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144B1 - 웨어러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144B1
KR101674144B1 KR1020150068732A KR20150068732A KR101674144B1 KR 101674144 B1 KR101674144 B1 KR 101674144B1 KR 1020150068732 A KR1020150068732 A KR 1020150068732A KR 20150068732 A KR20150068732 A KR 20150068732A KR 101674144 B1 KR101674144 B1 KR 101674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user
length
sensor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박은정
손솔
박지홍
Original Assignee
이용우
박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우, 박은정 filed Critical 이용우
Priority to KR1020150068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G06F19/3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웨어러블 기기가 제공된다. 웨어러블 기기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탈부착 가능한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연결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제1 몸체로부터 인출되는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 측정 센서; 및 상기 길이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길이 측정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a wearable device and an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최근에는 사용자가 간단히 착용하여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웨어러블 기기가 등장하였다.
이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삶의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는 시도로서, 사용자의 운동 보조 기구로서 웨어러블 기기를 적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형, 운동 동작 또는 운동 습관 등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운동 방식, 운동 이력 및 체형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자신의 체형 및 운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간단하게 착용하여 사물 또는 몸의 일부의 길이 또는 둘레를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탈부착 가능한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연결된 인출 부재; 상기 인출 부재가 제1 몸체로부터 인출되는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 측정 센서; 및 상기 길이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길이 측정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허리 둘레를 측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완 둘레를 측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사용자의 상완의 둘레의 측정 결과의 변화를 사용자 단말이 표시하는 것을 예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친업 운동의 운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는 제1 몸체(110), 제2 몸체(120) 및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에 연결된 와이어(130)를 포함한다.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에 탈부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탈부착 가능한"의 의미는 어떠한 물체가 다른 물체에 용이하게 부착 또는 탈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몸체(120)는 외력에 의하여 제1 몸체(110)에 부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와이어(130)는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에 연결되고, 제1 몸체(110)로부터 인출되거나 제1 몸체(1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힘 이상으로 와이어(130)를 제1 몸체(110)로부터 잡아당기거나, 해제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이 와이어(130)의 인출 잠금을 해제한 상태라면, 와이어(130)는 제1 몸체(110)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130)가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일정 힘 이하로 와이어(130)를 제1 몸체(110)로부터 잡아당기거나, 해제 버튼의 누름을 중단하여 와이어(130)의 인출 잠금을 한 상태라면, 와이어(130)는 인출된 소정의 길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웨어러블 기기(100)의 와이를 소정의 길이만큼만 인출하여, 예를 들어, 목에 걸거나 팔에 차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와이어(130)의 두께는 1mm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길이의 측정 수단인 인출 부재를 와이어(130)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인출 부재는 와이어뿐만 아니라, 테이프, 끈, 고무줄 등 유연성(flexibility)를 가지며 인장력에 대항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어떠한 부재도 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와이어 대신에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고, 그 폭은 5mm 이고 두께는 1mm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는 제1 몸체(110)를 구성하는 제1 덮개(112) 및 하우징(114), 제1 덮개(112) 및 하우징(114) 사이에 배치되는, 즉, 제1 몸체(110)에 수납되는, 버튼 스프링(140), 회로 기판(150), 판 스프링(160) 및 와이어(130), 및 제2 몸체(120)를 구성하는 제2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10)를 구성하는 제1 덮개(112) 및 하우징(114)은, 조립 상태에서, 그 사이에 버튼 스프링(140), 회로 기판(150), 판 스프링(160) 및 와이러를 수납할 수 있다. 하우징(114)의 일 측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개구를 통해 와이어(130)는 인출될 수 있다.
버튼 스프링(140)은 코일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 내부의 축을 포함하고, 스프링 내부에 위치하는 축의 회전을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탄성 복원 가능한 눌림식 잠금장치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버튼 스프링(140)은 코일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에 동심이면서 회로 기판(150)을 통과하여 판 스프링(160)에 연결되는 축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스프링(140)은 코일 스프링이 탄성 이완된 상태에서 축의 회로 기판(150)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고 코일 스프링이 탄성 압축된 상태에서 축의 회로 기판(150)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버튼 스프링(140)을 구성하는 축의 일단은 판 스프링(16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덮개(112)와의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114)에 대하여 제1 덮개(112)를 눌러 버튼 스프링(140)의 스프링을 탄성 압축할 때, 버튼 스프링(140)의 축은 잠금 해제되어 회로 기판(15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와이어(130)는 하우징(114) 내에서 권취되어 일단이 판 스프링(160)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하우징(114)의 개구를 통과하여 제2 몸체(120)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130)를 제1 몸체(110)로부터 일정 힘 이상으로 잡아당기면, 당겨진 와이어(130)의 장력에 의해 내부의 권취된 와이어(130)는 그 중심의 판 스프링(160)에 대하여 회전 모멘트를 작용할 수 있다.
