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523A - 쌍방향 dc/dc 컨버터 - Google Patents

쌍방향 dc/dc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523A
KR20140047523A KR1020130100466A KR20130100466A KR20140047523A KR 20140047523 A KR20140047523 A KR 20140047523A KR 1020130100466 A KR1020130100466 A KR 1020130100466A KR 20130100466 A KR20130100466 A KR 20130100466A KR 20140047523 A KR20140047523 A KR 20140047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ircuit
frequency
voltage source
bridg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오 마츠바라
유키히로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7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84Bidirection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 H02M3/33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02M1/0054Transistor switching losses
    • H02M1/0058Transistor switching losses by employing soft switching techniques, i.e. commutation of transistors when applied voltage is zero or when current flow is zer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15Resonant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직류 전압원(1, 2)에 접속된 브릿지 회로(18, 19)와, 그 교류측을 절연하는 절연 트랜스(17)와, 브릿지 회로(18, 19)의 교류측과 절연 트랜스(17) 사이의 LC 공진 회로와, 직류 전압원(1, 2)의 전압,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20, 21)와, 반도체 스위치 소자(5∼12)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22, 23)를 구비한다. 제어 회로(22, 23)는, LC 공진 주파수 fr 부근에서 고정 주파수 제어하는 제어 수단(22a, 23a)과, fr보다 낮은 주파수로 주파수 변조 제어하는 제어 수단(22b, 23b)을 각각 갖는다. 제어 회로(22)는 직류 전압원 1→2의 파워 플로우에서는 제어량(22c)에 기초하여 고정 주파수 제어와 주파수 변조 제어를 전환하고, 제어 회로(23)는 직류 전압원 2→1의 파워 플로우에서는 제어량(23c)에 기초하여 고정 주파수 제어와 주파수 변조 제어를 전환한다. 이에 따라, 입출력 전압 범위가 넓은 용도에도 적용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쌍방향 DC/DC 컨버터{BI-DIRECTIONAL DC/DC CONVERTER}
본 발명은, 특히 입출력 전압 범위가 넓은 용도, 예컨대 배터리의 충전기에 적용되는 절연형 및 공진형 쌍방향 DC/DC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절연형 쌍방향 DC/DC 컨버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 도면부호 1은 제1 직류 전압원(그 전압값을 V1로 함), 2는 제2 직류 전압원(마찬가지로 V2로 함), 3, 4는 평활용 콘덴서, 17은 절연 트랜스, 18은 제1 브릿지 회로, 19는 제2 브릿지 회로, 24는 평활용 리액터이다. 또한, 절연 트랜스(17)의 1차, 2차 권선을 N1, N2로 하고, 각각의 권수(卷數)도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제1 브릿지 회로(18)는, 파워 플로우가 직류 전압원(1)→직류 전압원(2)일 때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파워 플로우가 직류 전압원(2)→직류 전압원(1)일 때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제2 브릿지 회로(19)는, 파워 플로우가 직류 전압원(1)→직류 전압원(2)일 때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파워 플로우가 직류 전압원(2)→직류 전압원(1)일 때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제2 브릿지 회로(18, 19)를 구성하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에는, 예컨대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접속된 IGBT나 MOSFET 등의 역방향 도통형의 소자가 사용된다.
