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021B1 -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021B1
KR101241021B1 KR1020110114970A KR20110114970A KR101241021B1 KR 101241021 B1 KR101241021 B1 KR 101241021B1 KR 1020110114970 A KR1020110114970 A KR 1020110114970A KR 20110114970 A KR20110114970 A KR 20110114970A KR 101241021 B1 KR101241021 B1 KR 101241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moving plate
latch assembly
hood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오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한도어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한도어,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한도어
Priority to KR102011011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8Arrangements for protection of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 충돌시 후드의 앞부분을 상승시켜 보행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행자의 충돌사고에 따른 후드의 액티브 작동시 래치의 록킹을 해제하고 후드의 앞부분을 리프트 업(LIFT-UP) 시키는 연계적인 메커니즘을 채용한 새로운 형태의 액티브 후드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보행자 충돌사고시 상해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 보행자의 안전을 최대한 도모할 수 있는 한편, 액티브 후드의 래치 어셈블리와 긴밀하게 조립되면서 연계적으로 작동하는 무빙 파트를 채택함으로써, 기존의 래치 어셈블리에 그대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동작하는 메커니즘의 채용으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조립성 향상과 공간 확보가 가능한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Active hood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자 충돌시 후드의 앞부분을 상승시켜 보행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를 이용하는 인구가 많아지고, 자동차의 충돌로 인한 안전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충돌안전 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자동차의 후드는 차량 전방측의 엔진룸을 덮는 부분으로서, 앞쪽의 래치 어셈블리와 뒷쪽의 힌지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후드는 엔진룸을 견고하게 차폐할 수 있도록 상당히 강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교통사고시 보행자와 차량 전방 간에 충돌이 발생할 때, 보행자에게 큰 상해를 주는 위험이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의 충돌사고시 보행자가 자동차의 전방 범퍼와 1차적으로 충돌한 다음, 자동차의 후드쪽으로 쓰러지면서 다시 2차 충돌을 하게 되므로, 보행자가 후드에 충돌하면서 큰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보행자 보호 법규가 점차 강화되면서 이러한 보행자 보호 법규 만족을 위해 보행자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액티브 후드 장치 등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보행자의 충돌사고시 후드의 위치를 상측으로 위치시켜, 후드가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액티브 후드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티브 후드 장치는 국내 공개특허 10-2010-0016982호, 공개특허 10-2011-0049968호, 등록특허 10-102048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에 개시되어 있는 액티브 후드 장치들은 후드의 뒷부분을 위로 들어올려서 완충공간을 확보하는 방식이 대부분이고, 실제로 보행자 충돌사고시 가장 먼저 접촉하면서 충격을 주게 되는 후드의 앞부분에 대해서는 전혀 무방비 상태로 보행자에게 노출되는 취약점이 있는 등 보행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측면에서는 아직까지 미흡한 점이 많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행자의 충돌사고에 따른 후드의 액티브 작동시 래치의 록킹을 해제하고 후드의 앞부분을 리프트 업(LIFT-UP) 시키는 연계적인 메커니즘을 채용한 새로운 형태의 액티브 후드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보행자 충돌사고시 상해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 보행자의 안전을 최대한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티브 후드의 래치 어셈블리와 긴밀하게 조립되면서 연계적으로 작동하는 무빙 파트를 채택함으로써, 기존의 래치 어셈블리에 그대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동작하는 메커니즘의 채용으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조립성 향상과 공간 확보가 가능한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액티브 후드 장치는 후드의 래치에 설치되어 충격에 의해 동작하면서 후드 앞부분을 위로 올려주는 수단으로서, 래치 어셈블리의 후면부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무빙 플레이트와,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무빙 플레이트의 슬라이드 동작을 안내하는 무빙 가이드핀 및 상기 무빙 가이드핀의 둘레에 장착되면서 무빙 가이드핀을 항상 윗쪽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과, 충격력에 의해 회전되는 방식으로 젖힘이 가능한 구조로서 무빙 플레이트측과 걸림 및 해제가 가능한 동시에 래치 어셈블리측과 접촉 전동이 가능한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행자 충돌에 따른 충격시 상기 링크부재의 작동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가 해제됨과 동시에 무빙 플레이트 및 무빙 가이드핀이 상승하면서 후드의 앞부분을 위로 올려줌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 후드 