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667A -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667A
KR20140044667A KR1020120110921A KR20120110921A KR20140044667A KR 20140044667 A KR20140044667 A KR 20140044667A KR 1020120110921 A KR1020120110921 A KR 1020120110921A KR 20120110921 A KR20120110921 A KR 20120110921A KR 20140044667 A KR20140044667 A KR 20140044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user terminal
character
terminal devic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원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4667A/ko
Priority to EP13843835.3A priority patent/EP2904468B1/en
Priority to PCT/KR2013/008911 priority patent/WO2014054922A1/en
Priority to AU2013325379A priority patent/AU2013325379B2/en
Priority to JP2015535570A priority patent/JP6293761B2/ja
Priority to US14/046,284 priority patent/US10664163B2/en
Priority to CN201380063725.9A priority patent/CN104838334B/zh
Priority to BR112015007395-6A priority patent/BR112015007395B1/pt
Publication of KR20140044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5Guidance during keyboard input operation, e.g. promp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이 개시된다. 본 문자 입력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USER TERMINAL APPARATUS, WORD INPUT METHOD OF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의 문자 입력 모드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글과 영문을 혼용하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한글과 영문의 입력을 위해서는 한/영 전환키를 사용하여 한글 입력 모드 또는 영문 입력 모드로 전환하거나, Caps Lock 키를 사용하여 영문 대문자 모드 또는 영문 모드로 전환해야 한다. 응용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한영 전환키, Caps Lock 키의 사용 빈도에는 차이가 있겠지만 사용자로서는 한/영 전환키, Caps Lock 키를 한글, 영문을 입력할 때마다 사용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는 횟수가 빈번한 요즘 예컨대, 웹브로우저 프로그램, 검색 프로그램 등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서 인터넷 도메인 주소 또는 검색어 입력을 위하여 한글과 영문을 번갈아가며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문자 입력 장치의 한글 입력 모드 또는 영문 입력 모드를 판별하고, 이에 적합하도록 한/영 전환키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문자 입력 장치의 영문 대문자 모드 또는 영문 소문자 모드를 판별하고, 이에 적합하도록 Caps Lock 키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서로 상반된 입력 모드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경우, 이를 입력한 후에 잘못 입력된 것을 알 수 있으므로 기입력된 내용을 수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의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을 문자 입력 커서와 함께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문자 입력 모드는,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에 적용될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식은,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의 언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식을 상기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위치시켜 결합 커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문자가 입력될 위치에 상기 생성된 결합 커서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표식(sign)을 상기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문자 입력 화면의 표시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식의 위치를 상기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서 변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문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문자 입력 모드가 변경되었을 때, 상기 표식(sign)을 상기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식이 표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표식을 제거하여, 상기 문자 입력 커서만을 문자가 입력될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문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스마트폰이고, 상기 문자 입력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문자 입력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 입력 모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문자 입력 장치에서 특정 영역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식은, insert on/off 정보, numlock on/off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문자 입력 모드는,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에 적용될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식은,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의 언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식을 상기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위치시켜 결합 커서를 생성하고, 문자가 입력될 위치에 상기 생성된 결합 커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표식(sign)을 상기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문자 입력 화면의 표시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식의 위치를 상기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서 변화시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문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문자 입력 모드가 변경되었을 때, 상기 표식(sign)을 상기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식이 표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표식을 제거하여, 상기 문자 입력 커서만을 문자가 입력될 위치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문자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스마트폰이고, 상기 문자 입력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문자 입력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식은, insert on/off 정보, numlock on/off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문자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을 문자 입력 커서와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자를 잘못 입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을 문자 입력 커서와 함께 표시함으로써, 문자 입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문자 입력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문자 입력 장치(200),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데스크탑 PC(Personal Computer)로 구현될 수 있고, 문자 입력 장치(200)는 키보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모니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 