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337A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8337A
KR20140058337A KR1020130127002A KR20130127002A KR20140058337A KR 20140058337 A KR20140058337 A KR 20140058337A KR 1020130127002 A KR1020130127002 A KR 1020130127002A KR 20130127002 A KR20130127002 A KR 20130127002A KR 20140058337 A KR20140058337 A KR 20140058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boss
boss portion
hole
invention descri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3856B1 (ko
Inventor
야스히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40058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02Resiliently deformable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6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pliable, non-resilient material, e.g. plant ti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02Resiliently deformable pins
    • F16B2019/006Resiliently deformable pins made in a plurality of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과제)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1쌍의 제 1 클립과 제 2 클립을 서로 회전시켜서 보스부를 비틀어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해결수단) 부착구멍(21)이 형성된 부착부재(20)를 탄성을 가진 보스부(31)가 형성된 피부착부재(30)에 체결하는 클립(10)이다. 클립(10)은 부착부재(20)에 대해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70)를 가지는 통형상의 제 1 클립(40)과, 피부착부재(30)에 대해서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제 1 클립(40)에 대해서 동일 축선상에 내장되는 통형상의 제 2 클립(50)으로 이루어진다. 클립(10)은, 보스부(31)를 끼운 상태에서 제 1 클립(40)을 회전시킴에 의해서 피부착부재(30)의 보스부(31)를 탄성 변형되게 비틀음으로써, 제 2 클립(50)을 통해서 제 1 클립(40)이 보스부(31)에 대해서 빠짐 불가능하게 체결된다. 또, 제 1 클립(40)은 보스부(31)와 맞닿는 제 1 맞닿음부(61)를 가지며, 제 1 클립(40)이 회전할 때에 보스부(31)를 비틀도록 하여도 좋다.

Description

클립{CLIP}
본 발명은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1쌍의 제 1 클립과 제 2 클립을 서로 회전시켜서 보스부를 비틀어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베이스 지지부재의 부착구멍에 밀러 베이스의 부착 보스부를 부착하기 위한 클립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의 식별번호 [OOl0]∼[0013] 및 도 3 참조).
상기 종래의 부착 보스부에는 걸림돌조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돌조를 클립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걸림돌조의 걸림 작용을 이용하여 걸어 고정하고 있었다(특허문헌 1의 식별번호 [0012], [0013] 및 도 2, 도 3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08-32040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클립에서는 밀러 베이스의 부착 보스부에 걸림돌조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밀러 베이스의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의 점에 있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1쌍의 제 1 클립과 제 2 클립을 서로 회전시켜서 보스부를 비틀어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클립과 같이 보스부에 걸림돌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스부를 가지는 피부착부재의 구조를 간편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더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클립의 제 1 맞닿음부를 보스부와 맞닿게함으로써, 상기 제 1 클립을 회전시킴에 의해서 보스부를 비틀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더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제 2 클립의 제 2 맞닿음부를 보스부와 맞닿게 함으로써, 제 1 클립이 회전할 때에 비틀리는 보스부의 하측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더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구멍부와 돌조부가 교호로 회전을 허용함으로써, 제 1 클립과 제 2 클립의 회전과 정지를 교호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더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리브를 잡거나 쥐거나 함으로써, 제 1 클립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6)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더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리브를 잡거나 쥐거나 함으로써, 제 1 클립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 발명의 특징점을 도면에 나타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괄호 내의 부호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부호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도면 번호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도면 번호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멍(21)이 형성된 부착부재(20)를 탄성을 가진 보스부(31)가 형성된 피부착부재(30)에 체결하는 클립(10)이다.
둘째로, 클립(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제 1 클립(40)
제 1 클립(4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재(20)에 대해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70)를 가지는 통형상의 것이다.
(2) 제 2 클립(50)
제 2 클립(5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착부재(30)에 대해서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제 1 클립(40)에 대해서 동일 축선상에 내장되는 통형상의 것이다.
