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372A -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 - Google Patents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372A
KR20140146372A KR20130068934A KR20130068934A KR20140146372A KR 20140146372 A KR20140146372 A KR 20140146372A KR 20130068934 A KR20130068934 A KR 20130068934A KR 20130068934 A KR20130068934 A KR 20130068934A KR 20140146372 A KR20140146372 A KR 20140146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ir
straps
uni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8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9628B1 (ko
Inventor
박솔
공상윤
Original Assignee
박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솔 filed Critical 박솔
Priority to KR1020130068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628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지지 케이스; 상기 지지 케이스에 연결되고, 서로 체결 시에 엑스 자를 이루는 한 쌍의 스트랩; 및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을 서로 체결하기 위해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스트랩 각각의 상부를 하부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 조립체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AND X CONNECTING BABY CARRIER}
본 발명은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띠는 엄마나 아빠가 아기를 업거나 안을 때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아기때는 어깨 걸이형 가방과 같이, 두 개의 평행한 어깨끈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어깨끈은 전체적으로 링과 같은 형태를 형성하며, 양단부 모두가 아기를 수용하는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어깨끈을 형성하는 링 내로, 착용자는 팔을 집어넣어서, 어깨띠가 어깨를 감싸도록 하여 어깨끈을 어깨에 걸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착용자의 어깨에만 무거운 아기의 몸무게가 그대로 걸리게 되므로, 착용자가 많은 고통을 호소하게 된다.
또한, 어깨끈은 착용자의 등에 업힌 아기가 팔을 제대로 휘젓지 못하게 방해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아기(대상물)의 무게를 착용자의 어깨뿐만 아니라 가슴과 등 등에 고루 분산하여, 착용자의 고통을 줄여줄 수 있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등에 업힌 아기가 끈에 의한 제약 없이 자유롭게 팔을 휘저을 수 있게 하여, 업힌 아기에 대한 구속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과 관련된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는,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지지 케이스; 상기 지지 케이스에 연결되고, 서로 체결 시에 엑스 자를 이루는 한 쌍의 스트랩; 및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을 서로 체결하기 위해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스트랩 각각의 상부를 하부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케이스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벽판을 구비하는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벽판 중 적어도 하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케이스는, 상기 바닥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허리 돌기; 및 상기 벽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어깨 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트랩 각각은, 상기 한 쌍의 허리 돌기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한 쌍의 어깨 돌기 중 어느 하나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케이스는, 상기 외피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외피보다 큰 완충성을 갖는 재질의 내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스트랩 중 어느 하나의 상부 및 하부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선회 유닛; 상기 한 쌍의 스트랩 중 다른 하나의 상부 및 하부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선회 유닛; 및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설치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스트랩 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스트랩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판; 상기 어느 하나의 스트랩 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스트랩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핀과, 상기 하부판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핀이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홀을 구비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핀은, 상기 상부판에 연결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자유단에서 상기 로드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은, 상기 스트랩의 상부가 연결되기 위해 구성되는 상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은, 상기 스트랩의 하부가 연결되기 위해 구성되는 하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연결부와 상기 하부 연결부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은, 디스크부와, 상기 디스크부에서 상기 하부판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부는, 상기 디스크부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벽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 간의 체결 상태에서, 상기 제1 선회 유닛, 상기 제2 선회 유닛,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가 차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결합되는 도넛 형의 제1 도넛판; 및 상기 제1 도넛판의 중공부에 외팔보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의 체결 상태에서 상기 걸림판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도넛 형의 제2 도넛판; 및 상기 제2 도넛판의 중공부에 외팔보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결 