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220A -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220A
KR20170004220A KR1020150094269A KR20150094269A KR20170004220A KR 20170004220 A KR20170004220 A KR 20170004220A KR 1020150094269 A KR1020150094269 A KR 1020150094269A KR 20150094269 A KR20150094269 A KR 20150094269A KR 20170004220 A KR20170004220 A KR 20170004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keypad
main display
elements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1051B1 (ko
Inventor
나탈리아 파스즈키에위즈
토마즈 로버트 그다라
안제이 그루핀스키
미카엘 루카즈 가예브스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051B1/ko
Priority to PCT/KR2016/003375 priority patent/WO2017003068A1/en
Priority to CN201680039134.1A priority patent/CN107710137B/zh
Priority to US15/094,381 priority patent/US10572148B2/en
Priority to EP16165044.5A priority patent/EP3113007B1/en
Publication of KR20170004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장치 및 이의 표시 방법이 제공된다. 본 전자장치는 전자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는 메인 표시영역 및 제1 키패드를 표시하는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선택된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문자가 메인 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KEYPAD AND KEYPAD DISPLAY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표시영역에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장치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장치의 크기도 최소화되면서 그 기능은 더욱 다양해져, 그 수요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나,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과 같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장치에 구비된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그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전자장치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나 사용자 인터렉션 방식에 대해서도 다양한 니즈(needs)가 발생하고 있다. 즉, 컨텐츠의 종류 및 기능이 크게 증대함에 따라, 단순히 버튼을 선택하거나, 전자장치의 전면에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종래의 인터렉션 방식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한 방식으로 전자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지원할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개시의 목적은, 메인 표시영역의 측면에 위치한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지원할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표시영역,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1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은, 문자 입력 필드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문자 입력 필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를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선택된 일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 필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은, 상기 전자장치의 수직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순서에 따라(according to)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키패드는, 문자가 표시될 위치를 지시하거나 또는 기 작성된 문자를 삭제하는 UI 엘리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 방법은,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과 상기 제2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 방법은,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크기가 조절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1 키패드를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 방법은,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위치가 이동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1 키패드를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 방법은, 다른 키패드를 표시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2 키패드를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과 상기 제2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 방법은,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선택된 일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문자와 관련된 다른 문자들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 방법은, 상기 제1 키패드에 다른 UI 엘리먼트들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고, 다른 UI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표시영역,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1 측에 위치한 제1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에 위치한 제2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은, 문자 입력 필드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문자 입력 필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1 문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를 상기 제1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제2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를 상기 제2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 및 상기 제2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선택된 일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 필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표시영역,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1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는, 문자 입력 필드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를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일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문자가 상기 문자 입력 필드에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은, 상기 전자장치의 수직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키패드는, 문자가 표시될 위치를 지시하거나 또는 기 작성된 문자를 삭제하는 UI 엘리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를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과 상기 제2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따라, 크기가 조절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1 키패드가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따라, 위치가 이동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1 키패드가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다른 키패드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따라, 제2 키패드가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과 상기 제2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일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문자와 관련된 다른 문자들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가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키패드에 다른 UI 엘리먼트들을 표시하기 위한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고, 다른 UI 엘리먼트들이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표시영역,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1 측에 위치한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1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에 위치한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2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문자 입력 필드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제1 문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를 상기 제1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제2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를 상기 제2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문자가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 및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기본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외관 구성 예 및 그 단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 1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2 내지 도 3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보조 표시 영역에 키패드가 표시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31 내지 도 3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표시 영역에 표시된 키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은, 터치 입력, 벤딩 입력, 음성 입력, 버튼 입력, 모션 입력 및 다중(multimodal)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터치 입력"이란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및 커버에 행하는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 상에 접촉되지 않고,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상태의 터치(예컨대, 플로팅(floating) 또는 호버링(hovering))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에는 터치&홀드 제스처, 터치 후 해제하는 탭 제스처, 더블 탭 제스처, 패닝 제스처, 플릭 제스처, 터치 후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드래그 제스처, 핀치 제스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버튼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에 부착된 물리적인 버튼을 이용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션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장치에 가하는 모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션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를 회전시키거나, 장치를 기울이거나, 장치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실시 예에서, "다중 입력"은,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방식이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모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지도 애플리케이션, 메모 애플리케이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폰 북 애플리케이션, 방송 애플리케이션, 운동 지원 애플리케이션, 결제 애플리케이션, 사진 폴더 애플리케이션, 웹 어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구별하기 위한 고유의 정보일 수 있다.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는, 아이콘, 인덱스 항목, 링크 정보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UI(User Interaction) 엘리먼트는 사용자와 인터렉션이 가능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또는 후각적 등의 피드백이 가능한 엘리먼트를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키패드는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어 터치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와 인터렉션이 가능한 가상의(virtual) 키패드를 의미한다. 키패드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UI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를 선택하면, 전자장치는 선택된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문자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선택된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문자를 문자 입력 필드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장치(1000)의 기본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0)는 표시부(100), 감지부(4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한편, 도 1의 전자장치(1000)는 구체적으로는, TV, PC, 랩탑 PC,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자 액자, 테이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랩탑 PC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명명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표시부(1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영역을 제공한다. 여기서, 표시영역은 메인 표시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 표시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표시영역과 보조 표시영역은 다양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두 영역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영역을 메인 표시영역이라고 하고, 크기가 작은 영역을 보조 표시영역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는, 홈 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한 홈 버튼이나 전면 스피커 등이 배치된 면과 동일한 면에 위치한 영역을 메인 표시영역이라고 하고, 측면에 위치한 영역을 보조 표시영역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또는, 메인 표시영역은 영역 내의 UI를 직접 컨트롤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고, 보조 표시영역은 메인 표시영역의 UI를 컨트롤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또는, 전자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한 영역을 메인 표시영역이라고 하고,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메인 표시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구부러진 영역을 보조 표시영역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이때, 보조 표시영역의 면적은 메인 표시영역보다는 작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보조 표시영역은 메인 표시영역과 상이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령, 메인 표시영역이 전자장치(1000)의 전면(front surface)에 배치되었다면, 적어도 하나의 보조 표시영역은 전자장치(1000)의 외관을 이루는 면(surface)들 중에서 우측 면(right side surface), 좌측 면(left side surface), 상측 면(upper side surface), 하측 면(lower side surface) 등과 같이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면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면은 둔각을 이루도록 고정될 수 있다. 보조 표시영역의 형태, 위치, 개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보조 표시영역이 전자장치(1000)의 외관을 이루는 면들 중 사이드 면에 위치하는 경우, 보조 표시영역을 엣지 영역이라 할 수 있다.
