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357B1 -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357B1
KR100640357B1 KR1020040072980A KR20040072980A KR100640357B1 KR 100640357 B1 KR100640357 B1 KR 100640357B1 KR 1020040072980 A KR1020040072980 A KR 1020040072980A KR 20040072980 A KR20040072980 A KR 20040072980A KR 100640357 B1 KR100640357 B1 KR 100640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in body
latching
bale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4108A (ko
Inventor
김성민
권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2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357B1/ko
Priority to US11/179,929 priority patent/US7220066B2/en
Priority to CNA2005100959917A priority patent/CN1749789A/zh
Priority to JP2005263539A priority patent/JP2006079100A/ja
Publication of KR2006002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6Bidirectionally operating packag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해당 포트에 실장되며 락킹 부재를 갖는 케이지에 실장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와 결합되는 래칭부를 제공하기 위한 베일 클립과, 외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부를 구비한 광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베일 클립은,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및 하단을 관통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제1 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부의 하단에 돌출 또는 함몰되는 상기 래칭부를 가지며, 상기 베일 클립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락 핀과; 상기 메인 바디의 제2 단부와 그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상에 지렛대 형태로 걸쳐져 있으며, 그 타단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래칭부를 함몰시키고, 가한 힘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락 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래칭부를 돌출시키는 베일을 포함한다.
광송수신 모듈, 베일, 래칭 기구, 케이지, 커넥터

Description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PLUGGABLE OPTICAL TRANSCEIVER MODULE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와 케이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베일 클립이 탈장된 도 1에 도시된 커넥터부를 그 상단부를 위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베일 클립이 탈장된 도 1에 도시된 커넥터부를 그 하단부를 위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부를 그 폭을 양분하는 위치인 A-A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베일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베일 클립이 실장된 도 1에 도시된 커넥터부를 그 상단부를 위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넥터부를 그 하단부를 위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커넥터부를 그 폭을 양분하는 위치인 B-B를 따라 나타 낸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베일 클립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가 케이지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은 도 1에 도시된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가 케이지로부터 탈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베일 클립이 탈장된 커넥터부를 그 상단부를 위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커넥터부를 그 하단부를 위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커넥터부를 그 폭을 양분하는 위치인 C-C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베일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커넥터부에 도 16에 도시된 베일 클립이 실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커넥터부를 그 하단부를 위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커넥터부를 그 폭을 양분하는 위치인 D-D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베일 클립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가 케이지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가 케이지로부터 탈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플러그형 광 송수신 모듈 어셈블리(pluggable optical transceiver module assembly)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광 송수신 모듈 어셈블리를 케이지(cage)에 실장 및 탈장하기 위한 래칭 기구(latching mechanism)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정보 통신의 발전으로 각종 통신망에서 한정된 회선으로 보다 많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적은 회선으로 다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광통신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광통신 시스템은 전광 또는 광전 변환을 위한 광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송수신기 모듈은 광원, 광검출 소자 등을 포함한다.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 중에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광송수신기 모듈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SFP 광송수신기 모듈은 호스트 장치(host device)와 광섬유 케이블(optical fiber cable)을 인터페이싱(interfac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크리스 토가미(Chris Togami)에 의해 발명되어 특허허여된 미국특허번호 제 6,439,918호{ELECTRONIC MODULE HAVING AN INTEGRATED LATCHING MECHANISM}는 호스트 장치의 포트(port)에 실장되는 케이지(또는 하우징(housing))에 SFP 광송수신기 모듈을 실장 및 탈장하기 위한 래칭 기구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광송수신기 모듈을 상기 케이지로부터 탈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광섬유 케이블이 실장된 광섬유 커넥터(optical fiber connector)를 상기 광송수신기 모듈로부터 탈장한 후, 상기 래칭 기구의 베일(bail)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상기 광송수신기 모듈을 잡아 당겨야 한다. 