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785B1 - 데이터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785B1
KR101591785B1 KR1020130162600A KR20130162600A KR101591785B1 KR 101591785 B1 KR101591785 B1 KR 101591785B1 KR 1020130162600 A KR1020130162600 A KR 1020130162600A KR 20130162600 A KR20130162600 A KR 20130162600A KR 101591785 B1 KR101591785 B1 KR 101591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transmission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4636A (ko
Inventor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게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게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게더
Priority to KR102013016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785B1/ko
Priority to PCT/KR2014/012721 priority patent/WO2015099408A1/ko
Priority to CN201480017878.4A priority patent/CN105074614A/zh
Priority to JP2015562950A priority patent/JP6110961B2/ja
Publication of KR20150074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1Location-sensitive, e.g. geographical location, G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37Time limited access, e.g. to a computer or dat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가능한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장치의 제1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무선 통신 장치와의 물리적 접촉을 기초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일정 공간에 함께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그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제1 데이터와 연관된 제2 데이터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표시하며,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 또는 상기 데이터 입력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방문하였다는 방문 데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for inputting data,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서비스사용자가 서비스 제공매장, 예를 들어, 음식점, 카페 등을 방문하였을 때, 미리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을 통해 발급받았던 적립 쿠폰 등을 제시함으로써, 누적 방문 횟수를 체크하여 이에 따른 마일리지 적립, 추가적인 서비스 제공 등의 혜택을 제공해 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사용자가 각 음식점 또는 카페 등마다 적립 쿠폰 등을 별도로 소지하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적립 쿠폰 등을 미처 준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누적 방문 횟수를 체크하지 못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적립 쿠폰 등을 대신하게 하는 방법이 점차로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매장에 QR 코드가 비치되어 있어, 서비스사용자가 이를 스마트폰을 촬영함으로써 서비스사용자가 음식점 또는 카페 등을 방문했음을 서버에 기록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더라도, 서비스사용자가 매장에 비치된 QR 코드를 촬영하여 매장이 아닌 곳에서도 상기 촬영해 놓은 QR 코드를 통해 서비스사용자가 음식점 또는 카페 등을 방문한 것처럼 인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GPS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방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더라도 GPS 정보의 오차 범위 내에서 매장 근처에 있으면서도 매장에 방문한 것처럼 허위 인증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 서비스제공매장 또는 서비스제공자를 방문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허위 인증을 하고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내릴 수도 있다는 것도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에는 커피숍, 헤어숍 등의 서비스제공매장 단위로 쿠폰을 적립할 수 있었기 때문에, 실제로 서비스를 제공한 서비스제공자, 예를 들어, 바리스타, 헤어디자이너 등에 따라 쿠폰을 적립하거나 이들의 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은 없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04-0063420 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로 서비스사용자가 서비스제공매장에 방문하였음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를 쉽게 변환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로 서비스사용자가 서비스제공매장에 방문하였음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서비스제공매장 단위뿐만이 아니라 개별적인 서비스제공자에 따라 서비스사용자의 누적 사용 횟수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고, 개별적인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비스에 대한 사후 평가가 실제로 서비스를 이용 받은 이용자로부터 이뤄짐이 보장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서비스사용자가 특정 서비스제공자에 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서비스사용자 및 서비스제공자가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쿠폰을 적립하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서비스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방문하여 제공 받은 서비스의 종류 및 지불한 금액과 같은 기타 데이터들도 같이 확인될 수 있게 하여, 단순한 쿠폰적립뿐만 아니라 고객의 소비 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역할도 가능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가능한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장치의 제1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무선 통신 장치와의 물리적 접촉을 기초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일정 공간에 함께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그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제1 데이터와 연관된 제2 데이터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표시하며,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 또는 상기 데이터 입력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방문하였다는 방문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 또는 물리적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터치부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데이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상기 물리적 접촉 이후에 상기 버튼부가 눌리는 것이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수행되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일정 공간에 함께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충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충전 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을 표시하는 화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화상부의 터치에 의하는 입력 수단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제1 데이터를 설정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는 서비스사용자의 방문 횟수, 방문 매장의 위치, 주문 내용, 주문 금액, 방문 인증 모양의 종류 및 방문 인증 문양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무선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으로서,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의 상기 제1 데이터를 갱신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가 일정 거리 내에서 미리 설정된 움직임을 만족하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제1 데이터와 연관된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 또는 상기 데이터 입력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방문하였다는 방문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움직임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의 물리적 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장치에 제1 데이터가 설정되는 (a)단계,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간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발생된 각각의 장소 및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일정 공간에 함께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제1 데이터와 연관된 제2 