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896A -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896A
KR20140066896A KR1020120133695A KR20120133695A KR20140066896A KR 20140066896 A KR20140066896 A KR 20140066896A KR 1020120133695 A KR1020120133695 A KR 1020120133695A KR 20120133695 A KR20120133695 A KR 20120133695A KR 20140066896 A KR20140066896 A KR 20140066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device
electronic device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4021B1 (ko
Inventor
박상준
박영웅
박성호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게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게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게더
Priority to KR102012013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021B1/ko
Priority to PCT/KR2013/010561 priority patent/WO2014081189A1/ko
Priority to JP2015543967A priority patent/JP6080972B2/ja
Priority to US14/647,038 priority patent/US20150339697A1/en
Priority to CN201380061089.6A priority patent/CN104813694A/zh
Publication of KR20140066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6Registration at serving network Location Register, VLR or user mobility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로 서비스사용자가 서비스제공매장에 방문하였음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 연결되어 무선 통신 장치로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를 개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고 버튼이 눌려졌을 때 상기 서버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방문 데이터를 전송할 것이라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방문 데이터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THE DATA TRANSMITING APPARATUS FOR RECORDING VISITING DATA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특정 장소를 방문할 때 보유한 무선 통신 장치에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서비스사용자가 서비스 제공매장, 예를 들어, 음식점, 카페 등을 방문하였을 때, 미리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을 통해 발급받았던 적립 쿠폰 등을 제시함으로써, 누적 방문 횟수를 체크하여 이에 따른 마일리지 적립, 추가적인 서비스 제공 등의 혜택을 제공해 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사용자가 각 음식점 또는 카페 등마다 적립 쿠폰 등을 별도로 소지하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적립 쿠폰 등을 미처 준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누적 방문 횟수를 체크하지 못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적립 쿠폰 등을 대신하게 하는 방법이 점차로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매장에 QR 코드가 비치되어 있어, 서비스사용자가 이를 스마트폰을 촬영함으로써 서비스사용자가 음식점 또는 카페 등을 방문했음을 서버에 기록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더라도, 서비스사용자가 매장에 비치된 QR 코드를 촬영하여 매장이 아닌 곳에서도 상기 촬영해 놓은 QR 코드를 통해 서비스사용자가 음식점 또는 카페 등을 방문한 것처럼 인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GPS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방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더라도 GPS 정보의 오차 범위 내에서 매장 근처에 있으면서도 매장에 방문한 것처럼 허위 인증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 서비스제공매장 또는 서비스제공자를 방문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허위 인증을 하고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내릴 수도 있다는 것도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에는 커피숍, 헤어숍 등의 서비스제공매장 단위로 쿠폰을 적립할 수 있었기 때문에, 실제로 서비스를 제공한 서비스제공자, 예를 들어, 바리스타, 헤어디자이너 등에 따라 쿠폰을 적립하거나 이들의 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은 없었다.
