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212B1 - 줄자 - Google Patents

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212B1
KR100911212B1 KR1020070101620A KR20070101620A KR100911212B1 KR 100911212 B1 KR100911212 B1 KR 100911212B1 KR 1020070101620 A KR1020070101620 A KR 1020070101620A KR 20070101620 A KR20070101620 A KR 20070101620A KR 100911212 B1 KR100911212 B1 KR 100911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se
reel
friction
frict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6434A (ko
Inventor
최경수
Original Assignee
(주)인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벤코 filed Critical (주)인벤코
Priority to KR1020070101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212B1/ko
Priority to US12/682,165 priority patent/US20100299948A1/en
Priority to PCT/KR2008/005953 priority patent/WO2009048284A2/en
Publication of KR20090036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56Tape end arrangements, e.g. end-hoo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3/1007Means for locking
    • G01B2003/101Means for locking acting on the dr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2003/1023Winding mechanisms
    • G01B2003/103Winding mechanisms operated by sp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2003/1033Means for activating the locking, braking or releasing of the tape, e.g. buttons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를 마찰력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는 줄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 릴, 스파이럴 스프링, 테이프, 회동부재, 마찰롤러, 탄성부재, 푸시버튼과 스토퍼로 구성된다. 릴은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은 케이스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릴에 타단이 고정되어 있고, 릴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있을 경우 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릴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테이프는 릴의 외면에 후단이 고정되어 감겨 있으며, 케이스의 입구를 통하여 선단이 인출되어 있고, 릴의 외면에 초기위치에서 최대 직경으로 감겨 있다. 회동부재는 케이스의 내부에 일단이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타단이 최대 직경으로 감겨 있는 테이프에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찰롤러는 회동부재의 타단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테이프의 초기위치에서 릴에 감겨 있는 테이프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부여한다. 탄성부재는 마찰롤러가 테이프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회동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푸시버튼은 마찰롤러가 테이프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부재를 가압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는 케이스의 내부에 테이프와 마찰롤러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마찰롤러의 회동을 구속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의 입구를 통하여 되감기는 테이프에 마찰부재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부여하여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줄자{TAPE MEASURE}
본 발명은 줄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를 마찰력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는 줄자에 관한 것이다.
줄자는 길이의 측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줄자의 테이프는 정밀한 측정을 위하여 스틸 테이프(Steel tape), 스테인리스스틸 테이프(Stainless steel tape)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줄자는 케이스의 내부에 스틸 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릴(Reel)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릴의 중앙에 스틸 테이프의 감김 방향으로 릴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Elastic restoring force)을 갖는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이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의 입구를 통하여 빠져나와 있는 스틸 테이프의 선단에 갈고리(Hook)가 장착되어 있으며, 갈고리는 피측정체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측정체에 갈고리를 고정한 상태에서 손으로 케이스를 잡고 피측정체로부터 일직선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면, 스틸 테이프가 릴로부터 풀려나면서 케이스의 입구를 통하여 인출된다. 스틸 테이프의 인출에 따라 스파이럴 스프링이 감겨 탄성복원력은 증가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측정을 완료한 후 피측정체로부터 갈고리의 고정을 해제하면, 스파이럴 스프링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풀리면서 릴을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릴의 외면에 스틸 테이프가 감겨진다. 갈고리가 케이스의 입구에 걸려 릴의 회전이 정지되면, 스틸 테이프는 케이스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다.