즉, 상기 베일이 상기 광섬유 커넥터를 감싸고 있으므로, 상기 베일을 들어 올리기 위해서는 상기 광섬유 커넥터가 먼저 탈장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래칭 기구는 광섬유 커넥터가 광송수신기 모듈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광송수신기 모듈을 케이지로부터 탈장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실험 또는 장비 운용간 유지 및 보수시에 광송수신기 모듈을 케이비로부터 탈장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환경에서 종래의 래칭 기구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야기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로 케이지로부터 탈장할 수 있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호스트 장치의 해당 포트에 실장되며 락킹 부재를 갖는 케이지에 실장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는, 상기 락킹 부재와 결합되는 래칭부를 제공하기 위한 베일 클립과, 외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부를 구비한 광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베일 클립은,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및 하단을 관통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제1 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부의 하단에 돌출 또는 함몰되는 상기 래칭부를 가지며, 상기 베일 클립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락 핀과; 상기 메인 바디의 제2 단부와 그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상에 지렛대 형태로 걸쳐져 있으며, 그 타단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래칭부를 함몰시키고, 가한 힘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락 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래칭부를 돌출시키는 베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락킹 부재를 갖는 호스트 장치에 실장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는, 상기 락킹 부재와 결합되는 래칭부를 제공하기 위한 베일 클립과; 외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부와; 상기 커넥터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호스트 장치와 상기 외부 커넥터간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기저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일 클립은,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및 하단을 관통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제1 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부의 하단에 돌출 또는 함몰되는 상기 래칭부를 가지며, 상기 베일 클립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락 핀과; 상기 메인 바디의 제2 단부와 그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상에 지렛대 형태로 걸쳐져 있으며, 그 타단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래칭부를 함몰시키고, 가한 힘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락 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래칭부를 돌출시키는 베일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pluggable optical transceiver module assembly)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100)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110)과 금속 재질의 케이스(case, 150)를 포함한다. 이하, x축 방향은 상기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110)의 두께 방향을 나타내고, y축 방향은 상기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110)의 폭 방향을 나타내며, z축 방향은 상기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110)의 길이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110)은 광섬유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부(connector portion, 200)와, 상기 커넥터부(200)의 후단부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부(base portion, 120)와, 상기 커넥터부(200)에 실장되며 래칭 기구인 베일 클립(bail clip, 400)을 포함한다. 상기 기저부(120)에는 끝단 커넥터(edge connector, 135)를 갖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130)이 실장되고, 상기 끝단 커넥터(135)는 호스트 장치의 해당 포트 내에 위치하는 해당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기저부(120)에는 양방향 광 서브 어셈블리(bi-directional optical sub assembly: BiDi OSA, 140)가 실장되며, 상기 양방향 광 서브 어셈블리(140)는 전광 변환을 위한 송신단 광 어셈블리(142)와, 광전 변환을 위한 수신단 광 어셈블리(144)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50)는 전체적으로 전단, 후단 및 하단이 개방된 사각 프레임(frame)의 구조를 가지며, 그 상면 및 측면에 복수의 결합 부재들(152,154,156)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150)는 상기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110)의 기저부(120)를 덮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와 케이지(cage)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베일 클립(4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케이지(500)는 상기 호스트 장치의 해당 포트에 실장되며, 전체적으로 전단 및 후단이 개방된 사각 프레임(frame)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케이지(500)의 하단부의 후단측에 개방부가 제공된다. 상기 케이지(500)는 그 상단부에 복수의 결합 부재들(512,514,516)을 구비하고, 그 하단부에 상기 베일 클립(400)의 락 핀(lock pin, 420)과 결합하기 위한 락킹 부재인 락킹 홀(locking hole, 525)을 갖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 520)과 상기 리프 스프링(520)을 상기 케이지(500)의 하단부에 제공하기 위한 제1 및 제2 홈들(530,535)을 구비한다.
상기 리프 스프링(520)은 상기 케이지(500)의 하단부에 서로 나란하게 제공된 제1 및 제2 홈들(530,535)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각 홈은 상기 케이지(500)의 전단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 및 폭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각 홈은 상단, 하단 및 전단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리프 스프링(520)에는 삼각 형의 락킹 홀(5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100)는 그 후단부터 상기 케이지(500)의 전단으로 삽입되며, 상기 베일 클립(400)의 락 핀(420)이 상기 락킹 홀(525)에 걸리는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케이지(500)에 실장된다.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100)의 탈장시에는 상기 베일 클립(400)의 락 핀(420)을 상기 락킹 홀(525)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100)을 x축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100)의 탈장시에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들(240,245)에 실장된 광섬유 커넥터를 탈장시킬 필요는 없다.
