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162B1 -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 Google Patents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162B1
KR102250162B1 KR1020190017117A KR20190017117A KR102250162B1 KR 102250162 B1 KR102250162 B1 KR 102250162B1 KR 1020190017117 A KR1020190017117 A KR 1020190017117A KR 20190017117 A KR20190017117 A KR 20190017117A KR 102250162 B1 KR102250162 B1 KR 102250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neck
head
prevention fun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9640A (ko
Inventor
서재용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017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1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2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4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with signalling or indicating means, e.g. of incorrect posture, for deep-breat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tactile sense, e.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83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especially for waking up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omet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Nursing (AREA)
  •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eur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양단부가 사용자의 귀에 각각 걸리도록 착용 되고 기저부는 상기 사용자의 뒷목의 일측에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와 상기 사용자의 어깨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제1측정부가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한 후, 상기 제1측정부와 다른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와 상기 제1측정부와 제2측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측정한 상기 머리의 기울기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오감에 의해 인지 가능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부와 상기 사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하악골과 가슴을 지지하여 경추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Turtle neck syndrome prevention and drowsiness prevention neck wearable apparatus}
본 발명은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추와 척추사이의 각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서, 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게 유도하는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장시간 책상에서 일하는 직장인들, 스마트폰 기기 사용이 많은 학생들을 비롯해 최근 현대인들의 목통증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VDT 증후군 이라는 새로운 현대병 용어가 등장했을 만큼, 모바일 기기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건강 장애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현대인들의 생활 깊숙이 침투되어 있는 상태이다. VDT 증후군이란 영상표시 단말기 증후군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컴퓨터 사용자들에게서 많이 발견되어 컴퓨터 단말기 증후군이라고도 칭하며, VDT란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CRT(음극관 표시기) 디스플레이 등 브라운관이 장착된 표시장치 전반을 지칭하는 말로 장기간에 걸쳐 VDT 작업을 수행하면 VDT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자외선, 방사선 등으로 인해 눈의 피로·따끔거림, 어깨 뭉침 등의 육체적 장해와 가슴이 답답하고 구토를 하는 등의 심리적장해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그 중 거북목 증후군이 가장 대표적인데, 거북목 증후군(Turtle Neck Syndrome)이란 눈높이보다 낮은 위치의 물체를 장시간 내려다보는 경우, 사람의 목이 거북의 목처럼 앞으로 구부러지는 증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모니터를 내려다보는 사람에게 주로 발생하며, 위와 같은 불완전한 환경에서 특이한 자세가 지속되어 척추에 부담이 가고, 목 근융과 인대가 늘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즉, 거북목 증후군은 고개를 든 채 목을 앞으로 쭉 뺀 상태에서 장시간 자세를 유지했을 때, 목뼈 정렬이 변형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 자세는 척추 윗부분에 스트레스가 더해지고, 목 뒷부분 근육과 인대가 늘어나 뒷목과 어깨가 결리는 통증을 동반하게 된다. 증상이 심해지면 뒤통수 아래 신경이 자극되어 두통과 수면장애, 안구통 등으로 연결되며 지속적인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격게 된다. 특히, 목은 허리 등에 비해 극육의 힘이 적어 상대적으로 무리가 가기 쉽고 추후에는 머리의 무게를 분산시키지 못하고 충격완화를 위한 디스크에 손상이 발생하여 경추 추간판 장애(목 디스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3931호에서는 의자에 앉은 사람의 자세를 바르게 하는 거북목 방지 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일단에서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후크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어깨걸이와, 상기 어깨걸이의 일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의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의자에 앉은 사람의 자세를 바르게 하는 거북목 방지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3931호는 사람 각각의 신체조건을 고려하지 않아 사이즈가 맞지 않는 경우 오히려 불안정한 자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올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3931호(2014.01.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경추와 척추사이의 각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거북목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는 자세가 일정시간 유지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진동을 통해 잘못된 자세라는 것을 알려줌으로서, 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게 유도하는 동시에 거북목 증후군 위험군의 생활특성상 발생하기 쉬운 경추기립근과 승모근의 경직을 해소할 수 있는 저주파 전기자극기를 포함하는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와 상기 사용자의 어깨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제1측정부가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한 후, 상기 제1측정부와 다른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와 상기 제1측정부와 제2측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측정한 상기 머리의 기울기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오감에 의해 인지 가능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부와 상기 사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하악골과 가슴을 지지하여 경추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견갑골과 후두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지면과 수직인 선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측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견갑골과 관자놀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지면과 수직인 선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측정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2측정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승모근 자극을 위한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측정부와 제2측정부의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저장한 후, 상기 측정값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거북목 여부와 거북목 진행단계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는, 