미국특허공보 제6467182호, 제6490809호에는 스틸 테이프의 되감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장치(Braking device)를 채택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들의 기술은 케이스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는 노브(Knob)의 조작에 의하여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브레이크가 스틸 테이프에 접촉하여 스틸 테이프의 되감기를 구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 문헌들의 줄자들은 케이스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스틸 테이프의 되감기 동작에 있어서,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되감기는 스틸 테이프의 속도가 매우 빠르고,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갈고리가 케이스에 부딪쳐 강한 충격을 발생시킴으로써 케이스의 파손 및 갈고리의 변형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사용자의 손이 되감기는 스틸 테이프의 에지(Edge)에 접촉되거나 갈고리에 부딪쳐 부상을 당하는 안전사고가 흔히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스틸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하여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의 크기를 작게 제작하기도 한다. 그러나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이 작은 경우에는, 스틸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가 너무 느려져 측정 시간이 지연되 고, 스틸 테이프가 릴에 완전히 되감기지 못하고 정지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한 특허 문헌들의 브레이크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스틸 테이프의 되감기를 완전히 정지시키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에 의하여 스틸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브레이크 장치를 여러 번 반복해서 조작해야 하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의 입구를 통하여 되감기는 테이프에 마찰력을 부여하여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줄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테이프의 풀림 동작이 원활한 줄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되감기는 테이프가 자동으로 정지되는 셀프로킹(Self-locking)에 의하여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줄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프가 되감기 중에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간편하게 해제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줄자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일측면에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릴과; 케이스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릴에 타단이 고정되어 있고, 릴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있을 경우 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릴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파이럴 스프링과; 릴의 외면에 후단이 고정되어 감겨 있으며, 케이스의 입구를 통하여 선단이 인출되어 있고, 릴의 외면에 초기위치에서 최대 직경으로 감겨 있는 테이프와; 케이스의 내부에 일단이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타단이 최대 직경으로 감겨 있는 테이프에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회동부재와; 회동부재의 타단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테이프의 초기위치에서 릴에 감겨 있는 테이프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롤러와; 마찰롤러가 테이프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회동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탄성부재와; 마찰롤러가 테이프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부재를 가압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푸시버튼과; 케이스의 내부에 테이프와 마찰롤러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마찰롤러의 회동을 구속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줄자에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줄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줄자는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10)를 구비한다. 케이스(10)는 좌우로 분리할 수 있는 좌측케이스(12)와 우측케이스(14)로 구성되어 있다. 좌측케이스(12)와 우측케이스(14)는 복수의 나사(16)들의 체결에 의하여 견고하게 조립된다. 케이스(10)의 일측면 하부에 입구(18)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케이스(12)의 내면 중앙에 보스(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 및 우측케이스(12, 14)의 내면 일측에 한 쌍의 축구멍(22a, 22b)들이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입 구(18)와 반대 방향의 케이스(10)의 일측에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0)의 내부에 릴(3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릴(30)의 중앙에 케이스(10)의 보스(20)가 위치되는 보어(Bore: 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릴(30)의 보어(32)에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파이럴 스프링(40)이 장착되어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40)의 일단은 케이스(10)의 보스(20)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릴(30)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릴(30)의 일측면에 보어(32)로부터 스파이럴 스프링(4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보어(32)를 덮는 커버(42)가 장착되어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은 릴(3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것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작용한다.
또한, 릴(30)의 외면에 유연성을 갖는 테이프(50), 예를 들어 스틸 테이프가 롤형(Roll Type)으로 감겨져 있다. 테이프(50)의 후단은 릴(30)에 고정되어 있고 선단은 케이스(10)의 입구(18)를 통하여 인출되어 있다. 테이프(50)는 릴(3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릴(30)로부터 풀려나고, 릴(30)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릴(30)에 감겨진다. 테이프(50)의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의 측정을 위한 눈금(52)이 표시되어 있다. 테이프(50)의 선단은 길이 측정의 영점이 된다.
