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300B1 - 목 자세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목 자세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300B1
KR101713300B1 KR1020150145387A KR20150145387A KR101713300B1 KR 101713300 B1 KR101713300 B1 KR 101713300B1 KR 1020150145387 A KR1020150145387 A KR 1020150145387A KR 20150145387 A KR20150145387 A KR 20150145387A KR 101713300 B1 KR101713300 B1 KR 101713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user
neck posture
unit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소연
배규진
김영훈
이재현
Original Assignee
(주)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무 filed Critical (주)나무
Priority to KR1020150145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300B1/ko
Priority to PCT/KR2016/011772 priority patent/WO201706951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1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angles, e.g. using goni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23Magnetic field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사용자의 목의 자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목 자세 측정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뒷목에 접촉되어 상기 사용자의 목 자세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가 상기 사용자의 뒷목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목 또는 후두부에 착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부는 상기 안착부와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 자세 측정 장치{Neck posture sensing apparatus}
목 자세 측정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목의 자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목 자세 측정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스마트 기기의 사용으로 인한 목과 어깨의 만성적 통증이 관련질환의 위험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스마트 기기 속의 텍스트를 보기 위해 고개를 숙이거나 목을 길게 빼는 경우, 성인의 목에는 대략 27kg의 무게가 추가로 가해지게 된다. 이처럼 목에 가해지는 무게 및 압력으로 인해 경추 형태에 이상이 생기고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거북목(turtle neck) 증후군 또는 텍스트넥(text neck) 증후군이라 한다.
거북목 증후군이나 텍스트넥 증후군 등과 같이, 척추의 자연스러운 굴곡을 잃게 되는 경우, 시간이 흐르면서 척추에는 더 많은 압박이 가해지게 되고, 목디스크, 척추의 조기 마모, 손상, 퇴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하면 수술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유함으로써, 거북목 증후군이나 텍스트넥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5-0072957 (발명의 명칭: 자세 측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그에 따른 시스템; 공개일자 2015년 6월 30일)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목 자세 측정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뒷목에 접촉되어 상기 사용자의 목 자세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가 상기 사용자의 뒷목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목 또는 후두부에 착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부는 상기 안착부와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측정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들 중에서 상기 안착홈과 마주보는 면이 상기 안착홈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측정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들 중에서 상기 면이 상기 안착홈과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의 목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목 자세 측정 결과에 따른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목 자세 측정 결과를 스마트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기 저장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신호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거나 상기 목 자세 측정 결과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각속도 센서, 자기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알림 신호를 광학적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발광 소자, 상기 알림 신호를 청각적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알림 신호를 촉각적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진동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 자세 측정 결과의 전송 방식, 전송 주기, 상기 알림 신호의 출력 조건, 상기 알림 신호의 출력 방식, 상기 스마트 장치에서의 상기 목 자세 측정 결과 출력 방식 및 상기 스마트 장치에서의 알림 신호 출력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장치는 상기 목 자세 측정 결과를 숫자,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시한다.
