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537A - 굴삭기용 암부재 및 숫부재와, 이 암부재와 숫부재 사이의 보유지지장치 및 보유지지시스템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암부재 및 숫부재와, 이 암부재와 숫부재 사이의 보유지지장치 및 보유지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537A
KR20140057537A KR1020147002951A KR20147002951A KR20140057537A KR 20140057537 A KR20140057537 A KR 20140057537A KR 1020147002951 A KR1020147002951 A KR 1020147002951A KR 20147002951 A KR20147002951 A KR 20147002951A KR 20140057537 A KR20140057537 A KR 20140057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device
pin
male member
sectors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8538B1 (ko
Inventor
자비어 롤 코레도르
자비어 지멘즈 가르시아
프란시스코 페레즈 소리아
조르게 트리지너 보이세다
에스테르 알론소 프리골라
Original Assignee
메탈로제니아,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탈로제니아,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메탈로제니아,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40057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02F9/2841Retaining means, e.g. pins resili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58Teeth characterised by shape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 등에 사용되는 마모부재 또는 투쓰와 어댑터부재 또는 투쓰 바아 사이의 보유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암부재와 숫부재와, 암부재와 숫부재 사이의 보유지지장치와 보유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모부재 또는 투쓰, 또는 어댑터부재 또는 투쓰 바아일 수 있는 암부재는, 이에 고정되는 보유지지장치? 포함하고, 이 보유지지장치는 암부재의 핀과 숫부재와의 결합에 관여하고, 핀이 잠금위치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며, 2개 부재, 즉 숫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고정을 유지한다. 2개 부재 사이의 결합은 탈착가능하고, 핀을 결합으로부터 분리하고 또 암부재 또는 숫부재를 보유지지장치와 함께 교체하는 것을 허용한다. 보유지지장치는 하나 이상의 부착된 조임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굴삭기용 암부재 및 숫부재와, 이 암부재와 숫부재 사이의 보유지지장치 및 보유지지시스템{RETAINING DEVICE, RETAINING SYSTEM BETWEEN A FEMALE PART AND A MALE PART, AND FEMALE PART AND MALE PART FOR EXCAVATORS AND THE LIKE}
본 발명은 굴삭기 등에 사용되는 마모부재 또는 투쓰(tooth)와 어댑터부재 또는 투쓰 바아 사이의 보유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암부재(female part)와 숫부재(male part)뿐만 아니라, 암부재와 숫부재 사이의 보유지지장치와 보유지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모부재 또는 투쓰(tooth) 및 어댑터부재 또는 투쓰 바아일 수 있는 암부재는, 암부재 핀으로 숫부재와 결합하게 되는 자동 고정 또는 결합된 보유지지장치 (retaining device)를 포함하고, 또 상기 핀과 함께 숫부재가 자신의 잠금위치로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2개 부재, 즉 숫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고정을 유지한다. 보유지지장치는 또한 숫부재에 자동 고정될 수도 있다. 양쪽 부재 사이의 결합(coupling)은 보유지지 시스템의 구성요소들로 인하여 탈착가능하여, 핀을 제거함으로써 암부재 또는 숫부재를 보유지지장치와 결합 및 교체할 수 있다. 상기 보유지지장치는 하나 이상의 부착된 조임(tightening)에 의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암부재와, 숫부재, 핀 및 보유지지부재로 구성된 보유지지 시스템뿐만 아니라 이에 결합된 보유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암부재와 숫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굴삭 및 채굴과 같은 공공작업의 영역에 적용한다.
공공작업 및 채굴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굴삭기는 흙과 돌을 퍼올리고 이동하고 상차(loading)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장비는 일반적으로 기계식 아암에 부착된 부삽(shovel)이 구비된다. 부삽은 흙과 돌 덩어리와 접촉하고 또 침투하도록된 전방에지에 블레이드 또는 경사진 립(lip)이 구비된다. 블레이드의 과도한 마모를 방지하고 또 흙으로의 침투를 보조하기 위하여 전방에지로부터 돌출하는 블레이드와 결합된 투쓰(tooth)를 조립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상기 투쓰는 도한 마모 및 파손되도록 되어, 이들은 자주 교체되어야 하고, 나아가서 장비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에 따라 투스의 타입 또는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소 영구적인 방식으로 부삽의 블레이드에 고정된 투쓰 바아 및 투쓰가 사용되고, 각 투쓰는 핀에 의해 투쓰 바아에 해제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핀은 일반적으로 투쓰를 투스 바아에 고정하기 위하여 투쓰 바아를 횡단하는 덕트와 투쓰의 오리피스를 횡단하고, 이에 따라 장비가 작업중이고 또 투쓰/투쓰 바아/핀 시스템이 큰 응력을 받을 때 핀이 제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조립위치에 핀을 고정하기 위한 보유지지장치를 사용하여, 이들 사이의 연결을 보장한다.
투쓰와 투쓰 바아 조립체가 가혹한 조건에서 작업을 할 때, 이들을 부착하는 핀은 이 핀과 함께 투쓰와 투쓰 바아가 계속 부착되게 유지하는 보유지지장치를 밀어내기 위한 힘에 대항하여 이동한다. 그러면, 핀은 투쓰 바아로부터 이탈되고 또 핀과 투쓰 양쪽은 분실될 수 있다. 뚜쓰 및/또는 핀의 분실은 작업 현장에 따라 매우 중요할 수 있고, 가능하게는 예컨대 광산 또는 채석장과 같이 투쓰를 사용하는 장비로서 동일한 현장에서 작업하는 암석 분쇄기와 같은 다른 장비의 파손을 유발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핀과 결합된 보유지지장치는 투쓰와 투쓰 바아 사이의 자신의 조립위치로부터 핀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핀을 상기 자신의 조립위치에 고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핀과 적어도 하나의 보유지지장치를 포함하는 보유지지 시스템은, 보유지지장치에 의해 보유지지 시스템에 제공된 유연한 특징을 갖는 경향이 있어서, 핀은 고정될 수 있고 또 파손할 필요없이 자유롭게 해제되는 한편, 동시에 간단한, 바람직하기에는 해머없는 방식으로, 즉 해머필요가 없이 시스템으로 진입 및 그로부터 추출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탄성재료로 만들어진 보유지지장치가 사용되는데, 왜냐하면 과도한 힘을 적용하지 않고서 시스템을 분해하기 용이한 탄성적인 특징을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보유지지장치는, 재료의 온도가 변하고, 굴삭 및 퍼올리는 높이가 높은 적용예에서는, 사용된 탄성재료가 용융 및 탄성을 잃을 수 있어 핀이 보유지지되지 않게되고 또 핀 및/또는 투쓰의 분실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하여 모든 타입의 작업에 유용한 것은 아니다.
미국특허 US3,952,433호는 핀 보유지지 시스템을 기재한다. 핀은 투쓰와 투쓰 바아에 의해 형성된 정렬구멍 내에 진입되고 또 보유지지장치는 핀을 양쪽에서 걸터지지하여 핀을 자신의 조립위치에 고정하는 스프링 형태의 클립이 구비된다. 상기 클립은 보유지지부재를 제 위치에 유지할 목적을 위해 탄성부재로 포위되어 있다. 보유지지 시스템을 탄성부재로 포위하는 것은 작업온도가 매우 높은 임무에서는 보유지지 시스템을 쓸모없게 만드는데, 왜냐하면 탄성재료의 물성이 없어져서 핀을 분실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탄성부재의 사용은 부재 들 사이에 간섭을 유발 하는바, 왜냐하면 탄성부재가 압력에 의해 제어되지 않은 변형을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보유지지 시스템의 다른 특징은, 탄성재료와 조합된 클립을 사용 하고 또 어댑터 부재에서 조립체의 위치선정을 한다는 것은, 핀을 조립 및 분해하기 위하여 사용하기에 필요한 힘이 크고, 해머의 사용이 필요하며 또 해머가 없는 시스템에는 적용할 수 없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특허 US3,997,989호에 기재된 보유지지 시스템은 가변 단면의 핀을 포함하고 또 보유지지 시스템은 와셔형상의 탄성부재에 위치된 2개의 스프링이 구비된다. 보유지지 시스템의 2개의 스프링은 직선 섹터(sector)와 다른 단면의 굴곡섹터를 갖는다. 2개의 스프링을 갖는 상기 와셔는 어댑터 부재의 캐비티에 위치되고, 그러면 투쓰가 또 핀이 조립되어, 핀에 위치된 노치에 도달할 때까지 단면은 스프링의 직선섹터가 개방되어 압축되도록 하며, 또 핀의 노치가 스프링의 직선섹터를 만나면 스프링이 노치에 고정되어 핀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미국특허 US3,952,433과 같이, 탄성재료의 사용은 이러한 시스템이 온도가 매우 높은 작업에 사용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조립 및 분해에 필요한 힘이 터서 해머가 없는 시스템에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발명의 다른 결점은 보유지지장치 또는 와셔가 투쓰와 투쓰 바아 사이가 결합한 때를 제외하고는 제위치에 고정되지 않는 캐비티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결점을 극복할 분만 아니라 특히 높은 온도를 요구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모든 타입의 작업에 적합한 보유지지장치가 구비된 타입의 마모부재 또는 투쓰, 어댑터부재 또는 투쓰 바아의 조립 및 분해를 간소하는 것을 목적으로하고서, 투쓰와 투쓰 바아 사잉에 형성된 덕트에 수용된 핀에 의해 양족 부재 사이에 결합이 이루어져서 마모부재 또는 투쓰를 어댑터부재 또는 투쓰 바아에 결합하게 되는바,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보유지지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청구항 제14항에 따른, 암부재, 마모부재 또는 투쓰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청구항 제19항에 따른, 숫부재, 어댑터부재 또는 투쓰 바아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청구항 제24항에 따른, 굴삭기 등을 위한 암부재와 숫부재 사이의 보유지지 시스템이다.