만일, 버튼 스프링(140)이 잠금 해제 상태라면, 즉, 제1 덮개(112)를 하우징(114)에 대하여 누른 상태라면, 판 스프링(160) 및 판 스프링(160)에 동심인 버튼 스프링(140)의 축은 회전될 수 있고, 와이어(130)는 제1 몸체(1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또한, 만일 버튼 스프링(140)이 잠금 상태라면, 즉, 제1 덮개(112)를 하우징(114)에 대하여 누르지 않는 상태라면, 버튼 스프링(140)의 축은 회전되지 않을 수 있고, 와이어(130)는 제1 몸체(110)로부터 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회로 기판(150)은 버튼 스프링(140)과 판 스프링(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150)은 회로 기판(150) 상에 실장된 길이 측정 센서, 동작 감지 센서 및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에서는, 길이 측정 센서, 동작 감시 센서 및 무선 통신 모듈이 각각 별도의 패키지로서, 회로 기판(150) 상에 서로 다른 위치에 실장된 것이 예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측정 센서, 동작 감지 센서 및 무선 통신 모듈은 그 기능적인 측면에서 각각의 구성요소를 달리 지칭한 것일 뿐이며, 그것들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두 개의 모듈 또는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길이 측정 센서는 와이어(130)가 제1 몸체(110)로부터 인출되는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싱시예에서, 길이 측정 센서는 버튼 스프링(140)의 축의 회로 기판(150)에 실장된 길이 측정 센서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의 정도를 측정하여, 와이어(130)가 제1 몸체(110)로부터 인출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길이 측정 센서는, 예를 들어, 24Hz의 펄스를 감지하는 인코더일 수 있고, 버튼 스프링(140)의 축의 표면에 표시된 인식 라인의 변화를 카운팅하여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권취된 와이어(130)의 반경은 와이어(130)의 인출에 따라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길이 측정 센서 또는 길이 측정 센서로부터 축의 회전 각도에 대한 측정 결과를 분석하는 다른 모듈은 와이어(130)의 인출된 길이에 대한 축의 회전 각도의 변동을 고려하여 와이어(130)가 인출된 길이를 결정한다.
동작 감지 센서는 웨어러블 기기(100)의 2차원 또는 3차원적인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와 웨어러블 기기(100)간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적을 것이므로, 웨어러블 기기(100)에 대한 동작 감지는 사용자의 동작 감지로 해석될 수 있다.
즉, 동작 감지 센서는 웨어러블 기기(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2차원 또는 3차원적인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길이 측정 센서 또는 동작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길이 또는 동작에 관한 신호를 외부 단말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전송 규약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준으로서 공개되는 다양한 무선 통신 규약을 사용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는 판 스프링(16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배터리는 코인형 배터리일 수 있다.