문자 입력 장치(200), 디스플레이 장치(300) 각각은 별개의 객체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문자 입력 장치(200)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블루투스(Blue Tooth), RF(Radio Frequency)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DVI(Digital Visual Interface)케이블 또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무선 어댑터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문자 입력 장치(200)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 또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 모드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문자 입력 장치(200)의 문자 입력 영역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문자 입력 장치(200)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 장치(200)의 문자 입력 모드 설정 영역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문자 입력 장치(200)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 모드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 입력 모드는, 문자 입력 장치(200)에서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에 적용될 모드일 수 있다. 이러한 문자 입력 모드는, 언어 모드(ex, 한글 모드, 영어 모드, 일어 모드, 중국어 모드 등), Caps Lock 모드, Insert 모드, Numlock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언어 모드, Caps Lock 모드, Insert 모드, Numlock 모드로의 설정은 각 모드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 장치(200)의 특정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문자 입력 장치(200)는 수신된 문자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 또는 수신된 문자 입력 모드 설정에 대응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문자 입력 모드 설정에 대응되는 신호에 따라서 문자 입력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검출된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식은, 문자 입력 장치(200)를 통하여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의 언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식은, insert on/off 정보, numlock on/off/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커서는, 문자 입력 장치(200)를 통하여 문자 입력이 수행되면, 입력된 문자가 곧바로 표시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것으로, 문자가 입력될 위치에 표시되는 '|'와 같은 기호일 수 있다. 즉, 문자 입력 커서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을 받을 준비가 완료되어 있음을 알려주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어하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어하에, 문자 입력 커서,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2 : 제2 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문자 입력 시스템(20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문자 입력 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태블릿 PC와 같이 휴대가 간편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문자 입력 장치(200)는 키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문자 입력 장치(200)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블루투스(Blue Tooth), RF(Radio Frequency)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를 더 포함함에 따라 발생되는 동작상의 차이점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은 상술하였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3 : 제3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문자 입력 시스템(30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노트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 및 키보드와 같은 문자 입력부를 더 포함함에 따라 발생되는 동작상의 차이점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은 상술하였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검출부(110), 제어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검출부(110), 제어부(120), 인터페이스부(1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검출부(110), 제어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검출부(110), 제어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디스플레이부(140), 키보드의 기능을 수행하는 문자 입력부(미도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사항을 기초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검출부(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검출한다.
여기서 문자 입력 모드는,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에 적용될 모드일 수 있다. 문자 입력 모드는, 언어 모드(ex, 한글 모드, 영어 모드, 일어 모드, 중국어 모드 등), Caps Lock 모드, Insert 모드, Numlock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문자 입력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문자 입력 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문자 입력부(미도시)에서 특정 영역이 선택됨으로써,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40)가 키보드와 같은 문자 입력 수단을 표시하는 경우, 문자 입력 수단에서 특정 영역이 선택됨으로써,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문자 입력 모드가 설정되면, 검출부(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검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기타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문자 입력 장치(200)로부터 문자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 또는 문자 입력 모드 설정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연결은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는 방식일 수 있고, 무선 연결은 블루투스(Blue Tooth), RF(Radio Frequency)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 경우는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내장된 문자 입력부(미도시)로부터 문자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 또는 문자 입력 모드 설정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본 발명의 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40)는 문자 입력 커서,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40)는 본 발명의 제2 또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40)의 기능은 별도의 객체인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40),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검출부(110), 제어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20)는 검출된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sign)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식은,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의 언어 정보, insert on/off 정보, numlock on/off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언어 정보는,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의 언어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가 '한국어'인 경우, 언어 정보는 '가'일 수 있고,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가 '영어'인 경우, 언어 정보는 'A' 또는 'a'일 수 있다. 