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794B1 -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794B1
KR102340794B1 KR1020140172384A KR20140172384A KR102340794B1 KR 102340794 B1 KR102340794 B1 KR 102340794B1 KR 1020140172384 A KR1020140172384 A KR 1020140172384A KR 20140172384 A KR20140172384 A KR 20140172384A KR 102340794 B1 KR102340794 B1 KR 102340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length
user
mode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6268A (ko
Inventor
고재우
권동욱
박정훈
주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794B1/ko
Priority to US15/308,194 priority patent/US10379877B2/en
Priority to EP15786209.5A priority patent/EP3146405B1/en
Priority to PCT/KR2015/006360 priority patent/WO2015167318A1/en
Publication of KR20150126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268A/ko
Priority to US16/537,259 priority patent/US1130787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16User authentication by observing the pattern of computer usage, e.g. typical user behavi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5Protecting application or service provisioning, e.g. securing SIM application provis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1Adaptation to the pilot/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6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on the head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 제2 전자 모듈; 상기 제1, 제2 전자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모듈; 및 상기 연결 모듈이 유저에게 접촉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은,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시 체결 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제1,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체결부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이 고성능화 및 소형화되고,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유저의 신체 부위에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손목에 착용 가능한 스마트 워치(smart watch)나 머리나 팔다리에 착용 가능한 스마트 밴드(smart band), 머리에 착용 가능한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모듈과, 전자 모듈이 유저에게 착용되도록 구성된 웨어러블 구조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착용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착용 길이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설정 모드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실시예에 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 제2 전자 모듈; 상기 제1, 제2 전자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모듈; 및 상기 연결 모듈이 유저에게 접촉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은,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시 체결 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제1,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체결부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체결부 중 어느 하나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체결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체결부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커넥터에 대한 상기 제1 커넥터의 접촉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전자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유저에 착용되도록 구성된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전자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음향 정보 또는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모듈; 양 단부가 상기 전자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모듈; 및 상기 연결 모듈이 유저에게 접촉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은,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시 체결 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제1,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체결부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웨어러블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모듈을 상기 유저에게 착용하기 위한 웨어러블 구조물로서,
양 단부가 상기 전자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모듈; 및 상기 연결 모듈이 유저에게 접촉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은,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시 체결 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제1,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체결부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전자 모듈; 상기 전자 모듈이 유저에게 착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연결 모듈; 및 상기 연결 모듈이 상기 유저에게 접촉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은,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시 체결 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제1,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체결부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 모듈은 상기 유저의 착용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연결 모듈의 인장력(tension)을 측정하는 인장력 센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유저 및 상기 전자 모듈간의 접촉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유저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신셍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유저의 혈압을 측정하는 혈압 신셍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 모듈은, 상기 전자 모듈의 움직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피에조(piezo)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 모듈은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유저의 착용 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시계, 안경, 반지, 밴드 및 목걸이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 제2 체결부의 전기적인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 착용 길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제1 착용 길이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유저(user)의 제1 모드에 대응되는 착용 길이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2 착용 길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제2 착용 길이가 상기 제1 착용 길이와 다르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착용 길이를 상기 유저의 제2 모드에 대응되는 착용 길이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착용 길이에 따라 설정된 모드 정보 목록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모드는, 일반(normal) 모드, 수면 모드, 어린이 모드, 운동 모드 및 측정 모드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모드가 상기 수면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수면 모드의 착용 길이는 상기 일반 모드의 착용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모드가 상기 어린이 모드, 운동 모드 또는 측정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어린이 모드, 운동 모드 또는 측정 모드의 착용 길이는 상기 일반 모드의 착용 길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저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저의 고유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패스워드 정보, 제스쳐 입력 정보, 패턴 입력 정보, 음성 정보 및 홍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저에게 상기 착용 길이의 변경을 요구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길이를 재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판단된 착용 길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유저의 제1 모드에 대응되는 착용 길이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판단된 착용 길이는 상기 제1 착용 길이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 제2 체결부의 전기적인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길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착용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설정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결정된 설정 모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된 착용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user)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기설정된 유저별 착용 길이와 일치하는지 여부로 유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된 설정 모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설정 모드는, 일반(normal) 모드, 수면 모드, 운동 모드 및 측정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된 착용 길이 정보가, 상기 식별된 유저에 대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기설정된 착용 길이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을 차단(blocking)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 설정되는 일부 기능은, 문자, 통화, 사진 및 금융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기능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된 설정 모드가 수면 모드인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동작 중인 소정의 기능을 종료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기능은, 위치 센싱, 기압 센싱, 온도 센싱,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설정 모드를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설정 모드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착용 길이로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 모드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기설정된 설정 모드의 전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설정 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설정된 설정 모드의 변환 조건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유저로부터 설정 모드 변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설정된 설정 모드의 변환 조건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정 시간 동안의 움직임이 소정 기준의 움직임보다 적은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설정된 설정 모드의 변환 조건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정 시간 동안의 움직임이 소정 기준의 움직임보다 많은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유저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설정 모드의 변환 조건은, 상기 획득된 유저의 생체 정보의 값이 소정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유저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설정 모드의 변환 조건은, 상기 획득된 유저의 생체 정보의 값이 소정 기준범위 밖의 값인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저의 생체 정보는, 혈압, 심박수, 온도 및 땀의 배출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 모드는, 일반(normal) 모드, 수면 모드, 운동 모드 및 측정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길이는, 유저 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a의 제1, 제2 전자 모듈(10A, 10B)이 프레임(40)에 장착된 상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a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유저(U)에게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길이 조절 모듈(30)의 위치가 변경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1a의 길이 조절 모듈(30)이 길이 조절과 함께 전기적 연결을 가지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b는 도 6a의 제1, 제2 체결부(310, 32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a의 제1, 제2 체결부(310, 32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길이 조절 모듈(30)의 길이가 조절되는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가 분리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8b는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가 분리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분리된 제1 전자 모듈(10A)를 착용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10는 분리된 제1 전자 모듈(10A1)을 착용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a는 단일의 전자 모듈(10)을 사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b는 도 11a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12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길이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증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길이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바탕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현재 착용 길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모드별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일반 모드 설정 완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설정 가능한 모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 모드의 세부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완료된 모드 이외의 다른 모드를 추가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착용 길이를 안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착용 길이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착용 길이에 대한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면 모드의 설정 완료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면 모드의 세부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들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증을 실패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설정 모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설정 모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설정 모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8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출력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2 내지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용이 가능한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 내지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사용되는 웨어러블 구조물의 구성과 작용,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길이 조절에 따른 제어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제1, 제2 전자 모듈(10A, 10B)과, 이러한 제1, 제2 전자 모듈(10A, 10B)을 유저에게 착용하기 위한 웨어러블 구조물을 포함한다. 웨어러블 구조물은, 제1, 제2 전자 모듈(10A, 10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모듈(20)과, 연결 모듈(20)이 유저에게 접촉(또는 밀착)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 모듈(30)을 포함한다.
