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231B1 - 동적 척추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동적 척추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231B1
KR102544231B1 KR1020210050058A KR20210050058A KR102544231B1 KR 102544231 B1 KR102544231 B1 KR 102544231B1 KR 1020210050058 A KR1020210050058 A KR 1020210050058A KR 20210050058 A KR20210050058 A KR 20210050058A KR 102544231 B1 KR102544231 B1 KR 102544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sensor
subject
sensing informa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3485A (ko
Inventor
주민욱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0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231B1/ko
Priority to PCT/KR2022/005458 priority patent/WO2022220641A1/ko
Publication of KR20220143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는, 피측정자의 신체에 배치되어 상기 피측정자의 척추 상의 제 1 지점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센서;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에 배치되어 상기 척추 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지점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센서 및 상기 제 1 센서의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제 2 센서의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의 상기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지점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적 척추 보조 장치{DYNAMIC SPINAL ORTHOSIS}
본 발명은 동적 척추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측정자의 척추가 정상적인 균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경추 질환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각종 모바일 기기의 보급과 관련이 있다. 무의식적으로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모바일 기기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앞쪽으로 C자형 곡선을 그려야 할 경추가 1자 또는 역C자형으로 변형되는 '거북목 증후군'이 유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뒷목과 어깨 결림,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한편, 척추가 정상적인 정렬을 보이지 않고 휘어지는 척추측만증 역시 많은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척추측만증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잘못된 자세도 주요한 원인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척추 관련 질환의 가장 좋은 예방 방법은 바른 자세이다. 바른 자세를 통해 척추외과학적으로 척추의 정상적인 균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척추에 무리를 주는 나쁜 자세들은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취해지므로 생활 속에서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종래 척추의 정상 균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척추 보조기가 선보이고 있으나 대부분 재활 치료 용도로 만들어진 것으로, 관절 운동 범위의 감소, 심리적 의존도 증가, 근육 및 연부조직 손상 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분석을 자세 교정에 활용하는 기술도 개발되었으나 카메라를 통한 영상 획득이 요구되므로 일상 생활 전반에 적용하기 곤란하며, 과도한 데이터 처리량, 시스템 리소스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자세 교정을 위한 기존의 수동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사용자에게 능동적인 자세 교정을 유도하면서도 일상 생활 속에서도 무리 없이 적용될 수 있는 능동적 보조기(dynamic orthosis)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10-2137445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자세분석 방법과 자세분석 시스템", 2020.07.20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세 교정을 위한 수동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능동적인 자세 교정을 유도하되 일상 생활 속에서도 무리 없이 적용될 수 있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측정자의 신체에 배치되어 상기 피측정자의 척추 상의 제 1 지점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센서;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에 배치되어 상기 척추 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지점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센서 및 상기 제 1 센서의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제 2 센서의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의 상기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지점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상기 제 2 지점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점은 상기 피측정자의 두개골 무게 중심, 제 1 내지 제 7 경추 가운데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피측정자의 제 1 내지 제 5 요추 및 천추 가운데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점은 상기 피측정자의 두개골 무게 중심이고,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피측정자의 제 1 천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기준은 2~8㎝에서 선택된 특정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피측정자의 좌측 및 우측 귀에 각각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피측정자의 좌측 및 우측 귀에 각각 삽입되는 이어폰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피측정자의 등, 허리 및 둔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는 센싱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는 관성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상기 제 2 지점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을 벗어난 경우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적 척추 보조 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알람 정보를 전달받아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측정자의 신체에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척추의 위치 정보를 통해 피측정자의 자세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의 제 1 센서 및 제2 센서의 배치와, 피측정자의 척추 상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의 예를 시상면 상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의 제 1 센서 및 제2 센서의 배치와, 피측정자의 척추 상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의 예를 관상면 상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를 통한 시상면 상에서의 피측정자의 자세 판단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를 통한 관상면 상에서의 피측정자의 자세 판단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도면 상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정하여진 상대적인 용어들로서 배향에 따라 위치 관계는 반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의 제 1 센서 및 제2 센서의 배치와, 피측정자의 척추 상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는 피측정자(100)의 척추 상의 제 1 지점(101) 및 제 2 지점(102)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피측정자(100)의 척추가 정상적인 균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해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에 의하면, 피측정자(100)의 자세를 쉽고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피측정자(100)의 능동적인 자세 교정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는, 제 1 센서(10), 제 2 센서(20), 제어부(30) 및 알람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센서(10)는 피측정자(100)의 신체에 배치되어 피측정자(100)의 척추 상의 제 1 지점(101)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생성한다. 제 1 센서(1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1 지점(101)은 두개골 무게 중심, 제 1 내지 제 7 경추 가운데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지점(101)은 피측정자(100)의 두개골 무게 중심이 될 수 있다.