사용자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상기 머리의 기울기 측정값이 기준 기울기값을 초과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자세를 인지하고, 올바른 자세로 변경하여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기울기를 각각 다른 기준으로 2회 측정함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 기울기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는, 상기 사용자가 졸음 등으로 인하여 의식이 없는 경우에 진동을 통해 의식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운전 중에 졸음 등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는, 경추 등의 피로에 의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승모근 자극을 위한 저주파발생부가 작동하여 경추 등의 피로를 풀어줌으로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는, 하악골과 가슴을 지지하여 경추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는, 지지부가 자력에 의해 결착되는 결합버클과 탄력밴드를 포함하여, 체결과 해제가 손쉽도록 사용자의 전면부만을 구속하여 답답함을 덜 수 있으며, 신체접촉부위는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여 트러블 제거 및 장시간의 착용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는, 전체 사용시간 중 잘못된 자세와 올바른 자세의 유지 시간을 측정하고 저장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착용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진동발생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진동발생부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진동발생부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진동발생부의 우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진동발생부의 하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저주파발생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저주파발생부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저주파발생부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저주파발생부의 우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저주파발생부의 하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지지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지지부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지지부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지지부의 우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지지부의 하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의 제1측정부와 제2측정부가 착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각도 및 기준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는,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머리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100)와 상기 사용자의 어깨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제1측정부(100)가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한 후, 상기 제1측정부(100)와 다른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200)와 상기 제1측정부(100)와 제2측정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측정한 상기 머리의 기울기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오감에 의해 인지 가능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부(300)와 상기 사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하악골과 가슴을 지지하여 경추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측정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제1측정부(100)는 사용자의 머리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1측정부(100)는 하기 진동발생부(320)의 기저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상기 제1측정부(100)의 일측에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제1기울기센서(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울기센서(110)는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측정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제2측정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어깨 일측에 부착되며, 상기 제1측정부(100)가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한 후, 상기 제1측정부(100)와 다른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측정부(100)는, 상기 사용자의 견갑골과 후두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지면과 수직인 선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측정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견갑골과 관자놀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지면과 수직인 선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즉, 상기 제2측정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의 상대적인 각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1측정부(100)와 다른 기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이다. 일례로, 도 18에 있어서 가로축을 x축(710), 세로축을 z축(720)으로 정의한다. 이때, 상기 제1측정부(100)가 측정하는 상기 사용자의 견갑골과 후두부의 연결선(730)이 상기 z축(720)과 이루는 각도를 θc7 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2측정부(200)가 측정하는 상기 사용자의 견갑골과 관자놀이의 연결선(740)이 상기 z축(720)과 이루는 각도를 θTemples 이라 정의하면, 상기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를 취할 경우, 상기 θTemples 가 상기 θc7 보다 더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θTemples 와 θc7 의 차이 값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 거북목을 유발할 수 있는 잘못된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머리 기울기를 각각 다른 기준으로 2회 측정함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 기울기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측정부(200)의 일측에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제2기울기센서(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울기센서(210)는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측정부(100)와 제2측정부(200)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측정부(100)와 제2측정부(200)가 측정한 값은 상기 출력부(300)와 하기 제어부(500) 및 외부기기로 전송되고 저장될 수 있다. 외부 기기란, 컴퓨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출력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출력부(300)는 상기 제1측정부(100)와 제2측정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측정한 상기 머리의 기울기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오감에 의해 인지 가능한 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출력부(300)는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출력부는 소리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30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출력부는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측정부(100)와 제2측정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측정한 상기 머리의 기울기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음향 출력부는 소리를 발생시켜 상기 사용자가 잘못된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시켜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측정부(100)와 제2측정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측정한 상기 머리의 기울기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영상 출력부는 영상을 스마트폰 등과 같은 기기에 전송시켜 상기 사용자가 잘못된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시켜 준다.
