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400A -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 Google Patents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400A
KR20200048400A KR1020180130470A KR20180130470A KR20200048400A KR 20200048400 A KR20200048400 A KR 20200048400A KR 1020180130470 A KR1020180130470 A KR 1020180130470A KR 20180130470 A KR20180130470 A KR 20180130470A KR 20200048400 A KR20200048400 A KR 20200048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body
capsule
infant
bab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1213B1 (ko
Inventor
남영우
Original Assignee
남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우 filed Critical 남영우
Priority to KR102018013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2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7Remote control using telephone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 형태의 바디 내에 영유아를 안정적으로 눕힐 수 있고, 미세먼지나 황사 등의 외부 환경에도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깨끗하게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안전한 외출이 가능하고,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내부 환경 여건을 확인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키며, 캐리어를 매는 보호자에게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이 개방된 캡슐 형태의 캡슐 바디; 상기 캡슐 바디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캡슐 바디의 전면 개방부를 커버하는 전방 커버 부재; 상기 캡슐 바디 내측에 구비되어 그 캡슐 바디의 공간에 누운 영유아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유아고정 벨트 수단; 상기 캡슐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캡슐 바디의 내부 공간으로 필터링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환기 수단; 및 상기 캐슐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캡슐 바디를 착용 보호자에 고정하기 위한 착용자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CAPSULE TYPE BABY CARRIER}
본 발명은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캡슐 형태의 바디 내에 영유아를 안정적으로 눕힐 수 있고, 미세먼지나 황사 등의 외부 환경에도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깨끗하게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안전한 외출이 가능하고,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내부 환경 여건을 확인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키며, 캐리어를 매는 보호자에게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대기는 백일을 전후해서 아직 걸음마를 하지 못하는 첫돌 이전의 유아들의 외출시에, 편리함과 안전을 위하여, 유아들을 사용자의 가슴에 안거나 등에 업고 보행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포대기의 경우, 유아의 체중이 어깨벨트를 통하여 보호자의 어깨로 대부분 전달됨은 물론이고, 유아를 안거나 업는 자세에 따라 보호자가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체를 젖히거나 숙이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보호자의 척추에 무리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착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포대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기띠는 아기를 안거나 업는데 이용되는 포대기 대용의 띠로서,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허리 및 골반에 전달되도록 하되 간편하게 아이를 안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캐리어로서 보통 어깨끈을 통해 아기가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아기띠는 보호자의 등 또는 허리에 아기를 밀착시켜 아기를 보다 쉽게 안거나 업을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 최근에는 사용자의 어깨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힙시트 아기띠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힙시트 아기띠는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지지체를 내장한 시트부의 양측에 결속수단을 갖는 허리밴드를 형성하여 보호자의 허리에 착용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힙시트 아기띠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힙시트 아기띠는 아기의 엉덩이와 등을 감싼 형태로 보호자의 어깨에 메어지는 아기띠 본체부(1)와, 이 아기띠 본체부(1)의 하부에 결합되어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해주는 힙시트부(2)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힙시트 아기띠는 상기 힙시트부(2)를 보호자의 허리에 착용한 상태로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해주게 되므로 보호자에게 가해지는 아기의 하중이 분산되어, 보호자 및 아기가 느끼는 피로감이 기존의 일반 아기띠보다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힙시트 아기띠에 대한 종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72144호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힙시트 아기띠는, 보통 어느 정도 성장한 유아를 기준으로 제작되는바 유아의 성장 정도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사용 대상이 한정적이고, 신생아나 영아와 같은 초기 유아에게 사용하는 경우 사이즈가 맞지 않아 아기띠 본체부가 아기의 엉덩이와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여 아기의 요추를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점, 즉, 초기 유아의 경우 보호자 쪽으로 밀착시키고자 하여도 아기띠 본체부가 형성하게 되는 공간이 넓어 유아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어 아기의 허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힙시트 아기띠는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보호자가 유아의 등이나 배를 한 팔로 감싸 안아야 하므로 보호자가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야외에서 사용함에 있어 유아가 잠든 경우에는 유아를 임의의 장소에 내릴 수 없으므로 보호자의 행동이 더욱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산업화의 발전으로 미세먼지 및 황사는 최근 심각한 상황까지 이르고 있으며, 이로 인한 대기오염은 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어 호흡기 계통의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증가와 어린이들의 각종 알레르기성 증상이 늘고 있는 추세이며, 최근의 황사는 입자가 미세하고 중금속을 함유한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이전보다 더욱 더 주의를 요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 및 황사에 의한 대기오염으로부터 외출시 호흡기를 보호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나, 영유아에게 마스크의 착용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있는 날에는 외출 자체를 포기하며, 영유아의 병원 방문 등 반드시 외출해야 하는 상황에서 아이를 포대기로 완전히 둘러싸는 방법 이외에는 미세먼지나 황사에 대한 대응 방안은 전무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62329(2015.10.2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72144(2013.06.07.