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95310A1 - 아기띠 - Google Patents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95310A1
WO2016195310A1 PCT/KR2016/005512 KR2016005512W WO2016195310A1 WO 2016195310 A1 WO2016195310 A1 WO 2016195310A1 KR 2016005512 W KR2016005512 W KR 2016005512W WO 2016195310 A1 WO2016195310 A1 WO 201619531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nd
baby
guide
cross
b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55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경희
Original Assignee
황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경희 filed Critical 황경희
Publication of WO201619531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9531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er used to carry a baby on his back or chest.
  • a baby is a concept that includes infants or infants.
  • the baby belt which has been used traditionally in Korea, is a bag.
  • a sack can have a baby, especially a suckling baby, in close contact with a user's back, which is advantageous in forming a rapport between the parent and the baby or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baby.
  • the bag is used only in the house, and when going out, a modern baby belt in the form of a suspender may be used.
  • Conventional suspender type baby belt is provided with a shoulder belt and a waist belt on the body surrounding the baby, and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couples the belts together using a buckle. These baby carriers can be lifted up and have the advantages of having both hands free and easy to operate and well-behaved compared to baby carriers.
  • the suspender-type baby belt as described above supports the baby's weight with the shoulder bel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loses the baby with the waist bel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length of the shoulder belt may be adjustable, but it may look fine in the basic structure, but there is a very big limitation.
  • the shoulder belt and the waist belt of the suspender baby belt are each provided with a buckle, and the waist belt has a large buckle size. Although it's more sleek than a bag, it's true that a large size of buckle or pad is used to make it feel like you're wearing a hiking bag because of a thick cloth.
  • the existing suspender-like baby belt is worn in the order of fastening the buckle of the waist belt, seating the baby on the body, inserting the shoulder belt on the shoulder, and then fastening the buckle of the shoulder belt. If for some reason you ne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elt, you'll most likely ne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elt by unscrewing it again.
  •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new concept baby belt with the advantages of the traditional Korean bag and modern harness-type baby belt.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new baby belt that can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by closely contacting the baby to the user and ensures activity, but also has excellent styling.
  • the suspender type baby belt belt includes a thick pad and a large buckle is applied to the belt end. Therefore, the main body of the baby belt basically left and right pairs, four thick and buckle belts hanging individually, and was clunky and bulky and thick, so it was inconvenient to carry it in a bag and carry it.
  • the shoulder belt and the waist belt of the baby belt in the prior art was an independent separate component not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ighten your waist belt to keep your baby's thighs close to your waist and your hips or upper body away from you. When the shoulder belt is tightened to some extent close to the baby's upper body to the user, but the weight of the baby is supported only by the shoulder belt, so that the shoulder mat to use a thicker to reduce the burden on the shoulder was forced.
  • the traditional Korean bag on the other hand, has a rectangular blanket and a band on both sides of the top.
  • the upper body of the baby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 which is good for forming a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baby.
  • the swarm is very clunky and uneasy because of the lack of shoulder belts.
  • Baby band the main body for supporting the baby; First and second band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 free end; And a cross guid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the cross guide configured to cross the first and second bands to form a pair of shoulder bands.
  • the bab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a waist band by tying each other end crossed from the cross guide to form a knot.
  • knots are best for fine control and fine control.
  • the knot is easy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and or adjust the adhesion with the baby up.
  • the baby band as described above can form a shoulder band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baby there is a sense of stability and users can use both hands freely with confidence.
  • the waist band as well as the shoulder band is tightened, and the force supporting the baby's hip at the cross-guide area is also increased, so it is easy to use and has excellent adhesion between the user and the baby.
  • Bab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ross guide, shoulder band guide for guiding the bands to enter the cross guide respectively; And a waist band guide provided below each of the shoulder band guides and for guiding the bands intersecting from the cross guides.
  • the bab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losely adhere the baby to the user with a stable feeling, and the feeling of lifting the baby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Korean traditional bag.
  •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stability and activity as well as stylish.
  • the baby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use and simple design due to the simple structure, high consumer preference.
  • FIG. 1 is a view showing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oulder band and a waist band are made by assembling the band in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backs up the baby using the baby belt of FIG. 1,
  •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 lifts the baby forward using the baby belt of FIG. 1.
