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567Y1 - 유아를 앞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및 앞쪽 또는 뒷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 Google Patents

유아를 앞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및 앞쪽 또는 뒷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567Y1
KR0123567Y1 KR2019950002196U KR19950002196U KR0123567Y1 KR 0123567 Y1 KR0123567 Y1 KR 0123567Y1 KR 2019950002196 U KR2019950002196 U KR 2019950002196U KR 19950002196 U KR19950002196 U KR 19950002196U KR 0123567 Y1 KR0123567 Y1 KR 0123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user
seat
connect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203U (ko
Inventor
다꾸미찌 야마구찌
나오미 히라타
게이꼬 히라사와
Original Assignee
다꾸미찌 야마구찌
가부시끼가이샤 마미아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꾸미찌 야마구찌, 가부시끼가이샤 마미아아트 filed Critical 다꾸미찌 야마구찌
Priority to KR2019950002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567Y1/ko
Publication of KR9600282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2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5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앞으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는 성인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장구(10) 및 장치(31,32)를 앞면에 연결시킴에 의해 장구의 앞면에 부착시킬 수 있는 탈착 가능한 시트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앞면은 사용자에 대해 또는 반대로 향하게 되어 사용자에 대해 그렇지 않으면 반대로 향하도록 사용자의 앞면으로 시트에 앉힐 수 있고 그리고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는 시트를 장구의 뒷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뒷면 연결장치(34,35)를 더 포함하며, 이때 이것의 앞면은 사용자에 대해 또한 반대로 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아가 사용자를 향하거나 또는 반대로 향하도록 사용자의 앞 또는 뒤로 시트에 유아를 앉힐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유아를 앞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및 앞쪽 또는 뒷쪽을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제1(a)도는 사용자를 향하도록 성인 사용자의 앞면에 유아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앞으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를 설명한 도면이다.
제1(b)도는 사용자와 반대로 향하도록 사용자의 앞면에 유아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제1(a)도의 앞으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를 설명한 도면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앞으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의 장구를 착용한 성인 사용자가 자동차에 앉아 있는 것과 시트벨트에 묶여져 있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앞으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의 장구의 제1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의 한 실시예의 개선된 사시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시트가 유아를 감싸기 위해 어떻게 접혀지는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6도는 제4도의 시트가 최종상태로 유아를 잡아매어 고정시킬때는 어떻게 보이는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라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를 위한 장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8(a)도는 사용자를 향하도록 사용자의 등에 유아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제7도의 장구와 제6도의 시트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제8(b)도는 사용자와 반대로 향하도록 사용자의 등에 유아를 지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7도의 장구와 제6도의 시트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제9도는 본고안에 따른 앞으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의 장구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10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용 장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용 장구의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앉힐수 있는 운반용구용 장구의 제4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운반용구용 장구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의 시트의 제2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1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의 시트의 제3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구 11 : 앞면 밸트
12 : 끈 20 : 시트(seat)
21 : 뒷면 지지체 22 : 가랑이지지
23 : 앞면 지지체
본 고안은 사용자와 유아가 서로 향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향하게 유아를 앞으로 앉힐 수 있거나 지지하도록 부모 또는 다른 성인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앞으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 관한 것이고 그리고 또한 사용자와 유아가 서로 향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향하게 뒤로 유아를 업기 위해 부모 또는 다른 성인 사용자에 의해 사용도는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자에 의해 고안되고 일본 실용신안 출원공개 공보 평 5-6850에 기술된 앞으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는 성인 사용자의 목 또는 어깨로부터 걸고자 하는 거는 벨트의 반대 단부에 연결된 좁은 측면의 지지체로 구성된 주요부분과 측면에서 개방되어 다리부분이 없는 팬티형과 유사한 떼어낼 수 있는 시트를 포함한다. 약 한 살 이하의 유아를업고 다니기 위해서는, 유아를 주요부분에 부착된 시트에 앉히고 그리고 하나 또는 양쪽팔로 고정시켜야 한다, 스스로 곧게 서서 앉을 수 있는 유아를 업고 다닐 때는, 시트를 떼내고 주요부분의 측면지지체상에 유아를 앉히고 하나 또는 양팔로 고정시킨다.
