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212B1 - 집음기 - Google Patents

집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212B1
KR102515212B1 KR1020210106171A KR20210106171A KR102515212B1 KR 102515212 B1 KR102515212 B1 KR 102515212B1 KR 1020210106171 A KR1020210106171 A KR 1020210106171A KR 20210106171 A KR20210106171 A KR 20210106171A KR 102515212 B1 KR102515212 B1 KR 102515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re member
sound
slider
sound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4075A (ko
Inventor
우강섭
신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운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운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운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0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212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도 목적 음성을 깨끗하고 선명하게 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같은 집음 출력기를 통해 목적 음성을 들을 수 있으며, 단순히 목적음 또는 목적 음성을 수집하여 증폭하는 집음기의 순 작용 외에도, 자이로센서를 통한 관리대상자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여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원격 케어 수단으로 활용 가능하며 특히, 노약자와 같은 관리대상자의 침대에서의 낙상, 화장실에서의 사고, 갑작스러운 졸도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보다 신속하게 파악하여 빠른 대처가 가능토록 하는 집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집음기{Sound reflector}
본 발명은 집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도 목적 음성을 깨끗하고 선명하게 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같은 집음 출력기를 통해 목적 음성을 들을 수 있으며, 단순히 목적음 또는 목적 음성을 수집하여 증폭하는 집음기의 순 작용 외에도, 자이로센서를 통한 관리대상자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여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원격 케어 수단으로 활용 가능하며 특히, 노약자와 같은 관리대상자의 침대에서의 낙상, 화장실에서의 사고, 갑작스러운 졸도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보다 신속하게 파악하여 빠른 대처가 가능토록 하는 집음기에 관한 것이다.
청각이 약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소리를 잘 듣기 위해 집음기를 이용하기도 하며, 노인이나 청각 장애인 외 일반인도 강의실 등에서 강의를 청취하거나 녹취하기 위해서도 집음기를 이용하기도 한다.
특히, 노인들의 경우 거동이 불편한 경우가 많고, 심한 경우 대부분의 시간을 병상에서 보내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홀로는 거동이 불편하여 타인의 도움을 받아 침대 위에서 주기적으로 자세를 변경해주거나, 침대에서 휠체어로 옮겨진 후 산책 등을 목적으로 침대를 벗어나 이동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에, 집음기 본체를 노인들이 휴대하고, 집음기에서 집음된 음성을 원격지에서 들을 수 있는 이어폰 수단을 보호자가 휴대함으로써 노인과 물리적인 거리가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노인의 요청을 실시간으로 듣거나 또는 노인이 처한 상황을 간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 집음기의 경우 주변 소리를 증폭시켜 이어폰으로 출력시켜주는 기능 외엔 별다른 기능을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노인이 침대에서 낙상을 당하는 등의 갑작스러운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보호자 또는 의료인이 이를 인지하기 까지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등록특허 10-2055173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도 목적 음성을 깨끗하고 선명하게 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같은 집음 출력기를 통해 목적 음성을 들을 수 있으며, 단순히 목적음 또는 목적 음성을 수집하여 증폭하는 집음기의 순 작용 외에도, 자이로센서를 통한 관리대상자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여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원격 케어 수단으로 활용 가능하며 특히, 노약자와 같은 관리대상자의 침대에서의 낙상, 화장실에서의 사고, 갑작스러운 졸도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보다 신속하게 파악하여 빠른 대처가 가능토록 하는 집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에서 목적음을 수집하거나 음성에서 목적 음성을 수집하면서, 상기 목적음 또는 상기 목적 음성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상기 목적음 또는 상기 목적 음성을 증폭하여 집음 출력기로 출력하는 집음 본체기를 포함하는 집음기에 있어서, 상기 집음 본체기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신체 일부 또는 고정체에 메달도록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는 드럼부재; 상기 드럼부재에 감겨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와이어부재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며 와이어부재의 양 단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는 주변 상황을 입력받는 카메라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드럼부재는, 원격 제어 가능한 스텝모터; 상기 스텝모터에 결합되어 스텝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방향 회전하며, 외주면으로 상기 와이어부재가 감기는 회전드럼; 및 내부로 상기 회전드럼을 수용하며 좌우 측면에는 상기 와이어부재가 통과하는 통과공이 형성되는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각각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체에 메달린 상태에서 스텝모터를 제어할 경우 와이어부재가 감긴 회전드럼이 회전하면서 와이어부재를 타고 와이어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스텝모터를 고정한 하우징이 와이어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하우징 정면에 마련된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의 외주면에는 와이어부재와의 마찰저항을 발생시키도록 논슬립슬리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우징의 상단 외측면에는 상기 와이어부재를 하우징의 외측으로 감았을 때 와이어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집음 본체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 이동시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와이어부재를 외측으로 감싸 고정하며 상기 걸림턱과 마주보는 면에는 설치구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에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걸림턱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인접한 걸림턱 사이에 접지되는 걸림편이 내장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는 서로 다른 극성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연결부재에는 흡착판이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적어도 하우징의 정면과 좌우 양 측면을 동시에 파지하되 배면에 형성된 고정부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우징 배면 중앙은 파지하지 않도록 배면측 중앙부분이 개방되는 '