데이터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표시되는 (c)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방문하였다는 방문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가 이미 설정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제1 데이터가 재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의 장소 및 시간 정보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장소 및 시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제1 데이터와 연관된 제2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연동된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연동된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서버에 인증 절차를 거쳐 접속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원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실제로 서비스사용자가 서비스제공매장에 방문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비스사용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서비스제공매장을 방문하지 않고서도 허위 인증 후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작성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매장 단위가 아니라 개별적인 서비스제공자에 따라 서비스사용자의 누적 사용 횟수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고, 개별적인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사용자 및 서비스제공자가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쿠폰을 적립하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방문한 고객이 이용한 서비스, 메뉴 및 지불한 금액 등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고객의 성향을 분석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관련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아래에서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하기 설명 및 관련 도면은 이러한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양상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양상들은 단지 일 예일 뿐이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당업자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시된 실시예들은 이러한 실시예들 및 이러한 실시예들의 균등물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데이터 전송 장치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호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데이터 전송 장치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데이터 입력 장치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연결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데이터 전송 장치와 무선 통신 장치의 물리적 접촉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무선 통신 장치에 방문 인증 문양이 표시된 모양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데이터 입력 장치의 연결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1)은 무선 통신 장치(500), 데이터 전송 장치(300), 데이터 입력 장치(400), 전자 장치(200) 및 서버(10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장치(500)는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500)는 위치, 가속,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GPS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센서, 동작인식 센서 등을 포함하는 POS 단말,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장치(500)는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패드인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500)는 물리적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접촉"이란, 단순히 물체가 맞닿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무선 통신 장치(500)의 일면과 다른 물체의 일면이 맞닿지 않아도 상호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물리적 접촉이 일어났다고 정의한다. 따라서, 바코드 인식이나 QR코드 인식과 같이 서로 맞닿지 않는 센싱 동작 등도 물리적 접촉에 포함된다. 즉, 일정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옵티컬(optical) 상호 작용도 물리적 접촉이라 정의한다.
무선 통신 장치(500)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와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서버(100)에 현재 시간(time) 및 현재 장소(location)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500)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무선 통신 장치(500)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500)는 상기 스크린을 통해서, 서버(100)에서 전송 받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무선 통신 장치(500)와 물리적 접촉을 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접촉"이란, 단순히 물체가 맞닿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무선 통신 장치(500)의 일면과 다른 물체의 일면이 맞닿지 않아도 상호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물리적 접촉이 일어났다고 정의한다. 따라서, 바코드 인식이나 QR코드 인식과 같이 서로 맞닿지 않는 센싱 동작 등도 물리적 접촉에 포함된다. 즉, 일정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옵티컬(optical) 상호 작용도 물리적 접촉이라 정의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무선 통신 장치(500)가 감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무선 통신 장치(500)에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인가는 상기 물리적 접촉에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상기 물리적 접촉에 의해 전자 장치(200)에 제1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는 숫자 또는 문자 형식의 키(key) 값일 수 있다. 제1 데이터는 추후에 이와 연관된 제2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제1 데이터는 현재 시간 및 현재 장소의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일정한 장소 범위 내에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상기 현재 장소의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는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 장치(300)의 ID 일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입력 장치(400)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입력 장치(400)는 제1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300)에 제1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데이터 입력 장치(400)가 제1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300)에 제1 데이터가 이미 설정되어 있으면, 데이터 입력 장치(400) 제1 데이터를 재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데이터 입력 장치(400)에서 제1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위치, 가속,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GPS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센서, 동작인식 센서 등을 포함하는 POS 단말,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200)는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제1 데이터를 전송 받아 제2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와 연관된 데이터일 수 있다.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제2 데이터는 예를 들어, 서비스사용자의 방문 횟수, 방문 매장의 위치, 주문 내용, 주문 금액, 방문 인증 모양의 종류 및 방문 인증 문양의 개수일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 받는 방식은 근거리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한 통신 방법일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200)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200)는 제1 데이터를 서버(100)에 전송하고, 서버(100)가 제1 데이터를 제2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서버(10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서버(10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1 데이터를 받아 제2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제2 데이터를 전자 장치(200)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다. 서버(100)는 상기 제2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및 장소 데이터와 무선 통신 장치(500)가 전송한 시간 및 장소 데이터를 비교 및 식별할 수 있다.
