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745B1 -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및 그것의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및 그것의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745B1
KR101321745B1 KR1020120011162A KR20120011162A KR101321745B1 KR 101321745 B1 KR101321745 B1 KR 101321745B1 KR 1020120011162 A KR1020120011162 A KR 1020120011162A KR 20120011162 A KR20120011162 A KR 20120011162A KR 101321745 B1 KR101321745 B1 KR 101321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mp
smart
server
touch event
d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0834A (ko
Inventor
백경훈
Original Assignee
백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경훈 filed Critical 백경훈
Priority to KR1020120011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74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9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time stamps, e.g. generation of time stamps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스탬프에 관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스마트폰(100)과, 이 스마트폰(100) 화면에 접촉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스마트 스탬프(200)와, 이 스마트 스탬프(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400); 를 포함한다. 그리고 터치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스마트폰(100)이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을 통해서 서버(400)로 터치이벤트 신호(Ⅰ)를 전송하고, 이와 독립적으로 스마트 스탬프(200)가 서버(400)로 터치이벤트 신호(Ⅱ)를 전송하며, 서버(400)가 이를 동기화해서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폰(100)의 사용자 정보를 갱신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및 그것의 이용방법{SMART STAMP SY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며, 특히쿠폰을 발행하는 것과 관련된다.
최근 몇 년간 작은 컴퓨터처럼 기능하는 스마트폰이 전세계적으로 눈부신 속도로 광범위하게 보급되었다. 스마트폰은 무선전화라는 전통적인 휴대폰 기기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스마트폰의 운영체제를 이용해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여러 가지 생활의 편리함, 오락성, 콘텐트의 향유, 그리고 새로운 효율성을 경험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기초를 둔다.
한편, 소규모 점포를 위주로 사용되는 쿠폰 서비스라는 것이 있다. 점포는 자신의 고객에게 쿠폰을 제공하고, 나중에 고객이 점포에 그 쿠폰을 제시하면 미리 정한 룰에 의해 해당 고객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대표적으로 카페에서 발행하는 쿠폰이 있다. 예컨대 고객에게 종이 쿠폰을 제공하고, 카페에서 커피 1잔을 마실 때마다 1회씩 도장을 찍게 되는데, 그 횟수가 정해진 한도를 넘으면 커피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이와 유사한 쿠폰 서비스는 오늘날 주유소, 음식점, 퀵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종류의 쿠폰은 소규모 점포에서 자기 고객을 위해 발행하는 것으로, 쿠폰은 대부분 종이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고객이 쿠폰을 분실하면 그동안의 신용이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일이 도장을 찍어야 하기 때문에 그것 또한 번거로웠다. 게다가 쿠폰 발행의 규모가 너무 적어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쿠폰보다 발전된 형태로 여러 점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도 있으며, 또한 쿠폰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을 갖는 플라스틱 카드가 사용되기도 한다. 후자는 마일리지를 쌓아두는 목적으로 전통적인 쿠폰과는 다르지만, 이를 통해서 고객을 유인한다는 점에서 쿠폰과 유사한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이들 수단들도 분실의 위험성에 대한 대비책이 없다. 게다가 이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늘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본 발명은 발명가는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한편,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개발을 모티브로 해서 오랫동안 연구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 전용의 신규한 스탬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 다른 목적은 신규한 스탬프를 이용한 신규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함에 있다. 쿠폰 서비스 혹은 이것이 확장된 신규한 서비스 제공하게 되는데, 여기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스마트 스탬프을 서로 동기화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으로서: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접촉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스마트 스탬프; 및
상기 스마트 스탬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이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을 통해서 상기 서버로 터치이벤트 신호(Ⅰ)를 전송하고, 이와 독립적으로 상기 스마트 스탬프가 상기 서버로 터치이벤트 신호(Ⅱ)를 전송하며, 상기 서버가 이를 동기화해서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각각 전송된 시간 값을 사용해서 터치이벤트 신호(Ⅰ)와 터치이벤트 신호(Ⅱ)를 동기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탬프와 무선으로 통신하며, 상기 스마트 스탬프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에 상기 스마트 스탬프가 올려질 때 상기 스마트 스탬프의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서버와 USB 케이블로 연결되는 스탬프 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탬프 독이 상기 스마트 스탬프와 상기 서버를 중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쿠폰, 마일리지 적립, 출석기록, 출퇴근기록, 정기 행동 기록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스마트폰 화면에 접촉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키며 해당 터치이벤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스탬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스탬프는:
내장되는 배터리;
상기 스마트 스탬프의 단부가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접촉할 때의 터치이벤트를 인식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서버로 전송할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부와,
무선 통신용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쿠폰, 자기카드, 종이나 카드 등의 출석기록 혹은 출퇴근기록표 등을 사용자가 물리적 매체를 가지지 않고 자기가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는 새롭고 현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의 개념적인 구성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100)과 스마트 스탬프(200)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스탬프(200), 스탬프 독(300) 및 서버(400)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탬프(200)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프 독(300)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에 관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의 일예를 블록으로 개념 설명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스마트폰(100), 스마트 스탬프(200), 스탬프 독(300), 서버(400)가 포함될 수 있다.