Figure 112021092791083-pat00001
'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더는 하우징 외측에 헐거운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슬라이더에서부터 하우징을 향해 돌출된 걸림편이 인접한 한 쌍의 걸림턱 사이에 걸림 지지될 경우, 슬라이더의 좌우 방향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설치구는 하우징을 마주보는 슬라이더의 내측면에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며, 하우징을 마주보는 슬라이더의 내측면은 하우징의 외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도 목적 음성을 깨끗하고 선명하게 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같은 집음 출력기를 통해 목적 음성을 들을 수 있으며, 단순히 목적음 또는 목적 음성을 수집하여 증폭하는 집음기의 순 작용 외에도, 자이로센서를 통한 관리대상자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여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원격 케어 수단으로 활용 가능하며 특히, 노약자와 같은 관리대상자의 침대에서의 낙상, 화장실에서의 사고, 갑작스러운 졸도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보다 신속하게 파악하여 빠른 대처가 가능하게끔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의 구성을 블럭 형태로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는 집음 본체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집음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하우징 외측으로 와이어부재가 감긴 상태에서 슬라이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집음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고정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3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고정부의 작용에 따라 하우징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는 집음 본체기(1)와 집음 출력기(2)를 포함할 수 있다.
집음 본체기(1)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에서 목적음을 수집하거나 음성에서 목적 음성을 수집하면서, 목적음 또는 목적 음성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목적음 또는 목적 음성을 증폭하여 집음 출력기(2)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음 본체기(1)는 크게, 하우징(100) 및 고정부(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집음 본체기(1)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로, 집음 제어부(111), 마이크부(112), 제1 통신부(113), 저장부(115), 디스플레이부(116), 전원부(117), 자이로센서(118)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집음 제어부(111)는 집음 본체기(1)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집음 제어부(111)는 하우징(100)에 내장된 부품들 또는 회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부(112)는 하우징(100)의 외부면에 배치되고, 집음 제어부(111)의 제어 하에 목적음 또는 목적 음성을 수집하고, 목적음 또는 목적 음성을 가공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3)는 하우징(100)에 내장되고, 집음 제어부(111)의 제어 하에 가공된 목적음 또는 목적 음성을 집음 출력기(2)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3)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부(113)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이용하여 집음 출력기(2)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15)는 하우징(100)에 내장되고, 집음 제어부(111)의 제어 하에 가공된 목적음 또는 목적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5)는 집음 제어 하에 마이크부(112)에서 수집된 목적음 또는 목적 음성을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5)는 하우징(100)에 내장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115)는 하우징(100)에 탈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15)는 메모리 카드일 수 있다. 메모리 카드는 SD카드, 메모리 스틱, CF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6)는 하우징(100)에 내장된 상태로 외측을 향해 노출되게 배치되고, 집음 제어부(111)의 제어 하에 가공된 목적음 또는 목적 음성에 대한 주파수, 집음 본체기(1)와 집음 출력기(2) 간의 이격 거리 또는 집음 본체기(1)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6)는 화면의 터치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은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집음 본체기(1)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6)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PD) 등 각종 평판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7)는 하우징(100)에 내장되고, 집음 제어부(111), 마이크부(112), 제1 통신부(113), 저장부(115), 디스플레이부(116)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17)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내부전원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내부전원은 집음 제어부(111), 마이크부(112), 제1 통신부(113), 저장부(115), 디스플레이부(116) 등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전원 또는 전압일 수 있다.