제 2 센서(20)는 피측정자(100)의 신체에 배치되어 척추 상에서 제 1 지점(10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지점(102)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생성한다. 제 2 센서(2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2 지점(102)은 피측정자(100)의 제 1 내지 5 요추 및 천추 가운데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지점(102)은 피측정자(100)의 제 1 천추가 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 2 지점(102)은 피측정자(100)의 제 1 천추의 후상단(후상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서(10) 및 제 2 센서(20)는 관성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관성 센서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선형 가속도를 감지하고, 자이로 센서는 회전 속도를 감지한다. 또한, 지자기 센서는 참조로 사용되는 지구의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센서(10) 및 제 2 센서(20)가 관성 센서로 이루어질 경우, 제 1 센서(10) 및 제 2 센서(20)는 가속도, 자이로 및 지자기 센서를 통해 제 1 센서(10) 및 제 2 센서(20)의 진행 방향 및 위치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제 1 센서(10) 및 제 2 센서(20)가 피측정자(100)의 신체에 부착 등의 방법으로 특정 위치에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촬영된 엑스레이 등과 같은 자료를 근거로 제 1 센서(10)와 제 1 지점(101)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제 2 센서(20)와 제 2 지점(102)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센서(10)의 센싱 정보 및 제 2 센서(20)의 센싱 정보를 통해 제 1 지점(101)의 위치 정보 및 제 2 지점(102)의 위치 정보가 각각 얻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서(10)는 피측정자(100)의 좌측 및 우측 귀에 각각 삽입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센서(10)는 2개가 구비되며, 하나는 피측정자(100)의 좌측 귀에 삽입되고, 나머지 하나는 피측정자(100)의 우측 귀에 삽입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센서(10)는 피측정자(100)의 좌측 및 우측 귀에 각각 삽입되는 이어폰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센서(10)가 이어폰 상에 결합될 경우 피측정자(100)의 신체에 제 1 센서(10)가 용이하게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 1 센서(10)가 2개 이상 배치될 경우 복수 개의 제 1 센서(10)의 센싱 정보를 통해 제 1 지점(101)의 위치가 더욱 정밀하게 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지점(101)은 피측정자(100)의 두개골 무게 중심이 될 수 있다. 이때, 제 1 센서(10)와 두개골 무게 중심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사전에 결정되어 있음을 전제로 제 1 센서(10)의 센싱 정보를 통해 두개골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제 2 센서(20)는 피측정자(100)의 등, 허리 및 둔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센서(20)는 피측정자(100)의 후방 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지점(102)은 피측정자의 제 1 천추 후상극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센서(20)와 천추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사전에 결정되어 있음을 전제로 제 2 센서(20)의 센싱 정보를 통해 제 1 천추 후상극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서(10) 및 제 2 센서(20)는 자신들의 센싱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 bee) 등 공지의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물론, 제 1 센서(10) 및 제 2 센서(20)와 제어부(30) 사이의 연결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1 센서(10) 및 제 2 센서(20)는 제어부(3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제 1 센서(10)의 센싱 정보로부터 제 1 지점(101)의 위치를 산출하고, 제 2 센서(20)의 센싱 정보로부터 제 2 지점(102)의 위치를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시상면(sagittal plane) 또는 관상면(coronal plane) 상에서의 제 1 지점(101) 및 제 2 지점(102)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한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30)는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제 2 지점(102)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제 2 지점(102)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 이내인 경우 피측정자(100)가 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소정의 기준을 벗어날 경우 피측정자(100)의 자세가 바르지 못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 1 지점(101)이 피측정자(100)의 두개골의 무게 중심으로 설정되고 제 2 지점(102)이 피측정자(100)의 제 1 천추의 후상극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척추가 정상적인 균형 상태인 경우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제 2 지점(102) 사이의 거리는 특정값(예를 들면, 2~8cm 사이에서 선택된 거리) 이하가 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기준은 위 특정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기준은 의사의 의학적 소견,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위의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30)는 제 2 지점(102)이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상에 존재하거나 소정의 기준 이하로 떨어져 있는 경우 피측정자(100)의 척추는 균형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를 통한 피측정자의 자세 판단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시상면 상에서의 피측정자의 자세 판단을 나타내고 있고, 도 5는 관상면 상에서의 피측정자의 자세 판단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지점(101)이 피측정자(100)의 두개골 무게 중심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 2 지점(102)이 피측정자(100)의 제 1 천추 후상극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시상면 상에서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상에 제 2 지점(102)이 존재할 경우(도 4의 중앙), 제어부(30)는 피측정자(100)의 척추가 균형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시상면 상에서 제 2 지점(102)이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의 후방에 제 1 거리(d1) 떨어져 위치하는 경우(도 4의 좌측) 또는 제 2 