다음으로, 상기 출력부(300)는 상기 제2측정부(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측정부(200)가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승모근 자극을 위한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저주파발생부(310)는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저주파발생부(31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저주파발생부(310)가 상기 사용자의 어깨부근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부재가 마련된다. 상기 저주파발생부(310)의 내부 공간에는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소자가 구비되고, 필요한 경우 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저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평시에, 상기 저주파발생부(310)는 상기 제2측정부(200)가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다시 말하면, 경추 등의 피로에 의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승모근 자극을 위한 저주파발생부가 작동하여 경추 등의 피로를 풀어줌으로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측정부(200)가 상기 저주파발생부(310) 상부에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측정부(200)가 상기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도 상기 제2측정부(2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출력부(300)는 상기 제1측정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측정부(100)가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발생부(320)는 양단부가 사용자의 귀에 각각 걸리도록 형성되고, 기저부는 상기 사용자의 뒷목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착용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발생부(320)의 양단부는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양쪽 귀에 각각 걸리도록 구부러져 형성된다. 즉, 상기 진동발생부(320)의 양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귀와 머리 사이의 공간에 안착될 수 있도록 곡선을 그리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발생부(320)의 양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귀와 머리 사이의 공간에 안착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얇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320)의 기저부는 상기 진동발생부(320)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뒷목과 머리의 경계부분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진동발생부(320)는 상기 제1측정부(100)가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다시 말하면, 상기 사용자가 졸음 등으로 인하여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진동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졸음 등으로 인하여 의식이 없는 경우에 진동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의식을 회복시켜 특히, 운전 중에 졸음 등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측정부(100)가 상기 진동발생부(320)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측정부(100)가 상기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도 상기 제1측정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주파발생부(310)와 진동발생부(320)의 일측에는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USB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400)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사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하악골과 가슴을 지지하여 경추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킨다. 즉, 상기 지지부(400)의 상측은 상기 사용자의 하악골과 접촉되도록 원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지지부(400)의 하측은 상기 사용자의 가슴에 접촉되도록 기울어져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 머리 무게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경추에 걸리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지지부(4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400)의 착용 시, 자력에 의해 정위치로 결착되는 결합버클(410)을 포함한다. 즉, 상기 결합버클(410)은 자력에 의해 정위치로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횡 방향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결합버클(420)의 해제 시 종 방향으로 회전시켜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지지부(400)가 자력에 의해 결착되는 상기 결합버클(410)과 탄력밴드를 포함하여, 체결과 해제가 손쉽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의 전면부만을 구속하여 답답함을 덜 수 있으며, 신체접촉부위는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여 트러블 제거 및 장시간의 착용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400)는 버튼(420)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420)은 회전 시, 상기 지지부(400)의 상측과 상기 지지부(400)의 하측을 이격시키거나 접촉시킴으로서, 상기 지지부(400)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측정부(100)와 제2측정부(200)의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저장한 후, 상기 측정값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거북목 여부와 거북목 진행단계를 판별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출력부(3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판별된 상기 사용자의 거북목 여부와 거북목 진행단계를 상기 출력부(300)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거북목 여부와 거북목 진행단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출력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잘못된 자세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소리나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출력부(3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 또는 스트레칭을 유도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사용자의 자세 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스마트폰 앱 등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1측정부