감지부(400)는 표시영역 상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400)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표시부(100)의 메인 표시영역 및 복수의 보조 표시영역을 이용하여 전자장치(10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 중인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문자가 메인 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메인 표시영역(1010) 및 두 개의 보조 표시영역들(1020,1030)로 구분되는 표시부(100)를 포함하는 전자장치(1000)의 외관 구성 예 및 그 단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메인 표시영역(1010)은 전면에 배치되고,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이 배치된다. 메인 표시영역(1010)과 각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은 경계 영역들(1050-1, 1050-2)에 의해 구분된다. 이때, 표시부(100)가 벤딩된 상태라는 점을 고려하여, 경계 영역들(1050-1,1050-2)은 다르게는 벤딩 라인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이때, 경계 영역들(1050-1,1050-2)은 전자장치(1000)의 전면과 측면 간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경계 영역들(1050-1,1050-2)이 전자장치(1000)의 측면에 가까운 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의 일부는 전자장치(1000)의 전면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전자장치(10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전자장치(100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에 따르면, 각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은 전면 방향에서 시청 가능하도록 메인 표시영역(1010)과 둔각을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다. 즉, 각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0)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일부만을 감싸듯이 벤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메인 표시영역(1010) 및 두 개의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로 구분되는 표시부(100)를 포함하는 전자장치(1000)의 외관 구성 예 및 그 단면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두 개의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은 메인 표시영역(1010)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배치되며, 전면 방향이 아닌 우측 및 좌측 방향에서 시청 가능한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메인 표시영역(1010)과 각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은 경계 영역들(1050-1, 1050-2)에 의해 구분된다.
도 5는 도 4의 전자장치(100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5에 따르면, 각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은 메인 표시영역(1010)을 포함하는 면과, 90도에 가깝게 벤딩될 수 있다. 즉, 각 보조 표시영역들(1020,10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0)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전부를 감싸듯이 벤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메인 표시영역(1010) 및 세 개의 보조 표시영역들(1020,1030,1040)로 구분되는 표시부(100)를 포함하는 전자장치(1000)의 외관 구성 예 및 그 단면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따르면, 두 개의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은 메인 표시영역(1010)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배치되며, 하나의 보조 표시영역(1040)은 메인 표시영역(10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표시영역(1010)과 두 개의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은 경계 영역들(1050-1, 1050-2)에 의해 구분되며, 후면에 배치된 보조 표시영역(1040)과 두 개의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은 경계 영역(1050-3, 1050-4)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전자장치(100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에 따르면, 세 개의 보조 표시영역(1020,1030,1040)은 전자장치(1000)의 좌측면, 우측면 및 후면을 모두 감싸도록 벤딩될 수 있다.
한편, 전자장치(1000)는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면과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면은 경계 영역에서 둔각(θ)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된다. 이 밖에도, 단면 구성은 사다리꼴, 5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표시부(100)가 전자장치(1000)의 전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벤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표시부(100)는 전자장치(1000)의 전면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벤딩될 수도 있다.
도 8은 표시부(100)가 세로 방향으로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표시부(100)는 전자장치(1000)의 전면에 배치된 메인 표시영역(1010) 및 상측 면, 하측 면 각각에 배치된 보조 표시영역들(1020,1030)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메인 표시영역(1010)과 상측 면 및 하측 면에 배치된 보조 표시영역들(1020,1030)은 경계 영역(1050-1,1050-2)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8에서는 두 측면에만 보조 표시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세 측면 이상에 보조 표시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는 메인 표시영역(1010) 및 네 개의 보조 표시영역들(1020,1030,1040,10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표시영역(1010)과 네 개의 면에 배치된 보조 표시영역들(1020,1030,1040,1050)은 경계 영역들(1050-1,1050-2,1050-3,1050-4)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9에서는,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이 라운드 형태인 곡면 형태로 구성되어 메인 표시영역(1010)을 포함하는 면과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을 포함하는 곡면이 둔각(θ)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은 평면 형태로 구성되어, 메인 표시영역(1010)을 포함하는 면과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을 포함하는 면이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표시영역(1010)을 포함하는 평면과, 보조 표시영역들(1020, 1030)을 포함하는 평면은, 경계 영역들(1050-1,1050-2)을 따라 접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라운드 형태인 곡면 형태로 구성된 보조 표시영역을 곡면 보조 표시영역이라고 칭하고, 평면 형태로 구성된 보조 표시영역을 평면 보조 표시영역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곡면 보조 표시영역과 보조 표시영역을 아울러서 보조 표시영역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에서는, 표시부(100), 감지부(4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전자장치(1000)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전자장치(100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컨텐츠를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어부(200)는 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컨텐츠가 메인 표시영역 및 복수의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전자장치(10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a는 휴대폰으로 구현된 전자장치(10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a에 따르면, 전자장치(1000)는 표시부(100), 제어부(200), 저장부(310), GPS 칩(320), 통신부(330), 비디오 프로세서(340), 오디오 프로세서(350), 버튼(360), 마이크부(370), 촬상부(380), 스피커부(390), 감지부(400)를 포함한다.
