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491B1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491B1
KR102422491B1 KR1020180020511A KR20180020511A KR102422491B1 KR 102422491 B1 KR102422491 B1 KR 102422491B1 KR 1020180020511 A KR1020180020511 A KR 1020180020511A KR 20180020511 A KR20180020511 A KR 20180020511A KR 102422491 B1 KR102422491 B1 KR 102422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display
user interface
external devic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672A (ko
Inventor
조선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0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491B1/ko
Priority to US16/957,980 priority patent/US11153018B2/en
Priority to PCT/KR2019/002150 priority patent/WO2019164307A1/ko
Priority to EP19756865.2A priority patent/EP3700106B1/en
Publication of KR20190100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measured or perceived resources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location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proximity to another 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확장된 좁고 긴 영역에,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표시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서 알림(notification)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 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최근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동영상이나 음악을 스트리밍으로 감상하는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 경우, 이동 통신사의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WiFi(Wireless Fidelity)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어 Wifi 서비스 품질은 중요해지고 있다.
현재의 전자 장치는 WiFi 인터넷 사용 시, 무선 AP(access point)의 신호 세기를 단순히 표시하는 것에 그치기 때문에, 전자 장치가 무선 AP가 위치하는 방향을 알기는 어려울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무선 AP의 위치를 알고 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확장된 좁고 긴 영역에,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표시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통신 회로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확장된 좁고 긴 영역에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통신 회로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따라 확장된 좁고 긴 영역에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무선 AP의 방향을 안내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전자 장치의 무선 인터넷 신호 세기를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에지 영역에 형성된 좁고 길게 확장된 영역을 이용하여 무선 AP의 방향을 안내하여,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하면서도 무선 AP의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무선 AP와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무선 AP 간의 거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순차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무선 AP 간의 거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순차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와 무선 AP 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목적의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5)에는 디스플레이(10)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는 터치 패널과 중첩된 터치 스크린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0)는 굴곡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0)는 모서리에 인접한 에지 영역에 굴곡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는 제1 에지 영역(11), 제2 에지 영역(12), 제3 에지 영역(13), 및 제4 에지 영역(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는 제2 에지 영역(12), 제4 에지 영역(14)에는 굴곡된 면을 형성하고, 제1 에지 영역(11), 제3 에지 영역(13)에는 굴곡된 면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10)는 4개의 에지 영역(11, 12, 13, 14)에 모두 굴곡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상측으로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0)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의 하측으로는 소프트 키 형태로 홈 키(25)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소프트 키로 구현된 홈 키(25)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스피커(20)의 주변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component)들을 실장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들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예: 광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들은 카메라(또는, 카메라 모듈(3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들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주기 위한 LED(light emitting diode)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의 (b) 및 도 1의 (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의 일 영역에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에서 발생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0)의 내부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신호의 수신 또는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는,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수신 감도 변화, 통신 관계가 수립된 외부 기기와의 거리 변화, 기 설정된 알람, 또는 내부 시스템 상태 변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예를 들면, 문자 메시지 수신, 전화 수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다양한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속성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의 형태(예: 면, 선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의 색(예: 색조, 명도, 채도, 또는 효과(그라데이션 효과, 점멸 효과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의 이동(예: 픽셀값 제어를 이용한 이동, 복수 개의 이미지들의 연속 표시에 의한 이동 등) 효과,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의 이동 효과가 진행되는 방향,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의 이동 효과가 진행되는 속도, 이동 효과를 표시하는 시작점과 끝점,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가 표시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의 속성을 변경(또는,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에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에지 영역()을 따라서 좁고 긴 형태(예를 들면, 면, 선 등)로 기 설정된 색을 표시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에지 라이팅(Edge-lighting)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명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기 설정된 색을 표시하거나, 또는 점멸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에지 영역(11), 제2 에지 영역(12)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다른 에지 영역에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디스플레이(10)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시작점(51) 또는 끝점(5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10)의 픽셀값 제어, 또는 복수 개의 이미지들의 연속적인 표시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50)가 에지 영역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신 관계를 수립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200)의 통신 가능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두 장치는 통신 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 외부 장치(100)는, 예를 들면, WiFi AP(access Point), 중계기, 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200)와 멀어지게 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사이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간의 거리가 증가하는 것과 통신 송수신 감도의 저하를 알릴 수 있다.