케이스(10)의 입구(18)를 통하여 빠져나와 있는 테이프(50)의 선단에 갈고리(54)가 부착되어 있다. 사용자는 테이프(50)의 인출을 위하여 갈고리(54)를 잡아당기거나 길이의 측정을 위하여 피측정체(2)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갈고리(54)가 케이스(10)의 입구(18)에 걸려 있는 테이프(50)의 초기위치에서 릴(30)의 외면에 감겨 있는 테이프(50)의 제1 직경(D1)은 최대 직경으로 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10)의 내부에 회동부재(60)의 일단(62)이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회동부재(60)의 타단(64)은 제1 직경(D1)으로 감겨 있는 테이프(50)와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테이프(50)와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회동부재(60)의 타단(64)은 릴(30)에 감겨 있는 테이프(50)에 접촉된다. 회동부재(60)의 일단(62)에 축(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66)은 케이스(10)의 축구멍(22a, 22b)들에 회동할 수 있도록 끼워진다. 회동부재(60)의 타단(64)에 홈(68)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부재(60)의 타단(64)에 테이프(50)의 초기위치에서 릴(30)에 감겨 있는 테이프(50)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부재(70)가 더 장착되어 있다. 마찰부재(70)가 회동부재(60)의 타단(64)에 장착되어 테이프(50)에 접촉되는 경우, 회동부재(60)의 타단(64)은 최대 직경으로 감겨 있는 테이프(50)에 근접되도록 배치된다. 마찰부재(70)는 회동부재(60)의 홈(68)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마찰패드(Friction Pad: 72)로 구성되어 있다. 마찰패드(72)는 테이프(50)의 이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부여함으로써 테이프(50)의 되감기를 제어한다. 마찰패드(72)는 접착제의 접착에 의하여 회동부재(60)의 타단(64)에 부착될 수 있다. 마찰패드(72)는 고무, 합성고무, 실리콘고무(Silicon Rubber),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등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회동부재(60)의 축(66)에 마찰부재(70)가 테이프(50)의 이면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회동부재(60)를 회동시키는 탄성부재(80)가 장착되어 있다. 탄성부재(80)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 82), 압축코일스프링 등으로 구 성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82)의 일단은 케이스(10)의 내면에 걸리고 타단은 회동부재(60)에 걸리도록 장착된다.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은 회동부재(60)의 일측 또는 축(66)에 걸리고 타단은 케이스(10)의 내면에 걸리도록 장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줄자는 회동부재(60)를 가압하여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기구(90)를 구비한다. 조작기구(90)는 푸시버튼(Push Button: 92), 스프링(94)과 스토퍼(Stopper: 96)로 구성되어 있다. 푸시버튼(92)은 버튼부(92a)와 로드부(Road Portion: 92b)로 구성되어 있다. 버튼부(92)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케이스(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로드부(92b)는 마찰부재(70)가 테이프(5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부재(60)를 밀어 회동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10)에 관통되어 있다. 스프링(94)은 케이스(10)의 외면과 푸시버튼(92)의 버튼부(92) 사이에 장착되어 있으며, 푸시버튼(92)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스프링(94)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96)는 케이스(10)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는 푸시버튼(92)의 로드부(92b)에 장착되어 있으며, 케이스(10)의 내면에 접촉되어 푸시버튼(92)의 초기위치를 구속한다. 스토퍼(96)는 스냅링(Snap R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줄자는 케이스(10)의 내면 일측에 회동부재(60)의 회동을 구속하는 회동부재 구속수단으로 회동부재용 스토퍼(100)를 구비한다. 회동부재용 스토퍼(100)는 플라스틱을 소재로 사출성형되는 케이스(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부재(70)가 테이프(50)의 이면에 접촉되는 테이프(50)의 초기위치에서 회동부재(60)는 회동부재용 스토퍼(100)에 간섭되고, 이에 따라 회동부재(60)의 회동은 구속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갈고리(54)가 케이스(10)의 입구(18)에 걸려 있는 테이프(50)의 초기위치에서 마찰부재(70)는 테이프(50)의 외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부여한다. 테이프(50)가 초기위치에서 릴(30)로부터 풀려날수록 테이프(50)의 제1 직경(D1)은 최대 크기에서 점진적으로 감소되며, 테이프(50)의 제1 직경(D1)이 감소되는 것에 의하여 테이프(50)와 마찰부재(70) 사이의 마찰력도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케이스(10)의 입구(18)로부터 테이프(50)의 선단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테이프(50)가 초기위치에서 릴(30)로부터 풀려날 때, 마찰부재(70)는 테이프(50)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토크(Torque)를 부여받으며, 마찰부재(70)에 부여되는 토크에 의하여 회동부재(60)는 축(66)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테이프(50)와 마찰부재(7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고, 테이프(50)는 릴(30)로부터 원활하게 풀려난다.