서버(100)는 상기 각각의 시간 및 장소 데이터가 동일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일"이란, 정확한 동일이 아니라 미세한 차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동일 시간이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범위 내의 시간을 의미하고, 동일 장소란 장소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간격 범위 내의 거리인 것을 의미한다.
서버(100)는 상기 판단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데이터를 무선 통신 장치(500) 및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500) 및 전자 장치(200)는 서버(100)로부터 제2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500) 및 전자 장치(200)는 제2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서버(100)가 제2 데이터를 전자 장치(200)에 전송하는 경우, 제2 데이터에 무선 통신 장치(500)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0)는 무선 통신 장치(500)의 기기 식별 또는 사용자 로그인 등을 통해 무선 통신 장치(500)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서버(100)는 무선 통신 장치(500)의 기기 식별 또는 사용자 로그인 등을 통해 무선 통신 장치(500)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가 식별되는 제2 데이터를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 즉 방문자를 식별할 수 있는 방문 인증 모양을 표시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전자 장치(200)의 제1 또는 제2 데이터의 전송을 받음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 자 장치(200)에 의한 로그인 절차 등을 거칠 필요가 없다. 물론, 서버(100)는 전자 장치(200)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가 로그인 등의 ID 식별 절차를 거쳐 서버(100)에 접속한 경우에도,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제2 데이터에 포함되어 서버(100)에도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데이터는 방문자 별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의 소비 성향을 파악하는 데이터로 추후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데이터 전송 장치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보호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데이터 전송 장치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손잡이부(310), 버튼부(320), 보호부(330), 터치 스크린 터치부(340) 및 전자 장치 연결부(35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310)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310)는 원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손잡이부(310)는 데이터 전자 장치(200)를 손으로 잡아 버튼부(320)를 누를 수 있게 할 수 있다.
손잡이부(310)는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310)를 손으로 잡았을 때 손으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적인 신호는 버튼부(320) 및 터치 스크린 터치부(340)를 따라 흐를 수 있다. 상기 전기적인 신호는 무선 통신 장치(500)가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전달될 수 있다. 만일, 무선 통신 장치(500)가 감압식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상기 전기적인 신호 대신에 물리적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손잡이부(310)는 도전성 재질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500)가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손잡이부(310)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손잡이부(310)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터치 스크린 터치부(340)는 다른 방식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를 생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전송 장치(300)의 내부 배터리에 의한 전류 또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가 연결된 전자 장치(200)의 전류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생산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를 맨 손이 아닌 장갑을 낀 손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무선 통신 장치(500)가 감압식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전기적인 신호 대신 압력에 의한 물리적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술한 전류의 이용은 필요하지 않다.
전자 장치 연결부(350)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를 전자 장치(200)에 연결할 수 있다. 전자 장치 연결부(350)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를 전자 장치(200)에 연결하는 유선 형식의 단부일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 연결부(35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분리된 파트의 형태일 수 있다.
전자 장치 연결부(350)가 유선인 경우에는 손잡이부(310)가 도전성 재질이 아니어도 전자 장치 연결부(350)를 통해 외부의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정전식 터치 스크린에 대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때에, 전자 장치 연결부(350)를 통한 전류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 연결부(350)가 무선인 경우에도 데이터 전송 장치(300) 내의 배터리에서 생성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버튼부(320)는 압력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눌려진 버튼부(320)는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돌아 갈 수 있다. 버튼부(320)는 도시되었듯이, 손잡이부(310) 및 터치 스크린 터치부(34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버튼부(320)가 눌려지면,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제1 데이터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버튼부(320)의 눌림이 제1 데이터의 전송의 트리거(trigger)역할을 할 수 있다. 버튼부(320)가 눌려지는 것은 무선 통신 장치(500)의 스크린에 데이터 전송 장치(300)를 도장 형식으로 찍는 방식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종이 쿠폰에 도장을 찍듯이 무선 통신 장치(500)에 도장을 찍는 경험을 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터치부(340)는 물리적 접촉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5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접촉"이란, 단순히 물체가 맞닿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무선 통신 장치(500)의 일면과 다른 물체의 일면이 맞닿지 않아도 상호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물리적 접촉이 일어났다고 정의한다. 따라서, 바코드 인식이나 QR코드 인식과 같이 서로 맞닿지 않는 센싱 동작 등도 물리적 접촉에 포함된다. 즉, 일정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옵티컬(optical) 상호 작용도 물리적 접촉이라 정의한다.
