 유지하기 위한 어깨끈이나 등뒤에서 연결되는 연결 클램프 등의 부품들을 통해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아기의 하중이나 아기의 움직임에 의해 더욱 크게 느껴 질 수 있는 하중을 단순히 어깨끈이나 벨트와 같은 연결부재만으로는 그 하중을 온전히 보호자가 감당해야 함으로 몸에 큰 부담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아기띠의 장기간의 사용이나, 아기의 하중과 아기의 움직임 등을 고려하여 아기띠를 통해 아기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아기띠의 구조나 관련 기술이 필요하다.
KR 10-1970848 B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가 아기를 아기띠에 안착하는 경우 아기의 하중이나 아기의 움직임에 따른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함으로써 아기띠를 통해 아기를 돌보는 사용자의 신체적인 부담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 아기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아기띠를 착용하는 사용자와의 접촉에 의한 원활한 통풍과 더불어, 아기 하중을 위한 분산작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아기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는, 일단이 사용자 상체의 일측 어깨를 감싸고 타단이 사용자의 상체 전면 타측 허리방향으로 크로스 되는 일측지지부, 일단이 사용자 상체의 타측 어깨를 감싸고 타단이 사용자의 상체 전면 일측 허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지지부와 교차 되도록 크로스 되는 타측지지부, 상기 사용자의 상체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에서 상기 일측지지부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여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일측분산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체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에서 상기 타측지지부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여 탄성 지지하되, 상기 일측분산부와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타측분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지지부와 상기 타측지지부는 어깨 전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일측분산부는 상기 일측지지부 일단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상기 일측지지부 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타측분산부는 상기 타측지지부 일단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상기 타측지지부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분산부와 상기 타측분산부는 교차되어 중첩되는 영역이 각 길이방향으로 연신되도록 결합된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분산부는 소정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소정 폭을 이루는 내측테두리선과 외측테두리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분산부는 소정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소정 폭을 이루는 내측테두리선과 외측테두리선으로 형성되되, 상기 일측분산부의 상기 내측테두리선과 상기 타측분산부의 내측테두리선이 교차되는 각도는 75 내지 95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분산부의 상기 외측테두리선과 상기 타측분산부의 외측테두리선이 교차되는 각도는 100도 내지 120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분산부는 상기 완충부에서 상기 일측 어깨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상기 완충부에서 상기 일측분산부 타단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타측분산부는 상기 완충부에서 상기 타측 어깨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상기 완충부에서 상기 타측분산부 타단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분산부는 상기 완충부로부터 상기 일측분산부 타단 방향으로 연장될 때 소정 곡률로 상기 사용자의 외측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타측분산부의 상기 완충부로부터 상기 타측분산부 타단 방향으로 연장될 때 소정 곡률로 사용자의 외측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분산부는 소정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소정 폭을 이루는 내측테두리선은 선형으로 외측테두리선은 소정 곡률로 내측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일측분산부 일단의 폭과 타단의 폭이 같도록 형성되며, 상기 타측분산부는 소정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소정 폭을 이루는 내측테두리선은 선형으로 외측테두리선은 소정 곡률로 내측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타측분산부 일단의 폭과 타단의 폭이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분산부는 소정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소정 폭을 이루는 내측테두리선과 외측테두리선은 모두 소정 곡률로 내측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일측분산부 내측테두리선의 곡률보다 상기 일측분산부 외측테두리선의 곡률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타측분산부는 소정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소정 폭을 이루는 내측테두리선과 외측테두리선은 모두 소정 곡률로 내측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타측분산부 내측테두리선의 곡률보다 상기 타측분산부 외측테두리선의 곡률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분산부는, 상기 사용자 후면에 접촉되는 일측하부원단 및