상기 스마트 장치는 상기 목 자세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경추 측면도, 상기 목 자세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경추의 전방 기울기 및 목 자세 교정과 관련된 메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스마트 장치는 상기 목 자세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경추 측면도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거나, 광학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출력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착부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의 둘레 일부나 목의 둘레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되, 소정 무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착부의 아래쪽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 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의 고개가 숙여지더라도 상기 측정부와 상기 뒷목 간의 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 부재로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부는 강성 재질로 만들어지되, 상기 연결부와 상기 체결부가 만나는 부분에는 상기 사용자의 고개가 숙여지더라도 상기 측정부와 상기 뒷목 간의 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 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목 자세 측정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목 또는 후두부로부터 착용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었던 상기 측정부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축 상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방법은 사용자의 뒷목에 접촉되어 상기 사용자의 목 자세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가 안착된 안착부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가 상기 사용자의 뒷목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목 또는 후두부에 착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부는 상기 안착부와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목 자세 측정 장치의 목 자세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목 자세 측정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목 자세를 측정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목 자세 측정 결과에 따른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목 자세가 측정되면, 목 자세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가 목 자세 측정 장치를 통해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목 자세가 측정되면, 목 자세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경추 측면도가 스마트 장치를 통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목 자세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의 일부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의 측정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의 측정부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사용자의 목 자세가 기준 자세와 일치하는 경우, 스마트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자의 목 자세가 기준 자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스마트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의 착용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의 착용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출입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시스템(1)은 목 자세 측정 장치(100) 및 스마트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목 자세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목 자세를 측정한다. 목 자세는 예를 들어, 경추(頸椎)의 전방 기울기를 의미한다. 목 자세 측정 장치(100)는 측정 결과를 사용자의 스마트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측정 결과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 결과를 전송하기에 앞서, 목 자세 측정 장치(100)와 스마트 장치(200) 간에는 페어링(pairing) 과정이 수행된다. 페어링은 스마트 장치(200)의 기기 정보를 목 자세 측정 장치(100)에 등록하고,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기기 정보를 스마트 장치(200)에 등록하는 절차를 말한다. 두 장치(100, 200) 간에 페어링이 완료되면, 두 장치(100, 200) 간에는 무선으로 데이터가 교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측정 결과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 장치 간의 페어링 과정은 생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 자세 측정 장치(100)는 안착부(도 2의 101 참조), 고정부(도 2의 102L 및 102R 참조, 이하, 102L 및 102R을 통틀어 '102'로 표시함) 및 측정부(도 2의 103 참조)를 포함한다. 안착부(101)에는 측정부(103)가 안착된다. 측정부(103)는 사용자의 뒷목 부위에 접촉되어, 목 자세를 측정한다. 고정부(102)는 안착부(101)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측정부(103)를 사용자의 뒷목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102)는 사용자의 뒷머리 또는 뒷목에 착용될 수 있도록 띠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띠는 착용 부위의 둘레에 상관 없이 착용될 수 있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띠는 고정된 형상을 갖되 복원력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외관 및 동작 상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스마트 장치(200)는 목 자세 교정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목 자세 교정 어플리케이션은 목 자세 측정 장치(100)에서 현재까지 측정된 목 자세 측증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유도하거나 나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목 자세 교정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Mobile application)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mobile native application),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mobile web application) 및 모바일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mobile hybrid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목 자세 교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 뒤,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설정 정보를 입력한다. 그러면 스마트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설정 정보를 유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목 자세 측정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스마트 장치(200)는 목 자세 측정 장치(100)로부터 목 자세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목 자세 측정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일 예로, 스마트 장치(200)는 목 자세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표시한다. 이 때, 목 자세 측정 결과는 숫자, 문자, 그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목 자세 측정 결과는 경추 측면도로 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경추 측면도 상에는 기준 자세(즉, 바른 자세)에서의 경추의 전방 기울기와 사용자의 현재 목 자세에서의 경추의 전방 기울기가 함께 표시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자신의 목 자세와 기준 자세 간의 차이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기준 자세에 가까워지거나 기준 자세와 일치하도록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경추 측면도 상에는 사용자의 현재 목 자세에서의 경추의 전방 기울기만이 표시된다. 이처럼 기준 자세에서의 경추의 전방 기울기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준 자세와 현재 목 자세가 불일치함을 알리는 알림 신호가 시각적인 방법, 청각적인 방법, 촉각적인 방법,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법으로 출력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현재 목 자세가 기준 자세와 일치하는 경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추 측면도의 색상이 다르게 표시된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의 현재 목 자세가 기준 자세와 일치하는 경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소리가 출력되거나, 서로 다른 패턴의 진동이 출력된다.
이상, 스마트 장치(200)가 목 자세 측정 결과를 시각적 신호의 하나인 경추 측면도로 출력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목 자세 측정 결과는 광학적 신호, 촉각적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목 자세 측정 결과를 어떤 형식의 신호로 출력할 것인지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장치(200)는 사용자가 소지한 유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유무선 통신 장치로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ao phone), 모바일 게임기, 스마트폰(Smart phone) 및 태블릿(tablet)을 예로 들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얼굴, 팔, 팔목, 손가락, 허벅지, 또는 발목 등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착용형 장치(wearable device)일 수도 있다. 착용형 장치는 신체 일부에 부착될 수 있는 패치 형태로 구현되거나, 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외관 및 동작 상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일부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자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측정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측정부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목 자세 측정 장치(100)는 안착부(101) 및 안착부(101)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고정부(102)를 포함한다.
