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207A - 포대기 - Google Patents

포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207A
KR20160140207A KR1020150076535A KR20150076535A KR20160140207A KR 20160140207 A KR20160140207 A KR 20160140207A KR 1020150076535 A KR1020150076535 A KR 1020150076535A KR 20150076535 A KR20150076535 A KR 20150076535A KR 20160140207 A KR20160140207 A KR 20160140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nd
bands
shoulder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경희
Original Assignee
황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경희 filed Critical 황경희
Priority to KR1020150076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0207A/ko
Priority to PCT/KR2016/005512 priority patent/WO2016195310A1/ko
Publication of KR20160140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한국 전통적인 포대기와 현대적인 멜빵형 아기띠의 좋은 특성을 두루 갖춘 신개념의 포대기가 소개된다. 그 포대기는 유아 지지를 위한 본체(10); 본체(10)의 상단부 좌우 양측에 마련된 제1 및 제2 밴드(21,22); 및 제1 및 제2 밴드(21,22)를 각각 서로의 반대방향으로 교차시켜 어깨 밴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차 가이드(1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대기{A BABY CARRIER}
본 발명은 유아를 업고 이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포대기는 전통적으로 한국에서 사용되었던 유아 캐리어이다. 포대기는 유아를 밀착시킬 수 있어 부모와 유아 간의 교감 형성이나 유아의 심리적 안정에 좋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포대기의 장점이 다시 주목받고 있기는 하나, 기본적으로 포대기는 활성이나 맵시가 좋지 않아 선호도가 떨어진다. 또 통풍성이 좋지 않고, 어깨 끈이 없어 유아를 업은 상태에서 두 손으로 유아 엉덩이를 받쳐야 안정감이 드는 문제도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집안에서만 포대기를 사용하고, 외출할 때는 멜빵 형태의 현대적인 아기띠를 사용하기도 한다.
통상적인 멜빵형 아기띠는 유아를 감싸는 본체에 어깨 벨트와 허리 벨트가 구비되며 버클을 이용하여 벨트들을 서로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아기띠는 앞으로 업을 수도 있고 포대기에 비해 양손이 자유롭고 활동하기 편하며 맵시도 어느 정도 좋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멜빵형 아기띠는 상하방향의 어깨 벨트로 유아 무게를 지탱하고 수평방향의 허리 벨트로 유아를 밀착시키는 구조이기에, 포대기에 비해 밀착감이나 포근한 느낌이 떨어진다. 어깨 벨트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겠으나, 기본적인 구조에서 미세해 보이겠지만 매우 큰 한계가 있다.
또한 멜빵형 아기띠의 어깨 벨트와 허리 벨트에는 각각 버클이 구비되는데 통상 허리 벨트의 버클 사이즈가 크다. 포대기에 비해 맵시가 있지만, 큰 사이즈의 버클이나 패드가 사용되어 두툼한 천 등으로 인해 등산가방을 매고 있는 듯한 투박한 느낌을 들게 하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기존의 멜빵향 아기띠는 허리 벨트의 버클을 체결한 후, 유아를 본체에 앉히고 어깨 벨트를 어깨에 끼운 다음 어깨 벨트의 버클을 체결하는 순서로 착용한다. 어떠한 이유로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다시 아기띠를 풀어 유아를 내린 다음, 길이 조절을 해야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유아는 젖먹이 유아(乳兒)를 포함하여 어린 아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74297호 (2014년 6월 17일 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대한 인식에 기초한 것으로, 한국 전통의 포대기와 현대적인 멜빵형 아기띠의 장점들을 두루 갖춘 신개념의 포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유아를 사용자에게 밀착시켜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활동성을 보장하면서도 맵시 또한 우수한 새로운 포대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포대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에는 사용자의 안정성, 편리성을 보장하기 위해 멜빵형 아기띠 벨트에는 두툼한 패드가 들어 있으며 벨트 끝단에는 큼지막한 버클이 적용되었다. 따라서 아기띠 본체에 기본적으로 좌우 한 쌍씩, 낱개로 4개의 두껍고 버클이 달린 벨트가 주렁주렁 매달려 있어 투박하고 부피나 두께 때문에 접어서 가방에 넣고 휴대하고 다니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아기띠의 어깨 밸트와 허리 밸트는 서로 연동되지 않는 독립적인 별도의 구성물이었다. 허리 밸트를 조이면 주로 업힌 유아의 허벅지가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고 엉덩이나 상체는 사용자와 이격된다. 어깨 밸트를 조이면 유아의 상체가 사용자에게 어느 정도 밀착되나, 유아의 무게가 어깨 밸트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형태이기에, 사용자 어깨에 전해지는 부담을 덜기 위해 어깨 밸트에는 더욱 두툼한 매트가 사용될 수밖에 없었다.