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3475(2014.07.04.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8305(2006.06.08.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캡슐 형태의 바디 내에 영유아를 안정적으로 눕힐 수 있고, 미세먼지나 황사 등의 외부 환경에도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깨끗하게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안전한 외출이 가능한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장치와 연동하여 영유아가 있는 공간의 환경 상황을 확인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키며, 캐리어를 맨 사용자에게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시트, 유모차 및 실내에서도 활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보다 확장하고 증대시킬 수 있는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전면이 개방된 캡슐 형태의 캡슐 바디; 상기 캡슐 바디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캡슐 바디의 전면 개방부를 커버하는 전방 커버 부재; 상기 캡슐 바디 내측에 구비되어 그 캡슐 바디의 공간에 누운 영유아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유아고정 벨트 수단; 상기 캡슐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캡슐 바디의 내부 공간으로 필터링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환기 수단; 및 상기 캐슐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캡슐 바디를 착용 보호자에 고정하기 위한 착용자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 바디는 돔형, 반구형 또는 타원 반구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슐 바디의 외측 바닥면 전체 또는 일부는 편평한 바닥면을 갖고 이루어지고, 상기 캡슐 바디의 하단부 전방에는 착용 보호자에 큐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쿠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캡슐 바디에는 영유아의 다리가 통과될 수 있는 다리 통과 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다리 통과 구멍에는 신축성 재질의 다리 보호 토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측 가장자리 중앙부가 상기 캡슐 바디의 가장자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합되되, 그 회전 각도가 소정 각도에서 제한되도록 이루어지는 한 쌍의 자중 펼침형 안전펜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커버 부재는 상단 중앙부가 상기 캡슐 바디의 상단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캡슐 바디의 개방부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부와, 상기 상부 커버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하부 커버부, 및 상기 상부 커버부와 하부 커버부의 양 가장자리에 구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커버부는 플렉시블한 테두리부를 가지며, 내측에는 자외선 및 열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성 필름이 구비되는 투명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환기 수단은 외부 공기를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송풍 흐름의 하류 측에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는 여과 필터; 상기 송풍팬과 여과 필터가 수납되며 양면에 그릴(grill)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에 접속되어 전력 공급을 제공하기 위한 접속 단자; 상기 캡슐 바디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접속 단자와 접점되는 캡슐 접점 단자; 상기 캡슐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캡슐 접점 단자와 연결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를 온/오프하여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슐 바디에 구비되어 내부 온도 및 공기질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센서 모듈; 상기 검출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제공받는 마이콤; 상기 마이콤에서 얻어진 정보를 착용 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 및 착용 보호자의 스마트 폰에 설치되어 전송되어 오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검출센서 모듈에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팬을 자동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영유아가 눕히는 공간을 캡슐 형태로 하여 영유아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캐리어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보호자는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야외에서도 유아를 임의의 장소에 내린 상태에서도 영유아가 편안하게 있을 수 있도록 하여 보호자에게 자유로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미세먼지나 황사 등의 외부 환경에도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깨끗하게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안전한 외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영유아가 있는 공간의 공기질이나 온도 등의 환경 상황을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캐리어를 맨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캐리어의 기능뿐만 아니라, 카시트, 유모차 및 실내에서도 활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보다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힙시트 아기띠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를 구성하는 캡슐 바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를 구성하는 캡슐 바디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를 구성하는 전방 커버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를 구성하는 캡슐 바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를 구성하는 