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927B1 - 거북목 교정기 - Google Patents
거북목 교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7927B1 KR102497927B1 KR1020210058001A KR20210058001A KR102497927B1 KR 102497927 B1 KR102497927 B1 KR 102497927B1 KR 1020210058001 A KR1020210058001 A KR 1020210058001A KR 20210058001 A KR20210058001 A KR 20210058001A KR 102497927 B1 KR102497927 B1 KR 1024979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ip
- user
- support
- turtle neck
- na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61F13/128—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nec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89—Plasters use for bracing or strapp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의 목덜미에 종방향으로 부착되는 제1 스트립, 및 상기 제1 스트립의 상단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에 횡방향으로 부착되는 제2 스트립을 가지는 밴드부; 및 상기 제2 스트립을 지지하되 사용자의 목덜미에 안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을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거북목 교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거북목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교정 효과가 개선되면서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목덜미 부위에 부착, 적용할 수 있는 거북목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거북목 증후군은 똑바로 선 자세에서 측면을 기준으로 정상적인 경추는 앞 면이 볼록한 자연스러운 C자 곡선을 이루는데 반해 경추의 전만 소실로 인해 마치 거북이처럼 일자로 목이 변형되는 질환이다.
거북목 증후군은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없을수록 잘 생기지만 컴퓨터,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는 요즘에는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호발한다. 이런 자세는 통증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관련하여, 고개가 1cm 앞으로 빠질 때마다 2~3kg의 하중이 경추에 가해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고, 거북목 증후군 환자의 경우 최대 15kg의 하중이 경추에 가해질 수 있으므로, 목덜미와 어깨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해당 부위의 근육의 긴장 상태가 장기화되면 근막통증 증후군이 유발되어 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도 통증이 지속될 수 있으며, 두통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거북목 증후군을 교정하여 전술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거북목 교정기가 제안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42121호는 환자의 양 어깨에 각각 착용하는 한 쌍의 어깨 밴드와, 각 단부가 상기 어깨 밴드에 고정되고 등 근육 중 마름근에 초점을 맞추어 등에 밀착되는 엑스자형 밴드와, 상기 엑스자형 밴드에 일측이 고정되고 세워져 타측은 환자의 후두부와 마주보게 위치되며 환자의 턱 당기기 운동 시 후두부가 걸쳐지게 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친-인(chin-in) 운동바를 포함하는 거북목 교정기를 개시하나, 착용 시 다수의 구성이 어깨, 겨드랑이, 후두부 등에 체결, 접촉하여야 하므로 사용하기 불편하고, 어깨 밴드, 엑스자형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등이 겉옷을 돌출시켜 착용 간 사용자의 외관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50129호는 생활 중 사용자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착용 시 목의 앞쪽을 감싸도록 형성된 2중 C자형 목 밴드 및 머리뼈의 꼭지돌기를 받쳐주는 지지대를 가지는 거북목 교정기를 개시하나, 상기 2중 C자형 목 밴드와 지지대는 착용 간 사용자의 아래턱뼈 및 쇄골뼈를 가압하므로 그 자체로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아래턱뼈의 움직임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식사, 대화 등의 일상 생활이 여전히 제한되며, 교정기가 외부로 노출될 수 밖에 없으므로 착용 간 사용자의 외관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2074486호는 사용자의 목이 앞으로 빠지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상부 센서, 착용자의 등이 굽어지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하부 센서, 사용자의 신체 특성, 예를 들어, 대칭성 내지 비대칭성을 고려하여 상기 상부 센서와 상기 하부 센서가 상호 회전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원포인트 접착부, 진동부, 제어부 등을 포함하는 거북목 교정기를 개시하나, 교정기의 부착이 상기 상부 센서의 최상단, 상기 하부 센서의 최하단 등에 구비된 접착층을 통해 국부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교정기가 사용자의 목덜미에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부착, 고정될 수 없고, 부착되지 않는 부분의 들뜸으로 인해 의류와의 마찰, 간섭이 발생하는 등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다수의 센서류가 사용됨에 따라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용 부위에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부착, 고정되어 거북목 증후군에 대한 교정 효과가 개선되면서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부착, 