터치 스크린 터치부(340)는 손잡이부(310)가 도전성 재질인 경우 손으로부터 흐르는 전류 또는 전자 장치 연결부(350)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이용한 전기적인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500)의 터치 스크린에 인가할 수 있다.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부(340)가 스위치 형식으로 돌출되어, 물리적 접촉에 의해 눌려지면서 데이터 전송 장치(300) 또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와 연결된 전자 장치(200)의 전기적 또는 물리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무선 통신 장치(300)의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이거나 감압식이거나 상관없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500)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으면, 센서에 의해 감지된 현재 장소 및 시간의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적 신호가 무선 통신 장치(500)가 현재 장소 및 시간의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하는 트리거(trigger) 역할을 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터치부(340)는 광센서 또는 특정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터치부(340)는 무선 통신 장치(500)가 제공하는 특정 빛 또는 동작에 반응하여 버튼부(320)를 대신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300)가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리거(trigger)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특별한 제한이 없이, 물리적 접촉에 대해서 반응되는 경우이면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현재 장소 및 시간 데이터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터치부(340)는 도시되었듯이,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3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개수에 제한은 없다.
보호부(330)는 터치 스크린 터치부(340)를 보호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 터치부(340)를 감쌀 수 있다. 보호부(330)는 터치 스크린 터치부(340)에 의도치 않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보호부(330)는 충전 단자(331) 및 데이터 단자(333)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330)는 충전 단자(331) 및 데이터 단자(333)가 노출된 부분에는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보호부(330)는 제1 절연층(330a), 제2 절연층(330c) 및 단자층(330b)을 포함한다.
절연층(330)은 제1 절연층(330a) 및 제2 절연층(33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330a)은 단자층(330b)상부에 존재하고, 제2 절연층(330c)은 단자층(330b)하부에 존재할 수 있다. 즉, 제1 절연층(330a)과 제2 절연층(330c) 사이에 단자층(330b)이 존재할 수 있다. 절연층(330)은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층(330b)은 충전 단자(331), 데이터 단자(333) 및 절연 부분(335)을 포함한다.
충전 단자(331)는 데이터 입력 장치(400)의 충전부(431)와 연결되어 데이터 전송 장치(300)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충전 단자(331)는 2개의 단자가 단자층(330b)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충전 단자(331)는 2개로 분리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 단자(331)는 보호부(330)의 외면에 해당되는 부분만 노출될 수 있다. 충전 단자(331)는 노출되는 부분 외에는 절연 부분(335)에 의해 둘러 쌓일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데이터 단자(333)는 데이터 입력 장치(400)의 데이터부(433)와 연결되어 데이터 전송 장치(300)의 제1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단자(333)는 2개의 단자가 단자층(330b)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데이터 단자(333)는 2개로 분리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 이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고 데이터 단자(333)의 개수는 제한이 없다. 데이터 단자(333)는 보호부(330)의 외면에 해당되는 부분만 노출될 수 있다. 데이터 단자(333)는 노출되는 부분 외에는 절연 부분(335)에 의해 둘러 쌓일 수 있다. 데이터 단자(333)는 충전 단자(331)와 90도 회전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데이터 입력 장치를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데이터 입력 장치(400)는 입력 수단(410), 화상부(420), 연결부(430) 및 공급부(440)를 포함한다.
입력 수단(410)은 데이터 입력 장치(400) 상에 설치되고, 위치 및 형상은 제한이 없다. 입력 수단(410)은 키패드의 형상일 수도 있고, 터치 패널 상의 가상 키보드일 수도 있다. 즉, 입력 수단(410)은 입력이 가능한 수단이면 어떠한 제한도 없다. 예를 들어, 입력 수단(410)은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널의 가상 입력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수단(410)에 의해 사용자는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입력에 의해 데이터 전송 장치(300)의 제1 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다.
화상부(420)는 입력 수단(410)의 입력을 보조할 수 있다. 화상부(420)는 입력 수단(410)의 입력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화상부(420)는 필수적인 부분은 아니므로 생략될 수도 있다. 화상부(420)는 입력 수단(410)이 포함될 수도 있다. 즉, 화상부(420) 내에 입력 수단(410)이 가상 입력 수단의 형식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연결부(430)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연결부(430)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의 형태일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430)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의 충전 단자(331) 및 데이터 단자(333)와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연결부(430)는 충전부(431) 및 데이터부(433)를 포함한다.