주요부분에 시트를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시트의 뒷면 지지체에 측면벨트를 연결시키고, 거는 벨트의 하부 단부 근처에 제공된 링에 측면 벨트의 반대 단부를 연결시키고, 시트 뒷면 지지체의 반대면에 대해 그들의 단부들에 의해 한쌍의 앞면 벨트를 부착시키고, 앞면 벨트를 전술한 링, 시트 앞면 스트랩 및 앞면 지지체상의 벨트 루프를 통과시키고, 앞면 벨트와 함께 채우고, 시트 가랑이 지지체에 대해 시트 바인더를 부착시키고 그리고 시트 둘레로 시트 바인더를 둘러싸야 한다.
결과적으로, 주요부분에 대한 시트의 부착 및 탈착에는 문제가 있으며 시간 소모가 많으며, 나아가 유아를 시트에 앉힌 후에는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는 상기 시트를 주요부분에 부착시킬 수 없다. 나아가, 상기 운반용구는 유아를 사용자를 향하도록 앞에서만 착용할 수 있다. 유아를 앞으로 다른 방법으로 향하게 앉히거나 또는 유아를 뒤로 업는데 사용될 수는 없다.
본 고안의 하나의 목적은 유아를 단순한 조작에 의해 사용자를 향하게 하거나 반대로 향하여 앉힐 수 있도록 하는 앞으로 유아를 앉힐수 있는 운반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아를 단순한 조작에 의해 사용자를 향하게 하거나 반대로 향하게 하여 뒤로 업을 수 있는 운반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에 승차했을 때, 시트벨트에 의해 사용자 및 유아를 보호할 수 있는 앞으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하나는 실시예는 성인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수 있는 장구와 떼어낼 수 있는 시트로 이루어진 앞으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를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시트는 사용자를 향하게 하거나 또는 반대로 향하게 시트의 앞면과 장구의 앞에 부착될 수 있고 사용자를 향해 또는 반대로 시트의 앞면에서 장구의 앞면에 부착할 수 있고, 유아는 사용자를 향해 또는 반대로 향하게 사용자의 앞의 시트에 앉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례는 성인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수 있는 장구와 떼어낼 수 있는 시트로 이루어진 앞으로 또는 뒤로 유아를 앉힐수 있는 운반용구를 제공하는 것인데, 이때 시트는 사용자를 향해 또는 반대로 시트의 앞면과 장구의 앞에 부착될 수 있고 사용자를 향해 또는 반대로 시트의 앞면이 면하게 하여 장구의 후면에 부착되어, 유아가 사용자를 향해 또는 반대로 향하여 사용자 앞 또는 뒤로 시트에 유아를 앉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앞으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장구는 접속기가 제공된 앞면 밸트 또는 패널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시트는 제1 접속기가 제공된 앞면 지지체와 제2접속기가 제공된 뒷면 지지체가 갖추어진다. 유아가 시트내에 둘러싸여질 때, 시트는 시트의 제1접속기를 장구의 접속구에 접속시킴에 의해 사용자를 향하도록 앞면에 고정될 수 있고 그리고 시트는 제2접속기를 장구의 접속기에 접속시킴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반대로 향하게 앞면으로 고정될 수 있다.
시트벨트가 장치된 차량종류에서 유아가 옮겨질 때, 먼저 사용자는 장구를 채우고, 시트벨트를 잡아매고, 그리고 계속해서 시트를 부착시킨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용자와 유아 모두는 유아가 사용자와 시트사이에 죄어지게 되는 위험에 노출됨이 없이 시트 벨트에 의해 보호되게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의 장구에는 그것의 뒷면 벨트 또는 뒷면 패널에 접속기가 추가로 제공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앞으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이 갖추어지고 그리고 나아가 시트의 제1 접속기가 뒷면 벨트 또는 뒷면 패널에 접속되게 하여 유아를 사용자를 향하도록 뒤로 업을 수 있게 하고 시트의 제2접속기를 뒷면 벨트 또는 뒷면 패널의 접속기에 접속시킴에 의해 유아를 사용자를 향하도록 뒤로 업을 수 있게 한다.
