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486B1 - 거북목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거북목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486B1
KR102074486B1 KR1020190051351A KR20190051351A KR102074486B1 KR 102074486 B1 KR102074486 B1 KR 102074486B1 KR 1020190051351 A KR1020190051351 A KR 1020190051351A KR 20190051351 A KR20190051351 A KR 20190051351A KR 102074486 B1 KR102074486 B1 KR 102074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sensor
neck
turtle neck
tur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찬영
Original Assignee
양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찬영 filed Critical 양찬영
Priority to KR1020190051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2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탄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경추부 상단 및 두부를 따라 부착되고, 외부 방향으로 휘어짐을 센싱하여 착용자의 목이 앞으로 빠지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상부 센서; 탄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경추부 중단 및 척추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내부 방향으로 휘어짐을 센싱하여 상기 착용자의 등이 굽어지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하부 센서; 점착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착용자의 경부의 가장 돌출된 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 센서와 상기 하부 센서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원포인트 접착부; 상기 원포인트 접착부 상단에 위치하되, 제어부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소정 세기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상부 센서와 상기 하부 센서의 센서 데이터 값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신체가 거북목 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방지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거북목 방지 장치{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FORWARD HEAD POSTURE}
본 발명은 거북목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북목은 목을 앞으로 뺀 자세를 통칭하여 지칭하는 용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상목(a)과 거북목(b)의 엑스레이 사진이 도시된다. 사람의 전체 목뼈 수는 7개인데 정상적으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가 어깨뼈봉우리와 같은 수직면 상에 있고 7개의 목뼈는 앞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서 배열되는 C자 커브 형태이다. 이를 경추 전만이라고 한다. 거북목 자세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 목뼈는 과하게 구부러지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위쪽 목뼈와 머리뼈는 머리를 젖히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목뼈 전만이 소실되고 머리가 숙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고개가 앞으로 빠진 자세로, 역C자 커브 형태이다. 목뼈가 일자로 배열되는 일자목도 정상적인 목 형태가 아니며, 본 명세서에서는 일자목과 거북목을 통칭하여 거북목이라 한다. 거북목은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없을수록 잘 생기지만 컴퓨터, 스마트폰을 많이 하는 요즘에는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호발한다. 이런 자세는 통증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이러한 자세로 발생하는 장애는 생각보다 크고 교정이 어렵다. 관련하여, 고개가 1센티미터 앞으로 빠질 때마다 목뼈에는 2~3킬로그램의 하중이 더 걸린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거북목이 있는 사람들은 최고 15킬로그램까지 목에 하중이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뒷목과 어깨가 결리고 아플 수 있다. 근육이 과하게 긴장하는 상태가 장기화되면 근막통증 증후군이 생겨 올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도 통증은 지속될 수 있으며, 뒤통수 아래 신경이 머리뼈와 목뼈 사이에 눌려서 두통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통증은 수면을 방해해서 금방 피로해지는 등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다.
