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605A -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 - Google Patents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605A
KR20180062605A KR1020160162456A KR20160162456A KR20180062605A KR 20180062605 A KR20180062605 A KR 20180062605A KR 1020160162456 A KR1020160162456 A KR 1020160162456A KR 20160162456 A KR20160162456 A KR 20160162456A KR 20180062605 A KR20180062605 A KR 20180062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requency information
frequency
unit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수
Original Assignee
나노소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소프트(주) filed Critical 나노소프트(주)
Priority to KR1020160162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2605A/ko
Publication of KR20180062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1/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 G04C21/02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53Flexible strap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정보 또는 신체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의 주파수정보를 생성하며, 설정된 알림타이머가 종료된 직후, 생성된 주파수정보를 음파로 출력하거나, 측정된 신체정보를 음파로 출력하기 위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동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의 주파수정보를 생성하며, 운동시간종료에 따라 알림타이머가 종료되면 생성된 주파수정보에 대응되는 음파정보를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알람타이머의 종료를 인식하는 동시에 단말기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SMART STOPWATCH SYSTEM USING SONIC WAV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음파를 통해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스마트 스톱워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정보 또는 신체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의 주파수정보를 생성하며, 설정된 알림타이머가 종료된 직후, 생성된 주파수정보를 음파로 출력하거나, 측정된 신체정보를 음파로 출력하기 위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사용이 사용자뿐 아니라 사물에도 인터넷이 연결되는 사물인터넷이 주목받고 있다.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은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환경에서 주고받는 기술을 일컫는다.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디어, 기기, 서비스 등 정보 통신 기술 및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융합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사람들이 항상 휴대하고 있으며, 외부장치와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통해 주로 이용된다. 최근에는 스마트워치 등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량, 신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관심을 받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95614호(이하 '선행문헌'이라 칭함)는 사용자의 손목 등에 탈부착이 가능한 스마트워치를 구비하고, 스마트워치 내에 구비된 맥박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맥박에 따라 촬영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자동으로 촬영된 영상이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함께 지정된 번호로 자동 전송됨으로써 사용자의 위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맥박측정과 자동 촬영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은 이동통신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동통신망 사용에 따른 비용이 부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뿐 아니라 wi-fi, 블루투스, 지그비, RF통신 등을 근거리 통신망을 사용할 경우, 통신모듈에 구비에 따라 단가가 증가 되며, 전력 소모에 대한 부담을 가지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95614호(발명의 명칭 :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맥박측정과 자동촬영전송장치, 등록일 : 2014.05.0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운동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의 주파수정보를 생성하며, 운동시간종료에 따라 알림타이머가 종료되면 생성된 주파수정보에 대응되는 음파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부에 천공홀을 구비하며, 음파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음파가 천공홀을 관통하여 스마트 스톱워치의 전방으로 출력되는데 그 목적이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외부충격에 의해 특정방향으로 말아지는 스냅밴드가 스마트 스톱워치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스마트 스톱워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운동정보, 운동시작 및 종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데이터에 대응되는 특정정보를 인식하는 입력데이터인식부, 상기 특정정보에 운동의 종료시간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종료시간정보에 대응되는 알림타이머를 작동 및 디스플레이하는 타이머부, 상기 인식된 특정정보에 대응되는 특정주파수정보를 생성하는 주파수정보생성부 및 상기 알림타이머가 종료된 직후, 상기 특정주파수정보가 포함된 음파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음파출력부가 포함된 스마트 스톱워치와 상기 스마트 스톱워치로부터 출력된 음파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음파수신부, 