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2882A - 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음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2882A
KR20140072882A KR1020147008649A KR20147008649A KR20140072882A KR 20140072882 A KR20140072882 A KR 20140072882A KR 1020147008649 A KR1020147008649 A KR 1020147008649A KR 20147008649 A KR20147008649 A KR 20147008649A KR 20140072882 A KR20140072882 A KR 20140072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beverage composition
beverage
collagen peptid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1176B1 (ko
Inventor
마사오 사토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2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6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8Acidifying subst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고농도의 콜라겐 펩티드를 함유하고, 또한 pH4.0 이하의 pH 범위에 있어서 적당한 산미와 양호한 풍미를 갖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평균 분자량이 3000 이하인 저분자 콜라겐 펩티드 2000㎎/10㎖ 이상과, 인산을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산미료를 함유하고, pH가 4.0 이하인 음료 조성물.

Description

음료 조성물{DRINK COMPOSITION}
본 발명은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젤라틴으로서 식품 분야에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동물성 단백질이지만, 진피나 결합 조직 등의 주성분이기 때문에 최근 의료 분야나 미용 분야의 면에서도 특히 주목을 모으고 있다. 또한, 섭취한 콜라겐을 체내에서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고분자의 콜라겐을 저분자량화한 콜라겐 펩티드가 포함된 음식품도 개발되어 있다. 또한, 높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 1개당 10,000㎎의 콜라겐 펩티드를 배합한 음료가 주류가 되고 있다.
이러한 콜라겐 펩티드를 사용한 음료에는 콜라겐 펩티드 특유의 냄새를 갖는 것에 기인한 기호성의 관점에서의 과제가 존재한다. 특히, 1개당 10,000㎎의 콜라겐 펩티드를 배합한 경우에는 콜라겐 펩티드의 농도가 통상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특히 냄새가 강조된다.
이와 같이 불쾌한 냄새를 갖는 콜라겐 펩티드를 포함하는 음료에 대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다종의 영양소를 함유하는 음료에 있어서 율무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추출물이나, 산미제, 과일계 향미 등을 사용함으로써 풍미가 양호한 건강 음료를 실현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콜라겐 펩티드의 불쾌한 냄새의 억제에 추가해서 과즙을 포함하는 음료에 있어서 생기는 미네랄 등에 의한 응집이나 침전을 억제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2에는 콜라겐 펩티드에 추가해서 과즙과 인산 또는 인산염을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포도 농축 과즙 등의 과즙과, 메타인산 나트륨 등의 인산염을 배합하여 불쾌한 냄새가 억제되고, 풍미가 좋으며,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액체 경구용 조성물이 얻어진다고 기재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콜라겐 펩티드를 함유하는 음료는 청량음료수로 분류되고, 살균의 목적으로 가열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다. 살균의 조건은 크게는 음료의 pH에 따라 구별되고 있고, 산성 영역에 있어서는 효모 또는 곰팡이, 중성 pH 영역에서는 세균 아포를 각각 살균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일본에 있어서의 식품 위생법에는 보존 기준이 없고 살균을 요하는 것의 제조 기준으로서 pH4.0 미만인 것의 살균은 중심부 온도를 65℃ 10분간 가열하는 방법 또는 동등 이상의 방법, pH4.0∼4.6인 것의 살균은 85℃ 30분간 가열하는 방법 또는 동등 이상의 방법이라고 기재되어 있고, 음료에 방부성을 부여해 안전한 음료로 할 목적으로 음료 자체의 pH를 낮게 억제한다는 별도의 과제가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고농도의 콜라겐 펩티드를 함유하는 음료에 관해 특허문헌 3에는 시트르산이나 아스코르브산을 이용하여 pH4.0 이하로 조정한 음료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에서는 음료를 냉장고에서 차갑게 한 상태와 실온에서 유지한 상태의 텍스처(입안에 머금었을 때의 효과감·만족감)를 모두 양호하게 할 목적으로 음료의 점도를 최적으로 유지하고, 요구르트 등의 향미로 풍미를 갖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 5-199855호 공보 국제공개 제 2007/125888호 팸플릿 일본 특허공개 2011-103822호 공보
그런데, 콜라겐 펩티드에는 pH 완충능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고농도의 콜라겐 펩티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콜라겐 펩티드가 갖는 pH 완충능을 무시할 수 없게 된다. 특히, 방부성 유지의 목적으로 pH4.0 이하라는 저pH를 실현하는 수단으로서 많은 산을 사용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 산미료의 사용량이 과잉이 되어 산미를 강하게 느껴버려 풍미가 손상된다는 폐해가 생기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농도의 콜라겐 펩티드를 함유하고, 또한 방부성에 효과가 있는 pH4.0 이하의 pH 범위에 있어서, 적당한 산미와 양호한 풍미를 실현한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평균 분자량이 3000 이하인 저분자 콜라겐 펩티드 2000㎎/10㎖ 이상과, 인산을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산미료를 함유하고, pH가 4.0 이하인 음료 조성물.