거북목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거북목 방지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37397호는 사용자의 목이 거북목 상태일 경우 등 사용자의 몸의 균형이 맞지 않게 되는 경우 몸의 균형을 센서가 인식하고 그에 대한 알림을 줌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몸 상태를 인지하여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목걸이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해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거북목 방지 장치가 눈에 많이 띄게 되어 사용자 입장에서 부담스러울 뿐만 아니라, 목걸이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목에 걸어야 하므로 오히려 사용자의 목에 하중을 가하여 목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742121호는 환자의 양 어깨에 각각 착용하는 한 쌍의 어깨 밴드와 각 단부가 상기 어깨 밴드에 고정되고 등 근육 중 마름근에 초점을 맞추어 등에 밀착되는 엑스자형 밴드와 상기 엑스자형 밴드에 일측이 고정되고 세워져 타측은 환자의 후두부와 마주보게 위치되며 환자의 턱당기기 운동시 후두부가 걸쳐지게 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친인(Chin-in) 운동바를 포함하는 거북목 증후군 운동교정기에 대해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복잡한 장치를 착용해야 하므로 사용하기에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기에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사용하기에 편리한 거북목 방지 장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거북목 방지 장치의 단점을 해결하여 초경량 및 소형이면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거북목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거북목 방지 장치는, 탄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경추부 상단 및 두부를 따라 부착되고, 외부 방향으로 휘어짐을 센싱하여 착용자의 목이 앞으로 빠지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상부 센서; 탄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경추부 중단 및 척추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내부 방향으로 휘어짐을 센싱하여 상기 착용자의 등이 굽어지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하부 센서; 점착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착용자의 경부의 가장 돌출된 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 센서와 상기 하부 센서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원포인트 접착부; 상기 원포인트 접착부 상단에 위치하되, 제어부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소정 세기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상부 센서와 상기 하부 센서의 센서 데이터 값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신체가 거북목 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북목 방지 장치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착용자의 신체가 거북목 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착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경고발생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북목 방지 장치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착용자의 신체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착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보상제공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북목 방지 장치는 상기 원포인트 접착부 대신에 넥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넥밴드의 중앙은 상기 상부 센서와 상기 하부 센서의 연결부에 고정되고, 상기 넥밴드의 양측 말단에는 부착부가 마련되어 상기 넥밴드를 상기 착용자의 목 둘레에 감싸 상기 거북목 방지 장치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북목 방지 장치는 좌측 및 우측 스트레치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스트레치 밴드는 각각 상기 원포인트 접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착용자의 귀 밑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경량 및 소형의 거북목 방지 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형의 패치 형태로 구현할 수 있어 눈에 쉽게 띄지 않게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컴퓨터나 스마트폰이 필수가 된 요즘에 빈번하게 발생가능한 거북목 증후군을 처음부터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정상목과 거북목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휨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진동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방지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히, 도면부호가 없는 경우라도 명세서상의 설명에서 유추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은 문언적으로 기재된 내용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당업자의 수준에서 사용되는 단어일지라도, 실제의 기능과 역할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여 자칫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명세서 상에 통일적으로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유추하여 실질적으로 발명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해석되는 것이 원칙이며, 반드시 문언 자체의 한정에만 국한하여 해석될 필요는 없으며, 명칭이나 기능 등의 해석에 따라서는 전체적인 내용을 참조하여 보다 유연하게 판단하여야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 “모듈”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스마트 TV 리모컨, 게임 컨트롤러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방지 장치(1)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북목 방지 장치(1)는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는 탄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휨센서 또는 플렉스 센서(flex sensor)인 것이 바람직하다. 휨센서는 굽혀졌을 때 저항이 변함에 따라 굽혀진 것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로, 더 많이 휠수록 저항값이 증가한다. 