한편 한국 전통의 포대기는 가로가 긴 직사각형의 포대기 상단부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띠가 하나씩 달려 있다. 그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포대기로 유아를 업고 띠를 조이면, 유아의 상체를 사용자에게 밀착될 뿐만 아니라 엉덩이가 상방향으로 받쳐져 유아의 밀착감이 우수하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대로 포대기는 입은 형상이 매우 투박하고 어깨 밸트가 없어 불안하다.
종래에는 한국 전통의 포대기나 멜빵형의 아기띠는 각각의 기본적인 구조를 그대로 유지한 채 각각 별도로 개선되어 왔을 뿐, 크로스오버를 통해 서로의 장점이 융합된 새로운 포대기를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는 전혀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한국 전통 포대기와 현대적인 아기띠의 좋은 장점을 두루 갖춘 신개념의 포대기를 개발하고자 노력하였고, 그 결과로 본 발명을 출원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포대기는 유아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 본체의 상단부 좌측과 우측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자유단인 제1 및 제2 밴드; 및 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제1 및 제2 밴드를 각각 서로의 반대방향으로 교차시켜 어깨 밴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차 가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포대기는 교차 가이드에서 교차된 각각의 타단부를 서로 묶어 매듭을 형성함에 의해 허리 밴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수단도 있겠으나, 맵시나 밀착감의 세밀한 조절을 위해서는 매듭이 최선호 된다. 더욱이 매듭은 유아를 업은 상태에서 밴드 길이조절 혹은 밀착력 조절을 하기 용이하다.
위와 같은 포대기는 유아의 무게를 지지하는 어깨 밴드를 형성할 수 있어 안정감이 있고 사용자가 안심하고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밴드의 자유단을 잡아당기면, 허리 밴드는 물론 어깨 밴드까지 조여지며 또한 교차 가이드 부위에서 유아 엉덩이를 받치는 힘도 커지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와 유아 간의 밀착감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포대기는, 교차 가이드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며, 교차 가이드로 들어가는 밴드들을 각각 가이드 하기 위한 어깨 밴드 가이드; 및 어깨 밴드 가이드 각각의 아래에 마련되며, 교차 가이드에서 교차되어 나오는 밴드들을 각각 가이드 하기 위한 허리 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분화된 가이드들은 유아가 사용자에게 안정감 있게 밀착되고 업힌 상태에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교차 가이드의 디자인을 심플하게 할 수 있게 한다. 교차 가이드만 사용할 경우 미세하지만 유아가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기가 매우 어렵고, 디자인이 투박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포대기는 유아를 사용자에게 안정감 있게 밀착시킬 수 있으며 유아를 업었을 때의 느낌이 한국 전통적인 포대기와 매우 유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대기는 안정성과 활동성은 물론 맵시 또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대기는 사용하기 편리하며 간단한 구조로 인해 디자인이 심플하여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밴드를 조립하여 어깨 밴드와 허리 밴드가 만들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포대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유아를 뒤로 업은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도 3과 각각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들이고,
도 6은 도 1의 포대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유아를 앞으로 업은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된다.
