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228B1 -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228B1
KR101494228B1 KR20130108211A KR20130108211A KR101494228B1 KR 101494228 B1 KR101494228 B1 KR 101494228B1 KR 20130108211 A KR20130108211 A KR 20130108211A KR 20130108211 A KR20130108211 A KR 20130108211A KR 101494228 B1 KR101494228 B1 KR 101494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atch assembly
elastic member
case
hood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정민
Original Assignee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8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티브 후드 래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을 덮는 후드를 상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 내의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연동핀이 하부 중심에 돌출 형성되며 상부에 차량의 후드와 접촉되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부재가 절곡되게 형성된 베이스; 일단이 상기 베이스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를 탄성지지하는 일단은 절곡 형상의 지지턱이 형성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지지턱과 맞물리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회전을 구속하는 폴 레버를 포함하는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ACTIVE HOOD LATCH ASSEMBLY}
본 발명은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티브 후드 래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를 이용하는 인구가 많아지고, 자동차의 충돌로 인한 안전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충돌안전 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자동차의 후드는 차량 전방측의 엔진룸을 덮는 부분으로서, 앞쪽의 래치 어셈블리와 뒷쪽의 힌지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후드는 엔진룸을 견고하게 차폐할 수 있도록 상당히 강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교통사고시 보행자와 차량 전방 간에 충돌이 발생할 때, 보행자에게 큰 상해를 주는 위험이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의 충돌사고시 보행자가 자동차의 전방 범퍼와 1차적으로 충돌한 다음, 자동차의 후드쪽으로 쓰러지면서 다시 2차 충돌을 하게 되므로, 보행자가 후드에 충돌하면서 큰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보행자 보호 법규가 점차 강화되면서 이러한 보행자 보호 법규 만족을 위해 보행자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액티브 후드 장치 등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켠 후 운전석에 마련된 버튼 또는 레버를 조작해 후드를 엔진룸의 상측으로 위치시켜 엔진룸과 후드 간에 공간이 생기도록 한 다음 차량을 운행하게 되며, 이후 보행자와의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후드가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액티브 후드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후드 래치 어셈블리(100)는 케이스(110), 베이스(120), 및 케이스(110)의 일 면에 스트라이커(미도시)를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캐치 레버(130)와 폴 레버(140)를 포함하며, 캐치 레버(130)는 케이스(1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된다.
폴 레버(140)는 캐치 레버(130)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케이스(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폴 레버(140)는 캐치 레버(130)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캐치 레버(130)의 일 측과 맞물려 있다.
탄성 부재(150)는 캐치 레버(130)를 탄성 지지하도록 케이스(110)에 설치되며, 일단은 캐치 레버(130)의 회전축(132)과 연결되고 타단은 폴 레버(140)와 맞물린 캐치 레버(130)와 연결되며, 폴 레버(140)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 부재(150)의 복원력에 의해 캐치 레버(130)는 상부로 상승하며, 이에 스트라이커(미도시)는 언록킹 상태가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는 폴 레버(140)와 맞물리는 캐치 레버(130) 부분이 오랜 사용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며, 변형된 캐치 레버에 의해 오작동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캐치 레버 구성을 제거하고, 폴 레버와 탄성 부재의 일단을 맞물리게 하여 폴 레버가 탄성 부재의 회전을 구속하게 함으로써, 캐치 레버의 변형에 의한 오작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을 덮는 후드를 상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 내의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연동핀이 하부 중심에 돌출 형성되며 상부에 차량의 후드와 접촉되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부재가 절곡되게 형성된 베이스; 일단이 상기 베이스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를 탄성지지하는 일단은 절곡 형상의 지지턱이 형성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지지턱과 맞물리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회전을 구속하는 폴 레버를 포함하는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 레버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태엽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베이스의 상부에는 완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따르면, 베이스에 연동핀을 설치하고, 탄성 부재의 일단에 절곡 형상의 지지턱을 설치하여, 폴 레버와 지지턱이 맞물려 탄성 부재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함으로써, 캐치 레버의 변형에 의한 오작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구조와 비교하여 캐치 레버를 생략함으로써 액티브 후드 래치어셈블리 구조의 간소화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200)는 가이드홈(212)이 형성되는 케이스(210), 및 가이드홈(212)을 따라 이동하는 연동핀(222)이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220)를 포함한다.
케이스(210)는 차체에 고정 설치되며, 중심 상부에서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220)에 형성된 연동핀(222)이 진입되는 가이드홈(212)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슬롯(214)이 형성된다.
베이스(220)는 실질적으로 후드를 위로 올려주는 수단으로 케이스(210)의 뒷편에 위치되고, 케이스(210)에 형성된 슬롯(214)을 따라 상 하 이동하는 가이드핀(224)이 설치되며, 케이스(210)에 형성된 가이드홈(212)을 따라 상 하 이동하는 연동핀(222)이 베이스(220)의 하부 중심에서 돌출 형성된다.
또한, 후드와의 충격을 줄이기 위한 완충부재(230)가 절곡 형상을 갖는 베이스(2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210)의 일 측면에는 스트라이커(미도시)를 록킹 및 언록킹시켜주는 탄성 부재(240)와 폴 레버(250)가 설치된다.
탄성 부재(240)는 태엽 스프링이 사용되며, 베이스(220)를 탄성 지지하도록 케이스(210)의 제 1 회전축(21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 부재(240)의 일단은 절곡 형상의 지지턱(242)이 형성된다.
이때, 지지턱(242)은 베이스(220)에 형성된 연동핀(222)과 맞물리며, 탄성 부재(240)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연동핀(222)을 상승시킨다.
폴 레버(250)는 탄성 부재(240)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케이스(210)의 제 2 회전축(218)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제 2 회전축(218)에 설치되는 폴 탄성 부재(26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회동되며, 폴 탄성 부재(260)는 토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폴 탄성 부재(260)의 권선부는 제 2 회전축(218)에 삽입 고정되고, 일단은 케이스(210)에 연결되며, 타단은 폴 레버(250)의 하부에 연결되어 폴 레버(250)의 회전에 필요한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폴 레버(250)는 탄성 부재(240)에 형성된 지지턱(242)과 맞물려 탄성 부재(240)의 회전을 구속하며, 폴 레버(250)에는 자동차의 운전석에 설치된 버튼 또는 레버(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당겨지는 와이어(252)가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의 작동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는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해 시동을 켠 다음 운전석에 설치된 버튼 또는 레버(미도시)를 조작하여 후드를 엔진룸의 상측에 위치시키도록 한 다음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것이다.
따라서, 후드 래치 어셈블리(200)의 초기 상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40)의 지지턱(242)은 폴 레버(250)에 의해 회동이 구속되며, 이때, 폴 레버(250)는 폴 탄성 부재(260)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탄성 부재(240)는 제 1 회전축(216)의 반 시계 방향으로 감겨져 있는 상태로 폴 레버(250)에 의해 회동이 구속된다.
다음, 운전자가 운전석에 설치된 버튼 또는 레버(미도시)를 작동시켜 와이어(230)를 당기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 레버(250)는 폴 탄성 부재(260)를 인장시키며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폴 레버(250)의 시계 방향 회동에 의해 폴 레버(250)와 맞물린 지지턱(242)이 해제된다.
이후, 탄성 부재(240)의 복원력에 의해 탄성 부재(24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탄성 부재(240)의 회전에 의해 지지턱(242)은 상승하고, 지지턱(242)과 연결된 연동핀(222)이 케이스(210)의 가이드홈(212)을 따라 상부로 상승하며, 이에 베이스(220)가 상승하여 후드를 위로 올린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따르면, 베이스에는 베이스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연동핀을 설치하고, 탄성 부재의 일단에는 연동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절곡 형상의 지지턱을 설치하며, 폴 레버와 지지턱이 맞물려 탄성 부재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함으로써, 캐치 레버의 변형에 의한 오작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구조와 비교하여 캐치 레버를 생략함으로써 액티브 후드 래치어셈블리 구조의 간소화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200 :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 210 : 케이스
212 : 가이드홈 220 : 베이스
222 : 연동핀 230 : 완충부재
240 : 탄성 부재 242 : 지지턱
250 : 폴 레버