보유지지장치는 바람직하기에는 탄성 성질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연신체(elongated body)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로 구성되고, 이는 바람직하기에는 원형단면, 또한 정4각형 또는 직4각형일 수 있고, 또 암부재 또는 숫부재의 표면에 직접 압력에 의해 자동 고정(auto-fixing)을 허용하는 구성을 갖는다. 숫부재에서 상기 보유지지장치는 외부표면에 자동 고정되고 또 암부재에서는 내부표면에 자동 고정된다. 상기 보유지지장치는, 이 보유지지장치가 단일의 조임부재를 포함할 때 이 조임부재와 부합하면서, 자신의 자동고정위치에서 제3섹터 (sector)에 의해 부착된 2개의 평행한 직선섹터를 갖는 바람직하기에는 U자 형상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자동 고정위치에 있는 암부재 또는 숫부재에서, 조임부재의 2개의 직선섹터는 암부재 또는 숫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표면에 적합하기 때문에 평행하다. 상기 조임부재는 제3섹터에 의해 자신의 단부들 중의 하나에서 서로 부착된 2개의 직선섹터를 갖고 또 각 직선섹터의 대향단부는 자유로워서, 암부재 또는 숫부재에 자동 고정되지 않더라도 거의 U자 형상이다. 직선섹터의 자유단부들 사이의 거리는 제3섹터에의 부착을 위해 단부들 사이의 거리와는 다르고, 따라서 자유단부들 사이의 거리는 제3섹터에의 부착을 위해 단부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자유단부들 사이의 거리가 제3섹터에의 부착을 위해 단부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다면, 조임부재는 암부재, 특히 암부재의 캐비티에 자동고정되기위해 사용된다. 반면에, 자유단부들 사이의 거리가 제3섹터에의 부착을 위해 단부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다면, 조임부재는 숫부재에 자동고정되기에 적합하다. 이는 2개의 직선섹터와 제3섹터 사이에 경사의 존재를 필요로 하고, 수평위치의 제3섹터를 갖는 2개의 직선섹터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바람직하기에는 1도와 5도 사잉에서 변경가능하며, 이에다라 조임부재의 외관은 거의 U자 형상인데, 왜냐하면 경사가 작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경사는 다른 환경에 적합할 수 있고 또 요구되는 상황은 표시된 것보다 더 클 수 있다.
조임부재는 바람직하기에는 원형 단면을 갖는 와이어일 수 있고, 비록 테프론 또는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지만, 단면은 정4각형 또는 직4각형일 수 있다.
상기에 따르면, 보유지지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암부재는, 선단에지로 벌어지는 상부 및 하부표면 및 2개의 외부표면에 의해 형성된 타입의 마모부재 또는 투쓰이고, 또 내부표면을 갖는 내부캐비티를 포함하며, 숫부재 또는 어댑터부재의 돌기부 또는 돌출부(nose)를 수용하는 기능을 갖는다. 2개의 측면 외부표면은 캐비티를 형성하고, 각각의 벽은 이들 벽의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또 마모부재가 어댑터부재에 결합될 때 자신을 가로질러 핀의 진입을 허용한다. 측벽의 내부표면은 암부재의 캐비티의 표면과 일치한다. 상기 암부재는 탄성 성질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신장체인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에 의해 형성된 보유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이는 벽 및/또는 내부 캐비티의 내부표면에 자동고정되고 또 암부재의 벽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 또는 오리피스와 간섭하도록 위치된다.
본 발명의 숫부재는 암부재의 캐비티 내로 진입되는 돌출부(nose)를 포함하고, 이 돌출부는 숫부재를 암부재에 결합하는 동안에 핀을 수용하도록 된 덕트에 의해 관통되며, 또 보유지지장치를 갖는 상기 돌출부는 탄성 성질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신장체인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를 포함하고, 이는 상기 돌출부의 외부표면에 대하여 압력에 의해 직접 자동고정되어, 덕트 내로 핀의 진입을 위해 상기 보유지지장치가 입구 오리피스의 적어도 하나와 간섭하게 된다. 돌출부는 바람직하기에는 완전히 횡단되어 2개의 접근 오리피스를 갖는 덕트를 생성하고 또 핀은 일단 암부재와 숫부재가 서로 결합되면 관통에 의해 수용된다. 때에 다라서, 덕트는 전체 돌출부를 횡단하지 않는데, 즉 덕트는 관통 덕트일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보유지지 시스템은, 암부재 또는 투쓰와, 숫부재 또는 투쓰 바아, 바람직하기에는 회전 몸체에 의해 형성되고 자신의 단부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노치가 구비된 핀, 및 바람직하기에는 탄성 성질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연신체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에 의해 형성된 보유지지장치를 포함하고서, 상기 보유지지장치가 인장으로 자동고정되고 또 2개 부재들 중의 하나에 직접 접촉하여, 핀의 회전이 양쪽 부재들 사이의 결합이 보유지지장치가 핀의 노치에 끼워져서 양쪽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유지지위치로부터 보유지지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노치로부터 이탈되어 양쪽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위치로 진행하는 것을 허용한다. 핀이 숫부재와 암부재를 서로 보유지지할 때 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핀을 진입하기 위한 진입 오리피스에 인접한 표면은 서로 대향하고 또 상기 오리피스에 동심상인 2개의 경사 램프(ramp)를 포함한다. 이들 램프는 핀이 추출되어야할 때 양 야쪽 방향으로 핀의 회전을 허용한다.
상기 기재에 따르면, 시스템의 주 구성부품은 다음과 같다.
- 비록 다른 구조, 예컨대 원통형상같은 것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기에는 절두 원추형상(frustoconical) 회전 몸체로 만들어진 핀. 상기 핀은 자신의 단부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노치가 구비된다. 상기 핀은 또한 조립 또는 분해를 위해 핀의 회전을 허용하는 공구의 진입을 위하여 몸체의 베이스들 중의 하나에 캐비티가 구비된다. 핀은 1개 내지 4개 사이의 노치를 가질 수 있고, 노치는 단부당 1개 내지 단부당 2개의 노치로 위치된다.
- 암부재의 캐비티의 내부표면에 또는 핀이 진입될 숫부재 또는 암부재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가로지르는 자신의 U자 형상 구조로 인하여 숫부재의 돌출부의 외부표면에 압력으로 자동고정되고, 또 바람직하기에는 캐비티의 또는 돌출부의 어느 한쪽의 표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에 의해 형성된 보유지지장치. 상기 보유지지장치는 자신의 임의의 변형예에서 캐비티 또는 돌출부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보유지지장치는 부재의 한쪽에 , 반대쪽에 또는 양쪽에 위치될 수 있지만, 핀이 관통하여 진입될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항상 가로 지른다.
