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606A -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606A
KR20140055606A KR1020120122697A KR20120122697A KR20140055606A KR 20140055606 A KR20140055606 A KR 20140055606A KR 1020120122697 A KR1020120122697 A KR 1020120122697A KR 20120122697 A KR20120122697 A KR 20120122697A KR 20140055606 A KR20140055606 A KR 20140055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thin film
organic
film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0434B1 (ko
Inventor
타로 하스미
송상무
이지노
김중철
김도형
나세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434B1/ko
Priority to US14/064,786 priority patent/US9520578B2/en
Priority to CN201310526130.4A priority patent/CN103794631B/zh
Priority to DE102013111943.3A priority patent/DE102013111943B4/de
Publication of KR20140055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606A/ko
Priority to US15/342,617 priority patent/US1041108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은 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이의 외측으로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기판; 상기 기판상의 상기 각 화소영역에 형성된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 기판상에 적층되고,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유기절연막; 상기 무기절연막 상의 각 화소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을 포함한 기판의 각 화소영역 주위에 형성되고, 서로 분리되어 있는 뱅크; 상기 제1 전극 위로 각 화소영역 별로 분리 형성된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위로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형성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형성된 유기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FLEXIBL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전계 발광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이하 "OLED"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분이 유기전계 발광소자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 중 하나인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높은 휘도와 낮은 동작 전압 특성을 갖는다. 또한,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 발광형이기 때문에 명암 대비(contrast ratio)가 크고, 초박형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가능하며, 응답시간이 수 마이크로초(μs) 정도로 동화상 구형이 쉽고, 시야각의 제한이 없으며, 저온에서도 안정적이고, 직류 5 내지 15 V의 낮은 전압으로 구동하므로 구동회로의 제작 및 설계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제조공정은 증착(Deposition) 및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장비가 전부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매우 단순하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크게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과 매트릭스 타입으로 나뉘어지는데,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주사선(scan line)과 신호선(signal line)이 교차하면서 매트릭스 형태로 소자를 구성하며, 각각의 픽셀을 구동하기 위하여 주사선을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하므로, 요구되는 평균 휘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평균 휘도에 라인수를 곱한 것 만큼의 순간 휘도를 내야만 한다.
그러나,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화소영역을 온(on)/오프(off)하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각 화소영역별로 위치하고, 이러한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전원배선 및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와 연결되며, 각 화소영역별로 형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제1 전극은 화소영역 단위로 온(on)/오프(off)되고,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제2 전극은 공통전극의 역할을 함으로써 이들 두 전극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층과 더불어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를 이룬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화소영역에 인가되는 전압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충전되어 있어, 그 다음 프레임(frame) 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전원을 인가해 주도록 함으로써, 주사선 수에 관계없이 한 화면동안 계속해서 구동한다.
따라서, 낮은 전류를 인가하더라도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므로 저소비전력, 고정세, 대형화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므로 최근에는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전계 발광소자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기본적인 구조 및 동작 특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하나의 화소영역에 대한 구성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 발광소자(10)의 하나의 화소영역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그리고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로 이루어진다.
제1 방향으로 게이트 배선(GL)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 배선(GL)과 더불어 화소영역(P)을 정의하며 데이터 배선(DL)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이격하며 전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배선(PL)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게이트 배선(GL)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화소영역(P) 내부에는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의 일측 단자인 제1 전극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고, 타측 단자인 제2 전극은 전원배선(PL)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원배선(PL)은 전원 전압을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DTr)의 게이트전극과 소스 전극사이에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배선(GL)을 통해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가 온(on)되고, 상기 데이터 배선(DL)의 신호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게이트 전극에 전달되어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온(on)되므로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를 통해 빛이 출력된다. 이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온(on) 상태가 되면, 전원배선(PL)으로부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정해지며 이로 인해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는 그레이 스캐일(gray scale)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가 오프(off) 되었을 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게이트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가 오프(off) 상태가 되더라도 다음 프레임(frame)까지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다수의 서브 화소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수분이 한 서브 화소영역을 통해 침투하여 인접한 서브 화소영역들에까지 확산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로서, 뱅크를 통해 침투한 수분이 뱅크를 타고 확산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는 기판(11)에는 표시영역(AA)이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영역(AA) 외측으로 비표시영역(NA)이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영역(AA)에는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데이터 배선(미도시)에 의해 포획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다수의 화소영역(P)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배선(미도시)과 나란하게 전원배선(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각 화소영역(SP)에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STr)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DTr)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유기전계 발광소자(E)가 