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124A -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124A
KR20210127124A KR1020210132602A KR20210132602A KR20210127124A KR 20210127124 A KR20210127124 A KR 20210127124A KR 1020210132602 A KR1020210132602 A KR 1020210132602A KR 20210132602 A KR20210132602 A KR 20210132602A KR 20210127124 A KR20210127124 A KR 20210127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module
prepayment
coup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균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투씨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7124A/ko
Publication of KR2021012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따르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유무선망을 통해 선결제 처리하여 생성된 선결제 쿠폰을 다운로드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선결제 쿠폰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입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선결제 쿠폰을 사용 가능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의 개수와 매칭된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를 통해 인식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선결제 쿠폰을 사용 가능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 매칭되는지 인증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내에 설정된 지정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범위 내 매칭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처리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한다.

Description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Method for Operating Prepaid Coupon of Offline Store by using Touch Module}
본 발명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유무선망을 통해 선결제 처리하여 생성된 선결제 쿠폰을 다운로드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선결제 쿠폰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입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선결제 쿠폰을 사용 가능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의 개수와 매칭된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를 통해 인식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선결제 쿠폰을 사용 가능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 매칭되는지 인증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내에 설정된 지정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범위 내 매칭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처리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선결제한 후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기 선결제한 상품을 수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등)로 상기 온라인을 통해 선결제된 상품에 대응하는 바코드 이미지를 제공해야 했고,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바코드 이미지를 인식하여 승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POS 단말이 설치되어 있어야 했다.
그러나 종래 온라인을 통해 선결제한 상품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령하기 위해 이용되는 바코드 이미지는 용이하게 위조 또는 변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아무리 암호화하더라도 바코드 이미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화면에 바코드 이미지를 출력해야 하므로 간단한 화면 캡쳐를 통해 용이하게 무단 도용이 가능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종래 온라인을 통해 선결제한 상품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령하기 위해서는 오프라인 매장에 바코드를 인식하는 POS 단말을 설치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POS 단말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에 대한 선결제를 처리 및 관리하는 각종 서버를 연결하여 관리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오프라인 매장은 POS 단말을 구축하는 비용은 물론, 이를 각종 서버와 연결하여 유지 보수하는 비용을 지속적으로 지출해야 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유무선망을 통해 선결제 처리하여 생성된 선결제 쿠폰을 다운로드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선결제 쿠폰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입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선결제 쿠폰을 사용 가능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의 개수와 매칭된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를 통해 인식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선결제 쿠폰을 사용 가능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 매칭되는지 인증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내에 설정된 지정 절차를 수행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범위 내 매칭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처리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유무선망을 통해 선결제 처리하여 생성된 선결제 쿠폰을 다운로드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선결제 쿠폰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입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선결제 쿠폰을 사용 가능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의 개수와 매칭된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를 통해 인식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선결제 쿠폰을 사용 가능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 매칭되는지 인증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내에 설정된 지정 절차를 수행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범위 내 매칭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처리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은,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메뉴 선택 영역, 버튼 영역, 아이콘 선택 영역, 터치 기반 문자 입력을 위한 키보드 인터페이스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절차는,상기 터치모듈에 배치된 터치부의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 확인 시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가 상기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되지 않게 인터럽트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절차는,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기 위한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선결제 쿠폰을 사용 가능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의 개수와 매칭도지 않는 터치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터치이벤트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지정 터치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이벤트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결제 쿠폰을 상기 인증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적용 시 상기 선결제 쿠폰을 적용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가치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유무선망을 통해 선결제 처리하여 생성된 선결제 쿠폰을 다운로드하거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선결제 쿠폰과 관련된 사용자 조작을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입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의 지정 개수와 매칭되지 않는 터치이벤트 확인 시 상기 터치이벤트를 통해 인식되는 터치 점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하고, 상기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의 지정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 확인 시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를 통해 인식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 매칭되는지 인증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내에 설정된 지정 절차를 수행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범위 내 매칭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처리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은,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 기반 문자 입력을 기반으로 사용자 간 대화를 형성 또는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은, 터치 기반 문자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키보드 인터페이스 상의 키 버튼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은, 터치 기반 문자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문자 입력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은, 문자 입력 기반의 대화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메뉴 선택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상의 버튼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은,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상의 아이콘 선택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관계는, 터치 점 간의 거리 관계, 터치 점 간의 각도 관계, 지정된 기준 점과 각 터치 점 간의 거리 관계, 지정된 기준 점과 각 터치 점 간의 각도 관계, 지정된 좌표 상의 원점과 각 터치 점 간의 거리 관계, 지정된 좌표 상의 원점과 각 터치 점 간의 각도 관계, 지정된 기준 선과 각 터치 점 간의 각도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절차는, 상기 터치모듈에 구현된 설계 상의 터치부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의 터치이벤트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절차는, 상기 터치모듈에 배치된 터치부의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 확인 시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가 상기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되지 않게 인터럽트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절차는,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절차는,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기 위한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절차는,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들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게 처리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절차는,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들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모듈에 배치된 터치부의 개수와 매칭되지 않는 터치이벤트 확인 시 상기 터치이벤트를 통해 인식되는 터치 점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결제 쿠폰을 상기 인증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적용 시 상기 선결제 쿠폰을 적용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가치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선결제 처리하여 생성된 선결제 쿠폰을 제공받거나 또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상기 선결제 쿠폰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이벤트 발생 시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터치 특성이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의 터치 특성과 매칭되는지 인증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내에 설정된 지정 절차를 수행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터치 특성을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의 터치 특성으로 매칭 인증 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이 터치된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이벤트 발생 시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에 배치되는 설계 상의 터치부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의 터치이벤트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터치부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 확인 시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를 통해 인식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이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내에 설정된 지정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터치부 개수와 매칭되지 않는 터치이벤트 확인 시 상기 터치이벤트를 통해 인식되는 터치 점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지정 터치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 기반 문자 입력을 기반으로 사용자 간 대화를 형성 또는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터치 영역은 터치 기반 문자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키보드 인터페이스 상의 키 버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터치 영역은 터치 기반 문자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문자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터치 영역은 문자 입력 기반의 대화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메뉴 선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터치 영역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상의 버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터치 영역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상의 아이콘 선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은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하학적 관계는 터치 점 간의 거리 관계, 터치 점 간의 각도 관계, 지정된 기준 점과 각 터치 점 간의 거리 관계, 지정된 기준 점과 각 터치 점 간의 각도 관계, 지정된 좌표 상의 원점과 각 터치 점 간의 거리 관계, 지정된 좌표 상의 원점과 각 터치 점 간의 각도 관계, 지정된 기준 선과 각 터치 점 간의 각도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지정 개수의 터치 점이 인식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지정된 일 시점에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복수의 터치 점이 인식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지정된 일 시점에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NFC모듈을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복수의 터치 점이 인식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지정된 일 시점에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드 값은 상기 터치모듈에 구비된 전자모듈에 고유 저장된 코드 값, 상기 터치모듈의 터치 시점에 상기 단말기 근처의 전자모듈에 고유 저장된 코드 값, 상기 터치모듈을 구비된 전자모듈을 통해 동적으로 생성된 일회용의 코드 값, 상기 터치모듈의 터치 시점에 상기 단말기 근처의 전자모듈을 통해 동적으로 생성된 일회용의 코드 값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절차는 상기 터치모듈에 구현된 설계 상의 터치부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의 터치이벤트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절차는 상기 터치모듈에 구현된 설계 상의 터치 특성과 매칭되는 다중 터치의 터치이벤트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계 상의 터치 특성은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동시에 터치되지 않는 비동시 터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계 상의 터치 특성은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동시에 터치되는 동시 터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계 상의 터치 특성은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 중 일부의 터치부가 먼저 터치된 후 다른 일부의 터치부가 지정된 순서에 따라 나중에 터치되어 지정 개수의 터치 점을 형성하는 순차 터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계 상의 터치 특성은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 중 일부의 터치부가 먼저 터치된 후 나머지 터치부가 나중에 터치되어 지정 개수의 터치 점을 형성하는 순차 터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절차는 상기 터치모듈에 배치된 터치부의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 확인 시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가 상기 지정 터치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되지 않게 인터럽트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절차는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절차는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기 위한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절차는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들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게 처리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절차는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들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터치모듈에 배치된 터치부의 개수와 매칭되지 않는 터치이벤트 확인 시 상기 터치이벤트를 통해 인식되는 터치 점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지정 터치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터치 특성을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의 터치 특성으로 매칭 인증 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공하는 유무형의 상품 중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선결제 상품에 상기 선결제 쿠폰이 적용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터치 특성을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의 터치 특성으로 매칭 인증 시 상기 터치모듈의 터치 특성 인증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가치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은, 상기 선결제 쿠폰을 상기 인증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적용 시 상기 선결제 쿠폰을 적용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가치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세계 어느 국가 어느 지역에 위치하는 오프라인 매장이든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은 해당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 중 선결제 쿠폰을 이용하여 판매할 선결제 대상 상품을 지정하여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미리 선결제 하도록 처리한 후, 별도의 POS 연동 없이(또는 연동하더라도 무방)도 상기 선결제 대상 상품을 선결제한 후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해장 매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터치모듈을 터치하여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상품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세계 스마트폰 사용 인구 중 대다수의 인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사용하는 소셜 앱(예컨대, 다음카카오의 카카오톡 또는 텐센트사의 위챗 등)을 통해 전세계 다양한 국가 및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선결제 하도록 처리한 후, 사용자가 선결제한 상품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 시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소셜 앱을 구동한 후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을 스마트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는 것만으로 해당 매장에서 제공하는 상품을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의 측면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모듈에 대한 인증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을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간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모듈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에 대한 선결제 및 선결제 쿠폰 획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선결제 쿠폰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모듈에 대응하는 터치 점을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선결제 쿠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가치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서 서버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단말 측에 구현하고 서버 측에서 이를 참조하는 실시예, 또는 반대로 하기의 실시예에서 단말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서버 측에 구현하고 단말에서 이를 이용하는 실시예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선결제하여 생성된 선결제 쿠폰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제공받은 후, 상기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300)이 터치 인식되어 인증되는 경우에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으로 하여금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제공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스템의 기능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물리적 시스템 구성은,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과,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를 정전식 터치 가능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서버(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을 위한 사람의 손가락에 의한 정전식 터치와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를 구별하기 위해 터치모듈(300)에 구비되는 터치부(305)의 개수는 복수인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를 전자모듈과 연동하여 인증할 경우 상기 터치부(305)의 개수는 하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터치부(305)의 개수가 복수인 실시예와 하나인 실시예를 모두 권리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무선단말(예컨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단말기(200)가 무선단말로만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어떠한 장치(예컨대, 노트북, 스마트TV, 네비게이션장치 등)라도 포함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터치모듈(300)은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정전식으로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모듈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유무형의 상품을 판매하여 제공하는 제공자(Provider) 측에 구비(또는 보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단,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모듈(300)을 소지하고 제공자 측이 단말기(20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함). 이하, 상기 터치모듈(300)을 보유하고 있는 측을 ‘가맹점’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맹점은 정전식으로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 매장, 상점, 기관, 기업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모듈(300)은 상기 가맹점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의 터치모듈(300)은 해당 가맹점을 식별 및/또는 인증하는 수단, 해당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식별 및/또는 인증하는 수단, 상기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상품을 구매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대상(예컨대, 각종 정보, 카드 등)을 식별 및/또는 인증하는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가맹점은 상기 유무형의 상품을 제공하기 위해 단말장치(예컨대, POS 단말 등)를 구비하여 운영할 수 있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가맹점 측 단말장치 없이 상기 가맹점의 터치모듈(300)이 터치되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해서도 유무형의 상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가맹점 측 단말장치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논리적 시스템 구성은, 터치 기반 문자 입력을 기반으로 사용자 간 대화를 형성 또는 처리하는 응용모듈(100)과,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선결제 처리하여 생성된 쿠폰을 제공받거나 및/또는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5)에 저장하는 선결제모듈(112)과, 상기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다중 터치 인식된 정전식 터치의 터치 특성을 인식하는 인식모듈(124)과, 상기 인식모듈(124)을 통해 다중 터치 인식된 정전식 터치의 터치 특성을 판독하여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인증모듈(138)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모듈(138)을 통해 상기 정전식 터치의 터치 특성을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으로 매칭 인증 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쿠폰처리모듈(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응용모듈(100)은 단말기(20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 기반 문자 입력을 기반으로 사용자 간 대화를 형성 또는 처리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200)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코드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2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응용모듈(100)은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다음카카오의 카카오톡 앱, 텐센트사의 위챗 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결제모듈(112)은 상기 응용모듈(100)과 연계하여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유무형의 상품에 대한 선결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선결제 처리되어 생성된 선결제 쿠폰을 제공받거나 및/또는 상기 선결제 쿠폰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200)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코드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응용모듈(100)을 구현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응용모듈(100)과 연동하는 프로그램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식모듈(124)은 상기 응용모듈(100)을 통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 기반 문자 입력을 기반으로 사용자 간 대화를 형성 또는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상기 선결제 쿠폰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의 터치 특성을 인식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200)에 탑재 또는 실시간 로딩되는 프로그램코드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응용모듈(100)을 구현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예컨대, 터치 특성을 인식하는 SDK 형태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응용모듈(100)과 연동하는 프로그램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포함되는 스크립트코드의 형태로 상기 단말기(200)에 로딩될 수 있다.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인식모듈(124)을 통해 인식된 터치 특성이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모듈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서버(136) 상에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와 서버(136) 상에 분산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모듈(138)은 프로그램코드화되어 상기 단말기(200)에 탑재(예컨대, 애플리케이션에 SDK 형태로 포함)되거나 또는 실시간 로딩(예컨대, 웹페이지의 스크립트코드 형태로 로딩)되더라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쿠폰처리모듈(160)은 상기 인식모듈(124)을 통해 인식된 터치 특성이 상기 인증모듈(138)을 통해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으로 매칭 인증 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이 제공되도록 처리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200)에 탑재 또는 실시간 로딩되는 프로그램코드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응용모듈(100)을 구현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응용모듈(100)과 연동하는 프로그램모듈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로 실시간 로딩(예컨대, 웹페이지의 스크립트코드 형태로 로딩)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응용모듈(100)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 기반 문자 입력을 기반으로 사용자 간 대화를 형성 또는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상기 응용모듈(100)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표시부(102)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이벤트 발생 시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를 확인하는 터치이벤트 확인부(104)를 구비하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사용자 간 대화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부(305) 개수와 매칭되지 않는 터치이벤트 확인 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사용자 간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 서비스부(106)를 구비하고,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상기 연계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부(305) 개수와 매칭되지 않는 터치이벤트 확인 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연계 서비스를 로딩하는 연계 서비스부(10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용모듈(100)은, 하기의 인식모듈(124)에 구현된 터치 특성 판별부(128)(또는 적어도 하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의 일부 기능)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가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의 터치 특성과 매칭되는 특성을 지닌 다중 터치의 터치이벤트인지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02)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상기 응용모듈(100)과 연관된 각종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프로그램화된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 기반 문자 입력을 기반으로 사용자 간 대화를 형성 또는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상기 응용모듈(100)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연계 서비스를 로딩하기 위한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02)를 통해 사용자 간 대화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지정 터치 영역은, 터치 기반 문자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키보드 인터페이스 상의 키 버튼 영역(예컨대, 키보드 인터페이스 상의 각 키 버튼 터치 영역), 터치 기반 문자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문자 입력 영역(예컨대, 문자 입력 영역을 문자(또는 문자열) 선택이나 복사, 붙여넣기, 잘라내기, 아이콘 클릭 등의 조작을 위한 영역), 문자 입력 기반의 대화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메뉴 선택 영역(예컨대, 설정 화면, 친구 찾기, 친구 선택 등) 중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02)를 통해 사용자 간 대화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만약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상기 터치이벤트를 통해 인식된 터치 점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지정 터치 영역과 연관된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이거나, 적어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조작(예컨대, 핀치투줌을 이용한 확대/축소 등)을 위한 터치일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02)를 통해 사용자 간 대화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도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터치이벤트 확인부(104)는 상기 사용자 간 대화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이벤트 발생 시 상기 단말기(200)의 운영체제를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를 적어도 1회 이상 판독하여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가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인지 확인한다.