상기 제1 하부원단상에 적층되어 결합되되 상기 일측하부원단과 적층사이에 공기층을 포함하도록 결합되는 일측상부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타측분산부는, 상기 사용자 후면에 접촉되는 타측하부원단 및 상기 타측하부원단상에 적층되어 결합되되 상기 타측하부원단과 적층사이에 공기층을 포함하도록 결합되는 타측상부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하부원단보다 상기 일측상부원단의 신축성이 더 크고, 상기 타측하부원단보다 상기 타측상부원단의 신축성이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하부원단 또는 상기 일측상부원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분산부의 일측하부원단은 소정 두께로 형성되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층이 형성되며, 상기 타측분산부의 타측하부원단은 소정 두께로 형성되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일측분산부와 상기 타측분산부가 교차되는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본봉(Single Needle Lock Stitch)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아기띠의 전면에 안착되는 아기의 하중을 사용자 후면에 배치된 서로 교차되는 방향의 띠 결합구조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 및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기띠 사용자의 아기가 안착되는 전면에서 크로스되는 일측지지부와 타측지지부가 사용자 후면에서 각각 연결되어 교차되며 탄성지지되는 일측분산부와 타측분산부의 X자 결합구조를 이루도록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어깨부분의 하중과 허리측 부분에서 연결되는 부분의 하중이 균형을 이루어 아기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후면에서 교차되는 일측분산부와 타측분산부는 사용자 후면에 직접 접촉되는 원단과 공기층을 사이로 적층되는 원단의 적층구조를 통해 원활한 통풍구조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후면에서 교차되는 일측분산부와 타측분산부이 내측 테두리와 외측테두리의 곡률을 서로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사용자 어깨로부터 사용자 허리부분으로 연결되는 라인의 상하 힘의 분산작용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후면에서 교차되는 일측분산부와 타측분산부는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의 신축성에 차이를 두어 사용자 후면에서 접촉되는 하부원단의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완충하기 위해 상부원단의 신축성을 하부원단보다 더 크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힘의 분산작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측분산부와 타측분산부는 원활한 통풍을 위한 홀을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통해 원단의 재질의 특성과 더불어 물리적인 신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를 착용한 사용자의 전면 모습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를 착용한 사용자의 후면 모습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기띠 착용시 사용자 후면에서의 하중의 분산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의 후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A부분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부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의 후면 일측분산부와 타측분산부의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측분산도의 내측테두리선과 외측테두리선의 곡률차이를 도시한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측분산부의 내측테두리선과 외측테두리선의 곡률차이를 도시한 모식도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를 착용한 사용자의 전면 모습,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를 착용한 사용자의 후면 모습,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아기띠으 착용시 사용자 후면에서의 하중의 분산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의 후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A부분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부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의 후면 일측분산부(20)와 타측분산부(40)의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측분산도의 내측테두리선과 외측테두리선의 곡률차이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측분산부(40)의 내측테두리선과 외측테두리선의 곡률차이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는, 일단이 사용자 상체의 일측 어깨를 감싸고 타단이 사용자의 상체 전면 타측 허리방향으로 크로스 되는 일측지지부(10), 일단이 사용자 상체의 타측 어깨를 감싸고 타단이 사용자의 상체 전면 일측 허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지지부(10)와 교차 되도록 크로스 되는 타측지지부(40), 상기 사용자의 상체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에서 상기 일측지지부(10)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여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일측분산부(20) 및 상기 사용자의 상체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에서 상기 타측지지부(40)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여 탄성 지지하되, 상기 