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584A - 컨버터블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컨버터블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584A
KR20140047584A KR1020137023322A KR20137023322A KR20140047584A KR 20140047584 A KR20140047584 A KR 20140047584A KR 1020137023322 A KR1020137023322 A KR 1020137023322A KR 20137023322 A KR20137023322 A KR 20137023322A KR 20140047584 A KR20140047584 A KR 20140047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x
deployed
shap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지-폴 데샴프
Original Assignee
으떼에스 아. 데샹 데 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으떼에스 아. 데샹 데 피스 filed Critical 으떼에스 아. 데샹 데 피스
Publication of KR20140047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6Pontoons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2Inflatable having parts of rig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3/00Equipment forming part of or attachable to vessels facilitating transport over lan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01D15/20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collapsible, expandable, inflatable or the like with main load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nly of non-rigi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2007/003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with fold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41/00Design characteristics
    • B63B2241/02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 B63B2241/10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by particular three dimensional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41/00Design characteristics
    • B63B2241/20Designs or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41/24Designs or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for facilitating transport, e.g. hull shape with limite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보유하고 조작하며 고정하는 피팅(8)들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피팅(8)들은 각각 상기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으로 컨테이너의 한 코너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에서, 상기 컨테이너는 세로방향 수치와 횡단방향 수치를 가진 중앙 박스(1)와 상기 중앙 박스(1)에 연결된 2개의 연장 유닛(2, 3)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 유닛(2, 3)과 중앙 박스(1)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은 물이 새지 않는다. 비-전개된 형상에서, 각각의 연장 유닛(2, 3)은 상기 중앙 박스(1)의 세로방향 또는 황단방향 수치의 절반보다 더 큰 길이 또는 폭을 가진다. 상기 연장 유닛(2, 3)은 연장 유닛(2, 3)과 중앙 박스(1)의 일부분이 상하로 위치되는 비-전개된 형상과 각각의 연장 유닛(2, 3)이 중앙 박스(1)의 세로방향 또는 횡단방향 연장부를 형성하는 전개된 형상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방식으로 전개되어 증가된 하중 영역을 가진 부유식 구조물을 형성하는 전개식 조립체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컨버터블 컨테이너{CONVERTIBLE CONTAINER}
본 발명은 비-전개된 형상에서는 임의의 수송 컨테이너와 같이 픽업하고 조작하거나 고정될 수 있으며 전개된 형상에서는 자동 부유식 구조물(autonomous floating structure)을 형성하는 컨버터블 컨테이너(convertible container)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컨테이너(floating container)는 컨테이너가 서로 고정될 때 보트에서 바다, 강 또는 호수에 우발적으로 오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게 하는 장치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항공기 또는 선박에 의해 오일 유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매우 신속하게 정해질 수 있게 한다. 선박에 의한 경우에서, 그리고, 선박이 우발적으로 오일이 유출되게 했을 때, 이러한 부유식 해상 컨테이너는 이미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타입의 보트는 복수의 상이한 컨테이너를 필요로 하는데, 각각의 컨테이너는 특정 기능을 가지며 전체적으로는 보트의 정확한 작동 및 형성(formation)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하다.
게다가, 보트를 구성하는 여러 컨테이너를 조립하기에 필요한 시간은 매우 길고 몹시 힘들며 심지어 바다가 거칠 때에는 불가능하기도 하는데, 본 발명의 방지 수단은 오일에 의해 오염된 영역을 가능한 빠르게 제한해야 한다.
게다가, 바다 또는 공기에 의해 작동 영역에 쉽게 접근될 수 있는 수륙양용 차량(amphibious vehicle)이 요구된다.
선박에 의해 이러한 수륙양용 차량들을 수송하는 경우, 기기 및/또는 물품들을 선박에 싣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선박에 적재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런 공정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수륙양용 차량들은 육지와 선박 사이를 오갈 수 있다.
수륙양용 차량들은 일반적인 항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가 있는 선박에 싣을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 전용 설치장치가 필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디자인과 사용 모드를 가지며 비-전개된 형상(non-deployed configuration)에서 물품을 수송하기 위한 컨테이너의 수치를 가진 부유식 수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데, 이러한 부유식 수송 장치는 표준 항구 설치장치로 상기 장치를 보유하고 조작하며 고정하고 가령 예를 들어 보트를 전개된 형상(deployed configuration)으로 형성하기 위한 피팅(fitting)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개된 형상에서 부력(byoyancy)을 가능한 최대로 가지기 위해 최대 선체 용적(maximized hull volume)과 보트의 적재 용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키기 위해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에 있는 제공된 세로방향 수치와 제공된 횡단방향 수치로부터 증가된 덱크 영역(deck area)을 가진 종류의 부유식 수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보트의 덱크 영역과 선체 용적을 최대로 크게 하면, 단순하고 신속하게 전개될 수 있는 부유식 수송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가능한 최소의 운동학적 연결부(kinematic connection)가 제공되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실제로, 수송 장치가 더 많은 이동 부분들을 가지면 가질수록 중량이 점점더 늘어나고 복잡해진다.