셋째로, 클립(10)은 도 22∼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부(31)를 끼운 상태에서 제 1 클립(40)을 회전시킴에 의해서 피부착부재(30)의 보스부(31)를 탄성 변형되게 비틀음으로써, 제 2 클립(50)을 통해서 제 1 클립(40)이 보스부(31)에 대해서 빠짐 불가능하게 체결된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1 클립(40)은 도 22∼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부(31)와 맞닿는 제 1 맞닿음부(61)를 가지며, 제 1 클립(40)이 회전할 때에 보스부(31)를 비튼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2 클립(50)은 도 23∼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부(31)와 맞닿는 제 2 맞닿음부(51)를 가지며, 제 1 클립(40)이 회전할 때에 비틀리는 보스부(31)의 하측을 유지한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클립(40)과 제 2 클립(50) 중 일측에는 구멍부(62)를 가지고, 타측에는 상기 구멍부(62)에 걸어맞춰지는 돌조부(52)를 가지며, 구멍부(62)와 돌조부(52)는 교호로 회전을 허용한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1 클립(40)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부(31)의 연장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리브(63)를 가진다.
(청구항 6)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1 클립(40)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부(31)의 연장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리브(63)를 가진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기재되는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1쌍의 제 1 클립과 제 2 클립을 서로 회전시켜서 보스부를 비틀어 체결할 수 있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1 클립의 제 1 맞닿음부를 보스부와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클립을 회전시킴에 의해서 보스부를 비틀 수 있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2 클립의 제 2 맞닿음부를 보스부와 맞닿게 함으로써, 제 1 클립이 회전할 때에 비틀리는 보스부의 하측을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구멍부와 돌조부가 교호로 회전을 허용함으로써, 제 1 클림과 제 2 클립의 회전과 정지를 교호로 할 수 있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리브를 잡거나 쥐거나 함으로써, 제 1 클립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청구항 6)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리브를 잡거나 쥐거나 함으로써, 제 1 클립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클립,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피부착부재의 정면도
도 3은 피부착부재의 측면도
도 4는 제 1 클립을 경사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제 1 클립을 경사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제 1 클립의 절반을 단면으로 한 정면도
도 7은 제 1 클립의 절반을 단면으로 한 측면도
도 8은 제 1 클립의 저면도
도 9는 제 2 클립을 경사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제 2 클립을 경사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제 2 클립의 절반을 단면으로 한 정면도
도 12는 제 2 클립의 절반을 단면으로 한 측면도
도 13은 제 2 클립의 저면도
도 14는 제 1 클립과 제 2 클립을 조립한 상태의 클립 및 피부착부재의 사시도
도 15는 제 1 클립과 제 2 클립을 조립한 상태의 클립의 사시도
도 16은 제 1 클립과 제 2 클립을 조립한 상태의 클립의 절반을 단면으로 한 정면도
도 17은 제 1 클립과 제 2 클립을 조립한 상태의 클립의 절반을 단면으로 한 측면도
도 18은 제 1 클립과 제 2 클립을 조립한 상태의 클립의 평면도
도 19는 제 1 클립과 제 2 클립을 조립한 상태의 클립을 피부착부재에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대응하며, 제 1 클립을 회전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대응하며, 부착부재에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22는 클립을 통해서 부착부재를 피부착부재에 부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23은 제 1 클립과 제 2 클립을 조립한 상태의 클립을 피부착부재에 부착하고, 상기 클립의 일부를 절제한 상태의 사시도
도 24는 피부착부재의 보스부가 비틀어진 상태의 사시도
도 25는 도 23에 대응하며, 제 1 클립을 회전한 상태의 사시도
도 26은 클립을 통해서 부착부재를 피부착부재에 부착한 상태의 다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10은 클립을 나타내며, 당해 클립(10)을 통해서 도 21, 도 22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재(20)를 피부착부재(30)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부착부재(20)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구멍(21)에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 1 클립(40)의 걸어맞춤부(7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부착구멍(2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재(20)의 표리면을 관통하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구멍(21)을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부착부재(20)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반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이 형상은 단지 예시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부착부재(30)에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보스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1)는 도 22∼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 2 클립(50)의 원통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피부착부재(30)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반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이 형상은 단지 예시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스부(31)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착부재(30)의 표면에서 상측으로 향해서(이하 "연장 방향"이라고도 한다) 얇은 판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스부(31)와 피부착부재(30) 사이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X자형으로 교차된 제 1 입상부(立上部)(32)와 제 2 입상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입상부(32)는 보스부(31)의 폭 방향의 양 단부에 1쌍 배치되어 있고, 또 제 2 입상부(33)는 보스부(31)의 두께 방향으로 1쌍 배치되어 있다.