수신된 상기 음파신호에 대응되는 특정주파수정보를 인식하는 주파수인식부 및 상기 특정주파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정보를 식별하는 데이터식별부가 포함된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력부는 외부 푸쉬 또는 접촉에 의해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에 입력된 푸쉬 또는 접촉에 따라 상기 입력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부에 적어도 하나의 천공홀이 구비되며, 상기 음파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음파신호는 상기 천공홀을 관통하여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파수생성부는 특정 운동정보를 의미하는 운동 주파수정보, 유효데이터 주파수정보, 상기 유효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한 체크섬 주파수정보, 상기 유효데이터정보와 상기 체크섬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자 주파수정보, 상호 인접한 동일 유효데이터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유효데이터구분 주파수정보에 대응되는 각 주파수정보를 송신데이터베이스와 매칭시켜 식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음파출력부는 상기 주파수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운동 주파수정보, 유효데이터 주파수정보, 체크섬 주파수정보, 구분자 주파수정보, 유효데이터구분 주파수정보를 동시에 출력하거나 기 설정된 순서에 의해 상기 각 주파수정보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스톱워치의 일단부에 장착이 가능하며, 소정의 외부충격에 의해 특정방향으로 말리는 스냅밴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마트 스톱워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판을 통해 접촉된 신체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신체정보측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파수정보생성부는 상기 측정된 신체정보에 대응되는 신체주파수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신체주파수정보는 음파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음파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동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의 주파수정보를 생성하며, 운동시간종료에 따라 알림타이머가 종료되면 생성된 주파수정보에 대응되는 음파정보를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알람타이머의 종료를 인식하는 동시에 단말기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부에 천공홀을 구비하며, 음파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음파가 천공홀을 관통하여 스마트 스톱워치의 전방으로 출력됨으로써, 단말기의 음파수신률을 높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외부충격에 의해 특정방향으로 말아지는 스냅밴드가 스마트 스톱워치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스마트 스톱워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손목, 운동기구에 스마트 스톱워치를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정보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특정 주파수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톱워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냅밴드가 장착된 스마트 스톱워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냅밴드를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의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훌라후프에 장착된 스마트 스톱워치의 일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훌라후프에 장착된 스마트 스톱워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요가매트에 장착된 스마트 스톱워치의 일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은 스마트 스톱워치(100),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살펴보면, 스마트 스톱워치(100)는 입력부(110), 입력데이터인식부(120), 타이머부(130), 주파수정보생성부(140), 음파출력부(150), 신체정보측정부(160), 송신데이터베이스(18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정보, 운동시작 및 종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장치이다. 여기서 운동정보는 요가, 훌라후프, 런닝, 수영 등의 운동정보일 수 있다. 입력부(110)는 외부 푸쉬 또는 접촉에 의해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111) 및 버튼부(111)에 입력된 푸쉬 또는 접촉에 따라 입력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111)가 운동시작버튼과 운동설정버튼으로 구비된 경우, 운동설정버튼에 의해 훌라후프로 운동이 설정되고, 운동시작버튼이 외부 푸쉬 또는 접촉에 의해 작동되면, 데이터생성부(112)는 '요가, 운동시작'이라는 입력데이터를 생성한다.
입력데이터인식부(120)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입력데이터에 대응되는 특정정보를 인식하는 장치이다. 입력데이터인식부(120)는 버튼부(111)의 푸쉬 또는 접촉된 시간 및 횟수에 따라 입력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시작버튼이 한번 눌리면 운동시간이 1분 증가로 인식하며, 운동시작버튼이 연속적으로 계속 눌릴 경우, 운동시간의 자동증가로 인식된다. 또한, 입력설정버튼과 운동시작버튼이 동시에 눌릴 경우, 초기화로 인식한다. 한편, 버튼부(111)의 푸쉬 또는 접속에 따른 입력데이터 인식은 위의 예시로 한정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 또는 추가설정될 수 있는 기능이다.
타이머부(130)는 특정정보에 운동의 종료시간정보가 포함되면, 종료시간정보에 대응되는 알림타이머를 작동시키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버튼부(111)에 구비된 운동설정버튼을 통해 '운동시간 33분'이라는 운동종료시간이 지정되면, 입력데이터인식부(120)를 통해 운동이 종료되는 시간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타이머부(130)는 인식된 '33분'의 운동종료시간을 카운팅한다. 또한, 타이머부(130)는 인식된 운동종료시간을 사용자가 시각으로 확인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한다.
