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739A -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739A
KR20150049739A KR1020130130655A KR20130130655A KR20150049739A KR 20150049739 A KR20150049739 A KR 20150049739A KR 1020130130655 A KR1020130130655 A KR 1020130130655A KR 20130130655 A KR20130130655 A KR 20130130655A KR 20150049739 A KR20150049739 A KR 20150049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guide
hood
pawl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6958B1 (ko
Inventor
박정훈
양승준
엄정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0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958B1/ko
Priority to JP2014199093A priority patent/JP2015086691A/ja
Priority to US14/510,450 priority patent/US9863170B2/en
Priority to DE201410115916 priority patent/DE102014115916A1/de
Priority to CN201410602367.0A priority patent/CN104594739B/zh
Publication of KR2015004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8Arrangements for protection of pedestri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후드래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연결되어 가이드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차량의 보행자 충돌 사고시 차량의 전방부에 설치된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가이드를 이동시키고, 상기 가이드의 타측이 폴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폴을 회전시킴으로써 래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후드가 팝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후드래치 구조를 통해 후드를 팝업시킴으로써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키고, 생산원가 및 조립시간을 절감시킨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Structure of hood latch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후드래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보행자 충돌 사고시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된 가이드가 이동됨에 따라 가이드의 타측이 폴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폴을 회전시킴으로써 래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가이드 연장부가 래치 돌출부에 접촉되어 래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트라이커가 상부로 돌출되어 후드가 팝업되는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앞 부분에 배치된 엔진룸의 상부에는 후드(hood)가 장착되어 엔진룸을 개폐하는 역할을 엔진룸을 차폐하여 엔진 소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후드는 엔진룸 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부품을 정비하거나 일반적인 일상 점검을 위해 후드의 일측은 차체와 힌지 결합되어 연결되고 그 타측에는 후드의 잠금장치인 후드래치가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오픈시킬 수 있도록 한다.
통상 후드래치는 후드의 개폐 작동을 위한 잠금 및 풀림 수단으로서, 평상시나 주행 중과 같이 후드의 닫힘이 요구될 시 후드의 열림을 방지하고 닫힌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2차 잠금구조로 구성되며, 후드의 선단부 하부에 위치되면서 차체 측에 설치되고, 후드의 이너 패널에 장착되어 있는 스트라이커를 잡아주거나 풀어주는 기능을 한다.
한편, 최근에는 보행자 보호 규제의 강화에 따라 차체의 전면 범퍼 및 후드를 중심으로 하는 차량 앞부분에서 보행자의 부상을 줄이기 위한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차량의 상품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유럽 등에서 시행되고 있는 보행자 보호법은 정지상태의 차량에 보행자를 대표하는 레그 폼(Leg form), 상부 레그 폼(Upper Leg form) 및 헤드 폼(Head form)을 차량의 전면부에 충격시켜서 그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보행자와 충돌했을 경우 보행자가 차량진행방향의 도로 쪽으로 넘어지게 되며, 이때에 가해 차량에 다시 치이게 되는 2차 사고로 이어져 사망할 확률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보행자 사고 특징에 의한 사망 확률을 낮추고자 하는 것이 보행자 보호 규제의 주요 목적이다.
특히, 후드와 보행자간의 충돌 시, 보행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신체의 관성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후드와 엔진 사이에 완충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차량들은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해 후드를 가능한 한 낮게 디자인하는 것은 물론이고, 그로 인해 엔진과 후드와의 간격은 간섭을 피한 최소의 공간 확보에 그치게 된다.
이에 따라 추가의 완충 공간 확보를 위해 후드의 형상을 부풀리거나, 센서를 활용해서 충격이 감지될 경우 후드를 순간적으로 팝업(pop up) 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기도 한다.