참고로 도 1 및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포대기의 바깥면, 즉 유아가 접촉하는 내측면이 아닌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면이 도시된 것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는 유아를 감싸거나 지지하기 위한 본체(10)와, 각각 일단은 본체(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인 한 쌍의 밴드(2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유아를 감싸기 위한 등받이(16)와 이 등받이(16) 하단부에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 허리 지지대(17)를 구비한다. 등받이(16)의 상단에는 유아의 머리 부위를 감싸기 위한 덮개(18)가 마련된다.
등받이(16)는 엉덩이를 포함하여 유아를 감싸고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세로폭이 다소 길게 형성된다. 후에 상술되겠지만, 등받이(16)의 하단부의 중앙 측에는 교차 가이드(11)가 마련되고, 교차 가이드(11) 아래로는 스커트(15)가 연장된다.
허리 지지대(17)는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기 위해 필요한 적당한 길이로 형성된다. 사용자가 유아를 업었을 때 등받이(16)와 허리 지지대(17) 사이에 유아의 다리가 놓이게 되며, 허리 지지대(17)가 유아의 다리를 지지하게 된다.
밴드(20)는 도 1에서 보기에 우측의 제1 밴드(21)와 좌측의 제2 밴드(22)로 구성된다. 이들 밴드(21,22)는 각각의 일단이 등받이(16)의 상단에 박음질로 견고하게 고정되며, 서로 대칭적으로 구성된다. 이들 밴드(21,22) 사이에는 덮개(18)가 위치된다.
밴드(20)의 일단이 본체(10)에 연결 또는 결합되는 각도는 상하방향, 혹은 도 1에서와 같이 예각으로 비스듬한 방향이 좋다. 적어도 한국 전통의 포대기와 같이 가로 또는 수평방향은 아니다. 물론 고리 또는 링을 사용하여 밴드(20) 일단이 본체(10)에 연결되는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겠지만, 밴드(20) 일단은 본체(10)에 박음질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안전하고 사용자에게 불편하지 않다.
도 2에는 제1 및 제2 밴드(21,22)를 본체(10)에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차 가이드(11)는 본체(10)의 등받이(16) 하단부 중앙 측에 마련된다. 제1 및 제2 밴드(21,22)는 각각 루프, 즉 어깨 밴드를 형성한 후, 교차 가이드(11)에 끼워져 서로의 반대방향으로 교차되며, 교차 가이드(11)를 지난 밴드(20)는 허리 밴드를 구성한다.
교차 가이드(11)는 제1 및 제2 밴드(21,22)를 교차시키고 그 교차된 부분을 일정한 위치에 잡아 두기 위한 것으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에 박음질된 덧감으로 구성된다. 교차 가이드(11)의 좌우 양단은 밴드(20)를 끼울 수 있도록 개방되며 상하단이 박음질된다.
밴드(20)는 교차 가이드(11)에 사선방향으로 끼워진다. 도면에서 교차 가이드(11)는 단순한 직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밴드(20)로 인해 유아를 업었을 때 교차 가이드(11) 부위에서 주름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유아가 불편함을 느끼거나 외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디자인되는 것이 좋다.
실시예에 의하면 교차 가이드(11)는 단일의 덧감으로 구성되나, 두 장의 덧감을 X 형태로 구성하여 제1 및 제2 밴드(21,22)가 각각의 교차 가이드(11)를 지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후술될 다른 가이드들(12,13,14) 중 일부의 생략이 가능할 수 있겠으나, 교차 가이드(11)가 두껍고 투박해진다.
한편 교차 가이드(11)는 가로방향으로의 길이가 세로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이 좋다. 세로방향 길이는 밴(20)를 끼울 수 있도록 밴드(20)의 폭보다 조금 더 넓게 하는 정도이면 되며, 가로방향 길이는 유아의 엉덩이를 교차 가이드(11) 부위에서 충분히 받쳐줄 수 있도록 세로방향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차 가이드(11)의 좌우 양측에는 교차 가이드(11)로 진입하는 밴드(20)를 가이드 하기 위한 어깨 밴드 가이드(12: 12a,12b)와, 교차 가이드(11)에서 교차되어 나오는 밴드(20)를 어깨 밴드 가이드(12) 아래에서 가이드 하기 위한 허리 밴드 가이드(13: 13a,13b)가 마련된다.