적용할 수 있고, 착용 간 이물감 등에 의한 불편함을 경감할 수 있으며, 외부에 대한 노출 및 그에 따른 사용자의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거북목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의 목덜미에 종방향으로 부착되는 제1 스트립, 및 상기 제1 스트립의 상단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에 횡방향으로 부착되는 제2 스트립을 가지는 밴드부; 및 상기 제2 스트립을 지지하되 사용자의 목덜미에 안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을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거북목 교정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직물층 및 상기 직물층의 하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착층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직물층과 상기 접착층의 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면적방향을 따라 내측 영역 및 상기 내측 영역을 제외한 외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측 및 외측 영역의 평균 두께를 각각 T1, T2라 할 때, T1>T2인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연결부의 평균 곡률을 각각 R1, R2라 할 때, R1>R2인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된 지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압부는 사용자의 목덜미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연결부의 평균 두께를 각각 t1, t2라 할 때, t1>t2인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는, 사용자의 목덜미에 종방향으로 부착되는 제1 스트립, 및 상기 제1 스트립의 상단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에 횡방향으로 부착되는 제2 스트립을 가지는 밴드부와, 및 상기 제2 스트립을 지지하되 사용자의 목덜미에 안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을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함으로써, 적용 부위에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부착, 고정되어 거북목 증후군에 대한 교정 효과가 개선되면서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부착, 적용할 수 있고, 착용 간 이물감 등에 의한 불편함을 경감할 수 있으며, 외부에 대한 노출 및 그에 따른 사용자의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적용 부위 대향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의 적용 부위 대향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트립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적용 부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의 적용 부위 대향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트립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적용 부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적용 부위 대향면을 나타낸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는, 사용자의 목덜미에 종방향으로 부착되는 제1 스트립(110), 및 상기 제1 스트립의 상단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에 횡방향으로 부착되는 제2 스트립(120)을 가지는 밴드부(100); 및 상기 제2 스트립을 지지하되 사용자의 목덜미에 안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을 가지는 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트립(100)은 사용자의 목덜미에 종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종방향"은 사용자의 경추와 실질적으로 평행인 방향을 의미하고, 이는 사용자의 경추를 기준으로 약 0~20°의 각도로 이격된 방향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트립(100)은 사용자의 목덜미 중 경추 1번 내지 경추 7번 부위를 덮도록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트립(100)의 상단은 사용자의 목덜미 중 경추 1번 부위에 부착되어 경추 1번 및 그 주변의 후두하근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트립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상기 제1 스트립(100)의 중단은 사용자의 목덜미 중 경추 2번 내지 경추 6번(또는 경추 7번) 부위에 부착되어 경추 및 그 주변의 근육을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트립의 중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상기 제1 스트립(100)의 하단은 사용자의 목덜미 중 경추 7번 내지 흉추 2번 부위 중 하나에 부착되어 경추 7번 내지 흉추 2번 및 그 주변의 견갑거근 및 승모근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트립(110)은 기설정된 범위로 연신 및 수축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스트립(110)의 상단을 사용자의 목덜미 중 경추 1번 부위에 부착하고, 상기 제1 스트립(110)의 하단을 사용자의 목덜미 중 경추 7번 내지 흉추 2번 부위까지 인장, 연신시킨 후 상기 제1 스트립(110)의 중단 및 하단을 부착하는 경우, 상기 제1 스트립(110)에는 인장, 연신 전의 형태로 돌아가기 위한 복원력 내지 수축력이 종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고, 이는 전방으로 기울어진 사용자의 경추를 후방으로 당겨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트립(110)의 중단에 비해 상기 제1 스트립(110)의 하단에 종방향으로 인가되는 복원력 내지 수축력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스트립(110)의 하단의 횡방향 폭을 상기 제1 스트립(110)의 중단의 횡방향 폭에 비해 넓게 