종래의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는, 감지센서를 활용하여 차량의 범퍼에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내장된 화약이 폭발하여 인플레이터가 작동하고 이에 따라 래치 어셈블리의 잠금이 해제됨과 동시에 래치 어셈블리 하방에 위치한 토션 스프링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 전체가 팝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는, 후드를 팝업시키기 위해 인플레이터 및 토션 스프링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차량의 생산원가가 증대되고 차량의 중량이 증가되며 그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조립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는, 래치 어셈블리가 토션 스프링 하나에 의지하여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오작동의 우려가 있으며, 래치 어셈블리를 팝업된 상태로 유지하는 수단이 없어 보행자의 신체가 2차적으로 엔진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후드래치 구조를 통해 후드를 팝업시킴으로써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키고, 생산원가 및 조립시간을 절감시킨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체의 전방부에 장착되며 후드에 결합된 스트라이커가 드나들 수 있도록 상단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스트라이커를 걸 수 있도록 고리부가 형성되며, 제 1 스프링이 연결되어 탄성 지지되는 래치;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제 2 스프링이 연결되어 탄성 지지되며, 걸림턱을 구비하여 래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폴; 상기 폴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연결되어 가이드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며, 차량의 보행자 충돌 사고시 차량의 전방부에 설치된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가이드를 이동시키고, 상기 가이드의 타측이 폴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폴을 회전시킴으로써 래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후드가 팝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는, 상기 래치의 하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래치 돌출부; 및 상기 가이드의 일측 끝단에서 래치 돌출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가이드 연장부; 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가 이동됨에 따라 가이드의 타측이 폴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폴을 회전시킴으로써 래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가이드 연장부가 래치 돌출부에 접촉되어 래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트라이커가 상부로 이동되어 후드가 팝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래치 돌출부와 가이드 연장부 사이는 이격되어 갭이 형성되며, 상기 갭에 의해, 폴의 회전에 의한 래치의 잠금상태 해제 및 래치의 회전에 의한 스타라이커의 돌출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일단이 상기 래치의 하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상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폴의 하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상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차량의 전방부에 설치된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내장된 화약이 폭발함으로써 작동되는 화약식 액츄에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내부에 가스가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벤트홀; 을 더 포함하여, 상기 벤트홀을 통해 액츄에이터 내부의 가스가 빠져나감으로써 차량의 보행자 충돌 사고 후 후드가 서서히 하강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차량의 보행자 충돌 사고시 폴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액츄에이터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가 폴을 회전시켜 래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키고 작업공수 및 조립시간을 절감시키는 것이다.
또한, 종래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와 달리, 토션 스프링 등을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차량의 생산원가가 절감되며 차량의 중량이 감소되어 차량의 연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가 이동됨에 따라 폴이 회전되어 래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순차적으로 가이드가 래치를 회전시켜 스트라이커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후드가 팝업됨으로써, 하나의 부품(가이드)에 의해 래치 잠금상태 해제 및 후드 팝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가이드가 후드를 팝업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행자의 신체가 2차적으로 엔진에 부딪혀서 입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에 벤트홀을 형성함으로써 충돌 사고 후 후드가 서서히 하강되어 보행자 보호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에서 래치가 폴에 의해 잠금상태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에서 래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스트라이커가 상부로 돌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에서 제 1 스프링 및 제 2 스프링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에서 가이드가 폴에 접촉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에서 가이드가 폴을 회전시켜 래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에서 가이드가 래치를 회전시켜 스트라이커가 상부로 돌출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는, 차체의 전방부에 장착되며 후드에 결합된 스트라이커(14)가 드나들 수 있도록 상단에 고정홈(12)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스트라이커(14)를 걸 수 있도록 고리부(21)가 형성되며, 제 1 스프링(24)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래치(20),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제 2 스프링(32)이 연결되어 탄성 지지되며, 걸림턱(31)을 구비하여 래치(20)가 이동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폴(30), 상기 폴(30)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40) 및 상기 가이드(40)의 일측에 연결되어 가이드(4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50)를 포함하며, 차량의 보행자 충돌 사고시 차량의 전방부에 설치된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50)가 작동하여 가이드(40)를 이동시키고, 상기 가이드(40)의 타측이 폴(30)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폴(30)을 회전시킴으로써 래치(2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후드가 팝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는 후드(미도시) 전단부 방향의 엔진룸(미도시) 내부 차체에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홀(11)이 양 측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 후술되는 스트라이커(14)가 드나들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고정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스트라이커(14)는 후드에 일체로 연결되어 후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결합된 세이프티 후크(13)에 걸릴 수 있도록 중앙부가 'ㄷ'자 형태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일측에는 래치(20)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래치(20)의 좌측에는 스트라이커(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고리부(21)가 배치된다.