종래의 특허 문헌 1(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3420호)를 참고하면, 단말기의 화면에 바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01)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바코드를 스캐닝하는 단계(S102)와, 스캐닝한 바코드를 처리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S103)와, 상기 변환된 바코드 데이터와 결제금액 등을 포함한 결제데이터를 생성하여 메인서버로 송신하는 단계(S104)와,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받은 결제데이터를 분석하여 회원등록여부 및 결제금액을 확인하는 단계(S105)와, 해당 결제금액을 결제하고 그에 따른 적립포인트 등을 계산하는 단계(S106)와, 상기 적립포인트를 누적시키는 단계(S107) 및 결제완료정보 및 적립포인트 누적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S10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바코드를 이용한 적립포인트 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단말기의 화면에 바코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스캐닝함으로써 적립 쿠폰 등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의하더라도 실제 적립 쿠폰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쿠폰을 적립하는 재미를 제공할 수는 없고, 종이 쿠폰에 익숙해져 있는 일반 점원들과 고객들에게 종이 쿠폰과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거나 독특한 데이터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쿠폰 적립 이외의 재미를 제공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3420호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설명을 제공한다. 본 섹션은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엘리먼트들 중 핵심 엘리먼트를 식별하거나, 모든 실시예의 범위를 커버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개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로 서비스사용자가 서비스제공매장에 방문하였음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비스제공매장 단위뿐만이 아니라 개별적인 서비스제공자에 따라 서비스사용자의 누적 사용 횟수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고, 개별적인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비스에 대한 사후 평가가 실제로 서비스를 이용 받은 이용자로부터 이뤄짐이 보장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서비스사용자가 특정 서비스제공자에 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서비스사용자 및 서비스제공자가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쿠폰을 적립하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위치 및 움직임을 인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을 포함한 전자 장치; 위치 및 움직임을 인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을 포함한 무선 통신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미리 결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고, 미리 결정된 움직임 조건들이 실행되었음이 감지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가 존재하는 위치에 위치됐었다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미리 결정된 장소에 위치되어 있는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장소를 방문했다는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되어 있는 장소를 방문했다는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장소를 방문했음을 표시하는 방문 데이터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방문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문양의 형태로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 연결되어 무선 통신 장치로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를 개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고 버튼이 눌려졌을 때 상기 서버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방문 데이터를 전송할 것이라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방문 데이터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 안에 상기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에만 상기 방문 데이터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전류를 전달하기 위해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를 컴퓨터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 터치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 연결되어 무선 통신 장치로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움직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센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위치되었음이 감지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터치부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할 때 발생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의 움직임을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하면 상기 방문 데이터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 연결되어 무선 통신 장치로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개시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버튼이 눌려졌을 때 상기 서버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방문 데이터를 전송할 것이라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센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위치되었음이 감지되고, 상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터치 스크린 터치부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할 때 발생하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움직임을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센서부에서 감지하면 상기 방문 데이터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원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실제로 서비스사용자가 서비스제공매장에 방문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비스사용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서비스제공매장을 방문하지 않고서도 허위 인증 후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작성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매장 단위가 아니라 개별적인 서비스제공자에 따라 서비스사용자의 누적 사용 횟수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고, 개별적인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사용자 및 서비스제공자가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쿠폰을 적립하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관련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아래에서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하기 설명 및 관련 도면은 이러한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양상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양상들은 단지 일 예일 뿐이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당업자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시된 실시예들은 이러한 실시예들 및 이러한 실시예들의 균등물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관습에 따라 도면의 다양한 특징들은 실측에 따라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특징들의 치수들은 간명성을 위하여 임의로 확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면의 일부가 간명성을 위해 단순화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은 제시된 장치(예를 들어 디바이스) 또는 방법의 모든 컴포넌트들을 도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유사한 도면번호들이 상세한 설명 및 도면 전반에서 유사한 특징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 데이터 기록을 위한 시스템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는 양상을 도시한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는 양상을 도시한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데이터 전송 장치를 이용한 방문 데이터 기록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 데이터 기록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방문 데이터가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전송되어 미리 결정된 문양의 형태로 표시된 양상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 데이터 기록을 위한 시스템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101),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102) 및 서버(103)가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위치, 가속,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GPS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센서, 동작인식 센서 등을 포함하는 POS 단말,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102)는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패드등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에는 서버(103)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패드인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에는 서비스제공자 및 서비스사용자의 계정이 생성되어 있을 수 있다.
서비스제공자의 계정은 서비스제공매장별로 또는 서비스제공자별로 생성되어 있을 수 있다.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101)는 미리 결정된 장소(예를 들어, 서비스가 제공되는 장소 등)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숍, 헤어숍 등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는 POS 단말, 컴퓨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101)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패드등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인 경우에는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101)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 센서(예를 들어, GPS 센서 등)에 의해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101)가 미리 결정된 장소에 위치되었다고 인증되는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102)에 방문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102)가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101)가 위치된 미리 결정된 장소에 방문한 경우,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101)는 서버(103)로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102)가 미리 결정된 장소에 방문했다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104),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102)는 자신이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101)가 위치된 미리 결정된 장소에 방문했다는 데이터를 서버(103)로 전송할 수 있다(105).