도 3은 상기 광송수신 모듈(110)의 커넥터부(200)만을 그 상단부(top portion, 250)를 위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광송수신 모듈(110)의 커넥터부(200)만을 그 하단부(bottom portion, 210)를 위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광송수신 모듈(110)의 커넥터부(200)를 그 폭을 양분하는 위치인 A-A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커넥터부(200)는 y축 방향을 따라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전단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를 갖는다. 상기 커넥터부(200)는 하단부(210)와, 상기 하단부(210)의 양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제1 및 제2 측단부들(side portion, 220,225)과, 상기 커넥터부(200)의 후단을 막는 후단부(rear portion, 290)와, 상기 커넥터부(20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부(200)의 상단 일부를 막는 'ㄷ'자 형태의 상단부(250)와, 상기 커넥터부(200)의 폭을 양분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단부(210)로부터 상향 연장된 중앙부(center portion, 23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부(230)로 인해 상기 중앙부(230)와 제1 측단부(220) 사이에 제1 수용부(receptacle portion, 240)가 제공되고, 상기 중앙부(230)와 상기 제2 측단부(225) 사이에 제2 수용부(245)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200)는 상기 제1 측단부(220)로부터 상기 중앙부(230)까지 연장되며 상기 상단부(250)의 전단 위치에서 단차지게 상향 돌출된 제2 걸림턱(260)과, 상기 제2 측단부(265)로부터 상기 중앙부(230)까지 연장되며 상기 상단부(250)의 전단 위치에서 단차지게 상향 돌출된 제3 걸림턱(265)과, 상기 중앙부(23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상기 중앙부(230)의 전단 위치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걸림턱(280)과, 상기 중앙부(23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상기 제2 및 제3 걸림턱들(260,265)의 대향된 단면들 사이의 제2 수용 공간(267)에 개재된 돌기(2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단부(250)가 'ㄷ' 자 형태를 가짐에 따라 상기 베일 클립(400)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 공간(255)이 제공되며, 상기 제1 수용 공간(255)의 일 측단은 상기 제2 및 제3 걸림턱들(260,265)과 상기 돌기(270)에 의해 가로 막혀 있다. 상기 돌기(270)와 상기 제1 걸림턱(280) 사이에는 제3 수용 공간이 제공된다.
상기 중앙부(230)는 그 상단으로부터 그 하단까지 연장된 원형의 제1 홀(235)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홀(235)은 상기 제1 수용 공간(255)과 소통된다.
상기 하단부(210)는 사각 형태의 제2 홀(215)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홀(215)은 상기 제1 홀(235)과 소통된다.
상기 후단부(290)는 그 하측에 사각 형태의 제3 홀(292)을 구비하며, 상기 제3 홀(292)은 상기 제2 홀(215)과 소통된다. 상기 후단부(290)는 서로 이격된 원 형태의 제4 및 제5 홀들(294,296)을 구비하며, 상기 제4 홀(294)은 상기 제1 수용부(240)와 소통되고, 상기 제5 홀(296)은 상기 제2 수용부(245)와 소통된다.
상기 커넥터부(200)는 상기 후단부(290)의 후단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 및 제5 홀들(294,296)과 이격된 위치에서 'W'자 형태로 연장된 제1 및 제2 가이드들(guide, 310,3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들(310,315)은 각각 반원 형태를 갖는다.
상기 커넥터부(200)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들(310,315)의 후단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들(310,315)로부터 단차지도록 'W'자 형태로 연장된 제3 및 제4 가이드들(320,32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및 제4 가이드들(320,325)은 각각 반원 형태를 갖는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베일 클립(400)은 'T'자 형태의 메인 바디(main body, 410)와, 상기 메인 바디(410)의 제1 단부와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베일(430)과, 상기 메인 바디(410)의 제2 단부와 걸리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락 핀(420)과, 결합 부재(44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바디(410)는 전체적으로 'T'자 형태를 가지며, 원형 로드(rod) 형태의 바디부(body portion, 412)와, 상기 바디부(412)의 제1 단부에 형성되며 그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418)와, 상기 바디부(412)의 제2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412)에 수직하게 서로 일직선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지지부들(supporting portion, 414,416)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들(414,416)은 각각 원형 로드 형태를 갖는다.
상기 베일(430)은 원형 링(ring) 형태의 링부(ring portion, 432)와, 상기 링부(432)의 측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연결부(connecting portion, 434)와, 상기 연결부(434)의 끝단과 연결되며 일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사각 블럭(block) 형태의 누름부(pressing portion, 436)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부(436)는 그 주름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434)와 연결된다.
상기 결합 부재(440)는 상기 메인 바디(410)의 결합부(418)와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베일(430)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상기 베일(430)의 링부(432)가 상기 메인 바디(410)의 바디부(41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베일(430)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들(414,416)에 의해 일측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결합 부재(440)에 의해 타측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락 핀(420)은 판 형태를 갖는 래칭부(latching portion, 428)와, 상기 래칭부(428)의 제1 단으로부터 제2 단 방향으로 상기 래칭부(428)의 표면과 경사지게 연장되며 그 단부가 절곡된 탄성부(elastic portion, 422)와, 상기 래칭부(428)의 제2 단으로부터 제1 단 방향으로 'C'자 형태로 만곡되며 서로 이격되게 연장된 제1 및 제2 걸이부들(hooking portion, 424,426)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422)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부(422)는 상기 래칭부(428)의 제1 단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도 7은 상기 베일 클립(400)이 실장된 상기 광송수신 모듈(110)의 커넥터부(200)만을 그 상단부를 위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베일 클립(400)이 실장된 상기 광송수신 모듈(110)의 커넥터부(200)만을 그 하단부를 위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광송수신 모듈(110)을 그 폭을 양분하는 위치인 B-B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베일 클립(400)의 실장 방법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 째, 상기 락 핀(420)의 탄성부(422)의 절곡된 단면을 상기 커넥터부(200)의 제3 홀(292)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둘 째, 상기 메인 바디(410)의 결합부(418)가 상기 락 핀(420)의 제1 및 제2 걸이부들(424,426)의 사이 및 상기 커넥터부(200)의 제1 홀(235)을 지나 상기 중앙부(230)의 상면 위로 돌출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410)를 상기 커넥터부(200)에 실장한다.
