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199A - 줄자 - Google Patents

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199A
KR20100040199A KR1020080099320A KR20080099320A KR20100040199A KR 20100040199 A KR20100040199 A KR 20100040199A KR 1020080099320 A KR1020080099320 A KR 1020080099320A KR 20080099320 A KR20080099320 A KR 20080099320A KR 20100040199 A KR20100040199 A KR 20100040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se
friction roller
ree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희
최경수
Original Assignee
(주)인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벤코 filed Critical (주)인벤코
Priority to KR102008009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0199A/ko
Publication of KR20100040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2003/1023Winding mechan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를 마찰력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는 줄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 릴, 스파이럴 스프링, 테이프를 구비한다. 케이스의 내부에 회동부재가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회동부재의 일측에 마찰롤러가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마찰롤러는 테이프의 초기위치에서 릴에 감겨 있는 테이프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부여한다. 탄성부재는 케이스의 내부에 테이프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회동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1 구속수단은 케이스의 내부에 테이프와 마찰롤러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동부재의 회동을 구속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제2 구속수단은 케이스의 내부에 테이프와 마찰롤러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마찰롤러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조작수단은 케이스의 외면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있고, 마찰롤러가 테이프와 떨어지도록 회동부재를 가압하여 회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되감기는 테이프에 마찰력을 부여하여 되감기 속도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마찰력을 간편하게 해제하여 테이프의 풀림 동작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가 되감기는 도중에 자동으로 정지되는 셀프로킹에 의하여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테이프가 되감기 중에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간편하게 해제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줄자{TAPE MEASURE}
본 발명은 줄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를 마찰력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는 줄자에 관한 것이다.
줄자는 길이의 측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줄자의 테이프는 정밀한 측정을 위하여 스틸 테이프(Steel Tape), 스테인리스스틸 테이프(Stainless Steel Tape)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줄자는 케이스, 릴(Reel), 스틸 테이프,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틸 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릴(Reel)은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스틸 테이프의 감김 방향으로 릴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Elastic Restoring Force)을 갖는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이 릴의 중앙에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의 입구를 통하여 빠져나와 있는 스틸 테이프의 선단에 갈고리(Hook)가 장착되어 있으며, 갈고리는 피측정체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측정체에 갈고리를 고정한 상태에서 손으로 케이스를 잡고 피측정체로부터 일직선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면, 스틸 테이프가 릴로부터 풀려나면서 케이스의 입구를 통하여 인출된다. 스틸 테이프의 인출에 따라 스파이럴 스프링이 감 겨 탄성복원력은 증가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측정을 완료한 후 피측정체로부터 갈고리의 고정을 해제하면, 스파이럴 스프링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풀리면서 릴을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릴의 외면에 스틸 테이프가 감겨진다. 갈고리가 케이스의 입구에 걸려 릴의 회전이 정지되면, 스틸 테이프는 케이스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다.
