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3767A - 수납 구조 - Google Patents

수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3767A
KR20140053767A KR1020130120669A KR20130120669A KR20140053767A KR 20140053767 A KR20140053767 A KR 20140053767A KR 1020130120669 A KR1020130120669 A KR 1020130120669A KR 20130120669 A KR20130120669 A KR 20130120669A KR 20140053767 A KR20140053767 A KR 20140053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ortion
case member
link member
cas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후미 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40053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스마트 폰이나 담배 등의 항상 곁에 두고 싶은 소품을 간편하게 또한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피장착부재인 차량 실내의 벽면 또는 차량용 시트에 장착된 암레스트에 형성되어 소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구조로서, 상기 암레스트에 형성된 오목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와,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제 1 축부에 의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링크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의 제 2 축부에 의해서 반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승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돌출되고,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배치 설치된 수납부를 가지는 케이스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돌출 및 수납될 때에 상기 링크 부재의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 주위로 각각 회전운동하므로, 항상 곁에 두고 싶은 소품을 간편하게 또한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납 구조{STORAGE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차, 건설기계, 열차, 항공기 등의 암레스트(arm res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폰, 휴대 단말, 담배 등의 항상 곁에 두고 싶은 소품을 간편하게 또한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에 있어서, 소품은 도어 트림(door trim)에 설치된 포켓 등에 수납하거나, 대시 보드(dashboard) 등에 수납하고 있다.
또, 암레스트에 수납하는 예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암레스트의 회전운동지지부 또는 그 근방부에 수납용의 유지 오목부와 그 개구를 덮는 덮개체로 구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3-104110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도어 트림에 설치된 포켓 등에 수납하는 경우에서는, 회전운동식의 도어이면, 도어를 개폐할 때에 수납물을 떨어뜨릴 위험이 존재하고,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이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 낙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경우, 도어 트림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거주 스페이스가 좁아질 우려가 존재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경우에서는, 암레스트의 회전운동지지부 또는 그 근방부에 수납용의 유지 오목부를 설치하고, 소위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이 닿기 어렵고, 소품의 출납에는 불편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도어의 개폐시에 수납물을 떨어뜨릴 우려가 없는 동시에, 사용하기 편리함을 향상할 수 있다. 또, 기존의 암레스트의 폭을 확장하는 일없이, 거주 스페이스를 좁히는 일없이 설치할 수 있는 수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내용이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장착부재인 차량 실내의 벽면 또는 차량용 시트에 장착된 암레스트에 형성되어 소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구조로서, 상기 암레스트에 형성된 오목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와,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제 1 축부에 의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링크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의 제 2 축부에 의해서 반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승(支承)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돌출되고,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배치 설치된 수납부를 가지는 케이스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돌출 및 수납될 때에 상기 링크 부재의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 주위로 각각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또,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링크 부재의 제 1 축부 주위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상기 케이스 부재에는 상기 링크 부재의 제 2 축부 주위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상기 케이스 부재에는 상기 링크 부재가 제 2 축부 주위로 회전운동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타고 넘기 가능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 케이스 부재가 베이스 부재에 수납된 상태에서 링크 부재의 폭 방향 일단부가 맞닿으며, 케이스 부재가 돌출될 때에 타고 넘고, 케이스 부재의 돌출이 완료된 시점에서 링크 부재의 폭 방향 타단부에 맞닿아 케이스 부재의 수납시 및 돌출시에 안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상기 케이스 부재에는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승된 링크 부재의 제 2 축부의 외측을 덮는 커버 부재가 배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장착부재인 차량 실내의 벽면 또는 차량용 시트에 장착된 암레스트에 형성되어 소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구조로서, 상기 암레스트에 형성된 오목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와,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제 1 축부에 의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링크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의 제 2 축부에 의해서 반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승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돌출되고,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배치 설치된 수납부를 가지는 케이스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돌출 및 수납될 때에 상기 링크 부재의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 주위로 각각 회전운동하므로, 개구부를 상향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케이스 부재를 개폐할 수 있다. 또, 차량 도어의 개폐시에 수납물을 떨어뜨릴 우려가 없는 동시에, 사용하기 편리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암레스트의 폭을 확장하는 일없이, 거주 스페이스를 좁히는 일이 없다.