- 서로 결합하도록 된 숫부재와 암부재로서, 상기 보유지지장치가 2개 부재에 만들어진 오리피스 및 덕트를 통해 암부재와 숫부재에 의해 형성된 조립체를 가로 지르는 핀과 상호작동할 때 2개 부재 사이의 결합을 확보하기 위하여, 2개 부재 중의 하나가 상기 보유지지장치를 통합하고, 그 표면에 고정된다. 보유지지장치가 자동고정된 부재는 바람직하기에는 상기 오리피스 횡단하거나 가로지르면서 이들과 간섭하는 홈을 갖는다. 구멍을 가로지르는 영역에서 홈의 폭은 개구부의 직경보다 약간 작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보유지지장치는 자신의 구성 및 탄성성질로 인하여, 암부재 또는 숫부재의 표면에 직접 자동고정된다. 자동고정은, 단지 또 배타적적으로 제조되는 재료의 탄성 성질로 인하여 또 신장체와 함께 보유유지지장치를 형성하는 조임부재 또는 부재들의 기하구조로 인하여, 임의의 다른 추가 구성부품 또는 부재의 필요가 없이 보유지지장치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이해가 된다. 보유지지장치가 표면에 직접 자동고정된다는 사실은, 보유지지장치가 상기 표면과 집거ㅏㅈㅂ 접촉한다는 것, 즉 보유지지장치와 표면 사이에 아무런 중간 부재 또는 구성부품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백하게, 상기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보유지지장치 자체의 부위 또는 부재에 상기 자동고정을 촉진하거나 협력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예는 암부재 또는 숫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홈들이다. 마찬가지로, 보유지지장치의 단부에, 상기 단부에 고정된 미끄러지지 않는(non-slip) 성질을 갖는 부재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암부재 또는 숫부재의 표면이 보유지지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갖는 경우에, 표면은 홈내에 위치되고, 특히 보유지지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직선섹터는 핀을 진입하기 위하여 부재의 오리피스를 가로 지르는 홈의 영역에 위치된다. 부재의 홈은 오리피스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기 때문에, 보유지지장치의 직선섹터는 부재의 오리피스와 간섭, 즉 횡단 또는 가로 질러서 핀의 진입을 방해한다.
적어도 하나의 U자 형상의 조임부재로 구성된 보유지지장치는 언급된 바와 같이 양쪽 직선섹터를 부착하는 추가섹터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직선섹터를 갖고, 또 직선섹터 중의 하나는 분할편(split) 또는 갈라진 틈새(bifurcation)를 추가로 갖고서 대채로 서로 평행한 2개의 직선 서브섹터를 갖는 섹터를 한정한다.
상기 틈새는 보유지지장치의 2개의 직선 측면 위에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편행한 직선 서브섹터 사이의 거리는 오리피스의 직경보다 작아서 이와 간섭하고 또 핀의 진입을 방해한다. 보유지지장치는 상기 기재된 기하구조를 얻기 위하여 단일의 조임부재 또는 서로에게 부착된 2개의 조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임부재의 단면은 투쓰 및 투쓰 바아에 의해 형성된 결합의 치수에 따라, 즉 결합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강철 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그 직경은 1mm 와 5mm 사이에서 변하지만, 이보다 더 클 수 있다는 사실을 배제하지 않는다. 조임부재의 단면은 핀이 진입될 때 부재의 팽창을 보장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 파손됨이 없이 자신의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야 하는바, 즉 적절한 탄성-저항 비율이 얻어져서 조임부재의 팽창을 저지하는 대형 단면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보유지지장치 자체의 기하구조에 따르면, 또 부재로의 자동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또 보유지지장치의 몇몇 기하구조에서, 조임부재의 직선섹터의 자유단부 사이의 거리가 암부재의 내부 캐비티의 내부표면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크거나 숫부재의 돌출부의 외부표면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다는 사실로 인하여, 적절한 경우에 캐비티의 또는 돌출부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서 보유지지장치의 자동고정을 허용한다. 상기 자동고정을 위하여, 보유지지장치를 캐비티의 홈내로 도입하기 위하여 작은 압축 및 돌출부의 홈 내로 보유지지장치를 도입하기 위하여 작은 팽창이 필요하고, 그래서 압력이 멈추면 보유지지장치는 스프링효과에 의해 홈에 대하여 조임부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된다.
제1구조에서, U자 형상의 보유지지장치는 자신의 자유단부들을 통해, 이 경우에는 평행한, 직선섹터의 연장부를 갖는 조임부재를 갖고서, 상기 단부들이 약 90°로 2번 절곡되어 후크 형상으로 되어, 상기 단부들에 의해 또 압력에 의해 암부재의 벽에 고정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보유지지장치의 단부들은 부재의 외부에, 즉 벽의 외부에 존재하게 되고, 또 제3섹터에 의해 부착된 2개의 평행한 섹터는 캐비티 내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2개의 평행한 직선섹터의 자유 단부들 사이의 거리는 핀의 진입을 위하여 진입 오리피스의 직경보다 작다. 이러한 보유지지장치가 통합되는 암부재는, 바람직하기에는 보유지지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갖고 이 홈의 폭은 오리피스의 직경보다 작다.
제2구조에서, 조임부재의 직선섹터의 자유단부들은, 암부재의 벽의 내부표면을 분리하는 거리 또는 숫부재의 외부표면을 분리하는 거리와 유사한 거리로 서로 분리된다. 이러한 거리는 암부재에 보유지지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약간 더 크고 또 보유지지장치가 숫부재에 사용될 때 약간 더 작을 것이다. 암부재의 경우에, 내부 캐비티의 홈은 암부재의 벽에 위치된 오리피스를 가로질러 뻗기 시작하여 캐비티의 바닥부에 도달하고, 또 제1측벽에 대향하는 내부 캐비티의 제2측벽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바닥부 또는 전방 내부 벽을 가로 지른다. 만일 앞선 오리피스에 대향하는 제2오리피스가 벽에 있다면, 홈은 또한 상기 제2오리피스를 가로지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보유지지장치는 앞선 보유지지장치와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데, 왜냐하면 보유지지장치의 직선섹터의 자유단부 사이의 거리가 암부재의 내부 캐비티의 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더 크기 때문이고, 홈에 보유지지장치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홈 내로 보유지지장치를 도입하기 위한 작은 압축을 필요로 하며, 압력이 멈추면 보유지지장치는 자신의 탄성성질에 기인하는 스프링 효과에 의해 홈에서 캐비티의 표면에 대하여 조임부재를 개방하도록 된다. 상보적인 (complementary)형태가 숫부재의 보유지지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대한 대체예는 상기 보유지지장치의 직선섹터의 하나 또는 양쪽이 분할편 또는 틈새를 갖고서 각 직선섹터가 서로 평행한 거의 U자 형상의 2개의 직선 서브섹터를 갖는다는 사실로 구성된다.이러한 구조는 단일의 조임부재 또는 서로 부착된 2개의 조임부재에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평행한 직선 서브섹터는 암부재의 벽 또는 숫부재의 돌출부에 배열된 구멍과 간섭된다. 암부재와 숫부재 양쪽에서 조립체는 상기에서 기재된 것과 유사하다.
암부재와 숫부재 사이의 결합을 위하여, 보유지지장치장치가 암부재의 캐비티에 또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대체예에 따른 숫부재의 돌출부에 자동고정되면, 암부재의 캐비티는 숫부재의 돌출부 내에서 슬라이딩하고, 암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상기 숫부재의 돌출부를 가로 지르는 덕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시킨다. 일단 정렬되면, 핀은 암부재의 오리피스를 통해 진입하여 상기 핀이 이 핀의 진입을 방해하는 보유지지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직선섹터를 향하도록 된다. 보유지지장치의 이러한 직선섹터는 핀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의해 개방하게 되어, 보유지지장치의 섹터를 팽창하게 하여 보유지지장치의 섹터가 핀의 노치를 향할 때까지 또 그 안에 수용되어 진입하는 동안에 핀에 의해 가해진 보유지지장치의 인장을 해제할 때까지 핀의 통과를 허용하고, 그리고 보유지지장치는 이완되고 또 작동상태로 된다. 이 상황에서, 암부재와 숫부재는 서로 결합 및 보유지지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암부재에 보유지지장치의 2개의 섹터와 간섭하고 또 핀의 2개 단부에 배열된 2개의 노치에 수용된 2개의 오리피스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암부재는 투쓰 또는 투쓰 바아일 수 있고 또 숫부재는 이와 상보적인, 즉 투스 바아 또는 투쓰일 것이다.