제1 전자 모듈(10A), 제2 전자 모듈(10B) 중 적어도 하나는 유저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제2 전자 모듈(10A, 10B) 중 적어도 하나는, 통신 단말기, 게임 기기, 멀티미디어 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 휴대가 가능한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그 외에도, 제1, 제2 전자 모듈(10A, 10B)은, 유저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유저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는 이미지(image) 또는 동영상(video)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10A), 제2 전자 모듈(10B)은 각각이 유저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둘 중 하나가 유저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전자 모듈(10A)은 유저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제2 전자 모듈(10B)은 제1 전자 모듈(10A)에 전원(power) 및/또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10A)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10)는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제2 전자 모듈(10B)은 제1 전자 모듈(10A)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는 충전식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원부의 위치는 제2 전자 모듈(10B)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또는 추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는 연결 모듈(2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때, 전원부는 와이어 타입의 배터리일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10A)과 제2 전자 모듈(10B)은 유저의 착용감을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10A), 제2 전자 모듈(10B)은 유저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모듈이라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제1 전자 모듈(10A), 제2 전자 모듈(10B) 각각은 유저에게 음향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부(110A, 110B), 예를 들어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전자 모듈(10A1, 10B1)은 서로 다른 음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저에게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전자 모듈(10A, 10B)이 유저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저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전자 모듈(10A, 10B)중 적어도 하나는 입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부(130)는 유저의 음성을 인식하거나, 유저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a의 제1, 제2 전자 모듈(10A, 10B)이 프레임(40)에 장착된 상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a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유저(U)에게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전자 모듈(10A), 제2 전자 모듈(10B)은 프레임(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제2 전자 모듈(10A, 10B)을 프레임(40)에 장착한 상태에서, 유저(U)가 이러한 프레임(40)을 착용함으로써, 유저(U)는 도 4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10A), 제2 전자 모듈(10B) 각각은 프레임(40)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121, 122)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10A), 제2 전자 모듈(10B)은 결합부(121, 122)를 통해 프레임(40)에 장착된다.
프레임(40)은 유저(U)에게 착용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서, 프레임(40)은 안경 프레임일 수 있다. 안경 프레임은 글래스(G)를 지지하는 지지부(410)와, 이러한 지지부(410)를 유저(U)에게 착용시키기 위한 한 쌍의 다리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10A) 및 제2 전자 모듈(10B)의 결합부(121, 122) 각각은 한 쌍의 다리부(420)에 장착된다. 제1 전자 모듈(10A)의 출력부(110)는 글래스(G)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유저(U)의 시야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출력부(110)는 미 사용시, 유저(U)의 시야 밖에 배치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출력부(110)의 회동 각도는 약 270 도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전자 모듈(10A, 10B)이 프레임(40)과 착탈 가능한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제1 전자 모듈(10A1), 제2 전자 모듈(10B1)은 도 2와 같이 프레임(40A, 40B)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40A, 40B)은 유저의 신체 부위에 적합한 형상, 예를 들어 유저의 귀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40A, 40B)은 각각 제1, 제2 전자 모듈(10A1, 10B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연결 모듈(20)은 제1 전자 모듈(10A)과 제2 전자 모듈(10B)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연결 모듈(20)은 제1 전자 모듈(10A)과 제2 전자 모듈(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모듈(20)을 통해, 제1 전자 모듈(10A)과 제2 전자 모듈(10B) 사이에 전원(power) 또는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연결 모듈(20)은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케이블(cable)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모듈(20)은 유저에게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모듈(20)은 유저의 신체 부위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일한 신체 부위라 하더라도, 유저들마다 그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유저의 신체 부위 크기를 커버할 수 있도록, 연결 모듈(20)은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충분한 길이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 부위가 머리일 경우, 연결 모듈(20)의 길이는 약 10 cm ~ 약 30 cm 일 수 있다. 신체 부위가 손목일 경우, 연결 모듈(20)의 길이는 약 5 cm ~ 약 20 cm 일 수 있다.
제1, 제2 전자 모듈(10A, 10B)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가, 와이어 타입의 배터리로서 연결 모듈(20)에 내장될 경우, 상기와 같이 연결 모듈(20)이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설계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가질 수 있는 배터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결 모듈(20)은 유저에 의해 쉽게 휘어질 수 있는 연질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길이 조절 모듈(30)은, 착용을 위하여 연결 모듈(20)이 유저에게 접촉 또는 밀착되도록, 길이(L)가 조절될 수 있다. 길이 조절 모듈(30)의 길이(L) 조절에 의해, 연결 모듈(20)이 유저에게 접촉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에게 양호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모듈(20)이 유저에게 접촉됨으로써, 유저의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제1, 제2 전자 모듈(10A, 10B)이 유저에 대하여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 제2 전자 모듈(10A, 10B)은 유저에게,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길이 조절 모듈(30)은 연결 모듈(2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조절 모듈(30)은 제1 전자 모듈(10A)에 연결된 제1 연결 모듈(201)과 제2 전자 모듈(10B)에 연결된 제2 연결 모듈(2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길이 조절 모듈(3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조절 모듈(30)은 연결 모듈(2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길이 조절 모듈(30)은 도 5a와 같이 연결 모듈(21)과 제1 전자 모듈(10A) 사이에 배치되거나, 도 5b와 같이 연결 모듈(22)과 제2 전자 모듈(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길이 조절 모듈(30)은 길이 조절과 함께 제1, 제2 체결부(310, 320; 도 6a 참조)의 전기적 연결을 가질 수 있다. 도 6a는 도 1a의 길이 조절 모듈(30)이 길이 조절과 함께 제1, 제2 체결부(310, 320)의 전기적 연결을 가지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b는 도 6a의 길이 조절 모듈(30)의 제1, 제2 체결부(310, 32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는 길이 조절 모듈(30)의 제1, 제2 체결부(310, 320)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길이 조절 모듈(30)은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며 체결 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제1, 제2 체결부(310, 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의 조립 과정에서,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길이 조절 모듈(30)의 길이(L)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체결부(310), 제2 체결부(320) 중 어느 하나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커넥터(311a, 311b, 311c)를 포함하며, 다른 하나는 복수의 제1 커넥터(311a, 311b, 311c)와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3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310)는, 제2 커넥터(321)와 전기적 접촉이 가능하며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커넥터(311a, 311b, 311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 커넥터(311a, 311b, 311c)의 예로서, 3개의 제1 커넥터들(311a, 311b, 311c)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제1 커넥터들(311a, 311b, 311c) 사이의 이격 거리(a)는 유저의 착용 부위 등을 고려하여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유저의 착용 부위가 머리 뒷부분일 경우, 제1 커넥터들(311a, 311b, 311c) 사이의 이격 거리(a)는 약 2 mm ~ 5 mm 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유저의 착용 부위가 손목일 경우, 제1 커넥터들(311a, 311b, 311c) 사이의 이격 거리(a)는 약 1.1 mm ~ 1.5 mm 일 수 있다. 그 외에도, 유저의 착용 부위는 다양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적절하게 이격 거리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이격 거리(a)는 인접한 제1 커넥트들(311a, 311b, 311c) 사이의 거리로 정의한다.