  • Figure 1 is shown in the unfolded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the outer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instead of the inner surface that the baby contacts.
  • the baby b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 for enclosing or supporting the baby, and a pair of bands 20,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 free end. do.
  • the main body 10 includes a backrest 16 for wrapping a baby and a waist support 17 extending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at a lower end of the backrest 16.
  • the top of the backrest 16 is provided with a cover 18 for wrapping the baby's head.
  • the backrest 16 is to cover and support the baby, including the hip, and is formed to have a slightly longer vertical width.
  • the cross guide 11 is provided at the cent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16, and the skirt 15 extends below the cross guide 11.
  • the lumbar support 17 is formed to a suitable length necessary to support the waist of the user. When the user lifts the baby, the baby's leg is placed between the backrest 16 and the lumbar support 17, and the lumbar support 17 supports the baby's leg.
  • the band 20 consists of a first band 21 on the right side and a second band 22 on the left side in FIG. 1.
  • Each of these bands 21 and 22 is firmly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16, and symmetrically configured with each other.
  • a cover 18 is positioned between these bands 21, 22.
  • the angle at which the band 20 is connected or coupled to the main body 10 is in an up and down direction, preferably in an oblique direction as shown in FIG. 1. At least it's not horizontal or horizontal, like the traditional Korean sacks.
  • the angle of connecting one end of the band 20 to the main body 10 using a ring or ring may be variable, but it is safe and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securely fix one end of the band 20 to the main body 10 with a lock. Not.
  • FIG.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ands 21 and 22 of the baby band shown in FIG. 1 are connected or assembled to the main body 10.
  • the cross guide 11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16 of the main body 10. After the first and second bands 21 and 22 form loops, that is, shoulder bands,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bands 21 and 22 are fitted in the cross guides 11 and cross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bands 20 past the cross guides 11 Make up the waist band.
  • the cross guide 11 is used to intersect the first and second bands 21 and 22 and to hold the intersected por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the cross guide 11 is formed of a stitch sewn into the main body 10.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cross guide 11 are open to fit the band 20 and the top and bottom ends are sewn.
  • the band 20 is fit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to the cross guide 11.
  • the cross guide 11 is illustrated as a simple rectangle, but when the baby is lifted due to the band 20, wrinkles are generated at the cross guide 11, which does not cause discomfort or appearance damage to the baby. It is good to be designed not to.
  • the cross guide 11 is composed of a single overcoat, but two overcoats may be configured in an X shap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ands 21 and 22 pass through the respective cross guides 11. There will be. In this case, some of the other guides 12, 13, and 14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omitted, but the cross guide 11 becomes thick and clunky.
  • the cross guide 11 is preferably long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longitudinal length should be a littl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band 20 to fit the band 20, the horizontal length is rath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to sufficiently support the baby's hips at the cross-guide (11) site It is good to be formed long.
  • shoulder band guides 12 12a and 12b for guiding the band 20 entering the cross guide 11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ross guide 11 and the cross guides.
  • Waist band guides 13: 13a and 13b for guiding the band 20 intersecting at 11 under the shoulder band guide 12 are provided.
  • the shoulder band guide 12 and the waist band guide 13 are arranged on substantially the same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If they are not collinear and the positions of these bands 12 and 13 are spac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orce supporting the baby hip in the cross guide 11 is distributed and wrinkles occur between the bands 12 and 13 It is not good in appearance.
  • the reinforcement overlay 19 is provided along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main body 10.
  • the reinforcement overlay 19 extends lo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backrest 16 and is sewn into the backrest to reinforce the stiffness of the site.
  • Shoulder and waist band guides 12, 13 are formed in the reinforcement overlay 19.
  •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inforcement overlay 19 are opened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sewn onto the backrest 16 in an oblique direction.
  • the reinforcement overlay 19 as described above and the shoulder and waist band guides 12 and 13 provided using the same prevent the wrinkles from being caught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backrest 16 while the baby is up using the baby belt. Improve.
  • the waist support 17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dditional waist band guides 14: 14a and 14b for guiding the band 20 that has previously passed through the waist band guide 13.
  • the added waist band guide 14 is the waist support 17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waist, in particular the side to improve the sense of stability.
  • the added waist band guide 14 is formed wider in width than the preceding waist band guide 13.