이러한 휨센서의 예가 도 3에 도시된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는 각각 2개의 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 를 기준으로 설명할 때, 상부 센서(10)의 하층과 하부 센서(20)의 상층은 전도성 폴리머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후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부 센서(10)의 하층인 전도성 폴리머층과 하부 센서(20)의 하층이 착용자 신체에 부착되는 부분이며, 상부 센서(10)의 상층과 하부 센서(20)의 상층이 착용자 신체 바깥쪽을 향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는 착용자의 고개가 앞으로 빠지는 것과 착용자의 등(어깨)가 굽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센서는 경추부 상단 및 두부를 따라 인체에 부착되어, 외부 방향으로 휘어짐을 센싱하여 착용자의 목이 앞으로 빠지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하부 센서는 경추부 하단 및 척추를 따라 부착되어, 내부 방향으로 휘어짐을 센싱하여 착용자의 등이 굽는 움직임을 감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북목 방지 장치(1)는 원포인트 접착부(30)를 더 포함한다. 원포인트 접착부(30)는 본 발명에 따른 거북목 방지 장치(1)를 착용자의 신체에 점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원포인트 접착부(30)는 착용자의 경추 중 가장 돌출된 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포인트 접착부(30)는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의 연결부 하부(착용자 신체에 맞닿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원포인트 접착부(30)는,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가 원포인트 접착부(30)를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부 센서(10)의 일단과 하부 센서(20)의 일단을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사람마다 각각 다른 인체 형상에 적합하게 거북목 방지 장치(1)를 부착할 수 있다. 거북목 방지 장치(1)를 용이하게 인체에 부착시키기 위해 원포인트 접착부(30)는 점착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원포인트 접착부(3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원포인트 접착부(30)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공지의 상처보호용 밴드에 사용되는 점착제와 동일한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원포인트 접착부(3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원포인트 접착부(30) 중 인체에 부착되는 면인 원포인트 접착부(30)의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미도시)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거북목 방지 장치(1)는 상측 고정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고정부(12)는 상부 센서(10)의 최상단에 마련되어, 상부 센서(10)가 인체에 잘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측 고정부(12)는 원포인트 접착부(30)와 같이 점착성 물질일 수 있으며, 또는, 상부 센서(10)의 최상단이 두부에 위치되는 경우를 고려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고정부(12)의 형상은 빗 형상일 수도 있다. 상측 고정부(12)를 빗 형상으로 함으로써, 상부 센서(10)를 머리카락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센서(20)의 최하단에는 하측 고정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측 고정부(22)는 하부 센서(20)가 인체에 잘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원포인트 접착부(30)와 같이 실리콘 재질 또는 아크릴계 수지 등의 점착부재이거나 접착층을 포함하는 접착시트일 수 있다.
한편, 거북목 방지 장치(1)는 통신모듈(40) 및/또는 진동모듈(50)과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의 센서 데이터 값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신체가 비정상 상태(즉, 거북목 또는 일자목 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휨센서(10)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소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착용자의 목이 정상목 상태가 아닌, 일자목 또는 거북목 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하부 휨센서(20)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소정 값 이상인 경우에는, 착용자의 등이 굽은 것으로 판단하여 일자목 또는 거북목 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의 센서 데이터 값을 모두 이용하여 착용자의 목이 정상 상태인지 비정상 상태(거북목 또는 일자목)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착용자의 목이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진동모듈(50)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경우 제어부는 통신모듈(40)을 제어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경고발생신호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모듈(40)로부터 경고발생신호를 수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경고음 및/또는 진동을 포함하는 경고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통신모듈(40)로부터 경고발생신호를 수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중인 게임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경고 문구를 표출하는 방식 등으로 경고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반대로, 제어부는 착용자의 목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모듈(40)을 제어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보상제공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상부 휨센서(10)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소정 값을 초과하고 하부 휨센서(20)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소정 값 미만인 경우에, 착용자의 목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통신모듈(40)로부터 보상제공신호를 수신하면,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중인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유저에게 포인트를 지급하는 방식 등으로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모듈(40) 또는 진동모듈(50)은,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의 연결부 중 원포인트 접착부(30)가 마련되는 일측의 반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포인트 접착부(30)가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의 연결부의 하면(착용자 신체에 맞닿는 부분)에 마련되면, 