이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통신 시스템과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간의 위치 측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분할 다중 접속,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예를 들면,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이동 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등 포함될 수 있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성 위치 항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 연계될 수 있다. 위성 위치 항법 시스템은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을 이용하여 유용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위치 정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은 전자 장치의 위치를 탐지, 연산 또는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대표적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은,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동,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식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의 이동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실내와 같이 위성 신호의 음영 지대에서는 GPS 모듈을 이용한 전자 장치(100)의 위치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GPS 방식의 위치 측정을 보완하기 위해 와이파이 위치 추적 시스템(WiFi positioning system, WPS)이 이용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 추적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WiFi 모듈 및 WiFi 모듈과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 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system) 기반의 위치 측정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 추적 시스템은 와이파이 위치 측정 서버, 전자 장치(100), 전자 장치(100)와 접속된 무선 AP(200), 임의의 무선 AP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AP와 접속 중인 전자 장치(100)는 와이파이 위치 추적 서버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 추적 서버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전자 장치(100)와 접속된 무선 AP(200)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접속된 무선 AP(200)의 정보는 전자 장치(100)를 통해 와이파이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되거나, 또는 무선 AP(200)에서 와이파이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200)의 정보는, 예를 들면, MAC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 quality),채널 정보, 신호 세기(signal strength), 네트워크 타입,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 추적 서버는 전자 장치(100)와 접속된 무선 AP(200)의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자 장치(100)가 접속 중인 무선 AP(200)에 대응되는 무선 AP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 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채널정보, 네트워크 타입,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의 위치(예를 들면, 건물명, 층수, 실내 위치 등), 무선 AP 소유자 정보(예를 들면, 이름, 연락처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위치 측정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무선 AP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측정 서버는 적어도 세 개의 무선 AP의 좌표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무선 AP(200)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와이파이 위치 측정 서버는 신호 세기를 거리 정보로 변환하거나, 무선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의 차이, 신호가 전달되는 각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 측정 서버는 추출된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예를 들면, 무선 AP(200)에 대한 전자 장치(100)의 상대 적인 거리 및 방향)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 개의 WiFi 안테나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면, 무선 AP(2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복수 개의 WiFi 모듈을 이용하여 Tx Ping(packet internet grouper)을 일정한 주기로 외부 장치(예를 들면, 무선 AP(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Tx Ping의 송수신 시간을 이용하여 위상 연산을 수행하고, 외부 장치(예를 들면, 무선 AP(200))의 위치 정보(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에 대한 무선 AP(200)의 상대 적인 거리 및 방향) 획득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의 통신 가능 영역을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통신 가능 영역은, 예를 들면,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제 1 영역(210)과 통신은 가능하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떨어지는 제2 영역(2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AP(200)가 WiFi AP의 경우, 제1 영역(210)은 18 ~ 20m 일 수 있고, 제2 영역(220)은 28 ~ 30m 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WiFi AP의 성능에 따라서 통신 가능 영역의 범위는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제1 영역(210)에서 벗어나, 제2 영역(220)으로 이동하여 무선 AP(200)와 거리가 멀어지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와 거리가 멀어져서 무선 AP(200) 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낮아지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0)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이용하여 무선 AP(200)가 위치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가 위치하는 방향과 인접한 제1 에지 영역(11), 제2 에지 영역(12)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에지 영역(11), 제2 에지 영역(12)에 기 설정된 색과 형상을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에지 영역(11)과 제2 에지 영역(12)따라 좁고 긴 형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제3 에지 영역(13) 중 제2 에지 영역(12)과 인접한 일 부분과 제1 에지 영역(11)과 인접한 제4 에지 영역(14)의 일 부분에도 그라데이션 효과가 적용된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에 점멸 효과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에 다양한 이미지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신 감도의 저하를 알리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수신 감도가 저하되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50)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전자 장치(100)를 이동해줄 것을 요청하는 내용을 팝업 메시지(250)로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팝업 메시지(250)를 표시한 후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팝업 메시지(250)를 점멸하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100)는 팝업 메시지(250)의 표시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0) 영역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50)가 표시되는 위치를 확인하고, 무선 AP(200)가 위치하는 영역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원활한 무선 통신을 위하여 전자 장치(100)를 무선 AP(20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의 에지 영역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10)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예를 들면, 인터넷 검색, 문서 읽기 등)을 진행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방해하지 않고 무선 AP(200)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무선 AP와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2 영역(220) 중에서 다양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와 전자 장치(100)의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면,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자세, 