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650B1 -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 Google Patents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650B1
KR100386650B1 KR10-2000-0029994A KR20000029994A KR100386650B1 KR 100386650 B1 KR100386650 B1 KR 100386650B1 KR 20000029994 A KR20000029994 A KR 20000029994A KR 100386650 B1 KR100386650 B1 KR 100386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infant
carrier
baby carrier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469A (ko
Inventor
히구치준이치
Original Assignee
럭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럭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럭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9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Landscapes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는, 유아의 신체를 수용하는 캐리어 본체(10)와, 이 캐리어 본체(10)에 부착되는 어깨 벨트(30, 30)를 구비한 베이비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본체(10)는 적어도 등받이부(11)를 가지고, 상기 등받이부(11)를 유아의 뒤쪽에 대어 유지하는 대면안기 및 상기 등받이부(11)를 유아의 흉복부에 대어 유지하는 정면안기의 어느 상태에도 유아를 수용할 수 있고, 또 상기 등받이부(11)의 바깥쪽에는 작은 물품을 수납하는 포켓(15)이 봉착되어 있는 동시에, 포켓(15)의 양 옆구리에 등받이부(11)의 등받이 폭을 넓히고 좁히는 등폭조절기구(16)가 봉착되어 있고, 포켓(15)의 아래쪽에 정면안기 상태에서 양 다리의 서혜(鼠蹊)부 사이의 가랑이 접촉 폭을 축소할 수 있는 협폭수단(50, 60, 44)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Baby carrier}
본 발명은 유아를 안아서 이동할 때에 사용되는 베이비 캐리어, 특히 아기의 얼굴을 마주보고, 얼굴을 바깥쪽으로, 그리고 등으로 업을 수 있도록 한 베이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영유아를 안아서 이동할 때에 유지구로서 사용되는 베이비 캐리어 사용형태의 하나로서, 유아를 사용자 신체의 앞쪽에 유지하는 소위 「안기」로 사용하는 것이 있다. 안기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와 사용자가 서로 얼굴을 마주 보는 대면안기가 일반적이다. 대면안기에서는 사용자는 항상 유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고, 또 유아도 사용자가 지켜보고 있기 때문에 양쪽 모두에 강한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 유아는 잠이 들게 되면 사용자에 기대어 편안한 자세로 잘 수 있고, 사용자가 보조적으로 손으로 받치는 경우에도 안정감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베이비 캐리어는 유아의 등에서 둔부를 푹 감싸는 대면안기에 적합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원래 유아는 호기심이 강하고, 주위의 풍경에 흥미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대면안기에서는 시야가 사용자에게 차단되어 충분히 호기심을 만족할 수 없었다. 또, 장시간 같은 자세로 안겨 있으면 싫증나는 경우도 있었다. 이 때문에,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유아의 얼굴을 사용자의 얼굴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시야가 넓어지는 「정면안기」를 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물론, 안기의 심리적, 신체적인 안정감에 대해서만 말하자면, 대면안기쪽이 더 나으므로, 정면안기만 하지 않고, 유아의 상태에 맞추어 대면안기와 정면안기를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전부터 대면안기에 사용한 베이비 캐리어를 그대로 사용하여, 캐리어 본체로의 유아의 수용방향을 전환하여, 대면안기 및 정면안기 모두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5A 및 도 5B에서, 10은 캐리어 본체, 11은 등받이부, 13은 머리받이 부재, 15는 포켓, 16은 등폭 조절기구, 30은 어깨 벨트, 31은 어깨 벨트 선단측의 유대(紐帶)부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대면안기용 베이비 캐리어에서 정면안기를 행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인간의 상반신이나 상하 팔다리는 앞방향(흉복부 방향)으로 굽어지는 것이고, 굽는 방향의 바깥쪽 치수는 안쪽보다도 길다. 이러한 인체를 캐리어 본체(10) 내에서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유아의 등에서부터 둔부를 지지하는 등받이부(11)는 폭이 넓게 형성되는 한 편, 하복부에서 양 다리의 서혜(鼠蹊)부 사이를 지지하는 가랑이 접촉부는 다소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베이비 캐리어를 대면안기에 이용하면, 유아의 등에서부터 둔부까지를 푹 감싸 안정된 유지상태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유아를 반대 방향으로 수용하여 정면안기에 사용하면, 양 다리는 등받이부(11)의 아래쪽 양측 가장자리에서 등받이부의 뒤쪽 방향으로 다소 구부러진 상태로 나오기 때문에, 폭이 넓은 등받이부의 아랫부분에서 유아의 하복부에서 서혜부를 유지하게 된다. 더욱이, 캐리어 본체(10)는 매달려 있기 때문에, 등받이부(1)의 아랫부분에 유아의 체중이 집중되어, 등받이부(11)의 아래 양쪽 가장자리가 유아의 서혜부를 압박하거나 죄거나 한다. 게다가, 정면안기에서는 대면안기보다 손발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유아의 운동량이 커지는 경향이 있어, 점점 서혜부로의 압박이 강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 배경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대면 또는 정면의 어느 방향에서도 유아를 안전하고 쾌적하게 안을 수 있는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는 유아의 신체를 수용하는 캐리어 본체(10)와, 이 캐리어 본체(10)에 부착되는 어깨 벨트(30, 30)를 구비한 베이비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본체(10)는 적어도 등받이부(11)를 가지고, 상기 등받이부(11)를 유아의 뒤쪽에 대어 유지하는 대면안기, 및 상기 등받이부(11)를 유아의 흉복부에 대어 유지하는 정면안기의 어느 상태에도 유아를 수용할 수 있고, 또 상기 등받이부(11)의 바깥쪽에는 작은 물품을 수납하는 포켓(15)이 봉착되어 있는 동시에, 포켓(15)의 양 옆구리에 등받이부(11)의 등받이 폭을 넓히고 좁히는 등폭조절기구(16)가 봉착되어 있고, 포켓(15)의 아래쪽에 정면안기 상태에서 양 다리의 서혜(鼠蹊)부 사이의 가랑이 접촉 폭을 축소할 수 있는 협폭수단(50, 60, 44)을 구비하는 것을 기본요지로 한다.