전원부(117)는 외부로부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내부전원으로 변환시킨 후에 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17)는 내부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저전압 리튬 충전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부(117)는 하우징(100)에 내장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부(117)는 하우징(100)에 탈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이로센서(118)는 집음 본체기(1)의 각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집음 본체기(1)를 소지한 사용자, 예컨대, 노인이 침대에서 낙상을 당하였거나, 또는 갑작스러운 자세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집음 제어부(111)는 자이로센서(118)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근거로 집음 출력기(2)에 경고음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에, 집음 출력기(2)에서는 마이크부(112)에서 생성된 목적음 또는 목적 음성 외, 별도의 경고음이 출력되어질 수 있으며, 집음 출력기(2)를 보호자가 휴대하고 있을 경우, 보호자는 집음 출력기(2)로부터 출력되는 경고음을 통해 목적음 또는 목적 음성이 제공되기 이전 보다 신속하게 상황파악을 할 수 있다.
집음 출력기(2)는 집음 본체기(1)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며, 집음 본체기(1)에서 전송한 목적음 또는 목적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말하는 집음 출력기(2)는 이어폰, 헤드셋, 무선 스피커, 스마트기기 등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수단 내지 개념으 이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집음 본체기(1) 및 집음 출력기(2)의 구체적인 사항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결정된 등록특허 10-2055173호에 개시된 내용으로부터 참조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은 하우징(100)을 신체 일부 또는 고정체(4)에 메달기 위한 고정부(200)에 주요 특징이 있으므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고정부(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정부(200)는 하우징(100)을 신체 일부 또는 고정체(4)에 메달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집음 본체기(1)를 휴대하고자 할 경우 상기 고정부(200)를 통해 하우징(100)을 신체 일부분, 예컨대, 팔뚝, 목, 허리 등에 메달 수 있으며, 집음 본체기(1)를 별도 휴대하지 아니할 경우엔, 침대나, 주요 생활 시설 주변 구조물인 고정체(4)에 메달아 보관함으로써 목적음 내지 목적 음성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설명에서의 고정체(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 주변에 설치된 지지봉과 같은 구성으로 예시하였으나, 고정부(200)를 메달을 수 있는 선에서 다양한 수단이 활용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크게, 드럼부재(210), 와이어부재(220) 및 연결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드럼부재(210)는 하우징(100)의 배면에 설치되어 와이어부재(220)를 감아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와이어부재(220)는 드럼부재(210)에 감긴 상태에서 목, 허리 등의 신체 일부에 둘러질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이때, 연결부재(230)는 와이어부재(220)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며 와이어부재(220)의 양 단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자유단 형태의 와이어부재(220) 좌우 양 단부가 연결부재(23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와이어부재(220)가 폐쇄루프 형태의 구조가 갖춰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230)는 서로 다른 극성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탈 편의를 보장하는 구조를 갖춘다.
한편, 하우징(100)이 메달리는 신체 일부분 위치에 따라 와이어부재(220)의 가동 길이가 달라져야 한다.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을 허리 등과 같은 신체 일부에 메달고자 할 경우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와이어부재(220)가 요구되며, 반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이나 팔뚝과 같이 두께가 얇은 신체 부위에 하우징(100)을 메달고자 할 경우엔 와이어부재(220)의 가동 길이를 짧게 구성하여 하우징(100)이 적절한 위치에 메달릴 수 있게 한다.