이 종류의 쌍방향 DC/DC 컨버터와 동등한 종래 기술은,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4에서, 제1, 제2 브릿지 회로(18, 19)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과,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각각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파워 플로우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전용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회로의 간략화 및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쌍방향 DC/DC 컨버터는 펄스폭 변조(PWM) 제어에 의한 하드 스위칭을 수행한다. 이 때문에, 예컨대 파워 플로우가 직류 전압원(1)→직류 전압원(2)인 경우, 정류 동작하고 있는 제2 브릿지 회로(19)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가 오프(다이오드가 역회복)일 때,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양단에는 직류 전압원(2)의 전압 V2을 넘는 서지 전압(V2+ΔV)이 인가된다. 이 때문에, 제2 브릿지 회로(19)를 구성하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에는, 일반적으로 발생 손실이 큰 고내압의 소자가 필요하게 되어, 장치 효율이 낮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파워 플로우가 직류 전압원(2)→직류 전압원(1)인 경우의 제1 브릿지 회로(18)에서도 마찬가지로 생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종래 기술로서, LC 공진 회로의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펄스 주파수 변조(PFM) 제어하는 공진형 쌍방향 DC/DC 컨버터가 알려져 있고, 이 종류의 종래 기술은, 예컨대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도 5는 종래의 공진형 쌍방향 DC/DC 컨버터의 메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5에서, 도 4에 기재한 회로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우선, 도 5에서, 도면부호 13, 14는 공진용 리액터, 15, 16은 공진용 콘덴서이다. 또, 제1 브릿지 회로(18)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접속된 반도체 스위치 소자로서의 IGBT(5∼8)에 의해 구성되고, 마찬가지로, 제2 브릿지 회로(19)는 IGBT(9∼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G1∼G8은 IGBT(5∼12)의 게이트(게이트 신호도 동일한 부호로 함)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IGBT(5∼12)의 게이트 신호(G1∼G8)를 생성하는 제어 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6은 IGBT(5∼8)의 게이트 신호(G1∼G4)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며, 직류 전압원(2)의 전압 V2 및 전류 I2를 검출하는 제2 검출 회로(21)와, 이 검출 회로(21)에 의한 검출값을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G1∼G4)를 생성하는 제1 제어 회로(25)를 구비한다. 또, 도 7은 IGBT(9∼12)의 게이트 신호(G5∼G8)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며, 직류 전압원(1)의 전압 V1 및 전류 I1을 검출하는 제1 검출 회로(20)와, 이 검출 회로(20)에 의한 검출값을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G5∼G8)를 생성하는 제2 제어 회로(26)를 구비한다.
모든 게이트 신호(G1∼G8)는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 구동 회로를 통해 IGBT(5∼12)에 부여된다.
도 5에서, 파워 플로우가 직류 전압원(1)→직류 전압원(2)일 때에는, 정류 동작하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9∼12)의 다이오드가 역회복할 때 인가되는 전압이 직류 전압원(2)의 전압 V2에 클램프된다. 또, 파워 플로우가 직류 전압원(2)→직류 전압원(1)일 때에는, 정류 동작하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5∼8)의 다이오드가 역회복할 때 인가되는 전압이 직류 전압원(1)의 전압 V1에 클램프된다.
이 때문에, 반도체 스위치 소자(5∼12)로서, 일반적으로 발생 손실이 작은 저내압 소자를 사용할 수 있어, 도 4에 나타낸 쌍방향 DC/DC 컨버터보다 높은 장치 효율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변조 제어되는 공진형 쌍방향 DC/DC 컨버터를 이용하면, 장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특허문헌 3에 지적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하의 대소에 따라 스위칭 주파수에 대한 출력 전압의 특성이 변화해 버리고, 특히 경부하나 무부하의 경우에는, 스위칭 주파수를 무한히 증가시키더라도 출력 전압을 일정값 이하로 할 수 없기 때문에, 배터리의 충전기와 같이 입출력 전압 범위가 넓은 용도에 적용하는 것은 어려웠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037226호 공보(단락 [0016]∼[0041], 도 2 등)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20370호 공보(단락 [0010]∼[0044], 도 1, 도 2 등)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62569호 공보(단락 [0002], [0003])
전술한 특허문헌 3에 지적되어 있는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5에 나타낸 공진형 쌍방향 DC/DC 컨버터의 장치 사양으로서, 예컨대 제1 직류 전압원(1)의 전압이 V1이고, 제2 직류 전압원(2)의 전압을 V2 ( min )∼V2 ( max )의 범위에서 제어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파워 플로우가 직류 전압원(1)→직류 전압원(2)의 동작을 기준으로 하여 장치를 설계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진형 쌍방향 DC/DC 컨버터에서는, 경부하시 또는 무부하시에 출력 전압을 일정값 이하로 할 수 없기 때문에, 절연 트랜스(17)의 권수비(a)는 a=N1/N2=V1/V2 ( min )이 된다.
그 결과, 파워 플로우가 직류 전압원(1)→직류 전압원(2)인 경우, 제2 브릿지 회로(19)로부터의 최소 출력 전압은 V2 ( min )=(1/a)×V1[그 때의 IGBT(5∼8)의 스위칭 주파수는 공진용 리액터(13) 및 공진용 콘덴서(15)를 포함하는 LC 회로의 공진 주파수 fr로 설정됨], 최대 출력 전압은 V2 ( max )=(1/a)×V1×α(α: 스위칭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 fr 이하로 했을 때의 전압 변환 게인)이 되어, V2 ( min )∼V2 ( max )의 범위의 전압이 출력된다.