한편 상기 응용모듈(100)에 하기 인식모듈(124)의 터치 특성 판별부(128)(또는 적어도 하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의 일부 기능)가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는 상기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 터치부(305)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가 터치모듈(300)에 구현된 설계 상의 터치 특성과 매칭되는 다중 터치의 터치이벤트인지 판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계 상의 터치 특성은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동시에 터치되지 않는 비동시 터치 특성,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동시에 터치되는 동시 터치 특성,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 중 일부의 터치부(305)가 먼저 터치된 후 다른 일부의 터치부(305)가 지정된 순서에 따라 나중에 터치되어 지정 개수의 터치 점을 형성하는 순차 터치 특성,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 중 일부의 터치부(305)가 먼저 터치된 후 나머지 터치부(305)가 나중에 터치되어 지정 개수의 터치 점을 형성하는 순차 터치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 인식모듈(124)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이벤트 확인부(104)는 상기 사용자 간 대화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터치 점 개수가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 터치부(305) 개수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모듈(300)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5개의 터치부(305)가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된다면, 상기 터치이벤트 확인부(104)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5개의 터치 점에 대응하는 다중 터치의 터치이벤트가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터치이벤트 확인부(104)를 통한 터치이벤트 확인 결과 상기 터치모듈(300)의 터치부(305) 개수와 매칭되지 않는 터치이벤트(예컨대, 터치부(305) 개수 미만 또는 터치부(305) 개수를 초과하는 터치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터치 점은 상기 사용자 간 대화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지정 터치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되며, 상기 대화 서비스부(106)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의 터치 점을 상기 사용자 간 대화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지정 터치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하고, 사용자 간 대화를 위한 네트워크 상의 응용서버(182)와 연동하여 사용자 간 대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응용모듈(100)과 연계된 연계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 간 대화 이외에 상기 응용모듈(100)을 통해 직접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응용모듈(100)과 제휴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총칭으로서, 상기 선결제모듈(112)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상기 쿠폰처리모듈(160)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응용모듈(100)과 연계된 각종 게임, 전자쇼핑 등도 상기 연계 서비스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02)를 통해 연계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지정 터치 영역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의 버튼 영역(예컨대, 각종 게임 등의 실행이나 연동을 위한 영역, 각종 쇼핑 등의 실행이나 연동, 구매, 결제 등을 위한 영역),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표시된 상기 프로그램(220)의 실행 화면 상의 아이콘 선택 영역(예컨대, 각종 게임이나 쇼핑몰 등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02)를 통해 연계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만약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상기 터치이벤트를 통해 인식된 터치 점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지정 터치 영역과 연관된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이거나, 적어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조작(예컨대, 핀치투줌을 이용한 확대/축소 등)을 위한 터치일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02)를 통해 연계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도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를 고려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연계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를 고려한다면, 상기 터치이벤트 확인부(104)는 상기 연계 서비스를 로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이벤트 발생 시 상기 단말기(200)의 운영체제를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를 적어도 1회 이상 판독하여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가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용모듈(100)에 하기 인식모듈(124)의 터치 특성 판별부(128)(또는 적어도 하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의 일부 기능)가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는 상기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 터치부(305)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가 터치모듈(300)에 구현된 설계 상의 터치 특성과 매칭되는 다중 터치의 터치이벤트인지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이벤트 확인부(104)는 상기 연계 서비스를 로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터치 점 개수가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 터치부(305) 개수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모듈(300)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5개의 터치부(305)가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된다면, 상기 터치이벤트 확인부(104)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5개의 터치 점에 대응하는 다중 터치의 터치이벤트가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터치이벤트 확인부(104)를 통한 터치이벤트 확인 결과 상기 터치모듈(300)의 터치부(305) 개수와 매칭되지 않는 터치이벤트(예컨대, 터치부(305) 개수 미만 또는 터치부(305) 개수를 초과하는 터치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터치 점은 상기 연계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지정 터치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되며, 상기 연계 서비스부(108)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의 터치 점을 상기 연계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지정 터치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하여 상기 연계 서비스를 로딩한다. 이후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는 상기 연계 서비스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연계 서비스는 상기 응용모듈(100)이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응용모듈(100)이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상의 지정된 응용서버(182)와 연동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응용모듈(100)과 제휴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응용모듈(100)과 제휴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상의 지정된 응용서버(182)와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연계 서비스가 상기 응용모듈(100)이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된다면,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02)는 상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터치이벤트 확인부(104)는 상기 사용자 간 대화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터치모듈(300)의 터치부(305)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의 터치이벤트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연계 서비스부(108)는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공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선결제 처리하는 선결제모듈(112)을 로딩시킬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선결제모듈(112)은,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공하는 유무형의 상품 중 하나 이상의 선결제 대상 상품에 대응하는 선결제 대상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선결제 대상 표시부(114)와, 상기 선결제 대상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선결제 상품에 대한 선결제 금액을 결제 처리하는 선결제 처리부(116)와, 상기 선결제 처리된 선결제 상품에 대한 선결제 쿠폰을 생성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는 선결제 쿠폰 획득부(118)와, 상기 선결제 쿠폰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선결제 쿠폰 저장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선결제 쿠폰이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와 연동되도록 관리하는 선결제 쿠폰 관리부(122)를 구비한다.
상기 선결제 대상 표시부(114)는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공하는 유무형의 상품 중 선결제 후 상기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300)을 터치하여 제공받을 하나 이상의 선결제 대상 상품에 대응하는 선결제 대상 상품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상기 확인된 선결제 대상 상품 정보를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결제 대상 표시부(114)는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공하는 유무형의 상품 중 선결제 대상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선결제쿠폰서버(186)로부터 상기 선결제 대상 상품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선결제 대상 표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결제 대상 표시부(114)는 선결제쿠폰서버(186)로부터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선결제 대상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선결제 대상 상품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선결제 대상 표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결제 대상 표시부(114)는 상기 단말기(200)의 로밍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200)가 위치한 국가(예컨대, 단말기(200)가 가입된 통신사가 위치한 국내, 또는 단말기(200) 로밍 서비스를 통해 로밍 중인 해외 등)를 확인하고, 선결제쿠폰서버(186)로부터 상기 확인된 국가에 위치하는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공하는 선결제 대상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선결제 대상 표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결제 대상 표시부(114)는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 측위모듈(213)을 통해 상기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역을 확인하고, 선결제쿠폰서버(186)로부터 상기 확인된 지역에 위치하는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공하는 선결제 대상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선결제 대상 표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결제 대상 표시부(114)는 상기 제1 내지 제3 선결제 대상 표시 실시예 중 둘 이상의 실시예를 조합한 형태로 선결제쿠폰서버(186)로부터 선결제 대상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선결제 대상 표시부(114)를 통해 표시된 하나 이상의 선결제 대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선결제 대상 상품이 선결제 처리할 선결제 상품으로 선택되면, 상기 선결제 처리부(116)는 지정된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선결제 상품에 대응하는 선결제 금액의 결제를 처리하는 선결제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결제 금액은 상기 사용자가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선결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을 현장 결제하는 금액보다 할인된 금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상기 선결제는 현장 결제보다 사용자에게 더 많은 이득이 발생하는 결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결제 금액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부터 상기 선결제 상품을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전체 결제금액(예컨대, 현장 결제 시 결제금액 또는 상기 할인된 금액) 중 일부 금액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나머지 금액은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현장 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선결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결제 처리부(116)는 포인트 결제수단(예컨대, 사용자에게 적립된 포인트를 현금으로 환산하여 결제하는 결제수단)을 구비하며, 사용자에게 적립된 포인트를 결제수단으로 기반으로 상기 포인트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시스템(184)과 연동하여 상기 선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선결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결제 처리부(116)는 충전형 결제수단(예컨대, 사용자의 선불계정으로 포인트/현금을 충전하는 결제수단)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충전한(또는 사용자의 지정된 행위에 의한 결과로서 충전된) 소정의 충전금(예컨대, 충전 포인트 또는 충전 자금)을 기반으로 상기 충전형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시스템(184)과 연동하여 상기 선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선결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결제 처리부(116)는 사용자의 신용 결제수단(예컨대, 신용카드사에서 사용자에게 발급한 신용카드 결제수단)을 이용한 결제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의 신용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상기 신용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시스템(184)과 연동하여 상기 선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선결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결제 처리부(116)는 사용자의 직불형 결제수단(예컨대, 체크카드 결제수단, 직불카드 결제수단, 현금카드 결제수단, 계좌이체 결제수단 등)을 이용한 결제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의 직불형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상기 직불형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시스템(184)과 연동하여 상기 선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선결제 처리부(116)를 통해 상기 선택된 선결제 상품의 선결제 금액이 선결제 승인되면, 상기 선결제 쿠폰 획득부(118)는 상기 선결제 처리부(116)를 통해 선결제 처리된 선결제 상품에 대한 선결제 쿠폰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선결제 상품의 선결제 쿠폰을 제공하는 선결제쿠폰서버(186)로부터 상기 결제 처리된 선결제 상품에 대한 선결제 쿠폰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결제 쿠폰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가맹점의 터치모듈(300)을 터치하여 인증된 경우에 상기 선결제 처리한 선결제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는 권리를 증명하는 전자적 증표로서, 예를들어 상기 선결제 상품에 대한 교환권리, 예약권리, 서비스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결제 쿠폰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가맹점의 터치모듈(300)을 터치하여 제공받을 선결제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정보와 상기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될 터치모듈(300)을 보유하고 상기 선결제 상품을 제공할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며, 만약 상기 선결제 상품을 제공할 특정한 오프라인 매장(예컨대, 가맹점의 매장 중 상기 선결제 상품을 제공할 특정한 매장)이 지정된다면 상기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결제 쿠폰은 상기 선결제 상품을 사용 가능한 국가 정보, 기간 정보(예컨대, 유효기간, 만료일 등), 시간 정보(예컨대, 영업 시간, 판매 시간, 특정 시간대), 금액 정보(예컨대, 선결제 금액 또는 만약 현장 결제한다면 지불해야 할 금액 등), 가치정보(예컨대,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터치모듈(300)을 터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또는 적립)되는 포인트 등의 가치정보,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가치정보는 추후 일정한 조건에 따라 다른 선결제 상품의 선결제를 위한 결제수단으로 전환하여 이용 가능)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결제 쿠폰 획득부(118)를 통해 상기 선결제 처리된 선결제 상품에 대한 선결제 쿠폰이 획득되면, 상기 선결제 쿠폰 저장부(120)는 상기 선결제 쿠폰을 상기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5)에 설정된 지정된 저장영역(예컨대,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선결제 쿠폰 저장부(120)는 상기 선결제 쿠폰을 미리 지정된 네트워크 상의 쿠폰관리매체(예컨대, 선결제쿠폰서버(186)의 DB, 상기 응용모듈(10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관리/운영하는 서버의 DB 등)에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선결제 쿠폰을 미리 지정된 네트워크 상의 쿠폰관리매체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선결제 쿠폰은 상기 단말기(200)의 고유정보 및/또는 사용자 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선결제 쿠폰 관리부(122)는 상기 선결제 쿠폰 저장부(120)를 통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이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와 연동되도록 관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결제 쿠폰 관리부(122)는 상기 터치모듈(300)의 터치 인증을 기반으로 상기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쿠폰처리모듈(160)이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에 접근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결제 쿠폰 관리부(122)는 상기 선결제 쿠폰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 시, 상기 선결제 쿠폰과 터치모듈(300)을 매핑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선결제 쿠폰 관리부(122)는 상기 선결제 쿠폰을 터치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와 매핑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선결제 쿠폰과 터치모듈(300)의 인증정보를 매핑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결제 쿠폰 관리부(122)는 상기 선결제 처리부(116)를 통해 선결제 처리된 선결제 쿠폰 이외에, 제3자에 의해 선결제 처리되어 ‘선물하기’의 형태로 상기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전달된 선결제 쿠폰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선물하기’ 형태로 제공받은 선결제 쿠폰도 상기 터치모듈(300)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응용모듈(100)은, 상기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 터치부(305)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 확인 시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다중 터치 점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지정 터치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되지 않게 인터럽트하는 인터럽트부(110)를 구비하며, 상기 인터럽트된 터치이벤트는 상기 인식모듈(124)을 통해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을 인식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02)를 통해 사용자 간 대화를 형성 또는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각종 연계 서비스를 로딩하기 위한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가 상기 터치이벤트 확인부(104)를 통해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 터치부(305)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로 확인되면, 상기 인터럽트부(110)는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를 가로챔으로써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에 다중 터치 점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지정 터치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되지 않게 처리한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02)를 통해 상기 선결제 쿠폰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연계 서비스부(108)에 의해 상기 선결제 쿠폰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 터치부(305)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 확인 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은 터치모듈(300)의 다중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화면이므로 상기 인터럽트부(110)가 상기 터치이벤트를 인터럽트하지 않더라도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는 상기 인식모듈(124)을 통해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을 인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모듈(300)의 터치부(305) 개수와 매칭되는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인식모듈(124)은 상기 다중 터치 이벤트의 터치 특성을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 터치 특성과 매칭 인증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인식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식모듈(124)(또는 적어도 인식모듈(124)의 일부 기능)은 상기 응용모듈(100)의 기능으로 내장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식모듈(124)은,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을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시점에 발현되도록 상기 터치모듈(300)의 다중 터치 점을 포함하는 설계 상의 터치 특성을 인식하는 터치 특성 인식부(126)를 기능적으로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된 터치 특성이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 터치 특성에 부합하는지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2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또는 적어도 일부 기능)는 상기 응용모듈(100)을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인증모듈(138)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를 적어도 1회 이상 판독하여 지정 개수의 터치 점을 인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를 지정 횟수 이상 판독하여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의 좌표 평균 값을 터치 점 좌표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모듈(300)은 미리 설계된 도안에 따라 지정 개수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특정한 터치 특성이 발현되도록 제작되는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상기 터치 인식된 터치 점이 미리 설계된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과 결합되어 있는지 판별하기 위한 각종 구성 요소들을 더 인식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터치모듈(300)에 구비되는 터치부(305)의 개수를 ‘N’이라고 한다. 상기 N은 복수개인 것이 바람직하나, 만약 기하학적 관계 이외에 소정의 코드 값을 정전식 터치를 식별 또는 인증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N은 ‘1’이어도 무방하다. 단, ‘N=1’인 경우에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는 고려되지 않으며, 상기 코드 값을 식별 또는 인증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하나 이상의 시점에 상기 인식된 터치 점 좌표가 지정된 설계 규칙에 따라 제작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인지 판별하기 위한 특성 정보를 더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설계 규칙에 따라 제작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인지 판별하기 위해 터치 개수 조건, 동시 터치 조건, 비동시 터치 조건, 순차 터치 조건, 센서 연동 조건, 고정 터치 조건, 정적 터치 조건, 동적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개수 조건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 인식된 터치 점의 개수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터치부(305)의 개수 ‘N’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터치 인식된 터치 점 중 구별 가능하게 인식된 터치 점 좌표의 개수를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특성 정보 중의 하나로서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개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28)가 인식모듈(124)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의 개수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터치부(305)의 설계 상 개수 ‘N’과 일치하는지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개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동시에 터치(예컨대, 설정된 동시 터치 인식 시간 내 터치)되도록 설계 제작된 경우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동시에 터치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N개의 터치 점 좌표를 인식되는데 소요된 터치 소요 시간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특성 정보 중의 하나로서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한 터치이벤트와 그 이전 터치이벤트 사이의 터치 점 개수 변화를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특성 정보 중의 하나로서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28)가 인식모듈(124)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는 상기 터치 소요 시간이 기 설정된 동시 터치 인식 시간 이내인지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동시 터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거나, 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 개수가 ‘0’ 또는 ‘1’에서 갑자기 ‘N’으로 변화했는지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동시 터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비동시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동시에 터치되지 않게 설계 제작된 경우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비동시에 터치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N개의 터치 점 좌표를 인식되는데 소요된 터치 소요 시간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특성 정보 중의 하나로서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한 터치이벤트와 그 이전 터치이벤트 사이의 터치 점 개수 변화를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특성 정보 중의 하나로서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비동시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28)가 인식모듈(124)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는 상기 터치 소요 시간이 기 설정된 비동시 터치 인식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비동시 터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거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 개수가 ‘0’ 또는 ‘1’에서 점진적(또는 단계적)으로 ‘N’으로 변화했는지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비동시 터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순차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비동시에 터치됨과 동시에 지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터치되도록 설계 제작된 경우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터치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단, 본 발명의 터치모듈(300)은 사람의 손으로 소정의 압인력을 가하여 터치하게 되므로, 이 때 압인력은 사람마다 서로 다르므로 터치 점들이 터치 인식되는 시간 차는 고려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단, 기계적으로 조작되는 경우에는 시간 차를 고려하는 것이 가능).