제1도 내지 제6도에는 참조번호(10)가 성인 사용자에 착용되어지는 천으로 된 장구를 지시하고 참조번호(20)는 천 또는 다른 재질의 장구가 분리되어 만들어진 시트를 지시하는 본 고안의 첫 번째 특징에 따른 앞으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장구(10)는 어께로부터 사용자 앞면에 걸쳐지는 2개의 앞면 벨트(11)와 앞면 벨트(11)의 상부 단부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뒷면으로 아랫쪽으로 연장되어 X자로 교차되는 2개의 끈이 갖추어진다. 왼쪽 앞면 벨트(11)의 하부 단부 및 오른쪽 앞면 벨트(11)의 상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내려오는 끈(12)은 서로와 관련하여 미끄러질 수 있도록 결합된다. 오른쪽 앞면 벨트(11) 및 다른 스트랩(12)은 유사하게 결합된다. 이 배열은 오른쪽과 왼쪽의 팔 루프(13)를 형성한다. 이들 팔 루프(13)의 크기는 재래식 타입의길이 조정기(15)를 사용하여 이길이 조정기(15)의 하부단부에 부착된 연장길이(14)를 조정하여 착용자를 위해 조정될 수 있다. 나아가, 끈들(12)은 연장 단부(14)상에 제공된 작은 루프(14')를 통해 통과되어 앞면 벨트(11)와 뒷면 벨트(12)가 서로에 관해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한다.
시트(20)는 뒷면 지지체(21), 가랭이 지지체(22) 및 앞면 지지체(23)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양 측면이 개방된 일반적인 형태의 다리없는 팬티가 갖추어진다.상기 뒷면 지지체(21)는 뒤로부터 유아의 머리를 위해 지지체가 제공되도록 앞면 지지체(23)보다 더 크고 반면에 가랑이 지지체(22)는 좁은 폭으로 만입된다. 뒷면 지지체(21) 및 앞면 지지체(23)는 (예를 들어 벨크로(velcro)란 상표로 시판되는 타입의) 스냅 또는 표면 대 표면 훼스너(fastner)와 같은 압축 훼스너(24)에 의해 그들의 왼쪽면 또는 오른쪽 면에서 함께 잡아매어질 수 있다.
반대 단부에 2개 부분의 버클(26)이 갖춰진 측면 스트랩(25)은 뒷면 지지체(21)의 바깥면에 부착되어 상기 버클이 앞면 지지체(23)의 외면에 고착될 수 있다. 루프(27)는 앞면 지지체(23)에 고정되어 측면 끈(25)과 버클(26)이 통과되어 그것의 반대 단부들을 접속시킨다.
제1연결기(31)는 앞면 지지체(23)의 상부 왼쪽 및 오른쪽에 부착되고 그리고 장구(10)에 시트(20)를 부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앞면 벨트(11)에 부착된다 .나아가 뒷면 지지체(21)는 앞면 지지체(23)보다 크기 때문에, 제2접속기(32)는 접속기(31)보다 약간 위의 위치에서 뒷면 지지체(21)의 바깥면 및 앞면 벨트(11)상의 상부 왼쪽 및 오른쪽 면에 제공된다.
제3의 접속기(33)가 장구(10)의 끈(12)의 기저단부 뿐만 아니라 앞면 지지체(23)의 반대편으로부터 돌출되어 추가로 제공된다.