형성된 기판(11)이 보호필름(미도시)에 의해 인캡슐레이션 (encapsulation)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에는 표시영역(AA)이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영역 (AA) 외측으로 비표시영역(NA)이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영역(AA)에는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데이터 배선(미도시)에 의해 포획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다수의 화소영역(P)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배선(미도시)과 나란하게 전원배선(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기판(11) 상에는 절연물질 예를 들면 무기절연물질인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 실리콘(SiNx)으로 이루어진 버퍼층(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퍼층(미도시) 상부의 표시영역(AA) 내의 각 화소영역(SP)에는 상기 구동 영역(미도시) 및 스위칭 영역(미도시)에 대응하여 각각 순수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는 채널을 이루는 제1 영역(13a) 그리고 상기 제1 영역 (13a) 양 측면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제2 영역(13b, 13c)으로 구성된 반도체층(10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층(13)을 포함한 버퍼층(미도시)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15) 위로는 상기 구동 영역(미도시) 및 스위칭 영역(미도시)에 있어 상기 각 반도체층(13)의 제1 영역(13a)에 대응하여 게이트 전극(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절연막(15) 위로는 상기 스위칭 영역(미도시)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미도시)과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하며 게이트 배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게이트 전극(17)과 게이트 배선(미도시) 위로 표시영역 전면에 층간절연막(19)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층간절연막(19)과 그 하부의 게이트 절연막(15)에는 상기 각 반도체층의 제1 영역(13a) 양 측면에 위치한 상기 제2 영역(13b, 15c) 각각을 노출시키는 반도체층 콘택홀(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미도시)을 포함하는 상기 층간절연막(19) 상부에는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교차하며, 상기 화소영역(SP)을 정의하며 제2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데이터배선(미도시)과, 이와 이격하여 전원배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원배선(미도시)은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이 형성된 층, 즉 게이트 절연막 상에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이격하며 나란히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층간절연막(19) 위로 상기 각 구동영역(미도시) 및 스위칭 영역(미도시)에는 서로 이격하며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미도시)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2 영역(13b, 13c)과 각각 접촉하며 상기 데이터 배선(미도시)과 동일한 제2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소스전극(23a) 및 드레인전극(2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영역(미도시)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기 반도체층과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17)과 층간절연막(19)과 서로 이격하며 형성된 상기 소스전극(23a) 및 드레인 전극(23b)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이룬다.
한편,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위로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 전극(23b)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미도시)을 갖는 유기 절연막(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기절연막(25) 위로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 전극(23b)과 상기 드레인 콘택홀(미도시)을 통해 접촉되며, 각 화소영역(SP) 별로 분리된 형태를 가지는 제1 전극(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31) 위로 각 화소영역(SP)을 분리 형성하는 뱅크(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뱅크(33)는 인접하는 화소영역(SP)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뱅크(33)로 둘러싸인 각 화소영역(SP) 내의 상기 제1 전극(31) 위로는 각각 적, 녹 및 청색을 발광하는 유기발광 패턴(미도시)으로 구성된 유기 발광층 (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층(35)과 상기 뱅크(33)의 상부에는 상기 표시영역 (AA) 전면에 제2 전극(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극(31)과 제2 전극 (37) 및 이들 두 전극(31, 37)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층(35)은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를 이룬다.
한편, 상기 제2 전극(37)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는 제1 보호층(3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호층(39) 위로는 폴리머(polymer)와 같은 고분자 유기 물질을 도포하여 유기막(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막(41)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는 상기 유기막(41)을 통해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2 보호층(43)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 보호층(43)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는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E)의 인캡슐레이션을 위해 보호 필름(미도시)과 대향하여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기판(11)과 보호 필름(미도시) 사이에는 점착제(미도시)가 공기층 없이 상기 기판(11) 및 보호필름(미도시)과 완전 밀착되어 개재되어 있다.
이렇게 점착제(미도시)에 의해 상기 기판(101)과 보호필름(barrier film) (미도시)이 고정되어 패널 상태를 이룸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 (10)가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따르면, 도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캡슐레이션용 보호필름(미도시)에 결함(defect)가 있을 경우에, 수분이 결함과 평탄화막인 유기절연막(25)을 통해 화소영역(SP) 내로 침투하거나, 결함과 뱅크(33)를 통해 화소영역(SP) 내로 침투하게 된다. 특히, 수분이 뱅크(33)를 통해 침투하게 되면, 이 뱅크(33)는 인접한 화소영역(SP)들과 접해 있기 때문에 수분이 유기물인 뱅크(33)를 타고 확산되어져 인접한 화소영역(SP)들을 모두 불량으로 만들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수분이 결함이나 평탄화막을 통해 화소영역(SP) 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비표시부에 평탄화막, 즉 유기 절연막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유기전계 발광소자 위에 배치하는 무기 절연막 등에 단차로 인해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르면, 수분이 결함이나 평탄화막을 통해 화소영역(SP) 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뱅크를 분리하더라도 그 하부에 있는 유기 절연막을 통해 수분이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화소영역(SP) 내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절연막 상에 무기절연막을 추가로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결함이나 수분이 유기전계 발광소자 내로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으며, 각 화소영역 주위에 뱅크들을 서로 독립되게 분리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결함이나 수분이 유기전계 발광소자 내로 침투되더라도 인접한 다른 화소영역으로는 확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이의 외측으로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기판과; 상기 기판상의 상기 각 화소영역에 형성된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 기판상에 적층되고,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유기절연막과 무기절연막; 상기 무기절연막 상의 각 화소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된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을 포함한 기판의 각 화소영역 주위에 형성되고, 서로 분리되어 있는 뱅크와; 상기 제1 전극 위로 각 화소영역 별로 분리 형성된 유기 발광층과; 상기 유기 발광층 위로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형성된 제2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형성된 유기막과; 상기 기판과 마주하며 위치한 보호필름과; 상기 기판과 보호필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판과 보호필름을 접착하여 패널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점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방법은,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이의 