표시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표시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0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00)는 감지부(400)에 포함된 터치 감지부와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터치 감지부는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표시부(100)의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아래에 모두 실장될 수 있으며, 또는 표시부(100)의 보조 표시영역 아래에만 실장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에는 정전식 방식과 감압식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정전식은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패널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펜 인식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의 펜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펜 근접 이벤트 값 또는 펜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표시부(100)의 메인 표시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에 실장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뿐 아니라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표시부(100)는 복수의 일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일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서로 연결하여 구부러진 터치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저장부(310)는 전자장치(10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부(310)에는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부(100)의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각각에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화면 및 키패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200)는 표시부(100)가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화면 및 키패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메인 표시영역, 보조 표시영역 및 그 사이의 경계에 해당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 터치가 이루어지면, 그 터치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RAM(210), ROM(220), CPU(230), GPU(Graphic Processing Unit)(240), 버스(250)를 포함한다. RAM(210), ROM(220), CPU(230), GPU(Graphic Processing Unit)(240) 등은 버스(25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230)는 저장부(31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31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3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220)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230)는 ROM(220)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310)에 저장된 O/S를RAM(210)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23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210)에 복사하고, RAM(210)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240)는 전자장치(1000)의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중에서 활성화된 영역에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240)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표시부(100)로 제공되어,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GPS 칩(32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장치(10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20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나 그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필요할 경우에, GPS 칩(320)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330)는 와이파이 칩(331), 블루투스 칩(332), 무선 통신 칩(333), NFC 칩(334)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통신부(33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331), 블루투스 칩(33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331)이나 블루투스 칩(33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333)은IEEE,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334)은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비디오 프로세서(340)는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프로세서(34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350)는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프로세서(35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비디오 프로세서(340) 및 오디오 프로세서(350)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표시부(100)는 비디오 프로세서(340)에서 생성한 이미지 프레임을 메인 표시영역,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부(390)는 오디오 프로세서(350)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버튼(360)은 전자장치(10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마이크 부(37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200)는 마이크 부(3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310)에 저장할 수 있다.
촬상부(38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촬상부(380)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380)는 사용자의 시선 추적을 위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촬상부(380) 및 마이크 부(370)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200)는 마이크 부(3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촬상부(380)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전자장치(10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촬상부(38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마이크 부(37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가 지원되는 전자장치(1000)에서는, 음성 인식 기술 또는 모션 인식 기술이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홈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듯한 모션을 취하거나, 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음성 명령어를 발음하는 경우, 해당 오브젝트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오브젝트에 매칭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감지부(400)는 전자장치(1000)의 다양한 상태 및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사용자가 전자장치(1000)를 파지하고 있는 파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000)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감지부(400)는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회전 움직임 또는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전자장치(1000)의 기울기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상에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11a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전자장치(10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310)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도 11b는 전자장치(10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b에 따르면, 저장부(310)에는 OS(1110), 커널(1120), 미들웨어(1130), 어플리케이션(1140)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1110)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1110)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1120)은 감지부(40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1120)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1120)는 전자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11b에 따르면, 미들웨어(1130)는 X11 모듈(1130-1), APP 매니저(1130-2), 연결 매니저(1130-3), 보안 모듈(1130-4), 시스템 매니저(1130-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130-6), UI 프레임워크(1130-7), 윈도우 매니저(1130-8), 필기 인식 모듈(1130-9)을 포함한다.
X11 모듈(1130-1)은 전자장치(10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제스처가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alarm)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1130-2)는 저장부(31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1140)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1130-2)는 X11 모듈(113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연결 매니저(1130-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1130-3)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1130-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1130-5)는 전자장치(10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1130-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1130-7)나 서브UI 프레임워크(1130-9)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130-6)는 전자장치(10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130-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UI 프레임워크(1130-7)는 표시부(100)의 메인 표시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1130-9)는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1130-7)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1130-9)는 각종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오브젝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오브젝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130-8)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130-8)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1130-7)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1130-9)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그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감지부(400)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1140)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1140-1 ~ 1140-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임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CPU(230)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모듈(1140)을 이용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1b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저장부(31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PDA, MP3 플레이어, 전자 액자 장치, TV, PC, 키오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a 및 도 11b에서 설명한 구성은, 전자장치(10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0)는 다양한 형태 및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0)의 제어부(200)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1000)의 키패드 표시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가 표시되는 보조 표시영역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2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제1 보조 표시영역(1020) 및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각각에 제1 키패드(1201) 및 제2 키패드(1202)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메인 표시영역(1010)에는 제1 키패드(1201) 및 제2 키패드(1202)를 통한 사용자 인터렉션의 결과가 적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서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설명하나, 메인 표시영역에 표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화면은, 문서 어플리케이션 화면, 메모 어플리케이션 화면 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화면에는 제1 키패드(1201) 및 제2 키패드(1202)를 통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 입력 필드(1203)가 포함될 수 있다. 문자 입력 필드(1203)에는 커서(1203-1)가 포함될 수 있다. 커서(1203-1)는 키패드를 통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문자 입력 필드(1203) 내에 문자가 입력되는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키패드는 복수의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UI 엘리먼트들은 문자 UI 엘리먼트 중 편집 UI 엘리먼트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자 UI 엘리먼트는 일 문자에 대응되어 키패드의 일 영역을 차지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는 알파벳, 한글, 한자 등 다양한 나라의 글자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숫자, 특수문자, 이모티콘 또는 특수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사람 간에 의사소통을 위한 모든 시각적인 기호 체계가 문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키패드가 알파벳 'A' 내지 'M' 각각에 대응하는 각각의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면, 제2 키패드는 알파벳 'N' 내지 'Z' 각각에 대응하는 문자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문자 UI 엘리먼트들은 전자장치(1000)의 일 측면의 수직 방향을 따라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엘리먼트들은 보조 표시영역에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순서는, 알파벳 순서, 숫자 순서 또는 한글 순서 등이 될 수 있다.