보스부(31) 및 제 1, 제 2 입상부(32,33)는 적당한 탄성과 강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보스부(31) 및 제 1, 제 2 입상부(32,33)를 수지제로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스부(31)가 탄성을 가지고 있으면 좋고, 금속제로 하여도 좋다.
《클립(10)》
클립(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음의 (1) 및 (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제 1 클립(40)
(2) 제 2 클립(50)
또한, 클립(10)의 부품은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클립(40)〉
제 1 클립(40)은 도 1 및 도 4∼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재(20)에 대해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70)를 가지는 통형상의 것이다.
제 1 클립(40)은 적당한 탄성과 강성을 가지며, 예를 들면 POM(폴리아세탈)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제 1 클립(40)은 도 4∼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각부를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 및 (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통형상부(60)
(2) 걸어맞춤부(70)
또한, 제 1 클립(40)의 각부는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클립(50)〉
제 2 클립(50)은 도 1 및 도 9∼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착부재(30)에 대해서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제 1 클립(40)에 대해서 동일 축선상에 내장되는 통형상의 것이다. 그리고, 제 2 클립(50)의 원통 내부에 보스부(31)를 끼운 상태에서, 도 19 및 도 22∼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클립(40)을 회전시킴에 의해서 피부착부재(30)의 보스부(31)를 탄성 변형되게 비틀음으로써, 제 2 클립(50)을 통해서 제 1 클립(40)이 보스부(31)에 대해서 빠짐 불가능하게 체결된다.
제 2 클립(50)의 높이는 보스부(31)의 전체 길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보스부(31)의 전체 길이의 약 6∼7할 정도의 높이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제 2 클립(50)의 높이를 보스부(31)의 전체 길이의 약 6∼7할 정도의 높이로 설정하였으나, 이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클립(50)은 제 1 클립(40)과 마찬가지로 적당한 탄성과 강성을 가지며, 예를 들면 POM(폴리아세탈)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클립(50)은 도 9∼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면이 개구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클립(50)에는 도 9∼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각부를 가진다. 또한, 다음의 (1)∼(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제 2 맞닿음부(51)
(2) 돌조부(52)
(3) 제 1, 제 2 절결부(53,54)
또한, 제 2 클립(50)의 각부는 상기한 (1)∼(3)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형상부(60)〉
통형상부(60)는 도 4∼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통 내부에 제 2 클립(50)을 회전 가능하게 내장하는 것이다.
통형상부(60)는 상하면이 개구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경을 제 2 클립(50)의 외경과 거의 같게 형성함으로써, 원통 내부에 있어서 제 2 클립(50)의 회전을 허용하고 있다. 또, 통형상부(60)의 외경은 부착부재(20)의 부착구멍(21)보다 크게, 즉 대략 직사각형의 부착구멍(21)의 단변(短邊)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통형상부(60)는, 걸어맞춤부(70)를 부착구멍(21)에 삽입하였을 때에 도 22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재(20)의 하면에 맞닿게 됨으로써, 부착구멍(21)에는 끼워지지 않는다.
통형상부(60)의 높이는 도 1,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클립(50)의 높이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클립(50)의 높이보다 조금 낮게 형성되며, 원통 내부에 제 2 클립(50)을 삽입하였을 때에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클립(50)의 하부가 노출되도록 하고 있다.
통형상부(60)는 도 4∼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각부를 가진다. 또한, 통형상부(60)의 각부는 다음의 (1)∼(3)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제 1 맞닿음부(61)
제 1 맞닿음부(61)는 도 6, 도 8 및 도 22∼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부(31)와 맞닿아서 제 1 클립(40)이 회전할 때에 보스부(31)를 비트는 것이다.
제 1 맞닿음부(61)는 도 6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부(60)의 상측에 위치하며, 보스부(31)의 판두께와 거의 같은 간격을 두고서 대향한다.
(2) 구멍부(62)
구멍부(62)는 도 4∼도 7,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클립(50)의 돌조부(52)가 끼워져서 걸어맞춰지며, 제 1 클립(40)과 제 2 클립(50)의 회전을 교호로 허용하는 것이다.