일측분산부(20)와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타측분산부(4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는 사용자의 전면에서 크로스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아기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라보며 아기를 아기띠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일측지지부(10)는 일측 어깨의 전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사용자 전면에서 크로스 되도록 반대측 허리방향으로 이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지지부(10)는 사용자 후면에서 일측분산부(20)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되어 연결됨으로써 일체로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타측지지부(40)는 타측 어깨의 전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사용자 전면에서 일측지지부(10)와 크로스 되도록 반대측 허리방향으로 이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지지부(40)는 사용자 후면에서 타측분산부(40)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되어 연결됨으로써 일체로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지지부(10)는 일측어깨를 전면으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전면에 안착된 아기의 하중을 어깨 전면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타측지지부(40)도 타측어깨를 전면으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전면에 안착된 아기의 하중을 어깨 전면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일측지지부(10)는 사용자 후면에서 일측분산부(20)로 연결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어깨로 부터 전달되는 아기의 하중으로 일측어깨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과, 아기의 하중으로 일측지지부(10)의 허리부분 쪽으로 당겨지는 힘이 일측지지부(10)를 사용자 후면에서 탄성 지지하도록 연결된 일측분산부(20)에 의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타측어깨로 부터 전달되는 아기의 하중으로 타측어깨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과, 아기의 하중으로 타측지지부(40)의 허리부분 쪽으로 당겨지는 힘이 타측지지부(40)를 사용자 후면에서 탄성 지지하도록 연결된 타측분산부(40)에 의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일측어깨와 타측어깨에서 상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서 사용자 전면방향으로 아기의 하중에 의해 작용하는 힘이, 상호 완충됨으로써 사용자에 가해지는 전체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후면에서 일측분산부(20)와 타측분산부(40)가 교차되는 영역에서 일측분산부(20)와 타측분산부(40)가 중첩되는 완충부(50) 영역에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부(50) 영역의 결합은 일측분산부(2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탄성지지력과 타측분산부(4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탄성지지력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 일측분산부(20)와 타측분산부(4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완충부(50)의 테두리 영역의 일부를 스티치로 결합하거나, 면접촉에 의한 본딩 결합방법이 아닌, 스티치(stitch)를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봉(Single Needle Lock Stitch) 방식 등을 이용한 결합을 통해 결합영역에서 일측분산부(20)와 타측분산부(40)의 완충방향으로의 수축이나 이완 운동이 가능한 범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분산부(20)는 일측상부원단(23)과 일측하부원단(24)이 적층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적층결합시, 일측상부원단(23)과 일측하부원단(24) 사이에 공기층(air gap)이 형성되도록 결합영역의 끝단부분이 결합될 수 있다.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등인 후면에 접촉되는 일측하부원단(24)의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여 땀 등을 배출하기 용이하고, 습한 환경에서도 사용자에게 불편한 감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등인 후면에서 일측분산부(20)가 아기 하중에 의해 수축 또는 이완시에 사용자의 등인 후면에서의 접촉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일측하부원단(24)의 신축성보다 일측상부원단(23)의 신축성을 더욱 크게 하여, 사용자 후면에 접촉되는 일측하부원단(24)의 마찰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일측하부원단(24)과 일측상부원단(23)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일측상부원단(23)의 일측하부원단(24)과의 접촉 마찰력을 최소화 한다. 여기에 일측상부원단(23)을 일측하부원단(24)보다 더 높은 신축성을 가진 소재를 선택함으로써 일측분산부(20)의 전체적인 수축 및 이완의 탄성지지력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일측하부원단(24)은, 일측하부원단(24) 자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일측하부원단(24) 자체의 통풍이나 마찰력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 및 상쇄시킬 수 있다. 