이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을 목이나 팔뚝과 같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신체 부위에 메달 경우 와이어부재(220)를 하우징(100) 외측으로 수 회 감아 와이어부재(220)의 가동 길이를 짧게 구성함으로써 하우징(100)을 적정 위치에 메달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의 상단 외측면에는 상기 와이어부재(220)를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감았을 때 와이어부재(220)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110)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10)은 와이어부재(220)를 하우징(100) 상단 외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으며, 고정홈(110) 내에 삽입 고정된 와이어부재(220)는 혼자의 힘으로는 고정홈(110) 내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아니하게 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 외측으로 감긴 와이어부재(220)가 임의로 풀려버리지 않도록 집음 본체기(1)는 슬라이더(3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슬라이더(300)는 하우징(100)의 외측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 이동시 상기 고정홈(110)에 삽입된 와이어부재(220)를 외측으로 감싸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하우징(100) 하부에 위치한 슬라이더(300)를 상부로 견인하게 되면 슬라이더(300)가 하우징(100) 상단 외측에 감긴 와이어부재(220)를 감싸게 되어 와이어부재(220)가 임의로 풀려버리지 아니하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슬라이더(300)는 하우징(100) 외측에서 위치 고정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조작시에만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특히, 하우징(100) 외측으로 감긴 와이어부재(220)의 위치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 후 임의 위치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걸림턱(120)이 돌출 형성되며, 슬라이더(300)는 상기 걸림턱(120)과 마주보는 면에는 설치구(310)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310)에는 탄성스프링(320)에 의해 걸림턱(120)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인접한 걸림턱(120) 사이에 접지되는 걸림편(330)이 내장되는 구조를 갖춘다.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슬라이더(300)는 적어도 하우징(100)의 정면과 좌우 양 측면을 동시에 파지하되 배면에 형성된 고정부(200)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우징(100) 배면 중앙은 파지하지 않도록 배면측 중앙부분이 개방되는 '
Figure 112021092791083-pat00002
'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슬라이더(300)는 하우징(100) 외측에 헐거운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슬라이더(300)에서부터 하우징(100)을 향해 돌출된 걸림편(330)이 인접한 한 쌍의 걸림턱(120) 사이에 걸림 지지될 경우, 슬라이더(300)의 좌우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설치구(310)는 하우징(100)을 마주보는 슬라이더(300)의 내측면에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하우징(100)을 마주보는 슬라이더(300)의 내측면은 하우징(100)의 외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구(310), 탄성스프링(320), 걸림편(330) 구성은 좌우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며 이에, 걸림편(330)만이 하우징(100)의 좌우 양 측을 압착하는 상태가 된다.
걸림턱(120)을 마주보는 걸림편(330) 끝단은 하우징(100)을 마주보는 슬라이더(300)의 내측면에서 일정 부분 돌출되는 구조가 되어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20)과 걸림턱(120) 사이에 걸림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걸림턱(120)은 이등변 또는 정삼각형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걸림편(330) 끝단은 인접한 걸림턱(120) 사이에 상보적인 삼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걸림편(330)이 인접한 걸림턱(120) 사이에 위치할 경우 탄성스프링(320)의 탄성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걸림편(330)이 인접한 걸림턱(120) 사이에 접지된 채 슬라이더(300)의 상하 방향 임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부재(220)를 하우징(100) 상단 외측에 감게 됨에 따라 와이어부재(220)의 고정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슬라이더(300)를 상부로 끌어 올리게 되면 인접한 걸림턱(120)의 사면을 타고 걸림편(330)이 걸림턱(120) 사이를 빠져나오게 되면서 슬라이더(300)를 상부로 위치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0)가 와이어부재(220) 외측을 충분히 감쌀 수 있을 정도의 위치에서 슬라이더(300)가 위치 결정되면 걸림편(330)이 걸림턱(120) 사이에 접지됨으로써 슬라이더(300)가 하우징(100)에서 위치고정되고, 와이어부재(220)는 외측에 커버된 슬라이더(300)에 의해 하우징(100) 외측에 감긴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집음 본체기(1)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4)에 메달리게 된 경우 주변 소리의 수집 외에도,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이를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기기(3)로 실시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집음 출력기(2)는 무선기기(3)로 대체되거나, 하나의 집음 본체기(1)에 집음 출력기(2)와 무선기기(3)가 동시에 페어링될 수 있다.