구멍부(62)는 도 4∼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맞닿음부(61)의 하측에 위치하며, 내외로 사각형으로 관통된다. 구멍부(62)는 90도 간격으로 합계 4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멍부(62)를 4개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돌조부(52)와 같은 개수 혹은 돌조부(52)보다 많게 형성하여도 좋으며, 단수, 2개, 3개 혹은 5개 이상 형성하여도 좋다.
또, 통형상부(60)에 구멍부(62)를 형성하고, 제 2 클립(50)에 돌조부(52)를 형성하였으나, 이것과는 반대로 통형상부(60)에 돌조부를 형성하고, 제 2 클립(50)에 구멍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3) 리브(63)
리브(63)는 도 4∼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클립(40)의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보스부(31)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다.
리브(63)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리브(63)는 인접하는 구멍부(62)와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합계 4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브(63)를 4개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2개, 3개 혹은 5개 이상 형성하여도 좋다.
〈걸어맞춤부(70)〉
걸어맞춤부(70)는 도 4∼도 7,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재(20)의 부착구멍(21)에 삽입되어 당해 부착부재(20)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걸어맞춤부(70)는, 통형상부(60)에서 일단(一段) 가늘게 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직사각형의 각통형(角筒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걸어맞춤부(70)의 외형은 부착부재(20)의 부착구멍(21)의 내형과 거의 같게 설정되며, 부착구멍(21)에 끼워지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70)의 높이는, 통형상부(60)의 높이를 더한 전체 높이가 보스부(31)의 전체 길이 이상이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보스부(31)를 삽입하였을 때에,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70)의 개구 상면에서 보스부(31)의 선단의 상단부가 돌출되는 일이 없다.
걸어맞춤부(70)는 도 4∼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각부를 가진다. 또한, 걸어맞춤부(70)의 각부는 다음의 (1)에 한정되지 않는다.
(1) 걸어맞춤돌조(71)
걸어맞춤돌조(71)는 도 4∼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70)의 외면에서 탄성적으로 돌출된다. 걸어맞춤돌조(7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직사각형인 걸어맞춤부(70)의 장변(長邊) 측에 위치하며, 서로 배향(背向)되게 1쌍 돌출된다.
걸어맞춤돌조(71)는, 걸어맞춤부(70)를 부착부재(20)의 부착구멍(21)의 개구 하면에서 삽입하였을 때에, 부착구멍(21)의 내연부에 의해 눌려져서 원통 내부로 향해서 탄성적으로 휘어짐으로써, 걸어맞춤부(70)가 부착구멍(21) 내로 진입한다. 이 상태에서 걸어맞춤부(70)를 더 밀어 넣으면, 걸어맞춤돌조(71)가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멍(21)을 통과함과 동시에 부착부재(20)의 상측에서 절도감을 갖도록 '짤깍'하는 소리와 함께 탄성적으로 복원된다. 따라서, 걸어맞춤돌조(71)는 굵게 된 통형상부(60)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부착부재(20)를 상하 방향에서 끼움 지지함으로써, 걸어맞춤부(70)가 부착구멍(21)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제 2 맞닿음부(51)〉
제 2 맞닿음부(51)는 도 9∼도 11, 도 13 및 도 23∼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부(31)와 맞닿아서 제 1 클립(40)이 회전할 때에 비틀리는 보스부(31)의 하측을 유지하는 것이다.
제 2 맞닿음부(51)는 도 9∼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클립(50)의 하측에 위치하며, 보스부(31)의 판두께와 거의 같은 간격을 두고서 대향한다.
〈돌조부(52)〉
돌조부(52)는 도 9∼도 13,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클립(40)의 구멍부(62)에 걸어맞춰져서 제 1 클립(40)과 제 2 클립(50)의 회전을 교호로 허용하는 것이다.