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N개의 터치 점 중 각 터치 점 별(또는 터치 점 그룹 별) 터치 순서 식별값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특성 정보 중의 하나로서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순차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28)가 인식모듈(124)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는 터치 순서를 구별 가능한 터치 순서 식별값이 산출되는지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순차 터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순서 식별값은 상기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 좌표의 특성 관계를 판별하는 구성 요소 중의 하나로 포함되어 인증모듈(138)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모듈(138)은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점 좌표와 함께 상기 터치 순서 식별값을 이용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식별 또는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단말기(200)에 기 구비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 센서를 통해 특정한 센싱신호에 대응하는 센싱 값이 검출되는지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터치하기 전 내지 후의 센싱신호의 변화 값이 설정된 수치 이상 변화하는 센싱신호패턴이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은 상기 단말기(200)의 센서 종류와 상기 터치모듈(300)에 구비되는 센싱대상모듈의 종류 및/또는 터치모듈(300)을 터치하는 행동 습관 등과 관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단말기(200)에 자기장을 측정하는 지정 센서(예컨대, 지자기 센서 등)가 구비되고 상기 터치모듈(300)에 지정된 크기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이 센싱대상모듈로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모듈(300)이 상기 단말기(200)에 근접하기 전에는 상기 단말기(200)의 지정 센서(예컨대, 지자기 센서)는 상기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자석의 자기장을 유효하게 검출하지 않으며(예컨대, 자기장의 크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일정한 거리 이상 근접하지 않으면 유효한 자기장으로 검출하지 않음), 상기 터치모듈(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기 위해 근접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200)의 지정 센서는 상기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자석의 자기장을 유효하게 검출하게 되고, 상기 터치모듈(300)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서 떨어져 멀어지게 되면 상기 단말기(200)의 센서(예컨대, 지자기 센서)는 상기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자석의 자기장을 유효하게 검출하지 않게 되는데,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은 이와 같이 터치모듈(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시점에 상기 단말기(200)의 지정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신호의 최대 값에 해당하는 센싱 값이 지정된 기준 값 이상의 값으로 검출되는지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기 전 내지 후의 센싱 값의 차이에 대응하는 센싱 변화 값이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변화하는 센싱신호패턴이 검출되는지(예컨대, 유효 자기장 검출이 없다가 터치 시점에 유효 자기장이 검출되는지, 또는 유효 자기장 검출이 없다가 터치 시점에 유효 자기장이 검출되고 일정 시간 내에 유효 자기장 검출이 없어지는지) 판단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에 별도의 센싱대상모듈이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은 상기 단말기(200)에 충격량을 검출 가능한 지정 센서(예컨대,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이 구비된 경우에 상기 터치모듈(300)을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기 위해 가해지는 충격량(예컨대, 지정된 기준 값 이상의 1회 충격량, 또는 터치모듈(300)의 구조에 따라 지정된 횟수의 충격량 등)에 대응하는 센싱 값이 지정된 기준 값 이상의 값으로 검출되는지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기 전 내지 후의 센싱 값의 차이에 대응하는 센싱 변화 값이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변화하는 센싱신호패턴이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은 단말기(200)의 지정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신호의 최대 값에 대응하는 센싱 값과 비교될 수치에 대응하는 센싱 비교 값, 또는 상기 지정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신호의 변화량과 비교될 수치(예컨대, 변화량) 또는 비율(예컨대, 변화율)에 대응하는 센싱 비교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의 지정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센싱 값 또는 센싱 변화 값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특성 정보 중의 하나로서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28)가 인식모듈(124)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과정에서 센서 연동 조건의 지정 센서를 통해 인식된 센싱 값 또는 센싱 변화 값을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의 센싱 비교 값과 비교하여 상기 지정 센서를 통해 특정한 센싱신호(또는 센싱신호패턴)가 검출되는지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센서 연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 값 또는 센싱 변화 값은 상기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 좌표의 특성 관계를 판별하는 구성 요소 중의 하나로 포함되어 인증모듈(138)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모듈(138)은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점 좌표와 함께 상기 센싱 값 또는 센싱 변화 값을 이용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식별 또는 인증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300)을 터치하는 사람의 행동 습관을 기반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300)을 터치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예를들어, 도장에 인주를 묻혀 종이에 찍는 경우, 이와 같은 행동을 경험했던 사람이라면 도장에 묻은 인주가 종이에 충분히 인자될 때까지 도장을 종이에 접촉한 상태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행동 습관을 지니게 된다. 마찬가지로 터치모듈(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사람도 정전식 터치가 완성될 때까지 터치모듈(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한 상태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행동 습관이 관성적으로 유발될 수 있는데, 고정 터치 조건은 이와 같은 행동 습관에 따라 터치모듈(300)이 터치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유지된 터치 유지 시간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특성 정보 중의 하나로서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N개의 터치 점이 반복 인식된 터치이벤트 개수를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특성 정보 중의 하나로서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고정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28)가 인식모듈(124)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유지된 터치 유지 시간(또는 반복 터치이벤트 개수)을 상기 고정 터치 조건의 고정 터치 시간(또는 고정 터치 반복 터치이벤트 개수)과 비교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고정 터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정적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상태에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가 움직이지 않고 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가 정적 상태를 유지하는지 또는 변경되는지의 가부를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특성 정보 중의 하나로서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정적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28)가 인식모듈(124)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가 정적 상태를 유지하는지 또는 변경되는지의 가부를 확인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정적 터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동적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지정된 규칙에 따라 움직이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상기 동적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300)에 구비되는 N개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힘(예컨대, 압인력)에 의해 움직이게 설계 제작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모듈(300)의 설계 제작 구조가 상기 터치모듈(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면서 상하방향(즉, 터치스크린(205) 면과의 수직방향)의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상하방향과 경사를 이루는 슬라이더에 의해 N개의 터치부(305)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 상에서 지정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제작된 경우에 상기 동적 터치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가 변경되는 기하학적 관계 변경 패턴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특성 정보 중의 하나로서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동적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28)가 인식모듈(124)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가 기하학적 관계 변경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기하학적 관계 변경 패턴이 상기 터치모듈(300)의 설계 제작 과정에서 부여된 설계 상의 변경 패턴과 매칭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동적 터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하학적 관계 변경 패턴은 상기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 좌표의 특성 관계를 판별하는 구성 요소 중의 하나로 포함되어 인증모듈(138)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모듈(138)은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점 좌표와 함께 상기 기하학적 관계 변경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식별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장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설계 규칙에 따라 제작되고 지정된 가맹점에서 이용 중인 터치모듈(300)을 이용하여 터치된 터치 점인지 인증하기 위해 사운드 인식 조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인식 조건, 블루투스 인식 조건, 위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운드 인식 조건, NFC 인식 조건, 위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대응하여 인식된 특성 정보는 인증수단으로 사용 가능한 정보이다.
상기 사운드 인식 조건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는 시점에 특정한 사운드 신호를 인식하여 인증모듈(138)을 통해 인증하도록 하는 조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신호에는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이 부호화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시점에 발현되도록 지정된 특성 정보로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터치모듈(300)은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거나 또는 지정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알고리즘 및/또는 고정 씨드 값과 동적 씨드 값(예: 시간, 난수 등) 등)을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전자모듈과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모듈과 스피커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거치하는 거치대, 상기 터치모듈(300) 주변에 구비된 각종 장치나 단말장치, 상기 터치모듈(300)을 터치하기 위해 단말기(200)를 올려놓는 패드 등,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공간에 존재하는 무엇에든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모듈은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부호화 규칙 또는 사운드코드 부호화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 값을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TMF 부호화 규칙은 ‘1’~’9’, ‘0’, ‘#’, ‘*’ 등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하는 규칙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저주파 영역(예컨대, 697Hz, 770Hz, 852Hz, 941Hz)의 사운드 주파수와 고주파 영역(예컨대, 1209Hz, 1336Hz, 1477Hz, 1633Hz)의 사운드 주파수를 조합하여 ‘1’~’9’, ‘0’, ‘#’, ‘*’ 등을 부호화하는 규칙이다. 상기 사운드코드 부호화 규칙은 지정된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엔코딩된 사운드 데이터의 지정된 비트 열에 지정된 데이터의 비트 열을 삽입하는 부호화하는 규칙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과 매칭되는 데이터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지정된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적용 가능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사운드 데이터에 엔코딩하여 상기 지정된 데이터가 부호화된 사운드코드를 생성하는 규칙이다. 상기 사운드 확산 코드는 의사 잡음(Pseudo Noise) 영역에 엔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통상의 인간이 인지하는 사운드 인지 능력으로는 상기 사운드 확산 코드를 인지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인식 조건이 적용되기 위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에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사운드 입력부(207)가 구비되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207)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전자모듈을 통해 지속적(또는 주기적)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시점에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터치인식 되는 시점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207)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인식은 상기 사운드 입력부(207)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트리거(Trigger)로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운드 인식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28)가 인식모듈(124)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시점에 지정된 코드 값을 포함하는 사운드가 인식되는지 판별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정전식 터치가 사운드 인식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운드를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은 상기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 좌표의 특성 관계를 판별하는 구성 요소 중의 하나로 포함되어 인증모듈(138)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모듈(138)은 상기 코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정전식 터치를 식별 또는 인증할 수 있다.
상기 NFC 인식 조건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는 시점에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여 인증모듈(138)을 통해 인증하도록 하는 조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는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시점에 발현되도록 지정된 특성 정보로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터치모듈(300)은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거나 또는 지정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알고리즘 및/또는 고정 씨드 값과 동적 씨드 값(예: 시간, 난수 등) 등)을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전자모듈(예컨대, NFC칩 등)과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전자모듈과 안테나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거치하는 거치대, 상기 터치모듈(300) 주변에 구비된 각종 장치나 단말장치, 상기 터치모듈(300)을 터치하기 위해 단말기(200)를 올려놓는 패드 등,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공간에서 터치모듈(300)이 터치되는 단말기(200)의 NFC모듈(212)과 근접 거리(예: 10cm 이내)에 존재하는 무엇에든 구비될 수 있다.
상기 NFC 인식 조건이 적용되기 위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에는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NFC모듈(212)이 구비되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NFC모듈(212)을 통해 수신된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을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값을 포함하는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는 상기 전자모듈을 통해 지속적(또는 주기적)으로 송출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시점에 선택적으로 송출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터치인식 되는 시점에 상기 NFC모듈(212)을 통해 수신된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코드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인식은 상기 NFC모듈(212)을 통해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NFC모듈(212)을 통해 수신된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을 추출하는 트리거로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NFC 인식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28)가 인식모듈(124)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시점에 지정된 코드 값을 포함하는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가 인식되는지 판별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정전식 터치가 NFC 인식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은 상기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 좌표의 특성 관계를 판별하는 구성 요소 중의 하나로 포함되어 인증모듈(138)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모듈(138)은 상기 코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정전식 터치를 식별 또는 인증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인식 조건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는 시점에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여 인증모듈(138)을 통해 인증하도록 하는 조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는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시점에 발현되도록 지정된 특성 정보로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터치모듈(300)은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거나 또는 지정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알고리즘 및/또는 고정 씨드 값과 동적 씨드 값(예: 시간, 난수 등) 등)을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전자모듈(예컨대, 블루투스 칩 등)과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전자모듈과 안테나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거치하는 거치대, 상기 터치모듈(300) 주변에 구비된 각종 장치나 단말장치, 상기 터치모듈(300)을 터치하기 위해 단말기(200)를 올려놓는 패드 등,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공간에서 터치모듈(300)이 터치되는 단말기(200)에 구비된 블루투스모듈(211)과 근거리(예: 10m 이내)에 존재하는 무엇에든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인식 조건이 적용되기 위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에는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211)이 구비되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블루투스모듈(211)을 통해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을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값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는 상기 전자모듈을 통해 지속적(또는 주기적)으로 송출(또는 페어링 없이 방송)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시점에 선택적으로 송출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터치인식 되는 시점에 상기 블루투스모듈(211)을 통해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코드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인식은 상기 블루투스모듈(211)을 통해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블루투스모듈(211)을 통해 수신된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을 추출하는 트리거로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블루투스 인식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28)가 인식모듈(124)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시점에 지정된 코드 값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가 인식되는지 판별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정전식 터치가 블루투스 인식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은 상기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 좌표의 특성 관계를 판별하는 구성 요소 중의 하나로 포함되어 인증모듈(138)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모듈(138)은 상기 코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정전식 터치를 식별 또는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인식 조건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는 시점에 단말기(200)의 위치를 인식하여 인증모듈(138)을 통해 인증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데 이용하도록 하는 조건이다.
상기 위치 인식 조건이 적용되기 위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에는 GPS 기반(및/또는 실내 지상파 기반) 위치를 측위하는 위치 측위모듈(213)이 구비되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는 상기 위치 측위모듈(213)을 통해 상기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위치정보를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시점에 발현되도록 지정된 특성 정보로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 좌표의 특성 관계를 판별하는 구성 요소 중의 하나로 포함되어 인증모듈(138)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모듈(138)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정전식 터치를 식별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식모듈(124)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판별하기 위한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하는 모듈 터치 판독부(130)와, 상기 산출된 구성 요소 값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를 통해 인식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정보를 지정된 인증모듈(138)로 제공하는 터치 특성 제공부(132)를 기능적으로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는 터치모듈(300)에 N개의 터치부(305)를 배치하는 기하학적 배치 구조 관계로 정의하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은 상기 기하학적 관계를 기본적으로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모듈(300)을 터치하는 시점에 발현되도록 지정된 하나 이상의 설계 상의 터치 특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관계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 특성 정보는 인식모듈(124)에서 인증모듈(138)로 제공되는 정보를 통칭하기 위해 명명된 용어로서, 1회의 정보 제공을 위한 데이터 구조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300)에는 N개의 터치부(305)가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터치 판독부(130)는 상기 N개의 터치부(3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를 통해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판별하기 위한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한다.
