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331A - 통신모듈 - Google Patents

통신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331A
KR20140070331A KR1020130073489A KR20130073489A KR20140070331A KR 20140070331 A KR20140070331 A KR 20140070331A KR 1020130073489 A KR1020130073489 A KR 1020130073489A KR 20130073489 A KR20130073489 A KR 20130073489A KR 20140070331 A KR20140070331 A KR 20140070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ommunication module
housing member
transverse plat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8600B1 (ko
Inventor
홍-빈 요유
고우-찐 이우
치아-카이 웽
Original Assignee
델타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타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타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70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74Electrical aspects
    • G02B6/4284Electrical aspects of optical modules with disconnectable electrical conn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6Details of housings mounting, engaging or coupling of the package to a board, a frame or a panel
    • G02B6/4261Packages with mounting structures to be pluggable or detachable, e.g. having latches or r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통신모듈은 하우징 부재, 전자 모듈 및 미끄럼가능한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부재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외부표면에 배열된 적어도 한 개의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은 제 1 경사부를 가진다. 상기 전자모듈은 상기 하우징 부재내부에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미끄럼가능한 기구는 제 2 경사부를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연장 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 아암은 상기 해당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내에 수용된다. 상기 제 2 경사부는 상기 제 1 경사부와 정렬되며, 상기 제 2 경사부의 경사는 상기 제 1 경사부의 경사보다 크다.

Description

통신모듈{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통신 모듈 특히, 교체가능한(swappable) 통신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컴퓨터 시스템 및 관련 주변장치들의 개발이 증가함에 따라, 디지털 신호전송 및 영상 분석과 같은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속도는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상기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장거리 또는 단거리 신호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광섬유(fiber optic) 통신기술이 개발된다. 즉, 정보를 더욱 빠른 속도로 전송하기 위해 고속의 광학적 신호의 이용이 전기 신호를 대체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을 따르는 광섬유 통신모듈과 해당 수용장치사이의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도이다. 광섬유통신 모듈(11)은 전자장치들사이의 신호 전송을 위해 이용된다. 시스템의 설계 유연성과 용이한 정비를 증가시키기 위해, 광섬유통신 모듈(11)은 전자장치(12)의 해당 수용장치(121)속으로 삽입되도록 교체가능(swappable)하다. 상기 광섬유통신 모듈(11)은 S 자형상의 탄성 슬라이스(slice)(111)를 가진다. 상기 전자장치(12)의 수용장치(121)는 내부로 구부러진(inwardly- bent) 탄성 슬라이스(1211)를 가진다. 광섬유통신 모듈(11)이 해당 수용장치(121)의 래치구속된(latched) 위치로 삽입될 때, 상기 광섬유통신 모듈(11)은 상기 탄성 슬라이스(1211)에 의해 래치구속된다. 다른 한편, 탄성 슬라이스(111)가 탄성 슬라이스(1211)의 래치구속해제된(de-latched) 위치와 접촉할 때, 광섬유통신 모듈(11)은 상기 수용장치(121)로부터 분리된다.
도 1B는, 종래기술의 광섬유통신 모듈을 수용장치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한다. 광섬유통신 모듈(11)은 두 개의 외부평면(112)들을 가진다. 두 개의 외부평면(112)들은 각각 상기 광섬유통신 모듈(11)의 하우징 양쪽 측부들에 위치하고 광섬유통신 모듈(11)의 교체가능한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탄성 슬라이스(111)는 해당 외부평면(112)에 배열된다. 전자장치(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광섬유통신 모듈(11)의 탄성 슬라이스(111)에 작용하는 끌어당기는 하중(pulling force)에 응답하여, 상기 탄성 슬라이스(111)의 단부에 위치한 구부러진 팁(tip)(1111)은 상기 탄성 슬라이스(121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슬라이스(1211)의 하부가 상기 탄성 슬라이스(111)의 구부러진 팁(1111)과 접촉할 때까지, 광섬유통신 모듈(11)은 상기 수용장치(1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B를 다시 참고한다. 탄성 슬라이스(111)의 구부러진 팁(1111)이 상기 탄성 슬라이스(1211)를 통과한 후에 상기 탄성 슬라이스(111)의 구부러진 팁(1111) 때문에, 상기 탄성 슬라이스(1211)는 아래로 하강한다. 상기 탄성 슬라이스(1211)의 치수 허용오차가 너무 크면, 상기 광섬유통신 모듈(11)이 상기 수용장치(121)속으로 삽입되는 과정동안, 상기 탄성 슬라이스(1211)는 상기 수용장치(121)의 외부표면상에 쉽게 끼이게(jam)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광섬유통신 모듈(11)을 래치구속하거나 래치구속 해제하는 기능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기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개선된 통신모듈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경사부분 및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을 가진 통신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경사부분의 제 2 경사부가 가지는 경사는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의 제 1 경사부가 가지는 경사보다 크기 때문에, 래치구속 해제 부분은 제 1 경사부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신모듈과 수용장치는 래치구속이 해제된 상태에 있고, 따라서 통신모듈은 상기 수용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통신모듈의 특수 설계에 의하면, 누적 허용오차에 관한 요건이 엄격하지 않다.