돌조부(52)는 제 2 맞닿음부(51)의 상측에 위치하여 제 2 클립(50)의 외주면에서 서로 배향되게 1쌍 돌출되되, 제 2 맞닿음부(51)의 대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조부(52)는 180도 간격으로 2개 형성되고, 상기 돌조부(52)가 끼워지는 구멍부(62)는 90도 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돌조부(52)는 4개의 구멍부(62) 중 2개에는 끼워지고, 정지상태의 제 2 클립(50)에 대해서 제 1 클립(40)을 90도 회전할 때마다 인접한 나머지 2개의 구멍부(62)에 끼워지다.
또한, 돌조부(52)를 1쌍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수 혹은 3개 이상 형성하여도 좋다.
돌조부(52)는, 제 2 클립(50)을 통형상부(60)의 개구 하면에서 삽입하였을 때에, 그 내연부에 의해 눌려져서 원통 내부로 향해서 탄성적으로 휘어짐으로써, 제 2 클립(50)이 통형상부(60)의 원통 내부로 진입한다. 이 상태에서 제 2 클립(50)을 더 밀어 넣으면, 돌조부(52)가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부(60)의 구멍부(62)에 도달하여 탄성적으로 복원될 때에 상기 구멍부(62)에 절도감을 갖도록 '짤깍'하는 소리와 함께 끼워짐으로써, 제 2 클립(50)이 통형상부(60) 내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또, 각 돌조부(52)의 측면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면(52a)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52a)은 제 2 클립(50)의 회전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 2 클립(50)이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에 돌조부(52)가 끼워져 있는 구멍부(62)의 내연부에 맞닿게 된다.
즉, 정지상태의 제 2 클립(50)에 대해서 제 1 클립(40)을 회전시키면, 돌조부(52)가 끼워져 있는 구멍부(62)의 내연부에 의해 경사면(52a)이 눌려짐으로써, 상기 돌조부(52)가 제 2 클립(50)의 원통 내부로 향해서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클립(4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인접한 구멍부(62)의 위치까지 더 회전시키면, 돌조부(52)가 탄성적으로 복원될 때에, 상기 구멍부(62)에 절도감을 갖도록 '짤깍'하는 소리와 함께 끼워짐으로써, 제 1 클립(40)의 회전이 정지된다.
〈제 1, 제 2 절결부(53,54)〉
제 1, 제 2 절결부(53,54)는 도 9∼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부(3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제 2 입상부(32,33)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제 2 클립(5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제 2 절결부(53,54)는 모두 제 2 클립(50)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하측의 단면에서 상측으로 향해서 오목한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다.
제 1 절결부(53)는 제 2 맞닿음부(51)의 대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1쌍 형성되며, 보스부(31)의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입상부(32)의 상단부가 끼워진다. 제 1 절결부(53)의 홈폭은 제 1 입상부(32)의 두께와 거의 일치시키고 있다.
제 2 절결부(54)는 제 2 맞닿음부(51)의 대향 방향, 즉 제 2 맞닿음부(51)의 하측에 1쌍 형성되며, 보스부(31)의 두께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입상부(33)의 상단부에 끼워진다. 제 2 절결부(54)는 제 1 절결부(53)의 홈폭에 비해서 넓게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재(20)의 부착방법〉
이어서, 상기한 구성을 구비한 클립(10)을 사용한 부착부재(20)의 부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클립(40)과 제 2 클립(50)을 도 14∼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조립하여 둔다.
즉, 제 2 클립(50)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클립(40)의 통형상부(60)의 개구 하면에서 삽입한다. 제 2 클립(50)을 삽입하면,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돌조부(52)가 통형상부(60)의 구멍부(62)에 끼워짐으로써, 제 2 클립(50)이 통형상부(60)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그 다음, 제 1 클립(40)에 내장된 제 2 클립(50)의 내부에, 도 14, 도 19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착부재(30)의 보스부(31)를 끼워 넣는다.
즉, 제 2 클립(50)의 개구 하면을 보스부(31)의 상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클립(50)을 하강시킴에 의해서, 제 2 클립(50)의 내부에 보스부(31)를 끼워 넣는다. 이때, 제 2 클립(50)의 제 2 맞닿음부(51)의 좁게 된 대향 간격에 맞춰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상의 보스부(31)를 끼워 넣는다.
그리고, 제 2 클립(50)을 더 하강시키면, 그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제 2 절결부(53,54)에 제 1, 제 2 입상부(32,33)의 상단부가 각각 끼워지게 됨으로써, 보스부(31)에 대한 제 2 클립(50)의 회전이 저지된다.