또,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링크 부재의 제 1 축부 주위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부재가 설치되었으므로, 케이스 부재의 개방 각도를 규제하여 수납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케이스 부재에는 상기 링크 부재의 제 2 축부 주위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부재가 설치되었으므로, 케이스 부재의 개방시에 개구부가 상면을 향하도록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물이 너무 기울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케이스 부재에는 상기 링크 부재가 제 2 축부 주위로 회전운동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타고 넘기 가능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 케이스 부재가 베이스 부재에 수납된 상태에서 링크 부재의 폭 방향 일단부가 맞닿으며, 케이스 부재가 돌출될 때에 타고 넘고, 케이스 부재의 돌출이 완료된 시점에서 링크 부재의 폭 방향 타단부에 맞닿아 케이스 부재의 수납시 및 돌출시에 안정시키므로, 케이스 부재를 폐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케이스 부재에는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승된 링크 부재의 제 2 축부의 외측을 덮는 커버 부재가 배치 설치되었으므로, 링크 부재가 탄성 변형하여 상기 돌기를 타고 넘을 때에 측방으로 과도하게 변형하여 축 구멍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수납 구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일 수납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동일 수납 구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동일 수납 구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동일 수납 구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수납 구조는, 암레스트의 오목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와,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제 1 축부에 의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링크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의 제 2 축부에 의해서 반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승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돌출되고,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배치 설치된 수납부를 가지는 케이스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돌출 및 수납될 때에 상기 링크 부재의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 주위로 각각 회전운동하므로, 개구부를 상향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케이스 부재를 개폐할 수 있다. 또, 차량 도어의 개폐시에 수납물을 떨어뜨릴 우려가 없는 동시에, 사용하기 편리함을 향상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납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납 구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여기서 수납 구조(10)는 피장착부재인 차량 실내의 벽면 또는 차량용 시트에 고정 혹은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암레스트(12)에 형성되어 소품을 수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암레스트(12)에 형성된 오목부(13)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14)와, 제 1 축부(15) 및 제 2 축부(16)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부재(14)에 제 1 축부(15)에 의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링크 부재(17)와, 상기 링크 부재(17)의 제 2 축부(16)에 의해서 반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승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부재(14)로부터 돌출되고,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배치 설치된 수납부(18)를 가지는 케이스 부재(19)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 부재(19)는 상기 베이스 부재(14)로부터 돌출 및 수납될 때에 상기 링크 부재(17)의 제 1 축부(15) 및 제 2 축부(16) 주위로 각각 회전운동한다.
베이스 부재(14)는 케이스 부재(19)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14a)와, 오목부 (14a)보다 더욱더 안쪽 끝으로 팽출된 비스 고정용의 고정 오목부(14b)를 가지고 있다. 고정 오목부(14b)에는 베이스 부재(14)를 암레스트(12)에 고정하기 위한 비스(20)를 삽입하기 위한 비스 구멍(20a)이 형성됨과 아울러, 개구부를 덮는 판 형상의 커버(21)를 가지고 있다. 또, 베이스 부재(14)의 정면의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에는 프레임 형상의 베젤{(bezel)(2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4)에는 링크 부재(17)의 제 1 축부(15)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승하는 축 구멍(23)이 양측 벽에 형성됨과 아울러, 링크 부재(17)의 제 1 축부(15) 주위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부재(24)가 축 구멍(23)의 근방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링크 부재(17)는 양측의 암(arm) 부재(17a, 17a)와 암 부재(17a)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로드{(rod) (17b) }가 개략 형상이 ㄷ자 형상을 하고 있고, 암 부재 (17a)의 자유단 측에 제 2 축부(16)가 내측 방향으로 대향 형성되어 있다. 또, 암 부재(17a)의 하단 근방에는 외측 방향으로 제 1 축부(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 부재(17a)의 하단(25)은 확장 개방하고 있고, 링크 부재(17)가 제 1 축부 (15)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운동했을 때에, 베이스 부재(14) 측에 형성한 제 1 규제 부재(24)와 맞닿는다.