미국특허공보 제6467182호, 제6490809호에는 스틸 테이프의 되감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장치(Braking Device)를 채택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들의 기술은 케이스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는 노브(Knob)의 조작에 의하여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브레이크가 스틸 테이프에 접촉하여 스틸 테이프의 되감기를 구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 문헌들의 줄자들은 케이스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스틸 테이프의 되감기 동작에 있어서,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되감기는 스틸 테이프의 속도가 매우 빠르고,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갈고리가 케이스에 부딪쳐 강한 충격을 발생시킴으로써 케이스의 파손 및 갈고리의 변형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사용자의 손이 되감기는 스틸 테이프의 에지(Edge)에 접촉되거나 갈고리에 부딪쳐 부상을 당하는 안전사고가 흔히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스틸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하여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의 크기를 작게 제작하기도 한다. 그러나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 이 작은 경우에는, 스틸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가 너무 느려져 측정 시간이 지연되고, 스틸 테이프가 릴에 완전히 되감기지 못하고 정지되는 일이 발생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한 특허 문헌들의 브레이크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스틸 테이프의 되감기를 완전히 정지시키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에 의하여 스틸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브레이크 장치를 여러 번 반복해서 조작해야 하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되감기는 테이프에 마찰력을 부여하여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줄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테이프의 풀림 동작이 원활한 줄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되감기는 테이프가 자동으로 정지되는 셀프로킹(Self-locking)에 의하여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줄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프가 되감기 중에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간편하게 해제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줄자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일측면에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릴과; 케이스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릴에 타단이 고정되어 있고, 릴이 일방향으로 회전 되어 있을 경우 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릴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파이럴 스프링과; 릴의 외면에 후단이 고정되어 감겨 있으며, 케이스의 입구를 통하여 선단이 인출되어 있고, 릴의 외면에 초기위치에서 최대 직경으로 감겨 있는 테이프와; 케이스의 내부에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회동부재와; 회동부재의 일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테이프의 초기위치에서 릴에 감겨 있는 테이프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롤러와; 케이스의 내부에 테이프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회동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탄성부재와; 케이스의 내부에 테이프와 마찰롤러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동부재의 회동을 구속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제1 구속수단과; 케이스의 내부에 테이프와 마찰롤러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마찰롤러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제2 구속수단과; 케이스의 외면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있고, 마찰롤러가 테이프와 떨어지도록 회동부재를 가압하여 회동시키는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줄자에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줄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줄자는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10)를 구비한다. 케이스(10)는 좌우로 분리할 수 있는 제1 케이스몸체(12a)와 제2 케이스몸체(12b)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케이스몸체(12a)와 제2 케이스몸체(12b)는 복수의 나사(12c)들의 체결에 의하여 견고하게 조립된다. 케이스(10)의 일측면 하부에 입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케이스몸체(12a)의 내면 중앙에 보스(1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케이스몸체(12a)의 내면 일측에 축(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케이스몸체(12a)의 내면 일측에 축(18)과 인접하도록 핀(Pin: 20)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의 외면 일측에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22)과 인접하는 케이스(10)의 내면에 축(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구멍(22)은 케이스(10)의 외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구멍(22)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0)의 내부에 릴(3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릴(30)의 중앙에 케이스(10)의 보어(Bore: 32)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의 보스(16)는 릴(30)의 보어(32)에 끼워진다. 보스(16)와 보어(32) 사이에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파이럴 스프링(40)이 장착되어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40)의 일단은 케이스(10)의 보스(28)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릴(30)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릴(30)의 일측면에 보어(32)로부터 스파이럴 스프링(4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보어(32)를 덮는 커버(42)가 장착되어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은 릴(3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것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작용한다.
또한, 릴(30)의 외면에 유연성을 갖는 테이프(50), 예를 들어 스틸 테이프가 롤형(Roll Type)으로 감겨져 있다. 테이프(50)의 후단은 릴(30)에 고정되어 있고 선단은 케이스(10)의 입구(14)를 통하여 인출되어 있다. 테이프(50)는 릴(3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릴(30)로부터 풀려나고, 릴(30)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릴(30)에 감겨진다. 테이프(50)의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의 측정을 위한 눈금(52)이 표시되어 있다. 테이프(50)의 선단은 길이 측정의 영점이 된다.