[2] 상기 인산의 농도가 상기 조성물의 용량에 대하여 20㎎/10㎖∼200㎎/10㎖인 [1]에 기재된 음료 조성물.
[3] 상기 산미료는 인산과,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말산, 아스코르브산, 락트산, 숙신산, 및 푸마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음료 조성물.
[4] 리신, 프롤린 및 오르니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음료 조성물.
[5] 아스파르테임, 타우마틴, 스테비아, 수크랄로스, 및 아세설팜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고감미도 감미료를 포함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음료 조성물.
[6]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음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기 주입 음료.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고농도의 콜라겐 펩티드를 함유하고, 또한 pH4.0 이하의 pH 범위에 있어서 적당한 산미와 양호한 풍미를 갖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조성물은 평균 분자량이 3000 이하인 저분자 콜라겐 펩티드 2000㎎/10㎖ 이상과, 인산을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산미료를 함유하고, pH가 4.0 이하인 음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저분자 콜라겐 펩티드를 2000㎎/10㎖ 이상이라는 고농도로 포함하고, 또한 산미료로서 인산과 다른 산미료를 포함하므로 pH4.0 이하이어도 적당한 산미와 양호한 풍미를 갖는 콜라겐 펩티드 음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음료 조성물에서는 산미료의 일부를 인산으로 함으로써 평균 분자량이 3000 이하인 저분자 콜라겐 펩티드를 2000㎎/10㎖ 이상의 고농도로 함유한 음료 조성물을 pH4.0 이하로 조정했을 경우에, 콜라겐 펩티드가 pH 완충능을 갖고 있다고 하여도 과잉의 산미를 억제하고, 또한 방부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공정」이라는 단어는 독립된 공정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는 경우이어도 본공정의 소기의 작용이 달성되면 본 용어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진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소값 및 최대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양 또는 농도에 대해서 언급할 경우,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존재할 경우에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상기 복수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콜라겐 펩티드는 평균 분자량 3000 이하인 저분자량 콜라겐 펩티드이다. 평균 분자량 3000 이하로 함으로써 음식품으로서 섭취했을 때의 콜라겐 펩티드의 흡수성이 높아지고, 또한 실온과 냉장에서의 점성에 큰 차이가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상기 콜라겐 펩티드의 평균 분자량은 500∼3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3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분자량을 500 이상으로 함으로써 바람직한 텍스처를 갖는 점성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콜라겐 펩티드의 평균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표준]로 측정한 값을 의미하지만, 시판품의 경우에는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제품 정보에 따르면 된다.
GPC로 평균 분자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미리 분자량이 기지이고 상이한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수종을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해서 얻어진 리텐션 타임과 분자량의 관계의 검량선을 바탕으로 산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균 분자량이란 이 방법에 따라서 PEG 환산으로 산출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리킨다.
상기 콜라겐 펩티드는 젤라틴을 효소나 산에 의해 가수분해해서 얻어진 것이고, 글리신을 다량 포함하는 단백질이며, 시판품으로서도 입수 가능하다. 콜라겐으로서는 포유류의 콜라겐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콜라겐이어도 되고, 어류의 콜라겐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콜라겐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상품 이미지나 안전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어류 유래의 콜라겐인 것이 바람직하다. 어류 유래의 콜라겐의 원료로서는 해수어이어도 되고 담수어이어도 되고, 다랑어(황다랑어), 상어, 대구, 넙치, 가자미, 도미, 틸라피아, 연어, 메기 등의 껍질을 들 수 있다. 이들 어류 유래의 콜라겐은 어류의 비늘이나 껍질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인간이나 다른 동물의 콜라겐에 비교해서 프롤린이나 리신 등의 함유량이 적은 특징이 있다. 포유류 유래의 콜라겐의 원료로서는 돼지, 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콜라겐 펩티드의 농도는 2000㎎/10㎖ 이상이다. 2000㎎/10㎖ 이상으로 함으로써 콜라겐 펩티드를 체내에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콜라겐 펩티드 농도는 상기 음료 조성물의 용량에 대하여 2000㎎/10㎖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2000㎎/10㎖ 이상∼4000㎎/10㎖가 바람직하고, 2500㎎/10㎖∼3500㎎/10㎖가 더욱 바람직하다. 4000㎎/10㎖ 이하로 함으로써 음료로서 허용 가능한 범위 내의 점도로 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조성물은 인산을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산미료를 함유한다. 이것에 의해 산미를 억제하면서 용액의 pH를 4.0 이하로 할 수 있고, 적당한 산미 및 양호한 풍미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인산은 음식품으로서 사용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메타인산 나트륨 등의 인산염에서는 적당한 산미와 양호한 풍미를 유지하면서 상기 음료 조성물의 pH를 pH4.0 이하로 할 수 없다.