셋 째, 상기 베일(430)의 링부(432)가 상기 메인 바디(410)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베일(430)을 상기 메인 바디(410)에 결합한다.
넷 째, 상기 결합 부재(440)를 상기 메인 바디(410)의 결합부(418)에 결합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바디(410)는 상기 제1 홀(235)을 관통하고 있고, 상기 베일(430)의 링부(432)와 상기 결합 부재(440)가 상기 중앙부(230)의 상면에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베일(430)은 상기 제1 수용 공간(255)을 벗어나서 제2 수용 공간(267)을 지나 누름부(436)가 상기 돌기(270)와 상기 제1 걸림턱(280)의 사이의 제3 수용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베일(430)의 연결부(434)는 상기 돌기(270)에 걸쳐져 있으며, 상기 누름부(436)는 상기 제1 걸림턱(280)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용 공간(255)에 위치한 상기 베일 클립(400)의 일 부분은 상기 제1 수용 공간(255)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락 핀(420)의 제1 및 제2 걸이부들(424,426)은 상기 메인 바디(412)의 제1 및 제2 지지부들(414,416)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락 핀(420)의 래칭부(428)는 상기 커넥터부(200)의 제2 홀(215)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베일 클립(4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베일(430)의 누름부(436)를 하측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베일(430)의 링부(432)가 상기 중앙부(230)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링부(432)가 상기 결합 부재(440)를 상측으로 밀게 됨으로써, 상기 결합 부재(440)에 결합된 상기 메인 바디(41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메인 바디(410)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메인 바디(410)의 제1 및 제2 지지부들(414,416)에 결합된 제1 및 제2 걸이부들(424,426)에 의해 상기 락 핀(420)의 래칭부(428)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커넥터부(200)의 제2 홀(215) 내에 있게 된다. 즉, 이동 전에는 상기 래칭부(428)가 상기 제2 홀(215)을 벗어나 상기 커넥터부(200)의 제2 홀(215) 밖으로 돌출되어 있었으나, 이동 후에는 상기 래칭부(428)가 상기 제2 홀(215) 내로 함몰된다는 것이다. 상기 래칭부(428)와 상기 제1 및 제2 걸이부들(424,426)이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422)가 휘어지게 됨으로써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누름부로부터 떼게 되면, 상기 탄성부(422)의 복원력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베일 클립은 원상 복귀된다.
도 11 및 12는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100)를 상기 케이지(500)에 실장 및 탈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1은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100)가 상기 케이지(500)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2은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100)가 상기 케이지(500)로부터 탈장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100)는 그 후단부터 상기 케이지(500)의 전단으로 삽입되며, 상기 베일 클립(400)의 락 핀(420)이 상기 락킹 홀(525)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케이지(500)에 실장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케이지(500)의 상단부는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100)의 실장 과정에서 상기 제1 수용 공간(255)의 밖으로 돌출된 상기 베일 클립(400)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부(20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100)의 실장 과정에서 상기 케이지(500)의 전단이 상기 베일 클립(400)의 탄성부(422)와 부딪치게 되는데, 상기 탄성부(422)가 상기 케이지(500)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100)를 z축 방향으로 계속 밀게 되면 상기 탄성부(422)가 휘어지면서 상기 래칭부(428)가 상기 제2 홀(215) 내로 점차로 함몰된다. 계속하여 상기 케이지(500)를 z축 방향으로 계속 밀게 되면 상기 제2 홀(215) 내로 완전히 함몰되고, 상기 케이지(500)가 상기 제2 및 제3 걸림턱들(260,265)에 걸려 진행을 멈추게 되면 상기 래칭부(428)가 상기 제2 홀(215)의 밖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락킹 홀(525)과 결합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베일(430)의 누름부(436)를 하측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칭부(428)가 상기 제2 홀(215) 내로 완전히 함몰된다. 사용자는 상기 래칭부(428)가 완전히 함몰된 상태에서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100)를 잡아 당김으로써,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110)를 상기 케이지(500)로부터 탈장하게 된다.