케이스(10)의 입구(14)를 통하여 빠져나와 있는 테이프(50)의 선단에 갈고리(54)가 부착되어 있다. 사용자는 테이프(50)의 인출을 위하여 갈고리(54)를 잡아당기거나 피측정체(2)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갈고리(54)가 케이스(10)의 입구(14)에 걸려 있는 테이프(50)의 초기위치에서 릴(30)의 외면에 감겨 있는 테이프(50)의 제1 직경(D1)은 최대 직경으로 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10)의 내부에 케이스(10)의 축(18)을 중심으로 회동부재(6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회동부재(60)는 허브(Hub: 62), 제1 암(Arm: 64), 제2 암(66)과 러그(Lug: 68)로 구성되어 있다. 허브(62)는 케이스(10)의 축(18)이 끼워지는 축구멍(62a)을 가지며, 허브(62)의 외면 일측에 축구멍(62a)과 연결되도록 구멍(62b)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구멍(62b)과 근접하는 허브(62)의 외면 양단부에 일측이 트여 있는 한 쌍의 긴 축구멍(62c, 62d)들이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암(64)은 허브(62)의 외면 상부에 허브(62)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암(66)은 허브(62)의 외면 하부에 허브(62)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암(66)의 하면에 한 쌍의 지지돌기(66a, 66b)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러그(68)는 제1 암(64)의 일측에 허브(62)와 근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동부재(60)의 긴 축구멍(62c, 62d)들에 테이프(50)의 초기위치에서 릴(30)에 감겨있는 테이프(50)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수단으로 마찰롤러(Friction Roller: 70)가 장착되어 있다. 마찰롤러(70)는 양단에 돌출되어 있는 축(72)을 갖는다. 마찰롤러(70)의 축(72)은 긴 축구멍(62c, 62d)들에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또한, 마찰롤러(70)의 축(72)은 긴 축구멍(62c, 62d)들에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마찰롤러(70)는 테이프(50)의 이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부여함으로써 테이프(50)의 되감기를 제어한다. 마찰롤러(70)는 고무, 합성고무, 실리콘고무(Silicon Rubber),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등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핀(20)에 탄성부재(80)가 장착되어 있다. 탄성부재(80)는 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마찰롤러(70)가 테이프(50)의 이면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회동부재(60)를 회동시킨다. 탄성부재(80)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 82), 코일스프링(Coil Spring)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82)의 일단(82a)은 케이스(10)의 내면에 걸리고 타단(82b)은 회동부재(60)의 제2 암(66)에 걸리도록 장착되어 있다. 토션스프링(82)의 타단(82b)은 제2 암(66)의 지지돌기(66a, 66b)들 사이에 고정되도록 끼워져 있다. 따라서 토션스프링(82)의 타단(82b)은 제2 암(66)의 일정한 지점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부여하게 된다.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회동부재(60)의 일측 또는 허브(62)에 걸리고 타단은 케이스(10)의 내면에 걸리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줄자는 케이스(10)의 내면 일측에 회동부재(60)의 회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는 제1 구속수단으로 스토퍼(90)를 구비한다. 스토퍼(90)는 플라스틱을 소재로 사출성형되는 케이스(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찰롤러(70)가 테이프(50)의 이면에 접촉되는 테이프(50)의 초기위치에서 스토퍼(90)는 회동부재(60)의 러그(68)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회동부재(60)의 회동은 구속된다.
본 발명의 줄자는 케이스(10)의 내면 일측에 마찰롤러(7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는 제2 구속수단을 구비한다. 제2 구속수단은 케이스(10)의 내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축(18)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찰롤러(70)가 테이프(50)의 이면에 접촉되는 테이프(50)의 초기위치에서 마찰롤러(70)의 외면 일부분은 허브(62)의 구멍(62b)을 통과하여 축구멍(62a)에 돌출되면서 축(18)에 접촉된다. 축(18)과 마찰롤러(70)의 접촉에 의하여 마찰롤러(70)의 회전이 구속된다. 제2 구속수단은 케이스(10)의 내면 일측에 마찰롤러(7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3과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줄자는 회동부재(60)를 가압하여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기구(100)를 구비한다. 조작기구(100)는 버튼(Button: 102)으로 구성되어 있다. 버튼(102)은 케이스(10)의 구멍(22)을 통하여 케이스(10)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버튼(102)의 일측에 축구멍(104)이 형성되어 있다. 축구멍(104)은 케이스(10)의 축(24)에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버튼(102)의 하면 타측에 회동부재(60)의 제2 암(66)을 밀어줄 수 있는 로드(Rod: 106)가 연장되어 있다.