상기 음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인산의 농도로서는 상기 음료 조성물의 용량에 대하여 20㎎/10㎖∼200㎎/10㎖가 바람직하고, 25㎎/10㎖∼130㎎/10㎖가 보다 바람직하다. 20㎎/10㎖ 이상으로 함으로써 적당한 산미가 얻어지는 경향이 있고, 200㎎/10㎖ 이하로 함으로써 부자연스러운 쓴맛을 억제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인산 이외의 상기 산미료로서는 음료에 대하여 사용 가능한 산미료, 특히 청량음료수에 대한 사용이 적합한 산미료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아세트산, 글루콘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말산, 아스코르브산, 락트산, 숙신산, 푸마르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풍미를 실현할 수 있는 상기 산미료는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말산, 아스코르브산, 락트산, 숙신산, 또는 푸마르산이고, 그 중에서도 음료로서의 자극과 청량감의 밸런스의 관점으로부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말산, 또는 아스코르브산이 보다 바람직하며, pH 조정능의 관점으로부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또는 말산이 더욱 바람직하다. 인산 이외의 이들 산미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음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인산 이외의 상기 산미료의 농도로서는, 상기 음료 조성물의 용량에 대하여 10㎎/10㎖∼800㎎/10㎖가 바람직하고, 20㎎/10㎖∼350㎎/10㎖가 보다 바람직하다. 10㎎/10㎖ 이상으로 함으로써 인산과 함께 사용해서 적당한 산미를 얻을 수 있고, 800㎎/10㎖ 이하로 함으로써 과도한 산미나 자극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상기 인산을 포함하는 산미료의 총량에 대해서는 상기 콜라겐 펩티드의 농도 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콜라겐 펩티드의 농도가 2000㎎/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농도 범위의 콜라겐 펩티드가 강한 pH 완충능을 갖기 때문에 콜라겐 펩티드의 농도에 따라서 산미료의 총량을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인산을 포함하는 산미료의 총량은 상기 음료 조성물의 용량에 대하여 50㎎/10㎖∼60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80㎎/10㎖∼500㎎/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10㎖∼400㎎/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50㎎/10㎖ 이상으로 함으로써 음료 조성물의 풍미를 양호하게 하는 경향이 있고, 600㎎/10㎖ 이하로 함으로써 적당한 산미를 실현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콜라겐 펩티드의 농도를 변경할 경우에는 콜라겐 펩티드 특유의 냄새와 균형을 잡아 양호한 풍미를 부여하기 위해서 인산에 대한 인산 이외의 산미료의 비율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콜라겐 펩티드의 농도, 사용되는 산미료의 종류 등에 따라서 상이하지만, 인산의 함유율은 예를 들면 산미료 전체의 9중량%∼85중량%의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조성물은 리신, 프롤린 및 오르니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미노산의 일종인 리신, 프롤린 및 오르니틴은 콜라겐의 구성 성분 또는 콜라겐의 합성 촉진 성분으로서 알려져 있고, 체내에서의 이들 추가 아미노산을 첨가함으로써 체내에 있어서의 콜라겐의 생성 효율 및 이용 효율이 한층 더 높아지는 것이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아미노산은 L체만 사용된다.