제1 체결부(310)는, 복수의 제1 커넥터들(311a, 311b, 311c)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3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2)은 제2 체결부(32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O)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312)의 양 측에 개구(O)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넥터(311a, 311b, 311c)는 제1 전자 모듈(1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넥터(311a, 311b, 311c)와 제1 전자 모듈(10A; 도 1a 참조) 사이에는 제1 연결 모듈(201)이 배치되어, 제1 커넥터(311a, 311b, 311c)와 제1 전자 모듈(10A)이 제1 연결 모듈(20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커넥터(311a, 311b, 311c)와 제1 전자 모듈(10A)의 전기적 연결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311a, 311b, 311c)와 제1 전자 모듈(10A)은, 제1 연결 모듈(201) 없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2 체결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321)는 제2 전자 모듈(1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넥터(321)와 제2 전자 모듈(10B) 사이에는 제2 연결 모듈(202)이 배치되어, 제2 커넥터(321)와 제2 전자 모듈(10B)이 제2 연결 모듈(20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커넥터(321)와 제2 전자 모듈(10B)의 전기적 연결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커넥터(321)와 제2 전자 모듈(10B)은, 제2 연결 모듈(202) 없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2 체결부(320)는 제2 커넥터(321)가 제1 커넥터(311a, 311b, 311c)를 향해 가압하는 탄성 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322)는 제2 커넥터(321)에 제1 커넥터(311a, 311b, 311c)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를 제공한다.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커넥터(311a, 311b, 311c)에 대한 제2 커넥터(321)의 접촉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길이 조절 모듈(30)의 길이가 조절되며, 제1 커넥터(311a, 311b, 311c)와 제2 커넥터(3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커넥터(311a, 311b, 311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자 모듈(10A)과 제2 커넥터(3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자 모듈(10B)이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넥터(311a, 311b, 311c)와 제2 커넥터(321)는 암수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커넥터(311a, 311b, 311c)와 제2 커넥터(321)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311a, 311b, 311c)는 암형 커넥터(female connector)이고, 제2 커넥터(321)는 수형 커넥터(male connector)일 수 있다. 제1 커넥터(311a, 311b, 311c)는 오목한 반원 형상이며, 제2 커넥터(321)는 이에 대응하도록 볼록한 반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제1 커넥터(311a, 311b, 311c)와 제2 커넥터(32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결합 가능하다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커넥터(311a, 311b, 311c)가 제1 체결부(310)에 포함되며, 제2 커넥터(321)가 제2 체결부(320)에 포함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커넥터(311a, 311b, 311c)가 제2 체결부(320)에 포함되며 제2 커넥터(321)가 제1 체결부(31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a의 제1, 제2 체결부(310, 32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길이 조절 모듈(30)의 길이가 조절되는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2 체결부(320)의 단부를 하우징(312)의 개구(O)에 삽입한다. 그에 따라, 제2 체결부(320)의 제2 커넥터(321)가 제1 체결부(310)의 개구(O)에 삽입된다. 삽입된 제2 커넥터(321)는 제1 체결부(310)의 제1 커넥터(311c)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커넥터(311c)와 제2 커넥터(3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길이 조절 모듈(30)은 소정의 길이 L1을 가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저는 소정 방향, 예를 들어 탄성 부재(322)에 의한 탄성바이어스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A1 방향)으로 제2 체결부(320)를 가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커넥터(321)는 복수의 제1 커넥터(311a, 311b, 311c)에 분리, 조립을 반복하면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유저는 원하는 위치에서 A1 방향으로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7b과 같이, 제1 커넥터(311a)는 제2 커넥터(32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311a)와 제2 커넥터(3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탄성 부재(322)에 의한 탄성력으로 인해, 제1 체결부(310)의 제1 커넥터(311a)와 제2 체결부(320)의 제2 커넥터(321)의 접촉이 유지된다. 이 때, 길이 조절 모듈(30)은 상기 L1보다 짧아진 길이 L2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 제2 체결부(310, 3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길이 조절 모듈(30)의 길이(L)를 줄일 수 있다. 반대로, 도 7b와 같은 상태에서, 유저가 상기 가압 방향과 반대 방향(A2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도 7a와 같이, 제1, 제2 체결부(310, 3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길이 조절 모듈(30)의 길이(L)를 늘릴 수 있다.
다시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체결부(310)에 연결된 제1 전자 모듈(10A)과, 제2 체결부(320)에 연결된 제2 전자 모듈(10B)이 분리될 수 있다.
도 8a는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가 분리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8b는 제1 체결부(310)와 제2 체결부(320)가 분리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1 전자 모듈(10A)과 제2 전자 모듈(10B)이 서로 분리됨으로써, 미사용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모듈(10A)과 제2 전자 모듈(10B)이 분리됨으로써, 유저는 용도에 따라 제1 전자 모듈(10A), 제2 전자 모듈(10B) 중 어느 하나만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유저는 도 9와 같이 제1 전자 모듈(10A)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U)는 한 쪽 눈(E1)으로 제1 전자 모듈(10A)을 통해 영상 정보를 식별하면서, 다른 쪽 눈(E2)으로 주변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유저는 도 10과 같이 제1 전자 모듈(10A1)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U)는 한 쪽 귀로 제1 전자 모듈(10A1)을 통해 음성 정보를 들으면서 다른 한 쪽 귀로 주변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전자 모듈(10A)을 사용함으로써, 유저는, 주변 상황을 살피면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전자 모듈(10A, 10B)이 복수의 전자 모듈(10A, 10B)인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사용되는 웨어러블 구조물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일의 전자 모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1a는 단일의 전자 모듈(10)을 사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b는 도 11a의 정면도이다.
도 11a 및 11b를 참조하면, 하나의 전자 모듈(10)과, 이러한 전자 모듈(10)이 유저에게 착용되기 위한 웨어러블 구조물을 포함한다. 웨어러블 구조물은, 양 단부(201a, 202a)가 전자 모듈(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모듈(20)과, 연결 모듈(20)이 유저에게 밀착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 모듈(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점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모듈(10)은 유저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유저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10)은 유저에게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정보는 시간, 날짜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모듈(10)은 유저로부터 소정의 정보, 예를 들어, 유저의 혈압, 혈당 등의 파라미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모듈(10)은 정보 수집을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모듈(20)은 전자 모듈(10)의 양 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연결 모듈(20)의 일단(201a)은 전자 모듈(10)의 일단에 연결되며, 타단(202a)은 전자 모듈(10)의 타단에 연결된다. 전자 모듈(10)은 연결 모듈(20)을 통해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길이 조절 모듈(30)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길이 조절 및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길이 조절 모듈(30)은 연결 모듈(20)이 유저의 손목에 밀착되도록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길이 조절 모듈(30)은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제1, 제2 체결부(310, 320; 도 6a 참조)를 포함한다. 제1, 제2 체결부(310, 320)을 분리함으로써, 미사용시 제1 연결모듈(201)과 제2 연결 모듈(202)을 분리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웨어러블 구조물에 대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저가 직접 가압을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본 개시에 의해서 설명되는 웨어러블 구조물은 유저의 가압에 의해서만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32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님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에 의해서 설명되는 웨어러블 구조물은 전기적인 신호에 기초하여 길이 조절 모듈(30)에서 물리적으로 구동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체결부(310) 및/또는 제2 체결부(320) 상에 물리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모듈(10)로부터 길이 조절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길이 조절 모듈(30)은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320) 간의 연결에 대하여 이격 배치된 다른 커넥터와의 접촉으로 변경할 수 있다.