본 발명은 또한, 축 방향을 따라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요소를 통신모듈에 제공한다. 인장력이 제거된 후에, 미끄럼가능한 기구가 탄성복원력에 응답하여 원래의 위치로 귀환한다. 종래기술을 따르는 통신모듈과 비교하여, 탄성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 복원력은 상대적으로 강하다. 또한, 탄성요소의 구조가 더욱 안정하기 때문에, 탄성요소가 파손될 가능성은 감소되고 전체 통신모듈의 사용수명은 향상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통신모듈이 제공된다. 통신모듈은 하우징 부재, 전자 모듈 및 미끄럼가능한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부재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외부표면에 배열된 적어도 한 개의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은 제 1 경사부를 가진다. 상기 전자모듈은 상기 하우징 부재내부에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미끄럼가능한 기구는 제 2 경사부를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연장 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 아암은 상기 해당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내에 수용된다. 상기 제 2 경사부는 상기 제 1 경사부와 정렬되며, 상기 제 2 경사부의 경사는 상기 제 1 경사부의 경사보다 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통신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통신모듈은, 하우징 부재, 전자 모듈 및 미끄럼가능한 기구를 포함한다. 하우징 부재는 요홈을 가진다. 상기 전자모듈은 상기 하우징 부재내부에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미끄럼가능한 기구는 적어도 한 개의 연장 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 아암은 가압부분을 가진다. 상기 가압부분은 상기 요홈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가압부분에 축방향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요소는 상기 요홈내부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관한 상기 내용은 첨부된 도면들과 하기 상세한 설명을 검토한 후에 당업자들에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의 광섬유 통신모듈 및 해당 수용장치사이의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도.
도 1B는, 상기 수용장치로부터 종래기술의 광섬유 통신모듈을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통신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통신모듈의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미끄럼가능한 기구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도.
도 3B는, 도 2A에 도시된 미끄럼가능한 기구의 또 다른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도.
도 3C는, 미끄럼가능한 기구의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는, 제 1 쉘, 미끄럼가능한 기구 및 탄성요소사이의 상대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도.
도 4B는, 도 2A에 도시된 통신모듈의 탄성요소, 미끄럼가능한 기구 및 하우징 부재사이의 상대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B에 도시된 통신모듈의 탄성 요소, 미끄럼가능한 기구 및 하우징 부재사이의 상대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투시도.
도 6은, 도 2A에 도시된 하우징 부재의 제 1쉘과 제 2 쉘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통신모듈의 탄성요소, 미끄럼가능한 기구 및 하우징 부재사이의 상대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제 1 쉘이 도시되지 않은 도 2B의 통신모듈의 일부분을 도시된 통신모듈의 조립된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A는, 통신모듈이 래치구속된 위치에 배열되고 본 발명의 통신모듈과 해당 수용장치사이의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통신모듈이 수용장치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들에 관한 하기 설명은 설명과 이해를 위해서만 제공된다. 하기 설명은 공개된 세밀한 형태로 제한되거나 완벽한 것은 아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통신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통신모듈의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통신모듈(2)은, 하우징 부재(3), 전자 모듈(4) 및 미끄럼가능한 기구(5)를 포함한다. 적어도 한 개의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311)이 상기 하우징 부재(3)의 외부표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311)은 제 1 경사부(312)를 가진다. 상기 전자모듈(4)은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부재(3)내부에 배열된다. 상기 미끄럼가능한 기구(5)는 적어도 한 개의 연장 아암(51)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모듈(2)은 두 개의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311) 및 두 개의 연장 아암(51)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311)과 연장 아암(51)의 갯수는 실제 요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연장 아암(51)은 제 2 경사부(511)를 가진다. 상기 연장 아암(51)는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311)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 2 경사부(511)는 상기 제 1 경사부(312)와 정렬된다. 더욱 특별하게, 상기 제 2 경사부(511)의 경사는 제 1 경사부(312)의 경사보다 크다.