통신모듈(40)과 진동모듈(50)은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의 연결부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통신모듈(40)은 거북목 방지 장치(1)와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거북목 방지 장치(1)와 거북목 방지 장치(1)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40)은 무선 인터넷부, 근거리 통신부, 위치 정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및/또는 하부 센서의 센서 데이터 값에 기초하여 제어부(미도시)가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해야 하는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 통신모듈(40)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 등으로 경고발생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통신모듈(40)로부터 경고발생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 및/또는 진동을 포함하는 경고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한편, 통신모듈(40)은 상부 및/또는 하부 센서의 센서 데이터 값에 기초하여 제어부가 착용자의 자세가 정상 상태(즉, 교정이 필요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로 보상발생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모듈(50)은 제어부가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해야 하는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세기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모듈(50)은 코인타입 진동모터일 수 있다. 코인타입 진동모터의 예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4(a)는 코인타입 진동모터의 회전자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코인타입 진동모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인타입 진동모터는 브라켓(59)의 상부 중앙에 샤프트(55)가 입설되고 상기 브라켓트(59)의 상면에 샤프트(55)와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도넛 형상의 마그넷(58)이 마련된다. 상기 마그넷 사이의 공간에는 벤딩부를 구비한 브러시(B)가 상측의 정류자 기판(53)과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정류자 기판(53)은 회전자(52)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자(52)는 마그넷(58)의 상측에 위치하고 베어링(56)에 지지되어 샤프트(55)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정류자 기판(53)이 위치하는 회전자(52)의 상면으로는 아마츄어 코일(57)이 분리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서 편심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중량물(W)이 설치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코인타입 진동모터의 브라켓(59)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 프린트 회로기판(54)과 전원을 연결하기 위하여 리드 와이어, 커넥터 또는 FPCB 연결단자를 이용할 수 있다. 리드 와이어, 커넥터 또는 FPCB 연결단자를 통하여 진동모터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브러시(B)와 정류자 기판(53)를 통해 편심된 회전자(52)내에 배치된 아마츄어 코일(57)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마그넷(58)과 케이스로 이루어진 계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기 중량물(W)에 의해 편심된 회전자(52)가 베어링(56)을 사이에 두고 상기 축(55) 주위를 회전함으로써 진동이 유발된다.
거북목 방지 장치의 인체에의 부착 방법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북목 방지 장치(1)의 부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북목 방지 장치(1)는 착용자의 경추 또는 그 부근에 부착되되, 경추를 따라 인체에 수직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부 센서(10)는 거북목 방지 장치(1)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신체를 기준으로 볼 때 상측에 위치되며, 하부 센서(20)는 착용자의 신체를 기준으로 볼 때 하측에 위치된다. 즉,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는 착용자의 경추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인체에 탈부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센서(10)는 착용자의 경추를 따라 경추부 상단측에 위치되며, 하부 센서(20)는 착용자의 경추를 따라 경추부 하단측에 위치될 수 있다. 경추부 상단측에 위치되는 상부 센서(10)는 그 상단이 착용자의 두부까지 연장되도록 위치될 수 있고, 경추부 하단측에 위치되는 하부 센서(20)는 그 하단이 착용자의 등까지 연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거북목 방지 장치(1)의 부착을 위해, 우선 원포인트 접착부(30)를 착용자의 경추 중 가장 돌출된 부분에 부착한다. 예를 들어, 원포인트 접착부(30)는 경추 6번 또는 경추 7번에 부착될 수 있다. 보통은 고개를 깊숙이 숙였을 때 가장 많이 돌출되는 뼈가 경추 7번이며, 경추 6번은 경추 7번 위의 경추이다. 사람에 따라 경추 중 가장 돌출된 부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착용자의 경추 중 가장 돌출된 부분에 원포인트 접착부(3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포인트 접착부(30)를 부착하면, 수직 방향을 찾을 수 있도록 상부 센서(10)의 상단 고정부(12)를 이용하여 상부 센서(10)를 먼저 고정한다. 상부 센서(10)의 상단을 경추부 상단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점착식 상단 고정부를 사용할 수 있고, 상부 센서(10)의 상단을 두부(머리카락 부분)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상술한 빗 형상의 상단 고정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부 센서(10)의 상단을 경추부 상단에 위치시킬지, 두부에 위치시킬지는 착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부 센서(10)가 고정되면, 하부 센서(20)를 중력 방향으로 늘어뜨려 하단 고정부(22)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인체에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포인트 접착부(30)는 착용자의 경추 중 가장 돌출된 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를 위해 원포인트 접착부(30) 중 인체에 부착되는 부분인 원포인트 접착부(30)의 하부는 돌출된 경추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약간 함몰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거북목 방지 장치(1)를 착용자의 인체에 고정시킨 모습은 도 6과 같다. 