비-전개된 형상에 있는 즉 컨테이너 형상에 있는 수송 장치의 수치는 작아서 트럭, 선박 또는 화물 수송기에 의해 수송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컨테이너에 대한 또 다른 규정으로는, 물품을 수송하기 위한 모든 컨테이너에서와 같이, 컨테이너의 자유 벽들에 의해 형성된 평행육면체들 내에 포함되지만 상기 평행육면체들로부터 돌출되지는 않아서 복수의 컨테이너들이 적재되거나 및/또는 겹쳐질 수 있는 구성 요소들을 모두 가지는 것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보트의 우수한 부력을 보장하면서도 ISO 표준 수치들을 가진 수송 컨테이너를 확장함으로써 얻는 보트의 세로방향 및/또는 횡단방향 수치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바다 또는 공기에 의해 수송될 수 있으며 매우 쉽게 적재하고 하역할 수 있는 자체-추진식 수륙양용 차량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보유하고 조작하며 고정하는 피팅(fitting)들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피팅들은 각각 상기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으로 컨테이너의 한 코너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 상기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에서, 상기 컨테이너는 세로방향 수치와 횡단방향 수치를 가진 중앙 박스와 상기 중앙 박스에 연결된 2개의 연장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 유닛과 중앙 박스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은 물이 새지 않고(watertight);
- 각각의 연장 유닛은 비-전개된 형상에서 상기 중앙 박스의 세로방향 또는 황단방향 수치의 절반보다 더 큰 길이 또는 폭을 가지며;
- 상기 연장 유닛은 연장 유닛과 중앙 박스의 일부분이 상하로 위치되는 비-전개된 형상과 각각의 연장 유닛이 중앙 박스의 세로방향 또는 횡단방향 연장부(extension)를 형성하는 전개된 형상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증가된 하중 영역을 가진 부유식 구조물을 형성한다.
따라서, 부유식 구조물의 길이 또는 폭을 최대화하면, 선체의 속도가 증가하거나 또는 메터센터 반경(metacentric radius) (및 따라서 초기 안정성)의 증가, 길이의 제곱에 비례하고(프루드 수 감소), 또는 폭의 세제곱에 비례(부력 횡단 관성의 증가)한다. 물론, 이런 고려사항들은 동일한 변위(displacement)를 가진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체 그룹들에 유용하다.
컨테이너를 보유하고 조작하며 고정하기 위한 피팅은 컨테이너를 보유하고 고정하며 이송시킬 수 있는 코너 피팅(corner fitting)으로 알려져 있다.
이 피팅들은 컨테이너의 코너에 배열되고, 가해지는 힘을 견뎌내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가지기 위해 이 코너들은 적어도 강성으로 구성된다(solid).
중앙 박스와 연장 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은 선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물이 새지 않도록 물이 새지 않게 구성된다.
컨테이너의 여러 특정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컨테이너는 하기 이점들을 가지며 다수의 기술적인 조합이 가능한데:
- 상기 연장 유닛은 비-전개된 형상으로 서로 접하여 배열된(placed one against the other) 단일 박스 또는 2개의 박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연장 유닛들은 각각 단일 박스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연장 유닛들 중 하나는 중앙 박스의 세로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단부 박스를 형성하는 단일 박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연장 유닛은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으로 서로 접하여 배열된(placed one against the other) 2개의 박스로 구성되며, 상기 박스들은 중앙 박스의 세로축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컨테이너의 전개된 형상에서,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는 중앙 박스의 세로방향 또는 횡단방향 수치의 2배보다 더 큰 세로방향 또는 횡단방향 수치를 가진다.
따라서, 한 예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전개된 형상에서,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는 중앙 박스의 세로방향 수치의 2배보다 더 큰 뱃머리(prow)로부터 선미(poop)까지의 세로방향 수치를 가진다.
- 연장 유닛은 관절 방식으로 중앙 박스에 연결된다.
연장 유닛은 힌지(hinge)에 의해 관절 방식으로 중앙 박스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는 2축을 가진 힌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축을 가진 힌지, 또한, 2축 힌지로 알려져 있는 힌지는 2개의 오프셋 힌지 핀을 수용하는(carrying) 중간 부분에 연결된 2개의 관절 부분들을 포함한다.
- 상기 컨테이너는 연장 유닛을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으로부터 전개된 형상으로 이동시키고 컨테이너의 전개된 형상으로부터 비-전개된 형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액츄에이터(actuator)를 포함한다.
연장 유닛은 힌지에 의해 관절 방식으로 중앙 박스에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힌지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전동 힌지 또는 힌지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직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힌지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은, 가령, 예를 들어 전기, 유압 또는 공압 전력 공급원에 의해 공급된 회전식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 공급원과 분배 회로는 컨테이너의 연장 유닛들 중 하나 또는 중앙 박스 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힌지 개폐 수단은 원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remotely sited) 따라서 힌지 자체 내에는 통합되지 않는다. 오직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개폐 수단은 선형 액츄에이터 또는 케이블 시스템 또는 외부 크레인(external crane)일 수도 있다.
- 연장 유닛은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에서 중앙 박스와 함께 평행육면체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또는 심지어 직육면체 또는 큐브(cube)를 형성하는 자유 벽(free wall)들을 구성하도록 협력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호보완적인 프로파일(complementary profile)을 가진다.
오직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연장 유닛은 삼각형 또는 절두형(truncated) 삼각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연장 유닛이 예를 들어 절두형 삼각형 프로파일을 가질 때에는 상기 평행육면체는 중실구조(solid)가 아닐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자유 벽들은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를 형성한다.
삼각형 형태의 이동식 박스로 인해, 부유식 구조물의 어떠한 바람직한 이동 방향도 없으며,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2중 단부(double-ende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전개된 형상에 있는 컨테이너의 외측 표면은 부유식 구조물의 덱크(deck)가 평면 또는 실질적으로 평면이도록 평면 또는 실질적으로 평면이다.
- 연장 유닛이 단일의 연장 박스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 1 연장 박스는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과 전개된 형상 사이에서 180°회전하는 반면, 다른 연장 박스는 상기 두 형상 사이에서 180° 미만으로 회전한다.
제 1 연장 박스는 절두형 직각삼각형 또는 절두형이 아닌 직각삼각형이며, 다른 연장 박스는 컨테이너의 내측을 향해 경사진 비-전개된 형상에 있는 컨테이너의 한 단부를 형성하는 측면(side)을 가진다.
-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이 자체-추진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추진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추진 시스템은 부유식 구조물이 적어도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세로축에 대해 평행하거나 횡단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상기 중앙 박스 및/또는 연장 유닛 중 하나 이상은 하중(load)을 수용하도록 중공(hollow)이다.