또, 상기 협폭수단(50, 60)은 등받이부(11)의 뒤쪽에 소정간격으로 부착된 좌우 한 쌍의 고리형상 부재와, 이들의 고리형상 부재에 걸어 맞추어 이들의 고리 형상 부재를 근접시키는 근접용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근접용 부재는 상기 고리형상 부재에 통해져 죄어 매는 것에 의해, 상기 고리형상 부재를 근접시키는 끈(5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접근용 부재는 좌우 양단에 상기 고리형상 부재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부(64)를 가지고,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리형상 부재를 접근시키는 쌍 후크부재(6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쌍 후크부재(62)는 등받이부(11)의 뒤쪽에서 좌우의 고리형상 부재 사이에 고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리형상 부재는 연질재료로 이루어진 루프(51), 또는 경질재료로 이루어진 고리(6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협폭수단은 상기 캐리어 본체(10)와는 분리독립되어, 상기 등받이부(11)를 좁힌 상태로 감아 고정된 벨트(44)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벨트(10)는 캐리어 본체(10) 내에 부가하여 유아의 흉복부를 보호하는 패드(4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의 제1 실시형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정면도이고, 도 2A는 대면안기, 도 2B는 정면안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제2 실시형태의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의 주요부 정면도이고, 도 3A는 대면안기에 적합한 상태, 도 3B는 정면안기에 적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제3 실시형태의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의 주요부 정면도로, 벨트에 의해 가랑이 접촉폭이 축소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베이비 캐리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는 대면안기, 도 5B는 정면안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세 가지 실시형태를 도시예를 기초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베이비 캐리어(1)는 캐리어 본체(10) 및 어깨 벨트(30)로 구성되고, 대면안기 및 정면안기에 더하여, 업기, 옆으로 안기의 네 가지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본체(10)는 대면안기에서 유아의 등에서 둔부까지를 덮는 등받이부(11)와, 이 등받이부(11)의 하단에 연속 형성된 측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을 나타내는 광폭 띠 형상의 가랑이 접촉부(12)와, 상기 가랑이 접촉부(12)에 착탈할 수 있게 부착된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볼록형상의 앞접촉편(1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등받이부(11)의 바깥쪽에는, 작은 물품을 수납하는 포켓(15)이 봉착(逢着)되어 있는 동시에, 포켓(15)의 양 옆구리에 등받이부(11)의 등받이폭을 넓히고 좁히는 등폭 조절기구(16)가 봉착되어 있고, 포켓(15)의 아래쪽에 정면안기시에 양 다리의 서혜부 사이의 가랑이 접촉폭을 축소하는 협폭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등폭 조절기구(16)로서, 두 개의 D고리와 이들의 D고리에 통해 고정되는 조정 벨트에 의해 구성된 조절기구(16)를 이용하고 있다. 또, 상기 협폭수단(50)으로서, 폭이 가는 천의 양단을 좌우의 어깨 벨트(30, 30)에 끼워넣어 봉착 형성한 좌우 한 쌍의 루프(51, 51)와, 이들의 루프(51, 51)에 통해지는 끈(52)으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끈(52)을 죄어 체결하면 양 루프(51, 51)가 접근하여 가랑이 접촉폭이 축소되고(도 2B), 반대로 느슨하게 체결하면 가랑이 폭이 넓어져 등받이부(11) 원래의 폭이 된다(도 2A).