도면에 도시된 제1, 제2그리고 제3의 접속기(31)는 암,수 부재가 갖춰진 재래식의 플라스틱 타입이지만, 이들은 암,수 부재 양쪽을 포함하는 동일한 부재를 갖는 타입으로 대체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2개의 끈(28)으로 후면 지지체(21)의 외면의 좌, 우측면을 따라 제공되고, 가랭이 지지체(22)의 외면상에서 교차되고 그리고 가랭이 지지체(22)의 좌, 우측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2의 접속기(32)는 끈(28)의 상부 단부에 제공되고 그리고 제3의 접속기(33)는 끈(28)의 끝에 제공되며 가랭이 지지체(22)의 반대 측면으로 돌출된다.
유아를 사용자로부터 반대로 향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시트(20)의 제2 접속기(32)는 장구(10)의 제2 접속기(32)에 접속되고 그리고 시트(20)의 제3의 접속기(33)는 장구(10)의 제3의 접속기(33)에 접속된다. (도면 제1(b)도 참조) 유아를 사용자를 향하도록 지지하기 위해서는, 시트(20)의 제1의 접속기 (31)는 장구(10)의 제1접속기(31)와 연결되고 그리고 시트(20)의 제3의 접속기(33)는 장구(10)의 제3의 접속기(33,33)에 접속된다.(참조 제1(a)도.)
시트(20)가 제2 및 제3의 접속기 또는 제1 및 제3의 접속기와 접속됨에 의해 당구(10)에 부착된 후에야 유아가 시트(20)에 둘러싸여질 수 있다. 그러나 제2 및 제3의 접속기 사이 또는 제1 및 제3의 접속기 사이의 접속은 용이하게 달성됨으로 인해, 시트(20)가 장구(10)에 부착되기 전에도 유아는 또한 시트(20)에 둘러싸여질 수 있다. 이것은 유아가 차, 비행기등에 탑승시에 편리한데 이때 사용자와 유아는 시트 벨트에 의해 보호된다. 제2도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장구(10)를 걸치고, 앉은 다음 시트 벨트를 고정시킨 경우에, 계속해서 유아가 싸여있는 시트(20)는 그 사이에서 시트벨트와 장구(10)에 부착된다.
물론 유아가 탑승객의 몸체와 시트 벨트사이에서 죄여지는 위험 때문에 차량등의 승객의 앞에 있는 유아를 걸쳐서 시트벨트를 고정시키는 것은 위험하다. 유아가 싸여져 있는 시트를 장구에 묶으기 전에, 본 고안에 따라 장구를 착용하는 사람이 장구를 걸쳐서 시트 벨트를 묶을 때라도, 유아는 죄여진 것으로부터 안전하게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시트는 시트벨트에 의해 조여지는 사람에 의해 착용되는 장구가 부착됨으로 인해, 또한 유아가 시트 벨트의 보호 작용으로부터 이득을 얻게 된다.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라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의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어지는 장구(10)의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이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는 제1내지 6도에 도시한 시트(20)를 사용할 수 있다.
설명된 장구(10)는, 그것의 작용에 비추어서만 장구(harness)로서 참조하였지만, 조끼와 매우 흡사하고 그리고 팔 구멍(17)을 갖는 정면 패널(11)(초기의 실시예에서는 정면 벨트(11)에 상응함) 그리고 뒷면 패널로 이루어진다.
앞면 벨트(11)는 시트(20)의 제1, 제2, 제3접속기 (31),(32),(33)에 대응하여 제1, 제2, 제3접속기(31),(32),(33)에 부착된다.
장구와 시트의 제1 내지 제3의 접속기를 연결함에 의해, 이에따라, 유아는 사용자를 향하여 시트내에서 운반될 수 있고, 그 반면에 제2 및 제3의 접속기를 접속함에 의해, 유아는 사용자로부터 반대로 향하여 옮겨질수 있다. 유아를 시트 벨트가 장치된 차량등에 승차시킬 때, 처음에 사용자는 장구(10)를 걸치고 시트 벨트(제2도)를 묶고 그리고 계속해서 유아를 옮기기 위해 시트(20)를 부착시킨다.