- 상기 컨테이너를 보유하고 조작하며 고정하기 위한 피팅들의 개수는 8개 이상이며, 상기 피팅들은 비-전개된 형상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말단 코너에 배열되고, 상기 피팅들은 상기 컨테이너를 보유하고 조작하며 고정하기 위해 표준 ISO 인프라스트럭쳐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 상기 컨테이너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컨테이너가 에지에서 에지까지(edge-to-edge) 또는 끝에서 끝까지(end-to-end)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상호연결 수단에 연결되어 일체형 수송 조립체를 형성하며, 상기 일체형 조립체를 보유하고 조작하며 고정하기 위한 피팅들이 상기 일체형 수송 조립체의 말단 코너들에 위치된다.
- 상기 컨테이너는 독립적으로 확장할 수 있거나 혹은 그 외의 경우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부력이 증가될 수 있게 하는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팽창 요소들은 컨테이너의 가로 에지(lateral edge) 내에 제공된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긴급 상황에서, 컨테이너는 상기 확장 요소들을 수축시키지 않고도 전개된 형상으로부터 비-전개된 형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그 외에도, 상기 확장 요소들은 연장 유닛 및/또는 중앙 박스의 바닥에 배열된 하우징으로부터 전개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 요소들은 전개될 때 상기 요소들 밑에 배열된다.
이러한 확장 요소들은 부유식 구조물의 부력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테이너는 상기 확장 요소들을 독립적으로 또는 그 외의 경우 전력 공급원, 가령, 예를 들어, 공압식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확장시키기 위한 피더 회로(feeder circui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직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이러한 확장 요소들은 확장성 푸딩 펜더(inflatable pudding fender)이다. 상기 전력 공급원은 예를 들어 박스들 중 한 박스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온도 변화 또는 유출로 야기될 수 있는 압력 손실을 상쇄하기 위하여, 확장 요소의 확장 압력은 프로브(probe), 가령, 각각의 확장 요소가 확장되는 압력을 확인하는 압력 센서에 의해 전력 공급원의 서보컨트롤(servocontrol)로 조절되고 제어된다.
- 상기 연장 유닛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덱크의 세로방향 및/또는 횡단방향 수치를 증가시키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장 램프(extension ramp)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이러한 램프들은 연장 유닛의 용적 내에 통합될 수 있으나, 중앙 박스 및/또는 연장 유닛 내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해체될 수도 있다(demountalbe).
- 상기 컨테이너는 철회식 또는 철회식이 아닌 휠(wheel)들을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는 연장 유닛마다 철회식 또는 철회식이 아닌 2개 이상의 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중앙 박스는 하중에 의해 비-전개된 형상으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해 철회식 또는 철회식이 아닌 한 쌍 이상의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의 2개 이상의 휠들은 조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이러한 휠들 중 2개 이상의 휠들은 구동 휠(driving wheel)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테이너는 전개된 형상에 있는 수륙양용 차량(amphibious vehicle)을 형성한다.
- 상기 컨테이너는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수단은 면에서 면까지(face-to-face) 배열된 상기 컨테이너를 보유하고 조작하며 고정하기 위해 2개 또는 그 이상의 피팅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로크(lock)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수단은 중앙 박스와 연장 유닛들을 상기 컨테이너의 전개된 형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예시된 실시예로서, 상기 로크는 회전식 2중 로크(rotary double lock)(또한, "트위스트-로크(twist-lock)"로 알려져 있음)일 수 있는데, 이 로크는 면에서 면까지 배열된 2개의 고정 피팅들 사이에 배열된 상태로 말단에 장착되어 컨테이너가 완전히 확장되기 전에 제자리에 배열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또는 그 외에도, 상기 고정 수단은 부속품(attachment), 가령, 핀 또는 볼트식 고정 러그(bolted fixing lug)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컨테이너는 전개된 형상에서 자체-고정식(self-lockable)일 수도 있으며, 액츄에이터가 확장됨으로써 발생된 힘에 의해 자체-고정력이 보장된다.
오직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컨테이너를 확장시키기 위해 유압식 액츄에이터 위에 밸브를 유지하는 하중에 의해 자체-고정력이 보장될 수도 있다.
- 상기 컨테이너는 ISO 10-피트, 20-피트, 30-피트, 40-피트 또는 45-피트 수송 컨테이너의 수치를 가지거나, 혹은 바다, 강, 도로, 레일 또는 공기에 의해 멀티모드 수송(multimode transport)에 사용되는 그 외의 다른 임의의 권한(authority) 또는 표준 혹은 ISO 표준 668 및 1496-1에 의해 형성된 것처럼 그 외의 다른 임의의 크기의 표준 컨테이너이다.
- 비-전개된 형상에 있는 컨테이너는 바다에서 진수되고 가령 예를 들어 자동으로 또는 원격으로 확장되도록 부유되어 선박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확장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는, 가령, 예를 들어, 힌지를 공급하고 개방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압식 전력 회로에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브를 포함한다. 물 속에 컨테이너가 있는 지를 탐지하는 이러한 프로브는 우수한 안정성을 보장하고, 유압식 전력 공급원을 작동시키기 위해 힌지에 공급하도록 유압식 전력 공급원에 메시지(message)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면 컨테이너가 비-전개된 형상으로부터 전개된 형상으로 통과하게 한다.
컨테이너가 원격-조절식일 경우, 컨트롤 유닛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리시버, 또는 트랜스미터/리시버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유닛은 힌지에 공급하고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식 공급원의 작동을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2개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부유식 크래프트(floating craft)에 관한 것으로서, 전개된 형상에서, 상기 컨테이너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 부유식 구조물을 형성한다.