한편, 보스부(31)의 선단의 상단부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클립(50)의 구멍 상면에서 제 1 클립(40)의 원통 내부로 향해서 돌출된다. 보스부(31)의 돌출된 선단의 상단부는 제 1 맞닿음부(61)의 좁게 된 대향 간격 내로 진입한다.
그 다음, 제 2 클립(50)에 외측 끼움된 제 1 클립(40)을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시킨다. 이때, 제 1 클립(40)의 리브(63)에 손가락을 걸고서 회전시킨다.
제 1 클립(40)을 회전시키면, 도 22 및 도 24∼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서 보스부(31)가 비틀려짐으로써 빠지지 않게 된다.
즉, 제 1 클립(40)을 회전시키면, 제 2 클립(50)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 1 클립(40)만이 회전하게 된다.
즉, 돌조부(52)의 경사면(52a)이 당해 돌조부(52)가 끼워져 있는 구멍부(62)의 내연부에 의해 눌려져서 제 2 클립(50)의 원통 내부로 향해서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됨으로써, 정지된 제 2 클립(50)에 대해서 제 1 클립(40)의 회전이 허용된다.
그리고, 제 1 클립(40)이 회전함에 의해서 인접한 구멍부(62)가 돌조부(52)의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면, 돌조부(52)가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상기 구멍부(62)에 절도감을 갖고서 '짤깍'하고 끼워짐으로써, 제 1 클립(40)이 90도 회전한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제 1 클립(40)이 회전하였을 때에, 보스부(31)는 정지된 제 2 클립(50)의 제 2 맞닿음부(51)의 대향 간격 내에 하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당해 보스부(31)의 상부가 끼워져 있는 제 1 맞닿음부(61)가 회전함으로써,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10)의 내부에서 비틀려진 비틀림부(31a)가 발생한다.
보스부(31)가 비틀리면, 그 비틀림부(31a)의 하측에 위치하는 언더부(31b)가 제 2 클립(50)의 제 2 맞닿음부(51)의 좁게 된 대향 간격보다 크게 돌출되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대향 간격 내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보스부(31)는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클립(50)의 개구 하면에서 빠지지 않게 되며, 보스부(31)에 대해서 클립(10)이 고정된다.
최후로, 제 1 클립(40)의 걸어맞춤부(70)를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재(20)의 부착구멍(21)에 삽입하여 부착한다.
즉, 걸어맞춤부(70)를 삽입하면, 그 걸어맞춤돌조(71)가 부착구멍(21)의 내연부에 의해 눌려져서 원통 내부로 향해서 탄성적으로 휘어짐으로써, 걸어맞춤부(70)가 부착구멍(21) 내로 진입한다. 이 상태에서 걸어맞춤부(70)를 더 밀어 넣으면, 걸어맞춤돌조(71)가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멍(21)을 통과함과 동시에 부착부재(20)의 상측에서 절도감을 갖도록 '짤깍'하는 소리와 함께 탄성적으로 복원된다. 따라서, 걸어맞춤돌조(71)는 굵게 된 통형상부(60)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부착부재(20)를 상하 방향에서 끼움 지지함으로써, 걸어맞춤부(70)가 부착구멍(21)에서 빠지지 않게 되며, 부착부재(20)에 대해서 클립(10)이 고정된다.
따라서, 부착부재(20)는 클립(10)을 통해서 피부착부재(30)에 고정된다.