사용자가 유아를 뒤로 업기 위해서는, 장구(10)의 뒷 패널(16)에는 제1 및 제2의 접속기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직적으로 공간화된 한쌍의 4번째 그리고 5번째 접속기(34),(35)가 추가로 제공된다. 4번째 및 5번째 접속기(34),(35)는 시트(20)상에 제1 및 제2접속기(31), 및 (32)와 접속된다.
제8(a)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뒤로 유아를 업을 때, 사용자는 뒤쪽 패널(16)상의 4번째 접속기(34)를 시트(20)상의 제1접속기(31)에 접속기킴에 의해 그리고 장구(10)와 시트(20)의 제3의 접속기(33)를 함께 접속시킴에 의해 뒤쪽 패널에 대해 시트를 부착시키고, 유아를 시트(20)로 둘러싸고 그리고 장구를 걸친다.
제8도(b)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사용자에 대해 반대로 향하게 뒤로 유아를 업을 때, 사용자는 뒤쪽 패널(16)상의 5번째 접속기(35)를 시트(20)상에 제2접속기(32)에 접속시킴에 의해 그리고 장구(10)와 시트(20)의 제3의 접속기(33)를 함께 접속시킴에 의해 뒤쪽 패널에 대해 시트를 부착시키고, 유아를 시트(20)로 둘러싸고 그리고 장구를 걸친다.
장구(10)는 제3도 및 제7도에 도시된 것을 제외하고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몇몇의 다른 변경이 가능하게 된 배치는 한 실시예의 방법으로 제9도 내지 13도에 도시하였다.
제9도에 도시된 장구(10)는 제3도의 장구와 유사하게 2개의 앞면 벨트를 갖는다.앞면 벨트(11)의 상단부는 Y형 뒤쪽 벨트(16)와 정면 벨트(11)의 하부 단부에 계속되고 그리고 뒤쪽 벨트(16)는 사용자가 허리둘레로 고리를 채우는 허리 벨트(18)에 부착된다.
제10도에 도시된 셔츠를 닮은 장구(10)는 제7도의 장구의 앞쪽 패널(11)과 뒤쪽 패널(16)에 스리브를 부가함에 의해 얻어진다.
제11도에 도시된 장구(10)는 제3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그 대신에 끈(12)은 정면 벨트(11)에 대해 폭이 같은 한쌍의 교차된 뒷면 벨트를 갖고, 각각의 앞면 벨트(11)는 하나의 앞면 벨트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양면에 팔 구멍(13)이 형성되도록 한다.
제12도에 도시된 장구(10)에서 앞면 벨트(11), 및 뒷쪽 벨트(12)는 팔구멍을 형성하는 루프(13)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루프(13)는 측 벨트(19)에 의해 뒤쪽에 연결되어 H-형 배치의 장구(10)를 형성한다.
모든 장구는 앞면 벨트/패널(11)의 하부단부 그렇지 않으면 앞면 벨트(11)와 뒤쪽 벨트(16)사이의 접속점에 연결되는 그들의 첨단에 장구 측면 제3의 접속기(33)와 짧은 끈을 갖는다.