편집 UI 엘리먼트는 기 입력된 문자를 삭제하거나 또는 문자가 표시될 위치를 지시하는 등의 편집 기능에 대응되어 키패드의 일 영역을 자치할 수 있다. 여기서, 편집 기능은 예를 들어, 백스페이스 기능, 스페이스 기능, 엔터 기능, 삭제 기능, 탭(Tab) 기능, 문자 입력 완료 기능 또는 상/하/좌/우 이동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a) 내지 (c)와 같이, 편집 UI 엘리먼트들은 키패드에 중앙에 위치하고, 문자 UI 엘리먼트들은 편집 UI 엘리먼트들을 중심으로 키패드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문자 입력 필드는 하나의 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 필드는 복수의 열들로 메인 표시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고, 복수의 열들을 합한 크기의 하나의 열로 메인 표시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 문자 입력 필드에는 키패드를 통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른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패드들이 보조 표시영역들(1020,1030)에 표시됨에 따라, 메인 표시영역(1010)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키패드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고 충분히 보여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양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1 키패드 및 제2 키패드 각각을 통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키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속도가 향상되게 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된 키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의 (a)에서, 제어부(200)는 제1 보조 표시영역(1020) 및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각각에 제1 키패드(1301) 및 제2 키패드(1302)가 표시되고, 메인 표시영역(1010)에는 제1 키패드(1301) 및 제2 키패드(1302)를 통한 사용자 인터렉션의 결과가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400)는 제2 키패드(1302)에 포함된 UI 엘리먼트(1302-1)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제2 키패드(1302)에 포함된 UI 엘리먼트(1302-1)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13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메인 표시영역(1010)에 포함된 문자 입력 필드(1303)에 선택된 UI 엘리먼트(1302-1)에 대응하는 문자(1303-1)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된 키패드를 조절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일 실시 예로, 도 14의 (a)에서, 제어부(200)는 제1 보조 표시영역(1020) 및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각각에 제1 키패드(1401) 및 제2 키패드(1402)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400)는 제2 키패드(1402)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상에 핀치 제스처(Pinch Gesture)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핀치 제스처는 핀치 아웃 제스처(Pinch Out Gesture)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14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높이가 늘어난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1402)가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제2 키패드(1402)에 중앙에 위치한 편집 UI 엘리먼트들이 사라지고, 편집 UI 엘리먼트들이 사라진 영역까지 문자 UI 엘리먼트들의 크기가 확장되어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15의 (a)에서, 제어부(200)는 제1 보조 표시영역(1020) 및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각각에 제1 키패드(1501) 및 제2 키패드(1502)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400)는 제2 키패드(1502)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상에 핀치 제스처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핀치 제스처는 핀치 인 제스처(Pinch In Gesture)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15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높이가 줄어든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1502)가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핀치 제스처에 따른 터치 드래그의 이동 양에 비례하여 제2 키패드(1502)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의 크기가 줄어들어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6의 (a)에서, 제어부(200)는 제1 보조 표시영역(1020) 및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각각에 제1 키패드(1601) 및 제2 키패드(1602)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400)는 제2 키패드(1602)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상에 멀티 터치를 유지한 체로 일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16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위치가 L1(1603) 거리만큼 이동된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가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0)는 터치 드래그가 이루어진 방향으로 터치 드래그의 이동 양에 비례하여 UI 엘리먼트들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7의 (a)에서, 제어부(200)는 제1 보조 표시영역(1020) 및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각각에 제1 키패드(1701) 및 제2 키패드(1702)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400)는 제2 키패드(1702)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상의 일 지점에 롱 터치를 유지한 체로 수직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17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위치가 L2 거리(1703)만큼 이동된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1702)가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0)는 터치 드래그가 이루어진 방향으로 터치 드래그의 이동 양에 비례하여 UI 엘리먼트들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표시영역에 다른 키패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일 실시 예로, 도 18의 (a)에서, 제어부(200)는 제1 보조 표시영역(1020) 및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각각에 제1 키패드(1801) 및 제2 키패드(1802)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400)는 다른 키패드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상의 일 지점을 터치 후 수평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18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제2 키패드(1802)가 제거되고 제3 키패드(1803)가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키패드(1802)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과 제3 키패드(1803)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을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키패드(1802)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은 대문자 알파벳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인 반면에 제3 키패드(1803)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은 소문자 알파벳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일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400)는 또 다른 키패드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상의 일 지점을 터치 후 수평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18의 (c)와 같이, 제어부(200)는 제3 키패드(1803)가 제거되고 제4 키패드(1804)가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키패드(1803)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과 제4 키패드(1804)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을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키패드(1803)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은 소문자 알파벳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인 반면에 제4 키패드(1804)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은 특수문자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19의 (a)에서, 제어부(200)는 제1 보조 표시영역(1020) 및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각각에 제1 키패드(1901) 및 제2 키패드(1902)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다른 키패드를 표시하기 위한 키패드 전환 버튼(1905)이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400)는 다른 키패드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키패드 전환 버튼(1905)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19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제2 