특히, 상기 콜라겐 펩티드로서 어류 유래의 저분자량 콜라겐 펩티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보다 효과적인 콜라겐의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아미노산의 병용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리신의 병용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노산의 상기 음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농도는 상기 음료 조성물의 용량에 대하여 10㎎/10㎖∼200㎎/㎖가 바람직하고, 30㎎/10㎖∼100㎎/㎖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노산의 농도가 10㎎/10㎖ 이상이면 콜라겐 펩티드가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경향이 있고, 200㎎/10㎖ 이하이면 아미노산 특유의 풍미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조성물은 더욱 바람직한 풍미의 음료로 조정하기 위해서 고감미도 감미료 및 고감미도 감미료 이외의 감미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감미도 감미료란 설탕의 수십배∼수천배의 단맛을 갖는 합성 감미료 또는 천연 감미료의 총칭이다. 상기 고감미도 감미료의 예로서는, 풍미를 바람직하게 조정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제한은 없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스파르테임, 타우마틴, 스테비아, 수크랄로스, 또는 아세설팜칼륨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아세설팜칼륨, 또는 수크랄로스가 바람직하다. 상기 고감미도 감미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음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고감미도 감미료의 농도로서는 1㎎/10㎖∼50㎎/10㎖가 바람직하고, 3㎎/10㎖∼25㎎/10㎖가 보다 바람직하다. 1㎎/10㎖ 이상이면 적당한 감미를 실현할 수 있는 경향이 있고, 50㎎/10㎖ 이하이면 적당한 풍미를 실현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상기 고감미도 감미료 이외의 상기 감미료로서는 당류, 당알코올 및 분당을 들 수 있다. 상기 당류로서는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이성화당 등의 단당류; 설탕, 유당, 팔라티노오스 등의 이당류; 프룩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등의 올리고당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당알코올로서는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등의 단당 알코올류; 말티톨, 이소말티톨, 락티톨 등의 2당 알코올류; 말토트리이톨, 이소말토트리이톨, 파니톨 등의 3당 알코올류; 올리고당 알코올 등의 4당 이상 알코올류; 분말 환원 맥아당 물엿 등의 당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감미료로서는 포도당, 분당,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소르비톨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에리스리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 감미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음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고감미도 감미료 이외의 상기 감미료의 농도로서는 100㎎/10㎖∼5000㎎/10㎖가 바람직하고, 300㎎/10㎖∼2500㎎/10㎖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감미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음료 조성물은 상기 고감미도 감미료 및 그 이외의 감미료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이것들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음료 조성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고감미도 감미료, 및 고감미도 감미료 이외의 감미료를 병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조성물은 풍미를 조정하기 위해서 향료를 바람직하게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로서는 요구르트, 슈거, 리치, 피치, 망고, 파인애플, 라즈베리, 블루베리, 크랜베리, 서양배 중 어느 하나의 향료가 바람직하다.
상기 음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향료의 농도로서는 10㎕/10㎖∼200㎕/10㎖가 바람직하고, 30㎕/10㎖∼100㎕/10㎖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음료 조성물에는 기능성 유성 성분을 포함해도 좋다. 상기 기능성 유성성분이란 생체에 적용했을 경우에 적용된 생체에 있어서 소정의 생리학적 효과의 유도가 기대될 수 있는 유성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유성 성분의 예로서는 β-카로틴, 아스타크산틴, 루테인, 리코펜 등의 카로티노이드류; 리놀레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스쿠알렌, 스쿠알란, 이것들을 함유하는 어유 등의 불포화 지방산; 코엔자임Q1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료 조성물에는 기타 첨가 성분을 함유해도 좋다. 