도 13 내지 도 2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상기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스와, 커넥터부(600)만이 다른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므로, 중복되는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은 광섬유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부(600)와, 상기 커넥터부(600)의 후단부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부와, 상기 커넥터부에 실장되는 베일 클립(800)을 포함한다. 상기 기저부에는 끝단 커넥터를 갖는 인쇄회로 기판이 실장되고, 상기 끝단 커넥터는 호스트 장치의 해당 포트 내에 위치하는 해당 전기 커넥터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기저부에는 양방향 광 서브 어셈블리가 실장되며, 상기 양방향 광 서브 어셈블리는 전광 변환을 위한 송신단 광 어셈블리와, 광전 변환을 위한 수신단 광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도 13은 상기 광송수신 모듈의 커넥터부(600)를 그 상단부를 위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상기 광송수신 모듈의 커넥터부(600)를 그 하단부를 위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광송수신 모듈의 커넥터부(600)를 그 폭을 양분하는 위치인 C-C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커넥터부(600)는 y축 방향을 따라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전단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를 갖는다. 상기 커넥터부(600)는 그 바닥에 위치한 하단부(610)와, 상기 하단부 (610)의 양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제1 및 제2 측단부들(620,625)과, 상기 커넥터부(600)의 후단을 막는 후단부(680)와, 상기 커넥터부(60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부(600)의 상단 일부를 막는 'E'자 형태의 상단부(6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단부(620) 및 제2 측단부(625)의 사이에 수용부(630)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600)는 상기 제1 측단부(620)로부터 상기 상단부(640)의 전단 위치에서 단차지게 상향 돌출된 제2 걸림턱(650)과, 상기 제2 측단부(625)로부터 상기 상단부(640)의 전단 위치에서 단차지게 상향 돌출된 제3 걸림턱(655)과, 상기 상단부(640)의 전단 위치에서 상기 제1 측단부(62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측단부(625)의 상면까지 연장된 제1 걸림턱(660)과, 상기 제1 측단부(62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걸림턱들(660,650)의 대향된 단면들 사이의 제1 수용 공간(652)에 개재된 제1 돌기(670)와, 상기 제2 측단부(625)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상기 제2 및 제3 걸림턱들(660,655)의 대향된 단면들 사이의 제2 수용 공간(657)에 개재된 제2 돌기(67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단부(640)가 'E' 자 형태를 가짐에 따라 상기 베일 클립(800)을 수용하기 위한 사각 형태의 제1 및 제2 수용홈들(642,644)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수용홈(642)은 상기 상단부(640)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 측단부(620)의 상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 수용홈(644)은 상기 상단부(640)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2 측단부(625)의 상면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1 수용홈(642)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걸림턱들(660,650)과 상기 제1 돌기(670)에 의해 가로 막혀 있고, 상기 제2 수용홈(644)의 일단은 상기 제2 및 제3 걸림턱들(660,655)과 상기 제2 돌기(675)에 의해 가로 막혀 있다. 상기 제2 걸림턱(650)이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어서 상기 제1 돌기(670)와 상기 제2 걸림턱(650) 사이에 제3 수용 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제3 걸림턱(655)이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어서 상기 제2 돌기(675)와 상기 제3 걸림턱(655) 사이에 제4 수용 공간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측단부(620)는 그 상단으로부터 그 하단까지 연장된 원형의 제1 홀(622)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홀(622)은 상기 제1 수용홈(642)과 소통된다. 상기 제2 측단부(625)는 그 상단으로부터 그 하단까지 연장된 원형의 제2 홀(627)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홀(627)은 상기 제2 수용홈(644)과 소통된다.
상기 하단부(610)는 사각 형태의 제3 홀(612)을 구비하며, 상기 제3 홀(612)은 상기 수용부(630)와 소통된다. 상기 하단부(610)에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기 제1 홀(622) 및 제3 홀(612)을 소통하기 위해 상기 하단부(61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연장된 제3 홈(614)과,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기 제2 홀(627) 및 제3 홀(612)을 소통하기 위해 상기 하단부(61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연장된 제4 홈(616)이 구비한다.
상기 후단부(680)는 그 하측에 사각 형태의 제4 홀(682)을 구비하며, 상기 제4 홀(682)은 상기 제3 홀(612)과 소통된다. 상기 후단부(680)는 원 형태의 제5 홀(684)을 구비하며, 상기 제5 홀(684)은 상기 수용부(630)와 소통된다.
상기 커넥터부(600)는 상기 후단부(680)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5 홀(684)과 이격된 위치에서 반원 형태로 연장된 제1 가이드(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부(600)는 상기 제1 가이드(700)의 후단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가이드(700)로부터 단차지도록 반원 형태로 연장된 제2 가이드(710)를 더 포함한다.