Claims (4)

  1. 차량의 엔진룸을 덮는 후드를 상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 내의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연동핀이 하부 중심에 돌출 형성되며 상부에 차량의 후드와 접촉되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부재가 절곡되게 형성된 베이스;
    일단이 상기 베이스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를 탄성지지하는 일단은 절곡 형상의 지지턱이 형성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지지턱과 맞물리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회전을 구속하는 폴 레버를 포함하는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 레버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태엽 스프링인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는 완충 부재가 구비되는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
KR20130108211A 2013-09-10 2013-09-10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 KR101494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211A KR101494228B1 (ko) 2013-09-10 2013-09-10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211A KR101494228B1 (ko) 2013-09-10 2013-09-10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228B1 true KR101494228B1 (ko) 2015-02-17

Family

ID=5259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8211A KR101494228B1 (ko) 2013-09-10 2013-09-10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2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0786A (ko) * 2005-08-17 2007-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래치
KR100941103B1 (ko) 2008-09-02 2010-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스위치
KR20100107275A (ko) * 2009-03-25 2010-10-05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래치
KR20130018059A (ko) * 2011-08-12 2013-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0786A (ko) * 2005-08-17 2007-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래치
KR100941103B1 (ko) 2008-09-02 2010-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스위치
KR20100107275A (ko) * 2009-03-25 2010-10-05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래치
KR20130018059A (ko) * 2011-08-12 2013-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44418B1 (en) Vehicle hood latches
KR101272517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JP6727147B2 (ja) 車両用アクティブフード装置
US9855916B2 (en) Active hood hinge device for vehicles
CN108698557A (zh) 具有对抬升致动器的能移动的支承的、用于车辆前盖的盖铰链
KR101567637B1 (ko) 차량의 액티브후드 장치
KR101293974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래치 장치
KR101272519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JP2002129823A (ja) 自動車のボンネット用ヒンジ
KR101209680B1 (ko) 백업레버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
KR101278593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KR101592792B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장치
KR101241021B1 (ko)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
KR101494228B1 (ko)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
KR20170025659A (ko) 자동차의 패시브 후드 래치 구조
KR101241019B1 (ko) 자동차용 댐핑 후드 래치 장치
KR20110019672A (ko)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KR10048900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
KR101608613B1 (ko) 액티브 후드 리프트 시스템
KR101219349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래치 장치
KR100882676B1 (ko) 자동차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과 도어래치의 연결구조
CN113494219B (zh) 发动机罩铰链组件和车辆
KR20060070674A (ko) 차량의 후드 보조래치
KR100737959B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장치의 충격흡수구조
KR101241010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