(도 8A를 참고할 때) 상기 통신모듈(2)이 상기 전자장치의 수용장치(8)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상기 연장 아암(51)은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311)의 제 1 경사부(312)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통신모듈(2)과 수용장치(8)는 래치구속 해제(de-latched)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통신모듈(2)은 상기 수용장치(8)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통신모듈(2)의 상기 구조에 의해, 수용장치(8)의 허용오차는 증가되고 상기 통신모듈(2)의 래치구속 또는 래치구속해제 기능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부재(3)는 제 1 쉘(shell)(31)과 제 2 쉘(32)을 포함한다. 두 개의 횡방향 플레이트(317)들이 상기 제 1 쉘(31)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311)은 해당 횡방향 플레이트(317)의 외부표면 중 일부분에 배열된다. 상기 제 1 경사부(312)이외에,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311)은 노치(notch)(313)를 추가로 포함한다. 두 개의 리브(rib)(314)들이 각각 상기 노치(313)의 양쪽 측부들에 배열된다.
상기 하우징 부재(3)가 상기 미끄럼 가능한 부재(5)의 연장 아암(51)과 전자모듈(4)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한, 하우징 부재(3)의 부품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2A 및 도 2B를 다시 참고한다. 상기 전자모듈(4)은 광신호를 수용하고 전송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전자모듈(4)은 (나사와 같은) 고정요소(71)들에 의해 제 2 쉘(32)상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전자모듈(4)은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부재(3)내부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모듈(4)은, 전자부품 조립체(41) 및 통신 케이블(42)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 부품 조립체(41)는 상기 통신 케이블(42)과 연결된다.
도 2A에 도시된 미끄럼가능한 기구의 일부분을 개략적인 투시도로 도시한 도 3A를 참고한다.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연장 아암(51)은 경사 부분(512) 및 래치구속 해제부분(513)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경사부(511)는 상기 경사 부분(512)의 내부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래치구속 해제부분(513)은 상기 연장 아암(51)의 원위 터미널(distal terminal)에 위치하고 상기 경사부분(512)과 연결된다. 또한, 오목한 공간(516)이 상기 래치구속 해제부분(513)과 상기 경사부분(512)사이에 형성된다(도 8A를 참고). 미끄럼가능한 기구(5)와 제 1 쉘(31)이 서로 결합된 후에, 상기 경사부분(512)과 연장 아암(51)의 래치구속 해제부분(513)은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311)내에 수용된다. 결과적으로, 제 2 경사부(511)는 상기 제 1 경사부(312)와 정렬되고, 상기 래치구속 해제부분(513)은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311)의 노치(313)속으로 삽입된다(도 2B를 참고).
도 3B는, 도 2A에 도시된 미끄럼가능한 기구의 또 다른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3C는, 상기 미끄럼가능한 기구의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3B 및 3C를 참고한다. 연장 아암(51)이외에, 상기 미끄럼가능한 기구(5)는, 개구부(512)를 가진 연결부분(52)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 아암(51)의 갯수는 두 개이상이기때문에,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연장 아암(51)은 상기 연결부분(52)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미끄럼가능한 기구(5)는 두 개의 연장 아암(51)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 아암(51)은 상기 연결부분(52)에 형성된 두 개의 마주보는 측부들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상기 연장 아암(51)은 상기 연결부분(52)과 일체구성된다.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미끄럼가능한 기구(5)는 작동 부재(53)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분(52)은 상기 작동 부재(53)에 의해 덮이고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작동 부재(53)의 위치는 상기 연결부분(52)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부재(53)는 인장 링(pulling ring)(531) 및 커버 링(covering ring)(532)을 포함한 래칭 바(latching bar)이다. 상기 인장 링(531)의 인장(pulling)하중에 응답하여, 전체 미끄럼가능한 기구(5)는 외부로 끌어 당겨질 수 있다. 도 3C를 참고한다. 상기 작동 부재(53)와 연결 부분(52)은 오버몰드 인젝션(overmold injection)과정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오버몰드 인젝션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커버링 부분(532)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일부분이 상기 연결부분(52)의 개구부(521)속으로 충진된다. 그 결과, 상기 작동 부재(53)가 180도 만큼 회전할지라도 상기 작동 부재(53)와 연결부분(52)은 서로에 대해 안전하게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부분(52)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돌출부들을 가진다. 상기 작동 부재(53)와 연결부분(52)는 오버몰드 인젝션 과정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오버몰드 인젝션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연결부분(52)의 돌출부들은 상기 작동 부재(53)의 커버링 부분(532)내에 박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작동 부재(53)와 연결부분(52)은 서로에 대해 안전하게 고정된다.