도 16은 상기 베일 클립(8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베일 클립(800)은 'U'자 형태의 메인 바디(810)와, 상기 메인 바디(810)의 양 단부와 결합되는 베일(830)과, 상기 메인 바디(810)의 중앙부와 결합되는 락 핀(820)과, 제1 및 제2 결합 부재들(850,855)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바디(810)는 전체적으로 'U'자 형태를 가지며, 원형 로드 형태의 바디부(812)와, 상기 바디부(812)의 제1 단부에 형성되며 그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결합부(814)와, 상기 바디부(812)의 제2 단부에 형성되며 그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결합부(816)를 포함한다.
상기 베일(830)은 원형 링 형태의 제1 및 제2 링부(832,834)와, 상기 제1 링부(832)의 측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1 연결부(836)와, 상기 제2 링부(834)의 측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연결부(838)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836,838)을 연결하며 일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사각 블럭 형태의 누름부(840)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부(840)는 그 주름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836,838)과 연결된다.
상기 제1 결합 부재(850)는 상기 메인 바디(810)의 제1 결합부(814)와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855)는 상기 메인 바디(810)의 제2 결합부(816)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일(830)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상기 베일(830)의 제1 및 제2 링 부들(832,834)이 상기 메인 바디(810)의 바디부(812)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베일(830)은 상기 바디부(812)의 양 절곡부에 의해 일측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 부재들(850,855)에 의해 타측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락 핀(820)은 판 형태를 갖는 래칭부(828)와, 상기 래칭부(828)의 제1 단으로부터 제2 단 방향으로 상기 래칭부(828)의 표면과 경사지게 연장되며 그 단부가 절곡된 탄성부(822)와, 상기 래칭부(828)의 제2 단으로부터 제1 단 방향으로 'C'자 형태로 만곡되며 서로 이격되게 연장된 제1 및 제2 걸이부들(824,826)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걸이부들(824,826)은 상기 바디부(812)의 중앙부와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822)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부(822)는 상기 래칭부(828)의 제1 단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도 17은 상기 베일 클립(800)이 실장된 상기 광송수신 모듈의 커넥터부(600)만을 그 상단부(640)를 위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상기 베일 클립(800)이 실장된 상기 광송수신 모듈의 커넥터부(600)만을 그 하단부(610)를 위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광송수신 모듈을 그 폭을 양분하는 위치인 D-D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베일 클립(800)의 실장 방법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 째, 상기 락 핀(820)의 탄성부(822)의 절곡된 단면을 상기 커넥터부(600)의 제4 홀(682)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둘 째, 상기 메인 바디(810)의 제1 및 제2 결합부들(814,816)이 상기 커넥터부(600)의 제1 및 제2 홀들(622,627)을 지나 상기 제1 및 제2 측단부들(620,625)의 상면들 위로 돌출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810)를 상기 커넥터부(600)에 실장한다.
셋 째, 상기 베일(830)의 제1 및 제2 링부들(832,834)이 각각 상기 메인 바디(810)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베일(830)을 상기 메인 바디(810)에 결합한다.
넷 째, 상기 제1 결합 부재(850)를 상기 메인 바디(810)의 제1 결합부(814)에 결합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855)를 상기 메인 바디(810)의 제2 결합부(816)에 결합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바디(810)는 상기 제2 홀(627)을 관통하고 있고, 상기 베일(830)의 제2 링부(834)와 상기 제2 결합 부재(855)가 상기 제2 측단부(625)의 상면에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베일(830)은 상기 제2 수용홈(644)을 벗어나서 제2 수용 공간(657)을 지나 누름부(840)가 상기 제2 돌기(675)와 상기 제3 걸림턱(655)의 사이의 제3 수용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베일(830)의 제2 연결부(838)는 상기 제2 돌기(675)에 걸쳐져 있으며, 상기 누름부(840)는 상기 제3 걸림턱(655)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용홈(644)에 위치한 상기 베일 클립(800)의 일 부분은 상기 제2 수용홈(644)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락 핀(820)의 제1 및 제2 걸이부들(824,826)은 상기 메인 바디(810)의 중앙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락 핀(820)의 래칭부(828)는 상기 커넥터부(200)의 제3 홀(612)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베일 클립(8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도시된 부분만 설명 하고 있으나, 그 역방향에서도 아래의 설명과 동일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베일(830)의 누름부(840)를 하측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베일(830)의 제2 링부(834)가 상기 제2 측단부(620)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링부(834)가 상기 제2 결합 부재(855)를 상측으로 밀게 됨으로써, 상기 제2 결합 부재(855)에 결합된 상기 메인 바디(81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메인 바디(810)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메인 바디(810)에 결합된 제1 및 제2 걸이부들(824,826)에 의해 상기 락 핀(820)의 래칭부(828)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커넥터부(200)의 제3 홀(612) 내에 있게 된다. 즉, 이동 전에는 상기 래칭부(828)가 상기 제3 홀(612)을 벗어나 상기 커넥터부(200)의 제3 홀(612) 밖으로 돌출되어 있었으나, 이동 후에는 상기 래칭부(828)가 상기 제3 홀(612) 내로 함몰된다는 것이다. 상기 래칭부(828)와 상기 제1 및 제2 걸이부들(824,826)이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탄성부(838)가 휘어지게 됨으로써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누름부(840)로부터 떼게 되면, 상기 제2 탄성부(838)의 복원력에 의해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베일 클립(800)은 원상 복귀된다.