캡슐 바디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를 구성하는 전방 커버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는,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영유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전면이 개방된 캡슐 바디(100); 상기 캡슐 바디(100)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캡슐 바디(100)의 전면 개방부를 커버하는 전방 커버 부재(200); 상기 캡슐 바디(100) 내측에 구비되어 그 캡슐 바디(100)의 공간에 누운 영유아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유아고정 벨트 수단; 상기 캡슐 바디(100)에 구비되고, 캡슐 바디(100)의 내부 공간으로 필터링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환기 수단(400); 및 상기 캐슐 바디(100)에 구비되어 캡슐 바디(100)를 착용 보호자에 고정하기 위한 착용자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캡슐 바디(100)는 돔형 또는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타원형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캡슐 바디(100)의 외측 배면(바닥면)은 라운드(round)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캡슐 바디(100)를 바닥 등에 놓일 때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평한 바닥면(110)을 갖고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캡슐 바디(100)의 외측 배면(바닥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경우더라도, 일단부가 각각 캡슐 바디(100)의 외측 배면의 상단부와 하단부 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90°초과 ~180°미만의 회전 위치에서 멈춤되게 구성되는 편평 유지 부재를 포함하여, 바닥 등에 안정적으로 놓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캡슐 바디(100)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의 특성 상, 용이한 제작성과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 바디(100)의 하단부 전방에는 착용 보호자에 큐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쿠션 부재(1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쿠션 부재(120)는 착용 보호자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자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착용할 때 캡슐 바디(100)의 하단부에 착용 보호자의 복부 하부 측에 접촉 지지될 때 쿠션감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캡슐 바디(100)는 중앙 측 하부의 양측에 다리 통과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다리 통과 구멍에는 신축성 스판 재질의 다리 보호 토시(130)가 구비된다. 상기 다리 통과 구멍에 연결되는 다리 보호 토시(130) 부분은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캡슐 바디(100)에 다리 통과 구멍이 형성되는 경우, 캡슐 바디(100)의 전체 사이즈에 비하여 영유아가 다소 큰 경우에 그 다리 통과 구멍을 통해 영유아의 다리가 외부로 나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다리 통과 구멍에 형성된 다리 보호 토시(130)는 외부로 노출되는 아이의 다리를 보호하면서도 내부로 외부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다리 통과 구멍에 다리가 통과할 수 있는 신축성 재질의 부직포로만 구성할 수 있으나, 영유아는 온도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다리 보호 토시(1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슐 바디(100)에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된 영유아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보호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호 수단은 일측 가장자리 중앙부가 상기 캡슐 바디(100)의 가장자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캡슐 바디(100)로 접철되되, 회동 시 캡슐 바디(100)의 전면을 이루는 평면 이상으로 벗어나지 않게 구성되는 한 쌍의 자중 펼침형 안전펜스(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중 펼침형 안전펜스(140)가 구비되는 경우, 캡슐 바디(100) 내에 영유아가 있는 상태에서, 유아고정 벨트 수단으로 영유아를 고정시킨 상태와 무관하게, 특히 유아고정 벨트 수단으로 영유아를 고정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캡슐 바디(100)가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자중 펼침형 안전펜스(140)는 자중으로 펼쳐져 유아가 캡슐 바디(100)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방 커버 부재(2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 중앙부가 캡슐 바디(100)의 상단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캡슐 바디(100)의 전면 개방부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부(210)와, 상기 상부 커버부(21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하부 커버부(220), 및 상기 상부 커버부(210)와 하부 커버부(220)의 양 가장자리에 구성되는 고정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커버부(210)는 플렉시블한 테두리부를 가지며, 내측에는 투명창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투명창은 자외선 및 열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성 필름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커버부(220)는 보호 커버로서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부(220)는 사용하지 않거나 보관 시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roll) 형태로 말아올려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30)는 캡슐 바디(100)에 벨크로(일명 찍찍이) 고정 방식 또는 암수버튼 고정방식 등으로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전방 커버 부재(200)는 상부 커버부(210)와 하부 커버부(220)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부직포를 더 포함하여 캡슐 바디(100)를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아고정 벨트 수단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반신 고정 벨트 부재(310), 및 하반신 고정 벨트 부재(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반신 고정 벨트 부재(310)는 중앙 결합구(330)를 매개로 하반신 고정 벨트 부재(320)와 연결되어 영유아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중앙 결합구(330)는 상반신 고정 벨트 부재(310) 또는 하반신 고정 벨트 부재(320) 중 하나에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는 후크 결합 방식으로 록킹 및 록킹해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상반신 고정 벨트 부재(310)와 하반신 고정 벨트 부재(320)는 벨트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구성되게 된다.