주파수정보생성부(140)는 인식된 특정정보에 대응되는 특정주파수정보를 생성한다. 도 2를 통해 주파수정보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특정주파수정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주파수정보생성부(140)는 특정 운동정보를 의미하는 운동주파수정보, 유효데이터주파수정보, 유효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한 체크섬주파수정보, 유효데이터정보와 체크섬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자주파수정보, 상호 인접한 동일 유효데이터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유효데이터구분주파수정보에 대응되는 각 주파수정보를 조합하여 특정 주파수정보를 생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1부터 0은 유효데이터 주파수정보이다. D는 상호 인접한 동일 유효데이터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유효데이터구분 주파수정보이다. H, J, K, L은 각 운동에 대응되는 운동 주파수정보이다. #는 유효데이터정보와 체크섬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자 주파수정보이다. B는 입력데이터의 종료를 의미하는 주파수정보이다.
도 2는 요가운동 33분이라는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경우의 일 실시예이다. 따라서 요가에 대응되는 운동 주파수정보 'H', 유효데이터는 33에 대응되는 유효데이터 주파수정보 '3', '3'이 생성된다. 또한, '33'과 같이 상호 인접한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한 유효데이터구분 주파수정보 '11'이 유효데이터 중간에 삽입된다. 유효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한 체크섬주파수정보 '1', '7'이 생성된다. 체크섬주파수정보는 유효데이터를 모두 합친 값이 된다. 도 2의 경우는 유효데이터 '3', 유효데이터구분 주파수정보 '11'. 유효데이터 '3'이 합산된 '17'이 체크섬주파수정보가 된다. 또한, 유효데이터정보와 체크섬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자 주파수정보 '#'이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주파수정보의 끝을 의미하는 종료주파수 'B'가 생성된다.
도 2의 예시의 경우, 주파수정보생성부(140)는 'H 3 D 3 # 1 7 B'의 주파수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H가 10000Hz, 3이 10300Hz, D가 11000Hz, 1이 10100HZ, 7이 10700Hz, #이 12000Hz, B가 19000Hz로 설정되어있다면, 각 설정된 주파수 정보가 생성된다. 즉, 10000Hz, 10300Hz, 11000Hz, 10300Hz, 12000Hz, 10100HZ, 10700Hz, 19000Hz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생성된다. 한편, 각 주파수정보는 위의 예시로 한정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설정가능한 사항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청각으로 알림을 인식하기 위해 가청주파수 영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음파출력부(150)는 알림타이머가 종료된 직후, 특정주파수정보가 포함된 음파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일 예로, 알람타이머가 '33'분으로 지정된 경우, 운동시작부터 33분이 경과한 직후, 주파수정보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특정 주파수정보를 외부로 음파출력한다. 이에 도 2의 예시와 같이 생성된 주파수가 10000Hz, 10300Hz, 11000Hz, 10300Hz, 12000Hz, 10100HZ, 10700Hz, 19000Hz 경우, 음파출력부(150)는 생성된 주파수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기 설정된 시간동안 음파출력된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150ms 일 경우, 각 주파수는 150ms씩 음파출력된다. 한편, 음파출력부(150)는 입력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해 하나의 입력데이터를 음파출력 한 뒤, 일정시간의 묵음시간을 갖는다.
또한, 음파출력부(150)는 생성된 각 주파수정보를 동시에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주파수정보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영역을 갖는다. 예를 들어, 운동 주파수가 10000Hz부터 11000Hz의 영역으로 지정되며, 제1유효데이터주파수를 1110hz부터 12000HZ, 제2유효데이터주파수를 12100Hz부터 1300Hz, 제3유효데이터주파수를 13100Hz부터 1400Hz로 지정되며, 유효데이터구분 주파수를 15000Hz, 체크섬주파수가 16100Hz부터 17000Hz, 구분자 주파수가 18000Hz, 종료주파수가 19000Hz의 영역으로 지정된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한다.