어깨 밴드 가이드(12)와 허리 밴드 가이드(13)는 상하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동일선상에 있지 않고, 이들 밴드(12,13)의 위치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경우, 교차 가이드(11)에서 유아 엉덩이를 받치는 힘이 분산되며 밴드들(12,13) 사이에 주름이 발생하여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실시예에 의하면 어깨 및 허리 밴드 가이드(12,13)는 등받이(16)의 좌우 양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된 덧감(19)에 형성된다. 덧감(19)은 등받이(16)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길게 연장되는데, 어깨 및 허리 밴드 가이드(12,13)의 좌우 양단은 개방되며 상하단은 사선방향으로 등받이(16)에 박음질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어깨 및 허리 밴드 가이드(12,13)는 교차 가이드(11)와 마찬가지로 각각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등받이(16)의 좌우 양 가장자리에의 강성이 적어, 유아를 업은 상태에서 허리 밴드 가이드(13) 부근에 주름이 잡히거나 외관이 좋지 않다.
실시예 의하면, 본체(10)의 허리 지지대(17)에는 앞서 허리 밴드 가이드(13)를 통과해 나온 밴드(20)를 가이드 하기 위한 추가적인 허리 밴드 가이드(14: 14a,14b)가 마련된다. 추가된 허리 밴드 가이드(14)는 허리 지지대(17)가 사용자의 허리, 특히 옆구리에 밀착되어 안정감을 향상시킨다.
추가된 허리 밴드 가이드(14)는 앞선 허리 밴드 가이드(13)보다 가로폭이 더 넓게 형성된다. 앞선 허리 밴드 가이드(13)를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추가적인 허리 밴드 가이드(14)를 생략할 수도 있겠으나, 제작의 편리성이나 맵시를 위해서는 선호되지 않는다.
한편 제1 및 제2 밴드(21,22)는 교차 가이드(11)에서 교차된 후 허리 밴드 가이드(13,14)를 통과한 밴드들(21,22)의 타단부를 서로 묶어 매듭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밴드(20)는 내부에 패드가 들어 있는 일단 측의 패드 구간(21b,22b)과, 서로 묶어 매듭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패드가 없거나 적어도 패드 구간보다는 적게 든 타단 측의 비패드 구간(21a,22a)을 갖는다. 패드 구간(21b,22b)은 유아를 업은 상태에서 허리 밴드 가이드(14a,14b)까지는 연장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위 실시예에서와 달리 밴드들(21,22)의 타단부에 버클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밴드 타단부를 버클링한 후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어느 정도 편리할 수 있을 것이나, 밴드(20)가 허리 지지대(17)에 온전히 고정된 것이 아니기에, 버클 체결 후 밴드(20) 타단부가 길게 남게 된다. 맵시가 나쁘며 허리 지지대(17)를 보다 두껍게 해야 할 필요가 있어, 선호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여 밴드(20)의 조립 방법을 살펴본다.
도 2에서 보듯이, 우측의 제1 밴드(21)는 루프를 형성하도록 우측의 어깨 밴드 가이드(12a)를 거쳐 교차 가이드(11)에 끼워진 후, 좌측의 허리 밴드 가이드(13b,14b)를 통과한다. 루프는 어깨 밴드가 되며, 허리 밴드 가이드(13b,14b)를 통과한 타단부는 허리 밴드를 구성한다.
마찬가지로, 좌측의 제2 밴드(22)는 루프를 형성하도록 좌측의 어깨 밴드 가이드(12b)를 거쳐 교차 가이드(11)에 끼워진 후, 우측의 허리 밴드 가이드(13a,14a)를 통과한다. 루프는 어깨 밴드가 되며, 허리 밴드 가이드(13a,14a)를 통과한 타단부는 허리 밴드를 구성한다.