방향 등과 관련된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A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A 영역은 무선 AP(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X, +Y 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220)으로 이동하면,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와 거리가 멀어지고,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낮아지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가 위치하는 방향을 표시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0)의 제4 에지 영역(14)에 기 설정된 색과 형상을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4 에지 영역(14)에 인접한 제1 에지 영역(11)의 일 부분 또는 제4 에지 영역(14)에 인접한 제3 에지 영역(13)의 일 부분에 그라데이션 효과가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A 영역에서 B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B 영역은 무선 AP(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X, -Y 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상단을 -Y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가 위치하는 방향을 표시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의 제3 에지 영역(13) 및 제4 에지 영역(14)에 기 설정된 색과 형상을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4 에지 영역(14)과 인접한 제1 에지 영역(11)의 일 부분에 그라데이션 효과가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사용하는 자세 또는 방향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의 통신 가능 영역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제2 영역(220)에 진입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와 통신 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최초로 무선 AP(200)와 통신 관계를 수립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와 무선 AP(200)는 상호 통신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동작을 통해 통신 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와 통신 관계 수립 후,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를 확인할 수 있다. 통신 송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이용하여 무선 AP(200)가 위치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가 위치하는 방향과 인접한 제1 에지 영역(11), 제2 에지 영역(12)에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에지 영역(11)과 제2 에지 영역(12)에 기 설정된 색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4 에지 영역(14) 중 제1 에지 영역(11)과 인접한 일부 영역에 그라데이션 효과가 적용된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2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제2 영역(220)에서 제1 영역(210)으로 이동하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와 거리가 가까워지고,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영역(210)으로 이동하여,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높아지고, 무선 AP(200)와 거리가 가까워지면, 디스플레이(10)에 표시 하던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의 모든 에지 영역들(11, 12, 13 14)에 기 설정된 색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50)가 표시하는 색은 전자 장치(100)가 제2 영역(220)으로 이동한 후 표시하는 색과 다른 색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변경된 색을 점멸하여 표시하는 방법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10)의 모든 에지 영역들(11, 12, 13, 14)에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와의 수신 감도가 좋은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팝업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제2 영역(220)에서 제1 영역(210)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의 표시를 종료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제1 영역(210)에서 벗어나, 제2 영역(220)으로 이동하여 무선 AP(200)와의 거리가 멀어지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와 거리가 멀어져서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낮아지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0)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이용하여 무선 AP(200)가 위치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가 위치하는 방향과 인접한 제1 에지 영역(11)과 제2 에지 영역(12)이 만나는 곳에서 시작하여 디스플레이(10)의 에지 영역들(11, 12, 13, 14)을 따라 색이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의 시작점(51)이 제1 에지 영역(11)과 제2 에지 영역(12)이 만나는 곳(즉, 디스플레이(10)의 에지 영역들 중 무선 AP(200)와 인접한 영역)에 표시된 후, 시작점(51)은 제2 에지 영역(1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시작점(51)은 제3 에지 영역(13), 제4 에지 영역(14), 및 제1 에지 영역(11)을 지나 다시 제1 에지 영역(11)과 제2 에지 영역(12)이 만나는 곳에 인접하여 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작점(51)은 제1 에지 영역(11), 제4 에지 영역(14), 제3 에지 영역(13), 및 제2 에지 영역(12) 순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방법으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계속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무선 AP(200)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신 감도의 저하를 알리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수신 감도가 저하되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따라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내용을 팝업 메시지(500)로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팝업 메시지(500)를 표시한 후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100)는 팝업 메시지(500)의 표시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무선 AP 간의 거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순차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제1 영역(210)을 벗어나, 제2 영역(220)으로 이동하여 무선 AP(200)와의 거리가 멀어지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와 거리가 멀어져서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낮아지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0)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이용하여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낮아지는 상황, 또는 무선 AP(200)와의 거리가 증가하는 상황을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에지 영역(11), 제2 에지 영역(12)에 기 설정된 색과 형상을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색의 밝기를 조정하여 일정 주기로 점멸하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제2 영역(220)의 바깥쪽으로 더 이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점멸하는 주기를 더 느리게 하여 전자 장치(100)와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더 낮아지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의 색을 변경하여 전자 장치(100)와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더 낮아지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의 색을 흐리게 표시하여 전자 장치(100)와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더 낮아지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도 5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10)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2 영역(220)의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10)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더 빠르게 이동하는 것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10)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더 