한편, 테이프(50)가 마찰부재(70)와 접촉이 시작되는 지점(P)으로부터 제1 길이(L1)로 인출되어 있는 경우, 테이프(50)와 마찰부재(70)는 연속적으로 접촉된다. 이때, 마찰부재(70)와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테이프(50)는 릴(30)의 외면에 제2 직경(D2) 이상의 크기로 감겨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이프(50)가 마찰부재(70)와 접촉이 시작되는 지점(P)으로부터 제2 길이(L2) 이상으로 인출되어 있는 경우, 테이프(50)와 마찰부재(70)는 비접촉된다. 이때, 마찰부재(70)와 비접촉되는 테이프(50)는 릴(30)의 외면에 제3 직경(D3) 미만의 크기로 감겨 있다. 테이프(50)는 마찰부 재(70)와 비접촉되는 제2 길이(L2) 이상으로 인출되어 있다가 되감기면서 직경의 점진적인 증가에 의하여 마찰부재(70)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50)가 풀려나 있다가 되감기는 동작 중에 테이프(50)와 마찰부재(70)가 접촉되면, 마찰부재(70)와의 마찰 접촉에 의하여 테이프(50)의 되감기 속도가 감소된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줄자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피측정체(2)에 갈고리(54)를 걸어 고정하고, 갈고리(54)가 고정되어 있는 지점으로부터 일직선을 이루도록 케이스(10)를 잡고 이동한다.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케이스(10)의 입구(18)를 통하여 릴(30)에 감겨져 있는 테이프(50)가 당겨진다.
테이프(50)의 당김력에 의하여 릴(30)이 도 3의 화살표 "A"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릴(30)의 회전에 의하여 테이프(50)가 풀리면서 케이스(10)의 입구(18)를 통하여 인출된다. 릴(30)의 회전과 함께 스파이럴 스프링(40)이 시계 방향으로 감기면서 스파이럴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이 축적되며, 스파이럴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은 테이프(50)의 풀림 길이에 비례하여 증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갈고리(54)가 케이스(10)의 입구(18)에 걸려 있는 테이프(50)의 초기위치에서 마찰부재(70)는 테이프(50)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다. 테이프(50)가 릴(30)로부터 풀려날 때, 마찰부재(70)는 풀려나는 테이프(50)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토크를 부여받으며, 마찰부재(70)에 부여되는 토크에 의하여 회동부재(60)는 도 5의 화살표 "B"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30)과 반대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테이프(50)와 마찰부재(7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고, 테이프(50)는 릴(30)로부터 원활하게 풀려난다. 회동부재(60)의 반시계방향 회동에 의하여 토션스프링(82)의 탄성복원력이 축적된다. 한편, 테이프(50)가 릴(30)로부터 풀려날수록 테이프(50)의 제1 직경(D1)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며, 테이프(50)와 마찰부재(70) 사이의 마찰력도 점진적으로 감소되므로, 테이프(50)는 릴(30)로부터 원활하게 풀려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이프(50)가 제2 길이(L2) 이상으로 인출되어 릴(30)의 외면에 제3 직경(D3)으로 감겨 있을 경우, 테이프(50)와 마찰부재(70)는 접촉되지 않는다. 테이프(50)와 마찰부재(70)가 비접촉되는 경우, 회동부재(60)는 도 6의 화살표 "C"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82)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던 회동부재(60)는 회동부재용 스토퍼(100)에 지지되어 구속된다.