외측으로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상의 상기 각 화소영역에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 기판상에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유기 절연막과 무기 절연막을 차례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무기절연막 상의 각 화소영역에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을 포함한 기판의 각 화소영역 주위에 서로 분리되어 있는 뱅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위로 각 화소영역 별로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 발광층 위로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극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유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 기판상의 유기절연막 상에 무기절연막을 추가로 형성하여, 유기절연막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결함이나 수분이 유기전계 발광소자 내로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뱅크를 각 화소영역 주위에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결함이나 수분이 유기전계 발광소자 내로 침투되더라도 뱅크들이 각 화소영역 주위에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한 화소영역에 침투된 수분이 인접한 다른 화소영역으로는 확산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기판의 평균 높이를 표시부와 베젤(Bezel)부에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와 상부기판, 예를 들어 인캡슐레이션 유리기판, 플라스틱 기판(plastic plate), 편광판(polarizer)을 부착하는 접착제, 예를 들어 점착제를 얇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하나의 화소영역에 대한 구성 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다수의 서브 화소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수분이 한 서브 화소영역을 통해 침투하여 인접한 서브 화소영역들에까지 확산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로서, 뱅크를 통해 침투한 수분이 뱅크를 타고 확산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다수의 서브 화소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뱅크가 각 화소영역 간에 분리되어 있어 수분이 한 서브 화소영역에 침투하더라도 인접한 서브 화소영역들에까지 확산되지 않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로서, 뱅크를 통해 한 화소영역에 침투한 수분이 인접한 화소영역으로 확산되지 않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8j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다수의 서브 화소영역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뱅크가 각 화소영역 간에 분리되어 있어 수분이 한 서브 화소영역에 침투하더라도 인접한 서브 화소영역들에까지 확산되지 않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로서, 뱅크를 통해 한 화소영역에 침투한 수분이 인접한 화소영역으로 확산되지 않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100)는 발광된 빛의 투과 방향에 따라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과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부 발광방식을 일례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 6,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100)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유기전계 발광소자(E)가 형성된 기판(101)이 보호필름 (미도시)에 의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flexible) 특성을 갖는 기판(101)에는 표시영역(AA)이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영역(AA) 외측으로 비표시영역(NA)이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영역(AA)에는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데이터 배선(미도시)에 의해 포획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다수의 화소영역(P)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배선(미도시)과 나란하게 전원배선(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렉서블(Flexible) 기판(101)은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OLED)(100)가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 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유연한 특성을 갖는 플렉서블(flexible) 유리기판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판(101) 상에는 절연물질 예를 들면 무기절연물질인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 실리콘(SiNx)으로 이루어진 버퍼층(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버퍼층(미도시)을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반도체층(103) 하부에 형성하는 것은 상기 반도체층(103)의 결정화시에 상기 기판(101)의 내부로부터 나오는 알칼리 이온의 방출에 의한 상기 반도체층(103)의 특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버퍼층(미도시) 상부의 표시영역(AA) 내의 각 화소영역(P)에는 상기 구동 영역(미도시) 및 스위칭 영역(미도시)에 대응하여 각각 순수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는 채널을 이루는 제1 영역(103a) 그리고 상기 제1 영역 (103a) 양 측면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제2 영역(103b, 103c)으로 구성된 반도체층(10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층(103)을 포함한 버퍼층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1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105) 위로는 상기 구동 영역(미도시) 및 스위칭 영역(미도시)에 있어 상기 각 반도체층(103)의 제1 영역(103a)에 대응하여 게이트 전극 (10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절연막(105) 위로는 상기 스위칭 영역(미도시)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미도시)과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하며 게이트 배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게이트 전극(107)과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은 저저항 특성을 갖는 제1 금속물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Nd), 구리(Cu), 구리 합금, 몰리브덴(Mo), 몰리티타늄(MoTi)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또는 둘 이상의 상기 제1 금속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이중층 또는 삼중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게이트전극(107)과 게이트 배선(미도시)이 단일 층 구조를 갖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게이트 전극(107)과 게이트 배선(미도시) 위로 표시영역 전면에 절연물질, 예를 들어 무기절연물질인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 실리콘(SiNx)으로 이루어진 층간절연막(109)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층간절연막(109)과 그 하부의 게이트 절연막(105)에는 상기 각 반도체층의 제1 영역(103a) 양 측면에 위치한 상기 제2 영역(103b, 103c) 각각을 노출시키는 반도체층 콘택홀(미도시; 도 8b의 111a, 111b 참조)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미도시; 도 8b의 111a, 111b 참조)을 포함하는 상기 층간절연막(109) 상부에는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교차하며, 상기 화소영역 (SP)을 정의하며 제2 금속물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Nd), 구리(Cu), 구리 합금, 몰리브덴(Mo), 몰리티타늄(MoTi), 크롬(Cr), 티타늄(Ti)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서 이루어진 데이터배선(미도시)과, 이와 이격하여 전원배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원배선(미도시)은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이 형성된 층, 즉 게이트 절연막 상에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이격하며 나란히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층간절연막(109) 위로 상기 각 구동영역(미도시) 및 스위칭 영역(미도시)에는 서로 이격하며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미도시; 도 8b의 111a, 111b 참조)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2 영역(103b, 103c)과 각각 접촉하며 상기 데이터 배선(미도시)과 동일한 제2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소스전극(113a) 및 드레인전극 (11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영역(미도시)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기 반도체층과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107)과 층간절연막(109)과 서로 이격하며 형성된 상기 소스전극(113a) 및 드레인 전극(113b)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이룬다.
