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328A -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328A
KR20200001328A KR1020180074148A KR20180074148A KR20200001328A KR 20200001328 A KR20200001328 A KR 20200001328A KR 1020180074148 A KR1020180074148 A KR 1020180074148A KR 20180074148 A KR20180074148 A KR 20180074148A KR 20200001328 A KR20200001328 A KR 20200001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earable device
shoulder
ring
comparis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현
Original Assignee
이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현 filed Critical 이재현
Priority to KR102018007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328A/ko
Publication of KR20200001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1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angles, e.g. using goni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신체의 어깨, 날개죽지, 척추 부분을 감싸도록 제작되는 웨어러블장치; 상기 웨어러블장치에 구비되는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를 포함하여 상반신의 기울기와 가속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센서부; 상기 웨어러블장치를 사용자가 착장할 시, 척추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웨어러블장치에 내장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된 실시간 측정 데이터를 기 저장된 다양한 인체 스캔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모듈장치 및 상기 센서부 및 비교모듈장치와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자세교정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Posture correction help system}
본 발명은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착장할 수 있도록 주요위치에 센서들이 구비된 웨어러블장치와 사용자단말로 자세에 대한 분석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척추는 신체구성에 있어 상반신과 하반신을 연결하는 가장 기본적인 관절구간으로 보행등 신체 활동시 요구되는 균형이나 지지력을 제공하는 등에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뇌에서 신체 각 부위로 연결되는 신경이 집중되는 중추신경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척추는 이상적 자세(ideal position)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일상생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많은 시간을 의자 및 바닥에 앉은 상태로 보내야 하므로 이와 같은 앉은 자세에서, 특히 장시간 시간이 경과 될 때에는 허리부위가 후방으로 만곡되는 상태, 즉 상체가 전방으로 향하고 허리부위가 후방으로 휘어지는 좋지 않은 형태로 유지되어 척추관절이 점차로 변형되면서 자세의 기형 및 각종 척추질환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2650'이 제시되었으나, 사용자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상기 질병에 대한 예방효과는 현저하게 낮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착장할 수 있도록 주요위치에 센서들이 구비된 웨어러블장치와 사용자단말로 자세에 대한 분석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신체의 어깨, 날개죽지, 척추 부분을 감싸도록 제작되는 웨어러블장치; 상기 웨어러블장치에 구비되는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를 포함하여 상반신의 기울기와 가속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센서부; 상기 웨어러블장치를 사용자가 착장할 시, 척추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웨어러블장치에 내장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된 실시간 측정 데이터를 기 저장된 다양한 인체 스캔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모듈장치 및 상기 센서부 및 비교모듈장치와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자세교정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장치는, 사용자의 날개죽지와 척추 부분을 후방에서 감싸는 날개고정부; 상기 날개고정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를 고정하도록 어깨둘레를 감싸는 어깨고정부 및 상기 비교모듈장치를 구비할 수 있도록, 상기 날개고정부 후방에 구비되는 비교모듈보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고정부는, 우측 어깨에 위치하는 제1 고리부; 좌측 어깨에 위치하는 제2 고리부 및 상기 제1 고리부와 제2 고리부의 고리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당김부 및 상기 제1 고리부, 제2 고리부 하단과 당김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왈자고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날개죽지와 척추 부분에 상기 날개고정부가 고정되도록 소매듭 원리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당김부 조절 후에는 당김부 끝단이 벨크로 형식으로 제1 고리부 또는 제2 고리부 일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깨고정부는, 사용자가 어깨고정부 착장 시,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날개고정부 상단에 분리/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와 버클형식으로 결합되며, 사용자가 어깨고정부 착장 시,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제2 결합부와 같은 위치에 위치하되, 상기 날개고정부 상단 또는 하단에 분리/결합되며, 왈자고리가 구비되어 이를 이용해 길이가변이 가능한 제3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장치는,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사용자가 웨어러블장치 착장 시, 상기 어깨고정부 전방 일측에 상단이 개방된 주머니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수납몸체; 상기 수납몸체 내측 전후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형성되는 지퍼라인 및 상기 지퍼라인에 삽입되어 상하동작을 통해 공간을 분리해주는 지퍼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모듈장치는, 사용자의 척추 부분에 위치함에 따라 척추에 닿는 중심이 만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장치에 내장되는 비교모듈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외측면에 구비되는 경도 20 내지 30의 실리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은 사용자의 착용이 간편한 형태의 자세유도 기능을 가진 웨어러블장치와 각 주요위치의 센서를 통하여 자세가 변경되었을 경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주는 것으로 능동적으로 자세 교정에 참여하여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자세개선에 도움이 된다.