사용자는 테이프(50)의 인출에 의하여 피측정체(2)의 길이를 측정한 후, 피측정체(2)로부터 갈고리(60)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갈고리(60)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 스파이럴 스프링(40)은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감김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풀리게 된다. 스파이럴 스프링(40)의 풀림 동작에 의하여 릴(3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되는 릴(30)의 외면에 테이프(50)가 감기게 된다. 테이프(50)가 되감기는 과정에서 마찰부재(70)에 접촉되지 않으면, 테이프(50)의 되감기는 스파이럴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비례하여 빠른 속도로 수행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되감기는 테이프(50)가 릴(30)의 외면에 제2 직경(D2)으로 감길 경우, 테이프(50)의 이면과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마찰부재(70)의 접촉이 시작된다. 따라서 테이프(50)는 마찰부재(70)의 마찰력을 부여받고, 테이프(50)의 되감기 속도가 감속된다. 테이프(50)는 마찰부재(70)에 접촉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연속적으로 마찰력을 부여받으므로, 마찰부재(70)와 접촉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테이프(50)의 되감기 속도는 급속히 감속된다. 따라서 테이프(50)의 되감기가 안전하고 정확하게 실시된다. 또한, 갈고리(54)가 케이스(10)에 부딪쳐 발생되었던 케이스(10)의 파손 및 갈고리(54)의 변형이 방지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테이프(50)에 접촉되어 발생되었던 부상이 방지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되감기는 테이프(50)의 직경이 제1 직경(D1)에 근접될수록 테이프(50)와 마찰부재(7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된다. 테이프(50)와 마찰부재(70) 사이의 마찰력이 스파이럴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보다 크면, 릴(30)의 회전과 테이프(50)의 되감기가 정지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마찰부재(70)의 마찰력에 의하여 테이프(50)의 되감기가 정지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푸시버튼(92)의 버튼부(92a)를 누르면 로드부(92b)가 초기위치의 회동부재(60)를 밀게 되고, 회동부재(60)는 도 7의 화살표 "D"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회동부재(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마찰부재(70)는 테이프(50)의 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테이프(50)와 마찰부재(70)의 접촉이 해제된다. 테이프(50)와 마찰부재(70)의 접촉이 해제되면, 스파이럴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정지되어 있던 릴(30)이 다시 회전되기 시작하고, 회전되는 릴(30)의 외면에 테이프(50)가 감겨진다. 따라서 테이프(50)의 되감기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푸시버튼(92)의 버튼부(92a)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94)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푸시버튼(92)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도 8과 도 9에 본 발명의 줄자에서 회동부재의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구속수단은 돌기(102), 그루브(Groove: 104), 제1 걸림턱(106)과 제2 걸림턱(108)으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102)는 축(66)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104)는 축구멍(22a, 22b)들 중 축구멍(22a)에 돌기(102)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턱(106)과 제2 걸림턱(108)은 그루브(104)의 일측과 타측에 돌기(102)가 간섭될 수 있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돌기(102)가 제1 걸림턱(106)에 간섭되면, 테이프(50)의 초기위치에서 마찰부재(70)는 테이프(50)의 외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부여한다. 회동부재(60)가 축(66)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돌기(102)는 그루브(104)를 따라 이동한다. 돌기(102)가 제2 걸림턱(108)에 걸리면, 마찰부재(70)는 테이프(50)의 이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해제위치에 있게 된다. 돌기(102), 그루브(Groove: 104), 제1 걸림턱(106)과 제2 걸림턱(108)으로 구성되어 회동부재(60)의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은 회동부재용 스토퍼(100)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므로, 줄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의 줄자에서 일 실시예의 줄자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회동부재(60)의 타단(64)에 마찰부재(170)가 장착되어 있다. 마찰부재(170)는 마찰롤러(172)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찰롤러(172)의 축(174)은 회동부재(60)의 타단(64)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마찰롤러(172)는 테이프(50)의 이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부여함으로써 테이프(50)의 되감기를 제어한다. 마찰롤러(172)는 고무, 합성고무, 실리콘고무, 우레탄고무 등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줄자는 케이스(10)의 내면 일측에 마찰롤러(172)의 회동을 구속하는 마찰롤러 구속수단으로 스토퍼(200)를 구비한다. 스토퍼(200)는 마찰롤러(172)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마찰롤러(172)의 외면에 접촉된다. 