다음으로, 파워 플로우가 직류 전압원(2)→직류 전압원(1)인 경우, 제2 브릿지 회로(19)에의 입력 전압이 최소 입력 전압 V2 ( min )일 때에는, V1=a×V2 ( min )이 되고, IGBT(9∼12)의 스위칭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 fr로 설정함으로써, 전압 V1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브릿지 회로(19)에의 입력 전압이 최대 입력 전압 V2 ( max )일 때에는, V1<a×V2( max )이 되므로, 스위칭 주파수를 fr보다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진형 쌍방향 DC/DC 컨버터에서는 스위칭 주파수를 무한히 증가시키더라도 출력 전압을 일정값 이하로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경부하 또는 무부하시에는, 원하는 출력 전압 V1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즉, 펄스 주파수 변조 제어를 이용한 공진형 쌍방향 DC/DC 컨버터는, 입출력 전압 범위가 넓은 장치에 대한 적용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입출력 전압 범위가 넓은 용도에도 적용 가능한 공진형 쌍방향 DC/DC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쌍방향 DC/DC 컨버터는, 청구항 1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제1 직류 전압원에 접속된 제1 브릿지 회로와, 제2 직류 전압원에 접속된 제2 브릿지 회로와, 제1 브릿지 회로의 교류측과 제2 브릿지 회로의 교류측 사이에 LC 공진 회로를 통해 접속된 절연 트랜스와, 제1 직류 전압원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제1 검출 회로와, 제2 직류 전압원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제2 검출 회로와, 제1 브릿지 회로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는 제1 제어 회로와, 제2 브릿지 회로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는 제2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제1,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LC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 부근에서 제1, 제2 브릿지 회로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고정 주파수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공진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 제1, 제2 브릿지 회로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주파수 변조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제1 제어 회로는, 제1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제2 직류 전압원에 전력을 공급할 때, 제2 검출 회로의 검출값에 따라 결정되는 제어량에 기초하여, 제1 브릿지 회로에 대한 고정 주파수 제어와 주파수 변조 제어를 제1 전환 수단에 의해 전환하고, 제2 제어 회로는, 제2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제1 직류 전압원에 전력을 공급할 때, 제1 검출 회로의 검출값에 따라 결정되는 제어량에 기초하여, 제2 브릿지 회로에 대한 고정 주파수 제어와 주파수 변조 제어를 제2 전환 수단에 의해 전환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제1 제어 회로는, 제2 직류 전압원의 전압을 제1 브릿지 회로의 고정 주파수 제어 영역에서 출력 가능한 최대 전압 이상의 값으로 제어하는 경우에, 제1 전환 수단을 조작하여, 제1 브릿지 회로의 제어를 고정 주파수 제어로부터 주파수 변조 제어로 전환한다.
청구항 3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제2 제어 회로는, 제1 직류 전압원의 전압을 제2 브릿지 회로의 주파수 변조 제어 영역에서 출력 가능한 최소 전압을 하회하는 값으로 제어하는 경우에, 제2 전환 수단을 조작하여, 제2 브릿지 회로의 제어를 주파수 변조 제어로부터 고정 주파수 제어로 전환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주파수 제어로는,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각 브릿지 회로를 펄스폭 변조 제어 또는 위상 변조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직류 전압원과 제2 직류 전압원 사이에서 직류 전압을 쌍방향으로 변환할 때 출력 가능한 전압 범위를 확대할 수 있어, 예컨대 배터리의 충전기로서 적합한 쌍방향 DC/DC 컨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쌍방향 DC/DC 컨버터의 메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제1 브릿지 회로에 대한 게이트 신호를 작성하기 위한 제어 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제2 브릿지 회로에 대한 게이트 신호를 작성하기 위한 제어 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쌍방향 DC/DC 컨버터의 메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5는 종래의 공진형 쌍방향 DC/DC 컨버터의 메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제1 브릿지 회로에 대한 게이트 신호를 작성하기 위한 제어 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의 제2 브릿지 회로에 대한 게이트 신호를 작성하기 위한 제어 수단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진형 쌍방향 DC/DC 컨버터의 메인 회로 구성도이다. 이 메인 회로는 도 5와 동일하지만, 회로 구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다시 설명한다.