상태에서 상기 걸림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누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엑스 체결형 아기띠는,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하기 위한 엉덩이부와, 상기 엉덩이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아기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부를 구비하는 지지 케이스; 상기 지지 케이스에 연결되고, 서로 체결 시에 엑스 자를 이루는 한 쌍의 스트랩; 및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이 상기 엑스 자로 연결되게 하기 위해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이 서로 체결되거나 서로에게서 분리되게 하는 버클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엉덩이부와 상기 등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케이스는, 상기 엉덩이부와 상기 등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지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엉덩이부와 상기 등부 보다 공기 투과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되는 내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엉덩이부의 단부 측과 상기 등부의 단부 측을 연결하는 안전 라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의 연결하며, 상기 버클 조립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복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스트랩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외팔보 운동하는 걸림판을 구비하는 제1 결합 모듈; 및 상기 한 쌍의 스트랩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외팔보 운동하여 상기 걸림판을 눌러 주도록 설치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제2 결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에 의하면, 아기(대상물)의 무게를 착용자의 어깨뿐만 아니라 가슴과 등 등에 고루 분산하여, 착용자의 고통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등에 업힌 아기가 끈에 의한 제약 없이 자유롭게 팔을 휘저을 수 있게 하여, 업힌 아기에 대한 구속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100)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뒤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바이스(100)만을 전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바이스(100)의 버클 조립체(150)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버클 조립체(150)의 제1 결합 모듈(1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버클 조립체(150)의 제2 결합 모듈(17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버클 조립체(150)의 라인(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200)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뒤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디바이스(200)만을 전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100)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뒤에서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바이스(100)만을 전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착용자가 대상물을 등에 짊어지기 위한 도구이다. 이러한 디바이스(100)는 아기(B)를 업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아기띠로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구체적으로, 지지 케이스(110)와, 스트랩(130)과, 버클 조립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케이스(110)는 대상물, 예를 들어 아기(B)를 지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부분이다. 지지 케이스(110)는, 구체적으로, 외피(111)와, 내피(115)와, 어깨 돌기(116), 그리고 허리 돌기(117)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111)는 지지 케이스(110)의 전체적인 형태를 결정하고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외피(111)는, 바닥판(112)과, 벽판(1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판(112)은 대상물을 아래서 받치는 부분이고, 벽판(113)은 대상물을 뒤에서 받치는 부분이다. 그를 위해, 벽판(113)은 바닥판(112)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벽판(113)은 바닥판(112)과 일체로, 합성수지로서 성형될 수 있다. 바닥판(112) 또는 벽판(113)에는 통기 및 무게 저감을 위한 관통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가 아기띠로 구현되는 경우에, 바닥판(112)은 아기(B)의 엉덩이를 지지하기에 엉덩이부로, 벽판(113)은 아기(B)의 등을 지지하기에 등부로 칭해질 수 있다.
내피(115)는 외피(111)의 내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내피(115)는 외피(111)의 바닥판(112)과 벽판(113)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내피(115)는 완충성 또는 통기성이 외피(111) 보다 우수한 것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기띠로서 유용할 것이다. 이를 위해, 내피(115)는 라텍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어깨 돌기(116)는 외피(111)의 벽판(113)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된다. 어깨 돌기(116)는 한 쌍으로서, 착용자의 양 어깨를 감싸도록 벽판(113)에서 절곡되어 연장된다. 어깨 돌기(116)는 벽판(113)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허리 돌기(117)는 외피(111)의 바닥판(112)의 앞쪽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된다. 허리 돌기(117)는 한 쌍으로서, 착용자의 허리 양측을 감싸도록 바닥판(112)에서 돌출 형성된다. 허리 돌기(117)는 바닥판(112)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스트랩(130)은 착용자가 몸에 지지 케이스(110)를 연결할 수 있게 하는 한 쌍의 끈이다. 스트랩(130)은 지지 케이스(110)의 좌측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제1 스트랩(131)과, 지지 케이스(110)의 우측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제2 스트랩(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랩(131)과 제2 스트랩(135)은 각각 상부(132)/(136)과 하부(133)/(137)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132)/(136)는 각각 어깨 돌기(116)에 연결되고, 하부(133)/(137)는 각각 허리 돌기(117)에 연결될 수 있다.