설계함으로써 상기 제1 스트립(110)의 하단을 더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고, 상기 제1 스트립(110)의 하단에 인가되는 복원력 내지 수축력이 횡방향으로 분산됨에 따라 상기 제1 스트립(110)이 적용 부위에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트립(120)은 상기 제1 스트립의 상단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에 횡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횡방향"은 사용자의 경추와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의미하고, 상기 제1 스트립의 종방향 중심축 및/또는 사용자의 경추를 기준으로 약 60~90°의 각도로 이격된 방향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트립(120)은 사용자의 목덜미 중 경추 1번 부위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두판상근을 덮도록 부착되어 경추 1번 및 그 주변의 두판상근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트립(120)은 상기 제1 스트립(110)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밴드부(100)는 Y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스트립(120)의 하단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스트립(110)의 상단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트립(120) 또한 기설정된 범위로 연신 및 수축될 수 있는 소재,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스트립(110)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스트립(120)의 하단을 사용자의 목덜미 중 경추 1번 부위에 부착하고, 상기 제2 스트립(120)의 중단 및 상단을 사용자의 목덜미 양측의 두판상근 상부까지 인장, 연신시킨 후 상기 제2 스트립(120)의 중단 및 상단을 부착하는 경우, 상기 제2 스트립(120)에는 인장, 연신 전의 형태로 돌아가기 위한 복원력 내지 수축력이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예를 들어, 두판상근을 따라 작용할 수 있고, 이는 전방으로 기울어진 사용자의 경추를 후방으로 당겨 이동시키는 힘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스트립(110)에 인가되는 복원력 내지 수축력은 사용자의 경추 및 그 주변의 근육에 종방향으로 작용하고, 상기 제2 스트립(120)에 인가되는 복원력 내지 수축력은 사용자의 양측 두판상근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스트립(110, 120)을 포함하는 상기 밴드부(100)에 의해 전방으로 기울어진 사용자의 경추를 후방으로 당겨 이동시키는 힘이 적어도 3 방향에서 제공될 수 있으므로, 거북목 증후군에 대한 교정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의 적용 부위 대향면을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트립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밴드부(100)는 직물층(130) 및 상기 직물층의 하면에 형성된 접착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물층(130)은 메쉬 조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메쉬 조직"은 그물망처럼 구멍이 조밀하게 뚫려 있는 섬유 원단을 의미한다. 이러한 메쉬 조직은 투기성, 투습성이 우수하고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상기 직물층(200)에 탄성, 즉, 연신에 대한 내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직물층(200)의 탄성은 사용자의 적용 부위에 필요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쉬 조직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레이온, 나일론, 스판덱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직물층(130)은 상기 밴드부(100)의 최외면을 구성하여 외부로 노출되므로, 상기 직물층(130)을 구성하는 메쉬 조직의 색상은 사용자의 피부 색과 위화감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으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40)은 상기 직물층(130)의 하면에 소정의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를 기설정된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140)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는 통상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패치, 창상 보호를 위한 밴드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그 종류, 조성 등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밴드부(100)가 적용되는 목덜미 부위의 형태는 사용자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상기 밴드부(100)가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과 그에 따른 근육의 수축/이완 거동에 의해서도 상이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용 부위의 형태는 사용자 및/또는 움직임에 따라 가변적이므로, 상기 밴드부(100)가 부착된 상태에서 적용 부위의 형태가 지속적으로 변하는 경우 상기 밴드부(100)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제2 스트립(120)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스트립(120)의 내측 영역을 지지하되 사용자의 목덜미에 안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0)의 형태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그에 따른 근육의 수축/이완 거동에 관계없이 그 형태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움직임과 그에 따른 근육의 수축/이완 거동에 의해 상기 밴드부(100)에 인가되는 부하를 1차적으로 경감, 완충하여 인장, 연신된 상태에서 적용 부위에 부착된 상기 밴드부(100)의 형태가 장시간 동안 