한편, 도6에는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가 일직선을 이루며 모두 수직 방향으로 인체에 고정된 상황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포인트 접착부(30)는,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가 원포인트 접착부(30)를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부 센서(10)의 하단과 하부 센서(20)의 상단을 고정할 수도 있으므로,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는 원포인트 접착부(3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착용자의 신체가 비대칭형인 경우에는, 이를 고려하여 상부 센서(10) 및/또는 하부 센서(20)를 원포인트 접착부(3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고정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 특성에 적합한 거북목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방지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거북목 방지 장치(1)는 탄성 센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센서(60)는 단일 방향의 스트레인을 감지하는 탄성 센서일 수 있다. 탄성 센서(60)는 상부 센서(10)의 일부와 하부 센서(20)의 일부를 덮도록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센서(60)는 긴 패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 센서(60)의 상단은 상부 센서(10)의 일 지점에 고정되고, 하단은 하부 센서(20)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에 외측 방향의 탄성이 가해지는 경우의 탄성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센서(60)의 상단은 상부 센서(10)의 중간 지점에 고정되고, 하단은 하부 센서(20)의 중간 지점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스트레인 센서에서 측정된 탄성력 값이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착용자의 고개가 비정상적으로 앞으로 튀어나오는 상황으로 인식하여, 제어부는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해야 하는 상황으로 판단하고, 통신 모듈과 진동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거북목 방지 장치(1)의 통신 모듈(40) 및 진동 모듈(50)은 탄성 센서(6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거북목 방지 장치(1)의 가장 하단에는 원포인트 접착부(30)가 마련되고, 그 위에는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가 마련되고, 그 위에는 탄성 센서(60)가 마련되고, 탄성 센서(60)의 윗층에는 통신 모듈(40)과 진동 모듈(50)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방지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거북목 방지 장치(1)는 넥밴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넥밴드(70)는 거북목 방지 장치(1)를 착용자의 목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넥밴드의 중앙은 상부 센서와 상기 하부 센서의 연결부에 고정되고, 넥밴드의 양측 말단에는 부착부가 마련되어 넥밴드를 착용자의 목 둘레에 감싸는 방식으로 거북목 방지 장치를 인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넥밴드 양측 말단의 부착부는 벨크로 타입일 수 있다. 넥밴드(7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거북목 방지 장치(1)에서 원포인트 접착부(30)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방지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거북목 방지 장치(1)는 스트레치 밴드(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치 밴드(80)는 탄성 밴드를 포함하며, 좌측 및 우측 스트레치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스트레치 밴드(80)의 하측 일단은 상부 센서(10)와 하부 센서(20)의 연결부에 고정되고, 스트레치 밴드(80)의 상측 일단은 각각 착용자의 좌측 및 우측 귀 밑에 부착될 수 있다. 용이한 부착을 위해, 스트레치 밴드(80)의 상측 말단에는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1: 거북목 방지 장치
10: 상부 센서 12: 상측 고정부
20: 하부 센서 22: 하측 고정부
30: 원포인트 접착부 40: 통신 모듈
50: 진동 모듈 52: 회전자
53: 정류자 기판 54: 회로기판
55: 축 56: 베어링
57: 코일 58: 마그넷
59: 브라켓 60: 탄성 센서
70: 넥밴드 80: 스트레치 밴드

Claims (5)

  1. 탄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경추부 상단 및 두부를 따라 부착되고, 외부 방향으로 휘어짐을 센싱하여 착용자의 목이 앞으로 빠지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상부 센서;
    탄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경추부 중단 및 척추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내부 방향으로 휘어짐을 센싱하여 상기 착용자의 등이 굽어지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하부 센서;
    점착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착용자의 경부의 가장 돌출된 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 센서와 상기 하부 센서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원포인트 접착부;
    상기 원포인트 접착부 상단에 위치하되, 제어부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소정 세기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상기 상부 센서와 상기 하부 센서의 센서 데이터 값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신체가 거북목 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제어부; 및
    넥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넥밴드의 중앙은 상기 상부 센서와 상기 하부 센서의 연결부에 고정되고, 상기 넥밴드의 양측 말단에는 부착부가 마련되어 상기 넥밴드를 상기 착용자의 목 둘레에 감싸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북목 방지 장치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착용자의 신체가 거북목 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착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경고발생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북목 방지 장치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착용자의 신체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착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보상제공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방지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북목 방지 장치는 좌측 및 우측 스트레치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스트레치 밴드는 각각 상기 원포인트 접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착용자의 귀 밑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방지 장치.