버클 조립체(150)는 제1 스트랩(131)과 제2 스트랩(135)이 서로 체결(및 체결된 상태에서 분리)되게 하는 구성이다. 그에 의해, 제1 스트랩(131)과 제2 스트랩(135)은 엑스('X') 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버클 조립체(150)는 또한 제1 스트랩(131)과 제2 스트랩(135)의 상부(132)/(136)가 하부(133)/(137)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트랩(130)이 버클 조립체(150)에 의해 엑스 자 형태로서 체결되므로, 대상물, 구체적으로 아기(B)에 의한 하중은 착용자의 어깨뿐만 아니라 가슴, 등 등에 고루게 분산 지지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착용자가 어깨에 집중된 하중에 의해 고통받는 것을 덜어 줄 수 있다.
또한, 스트랩(130)은 지지 케이스(110)의 상단와 하단을 연결하고, 착용자의 어깨 밑으로 지나가지 않게 된다. 그에 의해, 디바이스(100)에 의해 착용자의 등에 업힌 아기(B)는 그이 팔을 휘젓는데 있어서, 스트랩(130)에 의해 제약되지 않게 된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아기띠를 예로 드나, 지지 케이스(110)에 의한 대상물의 수용 공간에 아기(B) 대신 다른 물건을 집어넣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일반 물건 운반 시에는 내피(115)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따라서 아기띠를 아기(B)를 업는 용도 외에, 다른 물건 운반용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이상의 버클 조립체(150)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도 1의 디바이스(100)의 버클 조립체(150)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버클 조립체(150)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1 결합 모듈(160)은, 도 2에 예시된 바대로, 제1 스트랩(131)의 상부(132)와 하부(133)를 서로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 결합 모듈(170)은, 역시 도 2에 예시된 바대로, 제2 스트랩(135)의 상부(136)와 하부(137)를 서로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로부터, 제1 스트랩(131), 제2 스트랩(135), 제1 결합 모듈(160), 및 제2 결합 모듈(170)은 스트랩 어셈블리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상기 스트랩 어셈블리는, 디바이스(100)/아기띠 중에서, 착용자의 어깨에서 시작하여 가슴과 배를 지나 옆구리까지 대응하도록 연장하는 부분이다.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결합 모듈(170)의 그의 상면[제2 체결부(177)]이 온전히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이러한 제2 체결부(177)이 눌려지면,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은 서로에게서 분리될 수 있다.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에서 스트랩(130)과 연결되기 위한 상부 연결부(161c,171c) 및 하부 연결부(163b,173b)는 모두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2 체결부(177)가 노출되는 중앙 영역과, 상부 연결부(161c,171c) 및 하부 연결부(163b,173b)가 형성하는 주변 영역이 보다 간결한 구조를 이루면서 조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의 제1 결합 모듈(160)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버클 조립체(150)의 제1 결합 모듈(1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결합 모듈(160)은, 상부판(161)과, 하부판(163)과, 걸림 유닛(165), 및 제1 체결부(16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판(161)과, 하부판(163)과, 걸림 유닛(165)은 전체로서 제1 선회 유닛이라 칭해질 수 있다.
상부판(161)은 제1 디스크부(161a)와, 제1 측벽부(161b)와, 상부 연결부(161c)를 구비한다. 디스크부(161a)는 대체로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61b)는 디스크부(161a)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대체로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연결부(161c)는 측벽부(161b)에 설치되어 제1 스트랩(131)의 상부(132)가 연결되게 하는 부분이다.
하부판(163)은 상부판(161)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하부판(163)은, 디스크부(163a)와, 하부 연결부(163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연결부(163b)는 디스크부(163a)의 가장 자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1 스트랩(131)의 하부(133)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걸림 유닛(165)은 상부판(161)과 하부판(163)을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이다. 걸림 유닛(165)은, 구체적으로 걸림핀(166)과, 걸림홀(166')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핀(166)은, 로드(166a)와 슬리브(166b)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166a)는 상부판(161)의 디스크부(161a)의 중앙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166b)는 로드(166a)의 자유단에서 로드(166a)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걸림홀(166')은 하부판(163)의 중앙에 관통 개구된 것이다. 걸림핀(166)이 걸림홀(166')에 억지로 끼워짐에 의해, 슬리브(166b)가 하부판(163)에 걸림에 의해, 상부판(161)과 하부판(163) 간의 선회 연결이 완선된다. 이때, 상부판(161)과 하부판(163) 간의 선회의 중심축은 로드(166a)가 된다.