느리게 이동하는 것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무선 AP 간의 거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순차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제2 영역(220)에서 제1 영역(210)으로 이동하여 무선 AP(200)와 거리가 가까워지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200)와 거리가 가까워져서 무선 AP(200) 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높아지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0)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이용하여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높아지는 상황, 또는 무선 AP(200)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상황을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에지 영역(11), 제2 에지 영역(12)에 기 설정된 색과 형상을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색의 밝기를 조정하여 일정 주기로 점멸하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제2 영역(220)의 안쪽으로 더 이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점멸하는 주기를 더 빠르게 하여 전자 장치(100)와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의 색을 변경하여 전자 장치(100)와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더 높아지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의 색을 진하게 표시하여 전자 장치(100)와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더 낮아지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도 5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10)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2 영역(220)의 안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10)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더 느리게 이동하는 것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10)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더 빠르게 이동하는 것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제1 영역(210)으로 진입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0)와 무선 AP(200)와의 통신 송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표시되고 있던 색을 변경하고 디스플레이(10)의 모든 에지 영역(11, 12, 13, 14)에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와 무선 AP 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동작 8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와의 거리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정보와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AP와의 거리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와 송수신 하는 신호의 위상 차를 이용하여 무선 AP와의 거리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8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의 에지 영역을 이용하여 무선 AP의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의 모서리에 인접한 에지 영역을 따라 확장된 좁고 긴 영역에 선 또는 폭이 좁은 면의 형상을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 설정된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AP가 위치하는 방향과 인접한 디스플레이의 에지 영역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에지 영역을 이용하여 무선 AP가 위치하는 방향을 표시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면서 동시에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100)의 다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900) 내의 전자 장치(901)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901)는 도 1의 전자 장치(1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900)에서 전자 장치(901)는 제 1 네트워크(9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9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9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904) 또는 서버(9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는 서버(908)를 통하여 전자 장치(9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는 프로세서(920), 메모리(930), 입력 장치(950), 음향 출력 장치(955), 표시 장치(960), 오디오 모듈(970), 센서 모듈(976), 인터페이스(977), 햅틱 모듈(979), 카메라 모듈(980), 전력 관리 모듈(988), 배터리(989), 통신 모듈(990), 가입자 식별 모듈(996), 및 안테나 모듈(9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9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960) 또는 카메라 모듈(9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9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 된 센서 모듈(9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9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9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920)에 연결된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9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976) 또는 통신 모듈(9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9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9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920)는 메인 프로세서(9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9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9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923)는 메인 프로세서(9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 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9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9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9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9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921)와 함께, 전자 장치(9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960), 센서 모듈(976), 또는 통신 모듈(9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9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980) 또는 통신 모듈(9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930)는,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920) 또는 센서모듈(9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9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30)는, 휘발성 메모리(9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9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940)은 메모리(9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942), 미들웨어(944) 또는 어플리케이션(9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950)는, 전자 장치(9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9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9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9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9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960)는 전자 장치(9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9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9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970)은, 입력 장치(9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955), 또는 전자 장치(9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976)은 전자 장치(9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9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9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9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978)는 