임의의 이들 장구는 앞으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를 위한 장구로서 제1 및 제2 접속기(31),(32)를 앞면 벨트/패널(11)에 부착시킴에 의해 또는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업을 수 있는 운반용구를 위한 장구로서 4번째 그리고 5번째 접속기(34),(35)에 뒤쪽 벨트/패널(16)을 추가로 부착시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13도에 도시된 장구(10)는 허리 벨트(18), 및 사용자의 어깨로부터 앞과 뒤로 드리워지는 2개의 어깨 벨트로 이루어지고, 각각은 서로 연속되는 앞면 벨트(11)와 뒷면 벨트(16)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각각은 루프(13)를 형성하도록 면 대 면 위치에서 허리 벨트(18)에 부착되는 대칭 단부들을 갖는다. 상기 앞면 벨트(11)에는 다수의 제1 및 제2 접속기(31) 및 (32)가 다른 높이에서 제공되고 그리고 뒷면 벨트에는 다수의 제4 및 제5 접속기가 다른 높이에서 제공된다. 다수의 상기 접속기들이 제공되어 시트(20)의 높이가 용이하게 조정되어 고정되게 된다. 번호(19)의 측면 벨트는 경우에 따라 필요에 의해 제공되어 그것의 대칭 단부들이 상단 위치에서 뒷면 벨트(16)에 접속되게 하여 2개의 어깨 벨트가 어깨로부터 분리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막는다. 각각의 허리 벨트와 어깨벨트는 설명에서는 생략되어 있는 길이 조정장치가 제공된다.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유아의 머리를 위한 뒷면 지지체가 앞면 지지체(23)보다 더 윗쪽으로 시트의 뒷면 지지체(21)를 연장시킴에 의해 제공되고 그리고 제2접속기(32)는 제1의 접속기(31)가 앞면 지지체 (23)의 상부 바깥쪽 표면에 부착되는 것보다 더 높은 수준에서 뒤쪽 지지체(21)의 상부 바깥쪽 표면에 부착된다. 이와 일치하여, 장구(10)의 앞면 벨트/패널(1)은 제1 및 제2 접속기(31),(32)와 다른 높이에서 제공되고 그리고 후면 벨트/패널(16)은 4번째 및 5번째 접속기(34),(35)와 다른 높이에서 제공된다. 그러나 뒷면 지지체(21)가 앞면 지지체(23)보다 더 높게 만들어지는 경우일지라도, 제2 접속기(32)는 제1 접속기(31)가 앞면 지지체(23)에 부착되는 것과 동일한 높이에서 뒷면 지지체(21)에 대신 부착될 수 있다. 이 배열이 선택될 때, 시트(20)의 뒷면 지지체(21)상의 제2접속기 (32)는 앞면 벨트/패널(11)상의 제1 접속기(31)와 또는 뒷면 벨트/패널(16)상의 4번째 접속기(34)와 접속되어 앞면 벨트/패널(11)상의 2개의 제2접속기(32) 및 뒷면 벨트/패널(16)상의 2개의 제5접속기(35)를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앞면 벨트/패널상의 2개의 제2접속기(32)와 뒷면 벨트/패널(16)의 2개의 제5접속기(35)에 대한 필요성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뒷면 지지체와 같은 높이로 만들고 그리고 제2접속기(31)가 앞면 지지체(23)에 부착되는 것과 동일한 높이에서 뒷면 지지체(21)에 제2접속기(32)에 부착됨에 의해 제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배열에 있어서, 뒷면지지체(21)는 유아의 머리를 위한 지지체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압축 훼스너(20)의 수단(예컨대, 스냅 또는 표면 대 표면 훼스너)으로 뒷면 지지체(21)의 내부 표면에 머리 지지체(29)를 부착시키거나 또는 뒷면 지지체(21)의 내부 표면상에 형성된 포켓의 윗쪽 구멍으로 머리 지지체(29)를 삽입함에 의해 뒷면 지지체(21)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되는 분리지지체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 길이를 쉽게 조정할 수 있는 산업적으로 유용한 암-수 타입의 벨트용 버클은 장구(10)에서 필요로 하는 다수와 접속기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버클이 접속기로서 사용되고 그리고 짧은 끈이 앞면 벨트/패널(11)과 뒷면 벨트/패널(16)에 부착된다면, 상기 끈들의 길이는 이들 접속기가 부착되는 높이의 임의의 차이와 상관없이,시트(20)의 뒷면 지지체(21)에서 제2접속기(32)와 그렇지 않으면 앞면 지지체(23)에서 제1접속기(31)와 접속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앞면 벨트/패널(11)에서의 4개의 접속기와 뒷면 벨트/패널(16)에서의 4개의 접속기는 각각 2개로 감소될 수 있다.