제1 체결부(167)는 제2 체결부(177, 도 5)와 함께 체결 유닛을 이루는 구성이다. 제1 체결부(167)는, 상부판(16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체적으로는 제1 측벽부(161b)에 결합된다. 제1 체결부(167)는 제1 측벽부(161b) 및 제1 디스크부(161a)와 함께 일 측부가 개방된 제1 수용 공간(S1)을 형성하게 된다.
제1 체결부(167)는, 제1 도넛판(167a)과, 걸림판(16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넛판(167a)은 대체로 도넛 형인 플레이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넛판(167a)으로서 원형을 예시하나, 폐곡선 형태라면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각형도 가능하다. 걸림판(167b)은 제1 도넛판(167a)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판(167b)은 제1 도넛판(167a)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판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판(167b)은 그의 자유단 측이 제1 도넛판(167a) 보다 상기 제1 선회 유닛에서 멀어지도록 휘어진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판(167b)은 연결부(167b')에 의해 제1 도너산(167a)에 연결되고, 연결부(167b')를 중심으로 외팔보 운동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는 도 3의 버클 조립체(150)의 제2 결합 모듈(17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결합 모듈(170)은, 제1 결합 모듈(160)과 유사하게, 상부판(171)과, 하부판(173)과, 걸림 유닛(17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 모듈(170)은, 제1 결합 모듈(160)의 제1 체결부(167)에 대응하여, 제2 체결부(17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판(171)은 제2 디스크부(171a)와, 제2 측벽부(171b)와, 상부 연결부(171c)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부(171a)는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벽부(171b)는 디스크부(171a)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대체로 원호형인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연결부(171c)는 제2 스트랩(135)의 상부(136, 이상 도 2)에 연결된다. 상부 연결부(171c)는 하부 연결부(173b)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기 위해, 제2 측벽부(171b) 중에서 디스크부(171a)가 위치한 높이보다 낮은 곳에 설치된다.
하부판(173)은 디스크부(173a)와, 하부 연결부(173b)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연결부(173b)는 디스크부(173a)의 가장 자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2 스트랩(135)의 하부(137, 이상 도 2 참조)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걸림 유닛(175)은 상부판(171)이 하부판(173)에 대해 선회 결합되게 하는 구성이다. 걸림 유닛(175)는, 걸림핀(176)과, 걸림홀(176')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핀(176)은 상부판(171)에서 돌출 형성되며, 로드(176a)와 슬리브(176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홀(176')은 하부판(173)의 중앙에 관통 개구되며, 걸림핀(176)을 수용하는 부분이다.
제2 체결부(177)는 제1 체결부(167, 도 2)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성이다. 제2 체결부(177)는 상부판(171)의 상측에, 구체적으로 제2 측벽부(171b)에 설치된. 그에 의해, 제2 체결부(177)와 제2 측벽부(171b) 및 제2 디스크부(171a)는 일 측부가 개방된 수용 공간(S2)을 형성하게 된다.