도 2A를 다시 참고한다. 통신모듈(2)은 축방향을 따라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요소(6)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인장링(531)에서 인장력이 제거된 후에, 미끄럼가능한 기구(5)는 외력(externally applied force)을 가지지 않고 탄성 복원력에 응답하여 원래위치로 귀환된다.
도 4A는, 제 1 쉘, 미끄럼가능한 기구 및 탄성 요소사이의 상대위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2A, 3A 및 4A를 참고한다. 연장 아암(51)은 가압부분(514)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분(514)은 상기 연장 아암(51)의 내부표면에 배열되고 연결부분(52)과 근접하게 위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압부분(514)은 돌출 블록(protrusion block)이다.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쉘(31)내부에 요홈(315)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쉘(31)과 미끄럼가능한 기구(5)가 서로 결합된 후에, 가압부분(514)이 상기 요홈(315)내부로 삽입된다. 탄성요소(6)가 상기 요홈(315)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탄성요소(6)의 제 1 단부가 상기 제 1 쉘(311)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부분(514)과 연결된다. 상기 탄성요소(6)의 제 2 단부가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홈(315)의 내벽과 연결된다. 상기 탄성요소(6)가 상기 가압부분(514)에 대해 축방향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 축방향 하중에 응답하여, 가압부분(514)이 주로 상기 요홈(315)내에서 이동하며 전환(shift), 진동 또는 다른 동력을 소모하는 작용의 발생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B는, 도 2A에 도시된 통신모듈의 탄성요소, 미끄럼가능한 기구 및 하우징 부재사이의 상대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쉘(32)은 상기 제 1 쉘(31)의 요홈(315)과 일치하는 정지부분(321)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 1쉘(31), 미끄럼가능한 기구(5), 탄성요소(6) 및 제 2 쉘(32)이 서로 조립된 후에, 상기 정지부분(321)은 상기 요홈(315)속으로 삽입되고 탄성요소(6)와 근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정지부분(321)은 상기 탄성요소(6)에 대해 X 방향 트랙(track)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통신모듈(2)이 상기 수용장치(8)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X 방향 트랙으로부터 상기 탄성요소(6)가 벗어날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상기 구조는 실제 요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탄성요소(6)가 상기 요홈(315)내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요소(6)의 두 단부들이 각각 상기 가압부분(514) 및 상기 요홈(315)의 내벽과 연결되는 한, 상기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통신모듈의 탄성요소, 미끄럼가능한 기구 및 하우징 부재사이의 상대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투시도이다. 도 3A, 4A 및 도 5를 참고한다. 상기 연장 아암(51)은, 미끄럼 부분(515)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311)은 안내요홈(316)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미끄럼 부분(515)이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311)의 안내요홈(316)내에 배열되어, 통신모듈(2)이 분리되는 과정동안 미끄럼가능한 기구(5)의 운동범위는 제한된다. 즉, 상기 통신모듈(2)이 상기 수용장치(8)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상기 연장 아암(51)의 상부표면에서 미끄럼 부분(515)의 운동범위는 안내요홈(316)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래치구속이 해제되는 과정동안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311)으로부터 연장 아암(51)이 분리될 가능성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통신모듈(2)은 상기 수용장치(8)로부터 매끄럽게 분리될 수 있다.
