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403B1 -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 Google Patents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403B1
KR102164403B1 KR1020180136470A KR20180136470A KR102164403B1 KR 102164403 B1 KR102164403 B1 KR 102164403B1 KR 1020180136470 A KR1020180136470 A KR 1020180136470A KR 20180136470 A KR20180136470 A KR 20180136470A KR 102164403 B1 KR102164403 B1 KR 102164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infant
module
infants
auxiliar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3179A (ko
Inventor
유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Priority to KR1020180136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4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47D11/02Chairs convertible into children's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자가 유아를 안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부로부터 상체지지부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시트부의 수납부에 구비된 보조지지부를 인출하여 유아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음에 따라, 보호자가 힙시트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별도의 의자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체지지부가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되 통풍 가능하도록 메쉬구조로 형성되는 메쉬부와, 메쉬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구조에 의해, 유아의 체온이 상승하는 경우 메쉬부로부터 커버부를 분리하여 통풍되고 하고, 유아의 체온이 떨어지는 경우 메쉬부에 커버부를 부착하여 유아의 적정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HIP SEAT CARRIER}
본 발명은 보호자가 유아를 안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안을때 두 팔로 유아의 체중을 지탱하는데 이러한 자세는 두 팔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없으며 장시간 유아를 지탱하는 경우 보호자의 팔에 무리를 주게 된다.
따라서, 유아를 등에 업거나 가슴에 안을 수 있도록 포대기나, 아기띠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포대기나 아기띠는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어깨에 집중되기 때문에 어깨에 무리를 줄 뿐만 아니라 업혀 있는 유아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방해하여 유아에게도 불편함을 주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유아가 착석되는 시트와 시트의 양측에 버클과 같은 체결수단을 갖는 허리벨트를 형성한 힙시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힙시트는 허리에 착용한 보호자가 시트에 유아를 간편하게 앉힐 수 있으며, 이때 유아의 체중이 시트에 내장된 지지체 및 허리벨트로 분산되어 보호자의 팔이나 척추에 무리를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포대기나 아기띠에 비하여 유아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여 그 사용 빈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453460호(등록일: 2014. 10. 15일)에는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등록특허는 구성부재의 결합방법에 따라 아기띠와 힙시트의 용도로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유아의 출생일에 따라 아기띠 또는 힙시트로 선택적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한국등록특허의 경우, 등받이가 다양한 유아의 등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플렉시클한 재질로 제공됨에 따라, 보호자가 힙시트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 등받이가 유아를 지지할 수 없어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부로부터 상체지지부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시트부의 수납부에 구비된 보조지지부를 인출하여 유아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음에 따라, 보호자가 힙시트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별도의 의자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체지지부가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되 통풍 가능하도록 메쉬구조로 형성되는 메쉬부와, 메쉬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구조에 의해, 유아의 체온이 상승하는 경우 메쉬부로부터 커버부를 분리하여 통풍되고 하고, 유아의 체온이 떨어지는 경우 메쉬부에 커버부를 부착하여, 유아의 적정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제1모듈을 포함하여, 유아를 안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로서, 상기 제1모듈은, 상기 보호자의 허리 내지 골반에 착용되며 상기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고, 높이방향으로 수납공간이 함몰형성되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에 슬라이딩 인입되거나 상기 시트부로부터 슬라이딩 인출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에 구비되며, 인출시 상기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부로부터 상체지지부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시트부의 수납부에 구비된 보조지지부를 인출하여 유아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음에 따라, 보호자가 힙시트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별도의 의자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체지지부가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되 통풍 가능하도록 메쉬구조로 형성되는 메쉬부와, 메쉬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구조에 의해, 유아의 체온이 상승하는 경우 메쉬부로부터 커버부를 분리하여 통풍되고 하고, 유아의 체온이 떨어지는 경우 메쉬부에 커버부를 부착하여 유아의 적정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의 제1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의 제1모듈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의 제2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의 제1모듈과 제2모듈이 분리된 상태에서 보조지지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의 제1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의 제1모듈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의 제2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의 제1모듈과 제2모듈이 분리된 상태에서 보조지지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제1모듈(101)을 포함하여, 유아를 안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10)로서, 제1모듈(101)은, 보호자의 허리 내지 골반에 착용되며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고, 높이방향으로 수납공간(301)이 함몰형성되는 시트부(105); 및 시트부(105)에 슬라이딩 인입되거나 시트부(105)로부터 슬라이딩 인출되도록 수납공간(301)에 구비되며, 인출시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부(2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부(105)는 허리벨트부(107)를 통해 보조자의 허리 내지 골반에 착용되어 보호자가 유아를 안는 경우 유아의 둔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시트부(10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상부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수납공간(301)이 함몰형성되는데, 이러한 수납공간(301)에는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부(201)가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된다.