길이 조절 모듈(30)는 전자 모듈(10)으로부터 길이 조정에 관한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하면, 이 신호에 대응되는 길이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의 제1 체결부(310)의 제1 커넥터(311a) 및 제2 체결부(320)의 제2 커넥터(321) 간에 전기적인 접촉이 있는 상태에서, 제1 체결부(310)의 제2 커넥터(311b) 및 제2 체결부(320)의 제2 커넥터(321) 간의 길이로 조정하도록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대응되도록 물리적 압력을 가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길이 조절 모듈(30)의 물리적 압력을 가하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320)에 모터와 같은 구동 모듈을 통해서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또는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한 방식일 수 있다.
앞서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위한 웨어러블 구조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어러블 구조물에 대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어떻게 제어하는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길이 조절 모듈의 길이 조절에 따라서 다양한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유저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길이에 의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평상시에 비해 운동시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신체에 더 부착시키기 위하여 평상시의 착용 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반대로, 수면시에는 평상시에 비해 착용 부위에 압력을 덜 주기 위하여 평상시의 착용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운동 및 수면의 경우 이외에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서 생체 정보 측정이 가능한 경우라면, 착용 부위에 밀착시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길이의 변화에 따라서 다양한 모드를 가지며, 각 모드별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적합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모드 등록 방법 (최초 등록)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길이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12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320) 간의 전기적인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 착용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길이 조절 모듈(30)의 길이(L)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커넥터(311a, 311b, 311c)에 의해서 다양한 길이(예를 들어, 도 7a의 L1, 도 7b의 L2) 를 가질 수 있다.
단계 S122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판단된 제1 착용 길이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유저의 제1 모드에 대응되는 착용 길이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에 의해서 선택된 착용 길이를 특정 모드로 설정하여, 이후에 선택된 착용 길이로 판단되면 특정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도 1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길이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앞서 도 1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단계 S13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320) 간의 전기적인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 착용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32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의 고유 정보(user ID information)에 기초하여 유저를 식별할 수 있다. 유저의 고유 정보는 해당 유저만의 고유의 정보로서, 유저의 고유 정보에는 패턴 정보, 패스워드 정보, 제스처 정보, 음성 정보, 홍채 정보, 지문 정보, 얼굴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해당될 수 있으며, 유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면 충분하다. 유저를 식별하는 이유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별 착용 길이가 다를 수 있으므로, 유저에 맞는 착용 길이 별 설정 모드로 변환하기 위함이며, 부가적으로는 유저를 인증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단계는, 유저를 인증하는 보안상의 단계로 해석될 수 있으며, 또는 유저에 따라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단계로도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저가 1인인 경우에는 보안상 추가되는 단계로서 유저의 각종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유저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보안성을 강화되는 단계뿐만 아니라, 유저마다 착용 길이가 다르므로 유저에 따른 모드 설정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스마트 워치를 사용하는 유저가 성인 및 어린이로 2인일 경우, 스마트 워치를 착용하는 신체 부위인 손목의 둘레 길이는 성인 및 어린이에 대하여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유저마다 유저 고유의 착용 길이가 있으므로 유저의 고유 정보와 매칭(matching)시켜 모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단계 S133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판단된 제1 착용 길이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유저의 제1 모드에 대응되는 착용 길이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판단된 제1 착용 길이를 L1이라고 할 경우, L1의 길이를 일반(normal) 모드, 수면 모드, 어린이 모드, 운동 모드 및 측정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일반 모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하여 기본이 되는 디폴트(default)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특별한 설정이 없는 모드를 의미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이나 해제가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수면 모드는, 유저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이 일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단순히 일정 시간 이상 유저의 조작이 없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수면 모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부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될 수 있고, 통화 기능, 와이파이(Wi-Fi) 및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반대로, 수면 모드에서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기능이 존재할 수 있다. 수면 모드로 변환되는 경우, 유저의 수면 패턴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으며, 또는 알람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어린이 모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부 기능이 제한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어린이와 같은 유저에 의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조작되는 경우에 통화, 메시지, 갤러리 및 금융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제한될 수 있다.
운동 모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유저가 활발한 움직임을 가지는 경우를 의미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3차원 공간 상에서 움직이는 경우를 말한다. 운동 모드로 변환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또는 스탑 워치(stop watch) 기능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피에조(piezo) 센서를 구동시킬 수 있다.
측정 모드는 유저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유저의 심박수(또는 맥박), 혈압, 뇌파, 땀 및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내장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유저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유저를 피사체로 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부터 유저의 상태를 분석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정보를 자체적으로 분석하여 유저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의 다양한 모드에 대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의 착용 길이 정보를 매칭시켜 등록시킬 수 있으며, 유저별 설정 모드 및 착용 길이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저장부에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증의 일 예를 도시한다.