제2 체결부(177)는, 구체적으로, 제2 도넛판(177a)과, 누름판(17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넛판(177a)은 대체로 도넛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트로서, 중앙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넛' 형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드시 원형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각형의 형태도 가능하다. 제2 도넛판(177a)은 누름판(177b) 보다 큰 두께를 가지고, 누름판(177b)은 제2 도넛판(177a)의 상면 측에 치우져서 배치될 수 있다[도 6 참조]. 누름판(177b)은 제2 도넛판(177a)의 중공부에 배치되는 판재이다. 누름판(177b)은, 본 실시예에서 제2 도넛판(177a)의 원형의 중공부에 대응하는 원판으로 형성된다. 누름판(177b)은 연결부(177b')에 의해 지지되어 외팔보 운동을 하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이 서로 결합된 형태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3의 버클 조립체(150)의 라인(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및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도 1의 상태에서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 된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 제1 결합 모듈(160)의 상부판(161)과 하부판(163)은 [연결부들(161c 및 163b)을 기준으로] 대체로 일 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꺽인 상태[각도(α)]로 상대 선회되어야 한다. 이는 제1 선회 유닛인 상부판(161)과, 하부판(163)과, 걸림 유닛(165)의 상호 작용에 의한다. 또한, 제2 결합 모듈(170)의 상부판(171)과 하부판(173) 역시 [연결부들(171c 및 173b)을 기준으로] 대체로 일 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꺽인 상태[각도(β)]로 상대 선회되어야 한다. 이는 제2 선회 유닛인 상부판(171)과, 하부판(173)과, 걸림 유닛(175)의 상호 작용에 의한다.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의 결합을 위해서는, 상기 체결 유닛인 제1 체결부(167)와 제2 체결부(177)가 서로 체결되어야 한다. 상기 체결 시에, 제1 결합 모듈(160)은 도면상 우측으로, 제2 결합 모듈(170)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체결 방향(C) 참조]. 그에 의해, 상기 제2 선회 유닛은 제1 측벽부(161b)가 형성되지 않은 개방된 측면을 통해 제1 수용 공간(S1) 내로 삽입된다. 반대로, 제1 체결부(167)는 제2 측벽부(171b)가 형성되지 않은 개방된 측면을 통해 제2 수용 공간(S2) 내로 삽입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제1 선회 유닛, 상기 제2 선회 유닛, 제1 체결부(167), 제2 체결부(177)는 순차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체결 과정 중에, 제1 체결부(167)의 상측으로는 제2 체결부(177)가 이동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2 체결부(177)의 제2 도넛판(177a)은 제1 체결부(167)의 상향 돌출된 걸림판(167b)을 누르며 지나가게 된다. 제2 체결부(177)가 제1 체결부(167)에 완전하게 중첩된 위치에 이르게 되면, 걸림판(167b)은 다시 탄성적으로 상향 경사져서 누름판(177b)의 저면을 향해 들어 올려진다. 이때, 걸림판(167b)의 자유단인 걸이부(167b')는 제2 도넛판(177a)의 내면인 걸림부(177a')에 맞닿아서, 제1 체결부(167)와 제2 체결부(177) 간의 체결이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이 수평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수직적으로 적층 배치되어, 상기 스트랩 어셈블리가 완전한'X'자에 가까운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모듈(160)의 하부판(173)과 걸림 유닛(175)만이 착용자의 배(또는 가슴)에 접촉하게 되므로, 착용자가 버클 조립체(150)를 의식하게 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제1 체결부(167)와 제2 체결부(177) 간의 체결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착용자는 제2 체결부(177)의 누름판(177b)을 누른 채로 제2 체결부(177)를 제1 체결부(167)에서 멀어지도록 당겨주면 된다. 여기서, 착용자가 누름판(177b)을 누르게 되면, 누름판(177b)은 걸림판(167b)을 또한 눌러주게 된다. 눌려진 걸림판(167b)은 하강되면서, 그의 걸이부(167b')가 걸림부(177a')와 맞닿은 상태에서 걸림부(177a')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의해, 걸이부(167b')와 걸림부(177a')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므로, 제2 체결부(177)를 제1 체결부(167)에서 멀어지도록 당길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모듈(160)은 도면상 좌측으로, 제2 결합 모듈(170)은 도면상 우측으로 당겨진다[해제 방향(D) 참조].
이 상태에서는, 제1 스트랩(131)과 제2 스트랩(135)이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대략 십일자를 이루게 된다. 그에 의해, 착용자는 버클 조립체(150)의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을 서로 체결하지 않은 상태로 디바이스(100)를 어깨에 짊어질 수도 있다. 이는 일반적인 가방을 짊어지는 경우와 유사하다.
다음으로, 다른 형태의 디바이스(200)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200)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뒤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디바이스(200)는, 앞선 디바이스(100)와 대체로 동일하나, 안전 라인(280)을 더 구비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안전 라인(280)은 지지 케이스(210)의 양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안전 라인(280)은 전체적으로 일자형의 띠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전 라인(280)의 양단부는 각각 지지 케이스(210)의 상단 측과 하단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라인(280)의 일 단부가 어깨 돌기(216)에 연결된다면, 타 단부는 허리 돌기(217)에 연결될 수 있다.