도 6은, 도 2A에 도시된 하우징 부재의 제 1 쉘과 제 2 쉘을 조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6을 참고한다. 상기 제 1 쉘(31)은 연결포스트(post)(318)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연결 포스트(318)는 상기 제 1 횡방향 플레이트(317)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쉘(32)을 향해 연장된다. 제 1 결합(mating) 구조(319)가 상기 연결포스트(318)와 제 1 횡방향 플레이트(317)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두 개의 제 2 횡방향 플레이트(322)는 각각 상기 제 2 쉘(32)의 양쪽 측부들에 배열되고 상기 제 1 쉘(31)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제 2 횡방향 플레이트(322)는 상기 제 1 결합구조(319)와 일치하는 제 2 결합구조(3221)를 가진다.
제 1 쉘(31)은, 제 2 횡방향 플레이트(322)와 일치하는 요홈 구조체(3171)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요홈 구조체(3171)는 상기 제 1 횡방향 플레이트(317)내에 형성된다. 제 2 횡방향 플레이트(322)는 상기 요홈 구조체(3171)와 연결된다.
상기 제 1 쉘(31)과 제 2 쉘(32)을 연결하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우선, 연결포스트(318)는, 해당 제 2 횡방향 플레이트(332)에 대해 경사를 이룬다. 다음에, 제 1 쉘(31)은 제 2 쉘(32)에 대해 회전운동하여, 제 1 결합구조체(319)와 제 2 결합구조체(3221)는 서로 접촉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요홈구조체(3171)와 제 2 횡방향 플레이트(322)는 서로 연결된다. 반면에, 하우징 부재(3)가 조립된다. 또한, 제 1 쉘(31)과 제 2 쉘(32)이 고정요소(72)를 통해 서로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도 2A 및 도 2B를 참고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 1 쉘(31) 및 제 2 쉘(32)의 전방측부들은 고정요소(72)들을 통해 서로 안전하게 고정되고, 제 1 쉘(31)과 제 2 쉘(32)의 후방측부들은 제 1 결합구조체(319)와 제 2 결합구조체(3221)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 그 결과, 제 1 쉘(31) 및 제 2 쉘(32)은, 상기 제 1 쉘(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안전하게 고정된다.
또한, 제 1 횡방향 플레이트(317)와 제 2 횡방향 플레이트(322)의 요홈구조체(3171)가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쉘(31) 및 제 2 쉘(32)이 조립된 후에 제 1 쉘(31) 및 제 2 쉘(32)사이의 간격은 감소되고, EMI 경로는 더욱 복잡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EMI 누출의 가능성은 최소화된다.
도 7은, 제 1 쉘이 도시되지 않은 도 2B에 도시된 통신모듈의 일부분이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2B 및 7을 참고한다. 제 2 쉘(32)은 수용공간(323)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전자모듈(4)의 스톱퍼(stopper)(411)가 수용공간(323)내에 배열된다. 그 결과, 통신 케이블(42)의 일부분이 하우징 부재(3)내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부의 인장력이 상기 통신 케이블(42)에 작용할 지라도, 상기 통신 케이블(42)은 움직이지 않는다.
도 8A는, 본 발명의 통신모듈과 해당 수용장치사이의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상기 통신모듈은 래치구속된 위치에 있다. 도 2A 및 도 8A를 참고한다. 통신모듈(2)은 전자장치의 해당 수용 장치(8)속으로 삽입되기 위해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수용 장치(8)는 래칭 구조체(81)를 가진다. 통신모듈(2)이 상기 수용 장치(8)의 래치구속된 위치로 삽입된 후에, 상기 래칭 구조체(81)는 상기 래치구속 해제 부분(513) 및 경사 부분(512)사이에서 오목한 공간(516)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래치구속 해제 부분(513)이 상기 노치(313)내에 수용되며, 상기 래칭 구조체(81)가 상기 노치(313)의 양쪽 측부들에서 리브(314)와 접촉한다( 도 2B 및 도 4A를 참고한다). 그 결과, 통신모듈(2)은 상기 수용 장치(8)내에서 안전하게 래치구속된다.