안착부(101)에는 측정부(103)가 안착되는 직사각형의 안착홈(101a)이 형성된다. 안착홈(101a)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각각 결합홈(101b)이 형성된다. 각각의 결합홈(101b)에는 측정부(103)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03b)가 결합된다. 결합홈(101b)과 결합돌기(103b) 간의 기계적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안착부(10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안착부(101L)와 우측 안착부(101R)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안착부(101)가 반드시 좌측 안착부(101L)와 우측 안착부(101R)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안착부(101)는 분리가 불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안착부(101)의 안착홈(101a)에 안착된 측정부(103)는 안착부(101)와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측정부(103)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들 중에서 안착홈(101a)과 마주보는 면이 안착홈(101a)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5는 측정부(103)가 결합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안착부(101)의 안착홈(101a)에 안착된 측정부(103)는 결합축을 중심으로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즉, 제2 방향은 측정부(103)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들 중에서 안착홈(101a)과 마주보는 면이 안착홈(10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6은 측정부(103)가 결합축을 중심으로 제2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목 자세 측정 장치(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기 전이라면, 측정부(10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목 자세 측정 장치(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면, 측정부(103)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 자세에 따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된다. 만약, 목 자세 측정 장치(100)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착용 해제되는 경우, 측정부(10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이처럼, 측정부(103)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기 위하여, 측정부(103)의 결합축 상에는 탄성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로는 레버 스프링(lever spring), 코일 스프링(Coil spring), 판 스프링 (leaf spring), 접시 스프링(disk spring), 탄성고무 및 형상기억합금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탄성 부재가 예시된 것들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탄성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고정부(102)는 안착부(101)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된다. 고정부(102)는 사용자의 뒷목에 측정부(103)가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거나 고개를 드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뒷목과 측정부(103) 간의 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10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후두부의 둘레 일부나 목의 둘레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되, 자체적으로 물결 무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고정부(102)의 끝단은 고리 형상을 갖는다. 이처럼 고정부(102)를 물결 무늬 형상으로 만들면, 후두부의 둘레나 목의 둘레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여되어, 측정부(103)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102)의 끝단을 고리 형상으로 만들면, 고정부(102)가 사용자의 후두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한 뒤, 고정부(102)의 끝단을 귀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102)는 물결 무늬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이처럼 고정부(102)가 물결 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고정부(102)의 끝단은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목 자세 측정 장치(100)는 버튼부(110), 출력부(120), 센서부(130), 저장부(140), 전원부(150), 통신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버튼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다. 버튼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으로는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온 명령, 각 구성요소들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기 위한 전원 오프 명령, 및 스마트 장치(200)와의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페어링 실행 명령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버튼부(110)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는 명령이 예시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된 바와 같은 명령들을 입력받기 위하여 버튼부(110)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버튼부(110)는 전원 온 명령이나 전원 오프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 버튼, 페어링 실행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페어링 실행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버튼부(110)는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되, 해당 버튼의 조작 패턴(예를 들어, 버튼 인가 시간, 버튼 인가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이 입력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버튼부(11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103)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사용자의 목 자세 측정 결과 및/또는 측정 결과에 따른 알람 신호를 광학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출력부(120)는 광학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발광 소자(121),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22), 촉각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진동자(123),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발광 소자, 스피커 및 진동자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센서부(130)는 사용자의 목 자세를 측정한다. 