한편,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데이터배선(미도시)과 소스전극(113a) 및 드레인전극(113b)은 모두 단일 층 구조를 갖는 것을 일례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구성 요소는 이중층 또는 삼중 층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갖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또한 상기 스위칭 영역(미도시)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 및 데이터 배선(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113)은 각각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의 게이트 전극(미도시) 및 소스 전극(미도시)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의 드레인 전극(미도시)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게이트 전극(10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101)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폴리실리콘의 반도체층 (103)을 가지며, 탑 게이트 타입(Top gate type)으로 구성된 것을 일례로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 구동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DTr)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비정질 실리콘의 반도체층을 갖는 바텀 게이트 타입 (Bottom gate type)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STr)가 바텀 게이트 타입으로 구성되는 경우, 그 적층 구조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절연막/ 순수 비정질 실리콘의 액티브층과 서로 이격하며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의 오믹 콘택층으로 이루어진 반도체층과/ 서로 이격하는 소스전극 및 드레인 전극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게이트 배선은 상기 게이트 전극이 형성된 층에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배선은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전극이 형성된 층에 상기 소스 전극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위로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 전극(113b)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미도시; 도 8d의 119 참조)을 갖는 유기 절연막(115) 및 무기 절연막(117)이 적층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기절연막(115)으로는 폴리머(polymer)와 같은 고분자 유기 물질이 사용되며, 상기 무기 절연막(117)으로는 절연물질, 예를 들어 무기절연물질인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 실리콘(SiNx)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무기 절연막(117) 위로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 전극(113b)과 상기 드레인 콘택홀(119)을 통해 접촉되며, 각 화소영역(SP) 별로 분리된 형태를 가지는 제1 전극(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121) 위로는 각 화소영역(SP)의 경계 및 비표시영역 (NA)에는 절연물질 특히 예를 들어 벤소사이클로부텐 (BCB) , 폴리 이미드 (Poly-Imide) 또는 포토아크릴 (photo acryl)로 이루어진 뱅크(1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뱅크(123)을 구성하는 제1, 2 뱅크(123a, 123b)는 각 화소영역(SP)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제1 전극 (121)의 테두리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영역(AA) 전체적으로는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격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뱅크(123a, 123b)는 각 화소영역(SP) 주위에 형성되며, 이들 뱅크 (123a, 123b)는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 형성되어 있다. 특히, 각 화소영역(SP) 주위의 제1 뱅크(123a, 123b)로 서로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제2 뱅크(123b)의 일부는 비표시영역(NA)에도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결함(defect)이나 수분이 유기전계 발광소자(100) 내로 침투되더라도 각 화소영역(SP) 주위에 있는 제1, 2 뱅크(123a, 123b)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한 화소영역(SP)에 침투된 수분이 분리된 뱅크를 통해 인접한 다른 화소영역(SP)으로는 확산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2 뱅크(123a, 123b)로 둘러싸인 각 화소영역(SP) 내의 상기 제1 전극(121) 위로는 각각 적, 녹 및 청색을 발광하는 유기발광 패턴(미도시)으로 구성된 유기 발광층(1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125)은 유기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 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 수송층 (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층(125)과 상기 제1, 2 뱅크(123a, 123b)의 상부에는 상기 표시영역(AA) 전면에 제2 전극(127)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극 (121)과 제2 전극(127) 및 이들 두 전극(121, 127)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층 (125)은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를 이룬다.