  • the additional waist band guide 14 may be omitted by forming the front waist band guide 13 in a horizontal direction, but it is not preferred for convenience or sophistication of production.
  • first and second bands 21 and 22 may cross each other in the cross guide 11 and then tie the other ends of the bands 21 and 22 that pass through the waist band guides 13 and 14 to form a knot. It is configured to be.
  • the band 20 includes pad sections 21b and 22b on one end having pads therein and a non-pad section on the other end having no pads or at least less than pad pads so as to be tied to each other to form a knot. (21a, 22a).
  • the pad sections 21b and 22b are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can be extended to the waist band guides 14a and 14b in a state where the baby is up.
  • a buckle may be applied to the other ends of the bands 21 and 22. It may be convenient to some extent if the length of the other end of the band buckle to b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but because the band 20 is not completely fixed to the waist support 17, the other end of the band 20 after the buckle fastening Will remain long. It is not good because it is bad and needs to thicken waist support 17.
  • the first band 21 on the right side is fitted to the cross guide 11 via the shoulder band guide 12a on the right side to form a loop, and then passes through the waist band guides 13b and 14b on the left side. do.
  • the loop becomes a shoulder band, and the other end passing through the waist band guides 13b and 14b constitutes a waist band.
  • the second band 22 on the left side is fitted to the cross guide 11 via the left shoulder band guide 12b to form a loop, and then passes through the waist band guides 13a and 14a on the right side.
  • the loop becomes a shoulder band, and the other end passing through the waist band guides 13a and 14a constitutes a waist band.
  • a pair of small buckles 24 and 25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provided at the shoulder bands of the bands 21 and 22 to tighten the left and right gaps of the shoulder bands. Buckles 24 and 25 are secured to band 21 using elastic band 23.
  • 3 to 5 show a state in which the baby up behind the baby using the baby be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the first band 21 is wound on the user's right shoulder, and then the other end is placed on the user's left waist via the cross guide 11, and the second band 22 is the user's left shoulder. After being wound on the other end is placed on the right waist of the user through the cross guide (11).
  • the skirt 15 extends below the cross guide 11.
  • the skirt 15 functions to allow the baby belt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waist of the user, and in particular, to allow the bands 21 and 22 to firmly support the baby's hips at the cross guide 11. .
  • the non-pad sections 21a and 22a of the other end of the band 20 constitute a waist band.
  • the waist band is completed by tying the non-pad sections 21a and 22a at the other ends of the bands 21 and 22 to form a knot. Since it is the non-pad section 21a, 22a, it is easy to make a knot and is excellent in styling. When the buckle (24, 25) of the shoulder band is fastened the baby up state is more stable.
  • FIG.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baby is raised up by using the baby be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the first band 21 is wound around the user's left shoulder in the back direction and then wound around the user's right side through the shoulder band guide 12a and the cross guide 11. .
  • the up has only changed direction, as in the previous example, the baby's hips are firmly supported and the upper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

Landscapes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사용자와 아기 간의 밀착감이 좋고, 착용 편리성은 물론 맵시가 우수한 아기띠가 소개된다. 그 아기띠는 아기 지지를 위한 본체(10); 본체(10) 마련된 제1 및 제2 밴드(21,22); 및 제1 및 제2 밴드(21,22)를 각각 서로 교차시켜 어깨 밴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차 가이드(11);를 포함한다. 교차 가이드를 통과한 밴드들(21,22)의 타단을 당기면 어깨 밴드가 조여진다.

Description

아기띠
본 발명은 아기를 등이나 가슴에 업고 이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아기띠(baby carrier)에 관한 것이다. 본 설명에서 아기는 젖먹이 아기(infants)나 어린 아이(children)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던 아기띠가 포대기이다. 포대기는 아기, 특히 젖먹이 아기를 사용자의 등에 밀착시킬 수 있어 부모와 아기 간의 교감 형성이나 아기의 심리적 안정에 좋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포대기의 이러한 장점이 다시 주목받고 있기는 하나, 기본적으로 포대기는 활성이나 맵시가 좋지 않아 선호도가 떨어진다. 또 통풍성이 좋지 않고, 어깨 끈이 없어 아기를 업은 상태에서 두 손으로 아기 엉덩이를 받쳐야 안정감이 드는 문제도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집안에서만 포대기를 사용하고, 외출할 때는 멜빵 형태의 현대적인 아기띠를 사용하기도 한다.