상기 가랑이 접촉부(12)는 앞단 가장자리에 면 패스너(fastner)(23)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자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앞접촉편(14)을 연결하는 패스너(1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앞접촉편(14)은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볼록 형상으로 하단 가장자리에 패스너(19)를 가지고, 상기 패스너(19)에 의해 가랑이 접촉부(12)의 자루형상 내의 앞단 가장자리 가까이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상부 양쪽 가장자리가 상하 각 1쌍의 스냅에 의한 멈춤기구(20, 20)를 가지고, 등받이부(11)의 양측 모서리부(11a, 11a)의 선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패스너(19)의 윗쪽 겉과 속 양면에 상기 가랑이 접촉부(12) 개폐용의 면 패스너(23)에 대응하는 면 패스너(24)가 봉착되고, 이들(23, 24)을 걸어 맞춤으로써 앞접촉편(14)의 사용시에서도 가랑이 접촉부(12)의 개구부를 닫을 수 있다. 또, 상기 앞접촉편(14)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패스너(19)를 분리하여 캐리어 본체(10)로부터 떼낼 수도 있고, 가랑이 접촉부(12)의 자루 형상 내에 수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앞접촉편(14)의 상부 바깥면에는 가로방향으로 하나의 안전 보조 벨트(21)가 중간부를 꿰매어 부착되어 있다. 이 보조 벨트(21)는 앞접촉편(14) 상부의 멈춤기구(20)가 만일 떨어졌을 때의 안전대책으로 부설된 것으로, 양단의 제1 버클(22a, 22a)을 등받이부(11)의 양측 모서리부(11a, 11a)의 바깥면에 부착된 제2 버클(22b, 22b)에 멈춤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 본체(10)는 상기 앞접촉편(14)을 가랑이 접촉부(12) 및 등받이부(11)에 연결함으로써, 그 안쪽에 유아를 푹 감싸 안아 유지하는 자루 형상 타입으로서도, 또 상기 앞접촉편(14)을 분리함으로써 유아의 앞쪽의 구속을 느슨하게 유지하는 오픈 타입의 양쪽 타입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 자루형상 타입은 아직 충분히 성장하지 않은 유아도 안전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오픈 타입은 다소 신체가 큰 유아나 옷을 많이 입어 부피가 커진 상태가 된 유아를 편안히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머리받이 부재(13)는 영유아의 목에서 머리를 지지하여 안정시키기 위한 판상체로, 등받이부(11)에 윗쪽 돌출형상으로 스냅에 의한 멈춤기구와 누름 띠(18)의 병용으로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어깨 벨트(30, 30)는 좌우 한쌍이고, 그 기판은 등받이부(11)의 뒤쪽에서 보아 뒷면이 대략 V자 형상을 이루는 상태로 포개어져 봉착 일체화되어, 등받이부(11)의 상단면측 가장자리로부터 윗쪽으로 꺼내어진다. 사용자의 어깨에 매는 부분은, 굵은 띠 형상의 것으로 형성되는 한편, 선단측은 그것보다 가는 유대부(31, 3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어깨 벨트(30, 30)의 선단측의 상기 유대부(31, 31)에는 그 중간부에 제1 버클(32a, 32a)이,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에 의한 부착부위를 변경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의 제1 버클(32a, 32a)은 캐리어 본체(10)에서의 가랑이 접촉부(12)의 앞단부 바깥면 양측 가장자리부에 부착된 상대쪽의 제2 버클(32b, 32b)과 쌍을 이루는 것으로, 이들에 분리할 수 있게 멈춤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어깨 벨트(30, 30)의 유대부(31, 31)의 각 선단에는 서로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 버클(33a, 33b)이 부착되어 상호를 멈춤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본 발명의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의 각부의 상세한 구성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캐리어 본체(10)는 유아를 대면안기 및 정면안기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분리가능한 앞접촉편(14)의 착탈에 의해 자루형상 오픈타입으로 전환가능한 캐리어 본체(10)를 예시했지만, 자루형상 전용 타입 또는 오픈 전용 타입의 캐리어 본체 또는 캐리어 본체가 등받이부만으로 이루어진 베이비 캐리어도 대면안기 및 정면안기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안기로 사용할 수 있으면, 캐리어 본체를 사용자의 뒤쪽에 배치하면 업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어깨 벨트(30, 30)의 전체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해 두면, 두 개의 어깨 벨트를 일괄 X자로 걸어 안기나 업기보다도 긴 치수를 필요로 하는 가로 안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베이비 캐리어(1)를 대면안기 및 정면안기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대면안기)
먼저, 캐리어 본체(10)의 등받이부(11)에 머리받이부(13)를 장착함과 동시에, 양 어깨 벨트(30, 30)의 중간부에 부착되어 있는 제1 버클(32a, 32a)의 위치를 양 어깨걸기용에 대응하는 길이에 적당한 부착위치에 슬라이드 조정해 둔다. 또,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11)의 협폭수단(50)은 띠(52)를 느슨하게 등받이부(11) 원래의 폭으로 해 둔다.
그리고, 캐리어 본체(10)를 자루 형상 타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앞접촉편(14)을 가랑이 접촉부(12)에 걸어맞춘 상태로 준비하여, 등받이부(11)에 유아의 등에 접하는 방향으로 유아를 올린 후, 상기 앞접촉편(14)을 등받이부(11)에 결합시켜, 캐리어 본체(10)를 자루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자루 형상부 내에 유아를 수용한다.
이 상태에서 캐리어 본체(10)를 사용자의 가슴쪽에 위치시켜, 어깨 벨트(30, 30)를 양 어깨에 매는 것과 동시에 등쪽에서 교차시켜, 제1 버클(32a, 32a)을 대응위치의 제2 버클(32b, 32b)에 멈춤 연결한다. 제1 버클(32a, 32a)보다 선단쪽에 생긴 유대부(31, 31)의 과잉부가 충분히 긴 경우는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둘러, 그 선단의 제1 및 제2 버클(33a, 33b)을 상호 멈춤 연결한다.