스마트폰(100)은 아이폰, 윈도우폰, 안드로이드폰 등 무선전화가 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이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사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폰과 태블릿PC의 경계가 기술적으로 상업적으로 점점 사라지고 있는 상황에서 스마트폰(100)의 개념은 보다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스마트폰(100)은 본 시스템에서 스마트폰(100)이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작용하기 위한 스탬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스탬프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 스탬프(200)의 터치 이벤트를 인식하고 저장하는 요소를 가지며, 그밖의 요소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서 추가될 수 있다.
스마트 스탬프(200)는 스마트폰(100)의 화면 위에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터치 이벤트가 발생할 때 그 신호는 스탬프 독(Stamp Dock)(300)에 무선통신으로 전송된다. 스탬프 독(300)은 서버(400)와 연결되어 터치 이벤트 신호를 서버(400)에 전송한다. 또한, 스마트폰(100)은 스마트폰 화면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 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해서 서버(400)로 전송한다. 스마트폰(100)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 신호와 스마트 스탬프(200)에서 전송되어 온 터치 이벤트 신호가 서버(400)에서 동기화된다. 이렇게 두 신호 사이에 동기화가 이루어질 때, 서버(400)는 해당 터치 이벤트를 기록하고, 스마트폰의 사용자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폰(100)과 스마트 스탬프(200)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할 때에만 관계를 갖는다. 스마트 스탬프(200)와 스탬프 독(300)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스탬프 독(300)과 서버(400)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00)과 서버(400)는 3G, LTE 등의 이동통신망이나 Wi-Fi 근거리 무선망을 이용한 인터넷 등을 통해 동기화 할 수 있다.
도 2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시스템 구성에 기초하여 스마트폰(100)과 스마트 스탬프(200)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마프폰(100)의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100)의 화면(110)을 스마트 스탬프(200)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스마트 스탬프(200)는 스마트폰의 화면(110)에 미리 정해진 위치에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키다. 스마트 스탬프(200)의 하부 표면을 스마트폰의 화면(110)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다. 스마트 스탬프(200)의 하부 표면은 스마트폰에 터치 입력이 가능한 소재,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스펀지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며, 그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스탬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다음에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스마트 스탬프(200)를 실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화면 구성은 스마트 스탬프(200)가 터치하는 터치 지점(120)을 디자인하여 미리 구획할 수 있으며, 가시화된 터치 지점(120)이 제시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스탬프(200)가 해당 터치 지점(120)을 터치하여 터치이벤트가 발생할 때, 해당 지점은 다르게 표시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예컨대 10개의 쿠폰을 찍은 경우 1개의 커피를 무료로 제공하는 카페의 쿠폰에 본 발명의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10개의 칸으로 구별되는 터치 지점(120)이 표시될 수 있다. 터치이벤트가 발생한 칸은 텍스트, 기호, 아이콘 등의 이미지 또는 색상 등의 조합으로 터치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칸과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스탬프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되, 통상의 스마트폰 화면에 단순히 스마트 스탬프(200)를 터치할 때, 그 터치이벤트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터치이벤트가 발생하면 스탬프 애플리케이션은 자동으로 서버와 동기화는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탬프(200)와 스탬프 독(300) 및 서버(400)와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스마트 스탬프(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스탬프 독(200)의 충전 스테이션(301)에 올려 놓는다. 스마트 스탬프(200)의 바닥면(201)을 충전 스테이션(301)에 위치하면(도킹), 스마트 스탬프(200)의 내부 배터리가 자동으로 충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 스테이션(301)에는 충전을 할 수 있는 충전용 접점(미도시)이 설치된다. 스마트 스탬프(200)에 설치된 충전용 접점(미도시)와 상기 충전 스테이션(301)의 충전용 접점이 서로 일치하여 접점을 형성할 때, 상기 스탬프 독(200)은 스마트 스탬프(200)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스탬프 독(200)의 충전용 전력은 서버(4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스탬프 독(200)과 서버(400)는 USB 케이블(350)로 연결되며, 이 USB 케이블(350)을 통해서 서버(400)와 통신을 함과 동시에 서버(400)로부터 전력을 받아 이를 스마트 스탬프(200)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 통신과 전력 공급은 USB 표준이 정한 바를 따른다.