터치모듈(300)에 설계 상 복수의 터치부(305)를 구비한 경우, 본 발명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특정 방향 또는 특정 영역에 정렬할 필요 없이 터치모듈(300)을 아무렇게나 터치하더라도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어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기만 하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의해 형성된 기하학적 관계가 기 설계된 바에 따라 제작된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터치모듈(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어느 방향으로 터치하더라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기 위해서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좌표 회전이 수반되어야 하며, 좌표 회전에 의해서도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변경되거나 왜곡되어서는 안된다. 이를 위해서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이용하여 N개의 터치 점 중 기하학적 관계 판독 내지 좌표 회전의 기준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점을 특정해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터치모듈(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특정 방향에 정렬하여 터치하도록 미리 정해놓거나, 또는 특정 영역에 터치하도록 미리 정해놓지 않은 상황에서, 아무렇게나 임의로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 중 항상 동일한 터치 점을 항상 같은 기준 점으로 특정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매우 난해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준 점을 특정해내기 위해 N개의 터치부(305) 중 기준 점이 아닌 일반 터치부(305)는 설계 상 동일한 조건에 따라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여 배치하되, 기준 점에 해당하는 지정 터치부(305)는 상기 일반 터치부(305)와 구별되는 다른 조건으로 배치함으로써,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 중 기준 점으로 특정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기준 점을 특정하는 조건은, 터치모듈(300)에 기준 점이 되는 지정 터치부(305)를 구비하는 조건과 나머지 일반 터치부(305)를 구비하는 조건을 다르게 설계 제작하는 조건, 및/또는 지정 터치부(305) 자체의 기하학적 특성을 다른 일반 터치부(305)의 기하학적 특성과 구별되게 설계 제작하는 조건(예컨대, 지정 터치부(305)와 일반 터치부(305)의 형상 또는 면적을 다르게 설계 제작하는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모듈(300)에 설계 상 복수의 터치부(305)를 구비한 경우, 상기 모듈 터치 판독부(130)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어느 방향으로 터치하더라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을 위한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모듈 터치 판독부(13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기준 점을 판별하기 위한 요소 값, N개의 각 터치 점들 간의 거리 관계를 판별하기 위한 요소 값, 상기 기준 점과 나머지 터치 점 간의 거리 관계를 판별하기 위한 요소 값, N개의 각 터치 점들 간의 각도 관계를 판별하기 위한 요소 값, 상기 기준 점과 나머지 터치 점 간의 각도 관계를 판별하기 위한 요소 값, N개의 각 터치 점들 간의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의 조합을 판별하기 위한 요소 값, 상기 기준 점과 나머지 터치 점 간의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의 조합을 판별하기 위한 요소 값 중, 하나 이상의 요소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듈 터치 판독부(13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닌 기하학적 관계의 시공간 특성 중 터치 점 개수 특성 내지 N개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 구조 특성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하여 지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값, 스칼라 값, 벡터 값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형태로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하기 위한 좌표계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적용된 직교 좌표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정 좌표계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적용된 좌표계 외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특성 관계를 해석하기 위해 정의된 다른 좌표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A(11, y1), B(12, y2), C(13, y3), D(14, y4), E(15, y5) 등과 같은 지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상기 좌표계 상의 좌표 값을 기준으로 산출된 선분AB, 선분AC, 선분AD, 선분AE 등과 같은 선분 값과 ∠BAC, ∠BAD, ∠BAE, ∠CAD, ∠CAE, ∠DAE 등과 같은 각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칼라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상기 좌표계 상의 기준 점(예컨대, 좌표계 상의 원점) 또는 기준 선을 기준으로 산출된 벡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 값을 산출하는 기준 점은 좌표계 상의 원점이거나 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에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터치모듈(300)에 설계 상 복수의 터치부(305)를 구비한 경우, 본 발명의 기하학적 관계 인증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가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또는 확률 분포) 내에 근접하는지 인증하는 아날로그식 인증을 포함한다. 즉,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동일한 곳을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터치부(305)(또는 사람의 손가락 포함)를 이용하여 동일하게 터치하더라도 항상 동일한 좌표 값이 터치 점으로 인식되지는 않는다. 왜냐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는 점 터치가 아니라 면 터치이며, 일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터치된 면의 중점을 터치 점으로 계산해내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전식 터치스크린(205) 상에서 정전식 터치를 인식한 면의 면적이나 터치된 면의 외곽선이 노이즈(Noise)에 의해 조금만 변형되더라도 계산되는 터치 점은 달라지게 된다. 예를들어, 정전식 터치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 표면(또는 터치모듈(300)의 터치부(305))의 오염 상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인가된 전압의 접지 상태(예컨대, 단말기(200) 몸체를 접지로 이용하거나 또는 단말기(200)를 사람의 손에 쥐어 사람의 몸(또는 사람이 서있는 지면)을 접지로 이용하는 상태), 정전식 터치부(305) 주변의 전자기장 교란, 정전식 터치를 위해 가해지는 정전식 터치 압력 변화 등, 다양한 이유에 의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동일한 곳을 터치하더라도 터치할 때마다 항상 동일한 좌표 값이 터치 점으로 인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을 기 등록된 좌표 값과 단순 비교하는 것만으로는 인증 성공률이 수% 대에 머물 수 밖에 없으며, 터치 점의 개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인증 성공률은 더욱더 낮아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터치모듈(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어느 방향으로 터치하더라도 인식 및 인증되게 하기 위해 좌표 회전을 하는 경우, 좌표 회전 시에 발생하는 계산 오차에 의해 그러하지 않는 경우보다 인증 성공률은 더욱더 낮아지게 된다. 더구나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터치부(305)가 서로 근접해 있을 경우 서로 다른 두개의 터치 점으로 인식되어야 할 터치 점이 하나의 터치 점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식 터치 인증의 인증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터치모듈(300)의 터치부(305)는 미리 설정된 최소 구별 인식 거리와 최소 식별 거리에 맞게 배치되며, 상기 모듈 터치 판독부(130)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에 지정된 터치인식 오차를 포함하는 요소 값, 상기 단말기(200)에 지정된 터치인식 오차와 매핑된 요소 값, 상기 터치인식 오차의 확률 분포(예컨대, 가우시안 확률 분포 등)를 포함하는 요소 값, 상기 확률 분포와 매핑된 요소 값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해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인식 오차 또는 확률 분포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거나 또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 분석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정된 터치모듈(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였음을 식별 및/또는 인증하는 기하학적 터치 특성 관계 인증이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하학적 터치 특성 관계 인증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 이외에 터치모듈(300)(또는 터치모듈(300)이 장착되는 물건)에 부여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운영하는 공간에 부여된 특성이 터치모듈(300)의 터치 시점에 유효하게 발현되었는지 판별 또는 인증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특성 제공부(132)는 상기 모듈 터치 판독부(130)를 통해 산출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과,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하고 상기 인식모듈(124)을 구비한 단말기(200)를 고유하게 식별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20)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26)를 통해 인식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 특성 정보를 지정된 인증모듈(138)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되는 특성 정보는 상기 위치 인식 조건에 따라 인식된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운드 인식 조건 또는 NFC 인식 조건에 따라 인식된 코드 값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터치 개수 조건, 동시 터치 조건, 비동시 터치 조건, 순차 터치 조건, 센서 연동 조건, 고정 터치 조건, 정적 터치 조건, 동적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대응하여 인식된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인식모듈(124)이 구비된 단말기(200) 내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136)에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모듈(138)이 네트워크 상의 서버(136)에 구현된 경우, 상기 인식모듈(124)은 상기 단말기(200)가 접속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증모듈(138)을 구비한 서버(136)와 직접 통신하거나, 또는 지정된 중계서버를 통해 상기 인증모듈(138)을 구비한 서버(136)와 중계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와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응하는 터치모듈(300)이 지정된 설계 방식에 따라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300)인지 인증함과 동시에 다수의 가맹점 중 N개의 터치 점에 대응하는 터치모듈(300)을 구비한 특정한 가맹점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모듈(300)은 다수의 가맹점 중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특정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식별하는 식별수단(예컨대, ID)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 상기 인식모듈(124)은 상기 터치모듈(300)이 터치되기 전 또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가맹점을 선택 받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300)은 특정 가맹점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예컨대, 식별수단과 매칭된 PW)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경우 상기 인식모듈(124)은 상기 터치모듈(300)이 터치되기 전 또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가맹점을 선택 받고, 상기 선택된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시켜 인증모듈(138)로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모듈(300)이 특정 가맹점을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상기 특정 가맹점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동시에 사용된다면, 상기 인식모듈(124)은 상기 터치모듈(300)이 터치되기 전 또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가맹점을 선택 받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터치모듈(300)이 식별수단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특성이 중복되지 않는 고유성/유일성을 지녀야 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한편 상기 터치모듈(300)이 인증수단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특성 중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지 않는 기밀성을 지녀야 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밀성을 위한 터치 특성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음으로 인해 달성(예컨대, 터치모듈(300)에 N개의 터치부(305)의 기하학적 관계가 시각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N개의 터치부(305)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으로 전달하는 불투명 터치막(315)이 구비된 경우)될 수 있지만, 만약 그렇지 않다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시점에 인식되는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정보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모듈(300)을 식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모듈(300)이 터치되기 전에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모듈(300)을 터치하여 사용할 선결제 쿠폰에 표시된 경우에 상기 터치 특성 정보는 상기 선결제 쿠폰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 값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선결제 쿠폰을 사용 가능한 가맹점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 값(예컨대, 가맹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예컨대, 허용된 오차범위/확률분포 내에 근접)되는지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와 상기 터치모듈(300)에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 특성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인증정보를 생성 또는 확인하여 저장하는 인증정보 저장부(140)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인증모듈(138)에 포함되지 않고(단, 저장매체(142)는 인증모듈(138)에 구비) 별도의 서버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40)가 네트워크 상의 서버(136)에 구현된 인증모듈(138)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의 서버에 구현된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40)는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 또는 생성하고, 상기 N개의 터치부(30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N개의 터치부(305)에 대한 설계 상의 좌표 관계, 설계 상의 거리 관계, 설계 상의 각도 관계, 설계 상의 좌표 관계와 거리 관계 및 각도 관계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관계에 대한 설계 상의 허용 오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터치모듈(300)이 제작된 경우, 제작자 측은 상기 터치모듈(300)을 지정된 단말기(200)(예컨대, 품질관리용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지정 횟수 이상 반복 터치하며, 상기 반복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허용 오차 범위에 모두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모듈(300)은 가맹점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품질관리를 위한 반복 터치 과정에서 상기 허용 오차는 설계 상의 허용 오차를 기준으로 지정된 범위 내에서 조정(예컨대, 상향 또는 하향 조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조정된 허용 오차를 상기 인증정보에 포함시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으로 공급되는 터치모듈(300)에는 각 터치모듈(300)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예컨대, 일련코드)가 부여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터치모듈(300)의 인증정보와 상기 터치모듈(300)에 부여된 고유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에 터치 개수 조건, 동시 터치 조건, 비동시 터치 조건, 순차 터치 조건, 센서 연동 조건, 고정 터치 조건, 정적 터치 조건, 동적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조건이 설계 상 부여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터치모듈(300)에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조건을 판별 및 인증하기 위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값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터치부(305)의 개수 ‘N’ 등을 비롯한 각 터치 조건 별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각 터치 조건 별 터치 특성 인증 값을 상기 인증정보에 포함시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또는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공간 내)에 사운드 인식 조건, NFC 인식 조건, 블루투스 인식 조건, 위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인식 조건이 설계 상 부여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터치모듈(300)(또는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공간 내)에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인식 조건을 판별 및 인증하기 위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값은 상기 사운드 인식 조건, NFC 인식 조건, 블루투스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인식 조건을 통해 인식되는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터치 특성 인증 값(예컨대, 고유코드와 비교될 비교 값, 또는 일회용코드와 비교될 검증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알고리즘 및/또는 고정 씨드 값과 동적 씨드 값(예: 시간, 난수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작된 터치모듈(300)을 제공받은 가맹점은, 상기 제공받은 터치모듈(300)을 지정된 단말장치(예컨대, 가맹점에 구비된 단말장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상기 터치모듈(300)을 상기 가맹점의 터치모듈(300)로 등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의 단말장치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등록하는 과정의 전, 중, 후의 일 시점에, 상기 터치모듈(300)에 표시된 고유식별정보를 입력받거나, 상기 터치모듈(300)을 보유할 가맹점 정보(예컨대, 가맹점의 명칭, 상호, 대표자 성명, 사업자등록번호, 가맹점에 할당된 가맹점 식별정보 등)를 입력받거나, 상기 가맹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정보 등을 입력받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40)는 가맹점의 단말장치로부터 등록 대상 터치모듈(300)의 터치 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 가맹점 정보, 가맹점의 주소 정보 중 지정된 하나 이상의 등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매핑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의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등록 대상 터치모듈(300)의 터치 점 정보의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통해 식별/인증된 등록 대상 터치모듈(300)의 인증정보와 상기 등록 대상 터치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를 매핑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의 단말장치로부터 가맹점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등록 대상 터치모듈(300)의 인증정보 또는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수신된 가맹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가맹점의 단말장치로부터 가맹점의 주소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주소 정보를 근거로 단말기(200)를 통해 측위된 위치 정보와 비교 가능한 가맹점의 위치 영역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등록 대상 터치모듈(300)의 인증정보 또는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산출된 가맹점의 위치 영역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단말기(200)의 인식모듈(124)로부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터치 특성 수신부(144)를 구비하며, 상기 터치 특성 정보는 상기 단말기(200)의 인식모듈(124)을 통해 인식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특성 수신부(144)는 상기 인식모듈(124)을 통해 전송된 터치 특성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터치 특성 정보는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하고 프로그램화된 인식모듈(124)을 구비한 단말기(200)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기(200)의 인식모듈(124)을 통해 인식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값을 확인하는 터치 점 확인부(146)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특성 정보 중에서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확인부(14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단,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상기 위치 정보가 미포함된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 확인부(148)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터치 점 확인부(146)는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구성 요소 값이 터치스크린(205) 좌표계의 좌표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 점 확인부(146)는 상기 구성 요소 값을 상기 인증정보에 포함된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좌표계로 좌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표 변환은 하기의 터치 점 인증부(150) 또는 기준 점 식별부(152) 또는 터치 특성 확인부(154)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확인부(148)는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위치 정보 확인부(148)는 상기 단말기(200)와 무선 구간이 형성된 기지국 또는 무선AP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셀(Cell) 기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 정보 확인부(148)는 상기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하는 실내 근거리통신기를 이용하여 산출된 실내 지상파 기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값을 이용하여 N개의 각 터치 점 간의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가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300)의 터치부(3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형성될 수 있는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지 인증하는 터치 점 인증부(150)를 구비한다.