통상적인 멜빵형 아기띠는 아기를 감싸는 본체에 어깨 벨트와 허리 벨트가 구비되며 버클을 이용하여 벨트들을 서로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아기띠는 앞으로 업을 수도 있고 아기띠에 비해 양손이 자유롭고 활동하기 편하며 맵시도 어느 정도 좋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멜빵형 아기띠는 상하방향의 어깨 벨트로 아기 무게를 지탱하고 수평방향의 허리 벨트로 아기를 밀착시키는 구조이기에, 포대기에 비해 밀착감이나 포근한 느낌이 떨어진다. 어깨 벨트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겠으나, 기본적인 구조에서 미세해 보이겠지만 매우 큰 한계가 있다.
또한 멜빵형 아기띠의 어깨 벨트와 허리 벨트에는 각각 버클이 구비되는데 통상 허리 벨트의 버클 사이즈가 크다. 포대기에 비해 맵시가 있지만, 큰 사이즈의 버클이나 패드가 사용되어 두툼한 천 등으로 인해 등산가방을 매고 있는 듯한 투박한 느낌을 들게 하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기존의 멜빵향 아기띠는 허리 벨트의 버클을 체결한 후, 아기를 본체에 앉히고 어깨 벨트를 어깨에 끼운 다음 어깨 벨트의 버클을 체결하는 순서로 착용한다. 어떠한 이유로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다시 아기띠를 풀어 아기를 내린 다음, 길이 조절을 해야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대한 인식에 기초한 것으로, 한국 전통의 포대기와 현대적인 멜빵형 아기띠의 장점들을 두루 갖춘 신개념의 아기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아기를 사용자에게 밀착시켜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활동성을 보장하면서도 맵시 또한 우수한 새로운 아기띠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아기띠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에는 사용자의 안정성, 편리성을 보장하기 위해 멜빵형 아기띠 벨트에는 두툼한 패드가 들어 있으며 벨트 끝단에는 큼지막한 버클이 적용되었다. 따라서 아기띠 본체에 기본적으로 좌우 한 쌍씩, 낱개로 4개의 두껍고 버클이 달린 벨트가 주렁주렁 매달려 있어 투박하고 부피나 두께 때문에 접어서 가방에 넣고 휴대하고 다니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아기띠의 어깨 밸트와 허리 밸트는 서로 연동되지 않는 독립적인 별도의 구성물이었다. 허리 밸트를 조이면 주로 업힌 아기의 허벅지가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고 엉덩이나 상체는 사용자와 이격된다. 어깨 밸트를 조이면 아기의 상체가 사용자에게 어느 정도 밀착되나, 아기의 무게가 어깨 밸트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형태이기에, 사용자 어깨에 전해지는 부담을 덜기 위해 어깨 밸트에는 더욱 두툼한 매트가 사용될 수밖에 없었다.
한편 한국 전통의 포대기는 직사각형 블랭킷(blanket)과 상단 양측에 달려 있는 띠를 구비한다. 포대기로 아기를 업고 띠를 조이면, 아기의 상체를 사용자에게 밀착시킬 수 있어, 사용자와 아기 간의 교감 형성에 좋다. 그러나 포대기는 입은 형상이 매우 투박하고 어깨 밸트가 없어 불안하다.
종래에는 한국 전통의 포대기나 멜빵형의 아기띠는 각각의 기본적인 구조를 그대로 유지한 채 각각 별도로 개선되어 왔을 뿐, 서로의 장점이 융합된 새로운 아기띠를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는 전혀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한국 전통의 포대기와 현대적인 아기띠의 좋은 장점을 두루 갖춘 신개념의 아기띠를 개발하고자 노력하였고, 그 결과로 본 발명을 출원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는 아기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 본체의 상단부 좌측과 우측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자유단인 제1 및 제2 밴드; 및 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제1 및 제2 밴드를 교차 통과시켜 한 쌍의 어깨 밴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차 가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는 교차 가이드에서 교차된 각각의 타단부를 서로 묶어 매듭을 형성함에 의해 허리 밴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수단도 있겠으나, 맵시나 밀착감의 세밀한 조절을 위해서는 매듭이 최선호 된다. 더욱이 매듭은 아기를 업은 상태에서 밴드 길이조절 혹은 밀착력 조절을 하기 용이하다.