앞서 도 13에 관한 설명에서 유저별 착용 길이 및 모드 설정에 관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 인증 단계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입력, 패스워드 입력, 제스쳐 입력, 음성 입력, 홍채 인식, 지문 인식, 얼굴 인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유저를 식별하는 이유는 유저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기에 적합환 환경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같은 수면 모드 일지라도, A 유저는 수면 패턴을 측정하기를 원할 수 있지만, B 유저는 아무런 기능을 수행하지 않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런 경우, A 유저와 B 유저의 착용 길이가 같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를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유저를 식별하는 추가적인 과정을 통해서 유저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스마트 워치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의 실시예가 스마트 워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저가 착용할 수 있는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의 머리, 팔 또는 발에 착용 가능한 밴드(band) 형태, 안경과 같이 거치 가능한 안경(glass) 형태, 손목에 차는 시계(watch) 형태, 손가락에 끼우는 반지(ring), 귀에 끼우는 이어폰(earphone)과 같은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진 디바이스로 넓게 해석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형태로서, 스마트 워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길이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모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각 모드 별로 착용 길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착용 길이에 따른 복수의 모드 설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15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320)의 전기적인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 착용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52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판단된 제1 착용 길이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유저의 제1 모드에 대응되는 착용 길이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153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길이 조절 모듈(30)의 조작에 의하여, 착용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320)의 전기적인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2 착용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54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판단된 제1 착용 길이 및 제2 착용 길이가 서로 동일한 길이인지 비교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55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판단된 제1 착용 길이 및 제2 착용 길이가 서로 다르다고 판단되면, 판단된 제2 착용 길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유저의 제2 모드에 대응되는 착용 길이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8cm의 착용 길이를 일반 모드로 설정시켜 놓은 이후에, 17.5cm의 착용 길이가 판단되면, 이를 운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모드 및 제2 모드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 길이 17.5cm 및 18cm 모두를 일반 모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 착용 길이 및 제2 착용 길이가 서로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판단된 제2 착용 길이는 이미 설정된 제1 모드와 중복되어 설정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하여 유저에게 다른 착용 길이로 조절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1600)는 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화면 상에는 유저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아이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모드 설정(1610)” 아이콘 이외의 다양한 아이콘들(1620, 1630 및 1640)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모드 설정” 아이콘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환경 설정 모드에 함께 표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착용 길이에 따른 모드 설정 외에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에 대한 설정이 가능한 모드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에게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는 모드 설정(1710) 중임을 나타내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유저에게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도록 안내하는 이미지(1720)을 표시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원하는 착용 길이로 착용하세요"와 같이 텍스트 정보(1730)로서 표시할 수도 있다. 유저에게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신체에 착용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는 상기 설명한 이미지 및 텍스트 이외에도 진동, 음향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현재 착용 길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현재의 착용 길이를 판단하여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길이 조절 모듈(30)에서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320) 간의 전기적인 접촉 정보를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길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유저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현재 착용 길이는 18cm입니다”와 같이 단순히 착용 길이 정보(1830)만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부가적으로 유저의 신체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간의 접촉 압력(1840)을 센싱하여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접촉 압력 정보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정상 범위 내의 압력으로 결정되는 경우, “정상입니다”와 같은 접촉 압력 상태 정보(1850)을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접촉 압력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느슨하게 착용하세요" 또는 “더 조이도록 착용하세요”와 같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시계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서, 17-19cm 내외의 범위에서 0.5cm 간격으로 착용 길이를 구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계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이격 거리(1mm 내지 1cm)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종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해서도 다양한 이격 거리를 포함하는 길이 조절 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 즉, 헤어 밴드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길이 조절 모듈에서 조절 가능한 이격 거리와 안경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길이 조절 모듈에서 조절 가능한 이격 거리는 서로 다를 수도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이격 거리 각각이 일정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길이 조절 모듈의 내부 구조에 따라서 이격 거리가 통일되지 않고,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의 경우, 시계줄에는 복수의 칸들이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칸들은 각각의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모드 별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판단된 착용 길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정 모드에 대응되는 착용 길이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현재 판단된 착용 길이 정보(1920)을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어떠한 모드도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일반 모드로 설정하도록 하는 정보(1930)를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수면 모드, 어린이 모드, 운동 모드 및 측정 모드 등 다른 모드로 설정하도록 하는 정보(1940)를 표시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에 의해 특정 모드로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판단된 착용 길이 정보를 선택된 특정 모드와 매칭(matching)시켜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에는 유저, 착용 길이 및 모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일반 모드 설정 완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의 선택에 의해서 착용 길이가 특정 모드로 설정되면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여, 유저가 어떤 모드를 설정하였는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완료된 모드 설정을 재확인하는 정보(2040) 또는 완료된 모드 설정을 취소하도록 하는 정보(2050)을 표시하여 유저의 선택에 대하여 재확인하는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유저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확인 또는 취소의 입력이 없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확인 절차를 종료하고, 완료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설정 가능한 모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복수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앞서, 도 17 내지 도 20에서 일반 모드로의 설정에 추가하여, 다른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과정은 앞서 도 15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를 참조하고, 본 도면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일 예를 설명한다.
유저는 자신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길이에 대하여 특정 모드로의 변환을 원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착용 길이에 따라 모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예를 들어 설명한 것과 같이 착용 길이 18cm 에 대하여 일반 모드로 설정을 완료한 이후에, 유저는 추가적으로 다른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유저에 의해서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길이가 17.5cm로 판단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현재 판단된 착용 길이 정보(2120) 이외에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모드들에 관한 정보(2130, 2140, 2150 및 2160)를 표시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수면 모드, 측정 모드, 운동 모드 및 어린이 모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상기의 모드들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저에 의해서 다양한 모드들이 설정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도 22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도 20에서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현재 판단된 착용 길이 정보(2220), 설정 완료된 모드 정보(22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완료된 모드 설정을 재확인하는 정보(2240) 또는 완료된 모드 설정을 취소하도록 하는 정보(2250)을 표시하여 유저의 선택에 대하여 재확인하는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23에서와 같이, 완료된 설정 모드에 대하여 세부적인 사항을 설정하도록 하는 정보(2340)를 표시하여 유저로 하여금 상세한 설정을 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 모드의 세부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로부터 특정 모드에 대한 세부 설정 요청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특정 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에 의해서 운동 모드에 대한 세부 설정 입력이 수신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운동 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스탑워치 어플리케이션이 있을 수 있다. 유저에 의해서 운동 모드에 대응되는 착용 길이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탑워치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스탑워치 어플리케이션 이외에도, 만보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운동 모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 절감을 위한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설정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운동 모드에서 LED 표시를 설정할 수 있으며, 피에조(piezo) 센서를 실행시켜 유저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예시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나열한 것으로 반드시 상기 언급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유저에 의해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설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완료된 모드 이외의 다른 모드를 추가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운동 모드 설정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소정 착용 길이에 대하여 소정의 모드로의 변환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31에서는 앞서 도 21 내지 도 24에서 일반 모드에서의 착용 길이보다 짧았던 것에 반대로, 일반 모드의 착용 길이보다 긴 착용 길이의 경우에 대하여 수면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며, 앞서 운동 모드에 대하여 설정하는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1에서는 수면 모드에 대한 세부 설정에 대하여 유저로부터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수면 모드에서는 GPS 센서, 온습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종료하여 전력 소비를 절감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Wi-Fi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여서도 전력 소비를 절감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음량 및/또는 화면 밝기를 줄이는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절전 방식은 통합하여 하나의 절전 모드로 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각각의 절전 방식을 별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유저의 수면에 대하여 알람 어플리케이션 실행시키거나,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일정 시간 동안만 재생하도록 하는 설정 또한 가능하다.
모드 변환 방법
도 32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모드를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들이다.