고정,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0)는, 예를 들어, 금속, 열가소성 수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한된 유연성 내지 탄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접착층(14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0)가 상기 접착층(140)의 하면에 구비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200)를 목덜미에 안착시킨 후 상기 지지부(200)의 상면 및 그 외 적용 부위에 상기 밴드부(100)를 부착시킬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부(100)의 상기 접착층(140) 중 기설정된 위치에 상기 지지부(200)의 상면을 부착한 후 상기 밴드부(100) 및 상기 지지부(200)를 적용 부위에 동시에 안착, 부착시킬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접착층(140)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200)의 위치를 표시하는 가이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41)는 상기 지지부(200)의 형태와 상응하도록, (1) 상기 접착층(140)의 하면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로 돌출된 것(도 3(a)), (2) 상기 접착층(140)의 하면에 평면 인쇄된 것(미도시), 또는 (3) 상기 접착층(140)의 하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깊이로 함몰된 것(도 3(b))일 수 있으나, 그 형태, 구조 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부(200)의 하면, 즉, 상기 지지부(200) 중 상기 접착층(140)에 부착되는 상면의 반대면 중 적어도 일부에도 접착층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접착층(140) 중 상기 지지부(200)에 의해 접착력이 소실된 부분에 대한 접착력을 보완할 수 있다.
도 3(c)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직물층(130)과 상기 접착층(140)의 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거북목 교정기에 내장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접착층(140) 및 상기 지지부(200)의 소재가 상이한 것에서 비롯되는 이질적 착용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적용 부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밴드부(100) 중 상기 제1 스트립(110)은 사용자의 경추를 따라 종방향으로 외측으로 휘어져 부착되고, 상기 제2 스트립(120)은 사용자의 두판상근을 따라 횡방향으로 내측으로 휘어져 부착된다. 이와 같이 적용 부위의 형태는 불규칙적이고 가변적이므로 상기 밴드부(100) 및 상기 지지부(200)를 포함하는 거북목 교정기가 사용자의 목덜미 부위에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밴드부(100) 및 상기 지지부(200)를 구성하는 각 부분의 작용효과를 고려하여 그 형태 및 구조를 적절히 설계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밴드부(100)는 면적방향을 따라 내측 영역(IP) 및 상기 내측 영역을 제외한 외측 영역(OP)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측 및 외측 영역의 평균 두께를 각각 T1, T2라 할 때, T1>T2인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외측 영역(OP)으로부터 상기 내측 영역(IP)으로의 두께 구배 및 상기 내측 영역(IP)으로부터 상기 외측 영역(OP)으로의 두께 구배는 연속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부(100)의 두께는 상기 외측 영역(OP)으로부터 상기 내측 영역(IP)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내측 영역(IP)으로부터 상기 외측 영역(OP)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감소하여, T1>T2인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연속적"은 상기 두께 구배에 의한 경사면이 단차 없이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증감 태양을 가리킨다.
상기 연속적 두께 구배는 평평한 하면을 기준으로 상면에만 형성될 수 있고(도 6(a)), 하면과 상면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도 6(b)). 상기 내측 영역 및 상기 외측 영역의 평균 두께 T1 및 T2는 각 부위의 단면 상에서 나타나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중점으로부터 하단면까지의 거리, 또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중점 간의 거리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두께 구배에 따른 경사각(θ)은 5°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경사각이 5° 미만이면 상기 밴드부(100)의 면적이 과도하게 커져 적용하기 불편하고, 25° 초과이면 상기 밴드부(100)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져 착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영역(OP)의 경사각은 적용 부위의 면적과 형태에 따라 동일할 수 있고, 각 부분의 길이, 강도, 접착성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5° 내지 25°의 범위에서 상이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외측 영역(OP)으로부터 상기 내측 영역(IP)으로의 두께 구배 및 상기 내측 영역(IP)으로부터 상기 외측 영역(OP)으로의 두께 구배는 불연속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부(100)의 두께는 상기 외측 영역(OP)으로부터 상기 내측 영역(IP)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내측 영역(IP)으로부터 상기 외측 영역(OP)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감소하여, T1>T2 인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불연속적"은 일정한 기울기 없이 하나 이상의 계단형 단차에 의한 두께의 증감 태양을 가리킨다.