여기서 '영어'의 대소문자 여부는 Caps Lock 모드의 설정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언어 정보는 표시될 문자의 언어의 종류(예를 들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언어 정보는 제어부(120)가 검출된 문자 입력 모드 중 언어 모드, Caps Lock 모드를 이용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insert on/off 정보는,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에 insert기능이 수행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insert on/off 정보는 제어부(120)가 검출된 문자 입력 모드 중 Insert 모드를 이용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numlock on/off 정보는,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에 numlock 기능이 수행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numlock on/off 정보는 제어부(120)가 검출된 문자 입력 모드 중 Numlock 모드를 이용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의 언어 정보, insert on/off 정보, numlock on/off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생성된 표식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 입력 커서는, 문자가 입력될 위치에 표시되는 '|'와 같은 기호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생성된 표식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위치시켜 결합 커서를 생성하고, 문자가 입력될 위치에 생성된 결합 커서를 제공함으로써,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별도의 결합 커서의 생성 없이,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생성된 표식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제공하는 것은, 제어부(120)내의 이미지 처리부(123)의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가 생성된 표식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생성된 표식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표식을 문자 입력 커서의 우측,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식은 문자 입력 커서의 좌측에 위치시키지 않는 이유는, 문자가 입력되면, 입력된 문자는 문자 입력 커서의 좌측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문자 입력 화면은 문자 입력 커서(141), 문자 입력 커서(141)의 근처에 표시된 '언어 정보 : 가'(142)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문자 입력 화면은 문자 입력 커서(141), 문자 입력 커서(141)의 근처에 표시된 '언어 정보 : A'(142)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문자 입력 화면은 문자 입력 커서(141), 문자 입력 커서(141)의 근처에 표시된 '언어 정보 : a'(142)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언어 정보(142)'는 문자 입력 커서(141)의 하측에 위치하여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삼성전자 갤럭시 S3'이후에 입력될 문자의 언어 종류를 쉽게 식별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자를 잘못 입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표식(142)은 문자 입력 커서(141)의 하측에 위치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정에 따라서 문자 입력 커서(141)의 우측 또는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문자 입력 화면은 문자 입력 커서(141), 문자 입력 커서(141)의 근처에 표시된 '언어 정보 : 가'(142), 'numlock on 정보'(143), 'insert on 정보'(144)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문자 입력 화면은 문자 입력 커서(141), 문자 입력 커서(141)의 근처에 표시된 '언어 정보 : 가'(142), 'numlock off 정보'(143), 'insert off 정보'(144)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언어 정보(142)'는 문자 입력 커서(141)의 하측에 위치하여 표시되고, 'numlock on/off 정보'(143)는 문자 입력 커서(141)의 우측에 위치하여 표시되며, 'insert on/off 정보'(144)는 '언어 정보 : 가'(142)의 우측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삼성전자 갤럭시 S3'이후에 입력될 문자의 언어 종류뿐만 아니라, insert 기능 및 numlock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문자 입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표식(142,143,144)은 문자 입력 커서(141)의 특정 영역에 위치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정에 따라서 표식(142,143,144)의 위치는 도 7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문자 입력 화면의 표시 상태에 따라, 표식의 위치를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서 변화시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문자 입력 화면은 문자 입력 커서(141), 문자 입력 커서(141)의 근처에 표시된 '언어 정보 : 가'(142)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한다. 도 8에서 '언어 정보 : 가'(142)는 문자 입력 커서(141)의 상측에 위치하여 표시되고 있다. 이는 '언어 정보 : 가'가 문자가 표시된 영역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식별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문자 입력 화면의 표시 상태에 따라, 표식의 위치를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서 변화시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한 문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문자 입력 모드가 변경되었을 때,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시간 동안 문자 입력 장치(200) 또는 문자 입력부(미도시)를 통하여 문자 입력을 수행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정된 현재의 문자 입력 모드를 기억하지 못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실수로 문자 입력 장치(200) 또는 문자 입력부(미도시)를 통하여 문자 입력 모드 설정 영역을 선택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정된 현재의 문자 입력 모드를 기억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상술한 경우에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표식이 표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표식을 제거하여, 문자 입력 커서만을 문자가 입력될 위치에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20)는 표식이 표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동안 문자 입력이 수신되면, 문자 입력이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후에 표식을 제거하여, 문자 입력 커서만을 문자가 입력될 위치에 제공할 수 있다. 즉 표식이 표시된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 동안 표식을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문자 입력이 수신된다는 건, 사용자가 현재 문자 입력 모드를 인식하면서 문자 입력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계속하여 표식이 제공되면, 사용자의 원활한 문자 입력을 방해할 수 있는바, 제어부(120)는 표식을 제거하여 문자 입력 커서만을 문자가 입력될 위치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표식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제공된 표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40)는 표식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 내지 5를 설명함에 있어서, 검출부(110)는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검출부(110)의 상술한 기능 제어부(120)가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800)는 디스플레이부(810), 감지부(820), 제어부(830), 저장부(840), 통신부(850), 음성 인식부(860), 모션 인식부(870), 스피커(880), 외부 입력 포트(890-1 ~ 890-n), 전원부(895)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다만, 도 9를 설명함에 있어서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감지부(820)는 사용자 단말 장치(8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상태를 감지한다. 