전개된 형상에 있는 이러한 컨테이너들은 끝에서 끝까지 및/또는 에지에서 에지까지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며, 여기서:
- 도 1은 비-전개된 형상에 있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도이며;
-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 도 3은 전개된 형상에 있는 도 1의 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 도 4는 도 1의 컨테이너의 단부 박스 중 하나와 중앙 박스 사이의 연결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도이고;
- 도 5는 제자리에 접하고 있는 도 1의 컨테이너의 단부 박스 중 하나와 중앙 박스 사이의 연결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도이며;
-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위에서부터 바라본 투시도로서, 상기 컨테이너는 전개된 형상에 있고, 부유식 구조물의 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확장 요소들도 전개되어 있으며;
- 도 7은 전개된 형상에 있는 6개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부유식 크래프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러한 컨테이너는 일체형 부유식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 도 8은 전개된 형상에 있는 도 6의 부유식 구조물을 하부에서부터 바라본 투시도로서, 철회식 휠을 볼 수 있으며;
- 도 9는 비-전개된 형상에 있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도이고;
- 도 10은 전개된 형상에 있는 도 9의 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 도 11은 비-전개된 형상에 있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도이고;
- 도 12는 전개된 형상에 있는 도 11의 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 도 13은 비-전개된 형상에 있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도이고;
- 도 14는 도 13의 컨테이너를 도시한 또 다른 투시도이며;
- 도 15는 확장 공정에 있는 도 13의 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 도 16은 전개된 형상에 있는 도 13의 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2는 비-전개된 형상에 있는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컨테이너를 도시한 정면도 및 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컨테이너는 세로방향 수치를 가진 중앙 박스(1)로만 구성되는데, 상기 중앙 박스(1)의 단부들에는 2축 힌지(4-7)에 의해 상기 중앙 박스(1)에 연결된 연장 유닛(2, 3)이 배열된다.
각각의 연장 유닛(2, 3)은 이후 단부 박스(end box)로 지칭되는 단일 박스로 구성되는데, 상기 단부 박스는 한 쌍의 2축 힌지(4-7)에 의해 중앙 박스(1)에 관절 방식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2축 힌지(4-7)들은 회전식 유압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는 다양한 힌지(4-7)에 공급하고 따라서 힌지들을 개폐할 수 있게 하도록 유압액(도면부호로는 표시되지 않음)을 분배하기 위한 회로와 유압식 전력 공급원(power source)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는 완전히 자동식으로 구성된다(autonomous).
절두형 삼각형 프로파일을 가진 단부 박스(2, 3)는 일부분이 상하로 위치되어(one on the other) 중앙 박스(1) 위에 겹쳐진다(superposed). 각각의 단부 박스(2, 3)는 중앙 박스(1)의 세로방향 수치의 절반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진다.
하나 이상의 이러한 박스(1-3)들은 컨테이너를 정확하게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장치 또는 기기 및/또는 하중(load)을 수용하도록 중공인(hollow) 것이 바람직하다.
물이 새지 않는 각각의 박스(1-3)는 부유식 박스(floating box)를 형성한다.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에서, 중앙 박스(1)와 단부 박스(2, 3)의 자유 외측벽들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를 형성한다. 컨테이너가 보관 또는 수송에 대해 그 외의 다른 컨테이너에 대해 배열되거나 및/또는 적재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어떠한 구성 요소들도 상기 직육면체로부터 돌출되어 배열되지 않는다.
여기서, 직육면체는 ISO 20-피트 해양 수송 컨테이너의 수치들과 똑같은 수치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는 임의의 특정 인프라스트럭쳐 또는 기기가 없이도 임의의 ISO 표준 컨테이너와 같이 픽업되고, 수송되며, 조작되고, 옮겨 싣거나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코너에서, 상기 컨테이너는 컨테이너를 보유하고 조작하며 고정하는 피팅(fitting)(8)을 포함한다. 따라서, 컨테이너는 비-전개된 형상에 있는 컨테이너의 말단부에 위치된 8개의 피팅(8)을 포함한다.
2축 힌지(4-7)가 작동되면 상기 컨테이너는 비-전개된 형상으로부터 전개된 형상으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개된 형상에서, 단부 박스(2, 3)는 중앙 박스(1)의 세로방향 연장부를 형성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확장된 상기 조립체는 부유식 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hull)는 중앙 박스(1)의 세로방향 수치의 2배보다 더 큰 세로방향 수치를 가진다.
제 1 단부 박스(2)가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과 전개된 형상 사이에서 180°회전하는 반면, 다른 단부 박스(3)는 상기 두 형상 사이에서 180° 미만으로, 여기서는 약 167°회전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두 회전으로 인해, 부유식 구조물을 위한 평면 또는 실질적으로 평면 덱크(plane deck)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회전각은 180°미만이며, 컨테이너의 전개된 형상에 있는 단부 박스(3)에 대해 배열되기 위한 중앙 박스(1)의 단부벽(9)은 접촉하고 있는 단부 박스(3)의 경사면(10)에 대해 상호보완적인 경사진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두 경사진 벽(9, 10)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상기 회전각도의 값과 동일하다.
각각의 박스(1-3)는 물이 새지 않는 외측 엔벌로프(exterior envelope)를 형성하는 알루미늄 벽들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각각의 박스(1-3)는 컨테이너가 전개된 형상에 있을 때와 똑같이 비-전개된 형상에 있을 때에 제공되는 전체 힘들과 국부 힘(local force)들을 견뎌내도록 구성된 세로방향 및 횡단방향 스티프너 망(stiffener network)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박스(1-3)는 중량의 하중(heavy load), 가령, 오두막(hut), 차량(트럭 등), 기기 및/또는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하중-지탱 구조물을 형성한다. 더욱이, 단부 박스(2, 3)의 삼각형 형태로 인해 하중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박스(2, 3)의 단부 또는 말단부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중앙 박스(1)에 의해 하중을 우수하게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하중-지탱 구조물의 하중 영역(loading area)은 현저하게 증가되는데, 이는 매우 바람직하다. 물론, 2축 힌지(4-7)는 전개된 형상에 있을 때 즉 부유식 구조물 형상에 있을 때 및 비-전개된 형상 즉 컨테이너 형상에 있을 때와 같이 고하중을 견뎌내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대안으로, 상기 박스(1-3)는 스틸, 스테인리스 스틸, 구리-니켈 합금, 폴리머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복합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 및 5는 전개된 형상에 있는 컨테이너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도로서, 컨테이너는 부유식 구조물을 형성한다. 2축 힌지(4, 7)는 상측 표면이 부유식 구조물의 덱크(deck)를 형성하는 박스(1-3)의 하측 표면과 수평으로 배열되도록 박스(1-3)의 구성 내에 제공된 하우징(11)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전개된 형상에서, 부유식 구조물의 덱크는 부유식 구조물의 덱크 위에 수용된 차량 및/또는 기기, 물품들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평면이다.