한편, 제1유효데이터주파수는 유효데이터의 첫 자리를 의미하며, 제2유효데이터주파수는 유효데이터의 두 번째 자리를 의미한다. 제3유효데이터주파수는 유효데이터의 세 번째 자리를 의미한다. 일 예로, 유효데이터가 35일 경우, 제1유효데이터주파수는 '3'이 되며, 제2유효데이터주파수는 '5'가 된다. 한편, 유효데이터주파수의 개수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으며, 위의 예시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각 주파수영역은 기 설정된 주파수 단위로 구획된다. 운동주파수의 경우는 10000Hz부터 11000Hz의 주파수영역을 사용하며, 기 설정된 주파수 단위가 100Hz라면, 11100은 요가, 11200은 런닝, 11300은 훌라우프, 11400은 수영 등과 같이 운동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주파수정보를 갖는다.
또한, 제1유효데이터의 경우는 11100Hz부터 12000Hz까지 사용되며, 11100Hz가 1, 11200Hz가 2, 11300Hz가 3, 11400Hz가 4, 11500Hz가 5, 11600Hz가 6, 11700Hz가 7, 11800Hz가 8, 11900Hz가 9, 12000Hz가 0으로 지정될 수 있다. 제2유효데이터의 경우는 12100Hz부터 13000Hz까지 사용되며, 12100Hz가 1, 12200Hz가 2, 12300Hz가 3, 12400Hz가 4, 12500Hz가 5, 12600Hz가 6, 12700Hz가 7, 12800Hz가 8, 12900Hz가 9, 13000Hz가 0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체크섬주파수의 경우는 16100Hz부터 17000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16100Hz가 1, 16200Hz가 2, 16300Hz가 3, 16400Hz가 4, 16500Hz가 5, 16600Hz가 6, 16700Hz가 7, 16800Hz가 8, 16900Hz가 9, 12000Hz가 0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주파수는 서로 다른 주파수영역을 사용함에 따라 주파수정보를 동시에 출력하더라도 단말기가 데이터를 인식하는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위의 예시를 통해 '요가 23'의 유효데이터를 음파로 출력할 경우, 주파수정보생성부(140)는 요가에 대응되는 주파수 11100Hz, 제1유효데이터 '2'에 대응되는 주파수 11200Hz, 제2유효데이터 '3'에 대응되는 주파수 12300Hz, 체크섬 '5'에 대응되는 체크섬주파수 16500Hz, 구분자 주파수 18000Hz, 종료주파수 19000Hz를 생성한다. 음파출력부(150)는 생성된 주파수 11100Hz, 11200Hz, 12300Hz, 16500Hz, 18000Hz, 19000Hz를 동시에 음파출력한다. 한편, 송출시간이 150ms로 지정된 경우, 150ms 동안 11100Hz, 11200Hz, 12300Hz, 16500Hz, 18000Hz, 19000Hz의 주파수정보가 동시에 음파로 출력된다.
11100Hz, 11200Hz, 12300Hz, 16500Hz, 18000Hz, 19000Hz의 주파수가 순차적으로 될 경우, 900ms의 음파출력시간을 필요로 하는 반면, 병렬식 음파출력은 150ms의 음파출력시간만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병렬식으로 음파출력의 방식을 사용하면, 유효데이터의 전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신체정보측정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판을 통해 접촉된 신체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주파수정보생성부(140)는 측정된 신체정보에 대응되는 신체주파수정보를 생성한다. 음파출력부(150)는 생성된 신체주파수정보를 외부로 음파출력한다. 한편, 주파수정보생성부(140)에 생성된 신체주파수정보는 앞서 설명한 특정 주파수정보를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송신데이터베이스(180)는 주파수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송신주파수테이블과 각각의 주파수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송신데이터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송신데이터테이블로 이루어진다. 송신주파수테이블은 운동주파수정보, 유효데이터 주파수정보, 체크섬주파수정보, 유효데이터구분 주파수정보, 구분자 주파수정보, 종료주파수의 주파수 값 등이 지정되어 있다. 송신데이터테이블은 각 주파수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지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송신주파수테이블에 제1유효데이터가 11100Hz부터 12000Hz으로 지정된 경우, 송신데이터테이블에는 11100Hz가 1, 11200Hz가 2, 11300Hz가 3, 11400Hz가 4, 11500Hz가 5, 11600Hz가 6, 11700Hz가 7, 11800Hz가 8, 11900Hz가 9, 11200Hz가 0으로 매핑시켜 저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200)는 음파수신부(210), 주파수인식부(220), 데이터식별부(230), 운동량측정부(240), 알림부(250), 저장부(260), 수신데이터베이스(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파수신부(210)는 스마트 스톱워치(100)로부터 출력된 음파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음파수신부(21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이 음성 및 음파의 수신이 가능한 장치로 구비된다.