KR1020190051351A 2019-05-02 2019-05-02 거북목 방지 장치 KR102074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51A KR102074486B1 (ko) 2019-05-02 2019-05-02 거북목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51A KR102074486B1 (ko) 2019-05-02 2019-05-02 거북목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486B1 true KR102074486B1 (ko) 2020-02-06

Family

ID=6956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351A KR102074486B1 (ko) 2019-05-02 2019-05-02 거북목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4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370B1 (ko) * 2020-04-08 2020-11-04 (주)위드넥 착용 가능한 능동 목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 부하 저감방법
KR20220150702A (ko) * 2021-05-04 2022-11-11 하재민 거북목 교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2541A (ko) * 2013-05-08 2014-11-18 정용준 거북목증후군 교정장치
CN204600817U (zh) * 2015-01-29 2015-09-02 陈达瑾 一种颈椎和背部姿势矫正器
CN208301772U (zh) * 2017-04-27 2019-01-01 方琬越 一种带生理曲线模板的智能提醒矫姿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2541A (ko) * 2013-05-08 2014-11-18 정용준 거북목증후군 교정장치
CN204600817U (zh) * 2015-01-29 2015-09-02 陈达瑾 一种颈椎和背部姿势矫正器
CN208301772U (zh) * 2017-04-27 2019-01-01 方琬越 一种带生理曲线模板的智能提醒矫姿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370B1 (ko) * 2020-04-08 2020-11-04 (주)위드넥 착용 가능한 능동 목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 부하 저감방법
KR20220150702A (ko) * 2021-05-04 2022-11-11 하재민 거북목 교정기
KR102497927B1 (ko) * 2021-05-04 2023-02-08 하재민 거북목 교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486B1 (ko) 거북목 방지 장치
US10082681B2 (en) Composite wearab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JP2018511354A (ja) ストレッチセンサを備えた装着型装置
CN105636517B (zh) 步态监测器和监测人的步态的方法
JP6563934B2 (ja) 歩行調整のシステム及び装置並びに使用方法
US20070225585A1 (en) Headset for electrodes
US20160100676A1 (en) Ear-mounted device
KR20150072957A (ko) 자세 측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그에 따른 시스템
GB2569562A (en)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headset
JP2019155078A (ja) 姿勢及び深呼吸改善装置、システム、並びに方法
JP6489367B2 (ja) 電気刺激装置
US20180140244A1 (en) Muscle power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muscle power classification
CN111603720A (zh) 颈椎功能训练仪
US11065446B2 (en) Glasses-shaped cochlear implant device
KR102087267B1 (ko) 운동 통증 완화를 위한 앱 구동형 웨어러블 전기치료기기
US11775011B2 (en) Method for transceiv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80066681A (ko) 자세교정장치
KR20110072840A (ko) 척추 교정 장치
WO2016153359A2 (en) Ear-mounted device
KR102544231B1 (ko) 동적 척추 보조 장치
CN212522874U (zh) 颈椎功能训练仪
KR101793454B1 (ko) 스마트기기 연동형 자세교정 유도 및 복부펌핑운동 기구
Zindahi et al. Posture alert system for prolonged neck flexion while using smart phones
KR102250162B1 (ko)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US20230367365A1 (en) Wearable pressure relief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