상기 터치 점 인증부(150)는 상기 터치 점 확인부(146)를 통해 확인된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에 의해 터치된 유효한 터치 점인지 인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점 인증부(15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 간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터치 점 간 거리가 유효한 터치모듈(300)에 대하여 설정된 최소 구별 인식 거리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독함으로써,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본 발명에 따른 설계 방식에 따라 설계 및 제작된 유효한 터치모듈(300)의 터치 점인지 인증할 수 있다. 거리 비교는 동일한 좌표계 상의 좌표 거리를 기준으로 비교되며, 이를 위해 좌표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점 간 거리 중 어느 하나라도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상기 설정된 최소 구별 인식 거리보다 작다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은 유효한 터치모듈(300)의 터치 점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점 인증부(150)는 N개의 터치 점을 연결한 선분에 의해 형성되는 N각형 구조 조건을 설정하여 유지하고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각형 구조 조건은 상기 터치부(305)의 접촉 면적 크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 최소 식별 거리, N개의 터치부(305)가 배치되는 영역의 면적 등을 형성 가능한 N각형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에 대한 조건, 및/또는 형성 불가능한 기하학적 특성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각형 구조 조건이 설정된 경우, 상기 터치 점 인증부(15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연결하여 N각형을 형성하고, 상기 설정된 N각형 구조 조건을 통해 상기 형성된 N각형의 기하학적 특성을 판독함으로써,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본 발명에 따른 설계 방식에 따라 설계 및 제작된 유효한 터치모듈(300)의 터치 점인지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점 인증부(15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3개 이상의 터치 점을 일렬로 배치하는 일렬 배치 구조를 포함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N개의 터치 점은 3개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일렬 배치 구조를 회피(또는 배제)하도록 기하학적 관계가 설정되며, 상기 터치 점 인증부(15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2개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일렬 배치 구조가 회피(또는 배제)되어 있는지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렬 배치 구조는 N개의 터치 점 중 지정된 2개의 터치 점을 연결한 선분을 기준선분으로 정하고, 상기 기준선분의 상하 또는 좌우 3.5㎜ 미만의 위치에 제3 내지 제N 터치 점이 배치되는 구조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터치모듈(300)은 이와 같은 일렬 배치 구조를 회피(또는 배제)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요소 값이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된 경우, 상기 터치 점 인증부(150)는 상기 지정 좌표계 상의 정보로 설정된 값을 이용하여 N개의 각 터치 점 간의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구성 요소 값이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터치 점 인증부(150)는 상기 구성 요소 값을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한 후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기 위한 기준 점을 식별하는 기준 점 식별부(152)와, 상기 기준 점을 기준으로 각 터치 점 간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산출하는 터치 특성 확인부(154)와,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40)를 통해 저장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매칭 분석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또는 확률 분포)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터치 특성 인증부(156)를 구비하며,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인증 결과 제공부(158)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모듈(138)에 터치 개수 조건, 동시 터치 조건, 비동시 터치 조건, 순차 터치 조건, 센서 연동 조건, 고정 터치 조건, 정적 터치 조건, 동적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인식된 특성 정보를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설계 규칙에 따라 제작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인지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28)가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확인부(154)는 상기 터치 특성 수신부(144)를 통해 수신된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 중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가 이용할 특성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28)는 상기 저장매체(142)에 저장된 터치 특성 인증 값 중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특성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근거로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특성 정보를 판별하여 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설계 규칙에 따라 제작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인지 판별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점 식별부(152)는 N개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N개의 각 터치 점 중 다른 터치 점과 다른 조건으로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터치부(3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한 터치 점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점을 식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기준 점 식별부(152)는 상기 터치 점 확인부(146)를 통해 확인된 구성 요소 값 또는 상기 터치 점 인증부(150)를 통해 인증된 구성 요소 값을 근거로 N개의 터치 점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 점을 하며,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상기 터치 점 확인부(146) 또는 터치 점 인증부(150)를 통해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된 상태이거나, 또는 상기 기준 점 식별부(152)에 의해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점 식별부(152)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기준 점을 특정하는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N개의 터치 점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 점을 특정해낸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부(305)가 터치모듈(300)의 영역을 n(2≤n<N)개 분할영역으로 분할한 후, n개의 분할영역에 각 1개의 터치부(305)가 배치되되, n개의 분할영역 중 어느 한 지정영역 상의 지정된 위치에 기준 점에 해당하는 지정 터치부(305)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기준 점 식별부(152)는 기준 점을 특정하는 조건에 따라 상기 n개의 분할영역 2개의 터치부(305)가 배치된 지정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지정영역 상의 지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지정 터치 점을 기준 점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특성 확인부(154)는 상기 N개의 각 터치 점 간의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를 하나 이상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식별된 기준 점과 n개의 터치 점 간의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산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리 관계는 지정 좌표계 상에서의 좌표 거리를 포함한다. 상기 좌표 거리는 지정 좌표계를 기준으로 좌표 값을 통해 산출되는 상대적 좌표 거리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지정 좌표계 상에서의 특정 방향을 더 포함하는 벡터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각도 관계는 지정 좌표계 상에서의 좌표 각을 포함한다. 상기 좌표 각은 3개의 터치 점을 연결한 선분이 형성하는 좌표계 상의 각도, 상기 기준 점이 식별된 경우 상기 기준 점과 2개의 터치 점이 이루는 좌표계 상의 각도, 상기 지정 좌표계 상의 특정 기준선(예컨대, 기준 점을 통과하는 기준선, 또는 좌표계 상의 원점을 통과하는 기준 선 등)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 점과 각 터치 점을 연결한 선분이 이루는 좌표계 상의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가 산출되면,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56)는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40)에 의해 저장된 복수의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각 터치 점 별로 매칭시킨 후 거리 및 각도를 비교하여 매칭되는지(예컨대, 일치하거나 또는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근접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예컨대, 일치하거나 또는 지정된 오차 범위에서 근접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면,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56)는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N개의 터치부(305)를 구비한 터치모듈(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한 터치 특성이 반영된 터치로 인증할 수 있으며,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응하는 터치모듈(300)을 상기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와 매칭된 가맹점 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에서 보유하고 있는 터치모듈(300)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매체(142)에 인증정보와 가맹점 정보 및 가맹점의 위치 영역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고, 상기 터치 특성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56)는 상기 저장매체(142)에 저장된 인증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위치 영역 정보와 매핑된 비교 대상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비교 대상 인증정보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우선적으로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 또는 근접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저장매체(142)에 저장된 각 터치모듈(300) 별 인증정보의 기하학적 관계를 비교 인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상기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모듈(300)을 식별 가능한 고유 식별 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56)는 상기 저장매체(142)에 저장된 인증정보 중 상기 고유 식별 값에 대응하는 인증정보(예컨대, 가맹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 정보와 매핑된 인증정보, 또는 선결제 쿠폰을 사용 가능한 가맹점 정보와 매핑된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 또는 근접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가맹점에서 보유하고 있는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지 인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터치모듈(300)은 가맹점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수신부(144)를 통해 수신된 터치 특성 정보에 인증수단으로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확인부(154)는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56)는 상기 저장매체(142)에 저장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통해 상기 확인된 특성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56)가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 경우에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즉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을 인증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인증 가능한 특성 정보가 미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56)는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한 것만으로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을 인증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성 정보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사운드 인식 조건, NFC 인증 조건, 블루투스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인식 조건에 따라 인식된 코드 값을 포함하는 특성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56)는 상기 저장매체(142)에 저장된 터치 특성 인증 값 중 상기 코드 값을 인증하기 위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이용하여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성 정보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위치 인식 조건에 따라 인식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특성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 과정에서 상기 위치 정보가 이용되지 않은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56)는 상기 저장매체(142)에 저장된 가맹점의 위치 영역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위치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성 정보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순차 터치 조건에 따라 인식된 N개의 각 터치 점 별 터치 순서를 포함하는 특성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56)는 상기 저장매체(142)에 저장된 터치 특성 인증 값 중 상기 터치 순서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이용하여 상기 N개의 각 터치 점 별 터치 순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15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56)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특성 정보에 대한 인증 결과가 확인된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15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 결과와 상기 특성 정보의 인증 결과를 조합한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는 상기 인증 결과 값에 인증 성공에 대응하는 값이 포함되는 경우에 인증 성공한 터치모듈(300)을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인증 성공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는 상기 인증 성공한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158)는 상기 생성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상기 인식모듈(124)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는 상기 터치 특성 정보를 수신한 역방향 경로를 통해 상기 인식모듈(124)로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인식모듈(124)과 인증모듈(138) 사이에 형성되는 별도의 경로를 통해 상기 인식모듈(124)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158)는 상기 생성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선결제쿠폰서버(186) 및/또는 미리 지정된 가치제공서버(188)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와 가치제공서버(188)는 하나의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기 별도의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가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로 제공된 경우,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이 인증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이 인증된 경우에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단말기(200)를 통해 선결제 처리된 선결제 쿠폰을 확인하여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이 상기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처리하기 위한 서버 측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가 상기 가치제공서버(188)로 제공된 경우, 상기 가치제공서버(188)는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이 인증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이 인증된 경우에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단말기(200)로 상기 터치 특성 인증 성공 및/또는 선결제 쿠폰 사용에 따른 가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측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가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 및/또는 가치제공서버(188)로 제공된 경우,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 및/또는 가치제공서버(188)는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상기 단말기(200)로 중계하는 중계 경로 상의 중계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식모듈(124)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에 대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이 인증되었는지 판단하며,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이 인증된 경우에 그에 따른 후속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134)를 구비한다.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134)는 상기 터치 특성 정보를 제공받은 인증모듈(138)로부터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수신하거나, 또는 미리 지정된 중계서버(예컨대, 선결제쿠폰서버(186), 가치제공서버(188), 별도의 중계용 서버 등)를 경유하여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134)는 상기 수신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의 인증 결과 값을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이 인증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이 인증되었다면,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134)는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쿠폰처리모듈(160)로 상기 터치 특성 인증 성공에 따른 인증 결과 값을 제공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쿠폰처리모듈(160)로 상기 터치 특성 인증 성공에 따른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는 하기의 쿠폰처리모듈(160) 및/또는 가치처리모듈(172)로 직접 수신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쿠폰처리모듈(160)은, 상기 인식모듈(124)을 통해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을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으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인증 결과 확인부(162)와, 상기 인증된 터치 특성에 대응하는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 또는 매장을 확인하는 가맹점/매장 확인부(164)와,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 중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 또는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을 확인하는 선결제 쿠폰 확인부(166)와,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 또는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 확인 시 상기 선결제 쿠폰을 관리하는 선결제쿠폰서버(186)와 연동하여 상기 선결제 쿠폰이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적용되도록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선결제 쿠폰 처리부(168)와,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서비스 화면을 출력하는 쿠폰 사용 출력부(170)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는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인증 결과 확인부(162), 가맹점/매장 확인부(164), 선결제 쿠폰 확인부(166) 및 선결제 쿠폰 처리부(168)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확인부(162)는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 또는 상기 인식모듈(124)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인식모듈(124)을 통해 인식된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이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으로 매칭 인증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이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으로 매칭 인증 시, 상기 가맹점/매장 확인부(164)는 상기 인증된 터치 특성에 대응하는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한다.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에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가맹점/매장 확인부(164)는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모듈(300)이 터치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가맹점 또는 매장이 선택되고 이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값이 상기 터치 특성의 인증 결과에 이용된 경우, 상기 가맹점/매장 확인부(164)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맹점 또는 매장을 기반으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이 터치되기 전에 선결제 쿠폰이 출력되고 이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값이 상기 터치 특성의 인증 결과에 이용된 경우, 상기 가맹점/매장 확인부(164)는 상기 출력된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가맹점 또는 매장을 기반으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맹점/매장 확인부(164)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 또는 오프라인 매장은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한 것으로, 상기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을 보유하고 있는지는 확정할 수 없다. 설령 상기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선결제 쿠폰이 출력된 상태에서 터치모듈(300)이 터치되었다고 할지라도 상기 출력된 선결제 쿠폰이 위조 또는 변조되거나 또는 타인의 선결제 쿠폰을 도용한 것인지 확인할 수 없다.