이러한 첨가 성분으로서는 각종 비타민, 미네랄, 착색료, 산화방지제, 안정제, 보존료, 유화제, 소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료 조성물의 점도는 실온(25℃)에 있어서는 10mPa·s∼35mPa·s의 범위에, 또한 4℃에 있어서는 20mPa·s∼50mPa·s의 범위에 있는 것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이면 실온인 채로 음용한 경우라도 냉장해서 음용한 경우라도 양호한 텍스처를 실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실온에 있어서 10mPa·s 또는 4℃에 있어서 20mPa·s 이상으로 함으로써 지나치게 매끈거리지 않고, 먹었을 때의 텍스처로서의 충분한 만족감이 얻어지는 점도가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실온에 있어서 35mPa·s 또는 4℃에 있어서 50mPa·s 이하로 함으로써 마시기 쉬운 점도가 되는 경향이 있다. 즉,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양호한 텍스처를 실현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음료 조성물의 점도는 회전식 점도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조성물의 pH는 4.0 이하이다. pH4.0을 초과하면 방부성의 효과가 감소한다. 또한, pH4.0을 초과하는 음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식품 위생법에 의해 제조 공정에 있어서 보다 강한 가열 처리가 필요해져 풍미가 손상되는 경향이나, 성분이 열화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음료 조성물의 pH는 3.0∼4.0인 것이 바람직하고, pH3.4∼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H를 3.0 이상으로 함으로써 pH 조정시에 사용하는 산미료 양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상기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평균 분자량이 3000 이하인 저분자 콜라겐 펩티드 2000㎎/10㎖ 이상과, 인산을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산미료를 혼합하는 것(혼합 공정), 및 pH를 4.0 이하로 조정하는 것(pH 조정 공정)을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음료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혼합 공정에서는 상기 음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각 성분은 바람직한 수성 매체에 대하여 혼합하면 좋다. 사용되는 수성 매체로서는 통상 물이 사용된다. 각 성분의 혼합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각 성분이 충분하게 용해되는 온도, 예를 들면 20℃∼80℃의 온도 범위 내에서 행하여진다. 상기 혼합은 교반하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성분의 첨가 순서에 대해서는 각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되는 범위 내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음료 조성물은 인산과 상기 산미료를 포함함으로써 소정의 pH 범위 내로 조정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pH 조정 공정은 상기 혼합 공정과 동시에 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 pH 조정 공정은 필요에 따라서 혼합 공정의 뒤에 별개로 독립적으로 행하여져도 좋다.
상기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이외의 다른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공정으로서는 점도 조정 공정, 여과 공정 등을 들 수 있다. 점도 조정 공정 및 여과 공정 등은 당업계에서 공지의 방법을 적용하면 좋다.
또한, 상기 음료 조성물은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기 주입 음료로 해도 된다. 상기 용기 주입 음료는 상기 음료 조성물을 용기에 주입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용기 주입 음료에 사용되는 용기로서는 통상 음료용 용기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PET병, 종이팩, 유리용기, 알루미늄캔, 스틸캔, 파우치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것들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부」는 질량 기준이다.
(음료 조성물의 조제)
[실시예 1]
평균 분자량 2700의 콜라겐 펩티드 10000㎎에 L-리신 200㎎, 에리스리톨 1000㎎, 수크랄로스 7.2㎎, 아세설팜칼륨 8.4㎎을 첨가하고, 또한 L-아스코르브산을 400㎎, 시트르산 250㎎, L-타르타르산 350㎎, 인산 130㎎을 첨가했다. 여기에 물을 15㎖ 첨가해 50℃에서 가온 용해하고, 용해 후에 향료를 첨가한 후 추가로 물을 첨가하여 전체의 용량을 30㎖로 조정해 음료 조성물을 조제했다.
얻어진 음료 조성물의 pH를 측정한 결과 3.88이었다.
[실시예 2∼47]
각 소재 및 배합량을 표 1, 표 2, 표 5 및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음료 조성물을 조제했다.
[비교예 1∼44]
각 소재 및 배합량을 표 3, 표 4, 표 6 및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음료 조성물을 조제했다.
(pH 측정)
실시예 1∼47 및 비교예 1∼44의 음료 조성물에 대해서 25℃에 있어서 pH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1∼표 8에 나타낸다.
(풍미 평가)
실시예 1∼47 및 비교예 1∼44의 음료 조성물에 대해서 pH가 4.0 이하이었던 것에 대해서 풍미의 평가를 행했다.