상기 고리부(21)가 래치(20)로부터 이격된 폭은 스트라이커(14)의 단면 직경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조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20)가 후술되는 폴(30)에 의해 잠금상태일 경우에 스트라이커(14)는 고리부(21)에 삽입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20)가 잠금해제 상태일 경우에는 고리부(21)의 회전에 의해 스트라이커(14)가 상부로 돌출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2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 1 스프링(24)이 래치(20)에 연결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스프링(24)의 일단은 베이스플레이스의 측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래치(20)의 우측 하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1 스프링(24)은, 래치(2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었을 때 래치(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스트라이커(14)가 상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래치(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인장스프링으로 형성된다.
물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좌·우, 상·하 등의 방향은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설정된 것이며, 베이스플레이트(10)의 결합 방향, 래치(20)의 배치 상태, 후드래치 구조가 도시된 실시예와 반대 방향으로 도시되는 경우 등에는 그 상황에 맞추어 후드래치 구조가 변경되고 그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타측에는 폴(30)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폴(30)의 우측에는 잠금상태일 때 래치(20)가 이동되지 않도록 래치(20)를 구속하는 걸림턱(31)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가 팝업되지 않도록 래치(20)가 잠금되어 있는 상태일 경우 폴(30)에 형성된 걸림턱(31)은 래치(20)의 좌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22)에 접촉되어 래치(20)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30)이 후술되는 가이드(40)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되어 걸림턱(31)과 걸림부(22) 사이의 접촉이 단절되면 래치(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래치(20)의 회전에 따라 스트라이커(14)가 상부로 돌출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상기 폴(30)이 항상 우측으로 당겨져서 래치(20)를 구속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 2 스프링(32)이 폴(30)에 연결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스프링(32)의 일단은 폴(3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단에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30) 및 래치(20)의 하부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40)가 설치되어 폴(30)을 좌측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래치(2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20)의 우측 하단부에는 래치 돌출부(23)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40)의 우측 끝단에는 가이드 연장부(41)가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연장부(41)는 가이드(40)가 좌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래치 돌출부(23)와 접촉될 수 있도록 래치 돌출부(23)와 오버랩(overlap)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40)가 좌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가이드(40)의 좌측 끝단이 폴(3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치(2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연장부(41)가 래치 돌출부(23)를 밀어 래치(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트라이커(14) 및 스트라이커(14)에 연결된 후드(미도시)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 돌출부(23)와 가이드 연장부(41) 사이에는 갭(42)이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갭(42)은 폴(30)의 회전에 의해 래치(2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시점을 계산하여 래치(20)의 잠금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래치 돌출부(23)에 가이드 연장부(41)가 접촉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즉, 상기 갭(42)은 폴(30)에 형성된 걸림턱(31)이 래치(20)에 형성된 걸림부(22) 상에서 호형(弧形)으로 이동하는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래치 돌출부(23)와 가이드 연장부(41) 사이에 갭(42)을 둠으로써, 폴(3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한 래치(20)의 잠금상태 해제 후 순차적으로 가이드 연장부(41)가 래치 돌출부(23)를 밀어 래치(2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스트라이커(14)의 돌출이 이루어진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40)는, 우측 끝단이 래치(20)의 하단부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상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좌측 끝단이 폴(30)의 하단부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상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20) 하단부와 가이드(40)의 우측 끝단 및 상기 폴(30) 하단부와 가이드(40)의 좌측 끝단은 각각 오버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가이드(40)의 이동에 따라 래치(20) 및 폴(30)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40)의 우측에는 액츄에이터(50)가 연결되어 가이드(40)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힘을 제공하고 있다.