상기 선결제 쿠폰 확인부(166)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을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으로 매칭 인증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선결제모듈(112)을 통해 선결제 처리된 선결제 쿠폰 중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결제 쿠폰 확인부(166)는 상기 가맹점/매장 확인부(164)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 또는 매장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저장영역(예컨대,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5) 또는 네트워크 상의 쿠폰관리매체 등)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 중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선결제 쿠폰이 터치모듈(300)과 매핑 저장된 경우, 상기 선결제 쿠폰 확인부(166)는 상기 가맹점/매장 확인부(164)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 또는 매장에 대한 정보(예컨대, 가맹점 정보 또는 가맹점 식별정보)와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에 대한 정보(예컨대, 터치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 등)를 근거로 지정된 저장영역(예컨대,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5) 또는 네트워크 상의 쿠폰관리매체 등)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 중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결제 쿠폰 확인부(166)는 상기 선결제모듈(112)을 통해 선결제 처리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은 물론, 제3자에 의해 선결제 처리되어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 중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 또는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 또는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선결제 쿠폰 확인 시 상기 선결제 쿠폰 확인부(166)는 상기 확인된 복수의 선결제 쿠폰 중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선결제 쿠폰을 선택받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모듈(300)이 터치되기 전에 사용할 선결제 쿠폰이 출력된 경우, 설령 상기 복수의 선결제 쿠폰이 확인되더라도 상기 출력된 선결제 쿠폰을 현재 사용할 선결제 쿠폰으로 자동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선결제 쿠폰 확인부(166)를 통해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 또는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 확인 시, 상기 선결제 쿠폰 처리부(168)는 상기 선결제 쿠폰을 관리하는 선결제쿠폰서버(186)와 연동하여 상기 선결제 쿠폰이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적용되도록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선결제 쿠폰 처리부(168)는 상기 선결제 쿠폰 정보와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선결제 쿠폰이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적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선결제 쿠폰의 선결제 금액 중 지정된 금액(예컨대,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으로 정산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선결제 쿠폰 확인부(166)를 통해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 또는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이 확인되거나, 및/또는 상기 선결제 쿠폰 처리부(168)를 통해 상기 확인된 선결제 쿠폰이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적용되도록 처리되는 경우, 상기 쿠폰 사용 출력부(170)는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서비스 화면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1회의 터치를 기반으로 상기 선결제 쿠폰의 사용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300)을 터치하는 행위 및/또는 상기 선결제 쿠폰 사용에 따른 가치정보 제공 절차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에는 상기 가치정보 제공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가치처리모듈(172)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가치처리모듈(172)은, 상기 인식모듈(124)을 통해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을 특정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으로 매칭 인증되었는지 확인하는 터치 인증 확인부(174)와, 상기 터치 인증 확인 시 상기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치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지정된 가치제공서버(188)로부터 수신하는 가치정보 획득부(178)와, 상기 획득된 가치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가치정보 관리부(180)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상기 선결제 쿠폰이 사용되는지 확인하는 쿠폰 사용 확인부(17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는 상기 가치제공서버(188)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치제공서버(188)는 상기 터치 인증 확인부(174), 쿠폰 사용 확인부(176), 가치정보 획득부(178), 가치정보 관리부(18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인증 확인부(174)는 상기 인식모듈(124)을 통해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이 특정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의 터치 특성으로 매칭 인증되었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제1 가치 제공 방식에 따라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를 기반으로 가치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가치정보 획득부(178)는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의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치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지정된 가치제공서버(188)로부터 상기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치정보 관리부(180)는 상기 획득된 가치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예컨대,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5)에 설정된 저장영역, 또는 가치제공서버(188)에 구비된 DB의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가치 제공 방식에 따라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를 기반으로 선결제 쿠폰이 사용된 경우에 가치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쿠폰 사용 확인부(176)는 상기 쿠폰처리모듈(160) 및/또는 선결제쿠폰서버(186)와 연동하여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인증을 기반으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선결제 쿠폰이 정상적으로 사용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선결제 쿠폰이 정상 사용된 경우, 상기 가치정보 획득부(178)는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의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치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지정된 가치제공서버(188)로부터 상기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치정보 관리부(180)는 상기 획득된 가치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예컨대,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5)에 설정된 저장영역, 또는 가치제공서버(188)에 구비된 DB의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또는 제2 가치 제공 방식에 따라 제공된 가치정보는 상기 선결제모듈(112)의 선결제를 위한 결제수단으로 전환, 이용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단말기(2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기능적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편의상 본 도면2는 상기 단말기(200)의 일 실시예로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인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단말기(200)가 본 도면2의 실시예인 무선단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어떠한 장치라도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200)는, 제어부(201)와 메모리부(215)와 화면 출력부(203)와 터치 입력부(204)와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키 입력부(202)와 사운드 출력부(206)와 사운드 입력부(207)와 NFC모듈(212)과 블루투스모듈(211)과 위치 측위모듈(213)과 USIM 리더부(214)를 구비하고,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08)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모듈(209)과 무선망 통신모듈(2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이다. 상기 제어부(201)는 하드웨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버스(BUS)를 통해 단말기(200)의 각 구성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201)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5)에 구비된 프로그램코드를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버스를 통해 각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부로부터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15)는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15)는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된 프로그램(220)을 저장한다. 상기 프로그램(220)은 구동 또는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201)로 로딩되어 연산된다. 이하, 편의상 상기 제어부(201)로 로딩된 프로그램(220)의 기능 구성을 제어부(2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키 입력부(202)는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키버튼, 키패드, 키보드 중 하나 이상의 구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키 입력부(202)는 상기 프로그램(220)을 구동 또는 활성화시키는 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키 입력부(202)는 모듈터치가 가능하게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활성화시키는 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화면 출력부(203)는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상기 단말기(200)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화면 출력부(203)는 상기 프로그램(220)의 실행 화면 또는 인증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터치 입력부(204)는 상기 화면 출력부(203)와 좌표 평면을 공유하는 투명 재질의 정전식 터치패널과 상기 단말기(200)의 내부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은 상기 투명 재질의 정전식 터치패널과 상기 화면 출력부(203)의 디스플레이가 조합되어 구현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206)는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스피커와 상기 단말기(200)의 내부에서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사운드 입력부(207)는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마이크와 상기 단말기(200)의 내부에서 상기 마이크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터치모듈(300)에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 구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입력부(207)는 상기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220)으로 전달한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10)과 근거리 통신모듈(209)은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통신자원으로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10)은 상기 단말기(200)가 가입된 통신사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209)은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통신장치 또는 무선AP(Access Point)를 통해 통신망에 접속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209)은 와이파이를 이용한 IEEE 802.11 관련 규격을 기반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통신장치 또는 무선AP를 통해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209)은 블루투스 관련 규격을 기반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통신장치 또는 무선AP를 통해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블루투스모듈(211)은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209)에 포함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NFC모듈(212)은 13.56Mz 주파수 대역의 NFC 규격에 따라 10cm 내외의 근접 거리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터치모듈(300)에 NFC칩이 구비된 경우, 상기 NFC모듈(212)은 상기 터치모듈(300)의 NFC칩을 통해 송출되는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2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모듈(211)은 블루투스 규격에 따라 10m 내외(최대 100m)의 근거리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블루투스 통신 규격은 블루투스 4.0(BLE) 이후의 규격을 기반으로 페어링 없이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또는 방송)하거나, 또는 페어링 없이 방송된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루투스 4.0 이전의 규격에 따라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터치모듈(300)에 블루투스칩(예컨대, 블루투스 4.0 이후 규격의 블루투스칩)이 구비된 경우, 상기 블루투스모듈(211)은 상기 터치모듈(300)의 블루투스칩을 통해 송출(또는 페어링 없이 방송)되는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블루투스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2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위모듈(213)은 상기 단말기(200)의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GPS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 측위모듈(213)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N개의 터치부(305)를 구비한 터치모듈(300)이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를 측위한 위치정보를 상기 프로그램(2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정된 프로그램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220)이 상기 단말기(200)로 다운로드되어 단말기(2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단, 단말기(200)의 제조사에서 상기 프로그램(220)을 기본 탑재한 경우에는 생략). 상기 프로그램(220)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 또는 활성화되거나, 또는 푸시 통지를 수심함에 의해 구동 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프로그램(220) 상에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제어부(201)로 로딩되어 연산됨으로써 기능화되는 상기 프로그램(220)의 기능 구성부를 상기 제어부(201) 내에 도시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응용모듈(100)이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선결제모듈(112)을 내장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된 선결제모듈(112)과 연동하여 동작하며, 상기 선결제모듈(112)은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공하는 유무형의 상품 중 선결제 상품에 대한 선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인식모듈(124)을 내장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된 인식모듈(124)과 연동하여 동작하며, 상기 인식모듈(124)은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인증모듈(138)은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과 연동하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136)를 통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도면1에 인증모듈(138)을 내장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된 인증모듈(138)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쿠폰처리모듈(160)을 내장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된 쿠폰처리모듈(160)과 연동하여 동작하며, 상기 쿠폰처리모듈(160)은 상기 선결제모듈(112)을 통해 선결제 처리되어 발행된 선결제 쿠폰을 상기 인증모듈(138)을 통해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한편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하고 잇는 터치모듈(300)을 단말기(200)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상기 선결제모듈(112)을 통해 선결제 처리된 선결제 쿠폰을 사용 시, 상기 선결제 쿠폰의 사용과 동시에 상기 선결제 쿠폰의 사용에 따른 가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가치처리모듈(172)을 내장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된 가치처리모듈(172)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치처리모듈(172)은 상기 선결제 쿠폰의 사용과 무관하게 가치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300)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대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터치부(305)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부(305)를 배치하는 프레임부(310) 및/또는 터치막(315)을 구비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제작되는 터치모듈(300)의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터치모듈(3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대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N개의 터치부(305)와, 상기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는 프레임부(310) 및/또는 터치막(3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도면3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예컨대, 5개)의 터치부(305)를 임의의 고유한 기하학적 관계(즉, 터치모듈(300)마다 각기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한 터치모듈(30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터치모듈(300) 실시예가 본 도면3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이를 변형하는 다양한 실시예(예컨대, N개의 터치부(305)를 4각형 격자 구조 형태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는 실시예, N개의 터치부(305)를 6각형 벌집 형태의 격자 구조 형태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는 실시예 등)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변형 가능한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터치부(305)는 상기 터치모듈(300)의 구성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대한 정전 변화를 유도하는 구성물의 총칭으로서, 상기 터치모듈(300)에 복수개의 터치부(305)를 구비하여 제작하는 경우에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프레임부(310) 및/또는 터치막(315)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310)는 상기 터치부(305)를 배치 고정(또는 접촉)하고 터치모듈(300)을 손으로 쥐는 인체와 터치부(305)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물의 총칭으로서, 상기 터치모듈(300)에 복수개의 터치부(305)를 구비하여 제작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305) 중 일부(또는 전체)의 터치부(305)를 배치하여 고정(또는 접촉)한다.
상기 터치막(315)은 상기 터치부(305)를 배치 고정(또는 접촉)하고 정전식 터치 시 상기 터치부(305)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으로 전달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구성물의 총칭으로서, 상기 터치모듈(300)에 복수개의 터치부(305)를 구비하여 제작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터치부(305) 중 일부(또는 전체)의 터치부(305)를 배치하여 고정(또는 접촉)한다.
상기 터치모듈(300)은 상기 프레임부(310)에 손잡이부를 연결하여 도장 형태로 제작되거나, 또는 상기 손잡이부를 구비한 도장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은 상기 터치부(305)와 프레임부(310) 및/또는 터치막(315)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카드 형태의 물건에 장착되거나 또는 카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터치모듈(300)을 장착하는 물건이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포함하는 물건의 외형은 당업자의 의도 또는 서비스 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또는 응용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제1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05)는 전도성 고무 재질,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 전도성 실리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고무탄성을 지닌 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미리 설계된 경도(예컨대, 쇼아(Shore) A 경도계 기준 80이하)와 전기적 저항(예컨대, 터치되는 부분과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측정 저항 값이 300Ω 이하)을 지니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터치부 실시예의 터치부(305)가 전도성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전도성 고무는 전도성 탄소(예컨대, 전도성 탄소 또는 금속 분말 포함)와 고무를 계산된 비율로 배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고무와 전도성 탄소의 배합 비율에 따라 경도와 전기적 저항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05)는 금속성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재질은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 전기 전도율이 높은(예컨대, 터치되는 부분과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측정 저항 값이 1Ω 미만인) 금속성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금속성 재질은 수축 및 복원이 난해하므로 수축 및 복원 가능한 다른 정전 변화 유도 재질과 연결되는 형태로 터치모듈(30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05)는 비전도성 재질에 금속성 재질을 도금하여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전도성 재질은 수축 및 복원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비전도성 재질이 수축 및 복원 가능하지 않다면 수축 및 복원 가능한 다른 정전 변화 유도 재질과 연결되는 형태로 터치모듈(30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05)는 수축 및 복원 가능한 탄성 재질의 완충재의 외부에 금속성 재질의 금속막을 형성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완충재는 스펀지,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금속막은 상기 완충재에 금속성 재질을 도금하거나 및/또는 금속성 재질을 원사 또는 면사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완충재의 금속막을 형성하여 제작되는 터치부(305)는 EMI 차폐용 가스켓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05)는 탄소나노튜브 재질 또는 단일벽탄소나노튜브 재질을 포함하는 탄소섬유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미리 설계된 경도(예컨대, 쇼아 A 경도계 기준 80이하)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05)는 고체형태의 유전물질 또는 액상의 유전물질과 이를 수납하는 용기로 이루어진 유전체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유전물질은 전압 또는 전기장에 의해 분극이 발생하여 표면에 속박전하가 생성되는 물질의 총칭으로서, 터치스크린(205)의 표면에 가해지는 전압 또는 전기장에 의해 분극이 발생하여 정전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속박전하를 생성하는 유전율을 지닌 강유전물질(예컨대, 티탄산바륨 또는 로셀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7 터치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05)는 상기 제1 내지 제6 터치부 실시예를 조합한 형태(예컨대, 제2 터치부 실시예의 금속성 재질에 제4 터치부 실시예의 수축 및 복원 가능한 탄성 재질의 완충재의 외부에 금속성 재질의 금속막을 형성한 재질을 연결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부 실시예가 상기 제1 내지 제7 터치부 실시예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정전 변화를 유도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제1 내지 제7 터치부 실시예에 제작된 터치부(305)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정전 변화를 유도하도록 계산된 정전 변화 유도 면적을 지닌 터치 인식 면을 포함하여 제작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부(305)의 터치 인식 면은 직경 3㎜ 내지 7㎜의 원형, 또는 상기 직경 3㎜ 내지 7㎜의 원 면적에 대응하는 정전 변화 유도 면적을 지닌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모듈(300)에 구비되는 N개의 터치부(305)는 각 터치모듈(300)마다 서로 다른 고유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고유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N개의 터치부(305)에 의해 형성되는 기하학적 관계 이외에 상기 터치모듈(300)에 식별 및/또는 인증 가능한 특성이 부여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300)(또는 터치모듈(300)을 장착한 물건, 또는 터치모듈(300)을 운영하는 이용처 등)에 상기 N개의 터치부(305)의 기하학적 관계와 연계된 인증수단이 구비된 경우, 상기 N개의 터치부(305)가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의 고유성이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터치모듈(300)의 영역 중 터치부(305)를 배치하는 면적은 유한하고, 상기 영역에 배치되는 N개의 터치부(305)도 설계 상 계산된 크기의 접촉 면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상기 영역에 N개의 터치부(305)를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300)에 N개의 터치부(305)를 배치하는 위치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유한한 면적 내에 N개의 터치부(305)를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할 수 있는 최대의 경우의 수를 도출하기 위해 최소 구별 인식 거리가 설정된다.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둘 이상의 터치부(3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할 경우에 해당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서 둘 이상의 터치부(305)에 의한 터치 점을 서로 다른 터치 점으로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는 최소의 이격 거리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서 다중 터치된 두 개의 터치 점 간 거리가 7㎜ 이내 경우에는 두 개의 터치 점을 하나의 터치 점으로 인식하고 7.5㎜ 이상인 떨어진 경우에는 두 개의 터치 점을 각기 다른 터치 점으로 구별하여 인식한다면,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7.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터치모듈(300)을 터치할 대상에 대응하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이 둘 이상이라면,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둘 이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서 다중 터치된 두 개의 터치 점을 구별하는 인식할 수 있는 최소의 이격 거리 중 더 큰 이격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상기 터치부(305)의 접촉 면적과 상관 관계를 이루는 값이다. 즉,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설정된 값일 수도 있지만, 허용 가능한 오차를 기준으로 가정된 임계 값을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값이다. 예를들어, 동일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이라고 할지라도 터치부(305)의 접촉 면적이 25㎟인 면적(예컨대, 5㎜*5㎜의 정사각형 형태로 제작된 접촉면)인 경우의 최소 구별 인식 거리와 상기 터치부(305)의 접촉 면적이 38㎟보다 큰 면적(예컨대, 직경 7㎜의 원형 형태로 제작된 접촉면)인 경우의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상기 터치부(305)의 접촉 면적을 기준으로 복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대한 실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상기 터치부(305)의 접촉면을 구현하는 도형의 외곽선과 외곽선 사이의 거리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부(305)의 접촉면의 중앙 부분과 중앙 부분 사이의 거리로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종의 각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에 의해 형성되는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더라도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식별될 수 있는 식별성을 지녀야 한다.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대한 터치는 점 터치가 아니라 면 터치이고,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장치의 운영체제는 터치 면의 중점을 터치 점으로 계산하며, 지정된 거리 이상 터치 면이 이동해야 중점이 이동한 것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모듈(300)에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의 N개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 상에 터치된 상태에서도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식별되게 하기 위해 최소 식별 거리가 설정된다.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설계되어 터치모듈(300)에 배치된 N개의 터치부(3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 상에 터치된 상태에서도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식별되게 하기 위해 서로 다른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들이 떨어져 있어야 하는 거리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같은 면적의 터치 면을 3.5㎜ 이상 이동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였을 때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장치의 운영체제가 3.5㎜ 이상 이동한 터치 면을 서로 다른 터치 점으로 인식한다면,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3.5㎜보다 크거나 같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동종의 다른 터치모듈(300)에 구비되는 비교 대상 터치부(305)의 중심 간 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설정된 값일 수도 있지만, 허용 가능한 오차를 기준으로 가정된 임계 값을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값이다. 한편 상기 터치모듈(300)을 터치할 대상에 대응하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이 둘 이상이라면,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둘 이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서 터치 면의 중점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최소의 이격 거리 중 더 큰 이격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특정 방향 또는 특정 영역에 정렬할 필요 없이 아무렇게나 터치하더라도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어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기만 하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의해 형성된 기하학적 관계가 기 설계된 바에 따른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 가능한 판독성을 지녀야 한다.
본 발명의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에 대한 판독성을 위해, 상기 N개의 터치부(3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좌표 회전이 수반되어야 하며, 좌표 회전에 의해서도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변경되거나 왜곡되어서는 안된다. 이를 위해서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이용하여 N개의 터치 점 중 기하학적 관계 판독 또는 좌표 회전의 기준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점을 특정해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터치모듈(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특정 방향에 정렬하여 터치하도록 미리 정해놓거나, 또는 특정 영역에 터치하도록 미리 정해놓지 않은 상황에서, 아무렇게나 임의로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 중 항상 동일한 터치 점을 항상 같은 기준 점으로 특정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매우 난해하다.