또한, 자세 개선을 통해 치료의 개념뿐만 아닌 예방의 개념으로 제품의 기능성 확대되었다.
또한,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자세의 움직임을 수치화 하며 그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앱 연동을 통하여 잘못된 자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자세개선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자세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일체형 모듈과 쉽게 착용할 수 있어 어깨와 허리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장치의 어깨고정부 동작을 도시한 동작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의 (a) 내지 (d)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장치의 어깨고정부 결합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웨어러블장치에 수납부를 추가하였을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납부의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사용자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도시한 화면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의 모니터링은 어플리케이션(또는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스마트 폰 및 PC를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장치의 어깨고정부 동작을 도시한 동작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은 웨어러블장치(100), 센서부(200), 비교모듈장치(300) 및 사용자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장치(100)는 가방과 같이 메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착장할 수 있다.
즉, 자세 교정에 도움되는 것으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웨어러블장치(100)에 구비되는 자이로센서(201)와 가속도센서(202)를 포함하여 웨어러블장치(100)를 착장한 사용자 상반신의 기울기와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자이로센서(201)는 사용자가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가속도센서는 자세의 움직임을 수치화할 수 있도록 감지할 수 있다.
상기의 자이로센서(201)는 흐트러질 때 변화가 큰 척추나 어깨부위에 위치하도록 비교모듈장치(300)과 동일한 곳에 구비될 수 있고, 가속도센서(202)도 마찬가지로 자이로센서(201)와 같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비교모듈장치(300)는 웨어러블장치(100)를 사용자가 착장할 시, 척추 부분에 위치하도록 웨어러블장치(100)에 내장되며, 센서부(200)로부터 전송된 실시간 측정 데이터를 기 저장된 다양한 인체 스캔정보와 비교할 수 있는 각종 회로나 통신부가 모듈화되어 내장되어 있는 하우징이다.
상기의 비교모듈장치(300)의 외형은 사용자의 척추 부분에 위치함에 따라 척추에 닿는 일면이 웨어러블장치(100)를 착장할 경우 사용자의 척추부분에 닿는 곳이 만곡된 것과 같이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장치(100)에 내장되는 비교모듈장치(300)를 보호하기 위해 비교모듈장치(300) 외측면에 구비되는 경도 20 내지 30의 몰드인 실리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도 20미만의 경우에는 피부와 유사한 연질을 띄고 있어 비교모듈장치(300)를 보호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고, 3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보다 단단함이 커서 오히려 착장 시 척추 측에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비교모듈장치(30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실리콘부재도 비교모듈장치(300)의 상면 하면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기 저장된 인체 스캔정보는 체형별(체중, 키, 나이, 근육량, 체지방량, 직업 등)로 등록된 정보이다.
즉,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본인의 체형에 관해 사용자단말(400)을 통해 설치된 앱에 입력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모듈장치(300)과 연동되어 센서부(200)로 측정된 값과 기 저장된 인체 스캔정보와 비교한 값이 도출되어 사용자 자세에 대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400)에 구비되는 스피커를 통해서 경고음이나 보완자세 요구 정보가 출력될 수 있고, 또는 화면으로도 출력될 수 있다.
상기의 보완자세 요구 정보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사용자 자세에 대한 평가내용이며, 좋지 않은 평가가 나올 시에는 평가내용에 따라 올바른 자세 교정방법(예: 한쪽 어깨를 올리시오. 또는 허리를 펴시오.)에 대한 내용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체형에 가장 적합한 자세를 제시하여 잘못된 자세로 인한 척추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의 사용자단말(400)의 앱과 비교모듈장치(300)의 연동은 무선통신으로 연동될 수 있다.