풍미 평가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음료를 시음하고, 산미의 청량감 및 자극의 관점에서 풍미를 관능 평가했다. 매우 양호하면 ◎◎, 청량감이 약간 부족하지만 양호하면 ◎, 양호하면 ○, 허용되는 레벨이면 △, 제품으로서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표 8에 나타냈다. 또한, 표 1∼표 8 중「○*1」은 약간 혀에 자극되는 느낌이 있지만 풍미로서는 양호한 것을 의미하고,「○*2」는 청량감, 자극이 약간 부족하지만 풍미로서는 양호한 것을 의미한다. 「△*1」은 매운 맛을 수반하는 산미를 느끼지만 허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1」은 청량감, 자극이 적고, 지나치게 산뜻한 것을 의미하고, 「×*2」는 청량감, 자극이 적고, 약간 쓴맛을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는 pH가 4.0을 초과하기 때문에 평가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표 1∼표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콜라겐 펩티드 3333㎎/10㎖를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에 있어서 인산과 다른 산미료를 포함하고, pH4.0 이하로 한 실시예 1∼23의 음료 조성물은 모두 적당한 산미와 양호한 풍미를 구비한 음료 조성물이었다. 또한, 인산 이외의 산미료로서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및 말산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실시예 1∼7, 11∼23의 음료 조성물의 풍미가 보다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대하여 표 3∼표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비교예 1∼7, 13∼17은 pH가 4.0을 초과하기 때문에 방부성의 관점에서 부적합했다. 특히, 메타인산 나트륨 등의 인산염을 사용한 비교예 13∼17에서는 인산과 같은 양으로 사용하고 또한 pH4.0 이하가 되는 경우의 다른 산미료를 동량 병용해도 pH를 4.0 이하로 할 수 없었다. 또한, pH를 조절하는 산으로서 인산만을 사용한 비교예 11 및 비교예 12에서는 청량감이 결여된 풍미이고, 인산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8∼10, 18∼21은 산미의 자극이 강해져 바람직한 풍미가 얻어지지 않았다.
마찬가지의 경향은 콜라겐 펩티드 2500㎎/10㎖를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표 5 및 표 6, 실시예 24∼35, 비교예 22∼33), 및 콜라겐 펩티드 2000㎎/10㎖를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표 7 및 표 8, 실시예 36∼47, 비교예 34∼44)에 있어서도 같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농도의 콜라겐 펩티드를 함유하고, 또한 pH4.0 이하의 pH 범위에 있어서 적당한 산미와 양호한 풍미를 갖는 음료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평균 분자량이 3000 이하인 저분자 콜라겐 펩티드 2000㎎/10㎖ 이상과,
    인산을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산미료를 함유하고,
    pH가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의 농도는 상기 조성물의 용량에 대하여 20㎎/10㎖∼20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미료는 인산과,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말산, 아스코르브산, 락트산, 숙신산, 및 푸마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신, 프롤린 및 오르니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스파르테임, 타우마틴, 스테비아, 수크랄로스, 및 아세설팜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고감미도 감미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음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주입 음료.
KR1020147008649A 2011-10-07 2012-10-02 음료 조성물 KR101771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3319A JP5283743B2 (ja) 2011-10-07 2011-10-07 飲料組成物
JPJP-P-2011-223319 2011-10-07
PCT/JP2012/075505 WO2013051556A1 (ja) 2011-10-07 2012-10-02 飲料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882A true KR20140072882A (ko) 2014-06-13
KR101771176B1 KR101771176B1 (ko) 2017-08-23

Family

ID=4804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649A KR101771176B1 (ko) 2011-10-07 2012-10-02 음료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220216A1 (ko)
EP (1) EP2764781B9 (ko)
JP (1) JP5283743B2 (ko)
KR (1) KR101771176B1 (ko)
CN (1) CN103841840B (ko)
WO (1) WO20130515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7431B2 (ja) * 2014-06-26 2018-08-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飲料組成物
CN104161287A (zh) * 2014-08-29 2014-11-26 广西博士海意信息科技有限公司 胶原蛋白柑橘饮料及其制作方法
JP6647832B2 (ja) 2015-03-13 2020-02-14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ノンアルコールのビールテイスト飲料
JP6132947B1 (ja) * 2016-03-24 2017-05-24 アサヒ飲料株式会社 飲料及びルテインの飲料中安定性を調節する方法
JP7238774B2 (ja) * 2017-07-03 2023-03-14 味の素株式会社 飲料
JP7217704B2 (ja) * 2017-08-10 2023-02-03 ソシエテ・デ・プロデュイ・ネスレ・エス・アー 飲料
CN107581622A (zh) * 2017-11-10 2018-01-16 江苏江大五棵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备美容养颜功效的多肽营养液
JP7154237B2 (ja) * 2018-02-09 2022-10-17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コラーゲンペプチドを含む液状経口用組成物及び液状経口用組成物の酸味を緩和する方法
MX2020012974A (es) * 2018-06-01 2021-02-02 Stokely Van Camp Inc Composicion de bebida sin azucar.