본 발명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어느 방향으로 터치하더라도 N개의 터치 점 중 미리 지정해 놓은 적어도 하나의 기준 점을 특정해내기 위해,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 중 기준 점이 아닌 하나 이상의 일반 터치부(305)는 동일 조건으로 터치모듈(300)에 구비하되, 기준 점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305)는 다른 일반 터치부(305)와 다른 조건으로 터치모듈(300)에 구비함으로써,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 중 다른 조건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점을 검출하여 기준 점으로 특정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기준 점 특정 조건은 기준 점이 되는 지정 터치부(305)를 구비하는 조건과 나머지 일반 터치부(305)를 구비하는 조건을 다르게 설계 제작하는 조건, 및/또는 지정 터치부(305) 자체의 기하학적 특성을 다른 일반 터치부(305)의 기하학적 특성과 구별되게 설계 제작하는 조건(예컨대, 지정 터치부(305)와 일반 터치부(305)의 형상 또는 면적을 다르게 설계 제작하는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300)의 측면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대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터치부(305)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부(305)를 배치하는 프레임부(310) 및/또는 터치막(315)을 구비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의 측면 단면도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제작되는 터치모듈(300)의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의 (가)를 참조하면, 터치모듈(3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N개의 터치부(305)와, 상기 터치부(305)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으로 전달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고정하는 터치막(315)과, 정전식 터치 시 압인력에 의해 상기 터치막(315)에 고정된 N개의 터치부(305)와 접촉하는 프레임부(3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터치막(315)을 고정하고 상기 터치부(305)를 수용하는 하우징부(32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면4의 (가)의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터치막(315)의 외 측에는 정전식 터치 시 발생하는 충격량을 흡수하는 재질의 보호막(3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면4의 (가)에는 편의상 도시 생략하였지만, 상기 터치막(315)에는 도면4의 (라) 또는 (마)와 같이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한 N개의 매입홈이 형성된 매입판(3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310)의 상단에는 인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손잡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면4의 (나)를 참조하면, 터치모듈(3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N개의 터치부(305)와, 상기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고정하는 프레임부(310)와, 상기 터치부(305)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으로 전달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정전식 터치 시 프레임부(310)에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310)에 배치 고정된 N개의 터치부(305)와 접촉하는 터치막(315)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터치막(315)을 고정하고 상기 터치부(305)를 수용하는 하우징부(32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면4의 (나)의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터치막(315)의 외 측에는 정전식 터치 시 발생하는 충격량을 흡수하는 재질의 보호막(3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면4의 (가)에는 편의상 도시 생략하였지만, 상기 터치막(315)에는 도면4의 (라) 또는 (마)와 같이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한 N개의 매입홈이 형성된 매입판(3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310)의 상단에는 인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손잡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면4의 (다)를 참조하면, 터치모듈(3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N개의 터치부(305)와, 상기 N개의 터치부(305) 중 일부의 터치부(305)를 배치 고정하는 프레임부(310)와, 상기 터치부(305)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으로 전달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N개의 터치부(305) 중 나머지 일부의 터치부(305)를 배치하여 고정하는 터치막(315)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터치막(315)을 고정하고 상기 터치부(305)를 수용하는 하우징부(32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정전식 터치 시 프레임부(310)에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310)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305)는 상기 터치막(315)에 접촉하고 상기 터치막(315)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일부의 터치부(305)는 상기 프레임부(310)에 접촉하여, 상기 N개의 터치부(305)는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면4의 (나)의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터치막(315)의 외 측에는 정전식 터치 시 발생하는 충격량을 흡수하는 재질의 보호막(3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면4의 (가)에는 편의상 도시 생략하였지만, 상기 터치막(315)에는 도면4의 (라) 또는 (마)와 같이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한 N개의 매입홈이 형성된 매입판(3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310)의 상단에는 인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손잡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면4의 (다)를 참조하면, 터치모듈(300)은, 상기 도면4의 (가), (나), (다)에 도시된 프레임부(310), N개의 터치부(305) 및 터치막(315)을 적층하여 터치유닛(335)을 제작하고, 상기 터치유닛(335)을 하우징부(320)에 수용하여 터치모듈(300)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터치유닛(335)에는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한 N개의 매입홈이 형성된 매입판(330)이 더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터치모듈(300)은, 도면4의 (마)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320) 없이 상기 터치유닛(335) 자체가 터치모듈(300)로 이용될 수 있다. 도면4의 (마)에 도시된 터치유닛(335)의 두께를 얇게(예컨대, 1mm 내외)로 제작하면 카드 형태의 터치모듈(300)을 제작할 수 있다.
도면4의 (바)를 참조하면, 터치모듈(300)은, 상기 도면4의 (가), (나), (다)에 도시된 터치막(315) 없이 N개의 터치부(305)를 프레임부(310)에 배치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부(310)에 배치 고정된 N개의 터치부(305)를 외부로 노출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모듈(300)은, 도면4의 (사)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320) 없이 상기 프레임부(310)와 터치부(30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모듈(300)에 대한 인증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인증모듈(138)에서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오차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인증정보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인증모듈(138)은 터치모듈(300)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상기 터치모듈(300)에 배치될 N개의 터치부(30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예컨대, 제작자 측의 장치로부터 등록)하고, 상기 터치모듈(300)을 고유 식별(또는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고유 식별)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예컨대, 제작자 측의 장치로부터 등록 또는 고유 결정)한 후(500), 상기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고유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유지한다(505), 바람직하게,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설계 상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계된 터치모듈(30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한 실 계측 검증을 수행한다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지정된 테스트용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터치한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실 계측 대상에 해당하는 고유식별정보를 확인((예컨대, 테스트용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장치로부터 수신)하고(510),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매핑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한 후 상기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비교하여 상기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가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의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515). 한편 상기 실 계측 검증을 수행하지 않는다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를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반복 비교하는 중에 지정된 횟수 이상 상기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가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의 오차 허용 범위를 벗어난다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05)를 보정하는 절차를 수행하거나(520), 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다시 제작하는 절차를 수행한다(520).
한편 상기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의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존재한다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실 계측 검증이 수행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고(525),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한 후(530), 상기 터치모듈(300)의 인증정보와 고유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142)에 저장한다(54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설계 상의 허용 오차를 확인하고(525),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설계 상의 허용 오차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530).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실 계측 검증 과정에서 상기 설계 상의 허용 오차는 보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실 계측 검증을 통해 보정된 허용 오차를 확인하고(525),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보정된 허용 오차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530).
한편 상기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시점에 발현될 터치 특성이 존재하고, 이를 상기 터치모듈(300)에 대한 식별수단 및/또는 인증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터치모듈(300)의 터치 시점에 발현될 터치 특성에 대응하는 터치 특성 인증 값을 확인하고(535), 상기 터치모듈(30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값을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하고(540), 상기 터치모듈(300)의 인증정보와 고유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142)에 저장한다(54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설계 상의 허용 오차 및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값을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540). 만약 상기 실 계측 검증 과정에서 상기 설계 상의 허용 오차가 보정되었다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실 계측 검증을 통해 보정된 허용 오차 및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값을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540).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값은 상기 터치모듈(300)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등록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소정의 가맹점에 제공하는 과정에서 설정되어 등록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증모듈(138)이 프로그램화되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에 구현되는 경우, 상기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42)는 상기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5)일 수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300)을 제공받아 보유한 가맹점을 등록받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가맹점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인증모듈(138)은 터치모듈(300)을 제공받은 가맹점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가맹점으로 제공된 터치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와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 정보 및 상기 가맹점의 주소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수신한다(6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300)을 가맹점으로 제공 시,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터치모듈(300)을 제공받은 가맹점을 검증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데, 상기 가맹점의 단말장치로부터 가맹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가맹점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터치모듈(300)을 제공받은 유효한 가맹점(또는 유효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인지 검증한다(605).
만약 터치모듈(300)을 제공받은 유효한 가맹점(또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검증되지 않는다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단말장치로 가맹점 미등록 오류를 전송하고(610), 가맹점 등록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300)의 설계 제작 시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상기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300)의 인증정보와 고유식별정보가 매핑 저장되는데, 만약 터치모듈(300)을 제공받은 유효한 가맹점(또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검증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에서 보유한 터치모듈(300)의 인증정보가 매핑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615).
만약 상기 가맹점에서 보유한 터치모듈(300)의 인증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단말장치로 터치모듈(300) 미등록 오류를 전송하고(620), 가맹점 등록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에서 보유한 터치모듈(300)의 인증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가맹점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모듈 터치의 위치 인증을 위한 위치 영역 정보를 생성하고(625), 상기 가맹점에서 보유하고 있는 터치모듈(300)의 인증정보(또는 가맹점에서 보유하고 있는 터치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가맹점 정보 및 위치 영역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142)에 저장한다(630). 만약 상기 인증모듈(138)이 프로그램화되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42)는 상기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5)일 수 있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간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사용자 간 대화를 위한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 간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 터치부(305)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 발생을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예컨대, 응용모듈(1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사용자 간 대화를 형성 또는 처리하기 위한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700),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705). 만약 상기 터치이벤트 없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갱신되는 경우(예컨대, 푸시 통지를 통해 화면에 표시된 내용 갱신 등),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700),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이벤트 발생 확인 시,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터치 점의 개수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터치부(305)의 설계 상 개수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710).
만약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터치 점의 개수가 상기 터치부(305)의 설계 상 개수와 매칭되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터치 점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지정 터치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되지 않게 인터럽트 함으로써(715),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을 인식하는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터치 점의 개수가 상기 터치부(305)의 설계 상 개수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터치 점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지정 터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 처리되도록 한다(720).
만약 상기 지정 터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의 결과가 연계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이라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지정 터치 영역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연계 서비스를 로딩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연계 서비스 중의 하나로서 선결제 쿠폰을 제공받기 위한 선결제 절차 또는 선결제 쿠폰을 사용하기 위한 절차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정 터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의 결과가 연계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지정 터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사용자 간 대화를 형성 또는 처리하여 지정된 응용서버(182)를 통해 사용자 간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며(725), 상기 사용자 간 대화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또는 프로그램(220) 이용이 중지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에 대한 선결제 및 선결제 쿠폰 획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상기 도면7에 도시된 사용자 간 대화 서비스와 연계된 연계 서비스 중의 하나로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에 대한 선결제를 처리하고 선결제 쿠폰 획득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선결제 및 선결제 쿠폰 획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예컨대, 응용모듈(100))은 상기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현재 표시된 인터페이스 화면의 지정 터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근거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공하는 선결제 상품에 대한 선결제가 요청되는지 확인한다(800).
만약 상기 선결제 요청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도면7에 도시된 사용자 간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결제 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예컨대, 선결제모듈(112))은 지정된 선결제쿠폰서버(186)로부터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공하는 유무형의 상품 중 선결제 대상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8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단말기(200)의 로밍 상태 및/또는 위치 측위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200)가 위치한 국가 및/또는 지역을 확인하고,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로 상기 국가 및/또는 지역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가맹점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공하는 유무형의 상품 중 선결제 대상으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선결제 대상 상품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하나 이상의 선결제 대상 상품 정보를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선결제 상품을 선택받기 위한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810). 한편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경우, 상기 도면7의 (705) 내지 (720)의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를 상기 지정 터치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인터럽트하여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을 인식하게 하는 절차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상기 지정 터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선결제 상품이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지정 터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근거로 지정된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선결제 상품의 선결제 금액에 대한 선결제를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한다(820). 한편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지정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경우, 상기 도면7의 (705) 내지 (720)의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를 상기 지정 터치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인터럽트하여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을 인식하게 하는 절차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상기 지정 터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근거로 상기 선결제 상품에 대한 선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선결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승인되었는지 확인한다(825). 만약 상기 선결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승인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선결제 상품에 대한 결제 오류를 출력하고(830), 상기 도면7에 도시된 사용자 간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결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승인되었다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선결제 처리의 승인 결과를 근거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에 대한 선결제 쿠폰을 획득한다(835). 상기 선결제 쿠폰은 상기 선결제 처리의 승인 결과를 근거로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을 통해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선결제 처리된 선결제 상품에 대한 선결제 쿠폰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하며(840), 상기 저장된 선결제 쿠폰은 상기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터치모듈(300)을 터치하여 인증 성공한 경우에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제공하도록 하는 권리의 증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선결제 쿠폰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상기 도면7에 도시된 사용자 간 대화 서비스와 연계된 연계 서비스 중의 하나로서 상기 도면8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선결제 처리된 선결제 쿠폰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예컨대, 응용모듈(100))은 상기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현재 표시된 인터페이스 화면의 지정 터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근거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이 사용되도록 요청되는지 확인한다(900).
만약 상기 선결제 쿠폰 사용이 요청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도면7에 도시된 사용자 간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결제 쿠폰 사용이 요청되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예컨대, 응용모듈(100))은 상기 도면8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선결제 처리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중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터치모듈(300)을 터치하여 사용할 선결제 쿠폰을 확인한다(905). 상기 선결제 쿠폰은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200)가 위치한 국가 및/또는 지역을 기반으로 자동 확인되거나, 또는 상기 도면8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선결제 처리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의 목록을 표시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받을 수 있다.
만약 상기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300)을 터치하여 사용할 선결제 쿠폰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도면7에 도시된 사용자 간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300)을 터치하여 사용할 선결제 쿠폰이 확인되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확인된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터치모듈(300)을 상기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상기 선결제 쿠폰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며(910),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 상에는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선결제 쿠폰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915). 만약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터치 점의 개수가 터치모듈(300)에 구비된 터치부(305)의 설계 상 수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920).
만약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터치 점의 개수가 터치부(305)의 설계 상 수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지정 터치 영역 중에 선결제 쿠폰 사용 취소에 대응하는 지정 터치 영역이 터치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며(925), 그러한 경우에 상기 도면7에 도시된 사용자 간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터치 점의 개수가 터치부(305)의 설계 상 수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을 인식하는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할 수 있다.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모듈(300)에 대응하는 터치 점을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상기 도면7 또는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 터치부(305)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이 정전식 터치 가능한 N개의 터치부(305)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인지 인증하는 인증모듈(138)로 인증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 점 인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인식모듈(124)은 상기 도면7 또는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모듈(300)의 설계 상 터치부(305)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발생한 하나 이상의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한다(1000). 여기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은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의 터치 점일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터치 점일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 상기 터치 점을 인식하는 것만으로는 상기 터치 점이 사람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인지 또는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인지 알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 시 하나 이상의 터치 조건(예컨대, 터치 개수 조건, 동시 터치 조건, 비동시 터치 조건, 순차 터치 조건, 센서 연동 조건, 고정 터치 조건, 정적 터치 조건, 동적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터치될 수 있는데,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경우 상기 인식모듈(124)은 지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처지 점이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의 터치 특성을 포함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1005).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사람의 손가락이 아닌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어떤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인지는 알 수 없다. 한편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생략되거나, 또는 인증모듈(138)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인식모듈(124)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정전식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기 위한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하고(1010), 상기 기하학적 관계 판독을 위해 산출된 구성 요소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정보를 구성하여(1015), 인증모듈(138)로 제공한다(1030).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정보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의 고유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터치모듈(300) 인증을 위한 특성 정보를 인식 또는 산출해야 한다면, 상기 인식모듈(124)은 상기 터치 시점의 터치 특성을 판별하기 위해 터치 시점에 발현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인식 또는 산출한다(1020).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을 위한 특성 정보는 사운드 인식 조건, NFC 인식 조건, 블루투스 인식 조건, 위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인식 조건을 이용하여 터치 시점에 인식된 코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조건을 통해 산출된 정보라도 인증을 위해 사용된다면, 상기 인증을 위한 특성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모듈(300) 인증을 위한 특성 정보가 인식 또는 산출되면, 상기 인식모듈(124)은 상기 기하학적 관계 판독을 위해 산출된 구성 요소 값과 상기 터치모듈(300) 인증을 위해 인식 또는 산출된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정보를 구성하여(1025), 인증모듈(138)로 제공한다(1030).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정보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의 고유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모듈(300)을 식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상기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이 N개의 터치부(305)를 구비하여 제작된 특정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와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다양한 터치 특성 인증 실시예 중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11의 기하학적 관계 인증 과정(또는 일부 과정)은 단말기(2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인증모듈(138)은 상기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식모듈(124)로부터 제공된 터치 특성 정보를 수신하고(1100),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확인한다(1105).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구성 요소 값을 근거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점인지 인증한다(1110). 만약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점이 아니라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 실패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12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1135).