두 가지 데이터(104 및 105)가 일치하는 경우, 서버(103)는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102)로 방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106). 또한 서버(103)는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102)의 방문 데이터를 저장해 둘 수 있다.
방문 데이터는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102)에 전송되면 미리 결정된 문양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방문 데이터가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803)에 전송되어 미리 결정된 문양의 형태로 표시된 양상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803)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패드이고, 전자장치(803)의 스크린에는 종래의 종이 쿠폰과 같은 형태의 적립 쿠폰이 디스플레이되고, 방문 횟수에 따라서, 802a, 802b, 802c,...,802j에 미리 결정된 문양의 형태로 방문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102)는 서버(103)로 적립된 쿠폰의 사용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105), 서버(103)는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101)로 적립된 쿠폰의 사용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107).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는 양상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UMP TECHNOLOGIES, INC.에서 출원하고 2011년 8월 4일에 공개된 미국 특허 출원번호 제20110191823호에 따르면 "범프"라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두 개의 스마트폰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두 개의 스마트폰의 위치 및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여 두 개의 스마트폰이 동일 장소에서 동일 시간에 특정 움직임을 발생시킴으로써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를 보인다면 제 1 스마트폰으로부터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제 2 스마트폰으로 데이터가 전송된다고 개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201)가 위치되어 있는 서비스제공장소에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202)가 위치됨을 위치 센서로부터 감지(예를 들어, 위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201)의 위치와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202)의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임 등)하고 미리 결정된 움직임 조건들이 실행되었음이 감지(예를 들어,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201)와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202)가 좌우로 흔들림 등)되고 미리 결정된 시간 조건들에서 실행되었음이 감지(예를 들어,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201)와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202)가 흔들린 시간의 차이가 0.5초 이내 등)하는 경우 서버는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202)에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201)가 위치된 장소에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202)가 위치됐었다는 방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는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201)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패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고 위치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201) 및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202)가 동일한 위치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201) 및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202)의 미리 결정된 키를 누름으로써 서버가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202)로 방문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는 양상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301)는 POS 단말,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301)의 미리 결정된 키(예를 들어, 스페이스 바 등)가 눌러지고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302)의 위치 및 움직임 센서에 의해서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302)가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301)가 위치된 미리 결정된 장소에 방문하고 미리 결정된 움직임(예를 들어, 좌우로 흔듦 등)이 미리 결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키가 눌려진 시간과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302)가 흔들린 시간차가 0.5초 이내 등) 있었다고 감지되는 경우 서버에서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301)로부터 미리 결정된 키가 눌러졌다는 신호를 전송받고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302)로부터 미리 결정된 장소에서 미리 결정된 움직임이 있었다는 신호를 전송받고, 서버에서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302)로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버에 방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302)로 전송된 방문 데이터는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302)의 스크린에 도 7에 도시된 적립 쿠폰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에 연결되어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로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400)가 개시된다.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400)는 손잡이부(404); 상기 손잡이부(404)에 연결되고 버튼이 눌려졌을 때 상기 서버에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방문 데이터를 전송할 것이라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버튼부(403); 및 상기 버튼부(403)에 연결되고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터치부(401a, 401b, 401c)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방문 데이터가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장치(400)는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컴퓨터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연결부(405)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404)는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져 손으로 잡았을 때 손으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가 버튼부(403) 및 터치 스크린 터치부(401a, 401b, 401c)를 따라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손잡이부(404)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터치 스크린 터치부(401a, 401b, 401c)가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였을 때 데이터 전송 장치(400)가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데이터 전송 장치 