도 9에 따르면, 감지부(820)는 터치 센서(821), 지자기 센서(822), 가속도 센서(823), 벤드 센서(824), 압력 센서(825), 근접 센서(826), 그립 센서(827)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센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821)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디스플레이부(81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81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터치 센서(82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지자기 센서(822)는 사용자 단말 장치(8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고, 가속도 센서(823)는 사용자 단말 장치(8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자기 센서(822) 및 가속도 센서(823)는 각각 사용자 단말 장치(800)의 벤딩 방향이나 벤딩 영역 등과 같은 벤딩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이와 별도로, 사용자 단말 장치(800)의 회전 상태 또는 기울기 상태 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벤드 센서(824)는 사용자 단말 장치(80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 필요한 센서로, 사용자 단말 장치(80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압력 센서(825)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벤딩 조작을 할 때 사용자 단말 장치(80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어부(830)로 제공한다. 압력 센서(825)는 디스플레이부(810)에 내장되어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압전 필름(piezo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압력 센서(825)가 터치 센서(821)와 별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터치 센서(821)가 감압식 터치 센서로 구현된 경우, 그 감압식 터치 센서가 압력 센서(850)의 역할도 함께 할 수도 있다.
근접 센서(826)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826)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 발진 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립 센서(827)는 압력 센서(825)와 별개로 사용자 단말 장치(800)의 테두리나 손잡이 부분에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그립(grip)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립 센서(827)는 압력 센서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830)는 감지부(820)에서 감지된 각종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그 의도에 부합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830)에서 수행되는 동작의 일 예로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 또는, 저장부(8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810) 및 스피커(880) 등을 통해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830)는 통신부(850)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8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850)는 방송 수신 모듈(85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852), GPS 모듈(853), 무선 통신 모듈(854)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수신 모듈(851)이란 지상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복조기, 등화기 등을 포함하는 지상파 방송 수신 모듈(미도시),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DMB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852)이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나 블루투스, 지그비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GPS 모듈(853)이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8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모듈이다. 무선 통신 모듈(854)이란 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통신 모듈(852)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830)는 상술한 통신부(850)의 각 구성 요소 중 사용자가 의도한 동작 수행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830)는 벤딩 조작이나 터치 조작 이외에 음성 입력이나 모션 입력을 인식하여, 그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음성 인식부(860) 또는 모션 인식부(87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음성 인식부(860)는 마이크(미도시)와 같은 음성 취득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이나 외부 음향을 수집한 후, 제어부(830)로 전달한다. 제어부(830)는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이 기 설정된 음성 코맨드와 일치하면,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태스크(task)를 수행할 수 있다. 음성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태스크로는, 볼륨 조절, 채널 선택, 채널 재핑, 표시 속성 조절, 재생, 일시 정지, 되감기, 빨리 감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메뉴 선택, 장치 턴온, 턴오프 등과 같이 다양한 태스크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모션 인식부(870)는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촬상 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한 후, 제어부(830)로 제공한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830)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 코맨드에 대응되는 모션 제스쳐를 취한 것으로 판단되면, 그 모션 제스쳐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예로, 채널 재핑, 장치 턴온, 턴오프, 일시 정지, 재생, 정지, 되감기, 빨리 감기, 음소거 등과 같은 다양한 태스크가 모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음성으로 제어 가능한 태스크, 모션으로 제어 가능한 태스크 등에 대한 상술한 예들은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 밖에, 외부 입력 포트 1, 2 ~ n(890-1 ~ 890-n)들은 각각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 제어 명령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USB 포트, 헤드셋 포트, 마우스 포트, LAN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895)는 사용자 단말 장치(800)의 각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도 9에서 통신부(850), 외부 입력 포트(890-1 ~ 890-n)는 상술한 인터페이스부(1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10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시스템 메모리(121), 메인 CPU(122), 이미지 처리부(12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4), 저장부 인터페이스(125),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6-1 ~ 126-n), 오디오 처리부(127), 시스템 버스(128)를 포함한다.