도 8B는, 상기 수용 장치로부터 본 발명의 통신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2B 및 8B를 참고한다. 상기 미끄럼가능한 기구(5)의 인장링(531)상에서 (X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응답하여, 전체 미끄럼가능한 기구(5)는 전자장치로부터 떨어져 운동한다. 상기 경사부분(512)의 제 2 경사부(511)가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311)의 제 1 경사부(311)보다 큰 경사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래치구속 해제 부분(513)은 제 1 경사부(3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래칭 구조체(81)는 점차로 상기 오목한 공간(516)으로부터 분리된다. 즉, 래칭 구조체(81)는 상기 래치구속 해제 부분(513)의 경사 표면(5130)을 따라 상기 오목한 공간(516)의 하부로부터 상기 래치구속 해제 부분(513)의 상부까지 이동한다. 또한, 상기 래칭 구조체(81)의 높이는 리브(314)의 높이보다 더 높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신모듈(2)과 래칭 구조체(81)는 래치구속이 해제된 상태이고 따라서, 상기 통신모듈(2)은 상기 수용장치(8)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경사 부분(512)의 제 2 경사부(511)가 가지는 경사는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311)의 제 1 경사부(311)가 가지는 경사보다 크다. 상기 특징에 의하여, 상기 래치구속 해제 부분(513)은 제 1 경사부(312)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래칭 구조체(81)는 점차로 오목한 공간(516)으로부터 점차로 분리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통신모듈의 특수 설계에 의하면, 누적 허용오차(comulative tolerance)에 관한 요건은 엄격하지 않다. 그 결과, 통신모듈은 QSFP + MSA 사양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8B를 다시 참고한다. 래치구속 해제 부분(513)의 상부는 균일한 높이를 가진 평평한 평면(5131)이다. 상기 래칭 구조체(81)가 상기 래치구속 해제 부분(513)의 상부로 이동한 후에, 상기 래칭 구조체(81)는 일정한 시간동안 상기 평평한 평면(5131)위로 이동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래치구속 해제 과정은 치수 허용오차에 의해 영향을 받지않고, 통신모듈(2)은 상기 수용장치(8)로부터 매끄럽게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탄성 슬라이스가 상기 수용장치의 외부표면에 끼이는(jamming) 종래기술의 통신모듈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극복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은 통신모듈을 제공한다. 통신모듈은 전자장치의 해당 수용장치속으로 삽입되도록 교체(swappable)될 수 있다. 경사부분의 제 2 경사부가 가지는 경사가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의 제 1 경사부가 가지는 경사보다 크기때문에, 래치구속 해제부분은 상기 제 1 경사부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래칭구조체는 점차로 상기 오목한 공간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신모듈과 수용장치는 래치구속해제 상태에 있고, 따라서 통신모듈은 상기 수용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모듈이 가지는 특수 설계에 의해, 누적 허용오차에 관한 요건은 엄격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모듈은, 축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탄성 요소의 제 1 단부가 제 1 쉘의 축 방향을 따라 가압부분과 결합된다. 탄성 요소의 제 2 단부가 축 방향을 따라 요홈의 내부벽과 연결된다. 인장 링위에서 인장 하중이 제거된 후에, 미끄럼가능한 기구는, 추가로 외력을 제공할 필요없이 상기 탄성 복원력에 응답하여 최초의 위치로 귀환할 수 있다. 종래기술의 통신모듈과 비교하여, 상기 탄성 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 복원력은 상대적으로 크다. 또한, 탄성 요소의 구조가 더욱 안정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 요소가 손상될 가능성은 감소되고, 전체 통신모듈의 사용수명은 향상된다.
본 발명은, 현재 가장 실제적이고 선호되는 실시예라고 고려되는 것에 관하여 설명되며, 본 발명은 공개된 실로 한정될 필요는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모든 수정예들과 유사한 구조들을 포함하기 위하여 가장 넓은 범위의 해석이 이루어져야 하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사상내에서 다양한 수정예들과 유사한 구조들을 포함한다.
2.....통신모듈,
3.....하우징 부재,
4.....전자 모듈,
5.....미끄럼가능한 기구,
311.....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
312.....제 1 경사부,
51.....연장 아암.