숫부재의 보유지지장치를 정렬하는 대체예에서의 조립은 상기 기재된 조립과 같은 동일한 원칙을 따른다.
핀을 추출하고 또 그래서 숫부재로부터 암부재를 분리하기 위하여, 핀의 베이스에 적합한 공구가 도입되고 또 핀은 적어도 90°로 회전하게되어, 핀의 적어도 하나의 노치가 또한 회전하고 또 보유지지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직선섹터를 움직이게 하며 또 핀의 노치로부터 이탈되게 하고, 따라서 암부재와 숫부재 사이의 조립으로부터 핀이 제거될 수 있다. 보유지지장치의 직선섹터가 2개의 평행한 직선 서브섹터를 갖는 경우에, 핀의 회전은 양쪽 서브섹터가 분리되고 또 핀의 노치에서의 수용상태로부터 이탈되게 하며, 따라서 핀을 해제하고 또 숫부재와 암부재의 분리를 허용한다.
핀과 정렬된 오리피스 및 암부재와 숫부재의 덕트들은 수직위치 또는 수평위치에 위치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보유지지장치가 암부재에 또는 숫부재에 자동고정되는 이점은 암부재와 숫부재를에 이에 통합된 보유지지장치를 공장으로부터 전달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의 결과, 암부재와 숫부재 사이의 결합 분만 아니라 분해작동은 위험할 수 있는 강한 타격을 핀에 가할 필요가 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동시에 작업동안에 견고하고 또 신뢰할 수 있는 결합을 제공한다. 구조적인 특징에 추가하여, 이는 오물이 보유지지장치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음으로 인해 작업시에 보유지지장치가 노출되기 쉬운 오물이 작동 자체에 영향을 주지않기 때문에 가능하다.
핀의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기에는 핀은 쐐기 형태의 단면을 갖추고서 채널로부터 쉽게 해제되어 마모장치와의 간섭으로부터 이탈된다.
과도한 힘의 필요가 없이 마모부재의 조립 및 분해의 용이는, 정비장으로 갈 필요가 없이 장비의 버킷에 많은 수의 마모부재의 조립을 허용하는데, 즉 이러한 일은 작업현장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보유지지장치의 하나의 특징은 암부재와 숫부재 사이의 기존의 결합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무엇이 기재되었는 지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몇몇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또 단지 비한정적인 예로써 도시된 도면들이 첨부된다.
도 1은 암부재와 숫부재, 특히 투쓰와 투스 방아 사이의 결합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암부재, 특히 투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핀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보유지지장치를 갖는 투쓰와 투쓰 바아 사이의 결합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보유지지장치와 핀을 갖는 투쓰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보유지지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보유지지장치를 투쓰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보유지지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제2실시예에 따른 보유지지장치와 핀을 갖는 투쓰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3의 측면도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제3 또는 제4실시예에 따른 보유지지장치와 핀을 갖는 투쓰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제3 또는 제4실시예에 따른 보유지지장치를 갖는 투쓰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제3실시예에 따른 보유지지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제4실시예에 따른 보유지지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도 7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보유지지장치를 갖는 투쓰 바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보유지지장치가 없는 도 21의 투쓰 바아를 도시한다.
상기 언급된 도면들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기재된다.
도 1 내지 20은 숫부재 또는 투쓰 바아(10)에 결합된 투스로 역할하는 암부재(1)를 도시한다. 도 1과 2는 투쓰 바아(10)에 결합된 투쓰(1)의 외관을 도시한다. 투쓰 또는 암부재(1)는 외부표면(61, 71)과 내부표면(62, 72)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측벽(6, 7)을 갖는다. 상기 내부표면(62, 72)은 숫부재 또는 투스 바아(10)와 특히 투쓰 바아(10)의 돌출부(11)를 수용하도록된 캐비티(3)와 일치한다. 측벽의 적어도 하나는 벽의 외부표면(61, 71)을 내부표면(62, 72)과 연결하는 그래서 투쓰의 캐비티(83)와 연결하는 오리피스(2, 8)를 갖는다. 바람직하기에는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쓰는 대향하는 벽(6, 7)의 각각에 하나씩, 2개의 오리피스(2, 8)를 갖는다. 그 다음 투쓰 바아(10)는 돌출부를 가로 지르는 덕트(13)를 갖고, 또 투쓰(1)의 캐비티(3)에 수용되면, 투쓰(1)의 벽의 오리피스(2, 8)들과 정렬된다. 위치를 보장하기 위하여, 투쓰와 투쓰 바아 양쪽을 완전히 가로 지르는 회전 몸체를 갖는 핀이 상기 언급된 오리피스(2, 8) 및 덕트(13)를 통해 도입된다. 상기 결합을 유지하는데 기여하고 또 본 출원의 목적인 보유지지장치(100, 200, 300, 400)가, 핀(5)의 위치를 확보하고 또 투쓰(1)와 투쓰 바아(10) 사이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보유지지장치(100, 200, 300, 400)는 핀(5)과 함께 작동한다. 핀(5)은 회전 몸체를 갖고, 바람직하기에는 투쓰와 투쓰 바아 사이의 결합으로 삽입 및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약간의 테이퍼를 갖고 또 적어도 하나의 자신의 단부의 표면에서 보유지지장치와 상호작용하는 노치(51)를 갖는다. 핀은 자신의 임의의 2개의 단부에서 또는 양쪽 단부에서 상기 노치(51)를 결합할 수 있고, 각 단부에서 하나 또는 2개의 노치를 통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핀은 자신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바람직하기에는 몸체가 특정한 테이퍼를 갖는 경우에 더 큰 단부에서, 핀(5)의 회전을 허용하는 공구를 도입하기 위한 하우징 또는 슬롯(52)을 결합한다. 핀은 또한 상기 베이스에 돌기(53)를 갖고 투쓰와 투쓰 바아 사이의 결합 오리피스(2, 8)와 덕트(13)로 핀의 진입을 방지하고, 또 투쓰(1)내로 핀(5)의 진입을 위하여 진입 오리피스(2, 8)에 인접한 표면상에 배열된 2개의 램프(ramp: 91, 92)중의 하나 상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핀을 추출하는 동안에 핀(5)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램프(91, 92)는 핀(5)이 자신의 추출을 위하여 2개 방향 중 임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보유지지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구조의 각각이 이하에서 기재된다.
도 7내지 10 과 20은 보유지지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조와 사용을 도시한다. 특히, 도 10은 조임부재, 탄성성질을 갖는, 바람직하기에는 원형단면을 갖고 강철로 만들어진 신장체를 포함하는 보유지지장치(100)를 도시한다. 보유지지장치(100)는 2개의 평행한 섹터(101, 102) 또는 거의 평행한 섹터를 갖는 U자 형상이고, 이 경우에는 굴곡진 제3섹터(103)에 의해 자신의 단부들 중의 하나에서 서로에게 부착된다. 양쪽의 평행한 섹터(101, 102)의 부착을 위해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 상에서 평행한 섹터는 자신의 자유단부(104, 105)를 통해 연장하고 또 각각이 2번 90°절곡되어 후크형상이 된다.
이러한 후크형상은 투쓰(1)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보유지지장치를 자동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또 보유지지장치는 특히 자신의 자우단부(104, 105)에 의해 투쓰(1)의 벽(6)에 고정되어, 보유지지장치(100)의 상기 단부(104, 105)들이 벽(6)의 외부표면(61)상에 위치되고, 또 평행한 섹터(101, 102)은 투쓰(1)의 캐비티(3)에 위치된다. 양쪽 평행한 섹터(101, 102)는 보유지지장치가 고정된 벽에 존재하는 오리피스(2)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로 서로 분리되어, 양쪽 섹터(101, 102)가 상기 오리피스(2)와 간섭한다. 보유지지장치(100)의 길이는 보유지지장치가 벽(6)에 고정되고 또 오리피스(2)와 간섭하는 것을 허용하기에 충분하다.