장치의 링크부재는 무빙 플레이트측과 걸림 및 해제가 가능한 수단으로서 선단의 훅과 후단의 핀결합부를 가지면서 액추에이터 하우징의 지지대에 설치되어 시이소 운동이 가능한 제1링크부재와, 래치 어셈블리측과 연동가능한 수단으로서 상단의 푸시와 하단의 핀결합부를 가지면서 제1링크부재의 핀결합부에 연결되어 상승 및 하강 운동이 가능한 제2링크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액티브 후드 장치의 무빙 플레이트에는 스트라이커를 걸어주는 수단으로서 플레이트 후면부에 훅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플레이트와 함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세이프티 훅을 구비하여, 상기 세이프티 훅이 스트라이커를 걸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줌으로써, 후드의 전개가 완료된 후에 후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보행자의 충돌사고시 후드의 앞부분을 리프트 업(LIFT-UP) 시킴으로써, 보행자의 인체 상해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 보행자의 안전을 최대한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무빙 파트가 래치 어셈블리측과 연계되면서 위아래 수직방향으로 동작하는 메커니즘을 채택함으로써, 기존의 후드 래치의 좌면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조립공정이 쉬워지고, 또 기존의 레이아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FEM 모듈의 형상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엔진룸 내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개발에 필요한 부품의 최소화로 개발 기간 단축 및 개발 비용을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신차는 물론 기존의 차량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후드의 전개(상승) 완료 후에 세이프티 훅으로 스크라이커를 잡아줌으로써, 후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후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후드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후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후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a 및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티브 후드 장치는 래치 어셈블리(10)의 작동 메커니즘과 연계적으로 작동하면서 후드의 앞부분을 리프트 업시켜주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서로 잠금 및 해제되면서 스트라이커(미도시)를 록킹 및 언록킹시켜주는 폴(22)과 캐치(27)를 포함하는 래치 어셈블리(10)가 마련되고, 상기 래치 어셈블리(10)의 본체(33)는 양쪽 두 곳의 마운팅부(32a,32b)를 이용하여 바디측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폴(22)과 캐치(27)는 회전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서로 걸려지거나 해제되면서 스크라이커를 잡아주거나, 또는 놓아주는 메커니즘으로 작동하게 되며, 이러한 래치 어셈블리의 작동 메커니즘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폴(22)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링크부재(14)측과의 연동을 위한 수단으로 폴 접동부(30)가 아래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링크부재(14)가 상승하여 폴 접동부(30)를 치면서 한쪽 옆으로 젖혀주게 되면, 폴(22)의 회전에 의해 캐치(27)와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스크라이커가 언록킹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 어셈블리(10)의 본체(33)에는 상단부 뒷쪽으로 양편 2개의 픽싱 가이드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곳으로는 후술하는 무빙 플레이트(11)의 슬롯(23)이 끼워질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때의 픽싱 가이드핀(24)은 무빙 플레이트(11)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후드를 위로 올려주는 수단으로 무빙 플레이트(11)가 마련된다.
상기 무빙 플레이트(11)는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의 플레이트로서, 래치 어셈블리(10)의 본체(33) 뒷편에 위치되면서 플레이트에 있는 양쪽의 나란한 슬롯(23)을 이용하여 본체(33)에 형성되어 있는 픽싱 가이드핀(24) 내에 끼워져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무빙 플레이트(11)는 상승 및 하강시 픽싱 가이드핀(24)의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무빙 플레이트(11)에는 양쪽 2개의 무빙 가이드핀(12)이 구비되어 슬라이드 동작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되는데, 예를 들면 무빙 플레이트(11)의 하단부, 즉 플레이트의 절곡부위 수평판에는 양쪽에 각각 무빙 가이드핀(12)이 수직으로 관통되면서 그 상단을 통해 일체 결합되고, 이때의 무빙 가이드핀(12)의 하단 일부 구간은 후술하는 액추에이터 하우징(17)에 형성되어 있는 핀홀(31)을 관통하여 그 아래쪽까지 연장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빙 가이드핀(12)의 둘레에는 스프링(13)이 장착되고, 이때의 스프링(13)은 상단이 무빙 플레이트(11)의 수평판 저면에 지지되는 동시에 하단은 액추에이터 하우징(17)의 수평판 상면에 지지되는 구조로 가짐으로써, 무빙 플레이트(11)를 항상 윗쪽으로 밀어 올리려는 힘을 발휘하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13)은 무빙 플레이트(11)가 아래쪽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압축된 힘을 가지고 있다가, 무빙 플레이트(11)의 구속이 해제됨과 동시에 팽창력을 발휘하여 무빙 플레이트(11)를 위로 밀어서 올려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무빙 플레이트(11)에는 링크부재(14)측과의 걸림 및 해제를 위한 수단으로 록킹 플레이트(29)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 플레이트(29)는 아래쪽의 훅형상의 걸림부분을 이용하여 링크부재(14)의 제1링크부재(19)에 있는 훅(15)에 걸려지는 부분으로서, 무빙 플레이트(11)의 수평판 저면에 장착되는 양쪽의 록킹 브라켓(30) 사이에 끼워져 체결되는 구조로 고정 설치된다.