도 1에서, 제1 직류 전압원(1)(그 전압값을 V1로 함)과 평활용 콘덴서(3)의 병렬 접속 회로의 양단에는, 제1 브릿지 회로(18)의 한 쌍의 직류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1 브릿지 회로(18)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접속된 IGBT(5∼8)에 의해 구성되고, 한 쌍의 교류 단자의 사이에는, 공진용 리액터(13)와 절연 트랜스(17)의 한쪽 권선(N1)과 공진용 콘덴서(15)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절연 트랜스(17)의 다른쪽 권선(N2)의 일단은 공진용 리액터(14)를 통해 제2 브릿지 회로(19)의 한쪽 교류 단자에 접속되고, 권선(N2)의 타단은 공진용 콘덴서(16)를 통해 제2 브릿지 회로(19)의 다른쪽 교류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브릿지 회로(19)는 제1 브릿지 회로(18)와 마찬가지로,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접속된 IGBT(9∼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브릿지 회로(19)의 한 쌍의 직류 단자의 사이에는, 제2 직류 전압원(2)(그 전압값을 V2로 함)과 평활용 콘덴서(4)의 병렬 접속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공진용 리액터(13, 14)의 인덕턴스값은 같고, 공진용 콘덴서(15, 16)의 용량값도 같은 것으로 하고, 이하에서는, 공진용 리액터(13) 및 공진용 콘덴서(15)[공진용 리액터(14) 및 공진용 콘덴서(16)]를 포함하는 LC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fr로 한다.
다음으로, 도 2는 IGBT(5∼8)의 게이트 신호(G1∼G4)를 생성하는 제어 수단의 구성도이고, 도 3은 IGBT(9∼12)의 게이트 신호(G5∼G8)를 생성하는 제어 수단의 구성도이다.
우선, 도 2에 나타내는 제어 수단은, 직류 전압원(2)의 전압 V2 및 전류 I2를 검출하는 제2 검출 회로(21)와, 이 제2 검출 회로(21)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IGBT(5∼8)의 게이트 신호(G1∼G4)를 생성하는 제1 제어 회로(22)를 구비한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제어 수단은, 직류 전압원(1)의 전압 V1 및 전류 I1을 검출하는 제1 검출 회로(20)와, 이 제1 검출 회로(20)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IGBT(9∼12)의 게이트 신호(G5∼G8)를 생성하는 제2 제어 회로(23)를 구비한다.
모든 게이트 신호(G1∼G8)는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 구동 회로를 통해 IGBT(5∼12)에 부여된다.
여기서, 제1 제어 회로(22)는 공진 주파수 fr 부근의 고정 주파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고정 주파수 제어 수단(22a)과, 공진 주파수 fr보다 낮은 주파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변조(펄스 주파수 변조) 제어 수단(22b)을 구비한다. 또한, 고정 주파수 제어 수단(22a)에 의한 제어에는, 예컨대 펄스폭 변조(PWM) 제어나 위상 변조 제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검출 회로(21)에 의한 전압 V2, 전류 I2의 검출값에 따라 결정되는 제어량(22c)에 기초하여, 전압 V2의 크기에 따라서 전환 수단(22d)을 조작함으로써, 고정 주파수 제어 수단(22a) 또는 주파수 변조 제어 수단(22b)을 선택하여 IGBT(5∼8)에 대한 게이트 신호(G1∼G4)를 생성한다.
동일하게 하여, 제2 제어 회로(23)는, 공진 주파수 fr 부근의 고정 주파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고정 주파수 제어 수단(23a)과, 공진 주파수 fr보다 낮은 주파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변조(펄스 주파수 변조) 제어 수단(23b)을 구비하고, 제1 검출 회로(20)에 의한 전압 V1, 전류 I1의 검출값에 따라 결정되는 제어량(23c)에 기초하여, 전압 V2의 크기에 따라서 전환 수단(23b)을 조작함으로써, 고정 주파수 제어 수단(23a) 또는 주파수 변조 제어 수단(23b)을 선택하여 IGBT(9∼12)에 대한 게이트 신호(G5∼G8)를 생성한다. 상기 고정 주파수 제어 수단(23a)도 펄스폭 변조 제어나 위상 변조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도 2의 제어량(22c)은 전압 V2 및 전류 I2의 검출값을 각각의 지령값에 일치시키기 위한 제어량이고, 도 3의 제어량(23c)은 전압 V1 및 전류 I1의 검출값을 각각의 지령값에 일치시키기 위한 제어량이다.
장치 사양으로서,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제1 직류 전압원(1)의 전압이 V1일 때 제2 직류 전압원(2)의 전압을 V2 ( min )∼V2 ( max )의 범위에서 제어하는 것으로 하고, 파워 플로우가 직류 전압원(1)→직류 전압원(2)인 동작을 기준으로 설계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도 2에서의 고정 주파수 제어 수단(22a)과 주파수 변조 제어 수단(22b)을 전환 수단(22d)에 의해 전환할 때의 전압 V2의 크기를, V2 ( min )∼V2 ( max )의 중간값 V2( mid )로 설정한다. 즉, V2 ( mid )를 기준으로 하여 전압 V2가 V2 ( mid ) 미만이면 고정 주파수 제어 수단(22a)을 선택하고, V2( mid ) 이상이면 주파수 변조 제어 수단(22b)을 선택하는 것이며, 바꿔 말하면, 주파수 변조 제어 수단(22b)의 동작시의 최저 출력 전압을 V2 ( mid )로 한다. 또한, 절연 트랜스(17)의 권수비(a)를 a=N1/N2=V1/V2 ( mid )로 한다.