(정면안기)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폭수단(50)의 끈(52)을 죄어 매어 루프(51, 51)를 접근시킴으로써 가랑이 접촉폭을 축소하는 동시에, 머리받이 부재(13)는 얼굴에 걸리므로 분리해 둔다. 또, 정면안기에서는 유아의 운동량이 커지므로, 등받이부(11) 뒤쪽의 등폭 조절기구(16)에 의해 등받이부(11)의 등받이폭을 약간 확대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대면안기와 마찬가지로, 자루형상 타입의 경우는 앞접촉편(14)을 장착하여 등받이부(11)에 유아의 가슴부가 접하는 방향으로 유아를 수용한다. 캐리어 본체(10) 내에 유아를 수용한 후, 대면안기의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어깨 벨트(30, 30)를 장착한다.
정면안기에서는 유아의 양 다리가 등받이부(11)의 아래쪽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에서부터 나오지만, 상기 협폭수단(50)에 의해 가랑이 접촉폭이 축소되어 있기 때문에 등받이부(11)가 서혜부에 죄어 들어 압박하는 경우도 없다.
(제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베이비 캐리어는 앞의 제1 실시형태의 베이비 캐리어와는 협폭수단만이 다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폭수단(60)은 좌우 한 쌍의 D형의 고리(61, 61)와 이 고리(61, 61)에 걸어 고정하는 쌍 후크부재(6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리(61)는 상기 고리(61)에 통한 테이프(63)를 어깨 벨트(30)에 끼워 넣어 봉착함으로써, 등받이부(11)에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쌍 후크부재(62)는좌우 양단에 상기 고리(61, 61)에 걸어 고정하는 후크부재(64, 64)를 가짐과 동시에, 상부에 부착용 편평구멍(6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편평구멍(65)을 통한 테이프(66)를 좌우 고리(61, 61)의 중간위치에 봉착시킴으로써, 등받이부(11)에 매단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협폭수단(60)에서, 좌우의 고리(61, 61)에 후크부(64, 64)를 걸어 고정하면, 양 고리(61, 61)가 근접하여 가랑이 접촉폭이 축소되어(도 3B), 정면안기에 적합한 상태가 된다. 반대로, 고리(61, 61)에서부터 후크부(64, 64)를 분리하면 가랑이 접촉폭이 넓어져 등받이부(11) 원래의 폭이 되어(도 3A), 대면안기에 적합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대면안기와 정면안기의 상호전환은 후크부(64)의 고리(61)를 걸었다 떼었다 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쌍 후크부재(62)는 등받이부(11)에 고착된 것이므로, 가랑이 폭이 좌우에서 균등하게 축소되어 유아가 몸을 움직여도 안정된 상태에서 정면안기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쌍 후크부재(62)를 등받이부(11)에 고착된 것에 한정시키지 않고, 제1 실시형태에서의 끈(52)과 같이 등받이부(11)에서 분리 독립한 것이어도 좋다. 이들의 경우는, 캐리어 본체로의 고착부재가 고리(61) 또는 루프(51)의 고리형상 부재뿐이므로, 기존의 베이비 캐리어로부터 설계변경이 비교적 용이하고, 대면안기시에 불필요한 부재가 등받이부에 남아 있지 않아 부피가 커지지 않는 점이 유리하다.
또, 고리형상 부재와 근접용 부재의 조합은, 제1 실시형태의 루프와 끈 및제2 실시형태의 고리와 쌍 후크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루프와 쌍 후크부재, 고리와 끈의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본 발명에서, 협폭수단의 고리형상 부재로서 사용한 루프는 제1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천 제품 외에, 편물 끈 등의 연질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지칭한다. 이들 연질재료는 등받이부에 대해서 직접 간단하게 봉착할 수 있고, 또 부피가 크지 않은 장점이 있다. 한편, 제2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고리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경질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지칭하고, 등받이부로의 부착에 적합한 작은 크기에서도 경질이므로 잡기 쉬운 장점이 있다.
(제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베이비 캐리어는, 또 협폭수단만이 다르다.
본 발명에서의 협폭수단은 앞의 두 개의 실시형태에서 도시한 협폭수단의 일부 또는 전부를 등받이부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등받이부(11)에 고착되지 않는 분리독립한 벨트를 등받이부(11)의 가랑이 접촉폭 상당위치에, 등받이부를 조인 상태에서 감아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가랑이 접촉폭을 축소할 수 있다. 이렇게 캐리어 본체로부터 분리독립한 협폭수단에서는, 기존의 베이비 캐리어에 대해 캐리어 본체를 개조하지 않고 가랑이 접촉폭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의 흉복부를 보호하는 패드(40)를 등받이부(11)의 내면에 추가로 장비하고, 상기 패드(40)에 벨트(44)를 부착하여, 상기 벨트(44)에서 필요한 가랑이 접촉폭으로 줄일 수 있다. 도 4에서는, 벨트(44)의 선단에 부착한 버클(46)의 체결에 의해 등받이부(11)에 감아 고정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 상기 패드(40)를 축소한 가랑이 접촉폭보다 약간 폭이 넓게 형성해 두면 서혜부를 보호할 수 있고, 벨트(44)는 패드(40)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효과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의 차례에서, 본 발명의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는 대면안기에서는 캐리어 본체의 등받이부를 원래의 폭으로 사용하여 유아의 등에서 둔부까지를 안정된 상태에서 유지할 수 있는 한편, 정면안기에서는 협폭수단에 의해 가랑이 접촉폭이 축소되어 서혜부의 압박이 완화되어, 대면·정면의 어느 방향에서도 유아를 안전하고 쾌적하게 안을 수 있다.