즉, 차량의 보행자 충돌 사고시 차량의 전방부에 설치된 감지센서(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50)가 작동되고 상기 액츄에이터(50)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4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폴(30) 및 래치(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액츄에이터(50)는 그 작동 방식에 따라 내장된 화약이 폭발함으로써 추진력을 얻어 가이드(40)를 이동시키는 화약식 액츄에이터와 솔레노이드(전자석)를 통한 자력에 의해 가이드(40)를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식 액츄에이터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화약식 액츄에이터(50)는 솔레노이드식 액츄에이터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하고 오작동 발생 확률이 낮으며 상대적으로 생산 원가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액츄에이터(50)의 내부에 가스가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벤트홀(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액츄에이터(50) 내부에 벤트홀을 포함함으로써, 스트라이커(14)가 돌출된 후 다시 초기 상태로 복귀할 때 벤트홀을 통해 액츄에이터(50) 내부의 가스가 빠져나감으로써 후드가 서서히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보행자가 바로 엔진룸에 의해 타격을 입지 않고 보행자가 입는 충격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벤트홀은 통상의 벤트홀과 마찬가지로 액츄에이터(50) 내부에 다양한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내장된 화약의 폭발에 의한 가스를 서서히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래치(20)는 폴(30)의 걸림턱(31)에 걸림부(22)가 걸려서 회전되지 않는 상태(래치 잠금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후드(미도시)에 연결된 스트라이커(14)는 래치(20)의 고리부(21)에 걸린 상태로 후드가 팝업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부에 설치된 감지센서(미도시)에 보행자 충돌이 감지되면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50)는 가이드(4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가이드(40)의 이동에 따라 폴(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턱(31)이 걸림부(22)로부터 이탈(래치 잠금해제상태)하게 된다.
그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40)는 더 좌측으로 이동하여 래치(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래치(20)의 고리부(21)에 걸려있던 스트라이커(14)는 래치(20)의 회전에 따라 상부로 돌출하게 되며, 스트라이커(14)에 연결된 후드도 상부로 돌출(후드 팝업상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40)는 순간적으로 스트라이커(14)가 돌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래치(20)를 지지하게 되고 그 후 액츄에이터(50)의 벤트홀을 통해 액츄에이터(50) 내부의 가스가 배출됨에 따라 스트라이커(14)에 연결된 후드가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베이스플레이트
11 : 조립홀
12 : 고정홈
13 : 세이프티 후크
14 : 스트라이커
20 : 래치
21 : 고리부
22 : 걸림부
23 : 래치 돌출부
24 : 제 1 스프링
30 : 폴
31 : 걸림턱
32 : 제 2 스프링
40 : 가이드
41 : 가이드 연장부
42 : 갭
50 : 액츄에이터

Claims (6)

  1. 차체의 전방부에 장착되며 후드에 결합된 스트라이커가 드나들 수 있도록 상단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스트라이커를 걸 수 있도록 고리부가 형성되며, 제 1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래치;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제 2 스프링이 연결되어 탄성 지지되며, 걸림턱을 구비하여 래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폴;
    상기 폴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연결되어 가이드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며,
    차량의 보행자 충돌 사고시 차량의 전방부에 설치된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가이드를 이동시키고,
    상기 가이드의 타측이 폴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폴을 회전시킴으로써 래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후드가 팝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하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래치 돌출부; 및
    상기 가이드의 일측 끝단에서 래치 돌출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가이드 연장부; 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가 이동됨에 따라 가이드의 타측이 폴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폴을 회전시킴으로써 래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가이드 연장부가 래치 돌출부에 접촉되어 래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트라이커가 상부로 이동되어 후드가 팝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돌출부와 가이드 연장부 사이는 이격되어 갭이 형성되며,
    상기 갭에 의해, 폴의 회전에 의한 래치의 잠금상태 해제 및 래치의 회전에 의한 스타라이커의 돌출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일단이 상기 래치의 하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상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폴의 하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상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차량의 전방부에 설치된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내장된 화약이 폭발함으로써 작동되는 화약식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내부에 가스가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벤트홀; 을 더 포함하여,