스토퍼(200)는 플라스틱을 소재로 사출성형되는 케이스(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롤러(172)가 테이프(50)의 이면에 접촉되는 테이프(50)의 초기위치에서 마찰롤러(172)는 스토퍼(200)에 간섭되고, 이에 따라 마찰롤러(172)의 회동이 구속된다. 또한, 마찰롤러(172)가 스토퍼(200)에 간섭되는 것에 의하여 회동부재(60)의 회동도 구속된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갈고리(54)가 케이스(10)의 입구(18)에 걸려 있는 테이프(50)의 초기위치에서 마찰롤러(172)는 테이프(50)의 외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부여한다. 테이프(50)가 초기위치에서 릴(30)로부터 풀려날수록 테이프(50)의 제1 직경(D1)은 최대 크기에서 점진적으로 감소되며, 테이프(50)의 제1 직경(D)이 감소되는 것에 의하여 테이프(50)와 마찰롤러(172) 사이의 마찰력도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케이스(10)의 입구(18)로부터 테이프(50)의 선단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테이프(50)가 초기위치에서 릴(30)로부터 풀려날 때, 마찰롤러(172)는 테이프(50)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토크를 부여받으며, 마찰롤러(172)에 부여되는 토크에 의하여 회동부재(60)는 축(66)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테이프(50)와 마찰롤러(172)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고, 테이프(50)는 릴(30)로부터 원활하게 풀려난다. 테이프(50)가 마찰롤러(172)와 접촉이 시작되는 지점(P)으로부터 제1 길이(L1)로 인출되어 있는 경우, 테이프(50)와 마찰롤러(172)는 연속적으로 접촉된다. 이때, 마찰롤러(172)와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테이프(50)는 릴(30)의 외면에 제2 직경(D2) 이상의 크기로 감겨 있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이프(50)가 마찰롤러(172)와 접촉이 시작되는 지점(P)으로부터 제2 길이(L2) 이상으로 인출되어 있는 경우, 테이프(50)와 마찰롤러(172)는 비접촉된다. 이때, 마찰롤러(172)와 비접촉되는 테이프(50)는 릴(30)의 외면에 제3 직경(D3) 미만의 크기로 감겨 있다. 테이프(50)는 마찰롤러(172)와 비접촉되는 제2 길이(L2) 이상으로 인출되어 있다가 되감기면서 직경의 점진적인 증가에 의하여 마찰롤러(172)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50)가 풀려나 있다가 되감기는 동작 중에 테이프(50)와 마찰롤러(172)가 접촉되면, 마찰롤러(172)와의 마찰 접촉에 의하여 테이프(50)의 되감기 속도가 감소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마찰롤러(172)의 마찰력에 의하여 테이프(50)의 되감기가 정지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푸시버튼(92)의 버튼부(92a)를 누르면 로드부(92b) 가 초기위치의 회동부재(60)를 밀게 되고, 회동부재(60)는 도 15의 화살표 "D"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회동부재(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마찰롤러(172)는 테이프(50)의 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테이프(50)와 마찰롤러(172)의 접촉이 해제된다. 테이프(50)와 마찰롤러(172)의 접촉이 해제되면, 스파이럴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정지되어 있던 릴(30)이 다시 회전되기 시작하고, 회전되는 릴(30)의 외면에 테이프(50)가 감겨진다. 따라서 테이프(50)의 되감기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푸시버튼(92)의 버튼부(92a)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94)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푸시버튼(92)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줄자에 의하면, 케이스의 입구를 통하여 되감기는 테이프에 마찰부재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부여하여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의 되감기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테이프의 풀림 동작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테이프가 되감기는 도중에 자동으로 정지되는 셀프로킹에 의하여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줄자에서 우측케이스를 분리하여 나타낸 좌측케이스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줄자에서 테이프와 마찰부재가 접촉되어 있는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줄자에서 테이프가 마찰부재에 연속적으로 접촉되는 제1 길이로 인출되어 있는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줄자에서 테이프가 마찰부재에 비접촉이 시작되는 제2 길이로 인출되어 있는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줄자에서 조작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줄자에서 구속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줄자에서 구속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줄자에서 우측케이스를 분리하여 나타 낸 좌측케이스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줄자에서 테이프와 마찰부재가 접촉되어 있는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줄자에서 테이프가 마찰부재에 연속적으로 접촉되는 제1 길이로 인출되어 있는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줄자에서 테이프가 마찰부재에 비접촉이 시작되는 제2 길이로 인출되어 있는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줄자에서 조작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스 18: 입구
22a, 22b: 축구멍 30: 릴
40: 스파이럴 스프링 50: 테이프
60: 회동부재 62: 일단
64: 타단 66: 축
68: 홈 70, 170: 마찰부재
72: 마찰패드 80: 탄성부재
82: 토션스프링 90: 조작기구
92: 푸시버튼 94: 스프링
100: 회동부재용 스토퍼 102: 돌기
104: 그루브 106: 제1 걸림턱
108: 제2 걸림턱 172: 마찰롤러
200: 스토퍼

Claims (9)