도 4는 스마트 스탬프(200)의 내부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한다. 스마트 스탬프(200)는 무선 안테나(210), 충전 가능한 배터리(220), 센서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부(230) 및 스마트폰과의 접촉을 통해 발생하는 터치이벤트를 감지하는 센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배터리(220)를 충전하기 위해서 스탬프 독(200)의 충전용 접점과 접촉을 형성하는 충전용 접점이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240)는 스마트폰의 화면 위로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데 바람직하게는 압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센서, 광센서, 자세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이 터치 이벤트의 감지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터치 이벤트 감지 수단은 센서의 종류와 방식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240)에서 감지된 신호는 프로세서부(230)에 의해서 해석되며, 이 프로세서부(230)는 서버로 전송할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들 데이터는 무선 안테나(210)를 통해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식에 의해 상기 스탬프 독(300)으로 전달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 독(300)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탬프 독(300)은 무선 안테나(310)와 프로세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스마트 스탬프(200)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접점이 설치될 수 있다.
무선 안테나(310)를 통해서 스탬프 독(300)은 스마트 스탬프의 무선 안테나(210)를 통해 전송되는 터치 이벤트 신호를 포함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320)는 이렇게 수신한 데이터를 서버(40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서버(400)로의 데이터 전송은, 전술한 바와 같이, USB 케이블(350)을 경유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USB 케이블(350)을 통해서 서버(400)와 USB 표준에 의해 통신을 하며, 기기의 구동과 충전을 위한 전원소스로 사용한다.
[다양한 변형예]
(1)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스탬프 독(300)이 구성되어, 그것이 스마트 스탬프(200)와 서버(400)를 중개하는 것이다. 이는 스탬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스마트 스탬프(200)의 분실 가능성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케이블로 인한 스탬프(200)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스탬프(200)와 스탬프 독(300)을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스탬프(200)는 서버(400)와 직접 통신을 하며, 서버(400)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는다.
(2)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통신 방식을 모두 무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 스마트 스탬프(200)와 스탬프 독(300) 사이의 통신, 그리고 스탬프 독(300)과 서버(400) 사이의 통신을 모두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구성할 수 있다. (1)번 변형예의 경우에는 스마트 스탬프(200)와 서버(400)가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3) 또한, 스탬프 독(300)의 내부 배터리를 충전용으로 구성하고, 이 배터리를 이용해서 스마트 스탬프(200)의 배터리를 충전함과 동시에 스탬프 독(300)의 구동전원으로 기능하도록 변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탬프 독(300)의 내부 배터리가 USB 표준에 의해 충전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USB 케이블(350)은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스마트 스탬프(200)와 스탬프 독(300)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든, 혹은 (1)번 변형예처럼 도킹장치가 없이 구성된 스마트 스탬프(200)이든, 내부 배터리로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를 이용해서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서버(400)로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아도 된다.
(5) 스마프 스탬프(200)나 스탬프 독(3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그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스마트 스탬프(200)의 단부 형상은 꼭 평면이 아니어도 좋다. 뾰족한 형태의 펜 이어도 좋다.
(6) 본 발명에서는 서버(400)는 스마트 스탬프(200)와 근거리에 위치한 컴퓨터일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 구성의 다양한 변형예에 따라서는 서버(400)가 원거리에 위치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유무선 통신을 할 수도 있다.
<스마트 스탬프의 이용방법>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탬프를 이용하는 바람직한 이용방법의 일 예에 대한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스마트폰의 사용자는 스마트 스탬프가 사용되는 공간에 위치할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본 발명의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소망하는 스탬프를 받으려 할 것이다.
먼저, 스마트폰에 설치된 스탬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0). 스탬프할 화면이 가시화될 것이다. 다음으로 스마트 스탬프가 스마트폰 화면에 접촉함으로써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다(S11). 터치 이벤트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스마트 스탬프의 하단부의 터치수단이 접촉할 때 발생한다. 즉, 스마트폰에 스탬프를 찍은 것이다. 이때 사용자 정보와 터치 이벤트 정보에 관련된 일련의 통신이 두 가지 루트로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첫 번째 루트에서는, 스마트폰이 서버로 터치이베트가 발생했다는 신호(I)신호를 3G, LTE 등의 이동통신망이나 Wi-Fi 인터넷 등을 통해 전송한다(S22). 그러면 서버는 해당 스마트폰정보(전화번호 등)를 받으면서 해당 신호(I)를 수신할 것이다.