전자 장치(9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9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9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9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9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988)은 전자 장치(9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989)는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990)은 전자 장치(9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 전자 장치(904), 또는 서버(9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990)은 프로세서(9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990)은 무선 통신 모듈(9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9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9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9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9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992)은 가입자 식별 모듈(9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9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9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990)(예: 무선 통신 모듈(9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999)에 연결된 서버(908)를 통해서 전자 장치(901)와 외부의 전자 장치(9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902, 904) 각각은 전자 장치(9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9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9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9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901)는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확장된 좁고 긴 영역에,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표시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901)에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된 상기 외부 장치와 관련된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전자 장치(901)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901)에서 상기 신호 세기 정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901)에서 상기 전자 장치(901)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901)의 상기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901)에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외부 장치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 차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901)에서 상기 메모리는, 형태, 색상, 이동 효과, 이동 효과의 진행 방향, 이동 효과가 진행되는 속도, 이동 효과를 표시하는 시작점 및 끝점 또는 표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속성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901)에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901)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여 증가하는 상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거리가 인접한 에지 영역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901)에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901)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값 이내로 감소하는 상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모든 에지 영역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901)에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901)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변화하는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960)의 블록도(1000)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960)는 디스플레이(10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1030)를 포함할 수 있다. DDI(1030)는 인터페이스 모듈(1031), 메모리(1033)(예: 버퍼 메모리), 이미지 처리 모듈(1035), 또는 맵핑 모듈(1037)을 포함할 수 있다. DDI(1030)은,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모듈(1031)을 통하여 프로세서(920)(예: 메인 프로세서(9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9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923))로부터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DDI(1030)는 터치 회로(1050) 또는 센서 모듈(976) 등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03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 또한, DDI(10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1033)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1035)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1010)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 또는 후처리(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1037)은 디스플레이(1010)의 픽셀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이미지 처리 모듈(935)를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픽셀들을 구동할 수 있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0)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가 디스플레이(101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960)는 터치 회로(10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1050)는 터치 센서(1051)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10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1053)는 터치 센서(1051)를 제어하여,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0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920) 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1050)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105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1030), 또는 디스플레이(1010)의 일부로, 또는 표시 장치(9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예: 보조 프로세서(9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960)는 센서 모듈(9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표시 장치(960)의 일부(예: 디스플레이(1010) 또는 DDI(1030)) 또는 터치 회로(1050)의 일부에 임베디드 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960)에 임베디드 된 센서 모듈(976)이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101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표시 장치(960)에 임베디드 된 센서 모듈(9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10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에 대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1051) 또는 센서 모듈(976)은 디스플레이(1010)의 픽셀 레이어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936) 또는 외장 메모리(9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9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9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9)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확장된 좁고 긴 영역에,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표시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여 증가하는 상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거리가 인접한 에지 영역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된 상기 외부 장치와 관련된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세기 