제2 몸체(120)를 구성하는 제2 덮개는 와이어(130)와의 연결을 제공하는 개구 및 내부 침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침강부는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의 부착 상태에서 제1 몸체(110)의 일부분을 수용함으로써,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의 부착을 견고히 하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부 침강부에는 판형 자석(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판형 자석은 제1 몸체(110)에 포함된 자성체(미도시)에 인력을 작용할 수 있고,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의 자기력을 이용한 부착을 실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은 웨어러블 기기(100)와 사용자 단말(200) 및 운영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예를 들어, 와이어(130)를 목걸이 또는 팔찌와 같은 형태로 착용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의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의 둘레 또는 길이를 측정하여 길이측정 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착용자의 운동 실시에 따른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100)는 사용자 단말(200)과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 구비함으로써, 생성된 길이측정 신호 및 동작 감지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는 운동 종목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기기(100)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 고유의 일련번호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일련번호는 생성된 감지 신호들과 함께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되어 사용자 단말(200)은 각각의 웨어러블 기기(100)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이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 와이브로(Wibro) 등을 포함한 기존의 단말기 간 무선 통신 방식이 지원됨은 물론 운동이 실시되는 공간에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망을 구축하여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신체의 부위별 둘레 또는 길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부위별 둘레 또는 길이에 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누적 및 갱신시킴으로써,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 체형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다종의 운동 종목에 대한 동작 패턴을 저장할 수 있고, 선택된 운동 종목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운동 종목의 운동량 및 운동 기록을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200)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메모리부(210)와, 비교분석부(220) 및 결과도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210)는 사용자의 신체의 부위별 둘레 또는 길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다종의 운동 종목 정보와 해당 운동 종목에 대한 동작 패턴이 저장할 수 있고, 예들 들면 휘트니스 센서 등에서 실시될 수 있는 런닝머신, 자전거 운동 등을 포함한 유산소 운동과, 상체 운동, 하체운동, 복근 운동 등을 포함한 근력 운동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운동을 실시함에 있어 특징적으로 발생하는 특정 신체 부위의 치수 또는 둘레의 변화에 관한 정보 및 주요 동작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게 되며, 이러한 특정 신체 부위의 치수 또는 둘레의 변화에 관한 정보 및 동작 패턴에 관한 정보는 추후 체형 변화 및 운동 결과값을 도출하기 위한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비교분석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동 종목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해당 운동 종목에 대한 정보와 특정 신체 부위의 치수 또는 둘레의 변화에 관한 정보 및 동작 패턴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며,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길이 측정 신호 및 동작 감지 신호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비교분석부는 사용자가 특정 운동 종목을 실시함에 따라 감지되는 특정 부위의 동작 감지 신호를 기 저장된 동작 패턴과 비교 분석하여 해당 운동 종목을 적합하게 실시하고 있는 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결과도출부는 비교분석부의 비교 결과를 전달받고, 해당 운동 종목의 실시에 따른 사용자의 총 운동량과 더불어 실시 회수를 포함한 운동 기록 결과를 도출하도록 한다.
또한, 결과도출부는 비교분석부의 결과값이 사용자의 운동 패턴이 해당 운동 종목의 기준 동작 패턴과 상대적으로 큰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 이를 동작 오류를 판단하고 오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의 치수 또는 둘레의 변화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의 운동량과 운동 기록을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운동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도시 되지 않았으나, 자체적으로 측정된 정보는 물론 이하에서 설명하는 운영서버로부터 처리되는 정보들을 제공받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정보 설정, 운동 종목의 선택 및 정보 요청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하는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운동을 실시하는 사용자의 영상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사용자의 체형 변화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량과 운동 기록을 ?마하는 운동 정보와 함께 운영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은 추후 운동을 실시함에 있어 잘못된 자세 등을 교정하기 위한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 단말(200)은 모바일 기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경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관리프로그램이 탑재된 앱(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을 설치하여 상기 앱을 통해 운영서버와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운영서버는 사용자 단말(200)과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운동 정보 데이터 베이스(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운동 정보 데이터 베이스(3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송신되는 사용자의 체형 변화에 관한 정보와, 운동량 및 운동 기록을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운동 종목별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운동 정보 데이터 베이스(310)는 회원 가입된 사용자의 기본 정보 예를 들면사용자의 이름, 성별, 신체 정보, 진행단계 등을 포함한 부가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운영서버는 사용자 단말(200)의 정보 요청 시 그에 따른 응답 정보를 상기 운동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독출(read)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운동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은 운영서버와 연계되어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치수 및 둘레에 관한 정보 및 운동 정보를 실시간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운영서버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치수 또는 둘레에 관한 정보 및 운동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1 대 1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치수 또는 둘레에 관한 정보 및운동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복수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비스 설정은 운영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치수 또는 둘레에 관한 정보, 운동 정보 및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0)로 해당 운동에 대한 점검 및 처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관리자 단말은 트레이너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운동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로서, 각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치수 또는 둘레에 관한 정보, 운동 정보 및 영상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운동에 대한 교정 및 자세에 대한 지적 사항이나 향후 운동량 증감등의 스케줄링 사항 등을 점검 및 처방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은 