    상기 벤트홀을 통해 액츄에이터 내부의 가스가 빠져나감으로써 차량의 보행자 충돌 사고 후 후드가 서서히 하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
KR1020130130655A 2013-10-31 2013-10-31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 KR101526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655A KR101526958B1 (ko) 2013-10-31 2013-10-31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
JP2014199093A JP2015086691A (ja) 2013-10-31 2014-09-29 車両用フードラッチ構造
US14/510,450 US9863170B2 (en) 2013-10-31 2014-10-09 Structure of hood latch for vehicle
DE201410115916 DE102014115916A1 (de) 2013-10-31 2014-10-31 Struktur einer Haubenverriegelung für ein Fahrzeug
CN201410602367.0A CN104594739B (zh) 2013-10-31 2014-10-31 用于车辆的机罩闩的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655A KR101526958B1 (ko) 2013-10-31 2013-10-31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739A true KR20150049739A (ko) 2015-05-08
KR101526958B1 KR101526958B1 (ko) 2015-06-09

Family

ID=5281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655A KR101526958B1 (ko) 2013-10-31 2013-10-31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63170B2 (ko)
JP (1) JP2015086691A (ko)
KR (1) KR101526958B1 (ko)
CN (1) CN104594739B (ko)
DE (1) DE10201411591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265A (ko) *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 래치 조립체
US10508479B2 (en) 2016-11-24 2019-12-17 Hyundai Motor Company Hood latch assembly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4002499T5 (de) * 2013-05-23 2016-04-07 Magna Closures Inc. Mechanischer Unterstützungsmechanismus für aktives Fußgänger-Sicherheitsschloss
KR101491298B1 (ko) * 2013-08-20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래치 장치
US10731388B2 (en) * 2014-09-17 2020-08-04 Magna Closures Inc. Latch with double pull for closure panel
KR101673721B1 (ko) * 2014-12-31 2016-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액티브 후드용 전방 팝업 래치 세이프티 후크구조
US10941592B2 (en) * 2015-05-21 2021-03-09 Magna Closures Inc. Latch with double actua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DE102015111149A1 (de) * 2015-07-09 2017-01-12 Kiekert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Fronthauben mit elektrischem Antrieb
CN105133968B (zh) * 2015-08-21 2017-05-3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前罩锁
US9777516B2 (en) * 2015-08-24 2017-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esture-activated hood release system
JP6638332B2 (ja) * 2015-11-04 2020-01-29 スズキ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KR101795383B1 (ko) 2016-03-02 2017-11-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테일게이트의 팝업구조
GB2564790B (en) * 2016-04-08 2021-11-03 Phillip Chevalier John Latching systems for latching movable panels
US10808436B2 (en) * 2016-09-13 2020-10-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mote secondary hood latch release
KR20180076596A (ko) * 2016-12-28 2018-07-0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비상용 후드 릴리즈 장치
US10287813B2 (en) * 2017-07-17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mp stop for vehicle hood
DE102018129268A1 (de) * 2017-11-21 2019-05-23 Magna Closures Inc. Relativ-Verlagerungsmechanismus für aktive Fußgänger - Sicherheitsverriegelung
JP6810021B2 (ja) * 2017-12-27 2021-01-06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ボンネットラッチ装置
US11624217B2 (en) * 2018-01-26 2023-04-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ront trunk latch entrapment release system
DE102019101992A1 (de) 2018-01-29 2019-08-01 Magna Closures Inc. Betätigter Mechanismus für aktive Fußgänger-Sicherheitsverriegelung
US11066854B2 (en) 2018-01-29 2021-07-20 Magna Closures Inc. Actuated mechanism for active pedestrian safety latch with meshed gears
KR20190107407A (ko) * 2018-03-12 2019-09-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CN110439393A (zh) 2018-05-04 2019-11-12 麦格纳覆盖件有限公司 用于主动式行人安全闩锁的致动机构
FR3081178B1 (fr) * 2018-05-16 2020-07-10 U-Shin France Serrure electrique de dossier de vehicule automobile