2축 힌지로 지칭되는 두 축을 가진 각각의 힌지(4-7)는 2개의 고정 부분(12, 13)들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고정 부분은 박스(1, 3)에 결부되거나 박스의 일체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힌지의 두 힌지 핀(14, 15) 중 하나를 지지한다. 상기 두 힌지는 힌지 핀(14, 15)들의 오프셋 배열을 제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링크(16, 17)들에 의해 연결된다.
접합부(abutment)(18)가 2개의 말단 위치(개방 또는 닫힌 위치) 중 한 위치에 도달될 때 힌지의 상대 운동을 제한한다. 이 두 위치들에서, 상기 힌지의 어떠한 요소도 컨테이너, 각각, 좌측에 보이는 보트(boat)의 면들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고정식 프레임 요소들은 그 외의 다른 외부 작동 없이도 컨테이너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힌지 핀(14, 15)과 동축인 액츄에이터, 가령, 회전식 액츄에이터, 기어-모터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액츄에이터를 원격 배열(site remotely)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동부(drive), 가령, 체인 또는 벨트 문제에도 동일한 문제일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는 부유식 구조물이 자체-추진될 수 있도록 추진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상기 추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제트 추진 유닛, 가령, 노즐에 의해 배출된 워터 제트(water jet)가 부유식 구조물을 추진시키고 여러 방향으로 조종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는 펌프 제트(pump je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이러한 추진 시스템은 프로펠러 또는 패들-휠 타입일 수도 있다.
상기 추진 시스템은 컨테이너의 중앙 박스(1) 내에 및/또는 단부 박스(2, 3) 내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진 시스템의 부속 기관(appendage)들은 ISO 컨테이너 하중 게이지(load gauge)와 일치할 뿐만 아니라 긴급 상황에서 부유식 구조물을 접을 수 있게 하도록 회전운동, 병진운동 또는 해체(demounting)에 의해 접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유식 구조물은 세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2중-단부) 두 방향으로 부유식 구조물의 세로축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 및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도시한 투시도로서, 상기 컨테이너는 전개된 형상에 있으며 보트(boat)를 형성한다. 도 6 및 8의 요소들은 도 1 내지 5의 요소들과 똑같은 도면부호들로 표시된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이후에서는 더 이상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보트는 부력(buoyancy)과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개된 상태로 도시된 확장성 푸딩 펜더(inflatable pudding fender)(19)를 포함한다. 이러한 확장성 푸딩 펜더(19)는 물이 새지 않고 견고한 플라스틱 재료, 가령, 고무로 제작된다.
대안으로, 반-원뿔 형태를 가질 수 있는 상기 확장성 요소(19)는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뒤, 각각의 확장성 요소(19)는 물이 새지 않는 재료, 가령,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또는 폴리우레탄계 재료 혹은, 심지어 가소성의 내화성 PVC계 재료로 코팅되는 단일 재료로 제작된 직물 구조(woven structure)이다.
상기 일체형 직물 구조는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위빙 공정(weaving process)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추가로, 기술적으로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특허출원 WO2009/095404호 및 WO2009/095415호를 참조할 수 있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이러한 직물 구조는 하나 이상의 비-결부 결합사(non-attached binding thread)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직조 벽(woven wall)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결합사의 2개의 연속적인 싱커(sinker)들 간의 길이 변화는 씨실(weft) 및/또는 날실(warp) 방향으로 상기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연속적이며, 상기 싱커는 각각 라이저(riser)에 상응한다.
상기 컨테이너의 단부 박스는 각각 도 8에서 볼 수 있는 철회식 휠(20, 21)을 포함한다.
단부 박스(3)와 중앙 박스(1)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으로 배열된 단부 박스(2)의 휠(20 쌍들은 이러한 휠(20)들이 철회될 수 없다 하더라도 긴급 상황에서 컨테이너를 접을 수 있게 할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단부 박스의 절두형 삼각형 형태로 인해 ISO 컨테이너 하중 게이지에 적합할 수 있게 하면서도 비-철회식 휠(20)이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공간이 유지된다.
여기서, 이러한 휠(20, 21)들은 조종할 수 있으며 제동 시스템이 장착된다.
대안으로, 상기 컨테이너는 철회식이던지 아니던지 간에 오직 2개의 휠만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휠들은 전동식이 아니다(not motorized). 트랙터(tractor) 또는 푸셔 차량(pusher vehicle)을 추가함으로써, 컨테이너는 단일-액슬 트레일러(single-axle trailer)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타입의 형상은 크래프트(craft)를 진수하도록(launch) (또는 물에서부터 크래프트를 제거하도록) 사용될 수 없거나 혹은 개방 영역 또는 보관 영역에서 크래프트를 조작하도록 사용될 수 없다.