점검 및 처방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점검 및 처방 정보는 텍스트, 음성, 이미지 및 영상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실시를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허위 운동을 감별하는 등 정확성과 신빙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활용한 운동 관리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허리 둘레를 측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기기(100)는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로 분리될 수 있고,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는 와이어(1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130)는 제1 몸체(110)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인출된 길이는 길이 측정 센서에 의해 센싱되어 길이 측정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분리된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를 각각 다른 손에 파지하고, 와이어(130)를 허리 둘레를 감는 방식으로 와이어(130)가 제1 몸체(110)로부터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인출된 와이어(130)의 길이는 사용자의 허리의 둘레의 길이에 대응될 것이므로, 웨어러블 기기(100)의 길이 측정 센서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상응하는 길이 측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의 허리 둘레 측정 시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운동 관리 앱을 실행시켜, "허리 둘레 측정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의 "허리 둘레 측정 기능"을 활성화 시킨 후 웨어러블 기기(100)가 길이 측정 신호를 생성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길이 측정 신호를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상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사용자가 허리 둘레 측정 기능을 활성화 시킬 때, 허리 둘레 측정을 보조하기 위하여, 신체 부위를 간략히 모사한 인체도 및 인체도 상에서 측정 대상인 허리 부위를 음영으로 표시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측정을 보조하기 위하여, 측정 부위를 경험적, 시각적 및 감각적으로 쉽게 지칭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사용자가 허리의 길이를 측정할 시에 측정 결과를 수치(텍스트)로, 예를 들어, 30인치로 표시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다만, 측정 결과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간략한 다이어그램 또는 인포그래픽과 같은 사용자의 경험적, 시각적 및 감각작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완 둘레를 측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기기(100)는 사용자의 상완 둘레를 감는 방식으로 착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와이어(130)가 상완 둘레를 감은 상태에서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를 부착시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를 사용자의 상완 둘레에 착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의 운동 관립 앱을 실행시켜, " 운동 관리 기능", 더 구체적으로 "덤벨컬 운동 관리 기능"을 활성화시켜 상완 둘레를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운동 관리 기능"은 사용자의 실 운동시의 체형 변화 및 운동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으로 예시된다. 도 6의 예시에서, "덤벨컬 운동 관리 기능"은 덤벨컬 동작 시의 사용자 상완의 최소 둘레 및 최대 둘레를 측정할 수 있고, 이러한 측정 결과는 지속적으로 누적 및 갱신되어 사용자의 신체 부위, 예를 들어, 상완의 둘레의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사용자의 상완의 둘레의 측정 결과의 변화를 사용자 단말(200)이 표시하는 것을 예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체형 변화, 예를 들어, 상완의 최소 둘레 및 최대 둘레에 관한 정보는 누적적으로 기록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체형 변화, 예를 들어, 상완의 최소 둘레 및 최대 둘레에 관한 정보를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친업 운동의 운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웨어러블 기기(100)를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로 분리하여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 착용할 수 있다. 도 8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의 운동 관리 앱에서 "운동 관리 기능", 더 구체적으로 "친업 운동 관리 기능"을 활성화 시켜 가슴 및 등 부위의 둘레의 변화 및 친업 동작의 왕복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즉,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기기(100)의 길이 측정 센서는 사용자의 가슴(및 등) 부위의 둘레의 변화를 감지하여 길이 측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웨어러블 기기(100)의 동작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변화되는 예를 들어, 가속도 신호를 동작 감지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감지된 길이 측정 신호 및 동작 감지 신호를 분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친업 동작 시의 사용자의 왕복 거리(웨어러블 기기(100)의 왕복거리) 및 가슴 둘레의 최소 값 및 최대 값의 변화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해당 운동 동작의 정확한 수행 여부 및 목표 반복 횟수를 달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운동 관리 앱에 의해 관리되는 운동 스케쥴의 달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개인 트레이너의 도움 없이도, 본인의 운동 상황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는 운동 시, 또는 운동 전후의 의 사용자의 부위별 신체 치수의 변화는 물론이고, 동작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반복 습관 및 운동 방식 등을 점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체형 변화 및 운동 동작을 기초로한 보다 정확한 운동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100: 웨어러블 기기 110: 제1 몸체
120: 제2 몸체 130: 와이어
112: 제1 덮개 114: 하우징
140: 버튼 스프링 150: 회로 기판
160: 판 스프링 200: 사용자 단말
300: 운영 서버

Claims (11)

  1.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탈부착 가능한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연결된 인출 부재;
    상기 인출 부재가 제1 몸체로부터 인출되는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 측정 센서; 및
    상기 길이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길이 측정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에 의해 수납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길이 측정 센서, 동작 감지 센서 및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제1 덮개 및 하우징을 포함하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버튼 스프링 더 포함하되,
    상기 버튼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 내부의 축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이 탄성 이완된 상태에서 상기 축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이 탄성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축의 회전을 잠금 해제하는,
    웨어러블 기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인출 부재가 인출되는,
    웨어러블 기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에 의해 수납되는 판 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버튼 스프링의 축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인출 부재는 상기 판 스프링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서 권취되는, 웨어러블 기기.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측정 센서는 상기 인출 부재가 제1 몸체로부터 인출되는 길이를 측정하는 인코더인,
    웨어러블 기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웨어러블 기기의 2차원 또는 3차원적인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전송 규약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웨어러블 기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제1 몸체의 일부가 삽입되는 내부 침강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판형 자석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부재는 와이어 또는 테이프인,
    웨어러블 기기.