위와 같은 아기띠는 아기의 무게를 지지하는 어깨 밴드를 형성할 수 있어 안정감이 있고 사용자가 안심하고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밴드의 자유단을 잡아당기면, 허리 밴드는 물론 어깨 밴드까지 조여지며 또한 교차 가이드 부위에서 아기 엉덩이를 받치는 힘도 커지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와 아기 간의 밀착감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는, 교차 가이드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며, 교차 가이드로 들어가는 밴드들을 각각 가이드 하기 위한 어깨 밴드 가이드; 및 어깨 밴드 가이드 각각의 아래에 마련되며, 교차 가이드에서 교차되어 나오는 밴드들을 각각 가이드 하기 위한 허리 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분화된 가이드들은 아기가 사용자에게 안정감 있게 밀착되고 업힌 상태에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교차 가이드의 디자인을 심플하게 할 수 있게 한다. 교차 가이드만 사용할 경우 미세하지만 아기가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기가 매우 어렵고, 디자인이 투박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는 아기를 사용자에게 안정감 있게 밀착시킬 수 있으며 아기를 업었을 때의 느낌이 한국 전통적인 포대기와 매우 유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는 안정성과 활동성은 물론 맵시 또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는 사용하기 편리하며 간단한 구조로 인해 디자인이 심플하여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밴드를 조립하여 어깨 밴드와 허리 밴드가 만들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아기띠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아기를 뒤로 업은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도 3과 각각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들이고,
도 6은 도 1의 아기띠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아기를 앞으로 업은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된다.
도 1에는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가 펼쳐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는 사용자가 아기띠를 이용해서 아기를 업었을 때, 아기가 접촉하는 안쪽면이 아닌 외부로 노출되는 바깥면이 도시된 것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는 아기를 감싸거나 지지하기 위한 본체(10)와, 각각 일단은 본체(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인 한 쌍의 밴드(2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아기를 감싸기 위한 등받이(16)와 이 등받이(16) 하단부에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 허리 지지대(17)를 구비한다. 등받이(16)의 상단에는 아기의 머리 부위를 감싸기 위한 덮개(18)가 마련된다.
등받이(16)는 엉덩이를 포함하여 아기를 감싸고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세로폭이 다소 길게 형성된다. 후에 상술되겠지만, 등받이(16)의 하단부의 중앙 측에는 교차 가이드(11)가 마련되고, 교차 가이드(11) 아래로는 스커트(15)가 연장된다.
허리 지지대(17)는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기 위해 필요한 적당한 길이로 형성된다. 사용자가 아기를 업었을 때 등받이(16)와 허리 지지대(17) 사이에 아기의 다리가 놓이며, 허리 지지대(17)가 아기의 다리를 지지한다.
밴드(20)는 도 1에서 보기에 우측의 제1 밴드(21)와 좌측의 제2 밴드(22)로 구성된다. 이들 밴드(21,22)는 각각의 일단이 등받이(16)의 상단에 박음질로 견고하게 고정되며, 서로 대칭적으로 구성된다. 이들 밴드(21,22) 사이에는 덮개(18)가 위치된다.
밴드(20)가 본체(10)에 연결 또는 결합되는 각도는 상하방향, 좋게는 도 1에서와 같이 비스듬한 방향이다. 적어도 한국 전통의 포대기와 같이 가로 또는 수평방향은 아니다. 고리 또는 링을 사용하여 밴드(20) 일단을 본체(10)에 연결하는 각도가 가변적이게 할 수 있겠지만, 밴드(20) 일단은 본체(10)에 박음질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안전하고 사용자에게 불편하지 않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아기띠의 제1 및 제2 밴드(21,22)를 본체(10)에 연결 혹은 조립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차 가이드(11)는 본체(10)의 등받이(16) 하단부 중앙 측에 마련된다. 제1 및 제2 밴드(21,22)는 각각 루프, 즉 어깨 밴드를 형성한 후, 교차 가이드(11)에 끼워져 서로의 반대방향으로 교차되며, 교차 가이드(11)를 지난 밴드(20)는 허리 밴드를 구성한다.