이에 따라, 부하의 대소에 상관없이, 고정 주파수 제어 수단(22a)과 주파수 변조 제어 수단(22b)이 전환될 때의 전압 V2( mid ) 및 주파수가 고정되고, 고정 주파수 제어시의 스위칭 주파수는 항상 공진 주파수 fr가 되고, 주파수 변조 제어시의 스위칭 주파수는 공진 주파수 fr보다 낮은 값으로 제어되게 된다.
즉, 파워 플로우가 직류 전압원(1)→직류 전압원(2)인 경우, 제1 제어 회로(22)는 제어량(22c)에 따라서, 제2 직류 전압원(2)의 전압을 V2 ( mid ) 미만의 값으로 제어할 때에는, 제1 브릿지 회로(18)를 고정 주파수 제어로 전환하고, 제2 직류 전압원(2)의 전압을 V2 ( mid ) 이상의 전압으로 제어할 때에는, 제1 브릿지 회로(18)를 주파수 변조 제어(스위칭 주파수<fr)로 전환하도록, 전환 수단(22d)을 조작한다.
이에 따라, 제1 직류 전압원(1)의 전압이 V1일 때, 제2 직류 전압원(2)의 전압 V2를 V2 ( min )∼V2 ( max )의 범위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또, 파워 플로우가 직류 전압원(2)→직류 전압원(1)인 경우, 제2 제어 회로(23)는 제어량(23c)에 따라서, 제2 직류 전압원(2)의 전압 V2가 V2 ( mid ) 미만일 때에는, 제2 브릿지 회로(19)를 주파수 변조 제어(스위칭 주파수<fr)로 전환하여 제1 직류 전압원(1)의 전압을 V1로 제어하고, 또, 제2 직류 전압원(2)의 전압 V2가 V2 ( mid ) 이상이며, 목적으로 하는 전압 V1이 주파수 변조 제어에 의해 출력 가능한 전압을 하회할 때에는, 제2 브릿지 회로(19)를 고정 주파수 제어(스위칭 주파수=fr)로 전환하여 제1 직류 전압원(1)의 전압을 V1로 제어하도록, 전환 수단(23d)을 조작한다.
이에 따라, 제2 브릿지 회로(19)의 전압이 V2 ( min )∼V2 ( max )의 범위에 있을 때, 제1 직류 전압원(1)의 전압을 V1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파워 플로우가 직류 전압원(1)→직류 전압원(2), 직류 전압원(2)→직류 전압원(1)이 되는 어느 동작에서도, 브릿지 회로의 제어 방식으로서 고정 주파수 제어와 주파수 변조 제어를 전환함으로써, 제1 직류 전압원(1)의 전압을 V1로 하고, 제2 직류 전압원(2)의 전압을 V2 ( min )∼V2 ( max )로 하는 입출력 전압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 브릿지 회로(18, 19)를 구성하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로서 IGBT를 이용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반도체 스위치 소자로서 MOSFET를 이용한 경우라도 물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2 : 직류 전압원 3, 4 : 평활용 콘덴서
5∼12 : 반도체 스위치 13, 14 : 공진용 리액터
15, 16 : 공진용 콘덴서 17 : 절연 트랜스
18, 19 : 브릿지 회로 20, 21 : 검출 회로
22, 23 : 제어 회로 22a, 23a : 고정 주파수 제어 수단
22b, 23b : 주파수 변조 제어 수단 22c, 23c : 제어량
22d, 23d : 전환 수단

Claims (5)

  1. 절연 트랜스를 통해 제1 직류 전압원과 제2 직류 전압원 사이에서 서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쌍방향 DC/DC 컨버터에 있어서,
    제1 직류 전압원에 접속된 복수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제1 브릿지 회로와, 제2 직류 전압원에 접속된 복수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제2 브릿지 회로와, 제1 브릿지 회로의 교류측과 제2 브릿지 회로의 교류측 사이에 접속된 상기 절연 트랜스와, 제1, 제2 브릿지 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 회로의 교류측과 상기 절연 트랜스의 사이에 접속된 리액터 및 콘덴서를 포함하는 LC 공진 회로와, 제1 직류 전압원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제1 검출 회로와, 제2 직류 전압원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제2 검출 회로와, 제1 브릿지 회로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는 제1 제어 회로와, 제2 브릿지 회로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는 제2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제1 제어 회로는, 상기 LC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 부근에서 제1 브릿지 회로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고정 주파수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공진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 제1 브릿지 회로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주파수 변조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LC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 