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604A -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604A
KR20140045604A KR1020120098436A KR20120098436A KR20140045604A KR 20140045604 A KR20140045604 A KR 20140045604A KR 1020120098436 A KR1020120098436 A KR 1020120098436A KR 20120098436 A KR20120098436 A KR 20120098436A KR 20140045604 A KR20140045604 A KR 20140045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lever
hood latch
vehicl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441B1 (ko
Inventor
김도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8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441B1/ko
Publication of KR20140045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05B83/243Hood clamps, i.e. individually actuated, usually yielding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후드 래치에 구비되는 후드 래치 샤프트와; 후드 래치 샤프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후드 래치 샤프트를 수납하는 세이프티 후크와; 세이프티 후크와 스프링으로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차량의 후드가 닫힘 상태일 때 스프링을 눌러 레버가 아래에 위치하며, 차량의 후드가 열림 상태일 때 후드 래치 샤프트가 팝업되어 스프링의 누름 상태가 해지되어 레버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후드 오픈시 레버는 팝업되어 오픈 조작이 가능하고, 클로즈 시에는 레버가 충돌 영역 외부에 위치하여 보행자와의 충돌후 레버와의 2차 충돌을 방지할 수 있어 충돌 상품성이 확보되고 디자인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 {Up-Down Hood Latch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드의 개폐에 따라 후드 래치의 레버 위치가 변동되어 충돌 상품성을 높이고, 디자인 자유도를 증대시키는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룸을 보호하면서 엔진 소음에 대한 차음 기능을 겸하도록 후드가 구비된다. 이러한 후드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그 타측은 엔진 후드의 록킹 장치인 후드 래치 어셈블리가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오픈된다.
후드 래치 어셈블리(130)는 후드 개폐 작동을 위한 잠금 및 풀림 수단으로서, 평상시나 주행 중과 같이 후드의 닫힘이 요구될 시 엔진후드의 열림을 방지하고 닫힘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2차 록킹 구조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 래치 어셈블리(130)는 후드(1)의 선단부 하부에 위치되면서 차체측에 설치되고, 후드(1)의 이너 패널에 장착되어 있는 후드 래치 샤프트(110)를 잡아주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후드(1)의 잠금 상태에서는 후드 래치 어셈블리(130)의 래치(미도시)가 후드 래치 샤프트(110)를 물고 있고,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래치가 해제되어 후드 래치 샤프트(110)를 놓아주면 풀림 상태가 되지만 세이프티 후크(120)에 의해 후드 샤프트(110)가 걸려진 상태이므로 후드(1)를 열 수 없다. 이에, 사용자가 레버(150)를 밀어야 비로소 후드(1)가 완전히 개방된다.
그러나, 레버(150)로 인하여 차일드 헤드폼(Child Headform) 또는 어퍼 레그폼(Upper Legform)이 후드(1)에 부딪히면서 타격을 입는 경우가 발생한다. 종래 차량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130)에서 레버(150)가 후드(1)의 개폐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후드(1)의 상단 외측으로 뻗어 돌출되어 있으므로, 후드(1)에 1차적으로 타격을 입고 돌출된 레버(150)와 충돌하여 2차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차량의 보행자 보호 성능이 저하되어 충돌 성능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후드의 개폐에 따라 후드 래치의 레버 위치가 변동되어 충돌 상품성을 확보하고 디자인 자유도를 증대시키는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후드 래치에 구비되는 후드 래치 샤프트와; 상기 후드 래치 샤프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후드 래치 샤프트를 수납하는 세이프티 후크 몸체와; 세이프티 후크 몸체와 스프링으로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차량의 후드가 닫힘 상태일 때 상기 후드 래치 샤프트가 상기 스프링을 눌러 상기 레버가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차량의 후드가 열림 상태일 때 상기 후드 래치 샤프트가 팝업되어 상기 스프링의 누름 상태가 해지되어 상기 레버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후드의 개폐 여부에 따라 레버의 위치가 가변된다.