상기 협폭수단은 등받이부에 부착된 루프 또는 고리의 고리형상 부재와 끈 또는 쌍 후크부재의 근접용 부재와의 조합, 또는 캐리어 본체와는 분리독립되여 등받이부에 감아 고정된 벨트 중 어느 것을 이용해도, 정면안기에 적합한 가랑이 접촉폭으로 축소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협폭수단의 종류나 부착위치를 상술한 세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의 협폭수단으로서, 제1 실시형태에서의 끈을 조여매는 것을 버클 체결이나 스냅 고정에 의해 행하도록 한 것, 상술한 등폭 조절기구(16)와 같은 두 개의 D고리와 조정벨트에 의한 것, 소정간격으로 부착한 버클의 체결이나 스냅 고정에 의한 것 또는 소정간격으로 부착된 끈을 연결하도록 한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이들 협폭수단의 부착위치에 대해서도 좌우의 어깨 벨트(30, 30) 사이에 한정되지 않고, 등받이부(11)의 양측 가장자리에 가까운 부분에 설치하여, 폭방향이 넓은 범위를 줄이도록 해도 좋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어깨 벨트(30, 30)가 등받이부(11)의 뒷쪽에 V자 형상으로 봉착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여 어깨 벨트(30, 30)의 봉착과 루프(51)형성을 동시에 행하고 있지만, 물론 본 발명의 베이비 캐리어는 어깨 벨트(30, 30)의 부착위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또 좌우의 어깨 벨트가 연속한 하나의 벨트로 형성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여기에 사용된 용어 및 표현은 설명을 위해 사용된 것으로 한정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이용된 것이 아니며, 여기에 나타내거나 또 언급된 특징사항의 어떤 균등물도 배제시키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된 범위 내에서의 각종 변형도 허용되는 것으로 인식해야만 한다.

Claims (9)

  1. 유아의 신체를 수용하는 캐리어 본체(10)와, 상기 캐리어 본체(10)에 부착되는 어깨 벨트(30, 30)를 구비한 베이비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본체(10)는 적어도 등받이부(11)를 가지고, 상기 등받이부(11)를 유아의 뒤쪽에 대어 유지하는 대면안기 및 상기 등받이부(11)를 유아의 흉복부에 대어 유지하는 정면안기의 어느 상태에도 유아를 수용할 수 있고, 또 상기 등받이부(11)의 바깥쪽에는 작은 물품을 수납하는 포켓(15)이 봉착되어 있는 동시에, 포켓(15)의 양 옆구리에 등받이부(11)의 등받이 폭을 넓히고 좁히는 등폭조절기구(16)가 봉착되어 있고, 포켓(15)의 아래쪽에 정면안기 상태에서 양 다리의 서혜(鼠蹊)부 사이의 가랑이 접촉 폭을 축소할 수 있는 협폭수단(50, 60, 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폭수단(50, 60)은 등받이부(11)의 뒤쪽에 소정 간격으로 부착된 좌우 한 쌍의 고리형상 부재와, 이들 고리형상 부재에 걸어 맞추어져 이들의 고리형상 부재를 접근시키는 접근용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용 부재는 상기 고리형상 부재를 통해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리형상 부재를 접근시키는 끈(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용부재는 좌우 양단에 상기 고리형상 부재에 걸어 고정되는 후크부재(64)를 가지고, 걸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리형상 부재를 접근시키는 쌍 후크부재(6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쌍 후크부재(62)는 등받이부(11)의 뒤쪽에서 좌우의 고리형상부재 사이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 부재는 연질재료로 이루어진 루프(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 부재는 경질재료로 이루어진 고리(6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폭수단은 상기 캐리어 본체(10)와는 분리 독립하여, 상기등받이부(11)를 조이는 상태로 감아 고정되는 벨트(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10)는 캐리어 본체(10) 내에 부가하여 유아의 흉복부를 보호하는 패드(4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KR10-2000-0029994A 1999-09-01 2000-06-01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KR100386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708899A JP2001070107A (ja) 1999-09-01 1999-09-01 パッド付ベビーキャリア
JP24687799 1999-09-01
JP99-246877 1999-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469A KR20010049469A (ko) 2001-06-15
KR100386650B1 true KR100386650B1 (ko) 2003-06-02

Family

ID=420416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994A KR100386650B1 (ko) 1999-09-01 2000-06-01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KR10-2000-0029995A KR100386652B1 (ko) 1999-09-01 2000-06-01 패드부착 베이비 캐리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995A KR100386652B1 (ko) 1999-09-01 2000-06-01 패드부착 베이비 캐리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443339B1 (ko)
JP (2) JP2001070107A (ko)
KR (2) KR100386650B1 (ko)