충전부(431)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의 충전 단자(331)와 접촉될 수 있다. 충전부(431)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충전부(431)는 충전 단자(331)와 대응되게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다. 충전부(431)는 충전 단자(331)와 맞물릴 수 있는 경우에는 형상 및 위치에 아무런 제한이 없다.
데이터부(433)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의 데이터 단자(333)와 접촉될 수 있다. 데이터부(433)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에 제1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부(433)는 데이터 단자(333)와 대응되게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다. 데이터부(433)는 데이터 단자(333)와 맞물릴 수 있는 경우에는 형상 및 위치에 아무런 제한이 없다. 데이터부(433)는 충전부(431)와 90도 회전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공급부(440)는 데이터 입력 장치(4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급부(440)는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입력 장치(400) 내의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 장치(400)의 기능은 데이터 전송 장치(300)에 통합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전송 장치(300)가 제1 데이터를 설정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데이터 입력 장치(400)가 생략될 수 있다. 입력부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 상에 형성되고, 입력이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입력부가 데이터 전송 장치(300)에 포함되는 경우에도, 데이터 입력 장치(400)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데이터는 데이터 입력 장치(400), 전자 장치(200) 또는 입력부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물리적 접촉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데이터 전송 장치와 무선 통신 장치의 물리적 접촉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무선 통신 장치(500)에 물리적 접촉을 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접촉"이란, 단순히 물체가 맞닿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무선 통신 장치(500)의 일면과 다른 물체의 일면이 맞닿지 않아도 상호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물리적 접촉이 일어났다고 정의한다. 따라서, 바코드 인식이나 QR코드 인식과 같이 서로 맞닿지 않는 센싱 동작 등도 물리적 접촉에 포함된다. 즉, 일정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옵티컬(optical) 상호 작용도 물리적 접촉이라 정의한다.
물리적 접촉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500)의 터치 스크린에 데이터 전송 장치(300)의 터치 스크린 터치부(340)가 터치되는 것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터치부(340)에 의해서 무선 통신 장치(500)에 미리 설정된 전기적 신호가 가해지면, 무선 통신 장치(500)는 현재 장소 및 현재 시간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300) 역시 물리적 접촉에 의해서, 제1 데이터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치 스크린 터치부(340)가 무선 통신 장치(500)와의 물리적 접촉을 감지하여야 한다.
또 다른 방식으로, 물리적 접촉과 동시에 데이터 전송 장치(300)의 버튼부(320)가 눌려질 수 있다. 상기 "동시"는 동일한 시각이 아니라도 미리 결정된 일정 간격의 시간 범위 내를 포함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300)의 버튼부(320)가 도장 찍히듯이 눌려지면, 데이터 전송 장치(300)의 제1 데이터가 전자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는 버튼부(320)가 눌려지는 현재 시간 및 현재 장소로 변환될 수 있는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종이 쿠폰에 방문을 인증하는 도장을 찍듯이, 서비스사용자의 무선 통신 장치(500)에 전자적인 도장을 찍을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장치(500)의 현재 시간 및 현재 장소 데이터와 데이터 전송 장치(300)의 버튼부(320)의 눌림에 의해 전송되는 현재 시간 및 현재 장소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500)에 서버(100)가 제2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무선 통신 장치에 표시되는 제2 데이터를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무선 통신 장치에 방문 인증 문양이 표시된 모양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 데이터는 무선 통신 장치(500)가 데이터 전송 장치(300) 또는 데이터 입력 장치(400)가 설치된 장소에 방문하였다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데이터는 방문 인증을 위한 도장의 쿠폰 형식의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종이 쿠폰과 같은 화면상의 쿠폰(501)이 개시되고, 상기 화면상의 쿠폰(501)은 복수의 스탬프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스탬프 홀에 방문 횟수에 따라 방문 인증 문양(502a, 502b, 502c, ..., 502j)가 표시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1회 방문에도 복수의 방문 인증 문양을 획득하는 경우를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자가 제시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1회 방문에도 복수의 방문 인증 문양이 지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불 금액이 일정 금액 이상인 경우, 특정 메뉴를 주문하는 경우 또는 특정 시간대에 방문하는 경우가 서비스제공자가 제시한 조건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문 인증 문양의 개수를 재설정하는 것은 데이터 입력 장치(400)에 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병행하게, 전자 장치(200)에서도 방문 인증 문양의 개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 장치(400)는 전자 장치(200)와 같은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데이터 입력 장치(400)는 전자 장치(200)와 같은 장소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굳이 전자 장치(200)에 의해서가 아니라 간단하게 데이터 입력 장치(400)의 조작만으로 방문 인증 문양의 개수를 재설정 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 장치(400) 및 전자 장치(200)는 방문 인증 문양의 개수뿐만 아니라 종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에 따라 변환되는 제1 데이터와 연관된 제2 데이터는 서비스사용자의 ID, 서비스 사용자의 주문 메뉴, 주문 금액, 방문 시간 및 지불 방법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서버(100) 또는 전자 장치(200)에 추가로 저장 또는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의 소비 성향을 분석할 수 있고, 추후의 마케팅이나 상품개발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제1 데이터를 서버(100)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원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AP(acess point)를 통한 Wifi 방식일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데이터는 