이러한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는 선택된 색 신호에 따라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7)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1 전극(121)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제2 전극(127)으로부터 제공된 전자가 유기발광층(125)으로 수송되어 엑시톤 (exciton)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 상태에서 기저 상태로 천이 될 때 빛이 발생되어 가시광선 형태로 방출된다. 이때, 발광된 빛은 투명한 제2 전극(127)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가게 되므로,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100)는 임의의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전극(127)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는 절연물질, 특히 무기절연물질인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x)으로 이루어진 제1 보호층(129)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 전극(127) 만으로는 상기 유기발광층(125)으로의 수분 침투를 완전히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제2 전극(127) 위로 상기 제1 보호층(129)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유기발광층(125)으로의 수분 침투를 완전히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보호층(129) 위로는 폴리머(polymer)와 같은 고분자 유기 물질을 도포하여 유기막(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기막(131)을 구성하는 고분자 박막으로는 올레핀계 고분자(polyethylene,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플루오르 수지(fluoro resin), 폴리실록산(polysiloxa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막(131)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는 상기 유기막(131)을 통해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절연물질, 예를 들어 무기절연물질인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x)으로 이루어진 제2 보호층(133)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제2 보호층(133)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는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E)의 인캡슐레이션을 위해 보호 필름(미도시)과 대향하여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기판(101)과 보호 필름(미도시) 사이에는 투명하며 접착 특성을 갖는 프릿 (frit), 유기절연물질, 고분자 물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점착제(미도시)가 공기층 없이 상기 기판(101) 및 보호 필름(미도시)과 완전 밀착되어 개재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점착제(미도시)로는 PSA(press sensitive adhesive)를 이용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이렇게 점착제(미도시)에 의해 상기 기판(101)과 보호필름(barrier film) (미도시)이 고정되어 패널 상태를 이룸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0)가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따르면,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 기판상의 유기절연막 상에 무기절연막을 추가로 형성하여, 유기절연막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결함이나 수분이 유기전계 발광소자 내로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따르면, 뱅크를 각 화소영역 주위에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결함이나 수분이 유기전계 발광소자 내로 침투되더라도 뱅크들이 각 화소영역 주위에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한 화소영역에 침투된 수분이 인접한 다른 화소영역으로는 확산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따르면, 기판의 평균 높이를 표시부와 베젤(Bezel)부에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와 상부기판, 예를 들어 인캡슐레이션 유리기판, 플라스틱 기판(plastic plate), 편광판 (polarizer)을 부착하는 접착제, 예를 들어 점착제를 얇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방법에 대해 도 8a 내지 8j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내지 8j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영역(AA)과, 상기 표시영역(AA) 외측으로 비표시영역(NA)이 정의된 플렉서블(flexible) 특성을 갖는 기판(101)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플렉서블(Flexible) 기판(101)은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OLED) (100)가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 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유연한 특성을 갖는 플렉서블(flexible) 유리기판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 다음, 상기 기판(101) 상에 절연물질 예를 들면 무기절연물질인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 실리콘(SiNx)으로 이루어진 버퍼층(미도시)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버퍼층(미도시)을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반도체층(103) 하부에 형성하는 것은 상기 반도체층(103)의 결정화시에 상기 기판(101)의 내부로부터 나오는 알칼리 이온의 방출에 의한 상기 반도체층(103)의 특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상기 버퍼층(미도시) 상부의 표시영역(AA) 내의 각 화소영역(P)에 상기 구동 영역(미도시) 및 스위칭 영역(미도시)에 대응하여 각각 순수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는 채널을 이루는 제1 영역(103a) 그리고 상기 제1 영역(103a) 양 측면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제2 영역(103b, 103c)으로 구성된 반도체층(103)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반도체층(103)을 포함한 버퍼층 상에 게이트 절연막(105)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105) 상에 상기 구동 영역(미도시) 및 스위칭 영역(미도시)에 있어 상기 각 반도체층(103)의 제1 영역(103a)에 대응하여 게이트 전극 (107)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 절연막(105) 위로는 상기 스위칭 영역(미도시)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107)과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게이트 배선(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게이트 전극(107)과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은 저저항 특성을 갖는 제1 금속물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Nd), 구리(Cu), 구리 합금, 몰리브덴(Mo), 몰리티타늄(MoTi)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또는 둘 이상의 상기 제1 금속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이중층 또는 삼중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게이트전극(107)과 게이트 배선(미도시)이 단일 층 구조를 갖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다.
그 다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전극(107)과 게이트 배선(미도시) 위로 표시영역 전면에 절연물질, 예를 들어 무기절연물질인 산화실리콘 (SiO2) 또는 질화 실리콘(SiNx)으로 이루어진 층간절연막(109)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층간절연막(109)과 그 하부의 게이트 절연막(105)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각 반도체층의 제1 영역(103a) 양 측면에 위치한 상기 제2 영역(103b, 103c) 각각을 노출시키는 반도체층 콘택홀(111a, 111b)을 형성한다.
그 다음,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111a, 111b )을 포함하는 상기 층간절연막(109) 상부에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교차하며, 상기 화소영역(SP)을 정의하며 제2 금속물질층(미도시)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 금속물질층(미도시)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Nd), 구리(Cu), 구리 합금, 몰리브덴(Mo), 몰리티타늄(MoTi), 크롬(Cr), 티타늄(Ti)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서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제2 금속물질층(미도시)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교차하며, 상기 화소영역(SP)을 정의하는 데이터배선(미도시)과, 이와 이격하여 전원배선(미도시)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전원배선(미도시)은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이 형성된 층, 즉 게이트 절연막 상에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이격하며 나란히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배선(미도시) 형성시에, 상기 층간절연막(109) 위로 상기 각 구동영역(미도시) 및 스위칭 영역(미도시)에 서로 이격하며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111a, 111b)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2 영역(103b, 103c)과 각각 접촉하며 상기 데이터 배선(미도시)과 동일한 제2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소스전극(113a) 및 드레인전극(113b)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때, 상기 구동영역(미도시)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기 반도체층과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107)과 층간절연막(109)과 서로 이격하며 형성된 상기 소스전극(113a) 및 드레인 전극(113b)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이룬다.