지점(102)이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의 전방에 제 2 거리(d2) 떨어져 위치하는 경우(도 4의 우측) 제 1 거리(d1) 또는 제 2 거리(d2)가 소정의 기준을 벗어나 있다면, 제어부(30)는 피측정자(100)의 척추가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및 후방은 피측정자(100)의 신체를 기준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지점(101)이 피측정자(100)의 두개골 무게 중심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 2 지점(102)이 피측정자(100)의 제 1 천추 후상극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관상면 상에서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상에 제 2 지점(102)이 존재할 경우, 제어부(30)는 피측정자(100)의 척추가 균형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관상면 상에서 제 2 지점(102)이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의 좌측에 제 3 거리(d3) 떨어져 위치하는 경우 또는 제 2 지점(102)이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의 우측에 제 4 거리(d4) 떨어져 위치하는 경우 제 3 거리(d3) 또는 제 4 거리(d4)가 소정의 기준을 벗어나 있다면, 제어부(30)는 피측정자(100)의 척추가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및 우측은 피측정자(100)의 신체를 기준으로 한다.
제어부(30)는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제 2 지점(102)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을 벗어난 경우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0)에 의해 생성된 알람 정보는 알람부(40)로 전달되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알람을 통하여 피측정자(100)는 자신의 자세가 바르지 못함을 인식하게 되고, 의식적으로 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30)는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제 1 지점(101)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제 2 지점(102)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을 벗어난 시간 또는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피측정자(100)는 별도의 기기가 아닌 자신이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부(30)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척추 보조 장치의 활용 편의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제어부(30)가 피측정자(100)가 기존에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구현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어부(30)는 기존 모바일 단말기가 아닌 별도의 기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알람부(40)는 제어부(30)로부터 상기 알람 정보를 전달받아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때, 알람은 시각 정보, 촉각 정보 및 청각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람부(40)는 상기 시각 정보를 현출하는 디스플레이, 촉각 정보를 전달하는 진동부 및 상기 청각 정보를 재생하는 스피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40)는 제어부(30)와 단일한 기기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람부(40)도 제어부(30)와 마찬가지로 피측정자(100)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이에 의해 알람부(40)의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알람부(40)는 제어부(30)와 별개의 기기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알람부(40)는 피측정자(100)가 사용하는 이어폰 상에 배치되는 진동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제 1 센서 20: 제 2 센서
30: 제어부 40: 알람부

Claims (12)

  1. 피측정자의 신체에 배치되어 상기 피측정자의 척추 상의 제 1 지점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센서;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에 배치되어 상기 척추 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지점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센서 및
    상기 제 1 센서의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제 2 센서의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의 상기 제 1 지점 및 상기 제 2 지점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가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에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사전에 결정된 상기 제 1 센서와 상기 제 1 지점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 및 상기 제 2 센서와 상기 제 2 지점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센서의 센싱 정보 및 상기 제 2 센서의 센싱 정보를 통해 상기 제 1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2 지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상기 제 2 지점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 이내인지 판단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점은 상기 피측정자의 두개골 무게 중심, 제 1 내지 제 7 경추 가운데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피측정자의 제 1 내지 제 5 요추 및 천추 가운데 어느 하나인 동적 척추 보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점은 상기 피측정자의 두개골 무게 중심이고,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피측정자의 제 1 천추인 동적 척추 보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2~8㎝에서 선택된 특정값으로 설정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피측정자의 좌측 및 우측 귀에 각각 삽입 배치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피측정자의 좌측 및 우측 귀에 각각 삽입되는 이어폰 상에 결합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피측정자의 등, 허리 및 둔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는 센싱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는 관성 센서로 이루어지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상면 또는 관상면 상에서 상기 제 1 지점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상기 제 2 지점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을 벗어난 경우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알람 정보를 전달받아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동적 척추 보조 장치.