이를 위하여 센서부(130)는 자이로 센서(gyroscope),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각속도 센서, 자기 센서(magnetometer),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목 자세 측정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및/또는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설정 정보로는 목 자세 측정 결과의 전송 방식(예를 들어, 실시간 전송, 주기적 전송), 전송 주기, 목 자세 측정 장치(100)에서의 알림 신호 출력 조건, 목 자세 측정 장치(100)에서의 알림 신호 출력 방식(예를 들어, 광학적 신호, 청각적 신호, 및 촉각적 신호), 스마트 장치(200)에서의 목 자세 측정 결과 출력 방식 및 스마트 장치(200)에서의 알림 신호 출력 조건을 예로 들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은 설정 정보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버튼부(110)를 직접 조작하여, 전송 방식 및 전송 주기 등의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고, 목 자세 측정 장치(100)와 페어링된 스마트 장치(200)를 조작하여, 전송 방식 및 전송 주기 등의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저장부(14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내장형 메모리, 착탈 가능한 외장형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형 메모리로는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미니 SD 카드, 및 마이크로 SD 카드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저장부(14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알고리즘은 지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가 착탈 가능한 외장형 메모리로 구현되는 경우, 기존의 알고리즘이 저장된 외장형 메모리를 새로운 알고리즘이 저장된 외장형 메모리로 교체함으로써, 알고리즘을 갱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가 착탈 가능한 외장형 메모리 외의 것으로 구현되는 경우, 새로운 알고리즘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장치(200), 서버(도시되지 않음),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으며,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던 기존의 알고리즘은 다운로드된 새로운 알고리즘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전원부(150)는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50)는 목 자세 측정 장치(100)와 하드웨어적으로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적으로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전원부(150)는 상용 전원(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원부(150)는 상용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충전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무선전력전송기술에 따라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60)는 유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스마트 장치(200)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60)는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스마트 장치(2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160)는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설정 정보를 스마트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통신부(160)는 센서부(130)에서 측정된 목 자세 측정 결과를 스마트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스마트 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해 통신부(160)는 유선 통신 방식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한다. 통신부(160)가 유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통신부(160)는 통신 포트(161)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포트(161)는 예를 들어, USB 통신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포트(161)은 USB 통신 포트 대신 다른 종류의 통신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통신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울트라와이드밴드(Ultra Wide Band, UWB) 및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예로 들 수 있다. 통신부(160)는 예시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목 자세 측정 장치(100) 내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기 설정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센서부(130)에 의해 측정된 목 자세 측정 결과를 스마트 장치(200)로 전송하거나, 목 자세 측정 결과에 따른 알림 신호를 출력하거나, 이들 모두를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목 자세가 기준 자세(즉, 바른 자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알림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기준 자세와의 일치 여부와는 상관 없이, 사용자의 목 자세가 기준 시간(예를 들어, 5초)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알림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기준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목 자세와 기준 자세의 차이가 기준 각도 이상인 경우에, 알림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상,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며, 인쇄회로기판은 측정부(103)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측정부(103)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임을 가정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고정부(102)를 후두부 또는 목에 착용하기 전에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버튼부(110)를 조작하여 페어링 실행 명령을 입력한다. 그러면, 목 자세 측정 장치(100)와 스마트 장치(200) 간에는 페어링 과정이 수행된다(S800).
이후, 사용자는 스마트 장치(200)를 조작하여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설정 정보를 입력한다(S810).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설정 정보는 목 자세 측정 결과를 스마트 장치(200)로 전송하는 전송 방식(예를 들어, 실시간 전송, 주기적 전송), 전송 주기, 목 자세 측정 장치(100)에서의 알림 신호 출력 조건(예를 들어, 기준 시간, 기준 각도), 목 자세 측정 장치(100)에서의 알림 신호 출력 방식(예를 들어, 광학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스마트 장치(200)에서의 목 자세 측정 결과 출력 방식 및 스마트 장치(200)에서의 알림 신호 출력 조건(예를 들어, 기준 시간, 기준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설정 정보를 스마트 장치(200) 내의 저장부에 저장한 다음, 목 자세 측정 장치(100)로 전송한다(S820).
목 자세 측정 장치(100)는 스마트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설정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는 바른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목 자세 측정 장치(100)를 착용한다. 일 예로, 사용자는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측정부(103)가 사용자의 뒷목에 접촉되도록 하되, 고정부(102)가 사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목 자세 측정 장치(100)를 착용한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측정부(103)가 사용자의 뒷목에 접촉되도록 하되, 고정부(102)가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싼뒤 고정부(102)의 끝이 귀에 걸리도록 목 자세 측정 장치(100)를 사용한다.
이후, 사용자의 목 자세가 변하는 경우, 목 자세 측정 장치(100)의 측정부(103)는 결합축을 중심으로 초기 위치에서부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다. 그 결과, 측정부 내에 배치된 센서부(130)에서는 측정부(103)가 회전된 각도 즉, 사용자의 목 자세가 측정된다(S830).