화면예시 도 8에서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연결전과 연결후로 나누어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무선통신 방법에 있어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장치(100)는 날개고정부(110), 어깨고정부(121) 및 비교모듈보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고정부(110)는 사용자의 날개죽지와 척추 부분을 후방에서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날개고정부(110)는 상기 비교모듈장치(300)의 구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인체의 신체구조상 척추부분이 들어가 있는 데 이와 대응되도록 척추와 닿는 부분이 움푹 패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어깨고정부(121)는 날개고정부(110)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를 고정하도록 양쪽 어깨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어깨고정부(121)는 신축성이 좋은 재질인 밴드와 패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고정부(121)는 우측 어깨에 위치하는 제1 고리부(121a), 좌측 어깨에 위치하는 제2 고리부(121b), 제1 고리부(121a)와 제2 고리부(121b)의 고리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당김부(121c) 및 왈자고리(121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고정부(121)는 사용자의 날개죽지와 척추 부분에 상기 날개고정부(110)가 고정되도록 소매듭 원리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당김부(121c) 조절 후에는 당김부(121c) 끝단이 벨크로(121d) 형식으로 제1 고리부(121a) 또는 제2 고리부(121b) 일측에 형성된 벨크로(121d)와 부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고정부(121)는 소매듭 원리를 사용하여 사용자 손을 뒤로하여 늘어뜨려져 있는 당김부(121c)를 일측으로 잡아당기면서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맞게 제1 고리부(121a)와 제2 고리부(121b)를 동시에 조여줄 수 있도록 각각의 제1 고리부(121a) 및 제2 고리부(121b)와 연결되어 있는 어깨고정부(121)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자세가 올바르게 유지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리부(121a)와 제2 고리부(121b)는 왈자고리(121e)를 이용해 동시에 조여질 수 있도록 당김부(121c)와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당김부(121c) 동작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단이 제1 고리부(121a)와 연결되는 당김부(121c)가 날개고정부(110)의 하단을 관통하여 제2 고리부(121b)에 구비되는 왈자고리(121e)와 연결되고, 왈자고리(121e)와 연결된 당김부(12c) 타단은 다시 날개고정부(110)하단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면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사이즈가 조절되게 되고, 타단이 제1 고리부(121a)에 구비되는 벨크로(121d)와 부착되어 사이즈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의 당김부(121c)는 제1 고리부(121a)에 구비되는 밸크로(121d)에 안착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어떠한 손을 더 많이 사용하는 지(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비교모듈보관부(130)는 비교모듈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도록, 날개고정부(110)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비교모듈장치(3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방된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잠금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잠금부(미도시)는 상측 전후측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석을 더 구비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의 (a) 내지 (d)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장치의 어깨고정부 결합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장치(10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고정부(110), 어깨고정부(122) 및 비교모듈보관부(130)와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고정부(121)와는 조절하는 방식과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것을 제외한 다른 날개고정부(110)와 비교모듈보관부(130)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깨고정부(122)는 사용자가 어깨고정부(122) 착장 시, 후방에 위치하며, 날개고정부(110) 상단에 분리/결합되는 제1 결합부(122a), 제1 결합부(122a)와 버클(122d)형식으로 결합되며, 사용자가 어깨고정부(122) 착장 시,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결합부(122b) 및 상기 제1 결합부(122a) 또는 제2 결합부(122b)와 같은 위치에 위치하되, 상기 날개고정부(110) 상단 또는 하단에 분리/결합되며, 왈자고리(122e)가 구비되어 이를 이용해 길이가변이 가능한 제3 결합부(122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122a)와 제2 결합부(122b)는 길이가 가변되지 않는 형태로 구비되어 각각 제1 결합부(122a) 또는 제2 결합부(122b)와 결합되는 구조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의 제1 결합부(122a)의 일단은 날개고정부(110) 상단에 버클(122d)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고, 타단은 제2 결합부(122b)와 버클(122d)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양단이 버클(122d)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의 제2 결합부(122b)의 일단은 날개고정부(110)의 하단에 버클(122d)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122a)와 제2 결합부(122b)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예:밴드)로 구비되어 기성화된 체형을 벗어나지 않는 신체를 갖은 사용자의 신체에 잘 맞을 수 있다.