앞서서는 착용 길이에 따른 모드 등록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설정이 완료된 이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모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32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320) 간의 전기적인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착용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22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판단된 착용 길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설정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유저의 설정에 의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이 착용 길이에 따른 모드 설정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착용 길이 설정 모드
17.0cm 측정 모드
17.5cm 운동 모드
18.0cm 일반 모드
18.5cm 수면 모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의 표 1과 같이 저장부에 기설정되어 있는 착용 길이에 따른 설정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판단된 착용 길이에 대응하는 설정 모드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설정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8cm의 착용 길이로 판단되어 일반 모드로 실행중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새롭게 판단된 착용 길이가 17.5cm인 경우, 일반 모드에서 운동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운동 모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탑워치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스탑워치 어플리케이션 이외에도, 만보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모드 변환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로 하여금 원하는 모드로 변환이 되는지를 확인시킴으로써 모드 전환을 유지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모드 변환에 있어서 유저를 식별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실행하여 유저별 모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33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320) 간의 전기적인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착용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32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의 고유 정보(user ID information)에 기초하여 유저를 식별할 수 있다. 유저의 고유 정보에는 패턴 정보, 패스워드 정보, 제스처 정보, 음성 정보, 홍채 정보, 지문 정보, 얼굴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해당될 수 있으며, 유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면 충분하다. 유저를 식별하는 이유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별 착용 길이가 다를 수 있으므로, 유저에 맞는 착용 길이 별 설정 모드로 변환하기 위함이며, 부가적으로는 유저를 인증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저장부에는 하기의 표 2와 같이 유저 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착용 길이 설정 모드

A 유저

17.0cm 측정 모드
17.5cm 운동 모드
18.0cm 일반 모드
18.5cm 수면 모드

B 유저

16.5cm 운동 모드
17.0cm 측정 모드
17.5cm 일반 모드
18.0cm 수면 모드
상기의 표 2와 같이 유저에 따라서 서로 다른 설정을 할 수 있다. 17.5cm 의 착용 길이에 대하여 A 유저에 대하여는 운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B 유저에 대하여는 일반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유저를 식별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는 경우, 유저에 무관하게 동일한 모드로 변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단계 S333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식별된 유저에 대응되는 착용 길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에 대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모드 설정 정보는 18cm인 경우 일반 모드이고, 17,5cm인 경우 운동 모드로 2가지 모드로의 설정일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320) 간의 전기적인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18.5cm의 착용 길이가 판단될 수 있다.
단계 S334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식별된 유저에 대한 착용 길이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 이는 보안성을 강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앞서 예를 계속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판단된 18,5cm의 착용 길이는 식별된 유저에 대하여 어떠한 모드로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통화, 메시지, 갤러리 및 금융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할 수 있다.
단계 S335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식별된 유저에 대하여 착용 길이에 대응하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증을 실패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저 식별 정보 및 착용 길이 정보가 서로 매칭되지 않는 경우, 유저 식별을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실행이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하여, 유저로 하여금 제한되는 기능에 대하여 인지시킬 수 있다. 유저에 의하여 추가적인 사용자 인증이 있는 경우, 차단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설정 모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35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320) 간의 전기적인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착용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52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판단된 착용 길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설정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353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결정된 설정 모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유저의 설정에 의하여 결정된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재 실행 상태를 결정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설정 모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현재 변환된 모드 정보(3610), 착용 길이 정보(3620)과 함께 관련 이미지(3630)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미지 이외에 음향이나 진동 패턴 등으로 모드 고유의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설정 정보(3640) 및 취소 정보(3650) 등을 표시하여 유저로 하여금 모드 변환에 대한 수정이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설정 모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37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320) 간의 전기적인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착용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72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판단된 착용 길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설정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373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결정된 설정 모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8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출력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현재 변환된 모드 정보(3810), 착용 길이 정보(3820)과 함께 실행 어플리케이션(3830)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유저가 운동 모드 변환시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도록 설정한 경우, 자동 실행될 것을 텍스트, 이미지, 음향 또는 진동 패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정보(3840) 및 취소 정보(3850) 등을 표시하여 유저로 하여금 모드 변환에 대한 자동 실행을 변경하거나 취소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모드에서 자동 실행되는 음악 파일의 정보(3920)을 표시할 수 있다. 운동 모드에서 심박수 측정 또는 소모 칼로리 측정 등을 설정해 놓은 경우라면, 이에 대한 측정 정보(3930, 3940)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정보들은 유저에 의해서 변경이 가능하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자동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운동 모드로 변환 시 심박수 측정을 설정해 놓은 경우, 심박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대하여 표시함으로써, 유저로 하여금 운동량 조절 등을 제안할 수 있다. 측정 모드에 적합한 착용 길이가 아닌 경우, 착용 길이를 조절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자동 착용 길이 조절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41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설정 모드 변환 입력이 수신되거나, 변환 조건을 만족하는 환경이 갖추어진 경우, 설정 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서 일반 모드에서 수면 모드로 변환될 수 있으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 센서로부터 피트니스센터라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운동 모드로 변환될 수도 있다.
단계 S412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변환된 설정 모드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앞서,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저장부에는 착용 길이에 따른 설정 모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저에 따라 착용 길이가 다를 수 있으므로, 유저에 따라 착용 길이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 S413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결정된 착용 길이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길이 조절 모듈(30)에 대하여, 특정 착용 길이로 조절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전자 모듈(10) 자체에서 착용 길이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길이 조절 모듈은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320)에 탄성력, 자기력, 또는 모터 등에 따른 동력을 이용하여 제1 체결부(310)의 제1 커넥터(311a, 311b, 311c) 및 제2 체결부(320)의 제2 커넥터(321)의 접촉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42 내지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현재 변환된 모드 정보(4210), 변환 완료 정보(4220) 외에, 착용 길이 정보(4230)를 표시할 수 있다. 착용 길이 정보(4230)는 앞으로 조절될 착용 길이 정보를 의미하며, 현재 착용 길이 정보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착용 길이 정보(4230)과 함께, 착용 길이 조절을 확인하는 정보(4240) 및 취소 선택 정보(4250)을 함께 표시하여, 유저로 하여금 착용 길이 조절 여부를 재차 확인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저장부에 모드에 따른 착용 길이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으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길이 조절 모듈(30)은 변환 예정인 모드에 대응되는 착용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유저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착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유저의 변환 입력에 의해 모드가 변환되는 것과는 달리, 착용 상태 정보를 판단하여 착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심박수 측정 센서로부터 기준 범위 초과의 심박수 측정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착용 길이가 늘어나도록 조절함으로써 유저에 적합한 착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서, 착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유저의 착용 부위에 대한 접촉 압력이 기준 범위 초과로 측정되는 경우, 착용 길이를 늘어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조명 센서로부터 실내 조도가 낮은 경우, 수면 상태로 판단하여, 착용 길이를 늘어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연결 모듈의 인장력(tension)을 측정하는 인장력 센싱 모듈에서 측정한 인장력이 기준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착용 길이를 늘어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모드로 변환되는 경우, 측정 모드에서 적합한 착용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측정 모드의 경우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착용 길이를 줄어들도록 조절할 수 있다. 측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착용 길이를 늘어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양한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에게 적합한 착용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 센서에서 현재 위치를 피트니트센터 로 판단할 경우, 운동 모드로 변환함과 동시에 운동 모드에 대응되는 착용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온도 센서에서 유저의 체온이 평상시보다 높거나, 땀의 배출이 평상시보다 많은 경우, 착용 길이를 늘림으로써 유저에게 쾌적한 착용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용이 가능한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도 12 내지 도 4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손목 시계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어폰 형태, 안경 형태, 반지 형태, 벨트 형태, 밴드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이고, 착용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면 충분하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도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상기 설명한 모드 설정 아이콘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내용에 대하여는 앞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47 내지 도 4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4700)는 제어부(4710), 표시부(4720), 저장부(4730), 센싱부(4740) 및 구동부(47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710)는 CPU(4712), 신호 처리부(4714), ROM(4716) 및 RAM(4718)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4710)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동작을 CPU(4712)에 의해서 실행하고, 각각의 동작에 대응하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제어부(4710)는 도 47에 도시된 각 구성들을 실현할 수 있다. 제어부(47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상기 구성 중 일부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CPU(4712)는 각 구성요소를 연결하여 접속되어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교환함에 있어서 그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CPU(4712)는 RAM(4716)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요소군을 실행함으로써 의도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CPU(4712)는 도 47에 표시되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CPU(4712)는 레지스터에 대하여 ALU(Arithmetic Logic Unit)을 이용하여 가감 곱셈 및 나눗셈 등의 산술 연산 또는 논리합, 논리/논리부정 등의 논리 연산, 비트화, 비트/비트반전, 비트 시프트, 비트 회전 등의 비트 연산 등을 실시할 수 있다. CPU(4712)는 멀티미디어 처리를 위한 가감승제 등의 포화 연산 및 삼각함수 등 벡터 연산을 고속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CPU(4712)는 연산을 고속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코프로세서(coprocessor)를 갖출 수 있다.