TW (2) TW47479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1090B2 (en) 2015-01-15 2019-10-15 Lillebaby, Llc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2042B1 (fr) * 2001-03-13 2003-05-16 Lafuma Sa Porte-bebe modulaire
JP4652612B2 (ja) * 2001-06-08 2011-03-16 四郎 日高 背負い具
SE518936C2 (sv) * 2001-06-28 2002-12-10 Baby Bjoern Ab Barnbärsele
JP4716608B2 (ja) * 2001-06-28 2011-07-06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NO318089B1 (no) * 2001-07-13 2005-01-31 Stokke As Baeresele
JP4930870B2 (ja) * 2001-09-28 2012-05-16 コンビ株式会社 抱っこ具
DE10224655B4 (de) * 2002-06-03 2005-03-10 Deuter Sport & Leder Rucksack mit integriertem Kleinkindersitz
US6889882B1 (en) * 2002-07-19 2005-05-10 Michael S. Leep Backpack strap system for carrying loads of various sizes and/or shapes
US6866174B2 (en) 2003-02-24 2005-03-15 Catherine Hiscocks Baby carrier with swivel action
US7322498B2 (en) 2003-09-10 2008-01-29 The Ergo Baby Carrier, Inc. Baby carrier
US20050076856A1 (en) * 2003-11-20 2005-04-14 Amazingbaby, Llc Baby/infant carrier for water use
US20050189386A1 (en) * 2004-02-26 2005-09-01 Michelle Mortell Front mounted baby carrier
GB0410632D0 (en) * 2004-05-13 2004-06-16 Toal Jennifer Baby carrier with travel bed
US7770765B2 (en) * 2004-05-20 2010-08-10 Robyn Stevens Multi-modal wearable baby carrier
US20060278176A1 (en) * 2004-07-23 2006-12-14 Yulia Chigirnskaya Baby walking assisting device
JP2006102111A (ja) * 2004-10-05 2006-04-20 Aprica Kassai Inc 子守帯
US20060076373A1 (en) * 2004-10-06 2006-04-13 Amphibian Baby Carrier, Llc Amphibious carri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20060076377A1 (en) * 2004-10-13 2006-04-13 Moodie Patricia L Marker holster
CN101534781A (zh) 2005-06-27 2009-09-16 伽利特·吉伯 婴儿和幼童背带
JP4823592B2 (ja) * 2005-07-12 2011-11-2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用クッション
JP4758699B2 (ja) 2005-07-21 2011-08-31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ラック用クッション
JP4772499B2 (ja) * 2005-09-21 2011-09-14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スリング式子守帯
JP2007111482A (ja) * 2005-09-21 2007-05-10 Aprica Kassai Inc スリング式子守帯
EP1772308A3 (en) * 2005-10-07 2010-06-30 Combi Corporation Cushion for retaining posture of child and structure using same cushion
US7878461B2 (en) * 2006-01-17 2011-02-01 Gulfstream Aerospac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grated backup control system
US7926881B1 (en) * 2006-03-08 2011-04-19 Neva Youreman Support for a seated infant
WO2008147390A1 (en) * 2006-05-30 2008-12-04 Adam Merzon Book sling
US8028871B2 (en) * 2006-12-16 2011-10-04 Jeanette Edith Gray Baby carrier
SE530907C2 (sv) * 2007-02-09 2008-10-14 Joeran Lundh Bärsele för små barn
DE202007006204U1 (de) * 2007-04-27 2008-09-04 Schachtner, Petra Tragevorrichtung
FI125502B (fi) * 2007-09-13 2015-10-30 Babyidea Oy Järjestely kantovälineen leveyden säätämiseksi
US8550316B2 (en) * 2007-09-21 2013-10-08 Diana Coote Baby carrier
GB0800948D0 (en) * 2008-01-18 2008-02-27 Univ Durham Infant sleep sling
US20090302075A1 (en) * 2008-06-06 2009-12-10 Andrew Anthony Trainer Child carriers
US8172116B1 (en) * 2008-07-28 2012-05-08 Lisbeth Hals Lehan Child carrier having adaptive leg supports
US20100072236A1 (en) * 2008-09-19 2010-03-25 Michael A Parness Multifunctional child carrier
US20100187268A1 (en) * 2009-01-29 2010-07-29 Gold Bug, Inc. Infant sling and hip carrier
SE533819C2 (sv) * 2009-04-24 2011-01-25 Babybjoern Ab Barnbärsele vars sittstöds bredd kan ändras.