그러나, 제1 결합부(122a) 또는 제2 결합부(122b)로는 기성화된 신체를 가진 사용자만이 적용 가능하므로 불편할 수 가 있어, 제3 결합부(122c)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5의 (b)와 (c)를 참조하면, 상기의 제3 결합부(122c)는 제1 결합부(122a) 또는 제2 결합부(122b)와 같은 위치에 위치하되, 상기 날개고정부(110) 상단 또는 하단에 분리/결합되며, 왈자고리(122e)가 구비되어 이를 이용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날개고정부(110) 상단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불편할 경우 길이가변이 가능한 제3 결합부(122c)를 제1 결합부(122a) 분리한 후, 그 위치에 위치하도록 결합시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날개고정부(110) 하단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불편할 경우 길이가변이 가능한 제3 결합부(122c)를 제2 결합부(122b) 분리한 후, 그 위치에 위치하도록 결합시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d)를 참조하면 날개고정부(110) 상하단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불편할 경우 길이가변이 가능한 제3 결합부(122c)를 각각 상단, 하단에 결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의 제3 결합부(122c)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왈자고리(122e)를 이용해 각각 원하는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으면서 자세가 올바르게 유지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웨어러블장치에 수납부를 추가하였을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납부의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웨어러블장치(100)는 수납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장치(100)의 어깨고정부(121) 전방에 구비되는 것만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수납부(50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장치(101)의 어깨고정부(122) 전방에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수납부(500)는 가방과 같은 형태로 메는 방식을 적용하여 야외에서 활동 시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있어 야외 활동 또는 이동할 시 편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납부(50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장치(100) 착장 시, 상기 어깨고정부 전방 일측에 상단이 개방된 주머니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수납몸체(510), 상기 수납몸체(510) 내측 전후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형성되는 지퍼라인(520) 및 상기 지퍼라인(520)에 삽입되어 상하동작을 통해 공간을 분리해주는 지퍼고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수납몸체(510)의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비교모듈보관부(130)와 동일하게 상측이 개방된 주머니 형태일 수 있으나, 어깨고정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크기는 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지퍼라인(520)은 수납몸체(510) 내측 전후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납몸체(510) 후면은 어깨고정부가 맞닿는 부분에 해당하며 제2 지퍼라인(520b)이 형성되고,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지퍼라인(520a)과 지퍼고리(530)를 이용해 맞물려져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몸체(510)의 내부는 공간이 나누어질 수 있어 여러가지 작은 물건을 구분 지어 수납할 수 있어 찾거나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큰 물건일 경우에는 지러파인(520)이 맞물리도록 한 지퍼고리(530)를 하측방향에서 상측방향으로 올려 이탈시켜 수납공간(P)을 넓혀줄 수도 있다.
이때, 지퍼고리(530)는 이탈되어 따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수납부(500)는 어깨고정부 전방에 위치함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면에는 미도시 처리하였으나, 날개고정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가스를 채울 수 있도록 하는 팽창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날개고정부(110) 일측에 소형으로 구비되며, 사용자단말(400)과 연동되는 가스캡슐, 가스캡슐로부터 전달되는 가스를 날개고정부(110) 내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스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가스캡슐은 이산화탄소 가스가 들어 있으며, 사용자단말(400)과 연동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날개고정부(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가스 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비교모듈보관부(130)의 위치를 제외한 부분에만 가스가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팽창부의 구성들을 이용해 가스팽창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날개고정부(110)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여 엠보싱 효과를 줄 수 있다.
따라서, 딱딱한 소재의 의자에 기댈 시에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안마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은 사용자의 착용이 간편한 형태의 자세유도 기능을 가진 웨어러블장치와 각 주요위치의 센서를 통하여 자세가 변경되었을 경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주는 것으로 능동적으로 자세 교정에 참여하여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자세개선에 도움이 된다.
또한, 자세 개선을 통해 치료의 개념뿐만 아닌 예방의 개념으로 제품의 기능성 확대되었다.
또한,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자세의 움직임을 수치화 하며 그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앱 연동을 통하여 잘못된 자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자세개선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자세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일체형 모듈과 쉽게 착용할 수 있어 어깨와 허리를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100, 101 : 웨어러블장치
110 : 날개고정부
121, 122 : 어깨고정부
121a : 제1 고리부
121b : 제2 고리부
121c : 당김부
121d : 벨크로
122a : 제1 결합부
122b : 제2 결합부
122c : 제3 결합부
122d : 버클
121e, 122e : 왈자고리
130 : 비교모듈보관부
200 : 센서부
201 : 자이로센서
202 : 가속도센서
300 : 비교모듈장치
400 : 사용자단말
500 : 수납부
510 : 수납몸체
520 : 지퍼라인
520a : 제1 지퍼라인
520b : 제2 지퍼라인
530 : 지퍼고리
P : 수납공간

Claims (8)

  1. 사용자 신체의 어깨, 날개죽지, 척추 부분을 감싸도록 제작되는 웨어러블장치;
    상기 웨어러블장치에 구비되는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를 포함하여 상반신의 기울기와 가속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센서부;
    상기 웨어러블장치를 사용자가 착장할 시, 척추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웨어러블장치에 내장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된 실시간 측정 데이터를 기 저장된 다양한 인체 스캔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모듈장치 및