시스템 메모리(121), 메인 CPU(122), 이미지 프로세서(12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4), 저장부 인터페이스(125),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6-1 ~ 126-n), 오디오 처리부(127)들은 시스템 버스(128)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나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6-1 ~ 126-n) 중 적어도 하나는 감지부(820)와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내의 다양한 구성요소와 제어부(120) 내의 각 구성요소들 간의 인터페이싱을 지원한다. 또한,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6-1 ~ 126-n)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외부 입력 포트(890-1 ~ 890-n)을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각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6-1 ~ 126-n)는 인터페이스부(1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31)는 ROM(131-1) 및 RAM(131-2)을 포함한다. ROM(131-1)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2)는 ROM(131-1)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RAM(131-2)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2)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RAM(131-2)에 복사하고, RAM(131-2)에 복사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word 프로그램과 같은 문서 작성 프로그램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RAM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부(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검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메인 CPU(132)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 인터페이스(135)는 저장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이미지 처리부(133)는 디코더, 렌더러, 스케일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컨텐츠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고, 구성된 프레임의 사이즈를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화면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한다. 이미지 처리부(133)는 처리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부(1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문자 입력 커서, 표식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 밖에, 오디오 처리부(137)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 수단으로 제공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가령, 메인 CPU(132)는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를 통해서 웹 서버에 액세스한다. 웹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메인 CPU(132)는 이미지 처리부(133)를 제어하여 웹 페이지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웹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검출한다(S1101).
여기서 문자 입력 모드는,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에 적용될 모드일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문자 입력 장치에서 특정 영역이 선택됨으로써,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한다(S1102).
여기서, 표식은,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의 언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식은, insert on/off 정보, numlock on/off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하는 단계(S1102)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문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문자 입력 모드가 변경되었을 때,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하는 단계(S1102)는, 문자 입력 화면의 표시 상태에 따라, 표식의 위치를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서 변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표식이 표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표식을 제거하여, 문자 입력 커서만을 문자가 입력될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문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하는 단계(S1102)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식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식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위치시켜 결합 커서를 생성하고, 문자가 입력될 위치에 생성된 결합 커서를 제공함으로써,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결합 커서의 생성 없이,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생성된 표식을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하는 것은, 제어부(120)내의 이미지 처리부(123)의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장치 110 : 검출부
120 : 제어부 130 : 인터페이스부
140 : 디스플레이부 200 : 문자 입력 장치
300 : 디스플레이 장치 1000, 2000, 3000 : 문자 입력 시스템

Claims (20)

  1.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는,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에 적용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은,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의 언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을 상기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위치시켜 결합 커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문자가 입력될 위치에 상기 생성된 결합 커서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표식(sign)을 상기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문자 입력 화면의 표시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식의 위치를 상기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서 변화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문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문자 입력 모드가 변경되었을 때, 상기 표식(sign)을 상기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이 표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표식을 제거하여, 상기 문자 입력 커서만을 문자가 입력될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문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스마트폰이고,