안전 라인(280)의 양단부에는, 지지 케이스(210)에 탈착하기 위한 버클이 설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안전 라인(280)은, 필요에 따라, 지지 케이스(210)에서 제거되거나 지지 케이스(2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라인(280)에 의하면, 버클 조립체(250, 도 8 참조)의 제1 결합 모듈(160) 및 제2 결합 모듈(170, 이상 도 3 참조) 간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대상물(B)이 낙하될 가능성을 없앨 수 있게 된다.
안전 라인(280)이 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복대(290)도 필요하다.
도 8은 도 1의 디바이스(200)만을 전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복대(290)는 제1 스트랩(231)의 하부(233)와 제2 스트랩(235)의 하부(237)를 연결하는 끈이다. 이러한 복대(290)는 착용자의 배를 좌우 방향으로 지나가게 된다.
복대(290)의 양단부에는 벨크로와 같은 수단에 의한 탈착 결합부가 설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복대(290)는 스트랩(230)에 체결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복대(290)의 중앙에는 좌/우의 끈을 서로에 대해 체결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복대 버클이 설치된다. 상기 복대 버클은 버클 조립체(150/250)의 제1 체결부(167), 제2 체결부(177), 상부 연결부(161c), 및 상부 연결부(171c, 이상 도 4 및 도 5 참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대(290)가 착용자의 배에 지지 케이스(210)를 밀착시킴에 의해, 디바이스(200)를 안정적으로 짊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스트랩(230)과 복대(290), 나아가 안전 라인(280)이 함께 힘을 분산하기에, 착용자가 느끼의 하중의 분산이 보다 확실해진다.
상기와 같은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 엑스 체결형 아이띠
110: 지지 케이스 111: 외피
115: 내피 130: 스트랩
131: 제1 스트랩 135: 제2 스트랩
150: 버클 조립체 160: 제1 결합 모듈
161,171: 상부판 163,173: 하부판
165,175: 걸림 유닛 167: 제1 체결부
170: 제2 결합 모듈 177: 제2 체결부

Claims (19)

  1.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지지 케이스;
    상기 지지 케이스에 연결되고, 서로 체결 시에 엑스 자를 이루는 한 쌍의 스트랩; 및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을 서로 체결하기 위해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스트랩 각각의 상부를 하부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 조립체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케이스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벽판을 구비하는 외피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벽판 중 적어도 하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케이스는,
    상기 바닥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허리 돌기; 및 상기 벽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어깨 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트랩 각각은,
    상기 한 쌍의 허리 돌기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한 쌍의 어깨 돌기 중 어느 하나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케이스는,
    상기 외피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외피보다 큰 완충성을 갖는 재질의 내피를 더 포함하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스트랩 중 어느 하나의 상부 및 하부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선회 유닛;
    상기 한 쌍의 스트랩 중 다른 하나의 상부 및 하부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선회 유닛; 및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설치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스트랩 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스트랩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판;
    상기 어느 하나의 스트랩 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스트랩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핀과, 상기 하부판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핀이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홀을 구비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은,
    상기 상부판에 연결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자유단에서 상기 로드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상기 스트랩의 상부가 연결되기 위해 구성되는 상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은, 상기 스트랩의 하부가 연결되기 위해 구성되는 하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연결부와 상기 하부 연결부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디스크부와, 상기 디스크부에서 상기 하부판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부는, 상기 디스크부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벽부에 설치되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 간의 체결 상태에서, 상기 제1 선회 유닛, 상기 제2 선회 유닛,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가 차례로 적층된 형태를 갖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결합되는 도넛 형의 제1 도넛판; 및
    상기 제1 도넛판의 중공부에 외팔보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의 체결 상태에서 상기 걸림판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도넛 형의 제2 도넛판; 및