도 3과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갈고리(54)가 케이스(10)의 입구(14)에 걸려 있는 테이프(50)의 초기위치에서 마찰롤러(70)는 테이프(50)의 외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부여한다. 테이프(50)가 초기위치에서 릴(30)로부터 풀려날수록 테이프(50)의 제1 직경(D1)은 최대 크기에서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테이프(50)의 제1 직경(D)이 감소되는 것에 의하여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 사이의 마찰력도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케이스(10)의 입구(14)로부터 테이프(50)의 선단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테이프(50)가 초기위치에서 릴(30)로부터 풀려날 때, 마찰롤러(70)는 테이프(50)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토크(Torque)를 부여받으며, 마찰롤러(70)에 부여되는 토크에 의하여 회동부재(60)는 축(18)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고, 테이프(50)는 릴(30)로부터 원활하게 풀려난다. 한편, 테이프(50)가 마찰롤러(70)와 접촉이 시작되는 지점(P)으로부터 제1 길이(L1)로 인출되어 있는 경우,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는 연속적으로 접촉된다. 이때, 마찰롤러(70)와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테이프(50)는 릴(30)의 외면에 제2 직경(D2) 이상의 크기로 감겨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이프(50)가 마찰롤러(70)와 접촉이 시작되는 지점(P)으로부터 제2 길이(L2) 이상으로 인출되어 있는 경우,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는 비접촉된다. 이때, 마찰롤러(70)와 비접촉되는 테이프(50)는 릴(30)의 외면에 제3 직경(D3) 미만의 크기로 감겨 있다. 테이프(50)는 마찰롤러(70)와 비접촉되는 제2 길이(L2) 이상으로 인출되어 있다가 되감기면서 직경의 점진적인 증가에 의하여 마찰롤러(70)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50)가 풀려나 있다가 되감기는 동작 중에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가 접촉되면, 마찰롤러(70)와의 마찰 접촉에 의하여 테이프(50)의 되감기 속도가 감소된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줄자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3과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피측정체(2)에 갈고리(54)를 걸어 고정하고, 갈고리(54)가 고정되어 있는 지점으로부터 일직선을 이루도록 케이스(10)를 잡고 이동한다.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케이스(10)의 입구(14)를 통하여 릴(30)에 감겨져 있는 테이프(50)가 당겨진다. 도 3의 화살표 "A"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30)이 테이프(50)의 당김력에 의하여 일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테이프(50)가 릴(30)의 회전에 의하여 풀리면서 케이스(10)의 입구(14)를 통하여 인출된다. 릴(30)의 회전과 함께 스파이럴 스프링(40)이 시계 방향으로 감기면서 스파이럴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이 축적되며, 스파이럴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은 테이프(50)의 풀림 길이에 비례하여 증가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갈고리(54)가 케이스(10)의 입구(14)에 걸려 있는 테이프(50)의 초기위치에서 마찰롤러(70)는 테이프(50)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다. 테이프(50)가 릴(30)로부터 풀려날 때, 마찰롤러(70)는 풀려나는 테이프(50)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토크를 부여받는다. 도 7의 화살표 "B"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동부재(60)는 축(18)을 중심으로 마찰롤러(70)에 부여되는 토크에 의하여 릴(30)과 반대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회동부재(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 면, 마찰롤러(70)가 테이프(50)의 이면으로부터 떨어져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 사이의 접촉이 해제된다. 따라서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고, 테이프(50)는 릴(30)로부터 원활하게 풀려난다. 회동부재(60)의 반시계방향 회동에 의하여 토션스프링(82)의 탄성복원력이 축적된다. 한편, 테이프(50)가 릴(30)로부터 풀려날수록 테이프(50)의 제1 직경(D1)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며,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 사이의 마찰력도 점진적으로 감소되므로, 테이프(50)는 릴(30)로부터 원활하게 풀려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이프(50)가 제2 길이(L2) 이상으로 인출되어 릴(30)의 외면에 제3 직경(D3)으로 감겨 있을 경우,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는 접촉되지 않는다.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가 비접촉되는 경우, 도 8의 화살표 "C"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동부재(60)는 축(18)을 중심으로 토션스프링(82)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회동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러그(68)는 스토퍼(90)에 지지되어 회동부재(60)의 회동이 구속된다.