  1. 일측면에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릴과;
    상기 케이스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릴에 타단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릴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있을 경우 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릴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파이럴 스프링과;
    상기 릴의 외면에 후단이 고정되어 감겨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입구를 통하여 선단이 인출되어 있고, 상기 릴의 외면에 초기위치에서 최대 직경으로 감겨 있는 테이프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일단이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타단이 상기 최대 직경으로 감겨 있는 상기 테이프에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릴에 감겨 있는 상기 테이프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롤러와;
    상기 마찰롤러가 상기 테이프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탄성부재와;
    상기 마찰롤러가 상기 테이프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부재를 가압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푸시버튼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테이프와 상기 마찰롤러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마찰롤러의 회동을 구속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줄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일측에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회동부재를 밀어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로드부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버튼부 사이에 상기 푸시버튼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줄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70101620A 2007-10-09 2007-10-09 줄자 KR100911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620A KR100911212B1 (ko) 2007-10-09 2007-10-09 줄자
US12/682,165 US20100299948A1 (en) 2007-10-09 2008-10-09 Tape measure
PCT/KR2008/005953 WO2009048284A2 (en) 2007-10-09 2008-10-09 Tape mea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620A KR100911212B1 (ko) 2007-10-09 2007-10-09 줄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434A KR20090036434A (ko) 2009-04-14
KR100911212B1 true KR100911212B1 (ko) 2009-08-06

Family

ID=4076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620A KR100911212B1 (ko) 2007-10-09 2007-10-09 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177A2 (en) * 2009-05-13 2010-11-18 Zhengping Zhang Personal portable device keeper
KR101657556B1 (ko) * 2015-07-21 2016-09-30 임재호 감속기능을 갖는 안전 줄자
KR101758843B1 (ko) * 2015-07-21 2017-07-17 임재호 감속기능을 갖는 안전 줄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1738A (ja) * 1995-08-01 1997-02-10 Tatsuno Co Ltd テープ巻取装置
KR20010036309A (ko) * 1999-10-07 2001-05-07 박종섭 폴더형 휴대폰의 원터치 오픈 장치
KR20060021969A (ko) * 2004-09-06 2006-03-09 김주덕 줄자의 테이퍼 되감기시 자동속도 감속장치
JP2007139537A (ja) * 2005-11-17 2007-06-07 Hara Doki Kk 巻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1738A (ja) * 1995-08-01 1997-02-10 Tatsuno Co Ltd テープ巻取装置
KR20010036309A (ko) * 1999-10-07 2001-05-07 박종섭 폴더형 휴대폰의 원터치 오픈 장치
KR20060021969A (ko) * 2004-09-06 2006-03-09 김주덕 줄자의 테이퍼 되감기시 자동속도 감속장치
JP2007139537A (ja) * 2005-11-17 2007-06-07 Hara Doki Kk 巻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434A (ko) 200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5242Y1 (ko) 줄자의 테이프 고정 장치
US4856726A (en) Tape measure
US6276071B1 (en) Tape measure with tape braking control mechanism
US20070108331A1 (en) Tape measure
US6272764B1 (en) Tape rule
CA2840859C (en) Retractable tape rule assembly locking system
KR100911212B1 (ko) 줄자
US4485985A (en) Belt strap-clamping device for safety belts in motor vehicles
JP3774617B2 (ja) 巻尺
US20100299948A1 (en) Tape measure
US6463670B1 (en) Tape measure
KR100906371B1 (ko) 줄자
KR20100040199A (ko) 줄자
WO2008053237A1 (en) Brake mechanism for tape measures
KR101817922B1 (ko) 줄자의 테이프 멈춤방법
JP3362339B2 (ja) 巻 尺
KR20140098981A (ko) 테이프 멈춤 기능을 구비한 줄자
FI128984B (fi) Taluttimen kitkajarru
JP2989781B2 (ja) 巻 尺
JP3177569U (ja) 巻尺
JP2003075101A (ja) 巻き尺
JPH10232102A (ja) 巻 尺
KR20090078323A (ko) 줄자의 자동속도 감속장치
ITMI20000171U1 (it) Metro a nast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