그러한 공기층을 내부에 형성되는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원단이 중첩되거나, 단일의 소재라도 내부에 통풍을 위한 통풍구나 적층방향의 이격공간의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면 충분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분산부(20)의 일측상부원단(23)과 일측하부원단(24)에는 통공의 홀(23a, 24a)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상부원단(23) 또는 일측하부원단(24)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고, 모두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홀(23a, 24a)은 사용자의 등면인 후면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발생되는 열이나 불편감을 완화시킬 수 있고, 홀(23a, 24a)의 구성이나, 홀(23a, 24a)의 형태를 조절하여 재질 자체의 신축력에 더불어, 구조적인 신축성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이나 구조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일측상부원단과 일측하부원단은 초경량의 메쉬원단, 폴리(95%)를 포함하는 원단, 스판 등의 다양한 기능성 원단을 적절한 범위에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분산부(20)와 타측분산부(40)가 교차되어 중첩되는 영역의 완충부(50)에서도, 일측분산부(20)와 타측분산부(40) 사이에 공기층을 더 형성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일측분산부(20)와 타측분산부(40)의 교차영역의 결합에 의한 신축성을 저해를 최소화하고, 두꺼워 지는 중첩부에서의 공기의 순환, 사용자의 후면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일측분산부(20)와 타측분산부(40)에 의한 아기의 하중 분산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타측분산부(40)의 경우에도, 이미 상술한 일측분산부(20)와 마찬가지로, 타측상부원단(43)과 타측하부원단(44)이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적층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타측상부원단(43)과 타측하부원단(44)의 신축성의 상대적 차이를 둠으로써, 사용자의 후면에 직접 닿음으로써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한 타측분산부(40)의 수축 및 이완작용의 방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측분산부(2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접촉되는 부분에서의 통풍이나 땀배출 및 사용자의 착용감을 효과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홀(23a, 24a)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측하부원단(44)도 마찬가지로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층이나 통풍 역할을 할 수 있는 부분적인 통풍구의 구조를 포함하는 재질의 원단이, 단일 소재라도 내부에 이러한 구조적인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기타, 일측분산부(20)와 동일하게 대응되는 구성 및 관련설명의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분산부(20)는 일측분산부(20)와 타측분산부(40)가 중첩되어 형성되는 완충부(50)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어깨부분으로 연장된 길이(C1)가 반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C2)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전면방향에 형성된 일측지지부(10)와 타측지지부(40)의 교차되는 지점 및 아기의 하중에 의해 작용하는 힘의 작용점을 고려하여 아기 하중을 아기띠 착용자에게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타측분산부(40)도 마찬가지로, 일측분산부(20)와 타측분산부(40)가 중첩되어 형성되는 완충부(50)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타측어깨부분으로 연장된 길이(C3)가 반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C4)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측분산부(20)의 일측 어깨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지지부(10)와 결합되는 상단결합부(21)의 폭(d1)과 하단결합부(22)의 폭(d2)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측분산부(20)의 상단결합부(21)는 일측지지부(10)와 연결되어 결합되는데, 일측지지부(10)는 일측어깨의 전면에 걸쳐 힘을 골고루 분산되도록 형성되면서, 그 힘을 일측분산부(20) 상단결합부(21)에 집중되도록 결합된다. 즉 상단결합부(21)의 폭이 결합되는 일측지지부(10)의 대응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일측지지부(10)에서 받는 전체 압력을 일측분산부(20) 상단결합부(21)에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일측분산부(20)의 하단결합부(22)도 마찬가지로, 일측지지부(10)의 전면에서 넓게 퍼져 아기를 감싸도록 형성된 부분의 하중을 더 작은 폭의 일측분산부(20) 하단결합부(22)와 결합함으로써 그 힘을 일측분산부(20)의 타단에 효과적으로 집중시킨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일측분산부(20)는 사용자의 등쪽 후면에서 양쪽 방향의 힘을 최소의 영역에서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일측분산부(20)의 소정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내측테두리는 선형으로 형성되고, 외측테두리는 소정 곡률을 갖고 내측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일측어깨와 사용자의 허리부분으로 이어지는 라인에서의 상하부 힘의 분산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측분산부(20)의 소정폭을 이루는 내측테두리선과 외측테두리선이 소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분산부(20)의 내측테두리선의 곡률보다 외측테두리선의 곡률이 더 크도록 하여 일측어깨부분에서 반대측 사용자의 허리부분으로 이어지는 라인 형태를 통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킴과 더불어, 사용자에게도 일측분산부(20)의 수축 및 이완의 정도를 최소화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타측분산부(40)도 소정폭을 이루는 내측테두리선과 외측테두리선, 상단결합부(41)와 하단결합부(42)를 포함한다. 