이후, 목 자세 측정 장치(10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목 자세 측정 결과에 따른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S840). 상기 S840 단계는 기 저장된 설정 정보 중에서 알림 신호 출력 기준을 확인하는 단계, 기 저장된 설정 정보 중에서 목 자세 측정 장치(100)에서의 알림 신호 출력 방식을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결과에 기초하여 목 자세 측정 결과에 따른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목 자세 측정 장치(100)는 목 자세 측정 결과를 스마트 장치(200)로 전송한다(S850). 상기 S850 단계는 기 저장된 설정 정보 중에서 목 자세 측정 결과의 전송 방식 및 전송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결과에 기초하여 목 자세 측정 결과를 스마트 장치(20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장치(200)는 목 자세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목 자세 측정 결과를 출력한다(S86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S860 단계는 목 자세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경추 측면도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경추 측면도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목 자세가 최초 자세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목 자세가 기준 자세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목 자세와 기준 자세 간의 차이가 기준 각도 미만인 경우, 사용자의 목 자세가 기준 시간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에 해당하는 경우라면, 도 9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이에 비하여, 사용자의 목 자세가 최초 자세와 불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목 자세가 기준 자세와 불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목 자세와 기준 자세 간의 차이가 기준 각도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목 자세가 기준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에 해당하는 경우라면, 도 10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스마트 장치(200)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은 목 자세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경추 측면도(310), 경추의 전방 기울기를 나타내는 그림(320) 및 목 자세 교정과 관련된 다양한 메뉴들(330)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을 비교하면, 사용자의 현재 목 자세가 기준 자세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경추 측면도(310)가 파란색으로 표시되고, 사용자의 현재 목 자세가 기준 자세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경추 측면도(310)가 붉은색으로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현재 목 자세와 기준 자세를 비교한 결과가 시각적 신호로 출력된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목 자세와 기준 자세를 비교한 결과는 광학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경추의 전방 기울기를 나타내는 그림(320)이 경추 측면도(310)에 중첩되어 표시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경추의 전방 기울기는 그림 대신 숫자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 때, 숫자는 경추 측면도(310)의 주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사용자의 현재 목 자세에 대응하는 경추 측면도(310) 및 그림(320)이 표시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기준 자세(즉, 바른 자세)에 대응하는 경추 측면도 및 기준 자세에서의 경추의 전방 기울기를 나타내는 그림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스마트 장치(20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목 자세 측정 내역을 표시한다(S870). 목 자세 측정 내역은 과거의 목 자세 측정 결과 및 현재의 목 자세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간을 입력하여, 해당 기간 내에 측정된 목 자세 측정 결과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목 자세 측정 내역은 단순히 숫자로 표시될 수도 있고,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S870 단계는 생략되거나 다른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 및 도 10에 표시된 메뉴들(330) 중에서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이 S870 단계 대신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400)의 착용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400)는 안착부(401), 고정부(402), 체결부(404) 및 연결부(405)를 포함한다.
안착부(401)는 가로 방향이 세로 방향보다 긴 직사각형 기둥 모양을 가지며, 고정부(402)의 위쪽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1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안착부(401)에는 측정부(103)가 안착되는 안착홈(101a)이 형성된다. 안착홈(101a)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각각 결합홈(101b)이 형성된다. 안착홈(101a), 결합홈(101b), 측정부(103) 및 측정부(103)의 회전 상태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안착부(401)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405)가 배치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405)는 선 스프링(line spring)과 같은 탄성 부재로 만들어진다. 선 스프링은 길이 방향이 아닌 옆 방향(즉,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약한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측정부(103)가 사용자의 뒷목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고개가 숙여지더라도 사용자의 뒷목과 측정부(103) 간의 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연결부(405)의 하부 끝단에는 체결부(404)가 배치된다. 체결부(404)는 고정부(402)에 체결된다. 도 11은 체결부(404)가 고정부(402)에 완전히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부(404)는 고정부(402)와 분리될 수 있다. 고정부(402)와 분리된 체결부(404)는 목걸이 또는 목걸이형 이어셋에 체결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500)의 착용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목 자세 측정 장치(500)는 안착부(501), 고정부(502), 체결부(404) 및 연결부(405)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안착부(501), 고정부(502) 및 체결부(504)는 도 11에 도시된 안착부(401), 고정부(402) 및 체결부(404)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안착부(501)의 하부에는 안착부(501)와 체결부(504)를 연결하는 연결부(505)가 배치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505)는 강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연결부(505)와 체결부(504)가 만나는 부분에는 탄성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된다. 