제4내지 6도에 도시된 시트(20)에서, 뒷면 지지체(21) 및 앞면 지지체(23)의 반대측은 압착 훼스터(24)에 의해 묶여진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한쌍의 측면이 구멍난 팬츠에 앉히는 방법으로 유아를 매우 용이하게 시트에 앉힐 수 있고(둘러쌓을 수 있고 그리고 예를 들어 기저기 교환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다른 시트 디자인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앞면 또는 뒷면 지지체는 양면상에서 서로 연속하여, 2개 다리를 낼 수 있는 구멍을 갖는 백-형의 시트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첫 번째 특징에 따른 앞으로 유아를 앉힐수 있는 운반용구는 시트상에 제공된 제1접속기를 장구의 앞면벨트 또는 앞면 패널상에 제공된 접속기에 접속시키고, 이에 따라 장구에 시트를 부착시키고 그리고 계속해서 시트내에서 유아를 감쌈에 의해 사용자를 향하도록 앞에서 유아를 앉힐 수 있게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이 운반용구는 운반용구의 뒷면 지지체상에 제공된 제2접속기를 장구의 앞면 벨트/패널상에 제공된 접속기에 접속하고, 이에 따라 장구에 시트를 부착하고 그리고 계속해서 시트에 유아를 감쌈에 의해 사용자에 반대로 향하도록 유아를 앞으로 앉히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장구에 대해 운반용구를 부착하는 것은 매우 용이한데 그것은 단지 접속기를 연결시킴에 의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아를 시트벨트가 장치된 차량장치에 탑승시킬 때, 처음에 사용자는 장구를 걸치고 그리고 시트벨트를 묶고 그리고 계속해서 장구에 시트를 부착시킨다. 사용자의 양팔은 장구를 통해 통과되기 때문에, 사용자와 유아 양쪽은 시트벨트에 의해 보호되고 그리고 이 시트 벨트는 사용자와 상기 운반용구사이를 통과함으로 인해, 시트 벨트에 의해 유아를 조여지게 하는 위험성이 없다.
본 고안의 첫 번째 특징에 따라 유아를 앞으로 앉힐 수 있는 능력이 갖추어지는 것 이외에도, 본 고안의 두 번째 특징에 따라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운반용구는 시트의 앞면 지지체에 제공된 제1접속기를 장구의 뒤쪽 벨트 또는 뒤쪽 패널에 제공된 접속기에 연결시키고, 이에따라 시트를 장구에 부착시키고 그리고 계속해서 시트내에 유아를 둘러쌓음에 의해 사용자를 향하도록 뒤로 유아를 업을 수 있도록 사용되고, 그리고 상기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업을 수 있는 운반용구는 시트의 뒤쪽 지지체상에 제공된 제2접속기를 장구의 뒤쪽 벨트 또는 뒤쪽 패널상에 제공된 접속기에 접속시키고, 이에따라 장구에 시트를 부착시키고 그리고 계속해서 시트에 유아를 쌈에 의해 사용자에 대해 반대로 향하도록 유아를 뒤로 앉을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유아를 앞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로서, 성인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어지는 장구(10), 및 탈착 가능한 시트(20)로 구성된 유아운반 용구에 있어서, 시트(20)의 앞면이 사용자를 향하거나 사용자와 멀어지는 쪽을 향한 상태로 상기 시트(20)가 상기 장구(10)의 앞면에 부착될 수 있어서, 유아가 사용자를 향하거나 사용자와 멀어지는 쪽을 향해서 사용자의 앞쪽으로 상기 시트에 유아를 앉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운반용구.
  2. 유아를 앞쪽 또는 뒤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로서, 성인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어지는 장구(10), 및 탈착가능한 시트(20)로 구성된 유아운반용구에 있어서, 시트(20)의 앞면이 사용자를 향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와 반대로 향하게 장구의 앞면에 부착할수도 있고, 그리고 상기 시트(20)의 앞면이 사용자를 향하거나 또는 반대로 향하게 장구의 뒷면에 부착할 수도 있어서, 사용자의 앞면으로 또는 뒷면으로 시트에 유아를 앉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앉혀질 수 있는 유아운반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구(10)의 앞면에 제1 및 제2 접속기(31,32,34,35)가 제공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시트(20)에는 제1 접속기(31,32)가 제공된 앞면 지지체(23)와 제2접속기(34,35)가 제공되어 있는 뒷면 지지체(21)가 갖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쪽으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유아운반용구.