ROM(4718)는 전원 투입 직후에 실행되는 IPL(initial program loader)를 저장할 수 있다. CPU(4712)는 IPL을 실행함으로써 ROM(4718)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읽을 수 있다. CPU(4712)는 읽은 프로그램을 RAM(4716)에 저장시킴으로써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ROM(4718)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에 필요한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의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RAM(4716)은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RAM(4716)은 ROM(4718) 및 기록매체 등으로부터 읽은 프로그램, 프로그램에 부수하는 데이터, 통신에 관련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CPU(4712)는 RAM(4716)에 변수 영역을 마련하여 변수 영역에 격납된 값에 대하여 직접 연산을 실시할 수 있다. CPU(4712)는 RAM(4716)에 저장된 값을 우선 레지스터에 격납한 후에 레지스터에 대하여 연산을 실시하여 연산 결과를 메모리에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710)는 상술의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710)는 단일의 CPU(4712)가 아닌 복수의 CPU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병렬 처리를 실시하여 계산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4710)는 상술의 구성요소의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한 프로그램은 ROM(4718)로부터 RAM(4716)으로 로드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에 의한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일부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로부터 로드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의한 프로그램에 관련되어 이용되는 데이터의 전부 도는 일부도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또는 서버)로부터 로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4720)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ferface; UI) 환경에서 디바이스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그 밖에 단말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요구되는 경우, 다양한 조작 명령을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4730)는 제어부(4710)에서 처리되는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4740)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저장부(4730) 내에서 데이터베이스(DB)화 되어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47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4700) 내부 또는 외부의 다양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4740)는 온습소 센서, 기압 센서, 압력 센서, 위치 센서(GPS 등), 인장력 센서, 심박수 측정 센서, 혈압 측정 센서, 가속도 센서, 피에조(piezo)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습도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기압 센서는 현재 위치의 기압을 측정할 수 있고, 압력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위치 센서는 위성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서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으며, 건물 내의 AP(access point) 등을 이용해서도 측정할 수 있다. 인장력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4700)의 연결 모듈 또는 길이 조절 모듈에 가해지는 인장력(tension)을 측정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4700)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하며, 피에조 센서는 소리, 진동, 압력 등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피에조 센서의 경우, 가해지는 진동을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4750)는 착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길이 조절 모듈도 구동부에 포함될 수 있다. 구동부(47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4700)의 내부의 물리적인 힘 또는 유저로부터 가해지는 외부 물리력에 의해서 외형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한 수동 구동 및 구동력(4750)을 가지는 구동부(4750)에 의한 자동 구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동 구동의 경우, 구동부(4750)는 모터와 같이 전기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바꾸거나, 탄성력, 자기력 등에 따른 인척력 등의 작용으로 길이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8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4700)는 통신부(47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760)를 통하여 외부 장치(4800)로 통신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의 심박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외부 장치(48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유저의 심박수를 유저 자신에 의한 심박 측정을 바로 원격지에 있는 의료 관계자에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범위에서, 상술한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요소군은 그 일부를 생략할 수 있다. 반대로, 부가적인 요소를 추가 이용할 수도 있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요소군 중 일부의 요소군을 단일 요소로 그룹화하여 실행할 수 있다. 반대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요소군 중 하나의 요소를 복수의 요소군으로서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전자 모듈
20: 연결 모듈
30: 길이 조절 모듈

Claims (50)

  1. 제1, 제2 전자 모듈;
    상기 제1, 제2 전자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모듈; 및
    상기 연결 모듈이 유저에게 접촉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은,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시 체결 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제1,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체결부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의 길이가 조절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체결부 중 어느 하나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체결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체결부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커넥터에 대한 상기 제1 커넥터의 접촉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의 길이가 조절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제1 전자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 모듈과,
    상기 제1 연결 모듈과 분리되며, 상기 제2 전자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은, 상기 제1, 제2 연결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은, 상기 제1 전자 모듈과 상기 연결 모듈 사이에 또는 상기 제2 전자 모듈과 상기 연결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체결부의 분리시, 상기 제1, 제2 전자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전자 모듈이 장착되며, 유저에게 착용되도록 구성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전자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음향 정보 또는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삭제
  11. 적어도 하나의 전자 모듈을 유저에게 착용하기 위한 웨어러블 구조물로서,
    양 단부가 상기 전자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모듈; 및
    상기 연결 모듈이 유저에게 접촉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은,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시 체결 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제1,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체결부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길이 조절 모듈의 길이가 조절되는 웨어러블 구조물.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 제2 체결부의 전기적인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 착용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제1 착용 길이가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복수의 착용 길이 중 하나인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제1 착용 길이가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복수의 착용 길이 중 하나이면, 상기 결정된 제1 착용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설정 모드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1 착용 길이가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복수의 착용 길이 중 하나가 아니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별 미리 저장된 복수의 착용 길이 각각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복수의 모드 중 하나와 매칭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용 길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 사용자의 제1 모드에 대응하는 착용 길이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2 착용 길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제2 착용 길이가 상기 제1 착용 길이와 다르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착용 길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제2 모드에 대응되는 착용 길이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착용 길이에 따라 설정된 모드 정보 목록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드는,