US7766199B1 (en) * 2009-07-24 2010-08-03 Gabriela Caperon Baby carrier
US9220352B2 (en) * 2009-08-19 2015-12-29 The Ergo Baby Carrier, Inc. Infant carrier
US20110062195A1 (en) * 2009-09-11 2011-03-17 Petunia Pickle Bottom Corporation Child carrier with removable liner
KR100954496B1 (ko) * 2009-12-21 2010-04-22 김정수 슬라이딩 장치, 아기띠, 배낭, 가방 및 허리띠 배낭
US20110174845A1 (en) * 2010-01-21 2011-07-21 Labelle Lisa Ann Amphibious carri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200458506Y1 (ko) * 2010-04-12 2012-02-22 주식회사 토탈키즈 유아용 캐리어 통풍 패드
US9545159B2 (en) 2010-05-27 2017-01-17 Suling Wang Apparatus for a baby carrier
JP2012110418A (ja) * 2010-11-22 2012-06-14 Lucky Kogyo Kk ベビーキャリア
EP2462844A1 (en) 2010-12-13 2012-06-13 Minimonkey B.V. Child carrier
US20120199619A1 (en) * 2011-02-09 2012-08-09 Elizabeth Zack Easy wrap carrier with lumbar support
US8636181B2 (en) * 2011-02-25 2014-01-28 Britax Child Safety, Inc. Child carrier
JP5753712B2 (ja) * 2011-03-14 2015-07-22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ベビーキャリア
NL2008730C2 (en) 2011-09-12 2013-07-18 Minimonkey B V Child carrier.
JP5480313B2 (ja) * 2012-02-13 2014-04-23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子守帯
US8701949B1 (en) * 2012-03-24 2014-04-22 Lisbeth Hals Lehan Child carrier having adaptive leg supports
US9314111B2 (en) 2012-09-21 2016-04-19 BityBean LLC Convertible child carrier
KR101834054B1 (ko) 2013-03-13 2018-03-02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어린아이용 캐리어
US9877595B2 (en) 2013-03-20 2018-01-30 Suling Wang Apparatus for a baby carrier
KR101529628B1 (ko) * 2013-06-17 2015-06-22 박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
US20150004868A1 (en) * 2013-06-27 2015-01-01 Muhammad Addnan Islam Beverage and Food Carrying Container Resembling a Stuffed Toy
CN103445573A (zh) * 2013-07-10 2013-12-18 鹿永娥 一种托抱宝宝的工具
SE538604C2 (sv) * 2013-10-07 2016-09-27 BabyBjörn AB Barnbärsele
JP6105503B2 (ja) * 2014-02-13 2017-03-29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子守帯
US9307845B2 (en) * 2014-03-19 2016-04-12 Scott KRASS Multifunction baby carrier exercise device
US20170129524A1 (en) 2014-04-02 2017-05-11 BridgeHub LLC Baby carrier
EP3190930A4 (en) * 2014-09-08 2018-05-02 Phil and Teds Design Limited A baby carrier
USD770166S1 (en) * 2014-09-09 2016-11-01 Catherine Anna Figler Infant carrying garment
USD748907S1 (en) * 2014-09-09 2016-02-09 Catherine Anna Figler Infant carrying garment
USD754965S1 (en) * 2014-09-09 2016-05-03 Sandra Cornelia Elisabeth Bottram—de Louwere Holder and carrier for an infant
US9949575B2 (en) 2014-11-03 2018-04-24 Upanaway, Llc Child carrier
KR101755580B1 (ko) * 2014-11-19 2017-07-19 유봉준 보행 보조기능을 갖춘 유아용 캐리어
US10045634B2 (en) * 2014-12-02 2018-08-14 Blue Box Opco Llc Infant carrier with adjustable side panels and torso band
CN107708495B (zh) 2015-03-31 2021-05-28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腰包背带装置和系统
CN104757821B (zh) * 2015-04-22 2017-12-22 贵州大学 一种婴幼儿背带
US20170135497A1 (en) * 2015-07-13 2017-05-18 Christian Brodin Carrier System and Method of Use
JP6871247B2 (ja) * 2015-10-30 2021-05-12 ザ エルゴ ベビー キャリ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調節可能チャイルドキャリア
WO2017086759A1 (ko) * 2015-11-19 2017-05-26 김경환 아기띠
US10271663B2 (en) 2015-11-30 2019-04-30 Blue Box Opco Llc Infant carrier with cinchable sleeve seat adjustment
WO2017117493A1 (en) 2015-12-31 2017-07-06 Cummings Kimberly Infant carrier
SE539922C2 (en) * 2016-05-20 2018-01-16 Najell Ab Baby seat carrier
KR102479617B1 (ko) 2016-10-28 2022-12-20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다중 운반 배향을 갖는 조정 가능한 아동용 캐리어
US11058229B2 (en) 2016-12-29 2021-07-13 Blue Box Toy Factory Limited Expandable seat infant carrier
US10264894B2 (en) 2017-02-10 2019-04-23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system
US10555620B2 (en) 2017-02-10 2020-02-11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US11389011B2 (en) 2017-02-10 2022-07-19 The Boppy Company, Llc Newborn carrier
USD844973S1 (en) 2017-02-10 2019-04-09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US10264895B2 (en) 2017-02-22 2019-04-23 Kolcraft Enterprises, Inc. Adjustable child carriers
WO2018236412A1 (en) * 2017-06-23 2018-12-27 Cummings Kimberly MULTIFUNCTION BABY HOLDER
US10441091B2 (en) 2017-09-11 2019-10-15 Blue Box Toy Factory Limited Ergonomic outfacing carrier