사용자는 테이프(50)의 인출에 의하여 피측정체(2)의 길이를 측정한 후, 피측정체(2)로부터 갈고리(60)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갈고리(60)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 스파이럴 스프링(40)은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감김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풀리게 된다. 스파이럴 스프링(40)의 풀림 동작에 의하여 릴(3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되는 릴(30)의 외면에 테이프(50)가 감기게 된다. 테이프(50)가 되감기는 과정에서 마찰롤러(70)에 접촉되지 않으면, 테이프(50)의 되감 기는 스파이럴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비례하여 빠른 속도로 수행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되감기는 테이프(50)가 릴(30)의 외면에 제2 직경(D2)으로 감길 경우, 테이프(50)의 이면과 도 7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초기위치의 마찰롤러(70)의 접촉이 시작된다. 테이프(50)는 마찰롤러(70)의 마찰력을 부여받고, 테이프(50)의 되감기 속도가 감속된다. 테이프(50)는 마찰롤러(70)에 접촉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연속적으로 마찰력을 부여받으므로, 마찰롤러(70)와 접촉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테이프(50)의 되감기 속도는 급속히 감속된다. 따라서 테이프(50)의 되감기가 안전하고 정확하게 실시된다. 또한, 갈고리(54)가 케이스(10)에 부딪쳐 발생되었던 케이스(10)의 파손 및 갈고리(54)의 변형이 방지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테이프(50)에 접촉되어 발생되었던 부상이 방지된다.
도 3,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되감기는 테이프(50)의 직경이 제1 직경(D1)에 근접될수록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된다.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 사이의 마찰력이 스파이럴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보다 크면, 릴(30)의 회전과 테이프(50)의 되감기가 정지된다.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의 접촉에 의하여 마찰롤러(70)의 외면 일부분은 구멍(62b)을 통과하여 축(18)의 외면에 접촉되고, 마찰롤러(70)의 회전이 구속된다. 따라서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 사이의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마찰롤러(70)의 접촉에 의한 테이프(50)의 되감기가 정확하게 정지된다. 한편,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의 접촉에 의하여 마찰롤러(70)의 축(72)이 긴 구멍(62c, 62d)들을 따라 이동되고, 마찰롤러(70)의 위치가 조절되어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 사이의 오차를 흡수한다. 따라서 마찰롤 러(70)의 마찰력에 의한 테이프(50)의 되감기가 정확하게 제어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마찰롤러(70)의 마찰력에 의하여 테이프(50)의 되감기가 정지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버튼(102)을 누르면 버튼(102)은 축(2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회전되는 버튼(102)의 로드(106)는 회동부재(60)의 제1 암(64)을 밀게 된다. 도 9의 화살표 "D"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버튼(102)의 로드(106)가 제1 암(64)을 밀면, 회동부재(6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회동부재(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마찰롤러(70)는 테이프(50)의 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의 접촉이 해제된다. 테이프(50)와 마찰롤러(70)의 접촉이 해제되면, 스파이럴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정지되어 있던 릴(30)이 다시 회전되기 시작하고, 회전되는 릴(30)의 외면에 테이프(50)가 감겨진다. 따라서 테이프(50)의 되감기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102)을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회동부재(60)가 토션스프링(82)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회전되고, 회전되는 회동부재(60)의 제1 암(64)은 로드(106)를 밀게 된다. 버튼(102)은 축(24)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줄자에 의하면, 되감기는 테이프에 마찰력을 부여하여 되감기 속도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마찰력을 간편하게 해제하여 테이프의 풀림 동작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가 되감기는 도중에 자동으로 정지되는 셀프로킹에 의하여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테이프가 되감기 중에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간편하게 해제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줄자에서 제2 케이스몸체를 분리하여 나타낸 제1 케이스몸체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줄자에서 회동부재, 마찰롤러와 탄성부재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줄자에서 회동부재와 마찰롤러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줄자에서 테이프와 마찰롤러가 접촉되어 있는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줄자에서 테이프가 마찰롤러에 연속적으로 접촉되는 제1 길이로 인출되어 있는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줄자에서 테이프가 마찰롤러에 비접촉이 시작되는 제2 길이로 인출되어 있는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줄자에서 버튼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스 14: 입구
18: 축 30: 릴
40: 스파이럴 스프링 50: 테이프
60: 회동부재 62: 허브
64: 제1 암 66: 제2 암
68: 러그 70: 마찰롤러
72: 축 80: 탄성부재
82: 토션스프링 90: 스토퍼
100: 조작기구 102: 버튼

Claims (6)

  1. 일측면에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릴과;