상기 불연속적 두께 구배 또한 평평한 하면을 기준으로 상면에만 형성될 수 있고(도 7(a)), 하면과 상면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도 7(b)). 이 때, 상기 두께 구배는 하나의 단차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단차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측 영역(IP) 및 상기 외측 영역(OP)의 두께는 각 부분에서 일정하므로, 평균 두께 T1 및 T2는 각 부분의 두께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영역(IP)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 단차의 높이와 수는 적용 부위의 면적과 형태에 따라 동일할 수 있고, 각 부분의 길이, 강도, 접착성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밴드부(100)는 연속적인 두께 구배와 불연속적인 두께 구배를 동시에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밴드부(100)의 상기 내측 영역(IP) 및 상기 외측 영역(OP)이 상기와 같은 두께 구배를 가지는 경우, 상기 내측 영역(IP)이 적용 부위에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영역(OP)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상기 내측 영역(IP)에 집중된 응력을 분산, 완충하여 적용 부위에 부착된 상기 밴드부(100)의 형태를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거북목 증후군에 대한 교정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200)는 안착부(210) 및 상기 안착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한 쌍의 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연결부의 평균 곡률을 각각 R1, R2라 할 때, R1>R2인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10)는 상기 지지부(200)의 중앙에 곡면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200)가 사용자의 목덜미 중앙부에 적절히 위치,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안착부(21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된 곡면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200)가 사용자의 두판상근 부위를 적절히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10) 및 상기 연결부(220)의 평균 곡률을 각각 R1, R2라 할 때, R1>R2인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목덜미 중앙부의 곡률이 목덜미 측부의 곡률에 비해 크므로, 상기 안착부(210) 및 상기 연결부(220)의 평균 곡률를 상기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상기 지지부(200)의 적용 부위에 대한 밀착력 및 그에 따른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곡률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기 연결부(220)가 사용자의 두판상근 부위를 적절히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200)가 적용 부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연결부(22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된 지압부(2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압부(230)는 사용자의 목덜미, 구체적으로, 두판상근 부위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231)의 수, 패턴, 높이 등은 두판상근에 대한 지압 효과가 구현되도록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안착부(210) 및 상기 연결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40)는 상기 밴드부(100) 중 상기 직물층(130)에 형성된 기공 중 적어도 일부를 폐쇄시키는 상기 지지부(200)에 의해 소실된 투기성, 투습성을 보완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200)에 유연성을 더하여 다양한 적용 부위에 대한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안착부(210) 및 상기 연결부(220)의 평균 두께를 각각 t1, t2라 할 때, t1>t2인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0)의 상기 안착부(210) 및 상기 연결부(220)이 상기와 같은 두께 구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안착부(210)가 적용 부위 중 목덜비 부위에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20)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상기 안착부(210)에 집중된 응력을 분산, 완충하여 적용 부위에 안착, 고정된 상기 지지부(200)의 형태를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거북목 증후군에 대한 교정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밴드부 110: 제1 스트립
120: 제2 스트립 130: 직물층
140: 접착층 141: 가이드
IP: 내측 영역 OP: 외측 영역
200: 지지부 210: 안착부
220: 연결부 230: 지압부
231: 돌기 240: 개구부
120: 제2 스트립 130: 직물층
140: 접착층 141: 가이드
IP: 내측 영역 OP: 외측 영역
200: 지지부 210: 안착부
220: 연결부 230: 지압부
231: 돌기 240: 개구부
Claims (10)
- 사용자의 목덜미에 종방향으로 부착되는 제1 스트립, 및 상기 제1 스트립의 상단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에 횡방향으로 부착되는 제2 스트립을 가지는 밴드부; 및