특히, 상기 무빙 플레이트(11)는 세이프티 훅(26)과 함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세이프티 훅(29)은 1차 해정된 후드를 완전히 열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여(옆으로 젖혀서) 스크라이커를 걸고 있는 훅을 해제시켜주는 수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세이프티 훅(29)은 무빙 플레이트(11)의 후면부에 위치되면서 훅핀(25)에 의해 그 하단부가 무빙 플레이트(11)에 체결되는 구조로 장착되며, 사용자가 상단의 연장부위를 위로 올리게 되면, 이때의 세이프티 훅(29)이 훅핀(2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결국 세이프티 훅(29)의 훅부분이 스트라이커로부터 벗어나면서 후드의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세이프티 훅(29)이 무빙 플레이트(11)에 일체식으로 결합되어, 무빙 플레이트(11)가 상승할 때 함께 위로 상승하게 되므로서, 즉 후드가 상승하기 전부터, 상승하는 동안은 물론, 상승이 완료된 시점까지 줄곧 세이프티 훅(29)이 스트라이커를 걸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므로서, 후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10)의 해제 작동 메커니즘과 상기 무빙 플레이트(11)의 상승 작동 메커니즘 간의 연계적인 메커니즘을 위한 수단으로 링크부재(14)가 마련된다.
상기 링크부재(14)는 보행자 충돌사고시 등과 같은 상황에서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회전되는 작동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지며, 무빙 플레이트(11)측과 걸림 및 해제가 가능하고, 또 래치 어셈블리(10)측과 접촉 전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링크부재(14)는 무빙 플레이트(11)를 걸고 있다가 충격에 의해 젖혀지면서 무빙 플레이트(11)를 놓아주는 역할을 하는 제1링크부재(19)와, 래치 어셈블리(10)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다가 제1링크부재(19)와의 연동에 의해 상승되면서 래치 어셈블리(10)측과 접촉하여 래치 어셈블리(10)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제2링크부재(19)로 구성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19)는 선단의 훅(15)과 후단의 핀결합부(16a)를 갖는 형태로서, 액추에이터 하우징(17)의 수평판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18)상에 그 길이 중간이 핀구조로 지지되며, 이때의 핀 지지부위를 축으로 하여 시이소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부재(19)의 핀 지지부위에는 리턴스프링(미도시)이 함께 장착되며, 이때의 리턴스프링은 항상 제1링크부재(19)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 즉 제1링크부재(19)의 후단부를 윗쪽으로 올려주려는 힘을 발휘하면서 제1링크부재(19)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링크부재(19)는 선단 훅(15)의 걸림해제와 동시에 리턴스프링의 힘을 받아 회전하면서 그 후단에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21)를 위로 올려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링크부재(19)의 선단 훅(15)은 무빙 플레이트(11)에 있는 록킹 플레이트(29)의 훅부분에 걸려지게 되고, 후단 핀결합부(16a)는 제2링크부재(21)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핀결합부(16b)에 핀으로 체결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링크부재(19)의 선단 일측, 예를 들면 훅(15)이 있는 부분과 인접한 부분에는 솔레노이드(미도시)가 연결되어 있어서, 이때의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해 제1링크부재(19)의 훅(15)이 아래로 젖혀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19)가 충격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이때의 제1링크부재(19)의 선단 훅(15)은 무빙 플레이트(11)의 록킹 플레이트(29)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후단 핀결합부(16a)를 통해 제2링크부재(21)를 위로 올려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보행자 충돌사고로 인한 충격에 의해 링크부재(14)를 동작시켜주는 수단의 일 예로서, 압력 센서(미도시), 적외선 센서(미도시), ECU(미도시), 솔레노이드(미도시) 등이 마련된다.