또한, 그리고 투쓰(1)에 보유지지장치(100)의 자동고정을 구현하기 위하여, 투쓰(1)는 벽(6)의 내부표면(62)에 캐비티(3)내로 연장하는 홈(4)을 갖고, 상기 홈(4)의 폭은 오리피스(2)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홈(4)은 오리피스(2)를 가로 지르고 또 그 내부에 보유지지장치(100)의 진입을 허용하여, 그 목적을 위하여 보유지지장치100)를 약간 압축할 필요가 있는데, 왜냐하면 직선섹터(101, 102)사이의 거리가 홈(4)의 폭보다 약간 더 크기 때문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투쓰(1)에 보유지지장치(100)를 자동고정한 후에, 투쓰의 캐비티(3)는 투쓰 바아(10)에 투쓰(1)를 결합하기 위하여 투쓰 바아(10)의 돌출부 내로 슬라이딩한다. 돌출부(11)가 캐비티(3)에 결합되면 보유지지장치(100)는 돌출부(11)의 표면(111, 112)과 캐비티(3)의 표면(62, 72)사이에 안착한다. 일단 투쓰(1)와 투쓰 바아(10)가 결합되면, 보유지지장치(100)는 투쓰(1)의 오리피스(2)와 간섭하고 또 투쓰 바아(10)의 돌출부(1)의 덕트(13)내로 진입을 위해 상기 오리피스(2)와 진입 오리피스 사잉에 위치되며, 핀(5)이 투쓰의 오리피스(2)를 통해 진입하여, 보유지지장치늬 양쪽 평행한 섹터(101, 102)의 분리를 야기하고, 또 상기 평행한 섹터(101, 102)의 적어도 하나가 그 내부에 수용된 핀(5)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치(51)와 만날 때까지 핀(5)의 진입을 허용하며, 투쓰(1)와 투쓰 바아(10)사이의 결합이 경고하여 양족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유지지 위치에 위치된다. 2개 노치(51)가 핀(5)의 표면에 형성된 결합의 단면이 도 20에서 관찰될 수 있어서, 평행한 섹터(101, 102)의 각각이 노치(51)의 각각에 수용되게 된다.
해제 상태를 얻기 위하여 핀(5)의 베이스에 배열된 슬롯 또는 하우징(52)내로 진입된 공구로써 핀(5)을 회전하기에 충분하고, 핀의 회전에 의해 평행한 섹터(101, 102)는 상기 노치 또는 노치(51)로부터 이탈하는데, 왜냐하면 핀(5)의 단면이 증가하고 또 그래서 핀(5)의 추출을 허용하여 투쓰(1)와 투쓰 바아(10)의 분리를 허용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섹터(101, 102)들이 분리되기 때문이다. 핀(5)의 단면은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핀(5)의 회전에 따라 증가하는데, 왜냐하면 노치의 표면과 대향하는 표면 사이의 거리가 핀(5)의 회전 표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기 때문이고, 이러한 단면 변화는 보유지지장치의 고정위치에 대하여 핀(5)이 회전함에 따라 직선섹터(101, 102)의 분리의 증가를 야기한다.
상기 작용은 일반적으로 교체가 요구될 때 수행되는데, 왜냐하면 사용 후 투쓰가 마모되거나 또는 다른 투스 디자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핀이 투쓰 바아(10)와 투쓰(1)를 서로 보유지지할 때 핀(5)의 회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핀을 도입하기 위한 진입 오리피스에 인접한 표면은 서로 대향하고 또 상기 오리피스(2)에 동심인 2개의 경사램프(91, 92)를 포함한다. 이들 램프(91, 92)는 핀이 제거되어야 할 대 양쪽방향으로 핀의 회전을 허용하고, 핀의 하나의 단부에 배열된 정지부(53)는 상기 램프(91, 92)상에서 슬라이딩한다.
도 11 내지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보유지지장치(200)를 도시한다. 도 13과 15는 조임부재, 탄성성질을 갖는, 바람직하기에는 원형단면을 갖고 강철로 만들어진 신장체를 포함하는 보유지지장치(200)를 도시한다.
보유지지장치(200)는 제3섹터(203)에 의해 자신들의 하나의 단부에서 서로 부착된 2개의 평행한 섹터(201, 202)를 갖는 거의 U자 형상이고, 적어도 하나의 직선섹터와 제3섹터 사이에 약 2°의 경사(α)가 존재한다. 직선섹터(201, 202)는 작은 경사 변화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보유지지장치의 자동고정은 투쓰(1)의 캐비티(3)내로 보유지지장치를 진입함으로써 얻어지고, 이를 위해 직선섹터(201, 202)의 2개의 자유단부를 서로 근접시키고, 이들을 압축시킬 필요가 있으며, 2개의 직선섹터를 해제함에 따라 캐비티의 내부표면에 대한 압력에 의해 자동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제3섹터(203)의 길이, 즉 자신의 단부들 중의 하나에 의해 2개의 직선섹터(201, 202)의 분리는 투쓰(1)의 벽(6, 7)의 내부표면(62, 72)를 분리하는 거리와 적어도 동일하고, 상기 직선섹터의 2개의 자유단부 사이의 거리는 투쓰(1)의 벽(6, 7)의 내부표면(62, 72)를 분리하는 거리보다 더 크다. 이는 2개의 직선섹터(201, 202)가 캐비티(3)의 내부벽을 직접 가압하는 것을 유발하고 또 ㅂㅎ유지지장치(200)의 자동고정을 보장한다.
또한, 그리고 투쓰(1)의 캐비티(3)에 보유지지장치(200)의 자동고정을 구현하기 위하여, 투쓰(1)는 벽(6, 7)의 내부표면(62, 72)에 캐비티(3)내로 연장하고 또 자신의 바닥부에 도달할 수 있는 홈(4)을 갖고, 상기 홈(4)의 폭은 오리피스(2)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홈(4)은 오리피스(2)를 가로 지르고 또 그 내부에 보유지지장치(100)의 진입을 허용한다.
제2실시예의 보유지지장치(200)에 조합된 투쓰와 투쓰 바아 사이의 결합의 분해 및 조립은 상기 설명과 동일하다.
제3실시예의 보유지지장치(300)가 도 16과 17과 조합하여 도 18에 도시되고, 이는 또한 제4실시예의 보유지지장치(400)를 설명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제3실시예의 보유지지장치(300)는 조임부재, 탄성성질을 갖는, 바람직하기에는 원형단면을 갖고 강철로 만들어진 신장체를 포함한다.
보유지지장치(300)는 양쪽 직선섹터에 거의 수직인 제3섹터(303)에 의해 서로 부착된 2개의 직선섹터(201, 202)를 갖는 거의 U자 형상이다. 직선섹터들 중의 하나는 다른 것보다 더 길고, 상기 더 긴 섹터(301)는 분할편 또는 갈라진 틈새를 갖고서 대체로 서로 평행한 2개의 직선 서브섹터(301a, 301b)를 갖는 섹터(301)를 한정한다. 상기 2개의 서브섹터(301a, 301b)는 투쓰(1)의 오리피스(2, 8)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로 서로 분리되어, 양쪽 서브섹터(301a, 301b)가 상기 오리피스(2, 8)와 간섭한다.
이러한 보유지지장치(300)는 제2실시예의 보유지지장치(200)와 유사한 방식으로 투쓰(1)에 자동고정된다. 이 경우에 투쓰는 상기 보유지지장치(300)를 수용하기 위한 홈(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보유지지장치(300)의 대체예는, 가장 짧은 직선섹터(302)에서 첫 섹터에 동일한 길이의 직선섹터(401, 402)를 포함하는 보유지지장치(400)이다. 이러한 보유지지장치(400)에서 양쪽 직선섹터(401, 402)는 분할편 또는 갈라진 틈새를 갖고서 서로 거의 평행한 2개의 직선 서브섹터(401a, 401b, 402a, 402b)를 갖는 2개의 직선섹터(401, 402)를 한정한다.