도 7은 전개된 형상에 있는 6개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부유식 크래프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러한 컨테이너는 일체형 부유식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단순히, 그 외의 다른 부유식 구조물의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추가함으로써 대형 부유식 구조물이 얻어진다. 물론, 고정 요소(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일체형 부유식 구조물을 구성하기 위하여 이 모든 부유식 구조물들이 서로 고정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요소들은, 가령, 예를 들어, 마주보는 컨테이너를 보유하고 조작하며 고정하기 위해 피팅(fitting)들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로크(lock)이다. 대안으로, 이러한 고정 요소들은 볼트식 패스너(bolted fastening), 결합장치(attachment), 가령, 핀 또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연결부, 가령, 스트랩(strap), 고무 칼라(rubber collar), 브레이스(brace) 등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도 9와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9 및 10의 요소들은 도 1 내지 5에서부터의 요소들과 똑같은 도면부호들로 표시된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이후에는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도 9 및 10의 컨테이너는 단부 박스(2, 3)가 중앙 박스(1)의 폭, 또는 횡단방향 수치의 절반보다 더 큰 폭 또는 횡단방향 수치를 가진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5의 컨테이너와는 상이하다. 컨테이너의 전개된 형상에서, 부유식 구조물은 중앙 박스(1)의 폭방향에서 증가된 덱크 영역(deck area)을 가진다.
컨테이너의 단부 박스(2, 3)는 중앙 박스(1)의 가로 방향으로 전개되며(deployed laterally), 2축 힌지(4-7)는 중앙 박스(1)의 가로 에지(lateral edge) 위에 배열된다. 상기 2축 힌지(4-7)는 중앙 박스(1)의 가로 에지(22, 23) 내에 제공된 하우징(11) 내에 수용된다.
부유식 구조물에 컨테이너의 전개된 형상에 있는 평면 덱크(plane deck)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앙 박스(1)의 가로 에지(11) 중 하나는 중앙 박스(1)의 내부를 향해 경사지며 상기 가로 에지(22)에 대해 배열될 수 있도록 구성된 단부 박스(3)의 벽(24)은 두 경사진 벽(22, 24)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중앙 박스(1)에 대해 단부 박스(3)의 회전각도 값, 여기서는, 약 167°와 똑같도록 중앙 박스(1)의 경사진 가로 에지(22)에 대해 상호보완적인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
도 11과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11 및 12의 요소들은 도 1 내지 5에서부터의 요소들과 똑같은 도면부호들로 표시된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이후에는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도 11 및 12의 컨테이너는 단부 박스(2, 3) 중 하나가 박스의 용적 내에 통합되는(integrated) 램프(ramp(25, 26)들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5와는 상이하다. 여기서, 상기 램프(25, 26)들은 상응하는 단부 박스(3)의 하우징(27) 내에서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으로 수용되며 상기 램프(25, 26)들의 외측 표면은 컨테이너의 하중 게이지와 일치하도록 단부 박스(3)의 자유 벽(28)의 표면과 수평으로 배열된다.
상기 램프(25, 26)들은 샤프트(29) 주위로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램프들은 부유식 구조물의 덱크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컨테이너의 전개된 형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전개될 수 있다.
도 13 내지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컨테이너를 도시한다.
각각의 연장 유닛(30, 31)은 중앙 박스(32)의 수치와 동일한 수치들을 가진 단일의 단부 박스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박스(30-32)는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에서 서로 겹쳐져서 박스 스택(stack)을 형성한다.
더욱이, 이러한 박스(30-32)는 두 연속적인 박스가 상기 박스들의 똑같은 가로 에지 위에 장착된 2개 이상의 연결 암(connecting arm)(33-38)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 암(34, 37)들 중 하나는 3개의 박스(30-32)에 대해 공통이 되도록(common) 서로 관절 방식으로 연결된다.
두 연속적인 연결 암들은 상기 암들이 변형가능한 정상적인 평행사변형을 연결하는 2개의 연속적인 박스와 함께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박스들 중 한 박스가 상기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으로부터 스택 내에서 바로 밑에 있는 박스에 대해 이동됨으로써 상기 박스가 스택의 바로 밑에 있는 박스에 대해 원형 병진운동(circular translation)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스(30-32)들을 연결하는 연결 암(34, 37)들은 비-전개된 형상과 전개된 형상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박스들 중 모든 박스들이 일정하면서도 동시에 운동할 수 있게 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연결 암(33-38)들은, 컨테이너의 어떠한 구성 요소도 박스(30-32)의 자유 벽들에 의해 형성된 평행육면체(40)로부터 돌출되어 배열될 수 없게 하여 이에 따라 컨테이너가 보관 또는 수송을 위해 그 외의 다른 컨테이너 위에 적재되거나 및/또는 다른 컨테이너에 대해 배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 가로 하우징(39) 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 하우징(39)은 여기서는 박스(30-32)의 가로 에지들 내에 있는 리세스(recess)에 상응한다.
상기 연결 암(33-38)들은 박스(30-32) 위에 회전하여 이동될 수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박스의 상대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연결 암(33-38)들은 예컨대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들이 컨테이너의 전개된 형상으로 끝에서 끝까지(end-to-end) 배열될 때 또 다른 박스의 한 면과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박스(30-32)의 면 또는 면(41-43)들은 각각 컨테이너의 전개된 형상으로 협력하도록 하기 위한 면에 대해 상호보완적인 형태를 가진다. 그 결과,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된 2개의 연속적인 박스들의 면들은 제자리에 고정된다.