    상기 문자 입력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문자 입력 장치를 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문자 입력 장치에서 특정 영역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은,
    insert on/off 정보, numlock on/off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는,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에 적용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은,
    문자 입력이 수행될 경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될 문자의 언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식을 상기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위치시켜 결합 커서를 생성하고, 문자가 입력될 위치에 상기 생성된 결합 커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표식(sign)을 상기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문자 입력 화면의 표시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식의 위치를 상기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서 변화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문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문자 입력 모드가 변경되었을 때, 상기 표식(sign)을 상기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식이 표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표식을 제거하여, 상기 문자 입력 커서만을 문자가 입력될 위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문자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스마트폰이고,
    상기 문자 입력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문자 입력 장치를 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0.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문자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표식(sign)을 문자 입력 커서의 근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110921A 2012-10-05 2012-10-05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44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21A KR20140044667A (ko) 2012-10-05 2012-10-05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13843835.3A EP2904468B1 (en) 2012-10-05 2013-10-04 User terminal apparatus, method for inputting text i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PCT/KR2013/008911 WO2014054922A1 (en) 2012-10-05 2013-10-04 User terminal apparatus, method for inputting text in user terminal apparau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U2013325379A AU2013325379B2 (en) 2012-10-05 2013-10-04 User terminal apparatus, method for inputting text i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5535570A JP6293761B2 (ja) 2012-10-05 2013-10-04 ユーザ端末装置、ユーザ端末装置の文字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14/046,284 US10664163B2 (en) 2012-10-05 2013-10-04 User terminal apparatus, method for inputting text and displaying an input mode sign next to a text input cursor i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201380063725.9A CN104838334B (zh) 2012-10-05 2013-10-04 用户终端装置、在用户终端装置中输入文本的方法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BR112015007395-6A BR112015007395B1 (pt) 2012-10-05 2013-10-04 Método para inserir um texto num aparelho terminal de usuário, aparelho terminal de usuário, e mídia de gravação permanente legível por computad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21A KR20140044667A (ko) 2012-10-05 2012-10-05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542A Division KR102191943B1 (ko) 2019-12-02 2019-12-02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667A true KR20140044667A (ko) 2014-04-15

Family

ID=5043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921A KR20140044667A (ko) 2012-10-05 2012-10-05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64163B2 (ko)
EP (1) EP2904468B1 (ko)
JP (1) JP6293761B2 (ko)
KR (1) KR20140044667A (ko)
CN (1) CN104838334B (ko)
AU (1) AU2013325379B2 (ko)
BR (1) BR112015007395B1 (ko)
WO (1) WO20140549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890A (ko) * 2018-10-01 2020-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230811A (zh) * 2020-10-15 2021-01-15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输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0030A (ja) * 1988-01-08 1989-07-18 Fuji Xerox Co Ltd 文字入力装置
JPH0436U (ko) * 1990-04-13 1992-01-06
US5442742A (en) * 1990-12-21 1995-08-15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ipulation of text on a computer display screen
JPH0934431A (ja) * 1995-07-21 1997-02-07 Sony Corp 通信端末装置
JPH09153042A (ja) * 1995-11-30 1997-06-10 Ee I Soft Kk 文字入力装置
US5657050A (en) * 1996-01-30 1997-08-12 Microsoft Corporation Distance control for displaying a cursor
US6867790B1 (en) * 1996-08-09 2005-03-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conditionally constrain pointer movement on a computer display using visual cues, controlled pointer speed and barriers on the display which stop or restrict pointer movement
KR19980035431A (ko) 1996-11-13 1998-08-05 김광호 다국어 입력 설정 변환 방법
JPH10334092A (ja) 1997-05-29 1998-12-18 Just Syst Corp 文字入力・変換モード表示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文字入力・変換モード表示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411283B1 (en) * 1999-05-20 2002-06-25 Micron Technology, Inc. Computer touch screen adapted to facilitate selection of features at edge of screen
JP2001042996A (ja) * 1999-07-28 2001-02-16 Toshiba Corp 文書作成装置、文書作成方法
JP2001242991A (ja) * 2000-03-02 2001-09-07 Hitachi Ltd パスワード入力方式