110 : 제1기울기센서
200 : 제2측정부
210 : 제2기울기센서
300 : 출력부
310 : 저주파발생부
320 : 진동발생부
400 : 지지부
410 : 결합버클
420 : 버튼
500 : 제어부
710 : x축
720 : z축
730 : 견갑골과 후두부의 연결선
740 : 견갑골과 관자놀이의 연결선

Claims (5)

  1. 사용자의 머리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
    상기 사용자의 어깨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제1측정부가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한 후, 상기 제1측정부와 다른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
    상기 제1측정부와 제2측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측정한 상기 머리의 기울기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오감에 의해 인지 가능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하악골과 가슴을 지지하여 경추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견갑골과 후두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지면과 수직인 선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측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견갑골과 관자놀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지면과 수직인 선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측정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2측정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기울기 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승모근 자극을 위한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부와 제2측정부의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저장한 후, 상기 측정값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거북목 여부와 거북목 진행단계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5. 삭제
KR1020190017117A 2019-02-14 2019-02-14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KR102250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117A KR102250162B1 (ko) 2019-02-14 2019-02-14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117A KR102250162B1 (ko) 2019-02-14 2019-02-14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640A KR20200099640A (ko) 2020-08-25
KR102250162B1 true KR102250162B1 (ko) 2021-05-11

Family

ID=7224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117A KR102250162B1 (ko) 2019-02-14 2019-02-14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1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745B1 (ko) 2013-05-08 2015-01-12 정용준 거북목증후군 교정장치
KR101713300B1 (ko) 2015-10-19 2017-03-07 (주)나무 목 자세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167B1 (ko) 2012-07-02 2014-06-03 이후장 거북목 방지 장치
WO2016175347A2 (ko) * 2015-04-28 2016-11-03 양동규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
KR101837261B1 (ko) * 2016-01-22 2018-03-12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기기와 연동하는 거북목 감지장치를 통한 거북목 교정 시스템
KR20180132466A (ko) * 2017-06-03 2018-12-12 배철훈 목걸이형 거북목 증후군 교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745B1 (ko) 2013-05-08 2015-01-12 정용준 거북목증후군 교정장치
KR101713300B1 (ko) 2015-10-19 2017-03-07 (주)나무 목 자세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640A (ko)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ong et al. Correlation between head posture and proprioceptive function in the cervical region
KR101183580B1 (ko) 스마트기기 연동형 착용식 자세교정 유도장치
KR101614621B1 (ko) 체형교정 건강베개
US20180228403A1 (en) Wearable aparatus for monitoring head postur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652437B1 (ko) 실시간 자세 교정 방석 및 의자
KR20200001328A (ko)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EP3760170A1 (en) Device for real-time monitoring and active postural autocorrection
JP7075157B2 (ja) 視覚情報変更装置、プリズム眼鏡、およびプリズム眼鏡におけるレンズの選定方法
KR102250162B1 (ko)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US6827694B2 (en) Posture training device
WO2016060344A1 (ko) 머리 흔들림과 위치를 조정하여 목과 자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Kim et al. The effect of applying a head-weight device on cervical angle and pain of neck muscles
CN112294517A (zh) 颈戴式视距维持设备、方法和颈托装置及其调节方法
KR101622332B1 (ko) 머리 흔들림과 위치를 조정하여 목과 자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EP3273295A1 (en) Glasses for aligning the cervical vertebrae
US20230043160A1 (en) Balance compensating device, body center measuring apparatus, balance compensation system, and balance compensation method
Xu et al. The Effect of postural correction and visual feedback on muscle activity and head position change during overhead arm lift test in subjects with forward head posture
KR102035811B1 (ko) 자세 교정 장치
KR101872741B1 (ko)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
CN210811809U (zh) 一种身姿矫正系统
CN112068113A (zh) 姿势矫正系统及其矫正方法
KR20170004273U (ko) 착용식 척추보호장치
KR20190087754A (ko) 이중 체결 방식을 갖는 자세교정벨트
US20210030580A1 (en) Bio-engineered wearable device for promoting healthy cervical spinal posture and muscle memory while limiting concerns over musculoskeletal development in both children and adults when using handheld electronic media devices
KR102544231B1 (ko) 동적 척추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