Claims (14)

  1.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부재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외부표면에 배열된 적어도 한 개의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은 제 1 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 부재내부에 부분적으로 배열된 전자 모듈을 포함하며,
    제 2 경사부를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연장 아암을 포함한 미끄럼가능한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 아암은 상기 해당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 2 경사부는 상기 제 1 경사부와 정렬되며, 상기 제 2 경사부의 경사는 상기 제 1 경사부의 경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및 구속해제 영역은 안내 요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연장 아암은 미끄럼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 부분은 상기 안내요홈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가능한 기구는 연결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연장 아암의 갯수는 두 개이상이며,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연장 아암은 상기 연결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가능한 기구는 작동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분은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덮이고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재의 위치는 상기 연결부분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아암은 경사 부분 및 래치구속 해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구속 해제부분 및 상기 경사부분사이에 오목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는 제 1 쉘과 제 2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쉘은 적어도 한 개의 제 1 결합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쉘은 상기 제 1 결합구조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한 개의 제 2 결합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결합구조체와 제 2 결합구조체는 회전 및 고정방법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쉘은 적어도 한 개의 횡방향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쉘은 적어도 한 개의 횡방향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횡방향 플레이트는 요홈 구조체를 가지고 상기 제 2 횡방향 플레이트는 상기 요홈구조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
  8. 요홈을 가진 하우징 부재,
    상기 하우징 부재내부에 부분적으로 배열된 전자모듈,
    적어도 한 개의 연장 아암을 포함한 미끄럼가능한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아암은 가압부분을 가지며, 상기 가압부분은 상기 요홈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분에 축방향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요홈내부에 배열된 탄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는 정지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정지부재는 상기 요홈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탄성 요소와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가능한 기구는 연결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연장 아암의 갯수는 2개이상이며, 적어도 한 개의 연장 아암이 상기 연결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가능한 기구는 작동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덮이고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재의 위치가 상기 연결부분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아암은 경사부분 및 래치구속해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구속 해제부분과 상기 경사부분사이에 오목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는 제 1 쉘과 제 2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쉘은 적어도 한 개의 결합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쉘은 상기 제 1 결합구조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한 개의 제 2 결합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결합구조체와 제 2 결합구조체는 회전 및 고정 방법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쉘은 적어도 한 개의 제 1 횡방향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쉘은 적어도 한 개의 제 2 횡방향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횡방향 플레이트는 요홈구조체를 가지고, 상기 제 2 횡방향 플레이트는 상기 요홈구조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

KR20130073489A 2012-11-30 2013-06-26 통신모듈 KR101488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144943 2012-11-30
TW101144943A TWI484235B (zh) 2012-11-30 2012-11-30 通訊模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331A true KR20140070331A (ko) 2014-06-10
KR101488600B1 KR101488600B1 (ko) 2015-02-02

Family

ID=5082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3489A KR101488600B1 (ko) 2012-11-30 2013-06-26 통신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82558B2 (ko)
JP (1) JP5687729B2 (ko)
KR (1) KR101488600B1 (ko)
TW (1) TWI4842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17819A1 (en) * 2013-10-31 2015-04-30 Ming-Feng Ho Pluggable optical transceiver module
JP6281424B2 (ja) * 2014-06-24 2018-02-21 日立金属株式会社 通信モジュール
JP6380144B2 (ja) * 2015-02-06 2018-08-29 日立金属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US10433580B2 (en) 2016-03-03 2019-10-08 Altria Client Services Llc Methods to add menthol, botanic materials, and/or non-botanic materials to a cartridge, and/or an electronic vaping device including the cartridge
US10455863B2 (en) 2016-03-03 2019-10-29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rtridge for electronic vaping device
US10368580B2 (en) 2016-03-08 2019-08-06 Altria Client Services Llc Combined cartridge for electronic vaping device
US10368581B2 (en) 2016-03-11 2019-08-06 Altria Client Services Llc Multiple dispersion generator e-vaping device
US20170258140A1 (en) * 2016-03-11 2017-09-14 Altria Client Services Llc Multiple dispersion generator e-vaping device