자체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받음으로써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스크린 터치부(401a, 401b, 401c)가 버튼 형식으로 되어 있어 터치 스크린 터치부(401a, 401b, 401c)가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였을 때 터치 스크린 터치부(401a, 401b, 401c)의 버튼이 눌려졌다는 전기적인 신호가 데이터 전송 장치(400) 또는 데이터 전송 장치(400)가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로 입력될 수 있고, 이러한 입력에 의해 컴퓨터로부터 전기적인 신호가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되거나 또는 데이터 전송 장치(400) 자체로부터 전기적인 신호가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손잡이부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터치 스크린 터치부의 터치에 의해 데이터 전송 장치 내부의 전류 또는 데이터 전송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로부터의 전류를 이용하여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가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장치의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하고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버튼은 물리적 또는 전기적 의미의 버튼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터치 스크린 터치부(401a, 401b, 401c)가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을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버튼부(403)는 손잡이부(404)를 손으로 잡고 터치 스크린 터치부(401a, 401b, 401c)를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대고 터치 스크린 쪽으로 압력을 가했을 때 버튼이 눌려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버튼이 눌려졌을 때 서버는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와 터치 스크린 터치부(401a, 401b, 401c)가 접촉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즉, 버튼이 눌려졌다는 것은 서비스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들고 데이터 전송 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와서 데이터 전송 장치(400)와 접촉하였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서버는 버튼이 눌려지면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데이터 전송 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방문했으므로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방문 데이터를 전송할 것이라는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 스크린 터치부(401a, 401b, 401c)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 터치부(401a, 401b, 401c)는 세 개로 이루어졌으나 이는 예시일 뿐, 한 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터치부(401a, 401b, 401c)는 비전도성 재질이면서 터치 스크린에 손상을 주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부(402)에 의해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터치부(401a, 401b, 401c)에 의해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이 터치됨으로써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데이터 전송 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방문했음을 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버튼이 눌려지고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서버로부터 방문 데이터가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 안에 상기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에만 상기 방문 데이터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로 전송된 방문 데이터는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스크린에 도 7에 도시된 적립 쿠폰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장치(400)에 버튼부(403)가 눌리는 경우를 방문 데이터가 전송되는 일 조건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데이터 전송 장치(400)가 움직임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들로부터 데이터 전송 장치(4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일 조건으로 하여 방문 데이터가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이 터치 스크린 터치부(401a, 401b, 401c)에 의해 터치되는 것을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데이터 전송 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방문했음을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일 조건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터치 스크린 터치부(401a, 401b, 401c)로부터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는 것이 아니고, 터치 스크린 터치부(401a, 401b, 401c)가 물리적으로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누름으로써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움직일 수 있고, 이 움직임을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센서들이 감지함으로써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데이터 전송 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방문했음을 서버에 전송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는 탄성력을 가진 재질을 가진 받침대에 놓여질 수 있고, 데이터 전송 장치(400)가 받침대에 놓여있는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를 터치 스크린 터치부로 누를 때 데이터 전송 장치(400) 및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받침대의 탄성으로 인하여 이동하는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방문하였음을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장치(400) 및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한다는 것은 데이터 전송 장치(400)가 연결되어 있는 POS, 메인 컴퓨터 등의 컴퓨터의 위치 및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위치 센서(예를 들어, GPS 등)에 감지된 위치를 기반으로 감지할 수 있거나, 데이터 전송 장치(400)가 자체적으로 위치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장치(400)의 위치 센서 및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위치 센서에서 감지된 위치를 기반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400)는 버튼이 눌려졌을 때 상기 서버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방문 데이터를 전송할 것이라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터치부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장치는 위치 센서 및 움직임 센서 기반으로 자신이 데이터 전송 장치(400)가 위치한 장소에 위치되었음을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는 탄성력을 가지는 받침대에 올려져 있을 수 있고, 데이터 전송 장치(400)의 터치 스크린 터치부가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할 때, 데이터 전송 장치(400)의 버튼이 눌리고, 또한, 무선 통신 장치 및 받침대가 눌려지면서 무선 통신 장치의 움직임이 움직임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이 