서버(100)에서 제2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또는 제2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및 장소 데이터와 무선 통신 장치(500)가 전송한 현재 시간 및 현재 장소 데이터가 동일한지 식별하고, 동일한 경우 제2 데이터를 무선 통신 장치(5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전자 장치(200)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가 로그인 등의 ID 식별 절차를 거쳐 서버(100)에 접속한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에는 무선 통신 장치(500)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0)는 무선 통신 장치(500)의 기기 식별 또는 사용자 로그인 등을 통해 무선 통신 장치(500)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가 식별되는 제2 데이터를 전송 받아, 상기 사용자, 즉 방문자를 식별할 수 있는 방문 인증 모양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제2 데이터에 포함되어 서버(100)에도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데이터는 방문자 별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의 소비 성향을 파악하는 데이터로 추후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한다.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데이터 전송 장치에 제1 데이터를 설정한다(S1100).
도 1을 참고하면, 데이터 전송 장치(300)에 제1 데이터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 입력 장치(400)에 의해 제1 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다. 제1 데이터는 전자 장치(200)에 의해서도 설정될 수 있다. 즉, 편의에 따라 전자 장치(200) 또는 데이터 입력 장치(4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1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은 재설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시, 도 11을 참고하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가 일정 공간에 함께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S1110).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무선 통신 장치(500)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와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현재 시간 및 현재 장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물리적 접촉 혹은 버튼부(320)의 눌림에 의해 제1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상기 제1 데이터에 연관된 제2 데이터가 포함하는 현재 시간 및 현재 장소 데이터를 무선 통신 장치(500)가 전송한 현재 시간 및 현재 장소 데이터와 동일한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동일"은 미세한 시간 간격 범위 및 거리 범위 차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양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으면 서버(100)는 제2 데이터를 무선 통신 장치(500) 및 전자 장치(200)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양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500)에 제2 데이터가 전송된다(S1120).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제2 데이터는 전자 장치(200)에도 전송될 수 있다. 제2 데이터는 방문 인증의 문양으로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장치(200)에는, 무선 통신 장치(500)의 기기 식별 또는 서버 상의 로그인을 통하여 방문자를 식별할 수 있는 방문 인증 문양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제2 데이터에 포함되어 서버(100)에도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데이터는 방문자별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의 소비 성향을 파악하는 데이터로 추후에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여기서 제시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별한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특별한 컴퓨터,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별한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버, 단말기 등 사이에서의 데이터 통신은 모든 근거리 및 장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서버 200: 전자 장치
300: 데이터 전송 장치 400: 데이터 입력 장치
500: 무선 통신 장치

Claims (13)

  1. 무선 통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가능한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장치의 제1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무선 통신 장치와의 물리적 접촉을 기초로한 제1 시간 및 장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무선 통신 장치와의 물리적 접촉을 기초로 한 제2 시간 및 장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시간 및 장소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일정 공간에 함께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그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제1 데이터와 연관된 제2 데이터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표시하며,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 또는 상기 데이터 입력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방문하였다는 방문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인 신호 또는 물리적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터치부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데이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상기 물리적 접촉 이후에 상기 버튼부가 눌리는 것이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수행되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일정 공간에 함께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충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충전 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을 표시하는 화상부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화상부의 터치에 의하는 입력 수단인 데이터 입력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제1 데이터를 설정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는 서비스사용자의 방문 횟수, 방문 매장의 위치, 주문 내용, 주문 금액, 방문 인증 모양의 종류 및 방문 인증 문양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8. 