부근에서 제2 브릿지 회로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고정 주파수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공진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 제2 브릿지 회로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주파수 변조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제1 제어 회로는, 제1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제2 직류 전압원에 전력을 공급할 때, 제2 검출 회로의 검출값에 따라 결정되는 제어량에 기초하여, 제1 브릿지 회로에 대한 고정 주파수 제어와 주파수 변조 제어를 전환하는 제1 전환 수단을 가지며,
    제2 제어 회로는, 제2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제1 직류 전압원에 전력을 공급할 때, 제1 검출 회로의 검출값에 따라 결정되는 제어량에 기초하여, 제2 브릿지 회로에 대한 고정 주파수 제어와 주파수 변조 제어를 전환하는 제2 전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DC/DC 컨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어 회로는, 제2 직류 전압원의 전압을 제1 브릿지 회로의 고정 주파수 제어 영역에서 출력 가능한 최대 전압 이상의 값으로 제어하는 경우에, 제1 전환 수단을 조작하여, 제1 브릿지 회로의 제어를 고정 주파수 제어로부터 주파수 변조 제어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DC/DC 컨버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제어 회로는, 제1 직류 전압원의 전압을 제2 브릿지 회로의 주파수 변조 제어 영역에서 출력 가능한 최소 전압을 하회하는 값으로 제어하는 경우에, 제2 전환 수단을 조작하여, 제2 브릿지 회로의 제어를 주파수 변조 제어로부터 고정 주파수 제어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DC/DC 컨버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주파수 제어로서,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펄스폭 변조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DC/DC 컨버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주파수 제어로서,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위상 변조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DC/DC 컨버터.
KR1020130100466A 2012-10-12 2013-08-23 쌍방향 dc/dc 컨버터 KR201400475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6966 2012-10-12
JP2012226966A JP5995139B2 (ja) 2012-10-12 2012-10-12 双方向dc/dcコンバー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523A true KR20140047523A (ko) 2014-04-22

Family

ID=4899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466A KR20140047523A (ko) 2012-10-12 2013-08-23 쌍방향 dc/dc 컨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97135B2 (ko)
EP (1) EP2720365B1 (ko)
JP (1) JP5995139B2 (ko)
KR (1) KR20140047523A (ko)
CN (1) CN1037310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7919B2 (en) 2015-05-29 2017-12-05 Lsis Co., Ltd. Electric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3536B2 (en) 2012-05-15 2018-02-13 Delta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CN105099132B (zh) * 2014-04-30 2018-08-31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US9859803B2 (en) * 2013-04-23 2018-01-02 Analog Devices Global Transformer-based isolated bi-directional DC-DC power converter, and method and controller for using same
KR102181971B1 (ko) * 2013-07-11 2020-11-24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양방향 dc/dc 컨버터
FR3014262A1 (fr) * 2013-12-03 2015-06-05 Renault Sa Procede et systeme de commande d'un chargeur bidirectionnel pour vehicule automobile.