즉, 보호자는 고정부(200)를 이용해 하우징(100)을 고정체(4)의 적정 위치에 메달은 상태에서 실시간 CCTV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00)의 정면에는 주변 상황을 입력받는 카메라모듈(130)이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130)은 공지된 웹 카메라(web camera)와 같은 구성으로써, 집음 본체기(1)가 설치된 현재 위치 및 주변 상황 인식을 위한 영상을 입력받는 입력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130)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정보는 무선기기(3)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보호자는 무선기기(3)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실시간 영상정보를 토대로 원격지에 위치한 노인의 현재 상황을 파악 내지 감시할 수 있다.
무선기기(3)에는 집음 본체기(1)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거나, 카메라모듈(130)에서 촬영한 영상을 스트리밍하기 위한 별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집음 본체기(1)를 신체 일부에 착용하게 될 경우엔 와이어부재(220)의 양 단이 연결부재(2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신체 일부를 두르도록 착용되나 집음 본체기(1)를 고정체(4)에 설치하게 될 경우엔 와이어부재(220)가 일자로 펴진 상태에서 고정체(4)에 부착 고정되게 한 뒤, 하우징(100)을 일자로 펴진 와이어부재(2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제어함으로써 카메라모듈(130)의 사각지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카메라모듈(130)의 화각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원격으로 하우징(100)을 적절히 위치조절함으로써 카메라모듈(130)의 촬영 범위에 미치지 않는 사각지대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드럼부재(210)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가능한 스텝모터(211), 상기 스텝모터(211)에 결합되어 스텝모터(211)의 구동에 의해 정역방향 회전하며, 외주면으로 상기 와이어부재(220)가 감기는 회전드럼(212) 및 내부로 상기 회전드럼(212)을 수용하며 좌우 측면에는 상기 와이어부재(220)가 통과하는 통과공(215)이 형성되는 케이싱(214)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스텝모터(211)는 하우징(10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전술한 통신부 구성을 이용하여 무선기기(3)와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스텝모터(211)는 보호자가 휴대한 무선기기(3)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드럼(212)은 스텝모터(211)와 연결된 상태에서 하우징(100) 외측으로 배치되며 스텝모터(211)에 의해 정역방향 회전하면서 양 단이 고정체(4)에 고정 결합된 와이어부재(220)를 외주면으로 감음과 동시에 바로 풀게끔 작용한다.
외주면에 와이어부재(220)가 감긴 상태에서 회전드럼(212)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드럼(212)은 회전 방향에 따라 와이어부재(220)를 타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회전드럼(212)의 외주면에는 와이어부재(220)와의 마찰저항을 발생시키도록 논슬립슬리브(213)가 결합될 수 있다.
논슬립슬리브(213)는 실리콘재로 구성된 원통형 부재로, 회전드럼(212)의 외주면을 구성하게 된다. 이에, 회전드럼(212) 외주면에 감긴 와이어부재(220)가 논슬립슬리브(213)에 접촉하게 되어 회전드럼(212)이 회전할 때 와이어부재(220)에서 헛돌지 아니하고, 와이어부재(220)와 강하게 접촉할 수 있다.
이에, 회전드럼(212)이 회전하게 되면 와이어부재(220)의 일측은 회전드럼(212)에 감기고 타측은 회전드럼(212)에서 풀리게 되어 결국 회전드럼(212)이 와이어부재(2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만일, 회전드럼(212)과 와이어부재(220) 사이에 마찰력 부재로 와이어부재(220)에서 회전드럼(212)이 헛돌게 될 경우 회전드럼(212)에 와이어부재(220)가 감겨 있다 하더라도 회전드럼(212)이 와이어부재(2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게 된다.