    상기 케이스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릴에 타단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릴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있을 경우 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릴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파이럴 스프링과;
    상기 릴의 외면에 후단이 고정되어 감겨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입구를 통하여 선단이 인출되어 있고, 상기 릴의 외면에 초기위치에서 최대 직경으로 감겨 있는 테이프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릴에 감겨 있는 상기 테이프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롤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테이프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탄성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테이프와 상기 마찰롤러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을 구속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제1 구속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테이프와 상기 마찰롤러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마찰롤러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제2 구속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외면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 마찰롤러가 상기 테이프와 떨어지도록 상기 회동부재를 가압하여 회동시키는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줄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면 일측에 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축에 끼울 수 있는 축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허브를 가지며, 상기 허브의 외면에 제1 암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제1 암을 밀어주는 로드를 갖는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은 상기 케이스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줄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제1 암의 일측에 러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구속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면 일측에 상기 러그와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로 구성되어 있는 줄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허브의 외면 일측에 한 쌍의 긴 구멍들이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찰롤러의 양단에 축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마찰롤러의 축은 상기 긴 구멍들에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는 줄자.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외면에 반경 방향으로 제2 암이 연장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걸리는 일단과 상 기 제2 암에 걸리는 타단을 갖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줄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축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허브를 가지며, 상기 허브의 일측에 상기 마찰롤러의 외면 일부분이 통과되도록 상기 축구멍과 연결되는 구멍이 상기 허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구속수단은 상기 마찰롤러의 외면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축구멍에 끼워지는 축으로 구성되어 있는 줄자.
KR1020080099320A 2008-10-09 2008-10-09 줄자 KR20100040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320A KR20100040199A (ko) 2008-10-09 2008-10-09 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320A KR20100040199A (ko) 2008-10-09 2008-10-09 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199A true KR20100040199A (ko) 2010-04-19

Family

ID=42216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320A KR20100040199A (ko) 2008-10-09 2008-10-09 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01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144B1 (ko) * 2015-05-18 2016-11-09 이용우 웨어러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144B1 (ko) * 2015-05-18 2016-11-09 이용우 웨어러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5242Y1 (ko) 줄자의 테이프 고정 장치
AU766685B2 (en) A leash assembly
FR2608573A1 (fr) Dispositif d'arret pour appareil a enrouleur, notamment pour appareil de mesure a ruban ou laisse reglable
US20100299948A1 (en) Tape measure
GB2359799A (en) A tape measure featuring braking and locking means
JP3774617B2 (ja) 巻尺
KR100911212B1 (ko) 줄자
US6463670B1 (en) Tape measure
KR20100040199A (ko) 줄자
KR100906371B1 (ko) 줄자
KR101817922B1 (ko) 줄자의 테이프 멈춤방법
US3926385A (en) Retractable safety belts
EP2078182A1 (en) Brake mechanism for tape measures
US2393138A (en) Cord winder
US3610548A (en) Braking device for tape measure and the like
JP3362339B2 (ja) 巻 尺
US5857261A (en) Sophisticated structure for a tape measure
US2463303A (en) Reel mechanism
JP4755493B2 (ja) 巻尺
KR20140098981A (ko) 테이프 멈춤 기능을 구비한 줄자
JP3014697U (ja) 制動機構付巻尺
KR20090078323A (ko) 줄자의 자동속도 감속장치
JPH0336552Y2 (ko)
JP2003075101A (ja) 巻き尺
JPH1089901A (ja) 巻 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