JP6010570B2 (ja) * 2014-02-26 2016-10-19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電力変換回路システム
KR101628133B1 (ko) * 2014-07-04 2016-06-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펄스폭 변조 공진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충전기
US9627979B2 (en) * 2014-10-03 2017-04-18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Dual mode DC-DC converter
JP6207774B2 (ja) * 2015-02-02 2017-10-04 三菱電機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JP6207775B2 (ja) * 2015-02-02 2017-10-04 三菱電機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JP6367738B2 (ja) * 2015-02-27 2018-08-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装置
CN104868776B (zh) * 2015-05-12 2016-10-12 江苏固德威电源科技股份有限公司 应用于储能逆变器的双向控制驱动电路
KR102421163B1 (ko) * 2015-05-19 2022-07-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양방향 직류-직류 컨버터
EP3200331B1 (en) * 2016-01-27 2019-11-20 GE Energy Power Conversion Technology Ltd Method to protect a power converter arrangement and power converter arrangement with a protective device
CN105634264B (zh) * 2016-01-28 2018-01-09 广东工业大学 一种双向dc/dc变流器的负载全范围软开关控制方法
CN109075713B (zh) 2016-03-15 2020-11-06 Abb瑞士股份有限公司 双向dc-dc变流器及其控制方法
WO2017163508A1 (ja) * 2016-03-22 2017-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CN106452136B (zh) * 2016-06-20 2019-04-02 清华大学 一种用于能源互联网的多端口电力电子变换器
WO2018016106A1 (ja) * 2016-07-19 2018-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CN106026645B (zh) * 2016-07-20 2018-08-14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双向谐振变换器及其控制方法
JP6848255B2 (ja) * 2016-08-10 2021-03-24 Tdk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TWI603572B (zh) * 2016-10-19 2017-10-21 Fu-Tzu Hsu Resonance damper
US11063520B2 (en) * 2016-12-16 2021-07-1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implified hybrid PWM/PFM control method for SLLC converter
EP3577753A1 (en) 2017-01-31 2019-12-11 Vestas Wind Systems A/S Dc-dc converter and dc-dc conversion method
WO2018141092A1 (en) * 2017-02-04 2018-08-09 Abb Schweiz Ag Dc-dc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JP2019022357A (ja) * 2017-07-19 2019-02-07 矢崎総業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JP6883489B2 (ja) * 2017-08-22 2021-06-09 ダイヤモンド電機株式会社 コンバータ
JP7075199B2 (ja) 2017-11-17 2022-05-25 株式会社Soken 電力変換装置の制御装置
CN108306512A (zh) * 2018-02-01 2018-07-20 深圳市矗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新颖的软开关双向dc-dc变换器
JP6993905B2 (ja) * 2018-03-06 2022-01-14 株式会社Soken Dc・dcコンバータの制御装置
CN110417266A (zh) * 2018-04-26 2019-11-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Dcdc变换器、车载充电机和电动车辆
CN110417267A (zh) * 2018-04-26 2019-11-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Dcdc变换器、车载充电机和电动车辆
CN109149942B (zh) * 2018-08-06 2020-10-27 西安理工大学 一种用于高频谐振型直流变压器的多频率段控制方法
JP6648238B1 (ja) * 2018-10-26 2020-02-14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Dc/dcコンバータ
US11183938B2 (en) 2018-11-14 2021-11-23 Toshiba International Corporation Hybrid PV inverter with SCIB battery integration
JP7126701B2 (ja) * 2018-11-26 2022-08-29 株式会社ベルニクス プッシュプル電圧共振型コンバータ回路
US10404182B1 (en) * 2018-11-30 2019-09-03 Infineon Technologies Americas Corp. Bi-directional resonant power converter with two tank circuits on one side of a transformer
CN110269634B (zh) * 2019-06-20 2023-09-12 上海联影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隔离变换器、x射线产生设备及医学成像系统
JP7491080B2 (ja) * 2020-06-22 2024-05-28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US11404966B2 (en) * 2020-07-02 2022-08-02 Delta Electronics, Inc. Isolated multi-phase DC/DC converter with reduced quantity of blocking capacitors
CN112653332B (zh) * 2020-12-08 2022-05-24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dc/dc变换系统的控制方法、装置及控制器
CN114301297A (zh) * 2021-06-23 2022-04-08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变换器、增大逆向增益范围的方法、装置、介质
CN113572361B (zh) * 2021-07-21 2023-02-28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先进电磁驱动技术研究院 双向直流变换器及其控制方法、介质及设备
WO2023050364A1 (zh) * 2021-09-30 2023-04-0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移相全桥电路的反向电流控制方法及装置
JP2024072625A (ja) * 2022-11-16 2024-05-28 日立Astemo株式会社 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1185A (en) * 1989-07-13 1990-08-21 General Electric Company Resonant inverter employing frequency and phase modulation using optimal trajectory control
JP2588786B2 (ja) * 1990-02-26 1997-03-12 オリジン電気株式会社 X線電源装置
JPH06141541A (ja) * 1992-10-19 1994-05-20 Origin Electric Co Ltd 直列共振形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及び制御回路