JP6863952B2 (ja) * 2018-11-12 2021-04-21 豊田鉄工株式会社 フードロック装置
CN111335757B (zh) 2018-12-19 2021-10-15 麦格纳覆盖件有限公司 车门致动系统
DE102020109147A1 (de) 2019-04-02 2020-10-08 Magna BÖCO GmbH Kraft-stellantrieb mit nockengetriebenem doppelkabel-betätigungsmechanismus zur verwendung mit einer fahrzeug-verschlussverriegelungsanordnung
DE102022100245A1 (de) 2021-01-20 2022-07-21 Magna BÖCO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vorderen Kofferraum mit Fußgängerschutzfunktionen
DE102021131891A1 (de) * 2021-12-03 2023-06-07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m Schließ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7283A (ja) 1994-12-22 1996-07-09 Toyota Tekko Kk 自動車用フードの補助ロック装置
JP4479297B2 (ja) * 2004-03-22 2010-06-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の跳ね上げ構造
JP4039577B2 (ja) * 2004-09-27 2008-01-30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二段開放型スナッチロック装置
US7845691B2 (en) * 2006-04-05 2010-1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llision safety system for use with a motor vehicle
KR100921062B1 (ko) * 2008-05-21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후드 시스템의 리프트 장치
KR101154299B1 (ko) * 2010-09-28 2012-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래치 시스템
US8579068B2 (en) * 2011-06-02 2013-11-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ood latch and striker system for pedestrian protection
US9145716B2 (en) * 2012-05-09 2015-09-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ployable hood latch for pedestrian head protection
US9459006B2 (en) 2012-05-22 2016-10-04 Alstom Technology Ltd Radial nozzle assembly for a pressure vessel
KR101372022B1 (ko) * 2012-08-24 2014-03-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2단 가이드 후드 래치 장치
KR101281462B1 (ko) 2013-02-28 2013-07-03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를 위한 화약식 후드 리프팅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TWI537938B (zh) * 2013-05-16 2016-06-1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儲存陣列模組及其硬碟容置單元
KR101567637B1 (ko) * 2013-10-21 201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액티브후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8479B2 (en) 2016-11-24 2019-12-17 Hyundai Motor Company Hood latch assembly for vehicle
KR20180069265A (ko) *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 래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63170B2 (en) 2018-01-09
CN104594739B (zh) 2018-05-18
JP2015086691A (ja) 2015-05-07
DE102014115916A1 (de) 2015-04-30
CN104594739A (zh) 2015-05-06
KR101526958B1 (ko) 2015-06-09
US20150115625A1 (en)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958B1 (ko) 차량용 후드래치 구조
US8573658B2 (en) Active hood latch system for vehicle
CN109881999B (zh) 用于主动式行人安全闩锁的相对移位机构
US8534410B2 (en)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US10035490B2 (en) Active hood latch device for vehicle
KR100921062B1 (ko) 액티브 후드 시스템의 리프트 장치
US7845691B2 (en) Collision safety system for use with a motor vehicle
JP4297183B2 (ja) 車両用フードの跳ね上げ装置
EP1494895B1 (en) A safety device to lift the rear part of the bonnet or hood of a motor vehicle
US20130300134A1 (en) Deployable hood latch for pedestrian head protection
KR101272519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US9308886B1 (en) Active hood device for vehicle
KR101293974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래치 장치
JP5505253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KR101154318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JP3785754B2 (ja) 跳ね上げ式フード
KR101241021B1 (ko)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
KR101144044B1 (ko)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KR101091678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리프터 장치
KR100962139B1 (ko) 보행자 보호 기능을 갖는 후드래치장치
CN114056276B (zh) 一种行人保护引擎盖组件
KR20170025659A (ko) 자동차의 패시브 후드 래치 구조
KR101886441B1 (ko)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
JP5910370B2 (ja) フード跳上装置
KR20140035028A (ko) 차량용 보행자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