무선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으로서,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의 상기 제1 데이터를 갱신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가 일정 거리 내에서 미리 설정된 움직임을 만족하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각각 상기 미리 설정된 움직임에 대한 제1 및 제2 시간 및 장소 정보를 독립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제1 데이터와 연관된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 또는 상기 데이터 입력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방문하였다는 방문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움직임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의 물리적 접촉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0. 무선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장치에 제1 데이터가 설정되는 (a)단계;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간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발생된 제1 및 제2 장소 및 시간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각각 서버에 독립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간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발생된 각각의 장소 및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일정 공간에 함께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제1 데이터와 연관된 제2 데이터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표시되는 (c)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방문하였다는 방문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가 이미 설정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제1 데이터가 재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의 장소 및 시간 정보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장소 및 시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제1 데이터와 연관된 제2 데이터가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연동된 전자 장치 또는 서버에 인증 절차를 거쳐 접속한 전자 장치인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130162600A 2013-12-24 2013-12-24 데이터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591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600A KR101591785B1 (ko) 2013-12-24 2013-12-24 데이터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4/012721 WO2015099408A1 (ko) 2013-12-24 2014-12-23 데이터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201480017878.4A CN105074614A (zh) 2013-12-24 2014-12-23 数据输入装置,利用上述装置的数据传送系统及方法
JP2015562950A JP6110961B2 (ja) 2013-12-24 2014-12-23 データ入力装置、これを利用した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600A KR101591785B1 (ko) 2013-12-24 2013-12-24 데이터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636A KR20150074636A (ko) 2015-07-02
KR101591785B1 true KR101591785B1 (ko) 2016-02-04

Family

ID=5347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600A KR101591785B1 (ko) 2013-12-24 2013-12-24 데이터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10961B2 (ko)
KR (1) KR101591785B1 (ko)
CN (1) CN105074614A (ko)
WO (1) WO201509940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1626A (ja) * 1998-12-07 2000-08-22 Hitachi Ltd 電子筆記具および電子記載方法
JP2010102539A (ja) * 2008-10-24 2010-05-06 Trance Media Gp:Kk 管理サーバ及び来店確認システム
KR101281998B1 (ko) 2012-09-28 2013-07-04 최재석 전자식 도장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6282A (ja) * 2009-01-28 2010-08-12 Ipoca Inc 電子クーポン表示システム
CN103186846A (zh) * 2011-12-30 2013-07-03 张殿礼 一种智能电子印章系统及其授权控制方法
KR101321745B1 (ko) * 2012-02-03 2013-10-28 백경훈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및 그것의 이용방법
KR101231784B1 (ko) * 2012-04-03 2013-02-08 연광일 엔에프씨를 이용한 고객 단말기와 영업점포 단말기 간의 정보교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1626A (ja) * 1998-12-07 2000-08-22 Hitachi Ltd 電子筆記具および電子記載方法
JP2010102539A (ja) * 2008-10-24 2010-05-06 Trance Media Gp:Kk 管理サーバ及び来店確認システム
KR101281998B1 (ko) 2012-09-28 2013-07-04 최재석 전자식 도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19348A (ja) 2016-06-30
WO2015099408A1 (ko) 2015-07-02
JP6110961B2 (ja) 2017-04-05
KR20150074636A (ko) 2015-07-02
CN105074614A (zh)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2279B2 (en) Tool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transactions
CN103955313B (zh) 装置识别方法和设备、装置信息提供方法和设备
KR101496212B1 (ko)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KR101477692B1 (ko)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14021B1 (ko)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KR101591785B1 (ko) 데이터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727519B1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JP2016106286A (ja) 電子スタンプ付与方法及び電子スタンプ付与手段
KR20210127124A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KR20150052886A (ko)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JP6764145B2 (ja) 認証方法、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サーバコンピュータ及び認証プログラム
KR20160002497A (ko) 방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0540A (ko) 주문 결재가 가능한 진동벨
KR102370377B1 (ko) 사용자 장치,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EP3261042A1 (en) Server,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recording media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160000892A (ko)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 전자장치
CN113687760A (zh) 基于层叠式感知交互模块的可交互屏幕、及其方法和系统
JP2017194941A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出力システム
KR20150125071A (ko) 터치를 이용한 구매 상품 제공 방법
KR20160070287A (ko) 터치를 이용한 매장 결제 방법
JP201604668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72277A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