JP3697112B2 (ja) 1999-07-23 2005-09-21 株式会社千代田 直流双方向コンバータ
JP4217950B2 (ja) * 2002-07-26 2009-02-04 富士電機デバイ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JP4274353B2 (ja) * 2003-03-13 2009-06-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双方向dc−dcコンバータ
JP2005210759A (ja) * 2004-01-19 2005-08-04 Sanken Electric Co Ltd 共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992493B (zh) * 2005-12-30 2011-05-18 艾默生网络能源系统北美公司 一种谐振直流/直流变换器及其控制方法
JP5011874B2 (ja) * 2006-07-31 2012-08-2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双方向性コンバータおよび電子装置
JP5691137B2 (ja) * 2008-05-14 2015-04-01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
JP4618339B2 (ja) * 2008-06-20 2011-01-2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JP2011526478A (ja) * 2008-07-02 2011-10-06 セテック・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共振型電力コンバータ
US8018743B2 (en) * 2009-03-05 2011-09-13 Iwatt Inc. Adaptive control for transition between multiple modulation modes in a switching power converter
US7872546B1 (en) * 2009-07-07 2011-01-18 Alpha And Omega Semiconductor Incorporated Multi mode modulator and method with improved dynamic load regulation
KR101031217B1 (ko) * 2009-10-21 2011-04-27 주식회사 오리엔트전자 고정 시비율로 동작하는 llc 공진 컨버터를 사용한 2단 방식 절연형 양방향 dc/dc 전력변환기
CN101707440A (zh) * 2009-11-12 2010-05-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Llc谐振变换器控制方法、同步整流控制方法及装置
JP5396251B2 (ja) 2009-12-03 2014-01-22 オリジン電気株式会社 直流―直流双方向コンバータ回路
US8811039B2 (en) * 2010-07-16 2014-08-19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Pulse width modulated resonant power conversion
JP5581971B2 (ja) * 2010-10-27 2014-09-0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GB2484971A (en) * 2010-10-28 2012-05-02 Eltek Valere As Control of a bidirectional series resonant DC/DC converter
JP5135418B2 (ja) * 2010-11-30 2013-02-06 日立コンピュータ機器株式会社 双方向dc−dcコンバータ
JP5762241B2 (ja) * 2010-12-01 2015-08-12 株式会社ダイヘン 電源装置及びアーク加工用電源装置
CN102064702B (zh) * 2010-12-31 2013-09-11 刘闯 双向隔离式的串联谐振dc/dc变换器
CN103329420B (zh) * 2011-01-26 2015-12-0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开关电源电路
CN102201739B (zh) * 2011-05-27 2014-07-09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对称半桥llc谐振式双向直流-直流变换器
US9379617B2 (en) * 2012-02-03 2016-06-28 Fuji Electric Co., Ltd. Resonant DC-DC converter control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7919B2 (en) 2015-05-29 2017-12-05 Lsis Co., Ltd. Electric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79145A (ja) 2014-05-01
US9197135B2 (en) 2015-11-24
JP5995139B2 (ja) 2016-09-21
US20140104890A1 (en) 2014-04-17
EP2720365B1 (en) 2020-02-12
EP2720365A3 (en) 2017-09-27
EP2720365A2 (en) 2014-04-16
CN103731036B (zh) 2017-10-13
CN103731036A (zh)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7523A (ko) 쌍방향 dc/dc 컨버터
KR102181971B1 (ko) 양방향 dc/dc 컨버터
KR101199490B1 (ko) 고승압비 다상 인터리브 양방향 dc-dc 컨버터
US9385624B2 (en) Rectifier circuit
Todorčević et al. A modulation strategy for wide voltage output in DAB-based DC–DC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for DEAP wave energy conversion
EP2685620B1 (en)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and power source system
US20150188437A1 (en) Power supply apparatus, power supply system with the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70005584A1 (en) Multi-output power converter with phase-shift control
EP2827488B1 (en) Vehicle power conversion device and vehicle
EP2949035B1 (en) Ac-ac converter device
US9209698B2 (en) Electric power conversion device
US10141851B2 (en) Resonant DC to DC power converter
US11296607B2 (en) DC-DC converter
US20220407426A1 (en) Power conver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converter
EP2658109A1 (en) Power converting apparatus,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Sen et al. Medium voltage single-stage dual active bridge based solid state transformer (DABSST)
KR20190115364A (ko) 단상 및 3상 겸용 충전기
US11677327B2 (en) Transformer converter with center tap inductance
CN104578725A (zh) 可输出交流电压和直流电压的双级式矩阵变换器拓扑结构
KR20190025196A (ko) 절연형 dc-dc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KR20170064076A (ko) 자속 공유형 대전압용 전원 공급 장치
JP2019009848A (ja) Dc−dcコンバータ、これを用いた電源システム及び当該電源システムを用いた自動車
JP4635584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1515875B1 (ko) 2단 방식의 ac/dc 변환기
KR101333409B1 (ko) 양방향 고주파 공진기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변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