상기 레버에 마련되는 노브와, 상기 세이프티 후크 몸체에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노브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노브 가이드 홀이 마련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브가 상기 노브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기 노브 가이드 홀을 따라 상승과 하강하여 상기 레버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레버의 상하방향 이동 위치가 규제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부재와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의 상방향으로의 복원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레버가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후드 오픈시 레버는 팝업되어 오픈 조작이 가능하고, 클로즈 시에는 레버가 충돌 영역 외부에 위치하여 보행자와의 충돌후 레버와의 2차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충돌 상품성이 확보되고 디자인의 자유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후드 래치 어셈블리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후드 래치 어셈블리의 스프링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의 후드가 클로즈 상태일 때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가 팝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의 후드 오픈을 위하여 회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의 후드가 닫힌 상태일 때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가 팝업된 상태일 때 측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는 차량의 후드 래치에 구비되는 후드 래치 샤프트(10)와; 후드 래치 샤프트(10)의 하측에 위치하여 후드 래치 샤프트(10)를 수납하는 세이프티 후크 몸체(30)와; 세이프티 후크 몸체(30)와 스프링(40)으로 연결되는 레버(50)를 포함한다. 또한 세이프티 후크 몸체(30)에는 가이드 부재(70)가 연결된다.
후드 래치 샤프트(10)는 차량의 후드 래치에 구비되어 후드(1)가 닫히면서 함께 하강하게 된다.
후드 래치 샤프트(10)의 하측에는 세이프티 후크 몸체(30)가 마련된다. 세이프티 후크 몸체(30)는 래치 해제 여부에 따라 후드 래치 샤프트(10)를 수납한다. 후드가 닫힘 상태임에 따라 후드 래치에 구비되어 하방향에 위치하는 후드 래치 샤프트(10)를 용이하게 수납하도록 세이프티 후크 몸체(30)에는 후드 래치 샤프트(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세이프티 후크 몸체(30)의 후드 래치 샤프트(10)가 하강하여 수납되는 위치의 상단에는 세이프티 후크(20)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세이프티 후크(20)는 후드(1) 오픈시 래치의 해제에 의하여 후드(1)가 팝업되어 후드 래치 샤프트(10)가 상승할 때, 세이프티 후크(20)에 걸려 후드(1)가 완전히 오픈되지 않도록 한다.
세이프티 후크 몸체(30)의 하단에는 스프링(40)이 마련된다. 스프링(40)은 일측이 세이프티 후크(20)에 연결되고 타측의 상단은 레버(50)에, 타측의 하단은 가이드 부재(70)에 연결된다. 스프링(40)은 세이프티 후크(20)와 레버(50)에 상방향으로 복원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마련된다.
세이프티 후크 몸체(30)는 레버(50)의 하부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는 가이드 부재(70)와 연결된다. 가이드 부재(70)는 레버(50)의 하부와 접하게 되며 세이프티 후크 몸체(30)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가이드 부재(7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노브 가이드 홀(71)이 마련된다.
레버(50)는 후드(1)의 외측으로 뻗어 돌출된다. 레버(50)의 단부는 사용자가 레버를 밀어 2차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레버(50)의 하부는 가이드 부재(70)와 접촉한다. 레버(50)의 하부에는 노브(60)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노브(60)는 가이드 부재(70)의 노브 가이드 홀(71)에 삽입된다. 이에, 노브(60)는 노브 가이드 홀(71)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레버(50)의 상하 위치가 제한된다. 또한 레버(50)의 일측은 세이프티 후크(20)를 향하여 연장되어 후드 래치 샤프트(10)가 하강한 상태일 때 후드 래치 샤프트(10)와 접하게 된다. 이에, 후드(1)가 닫힘 상태일 때 후드 래치 샤프트(10)에 의하여 레버(50)에는 누르는 힘이 가해진다.
이하, 도 3 내지 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멍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1)가 닫힘 상태임에 따라 후드 래치 샤프트(10)는 하강된 상태이다. 후드 래치 샤프트(10)는 레버(50)와 접하게 되며 레버(50)에 누르는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레버(50)는 아래로 눌려지게 되고, 아래로 눌려지는 레버(50)에 의하여 연결된 스프링(40)도 하방향으로 눌려지는 힘을 받게 된다. 레버(50)가 눌려짐에 따라 레버(50)에 마련된 노브(60)도 노브 가이드 홀(71)의 하방향에 위치한다. 차량 실내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래치가 해제되어 후드(1)가 팝업되며 1단 락킹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1)와 함께 후드 래치 샤프트(10)도 상승하게 되지만, 세이프티 후크(20)에 의하여 걸려 완전히 오픈되지는 않는다. 후드 래치 샤프트(10)에 의해 눌려졌던 레버(50)는 스프링(40)의 상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레버(50)의 노브(60)는 가이드 부재(70)에 마련된 노브 가이드 홀(71)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노브 가이드 홀(71)의 상방향에 위치되며 레버(50)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레버(50)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위치에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조작 가능한 위치에 있는 레버(50)를 회전시킨다. 이에 레버(50)와 연결된 가이드 부재(70)와 세이프티 후크(20)가 회전 되고 세이프티 후크(20)에 걸려있던 후드 래치 샤프트(10)는 걸림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후드(1)의 2단 락킹을 완전히 해제 하게 되고 후드(1)는 완전히 오픈된다.