상기 압력 센서 및 적외선 센서는 충격을 감지하는 수단이고, 상기 ECU는 입력되는 감지값에 따라 보행자 충돌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이며, 상기 솔레노이드는 ECU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액추에이터로서 제1링크부재(19)의 훅(15) 부분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행자 충돌사고시 이때의 충격을 압력 센서 및 적외선 센서가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한 신호를 ECU로 입력되며, ECU의 출력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가 작동하면서 제1링크부재(19)의 훅(15) 부분을 아래로 당겨주게 되므로서, 이때부터 링크부재(14)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무빙 플레이트(11)의 상승, 래치 어셈블리(10)의 해제 등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21)는 상단의 푸시(20)와 하단의 핀결합부(16b)를 갖는 형태로서, 하단의 핀결합부(16b)를 통해 제1링크부재(19)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의 푸시(20)를 통해 래치 어셈블리(10)의 폴(22)에 형성되어 있는 폴 접동부(28)를 아래에서 위로 쳐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2링크부재(21)에 있는 푸시(20)의 경우에는 부재 상단에서 옆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제2링크부재(21)의 상승으로 푸시(20)가 폴(22)의 폴 접동부(28)를 밑에서 위로 쳐줄 때 폴 접동부(28)를 옆쪽으로 밀어내면서 쳐주게 되므로, 폴(22)이 옆으로 젖혀져 회전되면서 캐치(27)와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캐치(27)에 의해 구속되어 있던 스트라이커의 록킹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액티브 후드 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후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티브 후드 장치의 작동 전 상태의 경우, 래치 어셈블리(10)의 폴(22)과 캐치(27)가 서로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 스크라이커(미도시)를 잡고 있게 되고, 무빙 플레이트(11)는 스프링(13)을 압축하면서 아래쪽으로 내려와 있는 상태이며, 이때의 무빙 플레이트(11)의 록킹 플레이트(29)에는 링크부재(14)의 제1링크(19)에 있는 선단의 훅(15)이 걸려져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1링크부재(19)가 무빙 플레이트(11)를 위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잡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차실내의 조작레버(미도시)를 조작하여 래치 어셈블리(10)를 정상적으로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게 되고, 또 세이프티 훅(26)을 조작하여 스트라이커의 걸림을 해제한 후에 후드를 열 수 있게 된다.
한편, 보행자의 충돌사고시 발생하는 충격력이 차체 전방을 통해 링크부재(14)에 가해지게 되면, 이때의 충격력에 따른 제1링크부재(19)의 유동(회전)에 의해 제1링크부재(19)의 훅(15)과 무빙 플레이트(11)의 록킹 플레이트(29) 간의 걸림이 해제되고, 이와 함께 무빙 플레이트(11)는 액추에이터 하우징(17)의 윗면에 하단 지지되면서 팽창하는 스프링(13)을 힘을 받아 윗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링크부재(19)와 연동되는 제2링크부재(21)의 푸시(20)가 위로 올라가면서 폴(22)의 폴 접동부(28)를 옆으로 쳐주게 되고, 계속해서 폴(22)의 회전에 따라 캐치(27)와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스트라이커는 언록킹 상태가 된다.
따라서, 후드는 위로 상승하는 무빙 플레이트(11)에 의해 위로 밀려나면서 들려지게 되고, 결국 보행자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므로서, 보행자의 상해치를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후드는 무빙 플레이트(11)와 함께 상승하는 세이프티 훅(26)이 스크라이커를 계속 걸고 있는 상태이므로, 전개 완료 후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행자의 충돌사고시 래치 어셈블리의 잠금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후드의 앞부분을 리프트 업(LIFT-UP) 시키는 연계적인 메커니즘을 구현함으로써, 보행자 충돌사고시의 상해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 보행자의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10 : 래치 어셈블리 11 : 무빙 플레이트
12 : 무빙 가이드핀 13 : 스프링
14 : 링크부재 15 : 훅
16a,16b : 핀결합부 17 : 액추에이터 하우징
18 : 지지대 19 : 제1링크부재
20 : 푸시 21 : 제2링크부재
22 : 폴 23 : 슬롯
24 : 픽싱 가이드핀 25 : 훅핀
26 : 세이프티 훅 27 : 캐치
28 : 폴 접동부 29 : 록킹 플레이트
30 : 록킹 브라켓 31 : 핀홀
32a,32b,32c : 마운팅부

Claims (5)

  1. 후드의 래치에 설치되어 충격에 의해 동작하면서 후드 앞부분을 위로 올려주는 수단으로서,
    래치 어셈블리(10)의 후면부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무빙 플레이트(11);
    상기 무빙 플레이트(1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무빙 플레이트(11)의 슬라이드 동작을 안내하는 무빙 가이드핀(12) 및 상기 무빙 가이드핀(12)의 둘레에 장착되면서 무빙 가이드핀(12)을 항상 윗쪽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13);
    충격력에 의해 회전되는 방식으로 젖힘이 가능한 구조로서 무빙 플레이트(11)측과 걸림 및 해제가 가능한 동시에 래치 어셈블리(10)측과 접촉 전동이 가능한 링크부재(14);