두 번째 루트에서는, 스마트 스탬프가 터치 이벤트 신호를 스탬프 독으로 무선 전송한다(S12). 그리고 스탬프 독이 스마트 스탬프로부터 수신한 터치 이벤트 신호(II)를 서버로 전송한다(S13).
서버는 스마트폰에서부터 전송된 신호(I)와 스탬프 독로 전송(스마트 스탬프와 스탬프 독이 일체화된 경우에는 스마트 스탬프로부터 전송된다)되는 신호(II)를 동기화한다(S14).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송된 시간의 차이값이 미리 서버에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된 시간 범위 이내인 경우를 판단하여 동기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시간값 및/또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할 수 있다.
동기화에 성공하면 서버는 해당 터치 이벤트를 저장한다(S15).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될 것이다. 터치 이벤트 개수와 터치 이벤트 날짜와 시간 등이 사용자 정보에 대해 기록될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의 스탬프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여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쿠폰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과 이 시스템을 이용해서 제공되는 서비스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예시될 수 있다:
첫째, 쿠폰이다. 카페, 빵가게, 주유소, 각종 점포, 이들의 체인점들이 제공하는 쿠폰을 본 발명에 의해서 스마트 쿠폰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이 쿠폰의 교체다.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제시하고 그 화면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마트 스탬프를 이용해서 쿠폰을 발행하는 것이다.
둘째, 마일리지 적립이다. 슈퍼마켓이나, 각종 점포, 이들의 체인점들이 제공하는 마일리지 카드를 본 발명에 의해서 스마트 마일리지 카드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기식 카드의 교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인 매체를 가질 필요가 없다.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제시하고 그 화면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마트 스탬프를 이용해서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것이다.
셋째, 출석기록카드의 기능이다. 학교, 학원, 각종 교육기관 등에서 기록하는 출석기록부를 종이나 카드 대신에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넷째, 출퇴근기록부의 대체 기능이다. 회사에 출근하거나 퇴근할 때 남기는 기록은 대부분 출퇴근기록장치에 출퇴근기록부를 삽입함으로써 기록하는 방식을 이용했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양심에 반해서 대신 기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그런 문제점이 해결된다.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해야 하며, 스마트폰에 스마트 스탬프를 접촉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라 정기 행동 기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병원이나 요양서와 같이 정해진 시간/날짜에 어떤 행위를 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그것을 기록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이 정기적으로 어떤 행동을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면 자동으로 기록될 수 있다. 스마트폰의 화면과 스마트 스탬프가 접촉하여 터치 이벤트가 발생될 때, 행동에 관한 기록 정보(예컨대 사용자 정보, 이벤트 날짜와 시간, 행동의 내용, 위치 정보 등)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의 종류와 내용으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보호범위가 함부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5)

  1.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접촉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스마트 스탬프;
    상기 스마트 스탬프와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스탬프 독; 및
    상기 스탬프 독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이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을 통해서 상기 서버로 터치이벤트 신호(Ⅰ)를 전송하고, 이와 독립적으로 상기 스마트 스탬프가 상기 스탬프 독으로 상기 터치이벤트 신호(Ⅱ)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스탬프 독이 상기 터치이벤트 신호(Ⅱ)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가 상기 터치이벤트 신호(Ⅰ)와 상기 터치이벤트 신호(Ⅱ)를 동기화해서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 정보를 갱신하는 것인,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각각 전송된 시간 값을 사용해서 터치이벤트 신호(Ⅰ)와 터치이벤트 신호(Ⅱ)를 동기화하는 것인,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 독은 상기 스마트 스탬프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에 상기 스마트 스탬프가 올려질 때 상기 스마트 스탬프의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서버와 USB 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이고, 이 스탬프 독이 상기 스마트 스탬프와 상기 서버를 중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쿠폰, 마일리지 적립, 출석기록, 출퇴근기록, 정기 행동 기록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5. 스마트폰 화면에 접촉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키며 해당 터치이벤트를 무선으로 스탬프 독으로 전송하고, 결과적으로 스탬프 독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서버로 상기 터치이벤트를 전송하는 스마트 스탬프로서:
    상기 스탬프 독에 결합될 때 충전되는 내장 배터리;
    상기 스마트 스탬프의 단부가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접촉할 때의 터치이벤트를 인식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서버로 전송할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부와,
    상기 스탬프 독과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무선 통신용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탬프.