케이스 부재(19)는 상단의 개구한 수납부(18)를 가짐과 아울러, 상단의 정면 측에 반원 형상의 조작용 노치{(notch)(26)}를 가지고 있다. 또, 케이스 부재(19)의 측벽 상단 근방에는 링크 부재(17)의 제 2 축부(16)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승되는 축 구멍(27)이 형성됨과 아울러, 케이스 부재 자체의 제 2 축부(16) 주위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부재(28)가 측벽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규제 부재 (28)는 링크 부재의 암 부재(17a)와 맞닿는 경사진 맞닿음면(28a)을 가지고 있고, 케이스 부재(19)가 제 2 축부(16) 주위로 회전운동할 때에 맞닿아 개구부가 상면을 향하도록 규제한다.
또, 케이스 부재(19)의 측벽에는 돌기(29)가 설치되어 있고, 링크 부재(17)가 제 2 축부(16) 주위로 회전운동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타고 넘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돌기(29)의 주위에는 케이스 부재(19)의 측벽을 관통하는 홈(30)이 평행으로 2조 형성되어 있고, 돌기(29)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상기 돌기(29)는 케이스 부재(19)가 베이스 부재(14)에 수납된 상태에서 링크 부재{암 부재(17a)}의 폭 방향 일단부가 맞닿으며, 케이스 부재(19)가 돌출될 때에 타고 넘고, 케이스 부재(19)의 돌출이 완료된 시점에서 링크 부재{암 부재(17a)}의 폭 방향 타단부에 맞닿아 케이스 부재(19)의 수납 상태 및 돌출 상태를 안정시킨다.
또, 제 2 규제 부재(28)의 측면에 형성된 비스 구멍(28b)에는 단면 대략 ㄴ자 형상의 커버 부재(31)가 링크 부재(17)의 외측에서 비스 고정되고, 링크 부재 (17)가 탄성 변형하여 돌기(29)를 타고 넘을 때에 측방으로 과도하게 변형하여 축 구멍(27)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커버 부재(31)는 링크 부재 (17)의 강성이 크고, 변형량이 적은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수납 구조(10)는, 케이스 부재(19)에 소품을 수납할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용 노치(26)에 손가락을 걸어서 개방한다. 그러면, 케이스 부재(19)는 개구를 상면을 향하여 열므로, 수납부(18)에 소품을 수납할 수 있다. 또, 돌기(29)의 작동에 의해 케이스 부재(19)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키가 높은 소품을 그대로 포켓으로서 얹어 놓을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부재(19)는 암레스트의 외측으로 열리므로, 거주 스페이스를 좁힐 일도 없다.
다음에, 케이스 부재(19)를 폐쇄할 경우, 손가락으로 개방시와 역방향으로 누르면, 링크 부재(17)가 돌기(29)를 타고 넘어 베이스 부재(14) 내로 격납된다. 케이스 부재(19)는 돌기(29)의 작동에 의해 격납 상태가 유지되어 부주의로 열릴 우려가 없다. 따라서, 수납한 소품이 낙하할 일도 없다.
또한, 케이스 부재(19)는 수동에 의해 개폐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댐퍼 기구나 스프링 기구에 의해서 링크 부재(17)가 돌기(29)를 타고 넘은 시점에서 자동 개방 혹은 자동 폐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수납 구조는 자동차, 건설기계, 열차, 항공기 등의 암레스트에 적용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일없이, 도어 트림 등의 차량용 시트 주변 부재에 적용할 수 있다.