투쓰와 투쓰 바아사이의 결합에서 보유지지장치의 작동과 투쓰의 배열 모두는 상기 상세한 기재와 동일하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도 21과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쓰 바아(10)에 보유지지장치(200, 300, 400)를 위치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투쓰 바아의 외부표면에 자동고정된다. 상기 투쓰 바아(10)는 자신의 정상부에 돌출부 또는 돌기(11)를 또 자신의 후방부에 버킷의 부삽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수단(12)을 포함한다. 보유지지장치(200, 300, 400)의 구성은 상기 설명된 것과 유사하고, 차이점은 투쓰의 캐비티내로 삽입되기 위하여 자신을 압축하는 대신에, 투쓰 바아(10)의 돌출부(11)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약간 개방되어 투쓰 바아(10)의 돌출부(11)의 측면 외부표면(111, 112)에 압력을 가하도록 해야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대체적인 구성에서, 보유지지장치(200, 300, 400)는 돌출부(11)를 가로 지르는 덕트(13)내로의 진입을 위하여 진입 오리피스를 또한 가로 지르고, 상기 보유지지장치(200, 300, 400)는 투쓰 바아(10)의 돌출부(11)의 외부표면(111, 112, 113)에 형성된 홈(104)에 위치도힌다. 상기 홈은 바람직하기에는 돌출부(11)의 적어도 측면 표면 또는 대향 표면(111, 112)상에 형성되고, 덕트(13)내로 진입을 위하여 오리피스를 가로 지르고 또 더 바람직하기에는 상기 돌출부(11)의 전방표면 또는 팁(113)상에 형성된다.
본 설명에서 투쓰는 암부재로 또 투쓰 바아는 숫부재로 생각되지만, 투쓰를 숫부재로 할 수 있고 또 그 내부에 자동고정된 보유지지장치를 갖는 돌출부를 갖고,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자동고정된 보유지지장치를 갖는 캐비티를 갖춘 투쓰 바아를 암부재로 할 수 있음이 고려되어야 한다. 환언하면, 투쓰인지 투쓰 바아인지와는 무관하게, 암부재는 캐비티를 갖는 것이고 또 숫부재는 돌기 또는 돌출부를 갖고서, 숫부재의 돌기 또는 돌출부가 암부재의 캐비티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암부재는 내부 캐비티와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벽을 갖는, 굴삭기 등에 사용하기 위한 투쓰 또는 투쓰 바아이고, 각각은 외부표면과 내부표면이 캐비티와 일치하며, 상기 벽 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관통 오리피스와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에 의해 형성된 보유지지장치를 갖고서, 보유지지장치가 오리피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벽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표면에서 압력에 의해 직접 자동고정되고, 상기 조임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와 간섭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숫부재는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또는 측면 외부표면을 갖는 돌기 또는 돌출부를 갖는, 굴삭기 등에 사용하기 위한 투쓰 또는 투쓰 바아이고, 상기 표면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바람직하기에는 상기 돌출부를 가로 지르고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에 의해 형성된 보유지지장치를 통합하는 덕트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오리피스를 갖고서, 보유지지장치가 적어도 2개의 외부표면에 대하여 압력으로 직접 자동고정되고, 상기 조임부재는 돌출부를 가로지르는 덕트에 접근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와 간섭한다.
암부재와 숫부재의 조합은, 핀과 보유지지장치와 함께 바람직하기에는 굴삭기 등에 사용하기 위하여, 2개의 기계적인 부재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보유지지 시스템으로 이어지고, 보유지지장치는 핀을 도입하기 위한 오리피스의 진입과 간섭하고 또 2개 부재 중의 하나에 대하여 직접 접촉하고 또 압력에 의해 자동고정되어, 핀의 회전은 2개 부재 사이의 결합이, 핀의 적어도 하나의 노치에 끼워져서 양쪽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유지지위치로부터, 핀이 회전될 때 보유지지장치가 핀에 의해 가압된 적어도 하나의 노치로부터 이탈되어 핀의 추출 및 양쪽 부재의 분리를 허용하는 해제위치로 진행하도록 유발한다.

Claims (25)

  1. 서로 결합된 숫부재 또는 암부재에 고정되는 보유지지장치에 있어서,
    암부재 또는 숫부재의 표면에 압력에 의해 자동고정되는 것을 허용하는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제3섹터(103, 203, 303, 403)에 의해 자신의 단부들 중의 하나에서 서로 부착된 2개의 직선센터(101, 102; 201, 202; 301, 302; 401, 402)를 포함하고, 또 각 직선섹터의 대향 단부는 자유로우며, 암부재 또는 숫부재에 자동고정을 허용하기 위한여 거의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섹터의 자유 단부들 사이의 거리는 제3섹터로의 부착을 위해 단부들 사이의 거리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단부들 사이의 거리는, 보유지지장치가 암부재에 자동고정될 때 제3섹터로의 부착을 위해 단부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지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단부들 사이의 거리는, 보유지지장치가 숫부재에 자동고정될 때 제3섹터로의 부착을 위해 단부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지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센터(201, 202; 301, 302; 401, 402)의 자유 단부들은, 암부재의 벽(6, 7)의 내부표면(62, 72)을 분리하는 거리보더 더 큰 거리로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지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센터(201, 202; 301, 302; 401, 402)의 자유 단부들은, 숫부재의 돌출부(11)의 외부표면(13, 14)을 분리하는 거리보더 더 작은 거리로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지지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직선센터(301, 401, 402)의 적어도 하나는 분할편 또는 갈라진 틈새를 갖고서, 서로 평행한 2개의 서브섹터(301a, 301b; 401a, 401b; 402a, 402b)를 갖는 섹터(301, 401, 402)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지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직선센터(401, 402)의 적어도 하나는 분할편 또는 갈라진 틈새를 갖고서, 서로 평행한 2개의 서브섹터(401a, 401b; 402a, 402b)를 갖는 섹터(401, 402)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지지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섹터(301a, 301b; 401a, 401b; 402a, 402b)는, 보유지지장치가 고정된 암부재 또는 숫부재에 존재하는 오리피스(2, 8)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로 서로 분리되어, 양쪽 서브섹터(301a, 301b; 401a, 401b; 402a, 402b)가 상기 오리피스(2, 8)와 간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지지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섹터(101, 102)는 자신의 자유단부(104, 105)를 통해 연장하고 또 각각 약 90°로 2번 절곡되어 후크 형상으로 되어 암부재(1)의 벽(6, 7)에 상기 단브ㅜ(104, 105)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보유지지장치(100)의 상기 단부(104, 105)는 벽(6, 7)의 외부표면(61)상에 위치되며, 상기 직선섹터(101, 102)는 보유지지장치가 고정된 벽(6, 7)에 존재하는 오리피스(2, 8)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로 서로 분리되어, 양쪽 직선섹터(101, 102)가 상기 오리피스(2, 8)와 간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지지장치.
  12. 앞선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부착된 2개의 조입부재(401a, 402a, 403a; 401b, 402b, 40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지지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탄성 성질을 갖는 신장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지지장치.
  14. 굴삭기 등에 사용되고, 양쪽 기계적인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 지르고 또 적어도 자신의 단부들 중의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노치를 갖는 회전 몸체에 의해 형성된 핀에 의해 서로 결합된 암부재와 숫부재의 2개의 기계적인 부위와,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에 의해 형성된 보유지지장치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보유지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유지지장치는 오리피스와 간섭하고 또 2개 부재들 중의 하나에 대하여 직접 접촉하고 또 압력에 의해 자동고정되어, 핀의 회전이 양쪽 부재들 사이의 결합이 보유지지장치가 핀의 적어도 하나의 노치에 끼워져서 이들의 추출을 방지하는 보유지지위치로부터 핀이 회전할 때 핀에 의해 가압된 적어도 하나의 노치로부터 보유지지장치가 이탈되어 핀의 추출을 허용하고 또 양쪽 부재의 분리를 허용하는 해제위치로 진행하는 것을 유발하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지지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내부 캐비티를 포함하고 또 숫부재는 상기 캐비티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돌출부를 포함하고서, 상기 핀이 암부재의 캐비티와 숫부재의 돌출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지르고, 또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의 보유지지장치를 포함하는 보유지지 시스템.
  16. 내부 캐비티(3)와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벽(6, 7)을 갖는, 굴삭기 등에 사용하기 위한 타입의 암부재(1)로서, 상기 대향하는 벽(6, 7)의 각각은 캐비티(3)와 일치하는 외부표면(61, 71)과 내부표면(62, 72)를 갖고 또 상기 벽(6, 7)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관통 오리피스(2, 8)와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101, 102; 201, 202; 301, 302; 401, 402)에 의해 형성된 보유지지장치(100, 200, 300, 400)를 갖는 암부재에 있어서,
    상기 보유지지장치는 오리피스(2, 8)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벽(6, 7)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표면(62, 72)에 대하여 압력에 의해 직접 자동고정되고, 상기 조임부재(101, 102; 201, 202; 301, 302; 401, 402)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2, 8)와 간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부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벽(6, 7)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표면(62, 72)은 보유지지장치(100, 200, 300, 400)를 수용하기 위하여 홈(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부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홈(4)은 벽(6, 7)의 적어도 내부표면(62, 72)을 따라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부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홈(4)은 캐비티의 2개의 내부 측벽(6, 7)의 또 이 캐비티의 바닥부의 내부표면(62, 72)을 따라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부재.