움직임이 감지되면, 무선 통신 장치는 서버에 터치 스크린 터치부에 의해 자신의 터치 스크린이 터치되었음을 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서버는 방문 데이터를 무선 통신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데이터 전송 장치를 이용한 방문 데이터 기록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전송 장치(502)의 터치 스크린 터치부를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501)에 터치시킴으로써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501)에 방문 데이터가 도 7에 도시된 적립 쿠폰의 형식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도장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데이터 전송 장치(502)를 이용하여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501)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종이 쿠폰의 형태의 적립 쿠폰에 마치 도장을 찍는 듯한 인터페이스로 쿠폰을 적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사용자 및 제공자가 쿠폰 적립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 데이터 기록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은 미리 결정된 장소에 위치되어 있는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장소를 방문했다는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701). 그 다음에,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서비스제공자의 전자 장치가 위치되어 있는 장소를 방문했다는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702). 그 다음에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장소를 방문했음을 표시하는 방문 데이터가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703). 마지막으로,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상기 방문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문양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704).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서비스제공자의 계정 및 서비스사용자의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자는 서비스제공매장의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서비스제공자의 계정을 생성할 때, 서비스제공매장의 상호, 서비스의 종류, 분류, 제공 장소, 대표자, 개별적인 서비스제공자의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자의 계정은 음식점, 커피숍, 헤어숍, 네일숍 등과 같은 매장 단위로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음식점의 테이블 담당자, 커피숍의 바리스타, 헤어숍의 헤어디자이너, 네일숍의 네일 관리자 등과 같은 개별적인 서비스제공자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서비스사용자의 계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서비스사용자는 홈페이지, 스마트폰(예를 들어, 태블릿 PC등을 포함)의 애플리케이션 등에 자신의 신상 정보, 예를 들어, 이름, 주민 번호, 메일 주소 등을 입력함으로써 정식으로 입력하여 서비스사용자의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폰 등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매장을 방문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서비스사용자의 스마트폰의 고유 번호 또는 고유 ID(예를 들어, 애플사의 아이폰에서 UDID 등) 등을 사용하여 서비스사용자의 신상 정보 없이도 서비스사용자의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서비스사용자의 계정은 스마트폰 등에 저장됨으로써 서비스제공매장이 인증할 수 있다.
서비스사용자가 서비스제공자를 방문하였다는 방문 데이터는 서비스제공매장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개별적인 서비스제공자 단위로 적립될 수 있다. 즉, 서비스제공매장, 예를 들어, 카페에 방문하였음이 적립될 수 있거나, 또는 서비스제공자, 예를 들어, 특정 바리스타를 방문하였음이 적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자, 예를 들어, 특정 바리스타를 방문하였음을 적립하기 위해서, 특정 바리스타의 계정으로 로그인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방문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특정 바리스타의 계정으로 정해져 있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해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방문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방문 데이터가 서버에 축적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적립 쿠폰의 형태로 서비스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서비스사용자의 방문 횟수, 방문 매장의 위치, 주문 내용, 주문 금액 등의 내용(이에 제한되지 않음)으로 서버에 축적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는 서비스제공매장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이터일 수도 있고,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이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헤어숍에서 헤어커트는 서비스제공자(A)에게 받고, 파마는 서비스제공자(B)에게 받았을 경우 그 서비스 내용은 서비스제공매장 단위로 헤어커트 및 파마라는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고, 서비스제공자(A)에게 헤어커트, 서비스제공자(B)에게 파마라는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는 서비스제공자 또는 서비스사용자 모두가 언제든지 서버로부터 불러와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축적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서비스사용자에게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사용자의 방문 횟수가 축적됨에 따라 10회를 방문했다는 데이터가 나오는 경우, 서비스사용자에게 1회 무료 사용쿠폰을 발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상 내용은 예를 들어, 마일리지 적립, 적립금 반환, 상품 제공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와 같은 보상의 내용은 서비스제공자 또는 서비스사용자 모두가 언제든지 서버로부터 불러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비스사용자에 대한 보상은 서비스사용매장 또는 개별적인 서비스제공자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즉, 서비스사용매장, 예를 들어, 헤어숍에 10회 방문한 것을 기준으로 1회 커트 무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서비스제공자, 예를 들어, 특정 헤어디자이너에게 10회 방문한 것을 기준으로 1회 커트 무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개별적인 서비스제공자 단위로 누적 사용에 대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제공자가 매장을 옮긴다고 하더라도 서비스제공자를 따라 서비스사용자가 매장을 바꿔서 계속해서 혜택을 쌓아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서비스사용자에 의해 서버에 서비스제공매장 또는 개별적인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평가가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평가 내용은 다른 서비스사용자들에 대하여 페이스북 등과 같은 SNS를 통하여 또는 자체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또는 개별적인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평가는 서비스제공매장의 대표자만이 열람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서비스제공매장의 대표자는 개별적인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평가를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상벌을 