  4. 제2항에 있어서, 장구(10)에는 그것의 앞면상에서 제1접속기(31,32)와 그리고 그것의 후면상에서 제2의 접속기(34,35)가 제공되어있고 상기 시트(20)는 제1 접속기(31,32)가 제공된 앞면 지지체(23) 및 제2면 접속기(34,35)가 제공된 뒷면 지지체(21)가 갖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유아 운반 용구.
  5. 제1항에 있어서, 장구(10)는 어깨로부터 사용자의 앞면으로 걸쳐지는 한쌍의 정면 벨트(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으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유아운반용구.
  6. 제1항에 있어서, 장구(10)는 어깨로부터 사용자의 앞과 뒤로 걸쳐지고 그리고 각각 서로 연속되는 정면 벨트(11) 및 뒷면 벨트(11)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 또는 뒤로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유아 운반 용구.
KR2019950002196U 1995-02-13 1995-02-13 유아를 앞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및 앞쪽 또는 뒷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KR0123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196U KR0123567Y1 (ko) 1995-02-13 1995-02-13 유아를 앞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및 앞쪽 또는 뒷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196U KR0123567Y1 (ko) 1995-02-13 1995-02-13 유아를 앞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및 앞쪽 또는 뒷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203U KR960028203U (ko) 1996-09-17
KR0123567Y1 true KR0123567Y1 (ko) 1998-10-15

Family

ID=1940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196U KR0123567Y1 (ko) 1995-02-13 1995-02-13 유아를 앞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및 앞쪽 또는 뒷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56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475Y1 (ko) * 2013-12-24 2014-07-04 이진섭 아기띠 힙시트
KR200482847Y1 (ko) * 2016-11-23 2017-03-08 김정화 아기띠
KR20200048400A (ko) * 2018-10-30 2020-05-08 남영우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475Y1 (ko) * 2013-12-24 2014-07-04 이진섭 아기띠 힙시트
KR200482847Y1 (ko) * 2016-11-23 2017-03-08 김정화 아기띠
KR20200048400A (ko) * 2018-10-30 2020-05-08 남영우 캡슐형 영유아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203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0737A (en) Support harness
US5246152A (en) Baby carrier with head support
CA2251435C (en) Shoulder harness with support handle
US5325818A (en) Safety harness for infants and toddlers
US4560097A (en) Safety harness for motorcycle passenger
US20110290831A1 (en) Apparatus for a Baby Carrier
CN111904214B (zh) 抱婴背带
US5692456A (en) Combined harness/vest apparatus used for restraint
US20040244097A1 (en) Adult garment, child garment, and parent and child garment
US11202520B2 (en) Baby carrier
EP0722684A1 (en) Front baby carrier and front-or-back baby carrier
US4170991A (en) Seat bib
CN204292705U (zh) 多功能婴儿载具
JP4255751B2 (ja) シートベルト案内補助具および車両用ジュニアシート
KR0123567Y1 (ko) 유아를 앞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및 앞쪽 또는 뒷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EP2440090B1 (en) Harness for a child carried on an adult's shoulders
US20110062764A1 (en) Child bodysuit restraining apparatus
CN100551305C (zh) 婴儿带
CN101658371B (zh) 婴儿带
JPH08183424A (ja) 自動車用の補助ベルト
JPH056850Y2 (ko)
AU2015257322B2 (en) A safety device for use with a safety harness
CA2204287C (en) Child safety vest
CA2141121A1 (en) Front baby carrier and front-or-back baby carrier
KR20130030578A (ko) 휠체어용 안전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