    일반(normal) 모드, 수면 모드, 어린이 모드, 운동 모드 및 측정 모드 중 하나로 설정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드가 상기 수면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수면 모드의 착용 길이는 상기 일반 모드의 착용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드가 상기 어린이 모드, 운동 모드 또는 측정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어린이 모드, 운동 모드 또는 측정 모드의 착용 길이는 상기 일반 모드의 착용 길이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7. 삭제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패스워드 정보, 제스쳐 입력 정보, 패턴 입력 정보, 음성 정보 및 홍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착용 길이의 변경을 요구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길이를 재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판단된 착용 길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 사용자의 제1 모드에 대응되는 착용 길이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재판단된 착용 길이는 상기 제1 착용 길이와 서로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KR1020140172384A 2014-05-01 2014-12-03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 KR102340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384A KR102340794B1 (ko) 2014-05-01 2014-12-03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
US15/308,194 US10379877B2 (en) 2014-05-01 2015-06-23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5786209.5A EP3146405B1 (en) 2014-12-03 2015-06-23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5/006360 WO2015167318A1 (en) 2014-05-01 2015-06-23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6/537,259 US11307870B2 (en) 2014-05-01 2019-08-09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100 2014-05-01
KR20140053100 2014-05-01
KR1020140172384A KR102340794B1 (ko) 2014-05-01 2014-12-03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268A KR20150126268A (ko) 2015-11-11
KR102340794B1 true KR102340794B1 (ko) 2021-12-21

Family

ID=5435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384A KR102340794B1 (ko) 2014-05-01 2014-12-03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07870B2 (ko)
EP (1) EP3146405B1 (ko)
KR (1) KR102340794B1 (ko)
WO (1) WO2015167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1213B2 (en) * 2015-12-23 2020-04-14 Intel Corporation Biometric-data-based ratings
KR102518671B1 (ko) * 2016-01-08 202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692436B2 (ja) * 2016-01-12 2020-05-13 アモグリーン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WO2017171157A1 (ko) * 2016-03-30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80062605A (ko) * 2016-12-01 2018-06-11 나노소프트(주)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
WO2018101513A1 (ko) * 2016-12-01 2018-06-07 나노소프트(주)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
KR20180083035A (ko) * 2017-01-12 2018-07-20 (주)인포마크 개별적 사용 권한 설정이 가능한 키즈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버 및 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US10184374B2 (en) 2017-02-21 2019-01-22 Umicore Ag & Co. Kg Apparatus and method for desulfation of a catalyst used in a lean burn methane source fueled combustion system
CN114740624A (zh) * 2022-04-15 2022-07-12 青岛虚拟现实研究院有限公司 眼镜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728800A (en) * 1999-03-08 2000-09-28 Xspex, Llc Multi-purpose eyewear
JP4633347B2 (ja) 2003-08-27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8073548B2 (en) * 2004-08-24 2011-12-06 Sensors For Medicine And Science, Inc. Wristband or other type of band having an adjustable antenna for use with a sensor reader
US8260384B2 (en) 2006-09-05 2012-09-04 Symbol Technologies, Inc. Wearable mobile computing system
US20110210931A1 (en) * 2007-08-19 2011-09-01 Ringbow Ltd. Finger-worn device and interaction methods and communication methods
JP5550077B2 (ja) * 2007-09-07 2014-07-16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運動機能性を有する装着可能な装置アセンブリ
US20090151040A1 (en) * 2007-12-18 2009-06-18 Lee-Johnson Je Nette Wearable storage device
JP2009295350A (ja) 2008-06-03 2009-12-17 Nemoto Kikaku Kogyo Kk 電線コネクタ
KR101519652B1 (ko) * 2008-06-26 2015-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정보 제공 방법
US8170231B2 (en) * 2009-11-20 2012-05-01 Motorola Solutions, Inc. Adjustable accessory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8654987B2 (en) * 2010-01-11 2014-02-18 Dennis Palma Audio player headset earhook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US8296983B2 (en) * 2010-03-01 2012-10-30 Disney Enterprises, Inc. Identification bracelet with interchangeable segments providing user selectable sizing
KR101171026B1 (ko) 2010-09-03 2012-08-08 이천석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구동방법
CA2822708A1 (en) * 2011-06-10 2012-12-13 Aliphcom Sensory user interface
US8223024B1 (en) * 2011-09-21 2012-07-17 Google Inc. Locking mechanism based on unnatural movement of head-mounted display
KR20130039918A (ko) 2011-10-13 2013-04-23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액티브형 입체안경
KR101946486B1 (ko) * 2012-08-23 2019-04-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접속 인터페이스 및 이어폰 운용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9254393B2 (en) * 2012-12-26 2016-02-09 Micron Devices Llc Wearable antenna assembly
KR102167384B1 (ko) * 2013-06-24 2020-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50057122A (ko) 2013-11-18 2015-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105009028A (zh) 2013-12-06 2015-10-28 华为终端有限公司 控制终端设备的方法和穿戴式电子设备
US20150172832A1 (en) 2013-12-17 2015-06-18 United Sciences, Llc Iidentity confirmation using wearable computerized earpieces and related methods
US10620457B2 (en) * 2013-12-17 2020-04-14 Intel Corporation Controlling vision correction using eye tracking and depth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268A (ko) 2015-11-11
EP3146405A4 (en) 2017-11-29
US11307870B2 (en) 2022-04-19
EP3146405B1 (en) 2021-08-04
WO2015167318A1 (en) 2015-11-05
US20190361716A1 (en) 2019-11-28
EP3146405A1 (en)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794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
US11711695B2 (en) Wireless earpieces for hub communications
WO2020140445A1 (zh) 一种扬声装置
US10379877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WI700611B (zh) 可穿戴電子裝置
US10085091B2 (en) Ambient volume modification through environmental microphone feedback loop system and method
US201802790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Wireless Earpieces
KR102091520B1 (ko) 이동 단말기
US20180359554A1 (en) Selective Sound Field Environmen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20170109131A1 (en) Earpiece 3D Sound Localization Using Mixed Sensor Array for Virtual Reality System and Method
US20170188127A1 (en) Notification and Activation System Utilizing Onboard Sensors of Wireless Earpieces
US20180324515A1 (en) Over-the-ear headphones configured to receive earpieces
CN109407757B (zh) 显示系统
US10747337B2 (en) Mechanical detection of a touch movement using a sensor and a special surface pattern system and method
KR20160052183A (ko)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
US20190090812A1 (en) Smart socks
KR102127390B1 (ko)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US10492594B2 (en) Activity powered band device
CN105227703B (zh) 眼镜型终端
US116112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module system comprising same
KR102574355B1 (ko) 복수개의 개구부들을 이용하여 소리를 획득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KR20160004129A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US20180278922A1 (en) Wireless earpiece with a projector
KR20160133279A (ko) 귓속 마이크를 내장하여 호흡측정을 지원하는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US20220369021A1 (en) Acoustic output apparat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