정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외부 장치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 차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형태, 색상, 이동 효과, 이동 효과의 진행 방향, 이동 효과가 진행되는 속도, 이동 효과를 표시하는 시작점 및 끝점 또는 표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속성 정보로 저장하는, 전자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값 이내로 감소하는 상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모든 에지 영역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변화하는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통신 회로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확장된 좁고 긴 영역에,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여 증가하는 상황에서, 상기 외부 장치와 거리가 인접한 에지 영역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된 상기 외부 장치와 관련된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세기 정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외부 장치와 송수신하는 신호의 위상 차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속성 정보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태, 색상, 이동 효과, 이동 효과의 진행 방향, 이동 효과가 진행되는 속도, 이동 효과를 표시하는 시작점 및 끝점 또는 표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삭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값 이내로 감소하는 상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모든 에지 영역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거리가 변화하는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9. 통신 회로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따라서 확장된 좁고 긴 영역에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80020511A 2018-02-21 2018-02-21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102422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511A KR102422491B1 (ko) 2018-02-21 2018-02-21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US16/957,980 US11153018B2 (en) 2018-02-21 2019-02-2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PCT/KR2019/002150 WO2019164307A1 (ko) 2018-02-21 2019-02-21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EP19756865.2A EP3700106B1 (en) 2018-02-21 2019-02-2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511A KR102422491B1 (ko) 2018-02-21 2018-02-21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672A KR20190100672A (ko) 2019-08-29
KR102422491B1 true KR102422491B1 (ko) 2022-07-19

Family

ID=6768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511A KR102422491B1 (ko) 2018-02-21 2018-02-21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53018B2 (ko)
EP (1) EP3700106B1 (ko)
KR (1) KR102422491B1 (ko)
WO (1) WO201916430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2690A1 (en) * 2010-09-22 2014-06-1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wireless sensors
US20140370917A1 (en) * 2012-11-15 2014-12-18 SSI America, Inc. Locator beacon and radar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4245A1 (en) 2004-11-12 2006-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ireless device tracking system
US7899006B2 (en) 2006-12-05 2011-03-01 Zebra Enterprise Solutions Corp. Location system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ing RSSI and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processing
KR101378630B1 (ko) 2012-08-30 2014-03-26 주식회사 팬택 무선 네트워크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89893B1 (ko) * 2012-10-29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KR20150029185A (ko) * 2013-09-09 201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18227B1 (ko) 2015-01-16 2021-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US9769625B2 (en) 2015-01-23 2017-09-19 Bluefox, Inc. Mobile device detection and tracking
KR20170000281A (ko) * 2015-06-23 2017-01-02 허재영 스마트폰
KR102381051B1 (ko) * 2015-07-01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20180097384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2690A1 (en) * 2010-09-22 2014-06-1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wireless sensors
US20140370917A1 (en) * 2012-11-15 2014-12-18 SSI America, Inc. Locator beacon and radar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0106B1 (en) 2024-05-29
KR20190100672A (ko) 2019-08-29
US11153018B2 (en) 2021-10-19
EP3700106A4 (en) 2020-12-16
WO2019164307A1 (ko) 2019-08-29
EP3700106A1 (en) 2020-08-26
US20200336225A1 (en)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3682B1 (ko) 전자 장치 및 증강 현실 기반의 공유 정보 표시 방법
KR102500666B1 (ko)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371212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지오펜스 관리 방법
WO2020042968A1 (zh) 一种对象信息的获取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CN112150560B (zh) 确定消失点的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US2024014461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choring objects in augmented or virtual reality
KR2020002927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KR102309160B1 (ko) 클럭을 변경시키는 전자 장치
KR102498597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관심 영역을 설정하여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방법
KR102236203B1 (ko)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0014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컨텐트 전송 방법
KR102389201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00107089A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채널 스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620877B1 (ko) 이미지의 촬영 장소를 추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22491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102558472B1 (ko) 밝기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트의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095792B (zh) 定位终端的方法及装置
KR20170083328A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US11754700B2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external object using plurality of array antennas arranged in plurality of directions and method thereof
CN111179628B (zh) 自动驾驶车辆的定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400082B (zh) 基于用户的位置使用发光元件提供视觉效果的电子装置及其方法
KR20120084164A (ko) 위치인식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콘텐츠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94214A (ko) 로봇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2804481B (zh) 监控点位置的确定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1798358B (zh) 确定算路时间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