키패드(1902)가 제거되고 제3 키패드(1903)가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키패드(1902)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과 제3 키패드(1903)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을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키패드를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사용자는 키패드를 편집하기 위한 키패드 편집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장치(1000)의 메뉴 버튼을 선택하여 키패드 편집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환경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키패드 편집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퀵 패널을 통하여 키패드 편집 모드를 실행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사용자가 키패드 편집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키패드 편집 모드가 실행되면, 도 20의 (a)와 같이, 제어부(200)는 복수의 키패드들(2002,2003,2004)이 메인 표시영역(1010)의 일부 및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키패드들(2002,2003,2004) 각각은 서로 다른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키패드들(2002,2003,2004) 중 제2 키패드(2002)는 소문자 알파벳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제3 키패드(2003)는 대문자 알파벳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제4 키패드(2004)는 특수문자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400)는 복수의 키패드들(2002,2003,2004) 중 제2 키패드(2002)에 포함된 일 UI 엘리먼트(2002-1)를 제3 키패드(2003)에 포함된 일 UI 엘리먼트(2003-1)와 교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복수의 키패드들(2002,2003,2004) 중 제2 키패드(2002)에 포함된 일 UI 엘리먼트(2002-1) 상에서 터치가 이루어진 후, 해당 터치가 드래그되어 제3 키패드(2003)에 포함된 일 UI 엘리먼트(2003-1) 상에서 해제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20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제2 키패드(2002)에 포함된 일 UI 엘리먼트(2002-1)를 제3 키패드(2003)에 포함된 일 UI 엘리먼트(2003-1)와 교환하여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제2 키패드(2002)에 대문자 알파벳 'R'에 대응하는 일 UI 엘리먼트(2002-1)가 소문자 알파벳 'r'에 대응하는 일 UI 엘리먼트(2003-1)로 교환되어 표시되고, 제3 키패드(2003)에 소문자 알파벳 'r'에 대응하는 일 UI 엘리먼트(2003-1)가 대문자 알파벳 'R'에 대응하는 일 UI 엘리먼트(2002-1)로 교환되어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400)는 복수의 키패드들(2002,2003,2004) 중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될 키패드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복수의 키패드들(2002,2003,2004) 중 제3 키패드(2003)를 일정 시간 이상 롱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20의 (c)와 같이, 제어부(200)는 결정된 제3 키패드(2003)가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3 키패드(2003)에는 키패드 편집 결과에 따라 제2 키패드(2002)에 포함되었던 교환된 일 UI 엘리먼트(2002-1)가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와 관련된 키패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일 실시 예로, 도 21의 (a)에서, 제어부(200)는 제1 보조 표시영역(1020) 및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각각에 제1 키패드(2101) 및 제2 키패드(2102)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키패드(2101)에는 알파벳 'A' 내지 'M'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이 포함되고, 제2 키패드(2102)에는 알파벳 'N' 내지 'Z'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400)는 제1 키패드(2101)에 포함된 일 UI 엘리먼트(2101-1)와 관련된 UI 엘리먼트들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제1 키패드(2101)에 포함된 UI 엘리먼트(2101-1)를 일정 시간 이상 롱 터치하거나 또는 호버링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21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선택된 UI 엘리먼트(2101-1)에 대응되는 문자와 관련된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3 키패드(2103)가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UI 엘리먼트(2101-1)에 대응하는 문자가 알파벳 'D'인 경우, 제어부(200)는 알파벳 'D'를 병음으로 갖는 한자 또는 후보 한자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3 키패드(2103)가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0)는 선택된 UI 엘리먼트(2101-1)는 제3 키패드(2103)가 표시되는 동안에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 도 22의 (a)에서, 제어부(200)는 제1 보조 표시영역(1020) 및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각각에 제1 키패드(2201) 및 제2 키패드(2202)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키패드(2201)에는 알파벳 'A' 내지 'M'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이 포함되고, 제2 키패드(2202)에는 알파벳 'N' 내지 'Z'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400)는 제1 키패드(2201)에 포함된 UI 엘리먼트(2201-1)와 관련된 UI 엘리먼트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제1키패드(2201)에 포함된 UI 엘리먼트(2201-1)를 일정 시간 이상 롱 터치하거나 또는 호버링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22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선택된 UI 엘리먼트(2201-1)에 대응하는 단어와 관련된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3 키패드(2203)가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UI 엘리먼트(2201-1)에 대응하는 문자가 알파벳 'D'인 경우,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이력 정보를 참조하여 알파벳 'D'로 시작하는 단어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3 키패드(2203)가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알파벳 'D'로 시작하는 단어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은 최근에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순서대로 제3 키패드(2203)에 배열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도 23의 (a)에서, 제어부(200)는 제1 보조 표시영역(1020) 및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각각에 제1 키패드(2301) 및 제2 키패드(2302)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키패드(2301)에는 제1 하이라키에 포함되는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이 포함되고, 제2 키패드(2302)에는 제1 하이라키에 포함되는 다른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400)는 제1 하이라키에 포함된 일 문자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2301-1)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제1 하이라키에 포함된 일 문자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2301-1)를 일정 시간 이상 롱 터치하거나 또는 호버링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23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선택된 UI 엘리먼트(2301-1)와 관련된 제2 하이라키에 포함된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이 포함된 제3 키패드(2303)가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하이라키에 포함된 문자들은 제1 하이라키에 포함된 문자들의 하위 그룹에 속하는 문자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이라키에 포함된 문자들은 제1 하이라키에 포함된 문자들의 소문자, 볼드체, 필기체, 제1 색의 문자, 제1 크기의 문자들이 될 수 있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특성에 따라 구분된 키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일 실시 예로, 도 24의 (a)에서, 제어부(200)는 제1 보조 표시영역(1020) 및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각각에 제1 키패드(2401) 및 제2 키패드(2402)가 표시되고, 메인 표시영역(1010)에는 제1 키패드(2401) 및 제2 키패드(2402)를 통한 사용자 인터렉션의 결과가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0)는 제1 특성을 가진 문자들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2401)를 제1 보조 표시영역(1020)에 표시하고, 제2 특성을 가진 문자들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2402)를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복수의 자음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2401)를 제1 보조 표시영역(1020)에 표시하고, 복수의 모음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2402)를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할 수 있다.