탄성 부재로는 레버 스프링,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탄성고무 및 형상기억합금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처럼 연결부(505)와 체결부(504)가 만나는 부분에 탄성 부재를 배치하면, 사용자의 고개가 숙여지더라도 사용자의 뒷목과 측정부(103) 간의 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연결부(505)의 끝단에는 체결부(504)가 배치된다. 체결부(504)는 고정부(502)에 체결된다. 도 12는 체결부(504)가 고정부(502)에 완전하게 체결되지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고정부(502)로부터 체결부(504)를 분리한 다음, 분리된 체결부(504)를 목걸이 또는 목걸이형 이어셋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적어도 하나의 처리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명령을 포함하는 매체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매체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의 저장 및/또는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매체들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는, 매체에 기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는데, 상기 매체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 기록 매체(예를 들면, CD-ROM, Blu-Ray, DVD)와 같은 기록 매체, 반송파(carrier wave)와 같은 전송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들은 분산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므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전송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단지 일 예로써, 처리 요소는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 요소는 하나의 디바이스 내에 분산 및/또는 포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목 자세 측정 장치
101: 안착부
101a: 안착홈
101b: 결합홈
102: 고정부
103: 측정부
103b: 결합돌기
200: 스마트 장치

Claims (15)

  1. 사용자의 뒷목에 접촉되어 상기 사용자의 목 자세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가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가 상기 사용자의 뒷목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목 또는 후두부에 착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부는, 상기 측정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들 중에서 상기 안착홈과 마주보는 면이 상기 안착홈과 가까워지는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측정부가 상기 사용자의 뒷목으로부터 이격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었던 상기 측정부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축 상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목 자세 측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목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목 자세 측정 결과에 따른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목 자세 측정 결과를 스마트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기 저장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신호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거나 상기 목 자세 측정 결과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목 자세 측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각속도 센서, 자기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목 자세 측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알림 신호를 광학적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발광 소자, 상기 알림 신호를 청각적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알림 신호를 촉각적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진동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목 자세 측정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 자세 측정 결과의 전송 방식, 전송 주기, 상기 알림 신호의 출력 조건, 상기 알림 신호의 출력 방식, 상기 스마트 장치에서의 상기 목 자세 측정 결과 출력 방식 및 상기 스마트 장치에서의 알림 신호 출력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목 자세 측정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장치는
    상기 목 자세 측정 결과를 숫자,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시하는, 목 자세 측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장치는
    상기 목 자세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경추 측면도, 상기 목 자세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경추의 전방 기울기 및 목 자세 교정과 관련된 메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목 자세 측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장치는
    상기 목 자세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경추 측면도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거나, 광학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출력하는, 목 자세 측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착부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의 둘레 일부나 목의 둘레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되, 소정 무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목 자세 측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착부의 아래쪽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 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목 자세 측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의 고개가 숙여지더라도 상기 측정부와 상기 뒷목 간의 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 부재로 만들어지는, 목 자세 측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강성 재질로 만들어지되,
    상기 연결부와 상기 체결부가 만나는 부분에는 상기 사용자의 고개가 숙여지더라도 상기 측정부와 상기 뒷목 간의 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 부재가 배치되는, 목 자세 측정 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145387A 2015-10-19 2015-10-19 목 자세 측정 장치 KR101713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387A KR101713300B1 (ko) 2015-10-19 2015-10-19 목 자세 측정 장치
PCT/KR2016/011772 WO2017069519A1 (en) 2015-10-19 2016-10-19 Neck tilt angle sensing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387A KR101713300B1 (ko) 2015-10-19 2015-10-19 목 자세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300B1 true KR101713300B1 (ko) 2017-03-07

Family

ID=5841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387A KR101713300B1 (ko) 2015-10-19 2015-10-19 목 자세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3300B1 (ko)