KR1020150068732A 2015-05-18 2015-05-18 웨어러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KR101674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732A KR101674144B1 (ko) 2015-05-18 2015-05-18 웨어러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732A KR101674144B1 (ko) 2015-05-18 2015-05-18 웨어러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144B1 true KR101674144B1 (ko) 2016-11-09

Family

ID=5752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732A KR101674144B1 (ko) 2015-05-18 2015-05-18 웨어러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1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540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WO2019156493A1 (en) * 2018-02-08 2019-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etachable measurement module and attachment pad
CN114088121A (zh) * 2021-11-19 2022-02-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穿戴设备和控制方法
KR102489896B1 (ko) * 2021-07-13 2023-01-1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척추 분절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장치
KR20230024075A (ko) * 2021-08-11 2023-02-20 주식회사 사운드코리아 집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017A (ko) * 2008-06-26 2010-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정보 제공 방법
KR20100040199A (ko) * 2008-10-09 2010-04-19 (주)인벤코 줄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017A (ko) * 2008-06-26 2010-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정보 제공 방법
KR20100040199A (ko) * 2008-10-09 2010-04-19 (주)인벤코 줄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540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KR102053967B1 (ko) 2016-11-29 2019-12-12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WO2019156493A1 (en) * 2018-02-08 2019-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etachable measurement module and attachment pad
KR102489896B1 (ko) * 2021-07-13 2023-01-1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척추 분절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장치
KR20230024075A (ko) * 2021-08-11 2023-02-20 주식회사 사운드코리아 집음기
KR102515212B1 (ko) * 2021-08-11 2023-03-29 주식회사 사운드코리아 집음기
CN114088121A (zh) * 2021-11-19 2022-02-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穿戴设备和控制方法
CN114088121B (zh) * 2021-11-19 2024-05-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穿戴设备和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144B1 (ko) 웨어러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US10736527B2 (en) Workou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CA2992443C (en) Exercise data collection system
US931178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imotor rehabilitation
US9126072B2 (en) Free weight monitoring system
EP2389009B1 (en) A system for monitoring the physical activity of a user, a portable medium and a method for monitoring.
US10799154B2 (en) Walking aid and system and method of gait monitoring
KR101613853B1 (ko)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운동 트레이닝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웨어러블 기기
US20170128765A1 (en) Smart Barbell
EP3821795A1 (en) Visualization of activity points
US20150133748A1 (en) Interactive system for monitoring and assisting the physical activity of a user within a gym environment
CN107961523B (zh) 基于心率检测的人体训练系统和智能健身系统
KR102212716B1 (ko) 모션 패턴에 따른 근력 운동 자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US201702097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oscillating movements of exercise equipment to a user of the exercise equipment in a database
KR102275175B1 (ko) IoT 기술을 활용하여 모든 피트니스 기구에 연동되는 장착형 스마트 짐 통합 솔루션 장치와 그 운영 방법
GB2483117A (en) An athletic performance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a load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KR101277177B1 (ko) 운동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운동보조 장치를 이용한 회원들의 운동능력 통합관리 시스템
JP6432665B2 (ja) 運動装置、腕降り角度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513580A (en) Heart rate and activity monitor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GB2483115A (en) An athletic performance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a load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US20240041355A1 (en) Musculoskeletal strain
KR20230073677A (ko) 운동기록 기반 운동종목 추천 전자장치 및 방법
KR20240061388A (ko) Imu 기반의 운동가이드 장치
US10136851B2 (en) Integrated device to measure variations in neuromuscular control when tracing defined target patterns and a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integrated device
KR101839842B1 (ko) 적외선 신호를 이용한 운동정보 측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