한편 밴드들(21,22)의 어깨 밴드 부위에는 이들 어깨 밴드의 좌우방향 간격을 조이기 위한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작은 버클(24,25)가 마련된다. 버클들(24,25)은 탄성밴드(23)를 이용하여 밴드(21)에 고정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를 이용하여 유아를 뒤에 업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보듯이, 제1 밴드(21)는 사용자의 우측 어깨에 감겨진 후 교차 가이드(11)를 거쳐 사용자의 좌측 허리에 타단부가 놓이게 되며, 제2 밴드(22)는 사용자의 좌측 어깨에 감겨진 후 교차 가이드(11)를 거쳐 사용자의 우측 허리에 타단부가 놓이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교차 가이드(11)의 아래로는 스커트(15)가 연장된다. 이 스커트(15)는 포대기가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는 교차 가이드(11) 부위에서 밴드들(21,22)이 유아 엉덩이를 견고하게 받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밴드(20) 타단부의 비패드 구간(21a,22a)은 허리 밴드를 구성한다. 유아를 업은 후, 밴드(20)의 타단부를 잡아당기면 교차 가이드(11) 부위에서 유아의 엉덩이가 견고하게 받혀질 뿐만 아니라 본체(10)에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밴드(20)의 일단 측이 조여져 유아의 상체가 사용자에게 밀착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밴드들(21,22) 타단부의 비패드 구간(21a,22a)을 묶어 매듭을 형성함에 의해 허리 밴드가 완성된다. 비패드 구간(21a,22a)이므로 매듭을 짓기 용이하며, 맵시가 뛰어나다. 어깨 밴드의 버클(24,25)을 체결하게 되면 유아를 업은 상태가 더 안정적이게 된다.
도 6에는 실시예에 따른 포대기를 이용하여 유아를 앞으로 업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보듯이, 제1 밴드(21)는 사용자의 좌측 어깨에 등(back) 쪽 방향으로 감겨진 후 어깨 밴드 가이드(12a) 및 교차 가이드(11)를 거쳐, 사용자의 우측 옆구리에 감져진다. 업는 방향만 바뀌었을 뿐, 앞서의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유아의 엉덩이가 견고하게 지지되며 상체가 사용자에게 밀착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고 또 이것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는 것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칭이나 상세한 설명, 그리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포대기 라는 용어가 사용되나, 당연하겠지만 이러한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국 전통의 포대기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10: 본체 11: 교차 가이드
12a,12b: 어깨 밴드 가이드 13a,13b,4a,14b: 허리 밴드 가이드
15: 스커트 16: 등받이
17: 허리 지지대 20: 밴드
21: 제1 밴드 22: 제2 밴드

Claims (16)

  1. 유아를 감싸거나 또는 지지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부 좌측과 우측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자유단인 제1 및 제2 밴드; 및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제1 및 제2 밴드를 각각 서로의 반대방향으로 교차시켜 좌우 한 쌍의 어깨 밴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차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밴드는 사용자가 어깨 밴드를 어깨에 끼울 수 있도록 본체에 가로방향이 아닌 상하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들은,
    교차 가이드에서 교차된 각각의 타단부를 서로 묶어 매듭을 형성함에 의해 허리 밴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어깨 밴드에는 좌우방향으로 이들의 간격을 조이기 위한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버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들 각각은,
    내부에 패드가 들어 있는 일단 측의 패드 구간과, 서로 묶어 매듭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패드가 없거나 적어도 패드 구간보다는 적은 타단 측의 비패드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들은,
    교차 가이드에서 교차된 각각의 타단부를 서로 버클링한 후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 가이드는 좌우단이 개방되며 상하단이 본체에 박음질된 덧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 가이드는 유아의 엉덩이를 받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며, 본체는 교차 가이드 아래로 연장된 스커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엉덩이를 포함하여 유아를 감싸기 위한 등받이; 및
    등받이 하단부에서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는 허리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 가이드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며, 교차 가이드로 들어가는 밴드들을 각각 가이드 하기 위한 어깨 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 가이드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며, 교차 가이드에서 교차되어 나오는 밴드들을 각각 가이드 하기 위한 허리 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 가이드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며, 교차 가이드로 들어가는 밴드들을 각각 가이드 하기 위한 어깨 밴드 가이드; 및