교차 가이드(11)는 제1 및 제2 밴드(21,22)를 교차시키고 그 교차된 부분을 일정한 위치에 잡아 두기 위한 것으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에 박음질된 덧감으로 구성된다. 교차 가이드(11)의 좌우 양단은 밴드(20)를 끼울 수 있도록 개방되며 상하단이 박음질된다.
밴드(20)는 교차 가이드(11)에 사선방향으로 끼워진다. 도면에서 교차 가이드(11)는 단순한 직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밴드(20)로 인해 아기를 업었을 때 교차 가이드(11) 부위에서 주름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아기가 불편함을 느끼거나 외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디자인되는 것이 좋다.
실시예에 의하면 교차 가이드(11)는 단일의 덧감으로 구성되나, 두 장의 덧감을 X 형태로 구성하여 제1 및 제2 밴드(21,22)가 각각의 교차 가이드(11)를 지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후술될 다른 가이드들(12,13,14) 중 일부의 생략이 가능할 수 있겠으나, 교차 가이드(11)가 두껍고 투박해진다.
한편 교차 가이드(11)는 가로방향으로의 길이가 세로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이 좋다. 세로방향 길이는 밴드(20)를 끼울 수 있도록 밴드(20)의 폭보다 조금 더 넓게 하는 정도이면 되며, 가로방향 길이는 아기의 엉덩이를 교차 가이드(11) 부위에서 충분히 받쳐줄 수 있도록 세로방향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차 가이드(11)의 좌우 양측에는 교차 가이드(11)로 진입하는 밴드(20)를 가이드 하기 위한 어깨 밴드 가이드(12: 12a,12b)와, 교차 가이드(11)에서 교차되어 나오는 밴드(20)를 어깨 밴드 가이드(12) 아래에서 가이드 하기 위한 허리 밴드 가이드(13: 13a,13b)가 마련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어깨 밴드 가이드(12)와 허리 밴드 가이드(13)는 상하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동일선상에 있지 않고, 이들 밴드(12,13)의 위치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경우, 교차 가이드(11)에서 아기 엉덩이를 받치는 힘이 분산되며 밴드들(12,13) 사이에 주름이 발생하여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10)의 좌우 양 가장자리를 따라 보강 덧감(19)이 마련된다. 보강 덧감(19)은 등받이(16)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길게 연장되며, 등받이에 박음질되어 해당 부위의 강성을 보강한다.
어깨 및 허리 밴드 가이드(12,13)는 보강 덧감(19)에 형성된다. 어깨 및 허리 밴드 가이드(12,13)에서, 보강 덧감(19)의 좌우 양단이 개방되고 상하단은 사선방향으로 등받이(16)에 박음질된다.
위와 같은 보강 덧감(19)과 이를 이용하여 마련된 어깨 및 허리 밴드 가이드(12,13)는, 아기띠를 이용하여 아기를 업은 상태에서 등받이(16) 좌우 가장자리 부위에 주름이 잡히는 것을 방지하고 맵시를 향상시킨다.
실시예 의하면, 본체(10)의 허리 지지대(17)에는 앞서 허리 밴드 가이드(13)를 통과해 나온 밴드(20)를 가이드 하기 위한 추가적인 허리 밴드 가이드(14: 14a,14b)가 마련된다. 추가된 허리 밴드 가이드(14)는 허리 지지대(17)가 사용자의 허리, 특히 옆구리에 밀착되어 안정감을 향상시킨다.
추가된 허리 밴드 가이드(14)는 앞선 허리 밴드 가이드(13)보다 가로폭이 더 넓게 형성된다. 앞선 허리 밴드 가이드(13)를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추가적인 허리 밴드 가이드(14)를 생략할 수도 있겠으나, 제작의 편리성이나 맵시를 위해서는 선호되지 않는다.