    상기 센서부 및 비교모듈장치와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자세교정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는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장치는,
    사용자의 날개죽지와 척추 부분을 후방에서 감싸는 날개고정부;
    상기 날개고정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를 고정하도록 어깨둘레를 감싸는 어깨고정부 및
    상기 비교모듈장치를 구비할 수 있도록, 상기 날개고정부 후방에 구비되는 비교모듈보관부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고정부는,
    우측 어깨에 위치하는 제1 고리부;
    좌측 어깨에 위치하는 제2 고리부;
    상기 제1 고리부와 제2 고리부의 고리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당김부 및
    상기 제1 고리부, 제2 고리부 하단과 당김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왈자고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날개죽지와 척추 부분에 상기 날개고정부가 고정되도록 소매듭 원리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 조절 후에는 당김부 끝단이 벨크로 형식으로 제1 고리부 또는 제2 고리부 일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고정부는,
    사용자가 어깨고정부 착장 시,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날개고정부 상단에 분리/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와 버클형식으로 결합되며, 사용자가 어깨고정부 착장 시,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제2 결합부와 같은 위치에 위치하되, 상기 날개고정부 상단 또는 하단에 분리/결합되며, 왈자고리가 구비되어 이를 이용해 길이가변이 가능한 제3 결합부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장치는,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사용자가 웨어러블장치 착장 시, 상기 어깨고정부 전방 일측에 상단이 개방된 주머니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수납몸체;
    상기 수납몸체 내측 전후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형성되는 지퍼라인 및
    상기 지퍼라인에 삽입되어 상하동작을 통해 공간을 분리해주는 지퍼고리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모듈장치는,
    사용자의 척추 부분에 위치함에 따라 척추에 닿는 중심이 만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장치에 내장되는 비교모듈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외측면에 구비되는 경도 20 내지 30의 실리콘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KR1020180074148A 2018-06-27 2018-06-27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KR20200001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148A KR20200001328A (ko) 2018-06-27 2018-06-27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148A KR20200001328A (ko) 2018-06-27 2018-06-27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28A true KR20200001328A (ko) 2020-01-06

Family

ID=6915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148A KR20200001328A (ko) 2018-06-27 2018-06-27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32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646B1 (ko) * 2021-04-14 2021-09-15 지미경 척추측만증을 예측 및 진단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014977A1 (ko) * 2020-07-13 2022-01-20 지미경 질병 예측 및 진단 방법 및 장치
KR20220085445A (ko) * 2020-12-15 2022-06-22 주식회사 세노컴퍼니 자세교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6773A (ko) * 2020-12-16 2022-06-2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교정 방법
KR20230031088A (ko) * 2021-08-26 2023-03-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불균형 예방 및 교정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977A1 (ko) * 2020-07-13 2022-01-20 지미경 질병 예측 및 진단 방법 및 장치
KR20220085445A (ko) * 2020-12-15 2022-06-22 주식회사 세노컴퍼니 자세교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6773A (ko) * 2020-12-16 2022-06-2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교정 방법
KR102302646B1 (ko) * 2021-04-14 2021-09-15 지미경 척추측만증을 예측 및 진단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31088A (ko) * 2021-08-26 2023-03-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불균형 예방 및 교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1328A (ko) 자세 교정도움 시스템
KR101614621B1 (ko) 체형교정 건강베개
KR101183580B1 (ko) 스마트기기 연동형 착용식 자세교정 유도장치
US11497433B2 (en) Balance compensating device, body center measuring apparatus, balance compensation system, and balance compensation method
US20120324946A1 (en) Posture Necklace and Method of Maintaining Proper Posture
KR101652437B1 (ko) 실시간 자세 교정 방석 및 의자
US9756968B1 (en) Head-neck posture device
WO2017086798A1 (en) Measuring system, measuring device and watch
CN106999101A (zh) 用于检测人体姿势的设备和方法
KR101777391B1 (ko) 척추 관절가동범위 측정 방법
CN107495705A (zh) 一种多功能坐姿矫正二联垫
KR20190104085A (ko) 자세 측정에 기반한 걸음 제안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84556A (ko) 신체부위에 대응하여 다른 경도와 탄성을 갖는 매트리스
US20230043160A1 (en) Balance compensating device, body center measuring apparatus, balance compensation system, and balance compensation method
WO2017075660A1 (en) An apparel arrangement
KR101622332B1 (ko) 머리 흔들림과 위치를 조정하여 목과 자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KR102155188B1 (ko) 보행중인 착용자의 골반 교정 벨트
KR20160048617A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앉은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50876B1 (ko) 허리교정용 쪼끼구조
TW201517859A (zh) 脊椎矯正裝置及方法
CN112674761A (zh) 一种人体深感觉平衡能力的检测系统和方法
KR102250162B1 (ko)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US20220142804A1 (en) Posture correction brace
KR20180097042A (ko) 경추 견인장치
KR200474245Y1 (ko) 척추 교정과 허리 통증 완화용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