    상기 어깨 밴드 가이드 각각의 아래에 마련되며, 교차 가이드에서 교차되어 나오는 밴드들을 각각 가이드 하기 위한 허리 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밴드들 각각은,
    내부에 패드가 들어 있는 일단 측의 패드 구간과, 서로 묶어 매듭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패드가 없거나 적어도 패드 구간보다는 적은 타단 측의 비패드 구간을 가지며,
    패드 구간은 유아를 업은 상태에서 적어도 허리 밴드 가이드까지는 연장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어깨 밴드 가이드와 허리 밴드 가이드는 상하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어깨 밴드 가이드와 허리 밴드 가이드는, 본체의 좌우 양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박음질된 덧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허리 밴드 가이드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밴드를 최종 가이드 하는 추가의 허리 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추가의 허리 밴드 가이드는 앞선 허리 밴드 가이드보다 가로폭이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교차 가이드는 유아의 엉덩이를 받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며,
    본체는 엉덩이를 포함하여 유아를 감싸기 위한 등받이와 등받이 하단부에서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 허리 지지대를 포함하며,
    추가의 허리 밴드 가이드는 허리 지지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기.
KR1020150076535A 2015-05-29 2015-05-29 포대기 KR2016014020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535A KR20160140207A (ko) 2015-05-29 2015-05-29 포대기
PCT/KR2016/005512 WO2016195310A1 (ko) 2015-05-29 2016-05-25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535A KR20160140207A (ko) 2015-05-29 2015-05-29 포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207A true KR20160140207A (ko) 2016-12-07

Family

ID=5744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535A KR20160140207A (ko) 2015-05-29 2015-05-29 포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40207A (ko)
WO (1) WO201619531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4297A (ko) 2011-10-13 2014-06-17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아기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017Y1 (ko) * 2002-04-22 2002-07-31 김만성 아기포대
SE0203532L (sv) * 2002-11-29 2003-12-09 Baby Bjoern Ab Barnbärsele
KR20100002191U (ko) * 2008-08-21 2010-03-04 이진섭 아기 포대기
KR101529628B1 (ko) * 2013-06-17 2015-06-22 박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
KR20150053581A (ko) * 2013-11-08 2015-05-18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유아용 캐리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4297A (ko) 2011-10-13 2014-06-17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아기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5310A1 (ko)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650B1 (ko)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KR200473013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US11202520B2 (en) Baby carrier
KR20150053581A (ko) 유아용 캐리어
KR101558175B1 (ko) 포대기
US7669743B2 (en) Adjustable infant carrier
JP2021514696A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0312695Y1 (ko) 조끼형 아기포대기
KR20160140207A (ko) 포대기
KR20150004498U (ko)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EP4228478A1 (en) Baby carrier
KR101791471B1 (ko) 힙시트 허리밴드 구조체
KR200478811Y1 (ko) 벨트 고리 포대기
KR200486269Y1 (ko) 유아용 아기띠의 폭 조절구조
JP6012059B1 (ja) 前開きロンパース
JP4739543B2 (ja) 介護用衣服及びその支持部
KR20190041209A (ko) 사용편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후방아기띠와 전방아기띠를 구비한 아기띠장치
CN210901411U (zh) 一种高腰束裤
JP3184568U (ja)
KR200286208Y1 (ko) 아기포대기
KR101755580B1 (ko) 보행 보조기능을 갖춘 유아용 캐리어
KR20170051038A (ko) 유아용 캐리어
KR200483195Y1 (ko) 힙시트 캐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