    상기 제2 도넛판의 중공부에 외팔보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결 상태에서 상기 걸림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14.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하기 위한 엉덩이부와, 상기 엉덩이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아기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부를 구비하는 지지 케이스;
    상기 지지 케이스에 연결되고, 서로 체결 시에 엑스 자를 이루는 한 쌍의 스트랩; 및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이 상기 엑스 자로 연결되게 하기 위해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이 서로 체결되거나 서로에게서 분리되게 하는 버클 조립체를 포함하는, 엑스 체결형 아기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부와 상기 등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로 성형된, 엑스 체결형 아기띠.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케이스는,
    상기 엉덩이부와 상기 등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지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엉덩이부와 상기 등부 보다 공기 투과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되는 내피를 더 포함하는, 엑스 체결형 아기띠.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부의 단부 측과 상기 등부의 단부 측을 연결하는 안전 라인을 더 포함하는, 엑스 체결형 아기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의 연결하며, 상기 버클 조립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복대를 더 포함하는, 엑스 체결형 아기띠.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스트랩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외팔보 운동하는 걸림판을 구비하는 제1 결합 모듈; 및
    상기 한 쌍의 스트랩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외팔보 운동하여 상기 걸림판을 눌러 주도록 설치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제2 결합 모듈을 포함하는, 엑스 체결형 아기띠.
KR1020130068934A 2013-06-17 2013-06-17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 KR101529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934A KR101529628B1 (ko) 2013-06-17 2013-06-17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934A KR101529628B1 (ko) 2013-06-17 2013-06-17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372A true KR20140146372A (ko) 2014-12-26
KR101529628B1 KR101529628B1 (ko) 2015-06-22

Family

ID=5267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934A KR101529628B1 (ko) 2013-06-17 2013-06-17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6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310A1 (ko) * 2015-05-29 2016-12-08 황경희 아기띠
KR20200048400A (ko) * 2018-10-30 2020-05-08 남영우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5200A (ja) * 1985-12-27 1987-07-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ロケツト発射台における火炎排出部の開口量調整装置
JP2001070107A (ja) * 1999-09-01 2001-03-21 Lucky Kogyo Kk パッド付ベビーキャリア
JP4520824B2 (ja) * 2004-11-09 2010-08-11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バックル
KR100674378B1 (ko) * 2005-11-09 2007-01-29 박기수 안전벨트버클
JP5026720B2 (ja) * 2006-03-31 2012-09-19 コンビ株式会社 子守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310A1 (ko) * 2015-05-29 2016-12-08 황경희 아기띠
KR20200048400A (ko) * 2018-10-30 2020-05-08 남영우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628B1 (ko)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0620A (en) Child-supporting shoulder harness
US20070284403A1 (en) Baby carrier
KR20200020663A (ko) 자석 후크
US5090061A (en) Helmet with ear pads
KR20180112144A (ko) 플랩 고정용 버클
US9888761B2 (en) Backpack with suspension arrangement
KR101529628B1 (ko)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
US9521895B2 (en) Single action four point harness for a backpack
JP2019051308A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0489399Y1 (ko)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
KR102011118B1 (ko) 개선된 스냅 단추
KR102164403B1 (ko)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JP2000116414A (ja) 運搬具用の軟質留め金
KR102335879B1 (ko) 탈부착 지지판을 가진 아기캐리어 허리벨트
KR101521796B1 (ko)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
JP3191626U (ja) 連結具本体に対してアタッチメントが着脱可能である連結具
KR101557349B1 (ko) 엑스자로 메는 아기띠
JP3029567B2 (ja) ベビーホルダー兼用ウエストバッグ
JP3725610B2 (ja) ウエストバッグ兼用ベビーホルダー
KR10150295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레저의자용 베개
JPH10117896A (ja) ベビーキャリアのショルダーベルト締結構造
CN212938441U (zh) 一种快速收纳型手提箱
JP4901240B2 (ja) 背負い鞄の上部カバーおよび背負い鞄
CN214050394U (zh) 一种肩带及应用其的高尔夫球袋
JPH08154722A (ja) 背負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