또한, 시트부(105)는 도면상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보호자의 상체와 맞닿는 일측(F1)과 유아의 엉덩이가 지지되는 상부면이 쿠션부재로 형성 또는 구비되어, 사용시 유아 및 보호자의 착용감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시트부(105)는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상부면이 바닥면과 일정각도(A1)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보호자가 유아를 안는 경우, 유아의 무게중심이 보호자 측으로 치우치게 되어 유아가 보호자와 자연스럽게 밀착되게 함으로써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시트부(105)의 상부에는 제2모듈(103)의 하부에 구비된 벨크로(203)와 결합되는 연결고리(303)와, 제2모듈(103)의 하부에 구비된 지퍼(607)와 결합되는 지퍼(305)가 구비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필요시 제1모듈(101)과 제2모듈(103)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결합시 제1모듈(101)과 제2모듈(103)의 2중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보조지지부(201)는 시트부(105)에 슬라이딩 인입되거나 시트부(105)로부터 슬라이딩 인출되도록 수납공간(301)에 삽입된다.
이러한 보조지지부(201)는 시트부(105)에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되면서 유아의 상체가 지지되도록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일예로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제1모듈(101)과 제2모듈(103)이 분리되는 경우 시트부(105)로부터 인출되어 유아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지지부(201)는 수납공간(301)에 인입되는 경우 상단이 시트부(105)의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상단에는 수납공간(301)으로부터 인출시 보호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홈(205)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모듈(101)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시트부(105)에 결합되고 타단이 보조지지부(201)에 결합되며, 시트부(105)로부터 보조지지부(201)의 슬라이딩 인입 또는 인출시 보조지지부(20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7);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부(307)는 시트부(105)로부터 보조지지부(201)가 일정높이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보조지지부(201)를 가이드하는데, 이러한 가이드부(307)는 일예로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307)의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부(307)는 수납공간(301)의 내측에서 시트부(105)에 고정결합되는 제1가이드(309); 및 보조지지부(201)에 결합되면서 제1가이드(309)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가이드(311);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309)는 수납공간(301) 내측에 구비되며 하단이 시트부(105)에 고정결합되고,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40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309)는 측면에 제1걸림홀(403)이 관통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걸림홀(403)에는 후술할 높이고정돌기(405)가 결합 또는 결합해제된다.
이어서, 제2가이드(311)는 상단이 보조지지부(201)에 고정결합되며, 제1가이드(309)의 외측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407)이 형성된다.
또한, 제2가이드(311)는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제2걸림홀(409)이 등간격 형성되는데, 제1가이드(309)의 외측에 삽입되는 경우 제2걸림홀(409)은 제1걸림홀(403)과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높이고정돌기(405)가 결합 또는 결합해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모듈(101)은 시트부(105)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방향으로 이동시 보조지지부(201)가 시트부(105)로부터 높이조절되게 하고, 타방향으로 이동시 보조지지부(201)가 시트부(105)로부터 높이고정되게 하는 버튼부(411);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버튼부(411)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버튼부(411)는 시트부(105)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본체(413); 버튼본체(413)의 상단에 결합되며 버튼본체(413)가 시트부(105)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일정높이만큼 이동되게 하는 이탈방지부재(415); 이탈방지부재(415)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며 제1,2가이드(309,311)의 중공(401,407)에 구비되고, 시트부(105)로부터 버튼본체(413)의 이동시 시트부(105)로부터 보조지지부(201)가 높이고정되도록 제1,2걸림홀(403,409)에 결합되거나, 시트부(105)로부터 보조지지부(201)가 높이조절되도록 제1,2걸림홈(403,409)으로부터 결합해제되는 높이고정돌기(405)가 구비되는 높이조절부재(4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높이조절부재(417)는 버튼본체(413)의 이동시 탄성적으로 높이고정돌기(405)가 제1,2걸림홀(403,409)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높이고정돌기(405)는 버튼본체(413)의 이동시 제1걸림홀(403)의 단턱부와 밀착되면서 제1,2걸림홀(403,409)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단부가 일정 곡률을 갖는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버튼부(411)는 일단이 시트부(105)에 지지되고 타단이 버튼본체(413) 또는 이탈방지부재(415)에 지지되어, 시트부(105)로부터 보조지지부(201)가 높이고정된 상태, 즉, 높이고정돌기(405)가 제1걸림홀(403)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버튼본체(413)에 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419)를 더 포함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시트부(105)로부터 보조지지부(201)가 인출되면서 높이고정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4는 시트부(105)의 수납공간(301)에 보조지지부(201)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인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본체(413)에 아무런 외력되 가해지지 않는 경우, 버튼본체(413)와 이탈방지부재(415)는 탄성부재(419)에 의해 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유지되고, 이때, 높이고정돌기(405)가 제1,2걸림홀(403,409)에 결합됨에 따라 보조지지부(201)는 시트부(105)의 내측에 인입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높이고정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본체(413)에 외력이 가해져 버튼본체(413)가 탄성부재(419)를 가압하면서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탈방지부재(415)와 높이조절부재(417)가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높이고정돌기(405)는 제1걸림홀(403)의 단턱과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제1,2걸림홀(403,409)로부터 결합해제되는데, 이때 제2가이드(311)와 보조지지부(201)는 높이조절된다.