10 - 수납 구조 11 - 시트 백
12 - 암레스트 13 - 오목부
14 - 베이스 부재 14a - 오목부
14b - 고정 오목부 15 - 제 1 축부
16 - 제 2 축부 17 - 링크 부재
17a - 암 부재 17b - 연결 로드
18 - 수납부 19 - 케이스 부재
20 - 비스 20a - 비스 구멍
21 - 커버 22 - 베젤
23 - 축 구멍 24 - 제 1 규제 부재
25 - 하단 26 - 조작용 노치
27 - 축 구멍 28 - 제 2 규제 부재
28a - 맞닿음면 28b - 비스 구멍
29 - 돌기 30 - 홈
31 - 커버 부재

Claims (6)

  1. 피장착부재인 차량 실내의 벽면 또는 차량용 시트에 장착된 암레스트에 형성되어 소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구조로서,
    상기 암레스트에 형성된 오목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와,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제 1 축부에 의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링크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의 제 2 축부에 의해서 반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승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돌출되고,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배치 설치된 수납부를 가지는 케이스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돌출 및 수납될 때에 상기 링크 부재의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 주위로 각각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링크 부재의 제 1 축부 주위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에는 상기 링크 부재의 제 2 축부 주위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구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에는 상기 링크 부재가 제 2 축부 주위로 회전운동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타고 넘기 가능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 케이스 부재가 베이스 부재에 수납된 상태에서 링크 부재의 폭 방향 일단부가 맞닿으며, 케이스 부재가 돌출될 때에 타고 넘고, 케이스 부재의 돌출이 완료된 시점에서 링크 부재의 폭 방향 타단부에 맞닿아 케이스 부재의 수납시 및 돌출시에 안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구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에는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승된 링크 부재의 제 2 축부의 외측을 덮는 커버 부재가 배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에는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승된 링크 부재의 제 2 축부의 외측을 덮는 커버 부재가 배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구조.
KR1020130120669A 2012-10-26 2013-10-10 수납 구조 KR201400537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36610A JP5977140B2 (ja) 2012-10-26 2012-10-26 収納構造
JPJP-P-2012-236610 2012-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767A true KR20140053767A (ko) 2014-05-08

Family

ID=5078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669A KR20140053767A (ko) 2012-10-26 2013-10-10 수납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977140B2 (ko)
KR (1) KR201400537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259B1 (ko) 2014-11-24 2015-10-1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수납 트레이
DE202022100583U1 (de) 2022-02-02 2022-05-24 Faurecia Autositze Gmbh Fahrzeugsitz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1145U (ko) * 1987-11-17 1989-05-31
JP3481369B2 (ja) * 1995-09-27 2003-12-22 豊和化成株式会社 車両用グラブボックス
JP2005306134A (ja) * 2004-04-20 2005-11-04 Nissan Motor Co Ltd 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77140B2 (ja) 2016-08-24
JP2014084062A (ja)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32011A1 (en) Assist grip
KR20140053767A (ko) 수납 구조
EP3055168A1 (en) Console assembly
JP2011042335A (ja) 車両用サンバイザ構造
KR101405569B1 (ko)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JP4855612B2 (ja) 物品収容装置
KR101918122B1 (ko) 홀더
KR20170112430A (ko)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KR101844916B1 (ko) 자동차 도어 트림
JP2017141000A (ja) 車両用ボードのハンドル装置
JP5671886B2 (ja) 車両用容器ホルダ
KR101728036B1 (ko) 편의성 향상을 위한 콘솔 암레스트 구조
JP2003175759A (ja) 車両用収納装置
JP4335858B2 (ja) ホルダー
KR100836102B1 (ko) 차량용 리어 암레스트
KR101575467B1 (ko) 차량용 선바이저 카드 포켓
JP6400549B2 (ja) 自動車のシート背凭れ用スイングカップホルダ
JP6089652B2 (ja) カップホルダー
JPH08230545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JP5813490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7166961B2 (ja) 車両用収容装置
JP2023110976A (ja) 車両用収納装置
CN208544204U (zh) 车辆及用于其副仪表板的扶手结构
JP2009001058A (ja) カップホルダー
KR20160081237A (ko) 콘솔 박스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