도 6 내지 도 7은 이러한 후드(1) 팝업에 따른 레버(50)의 위치 이동을 보여준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에 위치하던 레버(50)는 후드(1) 팝업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후드(1)가 닫힘상태일 때 타격 영역내에 위치하여 2차 충돌 요인이었던 레버(50)가 타격 영역 내보다 하방향에 위치되어 타격 영역내에 위치 되지 않게 되고, 다른 2차 충돌 부재가 없어 충격량을 흡수하는 공간이 용이하게 마련된다. 이로 인하여 보행자 보호 점수의 획득이 가능하여 충돌 상품성이 확보되고 디자인 자유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로부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후드 래치 샤프트 20: 세이프티 후크
30: 세이프티 후크 몸체 40: 스프링
50: 레버 60: 노브
70: 가이드 부재

Claims (3)

  1. 차량의 후드 래치에 구비되는 후드 래치 샤프트와;
    상기 후드 래치 샤프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후드 래치 샤프트를 수납하는 세이프티 후크 몸체와;
    상기 세이프티 후크 몸체와 스프링으로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차량의 후드가 닫힘 상태일 때 상기 후드 래치 샤프트가 상기 스프링을 눌러 상기 레버가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차량의 후드가 열림 상태일 때 상기 후드 래치 샤프트가 팝업되어 상기 스프링의 누름 상태가 해지되어 상기 레버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 마련되는 노브와,
    상기 세이프티 후크 몸체에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노브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노브 가이드 홀이 마련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브가 상기 노브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기 노브 가이드 홀을 따라 상승과 하강하여 상기 레버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부재와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의 상방향으로의 복원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레버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
KR1020120098436A 2012-09-05 2012-09-05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 KR101886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436A KR101886441B1 (ko) 2012-09-05 2012-09-05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436A KR101886441B1 (ko) 2012-09-05 2012-09-05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604A true KR20140045604A (ko) 2014-04-17
KR101886441B1 KR101886441B1 (ko) 2018-08-07

Family

ID=5065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436A KR101886441B1 (ko) 2012-09-05 2012-09-05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4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82703A1 (en) * 2013-09-23 2015-03-26 Kia Motors Corp. Remote control mechanism for sliding door
FR3053715A1 (fr) * 2016-07-07 2018-01-1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rochet de securite pour capot avec effacement pour choc piet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246A (ja) * 1992-07-22 1994-02-1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ボンネットロック装置
KR20050121328A (ko) * 2004-06-22 2005-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후드레치 어셈블리의 안전후크
KR20080114150A (ko) * 2007-06-27 2008-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후드래치 팝업시 충돌 회피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246A (ja) * 1992-07-22 1994-02-1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ボンネットロック装置
KR20050121328A (ko) * 2004-06-22 2005-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후드레치 어셈블리의 안전후크
KR20080114150A (ko) * 2007-06-27 2008-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후드래치 팝업시 충돌 회피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82703A1 (en) * 2013-09-23 2015-03-26 Kia Motors Corp. Remote control mechanism for sliding door
FR3053715A1 (fr) * 2016-07-07 2018-01-1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rochet de securite pour capot avec effacement pour choc pie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441B1 (ko) 201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958B1 (ko)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
JP5526004B2 (ja) 自動車用アクティブフードラッチシステム
KR101567637B1 (ko) 차량의 액티브후드 장치
KR101154318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KR20140045604A (ko)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
JP6649608B2 (ja) テールゲートドア用スイッチの取付構造
KR101241021B1 (ko)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
CN108104620B (zh) 用于车辆的发动机罩闩锁组件
KR20060070674A (ko) 차량의 후드 보조래치
KR10048900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
KR100380374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JP6023027B2 (ja) 車両の前部車体
KR101241010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
JP4802690B2 (ja) 車両前部構造
KR100978744B1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핸들 어셈블리의 작동소음 방지구조
US20100077883A1 (en) Impact Reducing Device for Shift Lever
KR20110037750A (ko) 트레이의 록킹장치
KR20020039965A (ko) 자동차의 충격완충형 후드 로크장치
KR100380366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KR100368407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KR100384226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KR100380472B1 (ko) 자동차 후드의 에어가이드 작동장치
KR100380351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KR20120111591A (ko) 엔진 커버 마운팅 구조
KR100633136B1 (ko) 자동차의 트레이 도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