줄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등에서 행해지는 모임 등에 실제 참가한 사람들로부터 설문을 받는 경우, 위와 같은 방문 데이터가 전송된 전자 장치에만 설문을 받도록 하거나, 투표할 수 있는 권한을 주도록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위치 및 움직임을 인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을 포함한 무선 통신 장치;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방문했다는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존재한다고 감지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키들 중 미리 결정된 키가 눌려지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미리 결정된 움직임이 실행되었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방문했다는 방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키들 중 미리 결정된 키는 스페이스 바일 수 있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미리 결정된 움직임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좌우로 한번 흔드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키들 중 미리 결정된 키가 눌려지는 것과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미리 결정된 움직임이 실행되었음이 감지되는 것의 시간차가 미리 결정된 조건 이내일 때에만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키들 중 미리 결정된 키가 눌려지는 것과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미리 결정된 움직임이 실행되었음이 감지되는 것의 시간차가 5초 이내인 경우에만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존재한다고 감지되는 것은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위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센서로부터 감지된 위치가 미리 결정된 조건 이내일 때에만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위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센서로부터 감지된 위치가 5m 이내일 때에만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위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 센서로부터 감지할 수도 있고,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신고된 가맹점, 서비스제공자 등의 위치로부터 파악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들을 포함한 무선 통신 장치; 상기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방문했다는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포함된 위치 센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존재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키들 중 미리 결정된 키가 눌려지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키들 중 미리 결정된 키가 눌려지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방문했다는 방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키들 중 미리 결정된 키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버튼일 수 있고,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키들 중 미리 결정된 키는 스페이스 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키들 중 미리 결정된 키가 눌려지는 것과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키들 중 미리 결정된 키가 눌려지는 것의 시간차가 미리 결정된 조건 이내일 때에만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키들 중 미리 결정된 키가 눌려지는 것과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키들 중 미리 결정된 키가 눌려지는 것의 시간차가 5초 이내인 경우에만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존재한다고 감지되는 것은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위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센서로부터 감지된 위치가 미리 결정된 조건 이내일 때에만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위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센서로부터 감지된 위치가 5m 이내일 때에만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위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 센서로부터 감지할 수도 있고,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신고된 가맹점, 서비스제공자 등의 위치로부터 파악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여기서 제시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별한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특별한 컴퓨터,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별한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버, 단말기 등 사이에서의 데이터 통신은 모든 근거리 및 장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서버에 연결되어 무선 통신 장치로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버튼이 눌려졌을 때 상기 서버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방문 데이터를 전송할 것이라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터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방문 데이터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전송되는, 서버에 연결되어 무선 통신 장치로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전류를 전달하기 위해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인, 서버에 연결되어 무선 통신 장치로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를 컴퓨터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연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터치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받는, 서버에 연결되어 무선 통신 장치로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4. 서버에 연결되어 무선 통신 장치로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움직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터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센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위치되었음이 감지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터치부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할 때 발생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의 움직임을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하면 상기 방문 데이터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전송되는, 서버에 연결되어 무선 통신 장치로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5. 