상기 유아고정 벨트 수단은 상기한 구성 이외에도 영유아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고, 벨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환기 수단(400)은 외부 공기를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일측(송풍 흐름의 하류 측)에 구비되는 여과 필터와, 상기 송풍팬과 여과 필터가 수납되며 양면에 그릴(grill)이 형성된 하우징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에 접속되어 전력 공급을 제공하기 위한 접속 단자와, 상기 캡슐 바디(100)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장착 시 그 하우징의 접속 단자와 접점되는 캡슐 접점 단자와, 상기 캡슐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캡슐 접점 단자와 연결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를 온/오프하여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 필터는 하우징에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교체형 여과 필터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미세먼지와 공기 내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헤파 필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내장 충전용 배터리로 구성되거나, 및/또는 교체형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내장 충전용 배터리로 구성되는 경우, 외부 전력와 연결될 수 있는 충전용 연결 포트가 구성된다.
상기 조작 스위치는 장치의 온/오프, 송풍팬의 회전속도(RPM)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착용자 고정 수단은 착용 보호자 신체의 상반신 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 고정벨트(510), 및 착용 보호자 신체의 허리나 하반신 측에 고정할 수 있는 하부 고정벨트(5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고정벨트(510) 및 하부 고정벨트(520)는 공지의 후크형 록킹 수단을 통해 결합 및 결합해제되게 구성되며, 벨트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착용자 고정 수단 또한 캡슐 바디(100)를 착용 보호자에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고정하고 고정해제할 수 있으며고, 벨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는 캡슐 바디(100)에 구비되어 내부 온도 및/또는 공기질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센서 모듈과, 상기 검출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제공받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에서 얻어진 정보를 착용 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 및 착용 보호자의 스마트 폰에 설치되어 전달되어 오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이콤은 검출센서 모듈에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한 송풍팬을 자동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이콤은 캡슐 바디(100) 내에 있는 영유아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미리 설정된 설정값(최적의 온도와 습도 환경을 갖는 값)이 마련되어 있어 해당 설정값에 도달할 수 있도록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는, 영유아가 눕히는 공간을 캡슐 형태로 하여 영유아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캐리어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보호자는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외에서 유아를 임의의 장소에 내린 상태에서도 영유아가 편안하게 있을 수 있도록 하여 보호자에게 자유로움을 줄 수 있고, 미세먼지나 황사 등의 외부 환경에도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깨끗하게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안전한 외출이 가능하며,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영유아가 있는 공간의 공기질이나 온도 등의 환경 상황을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리어를 맨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캐리어의 기본 기능뿐만 아니라, 카시트, 유모차 및 실내에서도 활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보다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캡슐 바디
110: 바닥면
120: 쿠션 부재
130: 다리 보호 토시
140: 자중 펼침형 안전펜스
200: 전방 커버 부재
210: 상부 커버부
220: 하부 커버부
230: 고정부
310: 상반신 고정 벨트 부재
320: 하반신 고정 벨트 부재
330: 중앙 결합구
400: 환기 수단
510: 상부 고정벨트
520: 하부 고정벨트

Claims (6)

  1. 전면이 개방된 캡슐 형태의 캡슐 바디;
    상기 캡슐 바디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캡슐 바디의 전면 개방부를 커버하는 전방 커버 부재;
    상기 캡슐 바디 내측에 구비되어 그 캡슐 바디의 공간에 누운 영유아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유아고정 벨트 수단;