  20. 제16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3항의 보유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부재.
  21. 적어도 2개의 외부표면(111, 112)을 갖는 돌기 도는 돌출부(11)를 갖는, 굴삭기 등에 사용하기 위한 타입의 숫부재(10)로서, 상기 표면(111, 112)의 적어도 하나가 덕트(13)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오리피스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 201, 202; 301, 302; 401, 402)에 의해 형성된 보유지지장치(200, 300, 400)를 갖는 숫부재에 있어서,
    상기 보유지지장치가 적어도 2개의 외부표면(111, 112)에 대하여 압력에 의해 직접 자동고정되고, 상기 조임부재( 201, 202; 301, 302; 401, 402)는 돌출부(11)를 가로지르는 덕트(13)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와 간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부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표면(111, 112)은 보유지지장치(200, 300, 400)를 수용하기 위하여 홈(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부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홈(4)은 적어도 돌출부(11)의 외부표면(111, 112)을 따라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부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홈(4)은 돌출부(11)의 2개의 대향하는 외부표면(111, 112)과 돌출부(11)의 전방표면 또는 팁(113)을 따라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부재.
  25. 제21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3항의 보유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부재.
KR1020147002951A 2011-07-05 2011-07-05 굴삭기용 암부재 및 숫부재와, 이 암부재와 숫부재 사이의 보유지지장치 및 보유지지시스템 KR101848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S2011/070488 WO2013004858A1 (es) 2011-07-05 2011-07-05 Dispositivo de retencion, sistema de retencion entre una pieza hembra y una pieza macho, y pieza hembra y macho para maquinas excavadoras y simila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537A true KR20140057537A (ko) 2014-05-13
KR101848538B1 KR101848538B1 (ko) 2018-04-12

Family

ID=4743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951A KR101848538B1 (ko) 2011-07-05 2011-07-05 굴삭기용 암부재 및 숫부재와, 이 암부재와 숫부재 사이의 보유지지장치 및 보유지지시스템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9512599B2 (ko)
EP (1) EP2730705B1 (ko)
JP (1) JP5837687B2 (ko)
KR (1) KR101848538B1 (ko)
CN (1) CN103781973B (ko)
AP (1) AP2014007404A0 (ko)
AU (1) AU2011372710B2 (ko)
BR (1) BR112014000105B1 (ko)
CA (1) CA2841041C (ko)
ES (1) ES2677095T3 (ko)
MX (1) MX348518B (ko)
MY (1) MY182332A (ko)
NZ (1) NZ620096A (ko)
PL (1) PL2730705T3 (ko)
PT (1) PT2730705T (ko)
RU (1) RU2569948C2 (ko)
TR (1) TR201809947T4 (ko)
UA (1) UA108940C2 (ko)
WO (1) WO2013004858A1 (ko)
ZA (1) ZA2014000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108940C2 (uk) * 2011-07-05 2015-06-25 Утримуючий пристрій, утримуюча система між охоплюючим компонентом і охоплюваним компонентом, охоплюючий компонент і охоплюваний компонент для екскаваторів і їм подібних машин
AU2013204898B2 (en) * 2013-04-12 2016-11-03 Bradken Resources Pty Limited Excavation Tooth Assembly
US9441351B2 (en) * 2013-08-01 2016-09-13 Caterpillar Inc. Ground engaging tool assembly
US9228324B2 (en) * 2013-08-01 2016-01-05 Caterpillar Inc. Ground engaging tool assembly
CN106795708B (zh) * 2014-04-28 2021-04-09 沃尔沃建筑设备公司 齿和用于将所述齿附接到作业机械的接合器
NZ726391A (en) * 2014-04-28 2019-04-26 Metalogenia Research & Tech Sl Tooth and adaptor for attachment of the tooth to a working machine
JP6468024B2 (ja) * 2015-03-23 2019-02-1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掘削工具
SE538882C2 (sv) * 2015-06-26 2017-01-24 Combi Wear Parts Ab Slitdelssystem, lås och metod för låsning av en slitdel tillen slitdelshållare
PE20210242A1 (es) * 2016-02-08 2021-02-09 Esco Group Llc Unidad de desgaste para equipos de trabajo de tierra
EP3205781A1 (en) * 2016-02-12 2017-08-16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Female part, retaining device and pin system for excavators and the like
TW202309378A (zh) 2016-05-05 2023-03-01 美商艾斯克集團有限責任公司 用於大地工作設備之磨損構件及磨損總成
US20170328035A1 (en) * 2016-05-12 2017-11-16 Hensley Industries, Inc. Connector systems in earth engaging wear member assemblies
CN107806128B (zh) 2016-09-09 2022-01-28 久益环球地表采矿公司 地面接合工具锁定系统
US10480162B2 (en) * 2016-12-15 2019-11-19 Caterpillar Inc. Implement ground engaging tip assembly having tip with tapered retention channel
US10494793B2 (en) 2016-12-15 2019-12-03 Caterpillar Inc. Implement tip assembly having tip with support rib
KR101817064B1 (ko) * 2017-08-09 2018-01-10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US10323391B2 (en) * 2017-08-30 2019-06-18 Caterpillar Inc. Heavy duty shroud
US10323390B2 (en) * 2017-08-30 2019-06-18 Caterpillar Inc. Heavy duty adapter
US10294638B2 (en) * 2017-08-30 2019-05-21 Caterpillar Inc. Heavy duty tip
EP3524737A1 (en) * 2018-02-12 2019-08-14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Fastening device for wear parts in earth-moving machines and system
WO2020101581A1 (en) * 2018-11-13 2020-05-22 Murat Kaygusuz Locking mechanism for an excavating bucket wear attachment
WO2020178462A1 (es) * 2019-03-01 2020-09-10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Sistema de fijación de elementos de desgaste en máquinas de movimiento de tierras
US11124951B2 (en) 2019-04-24 2021-09-21 Caterpillar Inc. Spring steel sleeve design
JP7141376B2 (ja) 2019-09-13 2022-09-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バケット用のツース取付構造、及びバケット用のツース
US20220002983A1 (en) * 2020-07-06 2022-01-06 Caterpillar Inc. Retention system for boltless cutting edges
WO2022082253A1 (en) * 2020-10-20 2022-04-28 Bradken Resources Pty Limited Wear assembly
WO2022196839A1 (en) * 2021-03-16 2022-09-22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Tooth assembly of bucket for excavator
US11879235B2 (en) * 2021-09-02 2024-01-23 Caterpillar Inc. Tip with thru-hole and pin retaining geometry
EP4321695A1 (en) * 2022-08-09 2024-02-14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Pin
EP4357543A1 (en) 2022-10-21 2024-04-24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Pin assembly, pin positioning body, coupling system for earth moving machines, and assembly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2868A (en) * 1916-04-12 1917-01-16 George T Wohlford Pump-rod connector.
US2092311A (en) * 1934-10-17 1937-09-07 H And L Corp Detachable tooth and attachment for earth digging implements
US3022586A (en) * 1959-05-18 1962-02-27 Gen Metals Corp Retainer for bucket teeth
SU132140A1 (ru) * 1959-10-12 1959-11-30 Стил Фаундри Компани Зуб к ковшам экскаваторов и погрузочных машин
US3223452A (en) * 1961-08-14 1965-12-14 Cincinnati Mine Machinery Co Cutter bit and socket structures
US3371436A (en) * 1964-12-21 1968-03-05 Raymond W. Swanson Digger tooth with replaceable point
US3359662A (en) * 1965-05-17 1967-12-26 Petersen Anita E Resilient retainer for excavating teeth fused to tooth holder
US3436107A (en) * 1965-06-03 1969-04-01 Atlas Copco Ab Retaining means
US3400476A (en) 1965-07-12 1968-09-10 Petersen Anita E Crimped string retainer for excavating tooth
US3622206A (en) * 1969-06-30 1971-11-23 Cincinnati Mine Machinery Co Cutter bits and means for mounting them
SU386099A1 (ru) * 1970-04-06 1973-06-14 Красно рский филиал Всесоюзного научно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ститута строительного , дорож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Я РЕЖУЩИХ ЗУБЬЕВ ЗЕМЛЕРОЙНЫХ МАШИН
US3690728A (en) 1970-09-08 1972-09-12 Cincinnati Mine Machinery Co Resilient retaining means for joining work tools and work tool holders
ES171010Y (es) * 1971-07-20 1972-07-16 Elementos Para Traccion Dispositivo perfeccionado de fijacion de dientes a porta- dientes en maquinas de movimiento de tierras.