한편,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데이터배선(미도시)과 소스전극(113a) 및 드레인전극(113b)은 모두 단일 층 구조를 갖는 것을 일례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구성 요소는 이중층 또는 삼중 층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갖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또한 상기 스위칭 영역(미도시)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 및 데이터 배선(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113)은 각각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의 게이트 전극(미도시) 및 소스 전극(미도시)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의 드레인 전극(미도시)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게이트 전극(10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101)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폴리실리콘의 반도체층 (103)을 가지며, 탑 게이트 타입(Top gate type)으로 구성된 것을 일례로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 구동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DTr)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비정질 실리콘의 반도체층을 갖는 바텀 게이트 타입 (Bottom gate type)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STr)가 바텀 게이트 타입으로 구성되는 경우, 그 적층 구조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절연막/ 순수 비정질 실리콘의 액티브층과 서로 이격하며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의 오믹 콘택층으로 이루어진 반도체층과/ 서로 이격하는 소스전극 및 드레인 전극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게이트 배선은 상기 게이트 전극이 형성된 층에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배선은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전극이 형성된 층에 상기 소스 전극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 다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상에 유기 절연막(115) 및 무기 절연막(117)을 차례로 적층한다. 이때, 상기 유기절연막(115)으로는 폴리머(polymer)와 같은 고분자 유기 물질이 사용되며, 상기 무기 절연막(117)으로는 절연물질, 예를 들어 무기절연물질인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 실리콘(SiNx)이 사용된다.
이어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기 절연막(115) 및 무기 절연막 (117)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 전극 (113b)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119)을 형성한다.
그 다음,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기 절연막(117) 상에 제3 금속물질층(미도시)을 증착한 후, 이 제3 금속물질층(미도시)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드레인 콘택홀(119)을 통해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 전극 (113b)과 접촉되며, 각 화소영역(SP) 별로 분리된 형태를 가지는 제1 전극(12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3 금속물질층(미도시)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 (AlNd), 구리(Cu), 구리 합금, 몰리브덴(Mo), 몰리티타늄(MoTi), 크롬(Cr), 티타늄(Ti)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서 이루어진다.
이어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전극(121) 상에 각 화소영역 (SP)의 경계 및 비표시영역(NA)에는 예를 들어 벤소사이클로부텐 (BCB) ,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포토아크릴(photo acryl)로 이루어진 절연물질층(미도시)을 형성한다.
그 다음,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물질층(미도시)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제1, 2 뱅크(123a, 123b)로 구성되는 뱅크(123)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2 뱅크(123a, 123b)는 각 화소영역(SP)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제1 전극 (121)의 테두리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영역(AA) 전체적으로는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격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뱅크(123b)들 중 일부는 비표시영역(NA) 상부 일부를 덮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제1, 2 뱅크(123a, 123b)는 각 화소영역(SP) 주위에 형성되며, 이들 제1, 2 뱅크(123a, 123b)는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 형성되어 있다. 특히, 각 화소영역(SP) 주위의 뱅크(123a, 123b)들은 서로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결함(defect)이나 수분이 유기전계 발광소자(100) 내로 침투되더라도 각 화소영역(SP) 주위에 있는 제1, 2 뱅크(123a, 123b)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한 화소영역(SP)에 침투된 수분이 분리된 뱅크를 통해 인접한 다른 화소영역(SP)으로는 확산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뱅크(123a, 123b)로 둘러싸인 각 화소영역(SP) 내의 상기 제1 전극(121) 위에 각각 적, 녹 및 청색을 발광하는 유기발광 패턴(미도시)으로 구성된 유기 발광층(12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유기 발광층(125)은 유기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 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 수송층 (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기 발광층(125)과 상기 제1, 2 뱅크(123a, 123b)의 상부를 포함한 상기 표시영역(AA) 전면에 제2 전극(127)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 전극(127)은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도전물질, 예를 들어 ITO, IZO를 포함하는 도전 물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7) 및 이들 두 전극(121, 127)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층(125)은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를 이룬다.