자음은, 예를 들어, 한글에서는 'ㄱ', 'ㄴ', 'ㄷ', 'ㄹ' 등이 될 수 있으며, 알파벳에서는 'B', 'C', 'D', 'F', 'G'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모음은, 예를 들어, 한글에서는 'ㅏ', 'ㅑ', 'ㅓ', 'ㅕ' 등이 될 수 있으며, 알파벳에서는 'A', 'E', 'I', 'O'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400)는 제1 키패드(2401)에 포함된 UI 엘리먼트(2401-1)와 제2 키패드(2402)에 포함된 UI 엘리먼트(2402-1)를 각각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일정 시간(예로, 0.3초 내지 1초) 이내에 제1 키패드(2401)와 포함된 UI 엘리먼트(2401-1)와 제2 키패드(2402)에 포함된 UI 엘리먼트(2402-1)를 함께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24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제1 키패드(2401)에서 선택된 UI 엘리먼트(2401-1)에 대응하는 문자와 제2 키패드(2402)에서 선택된 UI 엘리먼트(2402-1)에 대응하는 문자가 조합된 결과인 텍스트(2405)가 메인 표시영역(1010)에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키패드(2401)에서 선택된 UI 엘리먼트(2401-1)에 대응하는 문자가 한글의 자음 'ㄹ'이고, 제2 키패드(2402)에서 선택된 UI 엘리먼트(2402-1)에 대응하는 문자가 한글의 모음 'ㅓ'인 경우, 제어부(200)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두 문자의 조합인 '러'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UI 엘리먼트를 제공하는 키패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일 실시 예로, 도 25의 (a)에서, 제어부(200)는 제1 보조 표시영역(1020) 및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각각에 제1 키패드(2501) 및 제2 키패드(2502)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키패드(2501)는 복수의 자음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이 포함되고, 제2 키패드(2502)에는 복수의 모음을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400)는 다른 UI 엘리먼트가 포함된 제1 키패드(2501)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제1 보조 표시영역(1020) 상의 일 지점을 터치 후 수직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25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기존의 제1 키패드(2501)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일부 UI 엘리먼트들(2501-1)이 제거되고, 다른 UI 엘리먼트들(2501-2)이 포함된 제1 키패드(2501)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ㄱ', 'ㄲ', 'ㄴ', 'ㄷ' 문자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이 제거되고, 'ㅉ', 'ㅊ', 'ㅋ', 'ㅌ' 문자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이 제1 키패드(2501)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들 간 연관 정도를 고려하여 키패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일 실시 예로, 제어부(200)는 문자들 간 연관 정도의 기준이 될 수 있는 문자 상호 가중치를 고려하여 제1 키패드(2601)에 포함되는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 및 제2 키패드(2602)에 포함되는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을 결정할 수 있다. 문자 상호 가중치는, 문자 입력 이력에서 적어도 두 개의 문자들이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빈도와 관련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이력은, 일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분석된 기 저장된 문자 입력 이력일 수도 있고, 또는 전자장치(100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입력한 문자 입력 이력이 될 수도 있다.
도 26의 (a)는, 문자 입력 이력에서 문자들이 연속적으로 입력된 빈도를 나타내는 빈도 테이블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26의 (a)에서, 문자 입력 이력으로부터 알파벳 'E'와 알파벳 'R'간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빈도는 '91493' 값이 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빈도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1 문자와 연속하여 입력될 가능성이 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0)는 빈도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1 문자와 연속적으로 입력된 빈도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을 갖는 문자를 제2 문자로 결정하거나, 제1 문자와 연속적으로 입력된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일정한 개수의 문자를 제2 문자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의 (b)에서, 제어부(200)는 알파벳 'R'과 연속하여 입력될 가능성이 높은 문자로 알파벳 'E'와 알파벳 'O'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알파벳 'N'과 연속하여 입력될 가능성이 높은 문자로 알파벳 'A', 알파벳 'I'와 알파벳 'O'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6의 (c)와 같이, 제어부(200)는 제1 문자 및 제1 문자와 연속하여 입력될 가능성이 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문자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제1 문자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이 포함된 제1 키패드(2601)가 제1 보조 표시영역(1020)에 표시되고, 제2 문자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이 포함된 제2 키패드(2602)가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키패드(2601)에 포함된 일 UI 엘리먼트(2601-1)에 대응하는 문자인 알파벳 'R'과 연속하여 입력될 가능성이 높은 문자들이 알파벳 'E'와 알파벳 'O'인 경우, 제어부(200)는 일 UI 엘리먼트(2601-1)의 위치와 가까운 제2 키패드의 위치에 알파벳 'E'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2602-1)와 알파벳 'O'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2602-2)가 위치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UI 엘리먼트(2601-1)의 위치와 떨어진 제2 키패드의 위치에는 알파벳 'R'과 연속하여 입력될 가능성이 낮은 문자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자 입력 이력을 이용하여 제1 키패드(2601) 및 제2 키패드(2602)의 UI 엘리먼트들의 위치가 결정됨으로써, 전자장치(10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인터렉션 속도가 향상되고, 이에 따라 전자장치(1000)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가 증가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표시영역에 한 손 모드의 키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선호 또는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한 손으로 전자장치(1000)를 이용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한 손 모드를 실행하여 한 손으로 사용자 인터렉션이 용이하도록 제1 키패드(2701)를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한 손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장치(1000)의 메뉴 버튼을 선택하여 한 손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환경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한 손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퀵 패널을 통하여 한 손 모드를 실행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사용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한 손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손 모드가 실행되면, 도 27의 (a)와 같이 제어부(200)는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제1 키패드(2701)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전자장치(1000)를 파지한 경우를 고려하여, 전자장치(1000)의 우측의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제1 키패드(2701)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키패드(2701)에는 알파벳 'A' 내지 'M'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400)는 제1 키패드(2701)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상의 일 지점을 터치 후 수직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27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기존의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일부 UI 엘리먼트들(2701-1)가 제거되고, 다른 UI 엘리먼트들(2701-2)이 포함된 제1 키패드(2701)가 제2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A', 'B', 'C', 'D' 문자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2701-1)이 제거되고, 'N', 'O', 'P', 'Q' 문자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2701-2)이 제1 키패드(2701)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된 제1 키패드의 크기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의 인터렉션에 따라 다른 UI 엘리먼트들이 표시됨으로써, 전자장치(1000)를 한 손으로 조작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한 손 모드가 실행되면, 도 28의 (a)와 같이, 제어부(200)는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및 메인 표시영역(1010)의 측면을 따라서 제1 키패드(2801)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전자장치(1000)를 파지한 경우를 고려하여,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및 메인 표시영역(1010)의 하측 일부에 제1 키패드(2801)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키패드(2801)에는 알파벳 'A' 내지 'R'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400)는 제1 키패드(2801)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상의 일 지점을 터치 후 수직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28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기존의 제1 키패드(2801)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일부 U 엘리먼트들(2801-1)가 제거되고, 다른 UI 엘리먼트들(2801-2)이 포함된 제1 키패드(2802)가 제2 보조 표시영역(10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A', 'B', 'C', 'D' 문자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2801-1)이 제거되고, 'S', 'T', 'U', 'V' 문자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2801-2)이 제1 키패드(2801)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8에서는,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및 메인 표시영역(1010)에 제1 키패드(2801)가 이어져서 표시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구현 방식에 따라 제1 