    상기 캡슐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캡슐 바디의 내부 공간으로 필터링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환기 수단; 및
    상기 캐슐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캡슐 바디를 착용 보호자에 고정하기 위한 착용자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바디는 돔형, 반구형 또는 타원 반구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슐 바디의 외측 바닥면 전체 또는 일부는 편평한 바닥면을 갖고 이루어지고,
    상기 캡슐 바디의 하단부 전방에는 착용 보호자에 큐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쿠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캡슐 바디에는 영유아의 다리가 통과될 수 있는 다리 통과 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다리 통과 구멍에는 신축성 재질의 다리 보호 토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일측 가장자리 중앙부가 상기 캡슐 바디의 가장자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합되되, 그 회전 각도가 소정 각도에서 제한되도록 이루어지는 한 쌍의 자중 펼침형 안전펜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커버 부재는 상단 중앙부가 상기 캡슐 바디의 상단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캡슐 바디의 개방부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부와, 상기 상부 커버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하부 커버부, 및 상기 상부 커버부와 하부 커버부의 양 가장자리에 구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커버부는 플렉시블한 테두리부를 가지며, 내측에는 자외선 및 열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성 필름이 구비되는 투명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수단은
    외부 공기를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송풍 흐름의 하류 측에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는 여과 필터;
    상기 송풍팬과 여과 필터가 수납되며 양면에 그릴(grill)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에 접속되어 전력 공급을 제공하기 위한 접속 단자;
    상기 캡슐 바디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접속 단자와 접점되는 캡슐 접점 단자;
    상기 캡슐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캡슐 접점 단자와 연결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를 온/오프하여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바디에 구비되어 내부 온도 및 공기질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센서 모듈;
    상기 검출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제공받는 마이콤;
    상기 마이콤에서 얻어진 정보를 착용 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 및
    착용 보호자의 스마트 폰에 설치되어 전송되어 오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검출센서 모듈에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팬을 자동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KR1020180130470A 2018-10-30 2018-10-30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KR102111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470A KR102111213B1 (ko) 2018-10-30 2018-10-30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470A KR102111213B1 (ko) 2018-10-30 2018-10-30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400A true KR20200048400A (ko) 2020-05-08
KR102111213B1 KR102111213B1 (ko) 2020-05-14

Family

ID=7067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470A KR102111213B1 (ko) 2018-10-30 2018-10-30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498A (ko) * 2020-05-29 2021-12-07 신성훈 허그 통풍기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567Y1 (ko) * 1995-02-13 1998-10-15 다꾸미찌 야마구찌 유아를 앞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및 앞쪽 또는 뒷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US6283347B1 (en) * 1998-03-18 2001-09-04 Warren E. Roh Fully enclosable backpack baby carrier
KR200285503Y1 (ko) * 2002-05-08 2002-08-13 김정호 베이비 케어 장치
KR200296329Y1 (ko) * 2002-08-13 2002-11-23 박용배 유아용 캐리어
KR200324009Y1 (ko) * 2003-05-13 2003-08-21 이철규 자궁환경형 요람