KR1020210050058A 2021-04-16 2021-04-16 동적 척추 보조 장치 KR102544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058A KR102544231B1 (ko) 2021-04-16 2021-04-16 동적 척추 보조 장치
PCT/KR2022/005458 WO2022220641A1 (ko) 2021-04-16 2022-04-15 동적 척추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058A KR102544231B1 (ko) 2021-04-16 2021-04-16 동적 척추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485A KR20220143485A (ko) 2022-10-25
KR102544231B1 true KR102544231B1 (ko) 2023-06-14

Family

ID=8364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058A KR102544231B1 (ko) 2021-04-16 2021-04-16 동적 척추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4231B1 (ko)
WO (1) WO2022220641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229B1 (ko) * 2010-06-10 2012-01-1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자세 교정 시스템
KR101724279B1 (ko) * 2015-04-30 2017-04-1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세교정 헤드셋 시스템
KR101995482B1 (ko) * 2017-03-10 2019-07-02 주식회사 비플렉스 보행 및 주행 모니터링을 위한 운동 인식 방법 및 장치
KR20180074868A (ko) * 2016-12-23 2018-07-04 주식회사 코엔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JP7003469B2 (ja) * 2017-07-14 2022-01-20 株式会社ニコン 姿勢を検出する検出装置、およびウェアラブル装置
KR102137445B1 (ko) 2020-03-26 2020-07-24 신규승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자세분석 방법과 자세분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485A (ko) 2022-10-25
WO2022220641A1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0414B1 (en) Gait monitor and method of monitoring gait of person
KR101831968B1 (ko) 자세 교정 웨어러블 이어폰 장치
KR101553585B1 (ko) 자세 교정 유도 시스템
KR20150072957A (ko) 자세 측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그에 따른 시스템
KR101043556B1 (ko) 척추 측만정도 측정시스템 및 방법
CN106580335B (zh) 颈部动度监测系统及监测方法
EP2747648A1 (en) A device for monitoring a user and a method for calibrating the device
US20170215769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cting the posture of the anatomy of a person
KR20160025864A (ko) 자세 검출 상의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검출 방법
US202401082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sture and movement regulation
KR101777391B1 (ko) 척추 관절가동범위 측정 방법
JP6263571B2 (ja) 着席式頸椎牽引装置及びその角度感知方法
KR20150064418A (ko)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976092B1 (ko) 둥근 어깨 자세를 교정하는 자세교정시스템
KR101105229B1 (ko) 휴대용 자세 교정 시스템
KR20170000092A (ko) 스마트 자세교정 시스템
KR20180074868A (ko)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44231B1 (ko) 동적 척추 보조 장치
KR20190018265A (ko) 자세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622332B1 (ko) 머리 흔들림과 위치를 조정하여 목과 자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KR20220109572A (ko) 스마트기기 연동형 착용식 자세교정 유도장치
TWI741409B (zh) 穿戴式姿態監控裝置及姿態監控方法
KR101947095B1 (ko)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EP3326518B1 (en) Wearable device for monitoring body posture
KR101738477B1 (ko) 머리 흔들림과 위치를 조정하여 목과 자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