키패드(2801)가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및 메인 표시영역(1010) 각각에 제2 키패드 및 제3 키패드로 분리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키패드 및 제3 키패드는 서로 이격되어 표시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연접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도 29 내지 도 3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 결과를 메인 표시영역에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일 실시 예로, 도 29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000)는 제1 보조 표시영역(1020) 및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각각에 제1 키패드(2901) 및 제2 키패드(2902)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메인 표시영역(1010)에는 제1 키패드(2901) 및 제2 키패드(2902)를 통한 사용자 인터렉션의 결과가 적용될 수 있는 메모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400)는 제1 키패드(2901)에 포함된 UI 엘리먼트(2901-1) 및 제2 키패드(2902)에 포함된 UI 엘리먼트(2902-1)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제1 키패드(2901)에 포함된 UI 엘리먼트(2901-1) 및 제2 키패드(2902)에 포함된 UI 엘리먼트(2901-2)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29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메인 표시영역(1010)에 포함된 문자 입력 필드(2903)에 선택된 UI 엘리먼트들(2901-1,2901-2)에 대응하는 텍스트(2903-1)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자 입력 필드(2903)에 표시된 텍스트(2903-1)의 근처에는 표시된 텍스트와 관련된 추천 단어들 목록(2904)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 도 30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000)는 제1 보조 표시영역(1020) 및 제2 보조 표시영역(1030) 각각에 제1 키패드(3001) 및 제2 키패드(3002)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메인 표시영역(1010)에는 제1 키패드(3001) 및 제2 키패드(3002)를 통한 사용자 인터렉션의 결과가 적용될 수 있는 이북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400)는 제1 키패드(3001)에 포함된 UI 엘리먼트(3001-1) 및 제2 키패드(3002)에 포함된 UI 엘리먼트(3002-1)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는 제1 키패드(3001)에 포함된 UI 엘리먼트(3001-1) 및 제2 키패드(3002)에 포함된 UI 엘리먼트(3002-1)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도 30의 (b)와 같이, 제어부(200)는 메인 표시영역(1010)에 포함된 단어들 중 선택된 UI 엘리먼트들(3001-1,3002-1)에 대응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의 적어도 일부(3003)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메인 표시영역(1010)에 이북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단어들 중에서 선택된 UI 엘리먼트들(3001-1,3002-1)에 대응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어의 적어도 일부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된 키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로, 도 31의 단계 S3101에서, 전자장치(1000)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를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000)는 메인 표시영역에는 문자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3103에서, 전자장치(1000)는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S3103-Y), 단계 S3105에서, 전자장치(1000)는 선택된 일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문자를 메인 표시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0)는 메인 표시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문자 입력 필드에 선택된 일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 도 32의 단계 S3201에서, 전자장치(1000)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를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3203에서, 전자장치(1000)는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S3203-Y), 단계 S3205에서, 전자장치(1000)는 위치가 이동된 일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제1 키패드를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3의 단계 S3301에서, 전자장치(1000)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를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3303에서, 전자장치(1000)는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S3303-Y), 단계 S3305에서, 전자장치(1000)는 선택된 일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문자와 관련된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를 제1 곡면 보조표시 영역 또는 제2 곡면 보조표시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일 UI 엘리먼트가 특정 알파벳인 경우, 특정 알파벳과 관련된 UI 엘리먼트들은 특정 알파벳을 포함하는 단어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일 수 있다. 또는, 선택된 일 UI 엘리먼트가 특정 알파벳인 경우, 특정 알파벳과 관련된 UI 엘리먼트들은 특정 알파벳의 하위 그룹에 속하는 문자들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일 수 있다. 또는, 선택된 일 UI 엘리먼트가 특정 알파벳인 경우, 특정 알파벳과 관련된 UI 엘리먼트들은 특정 알파벳을 병음으로 갖는 한자 또는 후보 한자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4의 단계 S3401에서, 전자장치(1000)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를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3403에서, 전자장치(1000)는 다른 키패드를 표시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S3403-Y), 단계 S3405에서, 전자장치(1000)는 제2 키패드를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키패드가 대문자 알파벳들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키패드인 경우, 제2 키패드는 소문자 알파벳들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키패드일 수 있다. 또는, 제2 키패드는 특수문자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키패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5의 단계 S3501에서, 전자장치(1000)는 제1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를 제1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제2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2 키패드를 제2 보조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3503에서, 전자장치(1000)는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및 2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S3503-Y), 단계 S3505에서, 전자장치(100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문자를 메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0)는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선택된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문자와, 제2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문자를 결합하여 메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키패드 표시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전자장치의 키패드 표시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표시부 200: 제어부
400: 감지부 1000: 전자장치

Claims (20)

  1. 메인 표시영역,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1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 필드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문자 입력 필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를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선택된 일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 필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은,
    상기 전자장치의 수직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순서에 따라(according to)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패드는,
    문자가 표시될 위치를 지시하거나 또는 기 작성된 문자를 삭제하는 UI 엘리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과 상기 제2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크기가 조절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1 키패드를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위치가 이동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1 키패드를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다른 키패드를 표시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2 키패드를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과 상기 제2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선택된 일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문자와 관련된 다른 문자들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패드에 다른 UI 엘리먼트들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고, 다른 UI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10. 메인 표시영역,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1 측에 위치한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1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에 위치한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2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 필드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문자 입력 필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1 문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를 상기 제1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제2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를 상기 제2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 및 상기 제2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선택된 일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 필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표시 방법.