다음으로, 케이싱(214)은 회전드럼(212)의 외주면에 적어도 한 바퀴 이상 감긴 와이어부재(220)가 회전드럼(212)에서 완전히 풀려버리지 아니하도록 회전드럼(212)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다. 이때, 회전드럼(212)의 회전에 따라 케이싱(214) 내부에서 회전드럼(212)으로부터 풀리거나 또는 감기는 와이어부재(220)는 좌우측으로 개방된 한 쌍의 통과공(215)을 통해 케이싱(214) 내부로 유입되거나 케이싱(214) 외부로 유출되어질 수 있다.
한편, 고정부(200)의 하부에는 하우징(100)의 좌우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400)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수단(400)은 와이어부재(420), 연결부재(430) 및 가이드대(4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으며, 이때, 와이어부재(420)와 연결부재(430)는 전술한 고정부(20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하나, 드럼부재(210)를 대체하여 하우징(100) 배면에 좌우 방향으로 와이어부재(420)가 일자로 통과하는 가이드대(41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하우징(100)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시 하우징(100)이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와이어부재(220,420)를 타고 이동하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하우징(100)이 고정체(4)에 메달린 상태에서의 고정부(2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230) 각각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체(4)에 메달린 상태, 예컨대, 와이어부재(220)가 일자로 펴진 상태에서, 보호자가 무선기기(3)를 통해 스텝모터(211)를 제어할 경우 와이어부재(220)가 감긴 회전드럼(212)이 회전하면서 와이어부재(220)를 타고 와이어부재(2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드럼(212)이 정방향(시계방향) 회전하게 되면 양 단부가 각각 고정체(4)에 고정 결합된 와이어부재(220)를 타고 회전드럼(212)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반대로, 회전드럼(212)이 역방향(역시계방향) 회전하게 되면 회전드럼(212)이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텝모터(211)를 고정한 하우징(100)이 와이어부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위치 이동에 따라 하우징(100) 정면에 마련된 카메라모듈(130)의 촬영 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보호자는 무선기기(3)에 디스플레이되는 주변 상황을 원격지에서 감시하되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정보에 사각지대가 있거나, 관리대상자(노인)이 영상정보에서 정확하게 도시되지 않았을 경우, 원격으로 스텝모터(211)를 제어함으로써 하우징(1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카메라모듈(130)의 촬영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세팅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연결부재(230)에는 흡착판(231)이 결합될 수 있다. 만일, 고정체(4)가 철 성분을 포함하지 아니하여, 영구자석에 자력으로 반응하지 않는 상황을 고려하여 연결부재(230) 주변으로 추가적인 흡착판(231)을 마련함으로써 다양한 고정체(4) 상에 연결부재(230)를 용이하게 흡착 고정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집음 본체기(1)는 신체 일부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물 상에도 무리 없이 메달아 고정시킬 수 있으며, 단순히 목적음 또는 목적 음성을 수집하여 집음 출력기(2)로 출력하는 집음기의 순 작용 외에도, 실시간 주변 영상을 무선기기(3)에 제공한다거나 자이로센서(118)를 통한 관리대상자(노인 또는 장애인)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여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원격 케어 수단으로 활용 가능하며 특히, 관리대상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보다 신속하게 파악하여 빠른 대처가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집음 본체기
2: 집음 출력기
100: 하우징
200: 고정부
300: 슬라이더
210: 드럼부재

Claims (5)

  1.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에서 목적음을 수집하거나 음성에서 목적 음성을 수집하면서, 상기 목적음 또는 상기 목적 음성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상기 목적음 또는 상기 목적 음성을 증폭하여 집음 출력기로 출력하는 집음 본체기를 포함하는 집음기에 있어서,
    상기 집음 본체기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신체 일부 또는 고정체에 메달도록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는 드럼부재;
    상기 드럼부재에 감겨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와이어부재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며 와이어부재의 양 단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는 주변 상황을 입력받는 카메라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드럼부재는,
    원격 제어 가능한 스텝모터;
    상기 스텝모터에 결합되어 스텝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방향 회전하며, 외주면으로 상기 와이어부재가 감기는 회전드럼; 및