타측분산부(40)는 이미 상술한 대칭되게 형성된 일측분산부(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미 상술한 일측분산부(20)와 대응되는 동일구성 및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분산부(20)와 타측분산부(40)가 서로 교차되는 상부 지점에서의 각각 내측테두리선이 이루는 각도(α)는 75도 내지 95도의 범위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어깨부분과 허리측 부분을 연결하는 라인에서의 힘의 분산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적절한 범위에서의 일측분산부(20)와 타측분산부(40)가 교차되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범위 미만에서는 양측 어깨부분에 아기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 힘의 방향이 왜곡되어 힘의 분산이 어렵게 되고, 해당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양측어깨방향에 가해지는 하중과 사용자의 허리측 부분에서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방향이 왜곡되어 오히려 더 큰 하중이 사용자에게 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일측분산부의 내측테두리선과 타측분산부의 내측테두리선이 교차되는 상부측 각도(α)에 대응하여, 일측분산부의 외측테두리선과 타측분산부의 외측테두리선이 하부에서 교차되는 각도(β)는 100도 내지 120도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범위도 위 내측테두리선의 각도범위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범위 미만에서는 양측 어깨부분에 아기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 힘의 방향이 왜곡되어 힘의 분산이 어렵게 되고, 해당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양측어깨방향에 가해지는 하중과 사용자의 허리측 부분에서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방향이 왜곡되어 오히려 더 큰 하중이 사용자에게 가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일측지지부
20: 일측분산부 21: 상단결합부
22: 하단결합부 23: 일측상부원단
23a, 24a: 홀 24: 일측하부원단
30: 타측지지부
40: 타측분산부 41: 상단결합부
42: 하단결합부 43: 타측상부원단
44: 타측하부원단
50: 완충부

Claims (14)

  1. 일단이 사용자 상체의 일측 어깨를 감싸고 타단이 사용자의 상체 전면 타측 허리방향으로 크로스 되는 일측지지부;
    일단이 사용자 상체의 타측 어깨를 감싸고 타단이 사용자의 상체 전면 일측 허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지지부와 교차 되도록 크로스 되는 타측지지부;
    상기 사용자의 상체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에서 상기 일측지지부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여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일측분산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체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에서 상기 타측지지부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여 탄성 지지하되, 상기 일측분산부와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타측분산부를 포함하는 아기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지지부와 상기 타측지지부는 어깨 전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일측분산부는 상기 일측지지부 일단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상기 일측지지부 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타측분산부는 상기 타측지지부 일단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상기 타측지지부 일단과 결합되는 아기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분산부와 상기 타측분산부는 교차되어 중첩되는 영역이 각 길이방향으로 연신되도록 결합된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아기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분산부는 소정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소정 폭을 이루는 내측테두리선과 외측테두리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분산부는 소정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소정 폭을 이루는 내측테두리선과 외측테두리선으로 형성되되,
    상기 일측분산부의 상기 내측테두리선과 상기 타측분산부의 내측테두리선이 교차되는 각도는 75 내지 95도로 형성되는 아기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일측분산부의 상기 외측테두리선과 상기 타측분산부의 외측테두리선이 교차되는 각도는 100도 내지 120도 형성되는 아기띠.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측분산부는 상기 완충부에서 상기 일측 어깨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상기 완충부에서 상기 일측분산부 타단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타측분산부는 상기 완충부에서 상기 타측 어깨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상기 완충부에서 상기 타측분산부 타단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아기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일측분산부는 상기 완충부로부터 상기 일측분산부 타단 방향으로 연장될 때 소정 곡률로 상기 사용자의 외측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타측분산부의 상기 완충부로부터 상기 타측분산부 타단 방향으로 연장될 때 소정 곡률로 사용자의 외측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아기띠.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분산부는 소정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소정 폭을 이루는 내측테두리선은 선형으로 외측테두리선은 소정 곡률로 내측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일측분산부 일단의 폭과 타단의 폭이 같도록 형성되며,