    를 포함하며, 보행자 충돌에 따른 충격시 상기 링크부재(14)의 작동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10)가 해제됨과 동시에 무빙 플레이트(11) 및 무빙 가이드핀(12)이 상승하면서 후드의 앞부분을 위로 올려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14)는 무빙 플레이트(11)측과 걸림 및 해제가 가능한 수단으로서 선단의 훅(15)과 후단의 핀결합부(16a)를 가지면서 액추에이터 하우징(17)의 지지대(18)에 설치되어 시이소 운동이 가능한 제1링크부재(19)와, 래치 어셈블리(10)측과 연동가능한 수단으로서 상단의 푸시(20)와 하단의 핀결합부(16b)를 가지면서 제1링크부재(19)의 핀결합부(16b)에 연결되어 상승 및 하강 운동이 가능한 제2링크부재(2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14)의 제2링크부재(21)에 있는 푸시(20)는 부재 상단에서 옆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승시 래치 어셈블리(10)의 폴(22)을 옆으로 젖혀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플레이트(11)는 양쪽의 나란한 슬롯(23)을 통해 래치 어셈블리(10)에 있는 픽싱 가이드핀(24) 내에 끼워져 상승 및 하강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플레이트(11)는 스트라이커를 걸어주는 수단으로서 플레이트 후면부에 훅핀(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플레이트와 함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세이프티 훅(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
KR1020110114970A 2011-11-07 2011-11-07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 KR101241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970A KR101241021B1 (ko) 2011-11-07 2011-11-07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970A KR101241021B1 (ko) 2011-11-07 2011-11-07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021B1 true KR101241021B1 (ko) 2013-03-18

Family

ID=4818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970A KR101241021B1 (ko) 2011-11-07 2011-11-07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0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147B1 (ko) * 2013-07-15 2014-11-21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JP2016064778A (ja) * 2014-09-25 2016-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CN106828395A (zh) * 2017-03-02 2017-06-13 浙江农业商贸职业学院 汽车前撞击安全防护装置
WO2018057833A1 (en) * 2016-09-22 2018-03-29 Tk Holdings Inc. Hood lifting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804A (ko) * 2000-12-14 2002-06-22 이계안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US20030051936A1 (en) * 2001-09-20 2003-03-2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hood control apparatus
KR101219349B1 (ko) * 2011-09-08 2013-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래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804A (ko) * 2000-12-14 2002-06-22 이계안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US20030051936A1 (en) * 2001-09-20 2003-03-2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hood control apparatus
KR101219349B1 (ko) * 2011-09-08 2013-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래치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147B1 (ko) * 2013-07-15 2014-11-21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JP2016064778A (ja) * 2014-09-25 2016-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WO2018057833A1 (en) * 2016-09-22 2018-03-29 Tk Holdings Inc. Hood lifting assembly
US10434974B2 (en) 2016-09-22 2019-10-08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Hood lifting assembly
CN106828395A (zh) * 2017-03-02 2017-06-13 浙江农业商贸职业学院 汽车前撞击安全防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517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US7845691B2 (en) Collision safety system for use with a motor vehicle
JP5526004B2 (ja) 自動車用アクティブフードラッチシステム
JP5118828B2 (ja) 車両
KR101272519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US8534410B2 (en)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JP3785722B2 (ja) 跳ね上げ式フード
KR20150049739A (ko)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
KR101293974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래치 장치
JP4555281B2 (ja) 安全装置
KR101241021B1 (ko)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
KR101278593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KR101219349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래치 장치
KR101241019B1 (ko) 자동차용 댐핑 후드 래치 장치
KR101755452B1 (ko)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
JP5910370B2 (ja) フード跳上装置
KR100368405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형 후드 로크장치
KR101241010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
CN113445833B (zh) 车辆用锁闩装置
KR20060070674A (ko) 차량의 후드 보조래치
CN113494219B (zh) 发动机罩铰链组件和车辆
KR101494228B1 (ko)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
JPH1149036A (ja) 跳ね上げ式フード
KR100368407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JP4475007B2 (ja) 歩行者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