상기 제2 스트립을 지지하되 사용자의 목덜미에 안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을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연결부의 평균 곡률을 각각 R1, R2라 할 때, R1>R2인 관계를 만족하는,
거북목 교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직물층 및 상기 직물층의 하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거북목 교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착층의 하면에 구비되는,
거북목 교정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거북목 교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직물층과 상기 접착층의 계면에 구비되는,
거북목 교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면적방향을 따라 내측 영역 및 상기 내측 영역을 제외한 외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및 외측 영역의 평균 두께를 각각 T1, T2라 할 때, T1>T2인 관계를 만족하는,
거북목 교정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된 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압부는 사용자의 목덜미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거북목 교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거북목 교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연결부의 평균 두께를 각각 t1, t2라 할 때, t1>t2인 관계를 만족하는,
거북목 교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8001A KR102497927B1 (ko) | 2021-05-04 | 2021-05-04 | 거북목 교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8001A KR102497927B1 (ko) | 2021-05-04 | 2021-05-04 | 거북목 교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0702A KR20220150702A (ko) | 2022-11-11 |
KR102497927B1 true KR102497927B1 (ko) | 2023-02-08 |
Family
ID=8404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8001A KR102497927B1 (ko) | 2021-05-04 | 2021-05-04 | 거북목 교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792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4486B1 (ko) * | 2019-05-02 | 2020-02-06 | 양찬영 | 거북목 방지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1135B1 (ko) * | 2014-03-06 | 2015-10-16 | 박태환 |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 |
KR20160001493U (ko) * | 2014-10-29 | 2016-05-11 | 조우익 | 밴드교정용구 |
KR102270643B1 (ko) * | 2019-07-01 | 2021-06-28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거북목 교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2021
- 2021-05-04 KR KR1020210058001A patent/KR1024979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4486B1 (ko) * | 2019-05-02 | 2020-02-06 | 양찬영 | 거북목 방지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0702A (ko) | 2022-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17553B2 (en) | Neck orthosis | |
US7364558B2 (en) | Back support panel with convex surfaces for muscle support | |
US11457673B2 (en) | Kinematic bra for posture recovery and thoracic mobility | |
US20080319365A1 (en) | Adhesive Posture Supports | |
AU2018391035B2 (en) | Orthosis for immobilizing a joint | |
US20230060121A9 (en) | Garment | |
CN112584800A (zh) | 体现最佳的三点压迫功能的脊椎矫正器及利用其的脊椎侧弯症管理系统 | |
KR102497927B1 (ko) | 거북목 교정기 | |
CN109640894B (zh) | 适于延长坐姿的膝部支撑矫形器 | |
KR200476376Y1 (ko) |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의료용 복대 | |
CA3178061A1 (en) | Scoliosis brace | |
JP2021113383A (ja) | 操作者の体と接合するための、機能ユニット用のシステム | |
JP2022523278A (ja) | 姿勢回復及び胸郭可動性のための運動学的ブラジャー | |
WO2020037011A1 (en) | Garment | |
WO2019191500A1 (en) | Kinematic bra for posture recovery and thoracic mobility | |
US11564825B2 (en) | Lumbar-supporting back-bracing apparatus and methods | |
CN221470102U (zh) | 一种矫正脊柱侧弯的核心肌肉训练服 | |
JP3185428U (ja) | 運動用サポーター | |
CN217244979U (zh) | 护腰带组件 | |
CN209574980U (zh) | 一种脊柱纠正器 | |
JP2003038536A (ja) | 背筋矯正具 | |
JP5357325B1 (ja) | 加圧と指圧とストレッチができるサポータ及び衣類 | |
BRMU9001957U2 (pt) | disposiÇço construtiva introduzida em cinta tensora com duplo ajuste aplicada na reeducaÇço postural e reduÇço de esforÇos da musculatura intra-abdominal e lomb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