따라서, 이러한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는 선택된 색 신호에 따라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7)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1 전극(121)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제2 전극(127)으로부터 제공된 전자가 유기발광층(125)으로 수송되어 엑시톤 (exciton)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 상태에서 기저 상태로 천이 될 때 빛이 발생되어 가시광선 형태로 방출된다. 이때, 발광된 빛은 투명한 제2 전극 (127)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가게 되므로,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100)는 임의의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어서, 도 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전극(127)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는 절연물질, 특히 무기절연물질인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x)으로 이루어진 제1 보호층(129)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 전극(127) 만으로는 상기 유기발광층(125)으로의 수분 침투를 완전히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제2 전극 (127) 위로 상기 제1 보호층(129)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유기발광층(125)으로의 수분 침투를 완전히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도 8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호층(129) 상에 폴리머 (polymer)와 같은 고분자 유기 물질을 도포하여 유기막(13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유기막(131)을 구성하는 고분자 박막으로는 올레핀계 고분자(polyethylene,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플루오르수지(fluororesin), 폴리실록산(polysiloxane),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유기막(131)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상기 유기막(131)을 통해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절연물질, 예를 들어 무기절연물질인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x)으로 이루어진 제2 보호층(133)을 추가로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제2 보호층(133)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E)의 인캡슐레이션을 위해 보호 필름(미도시)과 대향하여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기판(101)과 보호 필름(미도시) 사이에 투명하며 접착 특성을 갖는 프릿 (frit), 유기절연물질, 고분자 물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점착제를 개재하여, 공기층 없이 상기 기판(101) 및 보호 필름(미도시)이 완전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점착제(미도시)로는 PSA(press sensitive adhesive)를 이용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이렇게 점착제(미도시)에 의해 상기 기판(101)과 보호필름(barrier film) (미도시)이 고정되어 패널 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0) 제조공정을 완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방법에 따르면,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 기판상의 유기절연막 상에 무기절연막을 추가로 형성하여, 유기절연막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결함이나 수분이 유기전계 발광소자 내로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방법에 따르면, 뱅크를 각 화소영역 주위에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결함이나 수분이 유기전계 발광소자 내로 침투되더라도 뱅크들이 각 화소영역 주위에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한 화소영역에 침투된 수분이 인접한 다른 화소영역으로는 확산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방법에 따르면, 기판의 평균 높이를 표시부와 베젤(Bezel)부에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와 상부기판, 예를 들어 인캡슐레이션 유리기판, 플라스틱 기판(plastic plate), 편광판 (polarizer)을 부착하는 접착제, 예를 들어 점착제를 얇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기판 103: 반도체층
103a: 제1 영역 103b, 103c: 제2 영역
105: 게이트 절연막 107: 게이트 전극
109: 제1 층간절연막 113a: 소스 전극
113b: 드레인 전극 115: 유기 절연막
117: 무기 절연막 121: 제1 전극
123: 뱅크 123a: 제1 뱅크
123b: 제2 뱅크 125: 유기발광층
127: 제2 전극 129: 제1 보호층
131: 유기막 133: 제2 보호층
AA: 표시영역 NA: 비표시영역
SP: 화소영역

Claims (12)

  1. 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이의 외측으로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기판;
    상기 기판상의 상기 각 화소영역에 형성된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 기판상에 적층되고,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유기절연막;
    상기 무기절연막 상의 각 화소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을 포함한 기판의 각 화소영역 주위에 형성되고, 서로 분리되어 있는 뱅크;
    상기 제1 전극 위로 각 화소영역 별로 분리 형성된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위로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형성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형성된 유기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마주하며 위치한 보호필름; 상기 기판과 보호필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판과 보호필름을 접착하여 패널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점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는 각 화소영역 주위에 형성되고, 각 화소영역에 형성된 뱅크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절연막 상에 무기 절연막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플렉서블(flexible)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중 선택된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의 상 하부에 보호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7. 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이의 외측으로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상의 상기 각 화소영역에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 기판상에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유기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기절연막 상의 각 화소영역에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을 포함한 기판의 각 화소영역 주위에 서로 분리되어 있는 뱅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위로 각 화소영역 별로 유기 발광층을 분리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 발광층 위로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극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유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마주하며 위치한 보호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과 보호필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판과 보호필름을 접착하여 패널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점착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는 각 화소영역 주위에 형성되고, 각 화소영역에 형성된 뱅크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절연막 상에 무기 절연막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플렉서블(flexible)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중 선택된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의 상 하부에 보호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방법.