도 21 및 22는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를 케이지에 실장 및 탈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21은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가 상기 케이지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2는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를 상기 케이지로부터 탈장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상기 케이지(500)는 도 1에 도시된 케이 지와 동일하므로, 동일 참조 번호들을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도 21 및 도 22는 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도시된 부분만 설명하고 있으나, 그 역방향에서도 아래의 설명과 동일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는 그 후단부터 상기 케이지(500)의 전단으로 삽입되며, 상기 베일 클립(800)의 락 핀(820)이 상기 락킹 홀(525)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케이지(500)에 실장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케이지(500)의 상단부는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의 실장 과정에서 상기 제2 수용 공간(657)의 밖으로 돌출된 상기 베일 클립(800)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부(60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의 실장 과정에서 상기 케이지(500)의 전단이 상기 베일 클립(800)의 탄성부(822)와 부딪치게 되는데, 상기 탄성부(822)가 상기 케이지(500)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를 z축 방향으로 계속 밀게 되면 상기 탄성부(822)가 휘어지면서 상기 래칭부(828)가 상기 제3 홀(612) 내로 점차로 함몰된다. 계속하여 상기 케이지(500)를 z축 방향으로 계속 밀게 되면 상기 제3 홀(612) 내로 완전히 함몰되고, 상기 케이지(500)가 상기 제1 내지 제3 걸림턱들(660,650,655)에 걸려 진행을 멈추게 되면 상기 래칭부(828)가 상기 제3 홀(612)의 밖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락킹 홀(525)과 결합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베일(830)의 누름부(840)를 하측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칭부(828)가 상기 제3 홀(612) 내로 완전히 함몰된다. 사용자는 상기 래칭부(828)가 완전히 함몰된 상태에서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를 잡아 당김으로써, 상기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를 상기 케이지(500)로부터 탈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래칭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광섬유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로 케이지로부터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을 탈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호스트 장치의 해당 포트에 실장된 락킹 부재를 갖는 케이지에 실장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와 결합되는 래칭부를 제공하기 위한 베일 클립과, 외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부를 구비한 광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베일 클립은,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및 하단을 관통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제1 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부의 하단에 돌출 또는 함몰되는 상기 래칭부를 가지며, 상기 베일 클립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락 핀과;
    상기 메인 바디의 제2 단부와 그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상에 지렛대 형태로 걸쳐져 있으며, 그 타단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래칭부를 함몰시키고, 가한 힘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락 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래칭부를 돌출시키는 베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및 하단을 관통하는 로드 형태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제2 단부에서 상기 바디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일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은,
    링 형태를 가지며, 상기 메인 바디의 제2 단부와 결합되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측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상의 돌기에 걸쳐진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과 연결되며 일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누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 핀은,
    판 형태를 갖는 래칭부와;
    상기 래칭부의 제1 단으로부터 제2 단 방향으로 상기 래칭부의 표면과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1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베일 클립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래칭부의 제2 단으로부터 제1 단 방향으로 'C'자 형태로 만곡되며 서로 이격되게 연장되며, 상기 메인 바디의 제1 단부와 결합되는 제1 및 제2 걸이부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5. 락킹 부재를 갖는 호스트 장치에 실장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와 결합되는 래칭부를 제공하기 위한 베일 클립과;
    외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부와;
    상기 커넥터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호스트 장치와 상기 외부 커넥터간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기저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일 클립은,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및 하단을 관통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제1 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부의 하단에 돌출 또는 함몰되는 상기 래칭부를 가지며, 상기 베일 클립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락 핀과;
    상기 메인 바디의 제2 단부와 그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상에 지렛대 형태로 걸쳐져 있으며, 그 타단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래칭부를 함몰시키고, 가한 힘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락 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래칭부를 돌출시키는 베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및 하단을 관통하는 로드 형태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제2 단부에서 상기 바디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일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은,
    링 형태를 가지며, 상기 메인 바디의 제2 단부와 결합되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측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상의 돌기에 걸쳐진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과 연결되며 일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누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 핀은,