AU2019390081A1 (en) * 2018-11-30 2021-05-27 Suntory Holdings Limited Liquid composition for oral ingestion containing collagen peptide and method for suppressing foaming of liquid composition for oral ingestion
CN111938159B (zh) * 2020-09-01 2022-10-14 何荣光 一种胶原蛋白肽组合物及其口服液和制备方法
CN115299543B (zh) * 2022-08-12 2023-07-21 上海圣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促进人体多巴胺合成代谢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9855A (ja) 1992-01-24 1993-08-10 Kanebo Ltd 健康飲料
JP4377522B2 (ja) * 2000-05-09 2009-12-02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安定な酸性乳飲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酸性乳飲料用添加剤
US20030069202A1 (en) * 2000-06-02 2003-04-10 Kern Kenneth Norman Compositions, kits, and methods for promoting defined health benefits
US20070003670A1 (en) * 2005-06-29 2007-01-04 Rod Jendrysik Sports drink acid blend to reduce or eliminate aftertaste
JPWO2007023999A1 (ja) * 2005-08-24 2009-03-05 味の素株式会社 アミノ酸含有酸性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5136796B2 (ja) * 2006-04-28 2013-02-06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経口用組成物
WO2008059927A1 (fr) * 2006-11-15 2008-05-22 Meiji Seika Kaisha, Ltd. Composition de peptide de collagène et aliment ou boisson la contenant
JP2008194010A (ja) * 2007-02-15 2008-08-28 Nihon Koken Kk コラーゲンペプチド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WO2009126932A2 (en) * 2008-04-10 2009-10-15 Provide Nutrition Fortified liquid protei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4428456B2 (ja) * 2008-04-30 2010-03-10 ユーハ味覚糖株式会社 コラーゲンペプチド含有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98969A (ja) * 2008-10-22 2010-05-06 Yoshigen:Kk 飲食品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飲料
WO2011040491A1 (ja) * 2009-09-30 2011-04-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コラーゲンペプチド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JP5303438B2 (ja) 2009-11-18 2013-10-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コラーゲンペプチド含有飲料
MX2012006923A (es) * 2009-12-18 2012-07-10 Stokely Van Camp Inc Bebida de recuperacion con proteina.
EP2760296A2 (en) * 2011-09-30 2014-08-06 The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Nutrition bever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176B1 (ko) 2017-08-23
EP2764781B1 (en) 2017-12-20
EP2764781A1 (en) 2014-08-13
JP2013081418A (ja) 2013-05-09
CN103841840B (zh) 2016-03-16
US20140220216A1 (en) 2014-08-07
EP2764781A4 (en) 2015-06-17
JP5283743B2 (ja) 2013-09-04
WO2013051556A1 (ja) 2013-04-11
EP2764781B9 (en) 2018-06-27
CN103841840A (zh) 201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176B1 (ko) 음료 조성물
TWI324047B (ko)
TWI323159B (ko)
TWI360395B (en) Acid prothin food with mineral
CN101522051B (zh) 清凉糖食和饮料
JP5283676B2 (ja) コラーゲンペプチド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CN101415398B (zh) 口腔递送系统中的磷酸钙复合物和盐
CN101394756A (zh) 具有改善的味觉印象的食品和饮品
JP2006315985A (ja) ビタミンの劣化抑制方法
JP2015091768A (ja) 肝臓加水分解物含有液状組成物
US20120189560A1 (en) Sugar-free Beverage Composition
KR20170083508A (ko) 유리 아미노산 또는 이의 염을 함유하는 젤리
JP7197519B2 (ja) コラーゲンペプチドを含む液状経口用組成物及びコラーゲンペプチドを含む液状経口用組成物の風味改善方法
JP5248109B2 (ja) 飲料用組成物の異臭防止方法
JP5355809B1 (ja) 飲料
JP6377431B2 (ja) 飲料組成物
JP2010046047A (ja) スクラロース含有野菜飲料
JP7154237B2 (ja) コラーゲンペプチドを含む液状経口用組成物及び液状経口用組成物の酸味を緩和する方法
JP2021090412A (ja) 不快味マスキング剤、酸性タンパク質飲料、不快味マスキング方法、及び酸性タンパク質飲料の製造方法
JP6753255B2 (ja) 液体栄養組成物
JP7336970B2 (ja) パフィア含有酸性飲食物
JP2019041696A (ja) 経口用組成物
WO2003070021A1 (fr) Sirop d'erable enrichi nutritionnellement
JP2006217807A (ja) 飲食品
WO2016104665A1 (ja) ロリクリンの減少抑制・改善剤、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3活性化剤および皮膚角層角化肥厚膜の形成促進・構造強化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