KR200357321Y1 (ko) * 2003-07-16 2004-07-23 조성희 경사수유쿠션 맘마대
KR20040073022A (ko) * 2003-02-12 2004-08-19 유태환 유아용 캐리어
KR200368217Y1 (ko) * 2004-08-21 2004-11-17 허만우 유아용 안전요람
KR200418305Y1 (ko) 2006-03-09 2006-06-08 박선영 아기띠겸용배낭
US20090114691A1 (en) * 2007-10-30 2009-05-07 Snuggle Nest, Llc Baby care assembly
KR20100083635A (ko) * 2009-01-14 2010-07-22 서동석 다기능 아기 침대 및 그 제어 시스템
KR101272144B1 (ko) 2013-01-25 2013-06-07 권오용 힙싯 아기띠
KR20140026910A (ko) * 2012-08-24 2014-03-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유아용 스마트 침대장치
KR200473475Y1 (ko) 2013-12-24 2014-07-04 이진섭 아기띠 힙시트
KR20140146372A (ko) * 2013-06-17 2014-12-26 박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
KR101562329B1 (ko) 2014-02-20 2015-10-22 오세호 하이브리드 아기띠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567Y1 (ko) * 1995-02-13 1998-10-15 다꾸미찌 야마구찌 유아를 앞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및 앞쪽 또는 뒷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US6283347B1 (en) * 1998-03-18 2001-09-04 Warren E. Roh Fully enclosable backpack baby carrier
KR200285503Y1 (ko) * 2002-05-08 2002-08-13 김정호 베이비 케어 장치
KR200296329Y1 (ko) * 2002-08-13 2002-11-23 박용배 유아용 캐리어
KR20040073022A (ko) * 2003-02-12 2004-08-19 유태환 유아용 캐리어
KR200324009Y1 (ko) * 2003-05-13 2003-08-21 이철규 자궁환경형 요람
KR200357321Y1 (ko) * 2003-07-16 2004-07-23 조성희 경사수유쿠션 맘마대
KR200368217Y1 (ko) * 2004-08-21 2004-11-17 허만우 유아용 안전요람
KR200418305Y1 (ko) 2006-03-09 2006-06-08 박선영 아기띠겸용배낭
US20090114691A1 (en) * 2007-10-30 2009-05-07 Snuggle Nest, Llc Baby care assembly
KR20100083635A (ko) * 2009-01-14 2010-07-22 서동석 다기능 아기 침대 및 그 제어 시스템
KR20140026910A (ko) * 2012-08-24 2014-03-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유아용 스마트 침대장치
KR101272144B1 (ko) 2013-01-25 2013-06-07 권오용 힙싯 아기띠
KR20140146372A (ko) * 2013-06-17 2014-12-26 박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
KR200473475Y1 (ko) 2013-12-24 2014-07-04 이진섭 아기띠 힙시트
KR101562329B1 (ko) 2014-02-20 2015-10-22 오세호 하이브리드 아기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498A (ko) * 2020-05-29 2021-12-07 신성훈 허그 통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213B1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7957B2 (en)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US10045634B2 (en) Infant carrier with adjustable side panels and torso band
US8579168B2 (en) Multifunction infant carrier with lumbar belt
US9237771B2 (en) Neck, spine, and spinal cord support device for newborn baby and infant, and blanket assembly for same
US20090165206A1 (en) Blanket for placement upon an infant secured in a seat and method of use
US20070062988A1 (en) Sling type baby holding carrier
KR101432450B1 (ko) 아기띠
WO2015112546A1 (en) Modular child carrier
KR200469068Y1 (ko) 힙시트가 구비된 아기띠
WO2012129060A2 (en) Multifunction infant carrier
CA2654994A1 (en) Nursing canopy
US20230070263A1 (en) Multi-use cover
US20150196126A1 (en) Attachable child blanket and nursing cover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CA3040227A1 (en) Baby carrier
KR102111213B1 (ko)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KR101922307B1 (ko) 영아용 속싸개
US9474307B2 (en) Pants to assist in holding up a diaper
KR102201994B1 (ko) 힙시트용 안장구조체
KR101028579B1 (ko) 아기 수면보호대
JP2003111647A (ja) 子守帯
EP3755182A1 (en) Garment for a baby or an infant
KR200480036Y1 (ko) 아기캐리어 커버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KR102201987B1 (ko) 힙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