Claims (20)

  1. 컨테이너를 보유하고 조작하며 고정하는 피팅(fitting)(8)들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로서, 상기 피팅(8)들은 각각 상기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으로 컨테이너의 한 코너에 배열되는 컨테이너에 있어서,
    - 상기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에서, 상기 컨테이너는 세로방향 수치와 횡단방향 수치를 가진 중앙 박스(1)와 상기 중앙 박스(1)에 연결된 2개의 연장 유닛(2, 3)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 유닛(2, 3)과 중앙 박스(1)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은 물이 새지 않고;
    - 각각의 연장 유닛(2, 3)은 비-전개된 형상에서 상기 중앙 박스(1)의 세로방향 또는 황단방향 수치의 절반보다 더 큰 길이 또는 폭을 가지며;
    - 상기 연장 유닛(2, 3)은 연장 유닛(2, 3)과 중앙 박스(1)의 일부분이 상하로 위치되는 비-전개된 형상과 각각의 연장 유닛(2, 3)이 중앙 박스(1)의 세로방향 또는 횡단방향 연장부를 형성하는 전개된 형상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증가된 하중 영역을 가진 부유식 구조물을 형성하는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유닛(2, 3)은 비-전개된 형상으로 서로 접하여 배열된(placed one against the other) 단일 박스 또는 2개의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개된 형상에서,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hull)는 중앙 박스(1)의 세로방향 또는 횡단방향 수치의 2배보다 더 큰 세로방향 또는 횡단방향 수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장 유닛(2, 3)은 관절 방식으로 중앙 박스(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연장 유닛(2, 3)을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으로부터 전개된 형상으로 이동시키고 컨테이너의 전개된 형상으로부터 비-전개된 형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연장 유닛(2, 3)은 힌지(4-7), 및 심지어는 2축을 가진 힌지들에 의해 중앙 박스(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장 유닛(2, 3)은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에서 중앙 박스(1)와 함께 평행육면체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를 형성하는 자유 벽들을 구성하도록 협력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호보완적인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장 유닛(2, 3)은 삼각형 또는 절두형 삼각형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유식 구조물의 덱크(deck)는 평면 또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장 유닛(2, 3)은 단일 박스를 포함하며, 제 1 박스는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과 전개된 형상 사이에서 180°회전하는 반면, 다른 박스는 상기 두 형상 사이에서 180° 미만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장 유닛(2, 3)은 중앙 박스(1)와 동일한 수치들을 가진 세로방향 수치를 가진 단일의 연장 박스로 구성되는데, 상기 박스(1-3)는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에서 서로 겹쳐져서 박스 스택(stack)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2. 제11항에 있어서,
    - 상기 박스(1-3)는 두 연속적인 박스가 상기 박스들의 똑같은 가로 에지 위에 장착된 2개 이상의 연결 암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 암들 중 하나는 3개의 박스에 대해 공통이 되도록(common) 서로 관절 방식으로 연결되며,
    - 두 연속적인 연결 암들은 상기 암들이 변형가능한 정상적인 평행사변형을 연결하는 2개의 연속적인 박스와 함께 형성되며, 상기 박스들 중 한 박스가 상기 컨테이너의 비-전개된 형상으로부터 스택 내에서 바로 밑에 있는 박스에 대해 이동됨으로써 상기 박스가 스택의 바로 밑에 있는 박스에 대해 원형 병진운동(circular translation)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유닛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덱크의 세로방향 및/또는 횡단방향 수치를 증가시키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장 램프(25, 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이 자체-추진될 수 있도록 추진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유닛(2, 3)과 중앙 박스(1)는 하중(load)을 수용하도록 중공(hollo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를 보유하고 조작하며 고정하기 위한 피팅(8)들의 개수는 8개 이상이며, 상기 피팅(8)들은 비-전개된 형상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말단 코너에 배열되고, 상기 피팅(8)들은 상기 컨테이너를 보유하고 조작하며 고정하기 위해 표준 ISO 인프라스트럭쳐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컨테이너가 에지에서 에지까지 또는 끝에서 끝까지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상호연결 수단에 연결되어 일체형 수송 조립체를 형성하며, 상기 일체형 조립체를 보유하고 조작하며 고정하기 위한 피팅들이 상기 일체형 수송 조립체의 말단 코너들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독립적으로 확장할 수 있거나 혹은 그 외의 경우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부력이 증가될 수 있게 하는 요소(19)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철회식 또는 철회식이 아닌 휠(20, 21)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개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부유식 크래프트(floating craft)에 있어서,
    전개된 형상에서, 상기 컨테이너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 부유식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크래프트.
KR1020137023322A 2011-02-17 2012-02-09 컨버터블 컨테이너 KR201400475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51310 2011-02-17
FR1151310A FR2971776B1 (fr) 2011-02-17 2011-02-17 Conteneur transformable
PCT/EP2012/052237 WO2012110401A1 (fr) 2011-02-17 2012-02-09 Conteneur transform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584A true KR20140047584A (ko) 2014-04-22

Family

ID=4558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322A KR20140047584A (ko) 2011-02-17 2012-02-09 컨버터블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140042044A1 (ko)
EP (1) EP2675700A1 (ko)
JP (1) JP2014509979A (ko)
KR (1) KR20140047584A (ko)
CN (1) CN103380052A (ko)
AU (1) AU2012217255A1 (ko)
BR (1) BR112013021708A2 (ko)
CA (1) CA2826042A1 (ko)
EA (1) EA201300921A1 (ko)
FR (1) FR2971776B1 (ko)
IL (1) IL227968A0 (ko)
MA (1) MA34848B1 (ko)
MX (1) MX2013009491A (ko)
SG (1) SG192810A1 (ko)
TN (1) TN2013000344A1 (ko)
WO (1) WO2012110401A1 (ko)
ZA (1) ZA2013058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3155B (zh) * 2012-11-08 2016-04-27 大连中集物流装备有限公司 用于托盘箱的双轴铰接装置和具有双轴铰接装置的托盘箱