KR1020120011162A 2012-02-03 2012-02-03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및 그것의 이용방법 KR101321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162A KR101321745B1 (ko) 2012-02-03 2012-02-03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및 그것의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162A KR101321745B1 (ko) 2012-02-03 2012-02-03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및 그것의 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834A KR20130100834A (ko) 2013-09-12
KR101321745B1 true KR101321745B1 (ko) 2013-10-28

Family

ID=4945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162A KR101321745B1 (ko) 2012-02-03 2012-02-03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및 그것의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7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688A (ko) 2014-02-05 2015-08-13 모비두 주식회사 전자 스탬프
KR102128397B1 (ko) 2019-01-31 2020-06-30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스마트스탬프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360978B1 (ko) 2021-08-05 2022-02-09 강유 온/오프라인 스탬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785B1 (ko) * 2013-12-24 2016-02-04 주식회사 투게더 데이터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174029B1 (ko) * 2014-01-29 2020-11-04 원투씨엠 주식회사 도장 터치를 이용한 월렛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50542B1 (ko) * 2014-03-22 2021-05-10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모듈을 이용한 시급제 아르바이트 관리 방법
KR102250543B1 (ko) * 2014-03-22 2021-05-10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모듈을 이용한 시급제 관리 방법
KR101628829B1 (ko) * 2014-03-25 2016-06-09 (주)동연시스템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일리지 적립 방법
KR101598185B1 (ko) * 2014-05-15 2016-02-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탬퍼, 그리고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02497A (ko) * 2014-06-30 2016-01-08 주식회사 투게더 방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593955B1 (ko) * 2014-08-04 2016-02-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탬퍼, 그리고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KR101995018B1 (ko) * 2015-06-25 2019-07-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탬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1303A (ja) 2006-06-16 2008-01-31 Yafoo Japan Corp ペイパービジット広告システム
JP2010102539A (ja) * 2008-10-24 2010-05-06 Trance Media Gp:Kk 管理サーバ及び来店確認システム
KR20110003076U (ko) * 2011-03-08 2011-03-24 송훈호 도킹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1303A (ja) 2006-06-16 2008-01-31 Yafoo Japan Corp ペイパービジット広告システム
JP2010102539A (ja) * 2008-10-24 2010-05-06 Trance Media Gp:Kk 管理サーバ及び来店確認システム
KR20110003076U (ko) * 2011-03-08 2011-03-24 송훈호 도킹스테이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기사, ‘KT, 종이 쿠폰이 아닌 NFC용 모바일 스탬프 선보여’(2010.05.06)*
인터넷 기사, 'KT, 종이 쿠폰이 아닌 NFC용 모바일 스탬프 선보여'(2010.05.06)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688A (ko) 2014-02-05 2015-08-13 모비두 주식회사 전자 스탬프
KR20160061954A (ko) 2014-02-05 2016-06-01 모비두 주식회사 전자 스탬프
KR102128397B1 (ko) 2019-01-31 2020-06-30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스마트스탬프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360978B1 (ko) 2021-08-05 2022-02-09 강유 온/오프라인 스탬프장치
KR20230021559A (ko) 2021-08-05 2023-02-14 강유 Nfc 기반으로 스탬핑 카운트 기능을 제공하는 스탬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834A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745B1 (ko)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및 그것의 이용방법
CN209710282U (zh) 无线耳机充电盒的开盖通讯装置、充电盒及耳机
US10374662B2 (en) Watch-type mobile terminal
KR102373097B1 (ko) 스마트 컵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408957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ゲーム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操作体、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EP2991000A1 (en)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JP2015222880A (ja)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装置及びビーコン装置
CN103914254A (zh) 用于动态显示盒管理的方法和设备
TW201637386A (zh) 用於人體通訊之資料儲存、輸入及輸出技術
US1099019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al pen
EP3417602B1 (en) Electronic device attachable external storage media
US20200065858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5891757B2 (ja) Rfidタグ付き情報表示媒体システム
JP2015114738A (ja) 記憶媒体発行システム、記憶媒体発行装置、入力表示装置、読取書込装置、及び入力表示装置用プログラム
JPWO2017051782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40741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944649A (zh) 用于信息交互的服务器终端、客户终端以及信息交互系统
JP6509678B2 (ja) 指示体検出装置
JP2016106286A (ja) 電子スタンプ付与方法及び電子スタンプ付与手段
KR10244526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372040B2 (ja) 無線オーダーシステム、無線オーダーシステムに用いるハンディ端末、及びハンディ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JP5733349B2 (ja) 表示端末、画面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4461092B (zh) 一种触控笔的连接方法及电子设备
JP2014235451A (ja) 訪問履歴蓄積システム、訪問履歴蓄積装置、訪問履歴蓄積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31991A (ja) 情報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