  11. 메인 표시영역,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1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문자 입력 필드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를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일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문자가 상기 문자 입력 필드에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은,
    상기 전자장치의 수직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패드는,
    문자가 표시될 위치를 지시하거나 또는 기 작성된 문자를 삭제하는 UI 엘리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를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과 상기 제2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크기가 조절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1 키패드가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따라, 위치가 이동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1 키패드가 상기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다른 키패드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따라, 제2 키패드가 제1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과 상기 제2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문자들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일 UI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문자와 관련된 다른 문자들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가 상기 제2 곡면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키패드에 다른 UI 엘리먼트들을 표시하기 위한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상기 UI 엘리먼트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고, 다른 UI 엘리먼트들이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20. 메인 표시영역,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1 측에 위치한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1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에 위치한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2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문자 입력 필드를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제1 문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를 상기 제1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제2 문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를 상기 제2 보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제1 키패드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들 중 일 UI 엘리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문자가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KR1020150094269A 2015-07-01 2015-07-01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102381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269A KR102381051B1 (ko) 2015-07-01 2015-07-01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PCT/KR2016/003375 WO2017003068A1 (en) 2015-07-01 2016-04-01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keypad and keypad displaying method thereof
CN201680039134.1A CN107710137B (zh) 2015-07-01 2016-04-01 用于显示键区的电子设备及其键区显示方法
US15/094,381 US10572148B2 (en) 2015-07-01 2016-04-08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keypad and keypad displaying method thereof
EP16165044.5A EP3113007B1 (en) 2015-07-01 2016-04-13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keypad and keypad display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269A KR102381051B1 (ko) 2015-07-01 2015-07-01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220A true KR20170004220A (ko) 2017-01-11
KR102381051B1 KR102381051B1 (ko) 2022-03-31

Family

ID=5575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269A KR102381051B1 (ko) 2015-07-01 2015-07-01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72148B2 (ko)
EP (1) EP3113007B1 (ko)
KR (1) KR102381051B1 (ko)
CN (1) CN107710137B (ko)
WO (1) WO20170030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7369A (zh) * 2018-07-17 2020-01-24 三星显示有限公司 电子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20801S1 (en) * 2015-11-04 2018-06-19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CA3064038A1 (en) 2017-06-01 2018-12-06 Valmont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rrigation management using machine learning workflows
WO2019017153A1 (ja) * 2017-07-20 2019-01-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22491B1 (ko) * 2018-02-21 2022-07-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US20190303448A1 (en) * 2018-03-30 2019-10-03 Vidy, Inc. Embedding media content items in text of electronic documen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2934A1 (en) * 2006-09-06 2008-04-03 Kenneth Kocienda Soft Keyboard Display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20100134425A1 (en) * 2008-12-03 2010-06-03 Microsoft Corporation Manipulation of list on a multi-touch display
US20110163973A1 (en) * 2010-01-06 2011-07-07 Bas Ording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Alternative Keys
KR20130127050A (ko) * 2012-05-14 2013-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40087473A (ko) * 2012-12-31 201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두 개 이상의 화면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1530B2 (en) * 2002-08-20 2006-12-19 Canesta,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nput selected by a user through a virtual interface
TWI393029B (zh) * 2007-12-31 2013-04-11 Htc Corp 電子裝置以及於電子裝置上執行指令之方法
WO2011087473A1 (en) * 2010-01-13 2011-07-21 Yoram Ghassabian Information input keyboard and keyboard locator associated therewith
US20130097548A1 (en) * 2010-01-29 2013-04-18 Nokia Corporation Virtual Keyboard, Input Method, and Associated Storage Medium
CN102279698A (zh) * 2010-01-29 2011-12-14 诺基亚公司 虚拟键盘、输入方法和相关的存储介质
US9035888B1 (en) * 2010-10-15 2015-05-19 Cellco Partnership User input method for mobile station having a touchscreen display
US9535511B2 (en) * 2011-06-29 2017-01-03 Sony Corporation Character input device
CN102629160B (zh) * 2012-03-16 2016-08-0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输入法、输入装置及终端
US9547375B2 (en) * 2012-10-10 2017-01-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plit virtual keyboard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KR102114312B1 (ko) * 2012-10-29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CN102981772B (zh) * 2012-11-16 2016-02-10 淘宝(中国)软件有限公司 设置虚拟键盘的方法及装置
IN2013CH00469A (ko) * 2013-01-21 2015-07-31 Keypoint Technologies India Pvt Ltd
US9134881B2 (en) * 2013-03-04 2015-09-15 Google Inc. Graphical input display having a carousel of characters to facilitate character input
US9019170B2 (en) * 2013-03-14 2015-04-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274685B2 (en) * 2013-03-15 2016-03-0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text entry for small-screen devices with touch-based two-stage text input
KR20140131070A (ko) * 2013-05-03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CN104166501A (zh) * 2013-05-17 2014-11-26 华为技术有限公司 菜单显示方法及装置
KR101584590B1 (ko) * 2013-07-11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10671181B2 (en) * 2017-04-03 2020-06-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ext entry interfa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2934A1 (en) * 2006-09-06 2008-04-03 Kenneth Kocienda Soft Keyboard Display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20100134425A1 (en) * 2008-12-03 2010-06-03 Microsoft Corporation Manipulation of list on a multi-touch display
US20110163973A1 (en) * 2010-01-06 2011-07-07 Bas Ording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Alternative Keys
KR20130127050A (ko) * 2012-05-14 2013-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40087473A (ko) * 2012-12-31 201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두 개 이상의 화면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7369A (zh) * 2018-07-17 2020-01-24 三星显示有限公司 电子装置
KR20200009164A (ko) * 2018-07-17 2020-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10727369B (zh) * 2018-07-17 2024-04-12 三星显示有限公司 电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10137A (zh) 2018-02-16
EP3113007B1 (en) 2020-10-21
CN107710137B (zh) 2021-04-09
EP3113007A1 (en) 2017-01-04
US10572148B2 (en) 2020-02-25
KR102381051B1 (ko) 2022-03-31
US20170003874A1 (en) 2017-01-05
WO2017003068A1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23826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698564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580300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81051B1 (ko)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US105792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by using scroll bar
KR102216127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218040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55552A (ko) 메모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EP3287886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0531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1580706B (zh) 提供用户交互的电子设备及其方法
KR2017000968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