주파수인식부(220)는 수신된 음파신호에 대응되는 특정주파수정보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음파수신부(210)에 수신된 음파신호가 10000Hz, 10300Hz, 11000Hz, 10300Hz, 12000Hz, 10100HZ, 10700Hz, 19000Hz 경우, 수신된 음파에 포함된 주파수정보를 각 인식하게 된다.
데이터식별부(230)는 인식된 특정주파수정보에 대응되는 특정정보를 식별한다. 주파수인식부(220)에 의해 인식된 주파수정보가 10000Hz, 10300Hz, 11000Hz, 10300Hz, 12000Hz, 10100HZ, 10700Hz, 19000Hz라면, 각 주파수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인식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식별부(230)는 데이터인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테이블에 10000Hz가 '요가', 10300Hz가 '3', 11000Hz가 '동일데이터구분', 12000Hz가 '구분자', 10100HZ가 '1', 10700Hz, '7', 19000Hz가 '종료'로 저장되어 있다면, 데이터식별부(230)는 요가 33분이라는 정보를 식별한다.
운동량측정부(240)는 식별된 특정정보에 대응되는 운동량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식별부(230)에 의해 식별된 정보가 '요가 33분'일 경우, 요가를 33분 했을 때, 소비된 칼로리 등의 운동량을 측정한다.
저장부(260)는 운동량측정부(240)에 의해 측정된 운동량을 기록하여 저장하는 장치이다. 저장부(260)는 운동날짜, 시간, 종류, 운동량 등을 저장하며, 사용자는 저장부(260)에 저장된 기록정보를 살펴볼 수 있다.
수신데이터베이스(270)는 주파수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수신주파수테이블과 각각의 주파수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수신데이터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수신데이터테이블로 이루어진다.
수신주파수테이블은 송신주파수테이블과 동일한 값이 지정되며, 수신데이터테이블은 송신데이터테이블과 동일한 값으로 지정된다. 따라서 주파수인식부(220)는 수신된 주파수정보를 수신주파수테이블과 매칭시켜 특정 주파수정보를 추출하며, 데이터식별부(230)는 추출된 특정 주파수정보를 수신데이터테이블과 매핑시켜 특정 유효데이터를 추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톱워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 평면도는 스마트 스톱워치에 입력부(110)가 2개 구비된 실시예이며, 좌우로 구비된 버튼부(111) 사이에 타이머부(130)가 위치된다. 또한, 입력부(110)에 버튼부(111)가 구비되며, 버튼부(111)을 신체정보측정부(160)가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부(111)를 푸쉬 또는 터치할 경우,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 평면도를 살펴보면, 버튼부(111)에 천공홀(11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음파를 츨력하는 음파출력부(150)가 버튼부(111)의 하단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음파출력부(150)에 의해 특정 음파신호가 출력될 경우, 특정 음파신호는 버튼부(111)에 구비된 천공홀(113)을 관통하여 출력되어 진다. 음파신호가 스마트 스톱워치(100)의 정면에서 출력됨에 따라 단말기(200)의 음파인식률이 증가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스톱워치(100)의 음파출력부(150)가 도 3과 반대로 결합되면, 음파신호는 사용자의 손목, 운동기구 등에 막혀 단말기(200)로 정확히 송신되지 않을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스톱워치(100)는 전력을 인가하는 배터리(17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냅밴드가 장착된 스마트 스톱워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스냅밴드(300)가 스마트 스톱워치(100)의 일단부에 장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스톱워치(100)는 스냅밴드(300)의 장착이 가능한 케이싱으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스마트 스톱워치(100)는 스냅밴드(300)의 삽입이 가능한 삽입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스냅밴드(3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버튼부(111) 및 신체정보측정부(160)는 스마트 스톱워치(100)의 케이스(114) 외측면보다 안쪽에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운동 중에 입력부(110)를 오작동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냅밴드를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의 장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스냅밴드(300)는 소정의 외부충격이 가해지면 특정방향으로 말리는 특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소정의 외부충격에 의해 스냅밴드(300)가 말림으로써, 스마트 스톱워치(100)를 사용자의 손목, 훌라후프의 몸체 등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훌라후프에 장착된 스마트 스톱워치의 일 실시예이다. 도 6의 경우는 스마트 스톱워치(100)에 장착된 스냅밴드(300)가 훌라후프(400)의 몸체를 감쌈으로써, 훌라후프(400)에 스마트 스톱워치(100)가 장착되는 구조이다. 