한편 제1 및 제2 밴드(21,22)는 교차 가이드(11)에서 교차된 후 허리 밴드 가이드(13,14)를 통과한 밴드들(21,22)의 타단부를 서로 묶어 매듭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밴드(20)는 내부에 패드가 들어 있는 일단 측의 패드 구간(21b,22b)과, 서로 묶어 매듭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패드가 없거나 적어도 패드 구간보다는 적게 든 타단 측의 비패드 구간(21a,22a)을 갖는다. 패드 구간(21b,22b)은 아기를 업은 상태에서 허리 밴드 가이드(14a,14b)까지는 연장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위 실시예에서와 달리 밴드들(21,22)의 타단부에 버클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밴드 타단부를 버클링한 후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어느 정도 편리할 수 있을 것이나, 밴드(20)가 허리 지지대(17)에 온전히 고정된 것이 아니기에, 버클 체결 후 밴드(20) 타단부가 길게 남게 된다. 맵시가 나쁘며 허리 지지대(17)를 보다 두껍게 해야 할 필요가 있어, 선호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여 밴드(20)의 조립 방법을 살펴본다.
도 2에서 보듯이, 우측의 제1 밴드(21)는 루프를 형성하도록 우측의 어깨 밴드 가이드(12a)를 거쳐 교차 가이드(11)에 끼워진 후, 좌측의 허리 밴드 가이드(13b,14b)를 통과한다. 루프는 어깨 밴드가 되며, 허리 밴드 가이드(13b,14b)를 통과한 타단부는 허리 밴드를 구성한다.
마찬가지로, 좌측의 제2 밴드(22)는 루프를 형성하도록 좌측의 어깨 밴드 가이드(12b)를 거쳐 교차 가이드(11)에 끼워진 후, 우측의 허리 밴드 가이드(13a,14a)를 통과한다. 루프는 어깨 밴드가 되며, 허리 밴드 가이드(13a,14a)를 통과한 타단부는 허리 밴드를 구성한다.
한편 밴드들(21,22)의 어깨 밴드 부위에는 이들 어깨 밴드의 좌우방향 간격을 조이기 위한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작은 버클(24,25)가 마련된다. 버클들(24,25)은 탄성밴드(23)를 이용하여 밴드(21)에 고정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를 이용하여 아기를 뒤에 업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보듯이, 제1 밴드(21)는 사용자의 우측 어깨에 감겨진 후 교차 가이드(11)를 거쳐 사용자의 좌측 허리에 타단부가 놓이게 되며, 제2 밴드(22)는 사용자의 좌측 어깨에 감겨진 후 교차 가이드(11)를 거쳐 사용자의 우측 허리에 타단부가 놓이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교차 가이드(11)의 아래로는 스커트(15)가 연장된다. 이 스커트(15)는 아기띠가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는 교차 가이드(11) 부위에서 밴드들(21,22)이 아기 엉덩이를 견고하게 받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밴드(20) 타단부의 비패드 구간(21a,22a)은 허리 밴드를 구성한다. 아기를 업은 후, 밴드(20)의 타단부를 잡아당기면 교차 가이드(11) 부위에서 아기의 엉덩이가 견고하게 받혀질 뿐만 아니라 본체(10)에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밴드(20)의 일단 측이 조여져 아기의 상체가 사용자에게 밀착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밴드들(21,22) 타단부의 비패드 구간(21a,22a)을 묶어 매듭을 형성함에 의해 허리 밴드가 완성된다. 비패드 구간(21a,22a)이므로 매듭을 짓기 용이하며, 맵시가 뛰어나다. 어깨 밴드의 버클(24,25)을 체결하게 되면 아기를 업은 상태가 더 안정적이게 된다.