KR1020120122697A 2012-10-31 2012-10-31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050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697A KR102050434B1 (ko) 2012-10-31 2012-10-31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4/064,786 US9520578B2 (en) 2012-10-31 2013-10-28 Flexibl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201310526130.4A CN103794631B (zh) 2012-10-31 2013-10-30 柔性有机电致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DE102013111943.3A DE102013111943B4 (de) 2012-10-31 2013-10-30 Flexible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S15/342,617 US10411080B2 (en) 2012-10-31 2016-11-03 Flexibl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697A KR102050434B1 (ko) 2012-10-31 2012-10-31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606A true KR20140055606A (ko) 2014-05-09
KR102050434B1 KR102050434B1 (ko) 2019-11-29

Family

ID=5047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697A KR102050434B1 (ko) 2012-10-31 2012-10-31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520578B2 (ko)
KR (1) KR102050434B1 (ko)
CN (1) CN103794631B (ko)
DE (1) DE102013111943B4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552A (ko) * 2014-09-30 2016-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160139669A (ko) * 2015-05-28 2016-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70014579A (ko) * 2015-07-30 2017-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70060217A (ko) * 2015-11-23 2017-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923159B2 (en) 2015-10-06 2018-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 film transistor,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in same
KR20180047384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71788A (ko) * 2016-12-20 2018-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84950A (ko) * 2015-12-31 2018-07-25 쿤산 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센터 씨오., 엘티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90030951A (ko) * 2017-09-15 2019-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59814A (ko) * 2018-11-22 2020-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227B1 (ko) 2012-12-07 2019-09-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6191260B2 (ja) * 2013-06-12 2017-09-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6214019B2 (ja) * 2014-03-07 2017-10-18 株式会社Joled バンクの補修方法、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71094B2 (ja) * 2014-03-31 2018-08-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KR102213702B1 (ko) * 2014-11-07 2021-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2430819B1 (ko) * 2015-08-19 2022-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384001B2 (en) * 2016-10-25 2022-07-12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 glass lamination to a display
US10191345B2 (en) * 2016-11-01 2019-01-29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JP2018181578A (ja) * 2017-04-12 2018-11-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2019016504A (ja) * 2017-07-06 2019-01-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11065960B2 (en) 2017-09-13 2021-07-20 Corning Incorporated Curved vehicle displays
KR102476561B1 (ko) 2017-12-27 2022-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476562B1 (ko) * 2017-12-27 2022-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8258147B (zh) * 2018-01-17 2020-12-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基板及其封装方法、显示装置
KR102602275B1 (ko) * 2018-03-30 2023-1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296156B2 (en) * 2018-11-28 2022-04-05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KR102652572B1 (ko) * 2018-12-03 2024-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664157B1 (ko) * 2018-12-03 2024-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장치
CN110752312A (zh) 2019-10-30 2020-02-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KR20210071369A (ko) * 2019-12-06 2021-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210073147A (ko) * 2019-12-10 2021-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20091703A (ko) * 2020-12-23 2022-07-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750846B (zh) * 2021-01-04 2023-06-0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及oled显示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138A (ko) * 2001-04-20 2002-10-3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20040010370A (ko) * 2002-07-25 2004-01-3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패널
KR20050122893A (ko) * 2004-06-25 2005-1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31115A (ko) * 2006-10-03 2008-04-0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80095765A (ko) * 2007-04-25 2008-10-2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장치
KR20090116199A (ko) * 2008-05-06 2009-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20825A (ko) * 2008-05-20 2009-1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2024B2 (en) 2001-11-09 2006-05-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10326746B4 (de) * 2003-06-13 2006-04-06 Gerlach, Jörg, Dr.med. Bioreaktor in Form einer Organkop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zur Anzucht, zur Differenzierung, zum Erhalt und/oder zur Nutzung von Zellen
JP4184189B2 (ja) * 2003-08-13 2008-11-1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発光型表示装置
US7132796B2 (en) 2003-12-30 2006-11-07 Lg.Philips Lcd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560792B1 (ko) 2004-03-23 2006-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면 발광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제조방법
KR101230299B1 (ko) * 2005-01-07 2013-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KR101309174B1 (ko) * 2006-11-15 2013-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JP4905237B2 (ja) 2007-04-25 2012-03-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KR101376818B1 (ko) 2007-06-26 2014-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TWI617029B (zh) * 2009-03-27 2018-03-0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
US8552440B2 (en) 2010-12-24 2013-10-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ing device
KR101458402B1 (ko) 2011-04-01 2014-1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KR102068956B1 (ko) * 2012-02-15 2020-0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138A (ko) * 2001-04-20 2002-10-3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20040010370A (ko) * 2002-07-25 2004-01-3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패널
KR20050122893A (ko) * 2004-06-25 2005-1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31115A (ko) * 2006-10-03 2008-04-0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80095765A (ko) * 2007-04-25 2008-10-2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장치
KR20090116199A (ko) * 2008-05-06 2009-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20825A (ko) * 2008-05-20 2009-1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552A (ko) * 2014-09-30 2016-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160139669A (ko) * 2015-05-28 2016-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70014579A (ko) * 2015-07-30 2017-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9923159B2 (en) 2015-10-06 2018-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 film transistor,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in same
KR20170060217A (ko) * 2015-11-23 2017-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84950A (ko) * 2015-12-31 2018-07-25 쿤산 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센터 씨오., 엘티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10896938B2 (en) 2015-12-31 2021-01-19 Kunshan New Flat Panel Display Technology Center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curing material layer in different thickness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47384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71788A (ko) * 2016-12-20 2018-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30951A (ko) * 2017-09-15 2019-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59814A (ko) * 2018-11-22 2020-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77197A1 (en) 2017-03-16
US10411080B2 (en) 2019-09-10
CN103794631B (zh) 2017-09-22
US20140117341A1 (en) 2014-05-01
CN103794631A (zh) 2014-05-14
KR102050434B1 (ko) 2019-11-29
DE102013111943B4 (de) 2017-10-19
DE102013111943A1 (de) 2014-04-30
US9520578B2 (en)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5606A (ko)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967600B1 (ko)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952501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936619B1 (ko)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978783B1 (ko)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652822B1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2009802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75168B1 (ko) 상부발광 방식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97611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KR20140064154A (ko) 유기발광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0760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6070B1 (ko)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56227B1 (ko)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소자
JP2015049949A (ja) 有機el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992903B1 (ko)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4826A (ko)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13521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6637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5040A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70079629A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32225B1 (ko) 유기막 형성용 마스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