한편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점이라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도면5 또는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저장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하며(1115), 상기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는 절차는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될 때까지 반복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비교 대상에 해당하는 모든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매칭되는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모듈(300)을 식별 가능한 고유 식별 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도면5 또는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저장된 인증정보 중 상기 고유 식별 값에 대응하는 인증정보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고,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확인된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최종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 실패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12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1135).
한편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 성공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13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1135). 또는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와 매칭된 터치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확인하고(1125),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 성공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과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13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1135).
도면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2는 상기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이 N개의 터치부(305)를 구비하여 제작된 특정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와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다양한 터치 특성 인증 실시예 중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 인증과 터치 시점에 발현된 터치 특성 인증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12의 기하학적 관계 인증 과정(또는 일부 과정)은 단말기(2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2를 참조하면, 인증모듈(138)은 상기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식모듈(124)로부터 제공된 터치 특성 정보를 수신하고(1200),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과 정전식 터치 시점에 인식모듈(124)을 통해 인식 또는 산출된 특성 정보를 확인한다(1205).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구성 요소 값을 근거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점인지 인증하고, 및/또는 정전식 터치 시점에 인식모듈(124)을 통해 인식 또는 산출된 특성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여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300)을 통해 터치된 것인지 인증한다(1210). 만약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점이 아니거나, 및/또는 정전식 터치 시점에 인식모듈(124)을 통해 인식 또는 산출된 특성 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 실패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22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1235).
한편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점이라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도면5 또는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저장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하며(1215), 상기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는 절차는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될 때까지 반복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비교 대상에 해당하는 모든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매칭되는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모듈(300)을 식별 가능한 고유 식별 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도면5 또는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저장된 인증정보 중 상기 고유 식별 값에 대응하는 인증정보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고,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확인된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터치 시점에 인식된 특성 정보 중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 대상에 해당하는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의 범위를 축소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비교 대상에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를 선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최종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 실패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22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1235).
한편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 성공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23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1235). 또는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와 매칭된 터치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확인하고(1225),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 성공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과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23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1235).
도면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3은 상기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이 N개의 터치부(305)를 구비하여 제작된 특정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와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다양한 터치 특성 인증 실시예 중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 인증과 터치 시점에 발현된 터치 특성 인증 및 터치 시점에 인식된 코드 값 인증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13의 기하학적 관계 인증 과정(또는 일부 과정)은 단말기(2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3을 참조하면, 인증모듈(138)은 상기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식모듈(124)로부터 제공된 터치 특성 정보를 수신하고(1300),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과 정전식 터치 시점에 인식모듈(124)을 통해 인식 또는 산출된 특성 정보를 확인한다(1305).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구성 요소 값을 근거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점인지 인증하고, 및/또는 정전식 터치 시점에 인식모듈(124)을 통해 인식 또는 산출된 특성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여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300)을 통해 터치된 것인지 인증한다(1310). 만약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점이 아니거나, 및/또는 정전식 터치 시점에 인식모듈(124)을 통해 인식 또는 산출된 특성 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터치모듈(300)에 대한 인증 실패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32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1340).
한편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점이라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도면5 또는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저장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하며(1315), 상기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는 절차는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될 때까지 반복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비교 대상에 해당하는 모든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매칭되는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모듈(300)을 식별 가능한 고유 식별 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도면5 또는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저장된 인증정보 중 상기 고유 식별 값에 대응하는 인증정보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고,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확인된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터치 시점에 인식된 특성 정보 중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 대상에 해당하는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의 범위를 축소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비교 대상에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를 선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최종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터치모듈(300)에 대한 인증 실패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32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1340).
한편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특성 정보 중 터치 시점에 사운드, NFC,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인식된 코드 값의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1325).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값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은 생략(예컨대, 터치 점의 개수가 ‘1’인 경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유효 터치모듈(300) 인증 과정에서 인증된 특성 정보(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된 인증정보를 근거로 터치 시점에 인식된 코드 값의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1325).
만약 상기 터치 시점에 인식된 코드 값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터치모듈(300)에 대한 인증 실패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32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1340).
한편 상기 터치 시점에 인식된 코드 값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 성공과 코드 값의 인증 성공을 조합한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33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1340). 또는, 상기 인증모듈(138)은 상기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와 매칭된 터치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확인하고(1330),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 성공과 코드 값의 인증 성공을 조합한 인증 결과 값과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33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1340).
도면1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선결제 쿠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4는 상기 도면11 내지 도면1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터치 특성 인증 과정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이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으로 매칭 인증된 경우에 상기 도면8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선결제 처리되어 발행된 선결제 쿠폰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면14를 참조하면,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예컨대, 인식모듈(124) 또는 쿠폰처리모듈(160))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도면11 내지 도면1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1400),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에 포함된 인증 결과 값을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이 정전식 터치 가능한 N개의 터치부(305)를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과 매칭되는지 확인한다(1405).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이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과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 인증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1410).
한편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이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과 매칭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또는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한다(14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에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모듈(300)이 터치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가맹점 또는 매장이 선택되고 이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값이 상기 터치 특성의 인증 결과에 이용된 경우,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맹점 또는 매장을 기반으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이 터치되기 전에 선결제 쿠폰이 출력되고 이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값이 상기 터치 특성의 인증 결과에 이용된 경우,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출력된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가맹점 또는 매장을 기반으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도면8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선결제 처리되어 발행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 중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을 확인한다(142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확인된 가맹점 또는 매장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저장영역(예컨대,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5) 또는 네트워크 상의 쿠폰관리매체 등)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 중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선결제 쿠폰이 터치모듈(300)과 매핑 저장된 경우,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확인된 가맹점 또는 매장에 대한 정보(예컨대, 가맹점 정보 또는 가맹점 식별정보)와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에 대한 정보(예컨대, 터치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 등)를 근거로 지정된 저장영역(예컨대,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5) 또는 네트워크 상의 쿠폰관리매체 등)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 중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결제 처리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은 물론, 제3자에 의해 선결제 처리되어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 중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 또는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선결제 쿠폰 사용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1420).
한편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이 확인되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선결제쿠폰서버(186)와 연동하여 상기 확인된 선결제 쿠폰을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적용되도록 처리한다(1430). 예를들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선결제 쿠폰 정보와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선결제 쿠폰이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적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선결제 쿠폰의 선결제 금액 중 지정된 금액(예컨대,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으로 정산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선결제 쿠폰을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적용되도록 처리되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서비스 화면을 출력한다(143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도면14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과정은 상기 도면11 내지 도면13에 도시된 과정을 수행하는 인증모듈(138)이 구현된 서버(136)와 연동하는 선결제쿠폰서버(186)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면14를 참조하면,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도면11 내지 도면1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1400),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에 포함된 인증 결과 값을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이 정전식 터치 가능한 N개의 터치부(305)를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과 매칭되는지 확인한다(1405).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이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과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 인증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제공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1410).
한편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이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과 매칭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또는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한다(14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에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모듈(300)이 터치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가맹점 또는 매장이 선택되고 이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값이 상기 터치 특성의 인증 결과에 이용된 경우,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맹점 또는 매장을 기반으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도면8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선결제 처리되어 발행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 중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을 확인한다(142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확인된 가맹점 또는 매장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저장영역(예컨대, 선결제쿠폰서버(186)의 쿠폰관리매체 등)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 중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선결제 쿠폰이 터치모듈(300)과 매핑 저장된 경우,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확인된 가맹점 또는 매장에 대한 정보(예컨대, 가맹점 정보 또는 가맹점 식별정보)와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에 대한 정보(예컨대, 터치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 등)를 근거로 지정된 저장영역(예컨대, 선결제쿠폰서버(186)의 쿠폰관리매체 등)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 중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결제 처리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은 물론, 제3자에 의해 선결제 처리되어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선결제 쿠폰 중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 또는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으로 상기 선결제 쿠폰 사용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제공하여 출력시킨다(1420).
한편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선결제 쿠폰이 확인되면,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확인된 선결제 쿠폰을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적용되도록 처리한다(1430). 예를들어,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선결제 쿠폰 정보와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결제 쿠폰이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적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선결제 쿠폰의 선결제 금액 중 지정된 금액(예컨대,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으로 정산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선결제 쿠폰을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적용되도록 처리되면, 상기 선결제쿠폰서버(186)는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상기 선결제 쿠폰을 적용한 승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 상에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서비스 화면을 출력시킨다x35).
도면1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가치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5는 상기 도면11 내지 도면1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터치 특성 인증 과정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이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으로 매칭 인증된 경우, 또는 상기 도면1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선결제 쿠폰을 적용한 경우,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소정의 가치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면1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1 내지 도면1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터치 특성 인증 과정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이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으로 매칭 인증되거나 또는 상기 도면1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선결제 쿠폰을 적용한 경우,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또는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하고,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또는 프로그램(220))의 사용자를 확인한다(1500). 한편 상기 가치정보를 제공하는 주체가 가맹점(또는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이 아니라면 상기 가맹점(또는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하는 과정이 생략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인증의 결과 및/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의 터치를 이용한 선결제 쿠폰 적용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단말기(200)(또는 프로그램(22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치정보를 획득한다(1505).
만약 상기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단말기(200)(또는 프로그램(22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치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획득된 가치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예컨대,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5)에 설정된 저장영역, 또는 가치제공서버(188)에 구비된 DB의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1515),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인증의 결과 및/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의 터치를 이용한 선결제 쿠폰 적용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가치정보가 제공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도면15의 서비스 제공 과정은 상기 도면11 내지 도면13에 도시된 과정을 수행하는 인증모듈(138)이 구현된 서버(136)와 연동하는 선결제쿠폰서버(186)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면1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1 내지 도면1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는 가치제공서버(188)로 수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치제공서버(188)는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에 포함된 인증 결과 값을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이 정전식 터치 가능한 N개의 터치부(305)를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과 매칭되는지 확인한 후,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터치 특성이 터치모듈(300)의 터치 특성으로 매칭 인증된 경우에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또는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하고,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또는 프로그램(220))의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1500). 또는 상기 도면1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선결제 쿠폰 제공 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상기 선결제 쿠폰의 적용 결과는 가치제공서버(188)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치제공서버(188)는 인증된 터치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또는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하고, 상기 인증된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또는 프로그램(220))의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1500). 한편 상기 가치정보를 제공하는 주체가 가맹점(또는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이 아니라면 상기 가맹점(또는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하는 과정이 생략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가치제공서버(188)는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인증의 결과 및/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의 터치를 이용한 선결제 쿠폰 적용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단말기(200)(또는 프로그램(22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치정보를 획득한다(1505).
만약 상기 터치모듈(300)이 터치된 단말기(200)(또는 프로그램(22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치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가치제공서버(188)는 상기 획득된 가치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예컨대,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5)에 설정된 저장영역, 또는 가치제공서버(188)에 구비된 DB의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1515), 상기 터치모듈(300)을 이용한 터치 인증의 결과 및/또는 상기 터치모듈(300)의 터치를 이용한 선결제 쿠폰 적용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가치정보가 제공되도록 처리한다.
100 : 응용모듈 102 : 인터페이스 표시부
104 : 터치이벤트 확인부 106 : 대화 서비스부
108 : 연계 서비스부 110 : 인터럽트부
112 : 선결제모듈 114 : 선결제 대상 표시부
116 : 선결제 처리부 118 : 선결제 쿠폰 획득부
120 : 선결제 쿠폰 저장부 122 : 선결제 쿠폰 관리부
124 : 인식모듈 126 : 터치 특성 인식부
128 : 터치 특성 판별부 130 : 모듈 터치 판독부
132 : 터치 특성 제공부 134 : 인증 결과 처리부
136 : 서버 138 : 인증모듈
140 : 인증정보 저장부 142 : 저장매체
144 : 터치 특성 수신부 146 : 터치 점 확인부
148 : 위치 정보 확인부 150 : 터치 점 인증부
152 : 기준 점 식별부 154 : 터치 특성 확인부
156 : 터치 특성 인증부 158 : 인증 결과 제공부
160 : 쿠폰처리모듈 162 : 인증 결과 확인부
164 : 가맹점/매장 확인부 166 : 선결제 쿠폰 확인부
148 : 선결제 쿠폰 처리부 170 : 쿠폰 사용 출력부
172 : 가치처리모듈 174 : 터치 인증 확인부
176 : 쿠폰 사용 확인부 178 : 가치정보 획득부
180 : 가치정보 관리부 200 : 단말기
220 : 프로그램 300 : 터치모듈

Claims (6)

  1.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보유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유무선망을 통해 선결제 처리하여 생성된 선결제 쿠폰을 다운로드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선결제 쿠폰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입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선결제 쿠폰을 사용 가능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의 개수와 매칭된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를 통해 인식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선결제 쿠폰을 사용 가능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 매칭되는지 인증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내에 설정된 지정 절차를 수행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의 설계 상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범위 내 매칭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선결제 쿠폰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처리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메뉴 선택 영역, 버튼 영역, 아이콘 선택 영역, 터치 기반 문자 입력을 위한 키보드 인터페이스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절차는,
    상기 터치모듈에 배치된 터치부의 개수와 매칭되는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 확인 시 상기 다중 터치 터치이벤트가 상기 지정 터치 입력 영역의 터치 입력으로 처리되지 않게 인터럽트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절차는,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응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기 위한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선결제 쿠폰을 사용 가능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터치모듈에 구비된 터치부의 개수와 매칭도지 않는 터치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터치이벤트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지정 터치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이벤트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결제 쿠폰을 상기 인증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상품 제공에 적용 시 상기 선결제 쿠폰을 적용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가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가치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KR1020210132602A 2014-11-07 2021-10-06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KR20210127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602A KR20210127124A (ko) 2014-11-07 2021-10-06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268A KR20160055303A (ko) 2014-11-07 2014-11-07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KR1020210132602A KR20210127124A (ko) 2014-11-07 2021-10-06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268A Division KR20160055303A (ko) 2014-11-07 2014-11-07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124A true KR20210127124A (ko) 2021-10-21

Family

ID=561131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268A KR20160055303A (ko) 2014-11-07 2014-11-07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KR1020210132602A KR20210127124A (ko) 2014-11-07 2021-10-06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268A KR20160055303A (ko) 2014-11-07 2014-11-07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553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2987A (zh) * 2017-12-27 2018-05-29 苏州亿柏嘉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验证系统及其验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303A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6170B1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교환 권리 제공 방법
KR20210127124A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KR101727519B1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KR102298352B1 (ko) 도장 터치를 이용한 스탬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36133A (ko) 웹페이지를 이용한 터치 기반 승인 방법
KR102284272B1 (ko) 정전식 터치를 이용한 가치 적용 방법
KR102272770B1 (ko) 웹페이지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18109B1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교환 권리 제공 방법
KR101608005B1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경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52748B1 (ko) 터치를 이용한 구매 상품 제공 방법
KR101759845B1 (ko) 웹페이지를 이용한 터치 기반 승인 방법
KR102230612B1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장소와 연계된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52865A (ko) 터치를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KR20230052864A (ko) 터치 결제 제공 방법
KR101743212B1 (ko) 웹페이지를 이용한 터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81799B1 (ko) 터치를 이용한 컨텐츠 교환 방법
KR101628149B1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가치 적용 방법
KR20160070287A (ko) 터치를 이용한 매장 결제 방법
KR20160072277A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KR101657699B1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터치 식별 방법
KR101654347B1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데이터 표시 방법
KR20150117783A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간 가치운영 방법
KR102166057B1 (ko) 터치를 이용한 컨텐츠 운영 방법
KR102250543B1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시급제 관리 방법
KR102149560B1 (ko) 도장 터치를 이용한 최적 카드 선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29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209

Effective date: 2023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