도 6에는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를 이용하여 아기를 앞으로 업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보듯이, 제1 밴드(21)는 사용자의 좌측 어깨에 등(back) 쪽 방향으로 감겨진 후 어깨 밴드 가이드(12a) 및 교차 가이드(11)를 거쳐, 사용자의 우측 옆구리에 감져진다. 업는 방향만 바뀌었을 뿐, 앞서의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아기의 엉덩이가 견고하게 지지되며 상체가 사용자에게 밀착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고 또 이것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는 것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Claims (13)

  1. 아기를 감싸기 위한 본체;
    본체의 상단부 좌측과 우측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자유단인 제1 및 제2 밴드; 및
    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제1 및 제2 밴드의 타단을 교차 통과시켜 한 쌍의 어깨 밴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차 가이드;를 포함하며,
    교차 가이드를 통과한 제1 및 제2 밴드의 타단들을 당기면 어깨 밴드가 조여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 가이드는 아기의 엉덩이를 받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며,
    본체는 교차 가이드 아래로 연장된 스커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 가이드를 통과한 밴드들의 타단부를 서로 묶어 허리 밴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밴드들 각각은, 내부에 패드가 들어 있는 일단 측의 패드 구간과, 서로 묶어 매듭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패드가 없거나 패드 구간보다 유연한 타단 측의 비패드 구간으로 구성되며,
    어깨 밴드는 패드 구간에 형성되고, 허리 밴드는 비패드 구간에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 가이드는,
    좌우 양단에서 밴드들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본체에 박음질된 덧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 가이드로 진입하는 밴드들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교차 가이드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어깨 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 가이드를 통과하여 나오는 밴드들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교차 가이드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허리 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 가이드로 진입하는 밴드들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교차 가이드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어깨 밴드 가이드; 및
    어깨 밴드 가이드 각각의 아래에 마련되며, 교차 가이드를 통과하여 나오는 밴드들을 가이드 하기 위한 허리 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어깨 밴드 가이드와 허리 밴드 가이드는 상하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좌우 양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박음질된 보강 덧감을 더 구비하며,
    어깨 밴드 가이드와 허리 밴드 가이드는 보강 덧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좌우 양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박음질된 보강 덧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허리 밴드 가이드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밴드를 최종 가이드 하는 추가의 허리 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추가의 허리 밴드 가이드는 앞선 허리 밴드 가이드보다 가로폭이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등받이; 및
    등받이 하단부에서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는 허리 지지대;를 포함하며,
    추가의 허리 밴드 가이드는 허리 지지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PCT/KR2016/005512 2015-05-29 2016-05-25 아기띠 WO201619531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535 2015-05-29
KR1020150076535A KR20160140207A (ko) 2015-05-29 2015-05-29 포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5310A1 true WO2016195310A1 (ko) 2016-12-08

Family

ID=5744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5512 WO2016195310A1 (ko) 2015-05-29 2016-05-25 아기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40207A (ko)
WO (1) WO201619531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017Y1 (ko) * 2002-04-22 2002-07-31 김만성 아기포대
KR20100002191U (ko) * 2008-08-21 2010-03-04 이진섭 아기 포대기
JP4507187B2 (ja) * 2002-11-29 2010-07-21 ベビービヨルン アクティエボラーグ 子供用ハーネス
KR20140146372A (ko) * 2013-06-17 2014-12-26 박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
KR20150053581A (ko) * 2013-11-08 2015-05-18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유아용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8575B2 (ja) 2011-10-13 2016-01-27 コンビ株式会社 子守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017Y1 (ko) * 2002-04-22 2002-07-31 김만성 아기포대
JP4507187B2 (ja) * 2002-11-29 2010-07-21 ベビービヨルン アクティエボラーグ 子供用ハーネス
KR20100002191U (ko) * 2008-08-21 2010-03-04 이진섭 아기 포대기
KR20140146372A (ko) * 2013-06-17 2014-12-26 박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
KR20150053581A (ko) * 2013-11-08 2015-05-18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유아용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207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9010A (en) Lifting vest
US4724988A (en) Infant carrier
KR100386650B1 (ko)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US5033121A (en) Combined clothing article
WO2015080363A1 (en) Hip seat carrier set
WO2020071585A1 (ko) 아기 캐리어
CN108114386B (zh) 全身攀登安全带
KR20130092942A (ko) 아기 캐리어
US20110197335A1 (en) Combination shirt and suspenders
US20040244097A1 (en) Adult garment, child garment, and parent and child garment
WO2019009493A1 (ko) 유아용 캐리어
KR101521766B1 (ko) 후방아기띠와 전방아기띠를 구비한 아기띠장치
WO2016195310A1 (ko) 아기띠
KR101558175B1 (ko) 포대기
WO2021215613A1 (ko)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WO2018139831A1 (ko)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
US20230389718A1 (en) Baby carrier
US5921345A (en) Safety harness
CN210543130U (zh) 减重吊带
WO2017086759A1 (ko) 아기띠
US11700954B2 (en) Child carrying system with adaptable head support
CN205948216U (zh) 环扣式安全防护带
WO2019231106A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아기띠
CN219109879U (zh) 一种可调式矫姿带
CN220088632U (zh) 一种高胯体芭蕾舞练功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036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036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