서버에 연결되어 무선 통신 장치로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버튼이 눌려졌을 때 상기 서버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방문 데이터를 전송할 것이라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터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 센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위치되었음이 감지되고, 상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터치 스크린 터치부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할 때 발생하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움직임을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센서부에서 감지하면 상기 방문 데이터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전송되는, 서버에 연결되어 무선 통신 장치로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KR1020120133695A 2012-11-23 2012-11-23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KR101414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695A KR101414021B1 (ko) 2012-11-23 2012-11-23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PCT/KR2013/010561 WO2014081189A1 (ko) 2012-11-23 2013-11-20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JP2015543967A JP6080972B2 (ja) 2012-11-23 2013-11-20 無線通信装置の訪問データを記録するためのデータ伝送装置
US14/647,038 US20150339697A1 (en) 2012-11-23 2013-11-20 Data transmission apparatus for recording visit data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201380061089.6A CN104813694A (zh) 2012-11-23 2013-11-20 一种用于记录无线通信装置的访问数据的数据传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695A KR101414021B1 (ko) 2012-11-23 2012-11-23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896A true KR20140066896A (ko) 2014-06-03
KR101414021B1 KR101414021B1 (ko) 2014-07-03

Family

ID=5077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695A KR101414021B1 (ko) 2012-11-23 2012-11-23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339697A1 (ko)
JP (1) JP6080972B2 (ko)
KR (1) KR101414021B1 (ko)
CN (1) CN104813694A (ko)
WO (1) WO20140811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149A1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투게더 방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2055B1 (en) * 2018-07-03 2022-03-23 Sony Network Communications Europe B.V. Methods for securely validating localiz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ed devices
US11869049B2 (en) * 2020-10-13 2024-01-09 Roman Kikirov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hair and beauty services consumers to individual service providers via mobile platform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220A (ja) * 1991-09-30 1993-04-09 Nkk Corp 電子捺印装置
JP2000231626A (ja) 1998-12-07 2000-08-22 Hitachi Ltd 電子筆記具および電子記載方法
JP2002196869A (ja) * 2000-12-27 2002-07-12 Toshiba Corp 入力装置
JP2003030591A (ja) * 2001-07-10 2003-01-31 Tasnet:Kk 携帯情報端末を利用した個人認証システム
US20040243519A1 (en) * 2003-06-02 2004-12-02 Nokia Corporation Prompted electronic mobile-ser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s with validation
JP2006018824A (ja) * 2005-06-20 2006-01-19 Toshiba Corp 電子クーポン回収方法および電子クーポン回収システム
JP4847077B2 (ja) 2005-09-02 2011-12-28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電子印鑑システム、電子印鑑、電子印鑑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4807702B2 (ja) 2006-05-10 2011-11-02 シヤチハタ株式会社 電子印鑑処理装置等
CN201184993Y (zh) * 2008-03-07 2009-01-21 李明 分体式触摸屏无线键盘
JP5577202B2 (ja) * 2009-11-30 2014-08-20 高司 山本 情報処理装置用の駆動装置及びマルチタッチ機能を利用した情報処理システム
JP5470102B2 (ja) * 2010-03-09 2014-04-16 ヤフー株式会社 携帯端末、車載端末、スタンプカード管理方法、およびスタンプカード管理プログラム
CN201796348U (zh) * 2010-08-12 2011-04-13 上海科斗电子科技有限公司 采用无线方式传输数据的触摸屏
JP5555200B2 (ja) * 2011-04-14 2014-07-2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タッチ・パネルを備える電子機器をウェイク・アップする方法および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149A1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투게더 방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4021B1 (ko) 2014-07-03
JP6080972B2 (ja) 2017-02-15
US20150339697A1 (en) 2015-11-26
JP2016504822A (ja) 2016-02-12
CN104813694A (zh) 2015-07-29
WO2014081189A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212B1 (ko)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JP5753023B2 (ja) 管理システム、管理サーバ及び管理方法
JP2015018437A (ja) 特典使用のための端末装置、icタグ、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414021B1 (ko)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KR101477692B1 (ko)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9781A (ko) 쿠폰을 제공하는 단말과 쿠폰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3041405A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システム
US20140078095A1 (e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touch screen display
KR101486845B1 (ko)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KR20150052886A (ko)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US11593831B2 (en) Redeeming multiple redeemable codes in a single transaction
KR101591785B1 (ko) 데이터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7124A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KR101571508B1 (ko) 이벤트 기반의 리워드 서비스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539722B1 (ko) 잠금 패턴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광고 장치 및 그 방법
JP6764145B2 (ja) 認証方法、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サーバコンピュータ及び認証プログラム
JP6400698B2 (ja) 登録電話
KR102370377B1 (ko) 사용자 장치,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490818B1 (ko)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2497A (ko) 방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1003A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130186A (ko) 모바일 멤버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5424A (ko)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