US3801210A (en) * 1971-10-12 1974-04-02 Caterpillar Tractor Co Wire-clip retaining means for tip-retaining pin
US3750227A (en) * 1971-10-26 1973-08-07 G Hayhurst Windshield wiper clip assemblies
US3753582A (en) * 1971-11-09 1973-08-21 Anarak Inc Coupling unit
JPS5139442B2 (ko) * 1971-12-20 1976-10-28
US3826024A (en) * 1972-01-06 1974-07-30 G Petersen Excavator tooth, holder and retainer
US3751834A (en) * 1972-01-06 1973-08-14 G Petersen Spread-legged staple retainer for excavating tooth
DE2404751A1 (de) 1973-02-06 1974-08-22 Gerald A Petersen Grabzahn mit halter
US4050172A (en) * 1974-01-07 1977-09-27 Petersen Gerald A Excavator tooth, holder therefor and staple retainer
US3952433A (en) 1974-09-03 1976-04-27 Caterpillar Tractor Co. Spring clip retaining means for earthworking tips
US3997989A (en) * 1974-10-02 1976-12-21 Caterpillar Tractor Co. Tip retaining means with rotative locking tendencies
JPS54113101U (ko) * 1978-01-25 1979-08-09
US4261118A (en) * 1979-09-24 1981-04-14 Jetco, Inc. Extruded locking device for digging tooth
US4404760A (en) * 1980-04-28 1983-09-20 Esco Corporation Excavating tooth
ZA811905B (en) * 1981-02-25 1982-04-28 Esco Corp Excavating tooth
US4367602A (en) * 1981-10-13 1983-01-11 Petersen Gerald A Lock and key retainer for excavator tooth
GB2132254B (en) * 1982-12-21 1987-05-07 Dosco Overseas Eng Ltd Mineral cutting pick
US4505058A (en) * 1983-01-06 1985-03-19 Peterson Gerald A Excavating tooth, holder and retainer
SU1158699A1 (ru) * 1983-06-09 1985-05-30 Красноярский Филиал Всесоюзног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ститута Строительного И Дорож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 резцов землеройных машин
US4559679A (en) * 1984-01-18 1985-12-24 Downey Philip L Helmut strap fastener
SU1751307A1 (ru) * 1990-07-23 1992-07-30 Коммунарский горно-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резца горной машины
CN2072547U (zh) * 1990-08-06 1991-03-06 谢立 快换套装式斗齿
DE4292960T1 (de) * 1991-09-10 1993-10-07 Caterpillar Inc Haltemechanismus für eine Zahnanordnung
JP2988088B2 (ja) * 1991-11-28 1999-12-06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開閉機構及びその製造方法
US5491915A (en) 1991-12-16 1996-02-20 Robinson; Howard W. Locking pin apparatus
US5177886A (en) * 1992-03-16 1993-01-12 Caterpillar Inc. Tooth with clearances in socket
US5556224A (en) * 1994-02-14 1996-09-17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Shifter handle assembly
EP0835963B1 (en) 1996-07-01 1999-09-15 Metalogenia, S.A. Coupling joint for the teeth of excavating machines
UA73489C2 (en) * 1998-12-08 2005-08-15 Genisis Mining Technologies Pr Cutting arrangement and sleeve for it
CA2424646A1 (en) * 2002-04-23 2003-10-23 Osmundson Australia Pty Ltd. Tool retaining mechamism
DE602004009250T2 (de) * 2003-08-13 2008-07-10 Auger Torque Europe Ltd. Verbesserung eines abnehmbaren Stangenbohrerzahnes
JP3995158B2 (ja) * 2003-09-29 2007-10-24 越後商事株式会社 バケット用ツース部材の間隙調整体
PT1741842E (pt) * 2004-03-30 2010-12-07 Metalogenia Sa Dispositivo removível para a fixação de duas peças mecânicas
US7380889B2 (en) * 2004-07-07 2008-06-03 Frear Joseph K Tool retainer
CN201334684Y (zh) * 2008-12-30 2009-10-28 宁波浙东精密铸造有限公司 挖掘齿组件、齿座及斗齿
ES2462391B2 (es) * 2011-04-15 2014-10-06 Metalogenia S.A. Dispositivo de fijación amovible de dos piezas mecanicas
AU2012262670A1 (en) * 2011-06-02 2013-12-19 Bradken Resources Pty Limited Lock
UA108940C2 (uk) * 2011-07-05 2015-06-25 Утримуючий пристрій, утримуюча система між охоплюючим компонентом і охоплюваним компонентом, охоплюючий компонент і охоплюваний компонент для екскаваторів і їм подібних маши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620096A (en) 2016-04-29
MX2014000114A (es) 2014-06-23
US9512599B2 (en) 2016-12-06
ES2677095T3 (es) 2018-07-30
KR101848538B1 (ko) 2018-04-12
CA2841041A1 (en) 2013-01-10
BR112014000105A2 (pt) 2017-02-14
RU2569948C2 (ru) 2015-12-10
US10106961B2 (en) 2018-10-23
CA2841041C (en) 2019-02-26
BR112014000105B1 (pt) 2020-06-23
UA108940C2 (uk) 2015-06-25
MY182332A (en) 2021-01-19
EP2730705A4 (en) 2015-07-01
TR201809947T4 (tr) 2018-08-27
WO2013004858A1 (es) 2013-01-10
EP2730705B1 (en) 2018-04-25
PT2730705T (pt) 2018-07-11
MX348518B (es) 2017-06-16
AU2011372710A1 (en) 2014-01-23
US20140223786A1 (en) 2014-08-14
CN103781973B (zh) 2017-10-24
CN103781973A (zh) 2014-05-07
ZA201400031B (en) 2015-03-25
JP2014518342A (ja) 2014-07-28
AP2014007404A0 (en) 2014-01-31
AU2011372710B2 (en) 2017-08-24
EP2730705A1 (en) 2014-05-14
RU2014100055A (ru) 2015-08-10
JP5837687B2 (ja) 2015-12-24
US20170051476A1 (en) 2017-02-23
PL2730705T3 (pl) 201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538B1 (ko) 굴삭기용 암부재 및 숫부재와, 이 암부재와 숫부재 사이의 보유지지장치 및 보유지지시스템
KR101679890B1 (ko) 굴삭기 및 유사한 장비용 어댑터에 장착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시스템과 그 구성부품
RU2546179C2 (ru) Замок в сборе для крепления износного элемента экскаватора
US8555532B2 (en) Detachable fastening system between a male piece and a female piece, pin and female piece
US5617655A (en) Securement pin for earth excavation teeth
EP3205781A1 (en) Female part, retaining device and pin system for excavators and the like
EA013287B1 (ru) Узел сменный
RU238606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линий
EA026474B1 (ru) Изнашиваемая взаимодействующая с грунтом деталь и средство механического крепления
KR20070005932A (ko) 흙이나 돌과 같은 물질을 이동시키는 장치에 사용가능한굴삭조립체 및 그 부품들
US9932723B2 (en) Locking device for a wear member of an earth moving machine
RU2700136C2 (ru) Зажим для системы фиксации рабочего орудия
TWI724334B (zh) 利於磨損部件之提舉的連接器
EP3933124A1 (en) System for attaching wear elements to earthmoving machines
US9163501B2 (en) Guide piece for an extraction or coal plough
EP3117077B1 (en) Guide piece for an extraction or coal plough
RU2575277C2 (ru) Износный узел экскаватора
CN117616179A (zh) 用于挖掘机等的保持装置和磨损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