    내부로 상기 회전드럼을 수용하며 좌우 측면에는 상기 와이어부재가 통과하는 통과공이 형성되는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각각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체에 메달린 상태에서 스텝모터를 제어할 경우 와이어부재가 감긴 회전드럼이 회전하면서 와이어부재를 타고 와이어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스텝모터를 고정한 하우징이 와이어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하우징 정면에 마련된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음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외주면에는 와이어부재와의 마찰저항을 발생시키도록 논슬립슬리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음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 외측면에는 상기 와이어부재를 하우징의 외측으로 감았을 때 와이어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집음 본체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 이동시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와이어부재를 외측으로 감싸 고정하며 상기 걸림턱과 마주보는 면에는 설치구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에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걸림턱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인접한 걸림턱 사이에 접지되는 걸림편이 내장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는 서로 다른 극성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연결부재에는 흡착판이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적어도 하우징의 정면과 좌우 양 측면을 동시에 파지하되 배면에 형성된 고정부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우징 배면 중앙은 파지하지 않도록 배면측 중앙부분이 개방되는 '
    Figure 112021092791083-pat00003
    '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더는 하우징 외측에 헐거운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슬라이더에서부터 하우징을 향해 돌출된 걸림편이 인접한 한 쌍의 걸림턱 사이에 걸림 지지될 경우, 슬라이더의 좌우 방향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설치구는 하우징을 마주보는 슬라이더의 내측면에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며, 하우징을 마주보는 슬라이더의 내측면은 하우징의 외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음기.
KR1020210106171A 2021-08-11 2021-08-11 집음기 KR102515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171A KR102515212B1 (ko) 2021-08-11 2021-08-11 집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171A KR102515212B1 (ko) 2021-08-11 2021-08-11 집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075A KR20230024075A (ko) 2023-02-20
KR102515212B1 true KR102515212B1 (ko) 2023-03-29

Family

ID=8532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171A KR102515212B1 (ko) 2021-08-11 2021-08-11 집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2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144B1 (ko) * 2015-05-18 2016-11-09 이용우 웨어러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KR102055173B1 (ko) * 2018-10-23 2019-12-13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집음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144B1 (ko) * 2015-05-18 2016-11-09 이용우 웨어러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KR102055173B1 (ko) * 2018-10-23 2019-12-13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집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075A (ko) 202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20193A1 (en) Wearable band
US20170151085A1 (en) Earhook anti-snoring device and anti-snoring system
US9984555B2 (en) Mobi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KR101698866B1 (ko) 자기 부상형 인공지능 카메라 장비
WO2018006837A1 (zh) 一种坐姿及照度集成监测设备及照明设备
WO2018006839A1 (zh) 一种坐姿监测设备及照明设备
WO2018006838A1 (zh) 一种坐姿矫正设备及照明设备
KR102515212B1 (ko) 집음기
JP2015118667A (ja) 接近報知装置
WO2021095832A1 (ja) 首掛け型装置
TWI618418B (zh) 聽力輔助系統及電子裝置
KR10162682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
CN206574215U (zh) 一种通过手机进行主被动监测安全警报系统及卡扣
US10136208B2 (en) Headset with multimedia capabilities
JP2017215730A (ja) 混雑状況に応じた離れアラーム装置
JP7118456B2 (ja) 首掛け型装置
CN109548687A (zh) 智能宠物狗项圈
CN213958199U (zh) 红外探测摄像装置
US20170337430A1 (en) Bae baby monitor watch systems
CN208849919U (zh) 一种多功能婴儿监护器
KR20100007050A (ko) 행동 패턴 인식 장치 및 방법
US20220001219A1 (en) SCBA Facemask Assembly with Accelerometer to Extend Battery Life of Electrical Components
JP2022100816A (ja) 見回り支援システム
KR20160023143A (ko) 이동단말기 연동형 후방 감시장치
CN211044480U (zh) 一种多功能随身急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