US11045014B2 (en) 2017-10-13 2021-06-29 BridgeHub LLC Device for carrying and transporting a baby
CN110384365A (zh) * 2018-04-19 2019-10-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抱婴带
CA3115420C (en) 2018-04-19 2023-11-07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carrier
US11490742B2 (en) * 2018-09-18 2022-11-08 Cococho Ltd. Baby and toddler carrier with detachable and adjustable waist belt
KR101947114B1 (ko) * 2018-10-04 2019-02-13 유디텔주식회사 아기 캐리어
KR102115805B1 (ko) * 2018-10-12 2020-05-27 제병곤 팔걸이식 유아용 아기띠
KR20210095661A (ko) 2018-11-26 2021-08-02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움직임의 자유가 강화된 조정 가능한 아동용 캐리어
USD882244S1 (en) 2018-12-28 2020-04-28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USD871766S1 (en) * 2019-04-17 2020-01-07 BabyPreferred LLC Drool pad and bib for child carrier
US10912394B1 (en) * 2019-07-16 2021-02-09 Mary Elizabeth Young Baby carrier system having a selectively changeable waist strap
USD910309S1 (en) 2019-07-24 2021-02-16 The Boppy Company, Llc Component for baby carrier
US11357338B2 (en) * 2020-05-31 2022-06-14 Paul Anthony Fulcher, JR. Wearable baby carriers with multiple operation modes, and baby support systems comprising such wearable baby carriers
USD1024541S1 (en) 2020-06-19 2024-04-30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JP2022001255A (ja) 2020-06-19 2022-01-06 ザ エルゴ ベビー キャリ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の担持向きを有する調節可能チャイルドキャリア
CN114504220A (zh) * 2020-11-16 2022-05-17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支撑衬垫及其幼儿载具
USD1010305S1 (en) 2020-12-18 2024-01-09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JP7335637B2 (ja) * 2021-02-18 2023-08-30 株式会社ワンスレッド 抱っこ補助機能付きバッ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7058A (en) * 1960-08-16 1962-03-27 Frieda C Huber Baby carrier
US3587952A (en) * 1968-08-13 1971-06-28 Takeo Higuchi Baby carrier
US4724988A (en) * 1986-07-01 1988-02-16 Debby Tucker Infant carrier
US4986458A (en) * 1988-08-16 1991-01-22 Linday Linda A Infant carrier
US5178309A (en) * 1990-09-13 1993-01-12 Fisher-Price, Inc. Infant carrier and harness combination
SE500164C2 (sv) * 1991-01-18 1994-05-02 Baby Bjoern Ab Bärsele för spädbarn
NZ241918A (en) * 1991-03-18 1995-05-26 Lucy Isobelle Ormsby Infant carrying pouch: webbing harness in cross formation
US5205450A (en) * 1991-11-12 1993-04-27 Derosier Daniel P Child carrier
US5205451A (en) * 1992-01-27 1993-04-27 Manzer Donna S Infant carrier
USD378632S (en) * 1995-06-23 1997-04-01 Popp Kevin K Child carrier strap
JP3523387B2 (ja) * 1995-09-13 2004-04-26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幼児キャリア
US5678739A (en) * 1995-09-21 1997-10-21 Fisher-Price, Inc. Infant carrier with harness and detachable she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1090B2 (en) 2015-01-15 2019-10-15 Lillebaby, Llc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6652B1 (ko) 2003-06-02
US6415969B1 (en) 2002-07-09
TW474799B (en) 2002-02-01
JP3856625B2 (ja) 2006-12-13
JP2001137082A (ja) 2001-05-22
JP2001070107A (ja) 2001-03-21
KR20010049470A (ko) 2001-06-15
US6443339B1 (en) 2002-09-03
KR20010049469A (ko) 2001-06-15
TW474800B (en) 200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650B1 (ko)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EP3579728B1 (en) Baby carrier system
US9545159B2 (en) Apparatus for a baby carrier
US4149687A (en) Baby pouch
US9877595B2 (en) Apparatus for a baby carrier
US6978479B2 (en) Garment for preventing a baby from rolling over
KR101426751B1 (ko) 유아용 포대기
KR20130092942A (ko) 아기 캐리어
KR101558175B1 (ko) 포대기
KR20140050139A (ko) 유아용 캐리어
KR200296329Y1 (ko) 유아용 캐리어
WO2020255112A1 (en) Child carrier system comprising a simultaneous connection and progressive adjustment system for the length and width of the dorsal support panel
KR200369588Y1 (ko) 다용도 쿠션
KR101918822B1 (ko) 견착부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워머
JP3127392U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0493861Y1 (ko) 아기띠 고정끈이 구비된 육아용품 휴대 가방
JP3230688U (ja) 抱っこ紐カバー
KR101493030B1 (ko) 쌍둥이용 캐리어
KR20190041209A (ko) 사용편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후방아기띠와 전방아기띠를 구비한 아기띠장치
CN213663746U (zh) 一种背负型童装
US20220022662A1 (en) Wrap carrier
CA2619634A1 (en) Infant carrier
KR200315982Y1 (ko) 개량 베이비 슬링
JP2000296033A (ja) 縦抱き・横抱き兼用ベビーキャリア
KR200474221Y1 (ko) 아기 포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