EP3075912A1 (en) 2015-03-31 2016-10-05 Peter Högl Road-bridge modul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CN106741736B (zh) * 2016-12-01 2019-04-26 深圳市易特科信息技术有限公司 可扩展救生船
CN206265268U (zh) * 2016-12-07 2017-06-20 深圳市易特科信息技术有限公司 便携式水上急救装置
WO2018225135A1 (ja) * 2017-06-05 2018-12-13 中国電力株式会社 浮桟橋式の網場
CN107323629A (zh) * 2017-07-20 2017-11-07 青岛迪玛尔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光伏变压器水上平台
CN108528651B (zh) * 2018-03-28 2020-05-01 合肥凯石投资咨询有限公司 飞行器电磁跑道
CN108532443A (zh) * 2018-06-08 2018-09-14 中国船舶重工集团应急预警与救援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钢外板和钢质结构复合的带式浮桥箱体
CN111535150B (zh) * 2020-05-08 2021-08-17 武汉理工大学 刚柔组合折叠浮桥
NL2027267B1 (nl) * 2021-01-05 2022-07-22 R Kloosterman Holding B V Drijvende inrichting, werkwijze voor het assembleren van een drijvende inrichting, en gebruik van een drijvende inrichting.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3310A (en) * 1959-01-20 1960-12-06 Strick Trailers Vertical container couplers
DE1929246A1 (de) * 1969-06-10 1971-01-07 Kloeckner Humboldt Deutz Ag Amphibisches Bruecken- und UEbersetzfahrzeug
DE2453925A1 (de) * 1974-11-14 1976-05-20 Magirus Deutz Ag Selbstfahrendes uebersetz- und schwimmbrueckengeraet
DE2709948C3 (de) * 1977-03-08 1980-09-18 Maschinenfabrik Buckau R. Wolf Ag, 4048 Grevenbroich Amphibisches Frachttransportfahrzeug
DE3013779C2 (de) * 1980-04-10 1982-04-08 Salzgitter Ag, 1000 Berlin Und 3320 Salzgitter Schwenkvorrichtung für klappbare Pontonabschnitte
DE3204473A1 (de) * 1982-02-09 1983-08-18 Magirus-Deutz Ag, 7900 Ulm Amphibisches bruecken- und uebersetzfahrzeug
US4809636A (en) * 1984-08-17 1989-03-07 Robishaw Engineering, Inc. Construction transportation assembly
DE29516480U1 (de) * 1995-10-18 1995-12-07 Goeppner Kaiserslautern Eisen Ponton für militärische Faltschwimmbrücken und Übersetzfähren
DE19746293A1 (de) * 1997-10-20 1999-04-22 Krupp Foerdertechnik Gmbh Schwimmbrücke oder Fähre
DE29921680U1 (de) * 1999-12-09 2000-04-13 Ghering Jan Dreiteilige mobile und schwimmfähige Einheit
ATE311301T1 (de) * 2002-01-30 2005-12-15 Gen Dynamics Santa Barbara Sis Amphibisches brücken- und übersetzfahrzeug
NZ517723A (en) * 2002-03-08 2004-02-27 Michael James Carter Foldable craft
FR2889213B1 (fr) * 2005-07-27 2007-09-07 Mediterranee Const Ind Systeme de transport d'une travure par un vehicule routier pouvant etre transforme en vehicule amphibie pour permettre a tout vehicule routier de franchir une breche seche ou remplie d'eau
US7354231B2 (en) * 2005-12-23 2008-04-08 Steve German Intermodel truck
FR2901817B1 (fr) * 2006-05-31 2015-03-27 Deschamps A & Fils Ets Pont temporaire
US7320289B1 (en) * 2006-08-17 2008-01-22 Clarke Robert A Autonomous swimming cargo containers
US8382539B2 (en) * 2007-02-27 2013-02-26 Constructions Industrielles De La Mediterranee-Cnim Amphibious vehicle for bridging a water-filled opening
GB2451237A (en) * 2007-07-23 2009-01-28 Mark Walters A foldable boat hull structure
FR2926822B1 (fr) 2008-01-29 2010-05-28 Deschamps A & Fils Ets Procede de tissage et metier a tisser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FR2926821B1 (fr) 2008-01-29 2010-04-02 Deschamps A & Fils Ets Structure tissee et panneau ou recipient comportant une telle structure
NL2001572C2 (nl) * 2008-05-13 2009-11-16 Mammoet Europ B V Ponton.
CN201649924U (zh) * 2010-03-05 2010-11-24 南通中集特种运输设备制造有限公司 折叠铰链及设置有其的集装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5700A1 (fr) 2013-12-25
JP2014509979A (ja) 2014-04-24
SG192810A1 (en) 2013-09-30
MX2013009491A (es) 2013-11-20
MA34848B1 (fr) 2014-01-02
US20140042044A1 (en) 2014-02-13
BR112013021708A2 (pt) 2016-11-01
TN2013000344A1 (fr) 2015-01-20
CA2826042A1 (fr) 2012-08-23
ZA201305857B (en) 2015-03-25
FR2971776A1 (fr) 2012-08-24
IL227968A0 (en) 2013-09-30
AU2012217255A1 (en) 2013-09-12
WO2012110401A1 (fr) 2012-08-23
CN103380052A (zh) 2013-10-30
EA201300921A1 (ru) 2014-01-30
FR2971776B1 (fr)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7584A (ko) 컨버터블 컨테이너
CN102464213B (zh) 用于船舶的系泊系统以及包括该系泊系统的浮体和岸壁
US3903825A (en) Transport system
CN103874594A (zh) 具有舷梯和可重新构造的上层结构的船舶或两栖船舶
ES2263433T3 (es) Tren de barcazas de alta mar.
US20140021075A1 (en) Convertible container
US20160176254A1 (en) Modularized containerized amphibious vehicle transport
EP2452869B1 (en) Unmanned underwater vehicle
US7021228B2 (en) Road towed ferry
US9777446B2 (en) Device to transfer personnel and materials to and from a land site and use thereof
KR101904618B1 (ko)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US20150059104A1 (en) Module for making ambidromic crossover equipment (fam)
US20100068008A1 (en) Mobile Harbor
NZ614046B2 (en) Convertible container
US6334401B1 (en) Floating structure for the transfer of cargo
KR200393946Y1 (ko) 선박의 전복방지장치
RU2296079C1 (ru) Десантный танковый паром
OA16535A (en) Conteneur transformable.
RU2021944C1 (ru) Причал
CN117127482A (zh) 移动式机械化车载门桥
TW201348553A (zh) 用於建構兩頭裝載裝置橫越系統(maf)的模組
WO2004063005A1 (en) Road towed fer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