도 6은 스냅밴드(300)를 통해 운동기구에 스마트 스톱워치(100)를 장착하는 실시예로써, 스마트 스톱워치(100)는 스냅밴드(300)를 통해 사용자의 손목, 요가매트 등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훌라후프에 장착된 스마트 스톱워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의 경우는 스마트 스톱워치(100)가 훌라후프(400)의 내측에 함입형성된 안착홀에 스마트 스톱워치(100)가 장착된 구조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요가매트에 장착된 스마트 스톱워치의 실시예이다. 도 8의 실시예는 요가매트(500)를 말아서 보관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말려져 있는 요가매트(500)는 끈이나 고무줄로 묶어서 보관하지 않으면, 풀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소정의 외부충격에 의해 특정방향으로 말려지는 스냅밴드(300)를 통해 요가매트(500)를 고정함으로써, 요가매트(500)와 운동을 측정하기 위핸 스마트 스톱워치(100)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 및 도 8은 스마트 스톱워치(100)의 장착구조의 일 실시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스마트 스톱워치 110 : 입력부
111 : 버튼부 112 : 데이터생성부
113 : 천공홀 114 : 케이스
120 : 입력데이터인식부 130 : 타이머부
140 : 주파수정보생성부 150 : 음파출력부
160 : 신체정보측정부 170 : 배터리
180 : 송신데이터베이스 200 : 단말기
210 : 음파수신부 220 : 주파수인식부
230 : 데이터식별부 240 : 운동량측정부
250 : 알림부 260 : 저장부
270 : 수신데이터베이스 300 : 스냅밴드
400 : 훌라후프 500 : 요가매트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운동정보, 운동시작 및 종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데이터에 대응되는 특정정보를 인식하는 입력데이터인식부; 상기 특정정보에 운동의 종료시간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종료시간정보에 대응되는 알림타이머를 작동 및 디스플레이하는 타이머부; 상기 인식된 특정정보에 대응되는 특정주파수정보를 생성하는 주파수정보생성부; 및 상기 알림타이머가 종료된 직후, 상기 특정주파수정보가 포함된 음파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음파출력부가 포함된 스마트 스톱워치; 및
    상기 스마트 스톱워치로부터 출력된 음파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음파수신부; 수신된 상기 음파신호에 대응되는 특정주파수정보를 인식하는 주파수인식부; 및 상기 특정주파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정보를 식별하는 데이터식별부가 포함된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외부 푸쉬 또는 접촉에 의해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에 입력된 푸쉬 또는 접촉에 따라 상기 입력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부에 적어도 하나의 천공홀이 구비되며, 상기 음파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음파신호는 상기 천공홀을 관통하여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생성부는
    특정 운동정보를 의미하는 운동 주파수정보, 유효데이터 주파수정보, 상기 유효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한 체크섬 주파수정보, 상기 유효데이터정보와 상기 체크섬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자 주파수정보, 상호 인접한 동일 유효데이터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유효데이터구분 주파수정보에 대응되는 각 주파수정보를 송신데이터베이스와 매칭시켜 식별 및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출력부는
    상기 주파수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운동 주파수정보, 유효데이터 주파수정보, 체크섬 주파수정보, 구분자 주파수정보, 유효데이터구분 주파수정보를 동시에 출력하거나 기 설정된 순서에 의해 상기 각 주파수정보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톱워치의 일단부에 장착이 가능하며, 소정의 외부충격에 의해 특정방향으로 말리는 스냅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톱워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판을 통해 접촉된 신체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신체정보측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파수정보생성부는 상기 측정된 신체정보에 대응되는 신체주파수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신체주파수정보는 음파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음파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
KR1020160162456A 2016-12-01 2016-12-01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 KR20180062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456A KR20180062605A (ko) 2016-12-01 2016-12-01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456A KR20180062605A (ko) 2016-12-01 2016-12-01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605A true KR20180062605A (ko) 2018-06-11