그리고, 다시 버튼본체(413)에 외력이 해제되면 버튼본체(413)와 이탈방지부재(415) 및 높이조절부재(417)는 탄성부재(419)의 탄성력에 의해 타방향으로 이동되며, 높이고정돌기(405)는 높이조절부재(417)의 소정에 탄성력에 의해 다시 제1걸림홀(403)에 결합되고, 이때, 제2가이드(311)의 복수개의 제2걸림홀(409) 중 어느 하나의 제2걸림홀(409)이 제1걸림홀(403)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는 경우, 높이고정돌기(405)가 제2걸림홀(409)에 결합되면서 보조지지부(201)는 시트부(105)로부터 높이고정된다.
이처럼, 제1,2걸림홀(403,409)이 형성된 가이드부(307)와, 시트부(105)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부(411)가 구비되는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보조지지부(201)를 시트부(105)로부터 슬라이딩 인입 또는 인출하면서 유아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높이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10)는 보호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제2모듈(103)을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제2모듈(103)은 제1모듈(10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되 통풍 가능하도록 메쉬구조로 형성되는 메쉬부(601)를 포함하는 상체지지부(2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체지지부(207)는 지지본체부(603)와 커버부(605)를 포함한다.
지지본체부(603)는 시트부(105)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일예로 하부에 구비된 벨크로(203)와 지퍼(607)를 통해 시트부(105)에 2중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본체부(603)는 내측에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면서 통풍 가능하도록 메쉬구조로 형성되는 메쉬부(601)와, 유아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별도의 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밴딩부(609)를 포함한다.
메쉬부(601)는 비록 도면상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풍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상의 메쉬구조로 이뤄질 수 있으며, 테두리부분에 커버부(605)가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결합부(61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결합부(611)는 자석 또는 벨크로 테입 등으로 이뤄질 수 있다.
그리고, 밴딩부(609)에는 유아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별도의 물품이 거치될 수 있는데, 일예로 기온이 높아 유아의 체온이 상승하는 경우 미니 선풍기 등을 거치하여 유아의 체온이 적정온도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커버부(605)는 메쉬부(601)의 통풍이 차단되도록 메쉬부(60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커버부(605)는 메쉬부(601)와 밀착되는 전면 테두리에 자석 또는 금속 또는 벨크로 테입 등으로 이뤄진 결합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모듈(103)은 상체지지부(207)의 양측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며 보호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끈부(613); 및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거나 유아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상체지지부(207)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받침부(615);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보조받침부(615)는 양측에 구비된 결합단추부(617)를 통해 상체지지부(207) 또는 어깨끈부(61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유아가 보호자와 마주보도록 안기는 경우 상체지지부(207)의 상부에 구비되어 유아의 머리 또는 목 등을 지지할 수 있고, 반대로 유아가 보호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안기는 경우 유아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상체지지부(207) 또는 어깨끈부(61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10)는 제2모듈(103)을 제1모듈(101)로부터 분리하여, 제1모듈(101)만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시트부(105)로부터 상체지지부(207)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시트부(105)의 수납부에 구비된 보조지지부(201)를 인출하여 유아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음에 따라, 보호자가 힙시트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별도의 의자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체지지부(207)가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되 통풍 가능하도록 메쉬구조로 형성되는 메쉬부(601)와, 메쉬부(60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605)를 포함하는 구조에 의해, 유아의 체온이 상승하는 경우 메쉬부(601)로부터 커버부(615)를 분리하여 통풍되고 하고, 유아의 체온이 떨어지는 경우 메쉬부(601)에 커버부(605)를 부착하여 유아의 적정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101 : 제1모듈 103 : 제2모듈
105 : 시트부 107 : 허리벨트부
201 : 보조지지부 203 : 벨크로
205 : 파지홈 207 : 상체지지부
301 : 수납공간 303 : 연결고리
305 : 지퍼 307 : 가이드부
309 : 제1가이드 311 : 제2가이드
313 : 버튼부 401 : 중공
403 : 제1걸림홀 405 : 높이고정돌기
407 : 중공 409 : 제2걸림홀
411 : 버튼부 413 : 버튼본체
415 : 이탈방지부재 417 : 높이조절부재
419 : 탄성부재 601 : 메쉬부
603 : 지지본체부 605 : 커버부
607 : 지퍼 609 : 밴딩부
611 : 결합부 613 : 어깨끈부
615 : 보조받침부 617 : 결합단추부

Claims (7)

  1.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제1모듈을 포함하여, 유아를 안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로서,
    상기 제1모듈은,