KR20020004008A (ko) 2000-06-29 2002-01-16 구문수 마우스 커서를 이용한 입력문자 정보 표시 방법
US20020110401A1 (en) * 2001-02-15 2002-08-15 Gershuni Daniel B. Keyboard and associated display
US6975909B2 (en) * 2001-11-29 2005-12-13 Critical Reach, Ag Electronic product/service manual
US6970158B2 (en) * 2002-05-02 2005-11-29 Emerson Harry E Computer keyboard providing an alert when typing in Caps Lock mode
US20040036679A1 (en) * 2002-05-02 2004-02-26 Emerson Harry E. Computer system providing a visual indication when typing in caps lock mode
US8276099B2 (en) * 2004-09-28 2012-09-25 David Arthur Yost System of GUI text cursor, caret, and selection
KR20060062199A (ko) * 2004-12-03 2006-06-12 브이케이 주식회사 문자 edit 시 현재 입력모드를 표시하는 방법
KR100698966B1 (ko) * 2005-08-05 2007-03-23 서동철 문자 입력모드 변경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31638A (ko) 2005-09-15 2007-03-20 테커스 (주) 입력 커서를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상태를 표현하는장치 및 방법
US7721196B2 (en) * 2005-12-07 2010-05-18 Microsoft Corporation Arbitrary rendering of visual elements on a code editor
KR20070117339A (ko) * 2006-06-08 2007-12-12 장태선 스마트 커서
US20080115072A1 (en) 2006-11-09 2008-05-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assisting language input mode indentification
US8069029B2 (en) * 2006-11-10 2011-11-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axis input device and selectable language indicator for language selection, and associated method
US8090885B2 (en) * 2008-01-14 2012-01-03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ally configuring computer devices wherein customization parameters of the computer devices are adjusted based on detected removable key-pad input devices
US8271906B1 (en) * 2008-06-09 2012-09-18 Intuit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dynamic cursor area to facilitate user interaction
US20090327948A1 (en) * 2008-06-27 2009-12-31 Nokia Corporation Text input
KR20100038858A (ko) 2008-10-07 2010-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아이콘의 제어방법
KR101137415B1 (ko) 2009-09-07 2012-06-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10035204A (ko) 2009-09-30 201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 문자 인디케이터 표시 장치 및 방법
JP5592679B2 (ja) * 2010-03-17 2014-09-17 任天堂株式会社 入力プログラム、入力装置、システム及び入力方法
US9292161B2 (en) * 2010-03-24 2016-03-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inter tool with touch-enabled precise placement
JP5688230B2 (ja) * 2010-03-24 2015-03-25 任天堂株式会社 入力プログラム、入力装置、システム及び入力方法
JP5397707B2 (ja) 2011-03-29 2014-01-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タッチ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03473A1 (en) * 2012-02-07 2013-08-08 Amarnath Kota Cellular Phone Case having a Keyboard Input
US10768775B2 (en) * 2017-04-06 2020-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ext direction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4922A9 (en) 2014-06-12
BR112015007395A2 (pt) 2017-07-04
AU2013325379B2 (en) 2018-11-08
US10664163B2 (en) 2020-05-26
JP2015530681A (ja) 2015-10-15
CN104838334A (zh) 2015-08-12
EP2904468A4 (en) 2016-05-18
WO2014054922A1 (en) 2014-04-10
AU2013325379A1 (en) 2015-04-09
EP2904468B1 (en) 2019-03-27
EP2904468A1 (en) 2015-08-12
CN104838334B (zh) 2018-11-30
JP6293761B2 (ja) 2018-03-20
US20140101618A1 (en) 2014-04-10
BR112015007395B1 (pt)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598B1 (ko) 배경화면의 내용에 대응하여 객체를 배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41737B1 (ko) 후면 터치를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1861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40354553A1 (en) Automatically switching touch input modes
US9824266B2 (en) Handwriting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374547B2 (en)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201702552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US20150370786A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translation
KR102051585B1 (ko) 멀티 터치를 이용한 핸드 라이팅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075424B1 (ko)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4220A (ko)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JP2014203305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6293761B2 (ja) ユーザ端末装置、ユーザ端末装置の文字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700619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91943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6020379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6010355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80218A (ko) 모션센서를 이용한 텍스트 에디터의 커서 이동 방법, 그리고 모션센서를 이용한 텍스트 에디터의 커서 이동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20160252983A1 (en) Simulation keyboard shortcuts with pen input
US11042289B2 (en)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10191951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40019179A (ko)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KR2017000968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124637A (ko) 터치 입력 시스템, 터치 입력 보조 장치 및 그의 터치 입력에 대한 피드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