    상기 타측분산부는 소정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소정 폭을 이루는 내측테두리선은 선형으로 외측테두리선은 소정 곡률로 내측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타측분산부 일단의 폭과 타단의 폭이 같도록 형성되는 아기띠.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분산부는 소정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소정 폭을 이루는 내측테두리선과 외측테두리선은 모두 소정 곡률로 내측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일측분산부 내측테두리선의 곡률보다 상기 일측분산부 외측테두리선의 곡률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타측분산부는 소정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소정 폭을 이루는 내측테두리선과 외측테두리선은 모두 소정 곡률로 내측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타측분산부 내측테두리선의 곡률보다 상기 타측분산부 외측테두리선의 곡률이 더 크게 형성되는 아기띠.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측분산부는,
    상기 사용자 후면에 접촉되는 일측하부원단 및
    상기 제1 하부원단상에 적층되어 결합되되 상기 일측하부원단과 적층사이에 공기층을 포함하도록 결합되는 일측상부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타측분산부는,
    상기 사용자 후면에 접촉되는 타측하부원단 및
    상기 타측하부원단상에 적층되어 결합되되 상기 타측하부원단과 적층사이에 공기층을 포함하도록 결합되는 타측상부원단을 포함하는 아기띠.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일측하부원단보다 상기 일측상부원단의 신축성이 더 크고,
    상기 타측하부원단보다 상기 타측상부원단의 신축성이 더 큰 아기띠.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일측하부원단 또는 상기 일측상부원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는 아기띠.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일측분산부의 일측하부원단은
    소정 두께로 형성되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층이 형성되며,
    상기 타측분산부의 타측하부원단은
    소정 두께로 형성되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층이 형성된 아기띠.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일측분산부와 상기 타측분산부가 교차되는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티치(Stitch)로 결합되는 아기띠.
KR1020220007395A 2022-01-18 2022-01-18 아기띠 KR20230111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395A KR20230111476A (ko) 2022-01-18 2022-01-18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395A KR20230111476A (ko) 2022-01-18 2022-01-18 아기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476A true KR20230111476A (ko) 2023-07-25

Family

ID=8742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395A KR20230111476A (ko) 2022-01-18 2022-01-18 아기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4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848B1 (ko) 2011-10-13 2019-04-19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아기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848B1 (ko) 2011-10-13 2019-04-19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아기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7499B2 (en) Bra with stretch support
US7958573B2 (en) Size adjustable safety and comfort liner for a helmet
JP7169394B2 (ja) サポート衣服
JP6165753B2 (ja) 複数材料単一面ヘッドギア
CN102215707B (zh) 运动胸罩
US20080294136A1 (en) Breast milk absorbent pad
US10779582B2 (en) Pressure-distributing undergarment with fastening system
US11246354B2 (en) Breast support garment
JP2023055983A5 (ko)
JP2018040081A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KR20200103727A (ko) 관절용 휴식 보조기
KR20230111476A (ko) 아기띠
JP7052226B2 (ja) 吸収性物品
EP3708014B1 (en) Breast support garment
US7537510B2 (en) Garment having dig free strap
JP5713166B1 (ja) 骨折予防パッド及びこれを装着した骨折予防衣類
US20210059424A1 (en) Sleeping system
JP7141539B2 (ja) 背負いカバン用ショルダーベルト及び背負いカバン
KR102497927B1 (ko) 거북목 교정기
CA2665406A1 (en) Bra strap with stabilizing material
JP3244770U (ja) サポーター
KR102291837B1 (ko) 가슴 보정 및 흉추 교정용 여성 상의
WO2022265108A1 (ja) 衣類
JP7301568B2 (ja) 脇用汗取りパッド
US20240156182A1 (en) Bra with stretch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