10 - 클립 20 - 부착부재
21 - 부착구멍 30 - 피부착부재
31 - 보스부 31a - 비틀림부
31b - 언더부 32 - 제 1 입상부
33 - 제 2 입상부 40 - 제 1 클립
50 - 제 2 클립 51 - 제 2 맞닿음부
52 - 돌조부 52a - 경사면
53 - 제 1 절결부 54 - 제 2 절결부
60 - 통형상부 61 - 제 1 맞닿음부
62 - 구멍부 63 - 리브
70 - 걸어맞춤부 71 - 걸어맞춤돌조

Claims (6)

  1. 부착구멍이 형성된 부착부재를 탄성을 가진 보스부가 형성된 피부착부재에 체결하는 클립으로서,
    상기 클립은, 상기 부착부재에 대해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통형상의 제 1 클립과, 상기 피부착부재에 대해서 걸어맞춰짐 아울러 상기 제 1 클립에 대해서 동일 축선상에 내장되는 통형상의 제 2 클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립은, 상기 보스부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제 1 클립을 회전시킴에 의해서 상기 피부착부재의 상기 보스부를 탄성 변형되게 비틀음으로써, 상기 제 2 클립을 통해서 상기 제 1 클립이 상기 보스부에 대해서 빠짐 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립은 상기 보스부와 맞닿는 제 1 맞닿음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클립이 회전할 때에 상기 보스부를 비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클립은 상기 보스부와 맞닿는 제 2 맞닿음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클립이 회전할 때에 비틀리는 상기 보스부의 하측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립과 상기 제 2 클립 중 일측에는 구멍부를 가지고, 타측에는 상기 구멍부에 걸어맞춰지는 돌조부를 가지며,
    상기 구멍부와 상기 돌조부는 교호로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립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상기 보스부의 연장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리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립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상기 보스부의 연장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리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1020130127002A 2012-11-05 2013-10-24 클립 KR101543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43752A JP5977647B2 (ja) 2012-11-05 2012-11-05 クリップ
JPJP-P-2012-243752 2012-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337A true KR20140058337A (ko) 2014-05-14
KR101543856B1 KR101543856B1 (ko) 2015-08-11

Family

ID=5088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002A KR101543856B1 (ko) 2012-11-05 2013-10-24 클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977647B2 (ko)
KR (1) KR1015438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3028B2 (ja) * 2018-03-16 2020-06-03 株式会社ニフコ 取付構造及び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5012B2 (ja) * 1995-12-18 2005-11-09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取付け構造
KR100332586B1 (ko) 1999-12-27 2002-04-15 이계안 자동차용 가니쉬 장착구조
JP3838865B2 (ja) * 2000-11-21 2006-10-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部品の取付構造
KR100634646B1 (ko) 2004-07-09 2006-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장탈착 클립을 구비한 선쉐이드 리테이너
JP2008032040A (ja) * 2006-07-26 2008-02-14 Togo Seisakusho Corp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を用いた取付構造
JP2008116035A (ja) * 2006-10-13 2008-05-22 Daiwa Kasei Ind Co Ltd クリップ
JP2008196549A (ja) * 2007-02-09 2008-08-28 Toyoda Gosei Co Ltd 取付構造体
DE202008006958U1 (de) * 2008-05-23 2008-10-02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Verbindungsbaugruppe zur Befestigung eines Anbauelements auf einem Träger
JP2010053993A (ja) * 2008-08-29 2010-03-11 Daiwa Kasei Kogyo Kk 二部材組付け構造
JP2012159097A (ja) * 2011-01-28 2012-08-23 Nifco Inc 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92232A (ja) 2014-05-19
KR101543856B1 (ko) 2015-08-11
JP5977647B2 (ja)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6708B2 (ja) 取付具
JP5717400B2 (ja) グロメット
JPH11230137A (ja) 部品の取付構造
KR20140143338A (ko) 체결 클립
JP4949813B2 (ja) 配線・配管材保持具
KR101543856B1 (ko) 클립
JP2000009117A (ja) クリップ
KR20070077665A (ko) 클립 체결 구조
JP2004040879A (ja) 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JP2008283767A (ja) プロテクタ
JP2000220618A (ja) 嵌挿式装着部品
JPH0444799Y2 (ko)
JP2019052737A (ja) パイプジョイント
JP6077019B2 (ja) クリップ及びガラス仮固定方法
JPH073676Y2 (ja) ノイズ吸収装置
KR101127007B1 (ko)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가진 커넥터
JP3889675B2 (ja) 圧縮機のターミナル保護装置
JP2000320094A (ja) 樋支持具
JP7446758B2 (ja) パネル材の振れ止め構造
WO2012137777A1 (ja) 保持具
JPH0711501Y2 (ja) プラスチック筐体
JPH11187929A (ja) 繰り出し容器
JPH0949299A (ja) 樋受具
JPH0430267Y2 (ko)
JP6125307B2 (ja) 差込み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