US10357060B2 (en) 2016-03-11 2019-07-23 Altria Client Services Llc E-vaping device cartridge holder
JP2018169490A (ja) 2017-03-30 2018-11-0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抜去部品及び光モジュール
CN109742604B (zh) * 2019-01-09 2023-09-05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一种拉环快速解锁装置以及快速解锁连接器
JP7347146B2 (ja) * 2019-11-15 2023-09-20 富士通オプティカル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
WO2021179568A1 (zh) * 2020-03-12 2021-09-16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光模块
WO2021232716A1 (zh) * 2020-05-22 2021-11-25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光模块
US11619789B2 (en) * 2021-07-28 2023-04-04 Quanta Computer Inc. Dual connector carrier with simultaneous lock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7958B2 (ja) * 2003-01-21 2010-10-27 日立電線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きパッケージ
US6824416B2 (en) * 2003-04-30 2004-11-30 Agilent Technologies, Inc. Mounting arrangement for plug-in modules
US7201520B2 (en) * 2003-05-30 2007-04-1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module having a simple mechanism for releasing from a cage
US6872010B1 (en) * 2003-06-03 2005-03-29 Fourte Design & Development, Llc Fiber optic connector release mechanism
US7090523B2 (en) * 2004-01-06 2006-08-1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lease mechanism for transceiver module assembly
KR100617710B1 (ko) * 2004-05-21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의 체결 장치
TWI244278B (en) * 2004-06-04 2005-11-21 Ind Tech Res Inst Optical transceiver module
US6991481B1 (en) * 2004-07-16 2006-01-31 Avone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atchable and pluggable electronic and optical module
JP4544928B2 (ja) * 2004-07-16 2010-09-1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コネクタ及び光ファイバ接続システム
US7349200B2 (en) * 2005-02-04 2008-03-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atching mechanism
TWI300142B (en) * 2005-10-07 2008-08-21 Delta Electronics Inc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optical transceiver thereof
US7618199B1 (en) * 2005-10-07 2009-11-17 Delta Electronics, Inc.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optical transceiver thereof
US7380995B2 (en) 2005-12-19 2008-06-03 Emcore Corporation Latching mechanism for pluggable transceiver
TWM311040U (en) * 2006-10-11 2007-05-01 Dung-Yang Wang Releasing machanism of a fibre-optic connector
US7643720B2 (en) * 2007-04-09 2010-01-05 Finisar Corporation Optoelectronic module retention mechanism
US7422457B1 (en) * 2007-08-31 2008-09-0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lug-in module with improved latch mechanism
US7445485B1 (en) * 2007-09-12 2008-11-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atch mechanism with pull tape
JP2010286782A (ja) * 2009-06-15 2010-12-24 Fujitsu Optical Components Ltd 光モジュール
JP2011133655A (ja) * 2009-12-24 2011-07-07 Opnext Japan Inc 光伝送モジュール
US8814229B2 (en) 2010-04-30 2014-08-26 Finisar Corporation Latching mechanism for an electronic module
CN202076595U (zh) * 2011-02-25 2011-12-1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连接器
US8717770B2 (en) * 2011-04-28 2014-05-06 Finisar Corporation Latching mechanisms for pluggable electronic devices
TWM428368U (en) * 2011-10-25 2012-05-01 Gloriole Electroptic Technology Corp Optical fiber connector
CN202472043U (zh) * 2011-12-23 2012-10-03 宁波展通电信设备实业有限公司 压卡式新型现场组装型光纤连接器及其光纤对接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53195A1 (en) 2014-06-05
JP5687729B2 (ja) 2015-03-18
TWI484235B (zh) 2015-05-11
US9182558B2 (en) 2015-11-10
JP2014109776A (ja) 2014-06-12
KR101488600B1 (ko) 2015-02-02
TW201421096A (zh) 2014-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600B1 (ko) 통신모듈
US6494623B1 (en) Release mechanism for pluggable fiber optic transceiver
US8348516B2 (en) High density front panel optical interconnect
US7422457B1 (en) Plug-in module with improved latch mechanism
CN102346279B (zh) 光连接器、连接器连接系统
US7281863B2 (en) Module connect/disconnect structure and method for disconnecting a module using the structure
EP2431777A1 (en) Connection device
JP5085694B2 (ja) 光コネクタ
US8764312B2 (en) Optical connector plug having improved latching mechanism
JP2005196213A (ja) トランシーバモジュール組立体
US6776533B2 (en) Latching fiber optic connector system
US7220066B2 (en) Pluggable optical transceiver module assembly
JP2010245040A (ja) 電気コネクタ
US6929403B1 (en) Small form-factor pluggable bail latch
CN112312715B (zh) 可限制不同模块安装顺序的电子装置及其机壳模块
JP5810747B2 (ja) 防水アダプタ及び光モジュール取り付け方法
CN108139543B (zh) 光连接器
CN109119831B (zh) 连接器
US9581773B2 (en) Cag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odule and connecting method
JP5879936B2 (ja) 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US7377702B2 (en) Cageless, pluggable optoelectronic device which enables belly-to-belly layouts
EP1938676A2 (en) Cageless, pluggable optoelectronic device
US8483538B2 (en) Plug housing and plug apparatus
JP6293832B2 (ja) 光コネクタ組立体
JP2019028410A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