Family

ID=62601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456A KR20180062605A (ko) 2016-12-01 2016-12-01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2605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275A (ko) * 2004-09-09 2006-03-14 주식회사 팬택 회로기판 아래에 스피커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20080103386A (ko) * 2007-05-23 2008-11-27 주식회사 두성기술 운동 시간을 알려주는 운동 알람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5614B1 (ko) 2013-12-06 2014-05-16 조원석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맥박측정과 자동촬영전송장치
KR101524721B1 (ko) * 2014-05-13 2015-06-02 주식회사 제니스헬스케어 체성분 관리 시스템
KR20150126268A (ko) * 2014-05-01 201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
KR20160049332A (ko) * 2014-10-27 2016-05-09 나노소프트(주) 음파 통신을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
KR101645175B1 (ko) * 2015-05-26 2016-08-03 나노소프트(주) 음파 통신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275A (ko) * 2004-09-09 2006-03-14 주식회사 팬택 회로기판 아래에 스피커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20080103386A (ko) * 2007-05-23 2008-11-27 주식회사 두성기술 운동 시간을 알려주는 운동 알람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5614B1 (ko) 2013-12-06 2014-05-16 조원석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맥박측정과 자동촬영전송장치
KR20150126268A (ko) * 2014-05-01 201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
KR101524721B1 (ko) * 2014-05-13 2015-06-02 주식회사 제니스헬스케어 체성분 관리 시스템
KR20160049332A (ko) * 2014-10-27 2016-05-09 나노소프트(주) 음파 통신을 이용한 정보 송수신 시스템
KR101645175B1 (ko) * 2015-05-26 2016-08-03 나노소프트(주) 음파 통신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2699B2 (en) Ear associated machine-human interface
CN105389957B (zh) 可穿戴设备的通信方法、装置及系统
ES2557934T3 (es) Detector de ultrasonidos
CN103929835A (zh) 闹钟振铃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05392094A (zh) 包括位置识别单元的助听装置
CN101124617A (zh) 用于耳聋的人的管理和辅助系统
CN105550552B (zh) 一种移动终端的保护方法及装置
CN110070863A (zh) 一种语音控制方法及装置
CN101401757A (zh) 聋人声音辨知仪
CN100394751C (zh) 一种移动通信终端的障碍物检测装置及其方法
CN108491539A (zh) 终端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090051555A (ko) 다수개 단말기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통합 모니터링시스템및 방법
KR101674144B1 (ko) 웨어러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KR20180050127A (ko) M2m 통신을 이용한 웨어러블 장치의 운동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4052518A (zh) 具有行踪及动作测定及管理功能的随身穿戴表件
KR20180062605A (ko)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
DK1661074T3 (da) Fremgangsmåde til accept af indretninger, en hertil anvendelig anordning samt udstyr
CN104042430A (zh) 一种盲人用室内场所智能引导方法及系统
JP3007047B2 (ja) 音響識別装置
CN106713641B (zh) 一种基于穿戴设备的报时方法及穿戴设备
EP2042081A1 (en) Training device for athlete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an athlete
CN104581607B (zh) 一种入耳式无线传输防作弊器及其防作弊方法
WO2018101513A1 (ko) 음파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스톱워치시스템
RU2384885C2 (ru) Персональный радиосигнальный модуль, способ персональ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о помощи при возникновении опасной ситуаци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ема и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поступающей с персонального радиосигнального модуля
CN105763212B (zh) 用户行为确定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