    보호자의 허리 내지 골반에 착용되며 상기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고, 높이방향으로 수납공간이 함몰형성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에 슬라이딩 인입되거나 상기 시트부로부터 슬라이딩 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시트부에 슬라이딩 인입시 상기 수납공간에 위치하여 보관되고, 상기 시트부에 슬라이딩 인출시 상기 시트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부; 및
    일단이 상기 시트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지지부가 상기 수납공간으로 슬라이딩 인입되거나, 상기 보조지지부가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지지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에서 상기 시트부에 고정결합되는 제1가이드; 및
    상기 보조지지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가이드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은,
    상기 시트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보조지지부가 상기 시트부로부터 높이조절되게 하고, 타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보조지지부가 상기 시트부로부터 높이고정되게 하는 버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5.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제1항의 상기 제1모듈과 상기 제1모듈의 상부에 구비되어 보호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제2모듈을 포함하여, 유아를 안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로서,
    상기 제2모듈은,
    상기 제1모듈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되 통풍 가능하도록 메쉬구조로 형성되는 메쉬부를 포함하는 상체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지지부는,
    상기 메쉬부의 통풍이 차단되도록 상기 메쉬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듈은,
    상기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거나 상기 유아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상기 상체지지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받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KR1020180136470A 2018-11-08 2018-11-08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KR102164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470A KR102164403B1 (ko) 2018-11-08 2018-11-08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470A KR102164403B1 (ko) 2018-11-08 2018-11-08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179A KR20200053179A (ko) 2020-05-18
KR102164403B1 true KR102164403B1 (ko) 2020-10-13

Family

ID=70912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470A KR102164403B1 (ko) 2018-11-08 2018-11-08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0444B2 (en) * 2016-08-26 2022-09-13 Bean Ventures LLC Baby carrier
KR102619594B1 (ko) 2023-06-28 2023-12-29 주식회사 꿈비 폴딩 휴대용 아기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031B1 (ko) 2014-04-04 2015-02-16 한국타넥스인터내셔날(주) 힙 시트 캐리어
KR101679218B1 (ko) * 2015-06-23 2016-11-24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유아용 캐리어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2794A (ko) * 2009-08-28 2011-03-08 정연주 유아 캐리어
KR200485256Y1 (ko) * 2016-03-24 2017-12-14 차복희 폭조절부가 구비된 유아용 아기띠
KR101932748B1 (ko) * 2017-02-01 2018-12-26 (주)디에스통상 높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유아용 캐리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031B1 (ko) 2014-04-04 2015-02-16 한국타넥스인터내셔날(주) 힙 시트 캐리어
KR101679218B1 (ko) * 2015-06-23 2016-11-24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유아용 캐리어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179A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1825B1 (en) Child carrier
US8028871B2 (en) Baby carrier
EP4292479A1 (en)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US20170196374A1 (en) Baby sling with two shoulder straps
US20120043359A1 (en) Baby carrier
CN110621200A (zh) 具有基部宽度调整轨道的儿童载具
US20120217786A1 (en) Support device for vehicle child seat belt
KR20170105651A (ko) 조절 가능한 시트 커플링을 가지는 유아 캐리어
CN111904214B (zh) 抱婴背带
US20220061550A9 (en) Multiple Position Baby Carrier
KR102164403B1 (ko) 유아용 힙시트 캐리어
JP2010505509A (ja) 子供運搬装置
US9233632B2 (en) Head restraint system
KR20170105908A (ko) 힙시트 겸용 아기띠
KR102171800B1 (ko) 다기능 유아용 안전띠 구조체
KR20180002971U (ko) 유아용 카시트
KR200467949Y1 (ko) 힙시트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KR200489399Y1 (ko)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
JP6931638B2 (ja) ベビーキャリア
KR101677806B1 (ko) 다용도 수유 쿠션
US11109662B2 (en) Backpack
KR101955475B1 (ko) 완충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KR20160046224A (ko) 유아용 캐리어
KR102617396B1 (ko) 아기띠
US20100237122A1 (en) Back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