    판 형태를 갖는 래칭부와;
    상기 래칭부의 제1 단으로부터 제2 단 방향으로 상기 래칭부의 표면과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1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베일 클립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래칭부의 제2 단으로부터 제1 단 방향으로 'C'자 형태로 만곡되며 서로 이격되게 연장되며, 상기 메인 바디의 제1 단부와 결합되는 제1 및 제2 걸이부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및 하단을 관통하는 'U'자 형태의 바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은,
    각각 링 형태를 가지며, 상기 메인 바디의 제2 단부와 결합되는 제1 및 제2 링부들과;
    상기 제1 링부의 측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상의 제1 돌기에 걸쳐진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링부의 측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커넥터부의 상단 상의 제2 돌기에 걸쳐진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을 연결하며 일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사각 블럭 형태의 누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커넥터부의 폭을 양분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각각 외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용부들과;
    상기 중앙부를 관통하며, 상기 메인 바디가 삽입되는 홀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커넥터부의 바닥에 위치한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양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제1 및 제2 측단부들과;
    상기 제1 측단부를 관통하며, 상기 메인 바디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 홀과;
    상기 제2 측단부를 관통하며, 상기 메인 바디의 다른 일부가 삽입되는 제2 홀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KR1020040072980A 2004-09-13 2004-09-13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KR100640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980A KR100640357B1 (ko) 2004-09-13 2004-09-13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US11/179,929 US7220066B2 (en) 2004-09-13 2005-07-12 Pluggable optical transceiver module assembly
CNA2005100959917A CN1749789A (zh) 2004-09-13 2005-08-30 可插入式光收发机模块组件
JP2005263539A JP2006079100A (ja) 2004-09-13 2005-09-12 プラグ型光送受信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980A KR100640357B1 (ko) 2004-09-13 2004-09-13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108A KR20060024108A (ko) 2006-03-16
KR100640357B1 true KR100640357B1 (ko) 2006-10-30

Family

ID=3615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980A KR100640357B1 (ko) 2004-09-13 2004-09-13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20066B2 (ko)
JP (1) JP2006079100A (ko)
KR (1) KR100640357B1 (ko)
CN (1) CN17497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46004A1 (de) * 2006-09-27 2008-04-03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system zum Ankoppeln mindestens einer optischen Faser
KR100825665B1 (ko) * 2007-02-13 2008-04-29 이성기 Sfp용 개폐 장치
KR101160379B1 (ko) * 2007-12-31 2012-06-26 인텔 코오퍼레이션 핸들리스 디래치 메커니즘을 갖는 광 모듈
US7766686B2 (en) * 2008-01-07 2010-08-03 Applied Optoelectronics, Inc. Pluggable form factor release mechanism
KR101299219B1 (ko) * 2009-12-21 2013-08-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러그형 광 송수신 모듈
US20110221601A1 (en) * 2010-03-12 2011-09-15 Jerry Aguren Detecting Engagement Conditions Of A Fiber Optic Connector
CN201829687U (zh) * 2010-09-08 2011-05-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连接器
US8678848B2 (en) 2011-11-07 2014-03-25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Pluggable data communication module with moving-pin latch
TWI510006B (zh) * 2013-12-31 2015-11-21 Applied Optoelectronics Inc 可插拔光收發模組
CN112684552B (zh) * 2021-02-25 2022-10-18 遵义市飞宇电子有限公司 一种光电信号转接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9958B2 (en) * 2001-08-31 2004-09-14 Infineon Technologies Ag Release mechanism for pluggable fiber optic transceiver
GB2405264B (en) * 2003-08-20 2007-02-28 Agilent Technologies Inc Pluggable optical sub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9789A (zh) 2006-03-22
US7220066B2 (en) 2007-05-22
US20060056774A1 (en) 2006-03-16
JP2006079100A (ja) 2006-03-23
KR20060024108A (ko)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5020B (zh) 可插拔连接器
JP4386938B2 (ja) 光ファイバ・モジュールのラッチ外し機構
KR100617710B1 (ko)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의 체결 장치
JP5210335B2 (ja) 小さいフォーム・ファクタのプラグ式(sfp)光トランシーバ用モジュール及び方法
US8787025B2 (en) Electronic module with improved latch mechanism
KR101488600B1 (ko) 통신모듈
US20030214789A1 (en) Wire lever actuator mechanism for optical transceiver
US7220066B2 (en) Pluggable optical transceiver module assembly
US69914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atchable and pluggable electronic and optical module
EP1288689A1 (en) Optical transceiver module
KR100703288B1 (ko)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의 체결 장치
US7377702B2 (en) Cageless, pluggable optoelectronic device which enables belly-to-belly layouts
US9581773B2 (en) Cag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odule and connecting method
US7227745B2 (en) Cageless, pluggable optoelectronic device
US7488123B2 (en) Latching mechanism for pluggable transceiver module
US7108523B2 (en) Pluggable transceiver with cover resilient member
CN113885144B (zh) 一种光模块
KR20170003834A (ko) 광커넥터
JP2013045059A (ja) 光トランシ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