WO (1) WO2017069519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900A (ko) * 2017-06-28 2019-01-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자세 측정 장치
KR20190061299A (ko) * 2017-11-27 2019-06-05 김수연 사경 교정 장치
KR20190080075A (ko) * 2017-12-28 2019-07-08 이용민 목 질환 방지 시스템
KR20200050129A (ko) * 2018-11-01 2020-05-1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북목 교정기
KR20200099640A (ko) * 2019-02-14 2020-08-25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KR102303494B1 (ko) * 2020-04-06 2021-09-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자세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48628A (ko) * 2020-10-13 2022-04-2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스마트 거북목 교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8258B2 (ja) * 2017-06-20 2019-10-30 修 宇留野 姿勢監視装置、姿勢監視方法及び姿勢監視プログラム
DE102017011129A1 (de) * 2017-11-24 2019-05-29 Leonid Sverdlo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altungskontrolle einer Person
CN109528205B (zh) * 2018-11-15 2021-06-15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提示方法、装置、头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R3109081B1 (fr) * 2020-04-08 2024-05-03 Percko Methode d’evaluation d’une posture, dispositif d’evaluation associé
CN114652300A (zh) * 2022-03-17 2022-06-24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面向颈椎健康监测的电子皮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3938A (ko) * 2006-04-20 200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이 가능한 헤드셋 장치 및 헤드셋 장치를이용한 생체신호 측정방법
KR20140132541A (ko) * 2013-05-08 2014-11-18 정용준 거북목증후군 교정장치
KR20150072957A (ko) 2013-12-20 201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세 측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그에 따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8635B2 (en) * 2004-12-21 2011-10-18 Ronald P. Dellanno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collar
US9196175B2 (en) * 2010-03-30 2015-11-24 Michael C. Walsh Ergonomic sensor pad with feedback to user and method of 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3938A (ko) * 2006-04-20 200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이 가능한 헤드셋 장치 및 헤드셋 장치를이용한 생체신호 측정방법
KR20140132541A (ko) * 2013-05-08 2014-11-18 정용준 거북목증후군 교정장치
KR20150072957A (ko) 2013-12-20 201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세 측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그에 따른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900A (ko) * 2017-06-28 2019-01-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자세 측정 장치
KR102089848B1 (ko) 2017-06-28 2020-03-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자세 측정 장치
KR20190061299A (ko) * 2017-11-27 2019-06-05 김수연 사경 교정 장치
KR102040375B1 (ko) * 2017-11-27 2019-11-04 김수연 사경 교정 장치
KR20190080075A (ko) * 2017-12-28 2019-07-08 이용민 목 질환 방지 시스템
KR102050943B1 (ko) * 2017-12-28 2019-12-03 이용민 목 질환 방지 시스템
KR20200050129A (ko) * 2018-11-01 2020-05-1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북목 교정기
KR102192633B1 (ko) 2018-11-01 2020-12-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북목 교정기
KR20200099640A (ko) * 2019-02-14 2020-08-25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KR102250162B1 (ko) 2019-02-14 2021-05-11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KR102303494B1 (ko) * 2020-04-06 2021-09-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자세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48628A (ko) * 2020-10-13 2022-04-2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스마트 거북목 교정 장치
KR102485627B1 (ko) 2020-10-13 2023-01-0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스마트 거북목 교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9519A1 (en)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300B1 (ko) 목 자세 측정 장치
KR102482756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US11668958B2 (en) Modula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06802482B (zh) 联接器以及头戴式显示装置
CN107431778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EP2942931B1 (en) Mobile terminal with eyeglass display
EP3043237A1 (en)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20190138048A1 (en) Neckband type computer
US11966101B2 (en) Mounting tool
KR2016010149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KR102605835B1 (ko) 생체 정보 검출을 위한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WO2019069555A1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アクセサリ
KR2017001619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US20160166153A1 (en) Optical communication with optical sensors
KR102340794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
CN110022763A (zh) 一种手表腕带
EP3289967A2 (en) Health band terminal
JP2017009777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439448B2 (ja) 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190131737A (ko) 외부 객체에 대한 접촉 상태에 기반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74250B1 (ko) 자세교정장치
JP6638325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6085554A (ja) 情報処理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2022108194A (ja) 画像投影方法、画像投影装置、無人航空機および画像投影プログラム。
KR20200080727A (ko) 의류 탈부착용 자세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