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415B1 -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415B1
KR101137415B1 KR1020090084038A KR20090084038A KR101137415B1 KR 101137415 B1 KR101137415 B1 KR 101137415B1 KR 1020090084038 A KR1020090084038 A KR 1020090084038A KR 20090084038 A KR20090084038 A KR 20090084038A KR 101137415 B1 KR101137415 B1 KR 101137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sion
english
input
korean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6231A (ko
Inventor
이용규
이영현
이명현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8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4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모드 표시 및 문자 입력 모드 변환기가 마우스 커서와 함께 움직이도록 하여 문자 입력 효율을 높인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문자 입력 영역에서 한영 문자 모드의 잘못된 사전 설정에 의한 입력오류를 방지하고, 사용자가 한글로 입력할 부분에 영자로 또는 그 반대로 잘못 입력하였더라도 이를 입력 중에 선택에 의해 입력한 문자들이나 문장의 상호 변환이 가능하다.
문자 입력, 영한 변환, 대소문자 변환, 마우스 커서, 단어 변환, 문장 변환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its program stored in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문자 모드 표현 및 입력 텍스트 변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문자 모드 표시 및 문자 입력 모드 변환기가 마우스 커서와 함께 움직이도록 하여 문자 입력 효율을 높인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글과 영문을 혼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한글과 영문의 입력을 위해서는 한/영 전환키를 사용하여 한글 입력 모드 또는 영문 입력 모드로 전환해야 한다. 응용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한영 전환키의 사용 빈도에는 차이가 있겠지만 사용자로서는 한/영 전환키를 한글, 영문을 입력할 때마다 사용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는 횟수가 빈번한 요즘 예컨대, 웹브로우저 프로그램, 검색 프로그램 등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서 인터넷 도메인 주소 또는 검색어 입력을 위하여 한글과 영문을 번갈아가며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키보드 장치의 한글 입력 모드 또는 영문 입력 모드를 판별하고, 이에 적합하도록 한/영 전환키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서로 상반된 입력 모드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경우, 이를 입력한 후에 잘못 입력된 것을 알 수 있으므로 기입력된 내용을 수정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문자 모드 표시 및 문자 입력 모드 변환기가 마우스 커서와 함께 움직이도록 하여 문자 입력 효율을 높인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 문자 입력 영역에서 한영 문자 모드의 잘못된 사전 설정에 의한 입력오류를 방지하고, 사용자가 한글로 입력할 부분에 영자로 또는 그 반대로 잘못 입력하였더라도 이를 입력 중에 선택에 의해 입력한 문자들이나 문장의 상호 변환이 가능하도록 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마우스 커서와 연동되도록 현재의 한영의 입력 모드를 표시하는 한영 모드 표시부;마우스 커서와 연동하면서 이미 입력된 문자를 지정된 변환 범위 만큼 다른 모드로 변환되도록 선택하는 한영 변환 선택부;마우스 커서와 연동하면서 이미 입력된 영문의 대문자/소문자를 지정된 변환 범위 만큼 다른 모드로 변환되도록 선택하는 영대/영소 변환 선택부;입력된 문자의 문자 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범위를 선택하는 변환 범위 선택 관리부;입력된 문자의 변환 선택에 따른 문자 변환 처리를 하는 변환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영 모드 표시부는,현재 설정되어 있는 입력 문자 모드가 한글 인지 영문인지를 표시하는 버튼과, 영문의 입력 모드가 대문자인지 소문자인지 표시하는 버튼를 포함하고,상기 버튼을 클릭하면 모드의 상호 변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입력 모드가 실행되면, 한영모드의 표시,한영 변환기의 표시,영대/영소 변환기의 표시중에서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마우스 커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상기 마우스 커서와 연동되도록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표시를 하는 단계;상기 표시된 창을 통하여 문자 변환신호가 입력되면 변환 선택 범위를 확인하는 단계;선택된 범위의 문자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른 모드의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영 모드, 한영 변환, 영대/영소 변환을 위한 표시창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위치가 마우스 커서와 함께 연동되어 표시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위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을 위한 선택 범위는, 단어변환, 문장변환, 전체변환의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어변환시의 단위는, 한글은 어절이고 영어는 단어이고, 단어변환시에 이전의 공백까지 변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문장변환의 경우에 문장 단위 구분을,영어는 문장 종료 구두점(.)(!)(?)으로 하고, 한글은 문장종결어미 다음의 구두점(.)(!)(?)으로 하여 문장 변환시에 구두점 이후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체 변환을 문서 암호화를 위하여 실행하는 경우에는 문서의 문자코드변환과 문서 정보를 이용한 비트이동(bit shift) 연산을 수행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체 변환을 문서 암호화를 위하여 실행한 경우에는 암호화된 문서를 해제하기 위하여,문서 정보를 이용한 비트이동(bit shift) 연산과 문서의 문자코드변환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여 암호화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영 변환, 영대/영소 변환은 반복하여 실행될 수 있고, 변환 직후에는 마우스 커서가 직전의 입력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문자 입력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현재 입력되는 문자의 모드를 나타내는 문자 모드 표시기가 마우스 커서와 함께 움직이므로 문자가 잘못 입력되는 것을 막는다.
둘째, 문자 입력 모드 변환기가 마우스 커서와 함께 움직이도록 하여 문자 입력 효율을 높인다.
셋째, 잘못 입력한 문자들이나 문장의 문자 모드 상호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문자 입력의 효율성을 높이고, 문서 편집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넷째, 잘못 입력한 문자들이나 문장의 문자 모드 상호 변환시에 단어변환, 문장변환, 전체변환 등의 기능을 사용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다섯째, 전체변환 기능을 이용하여 문서를 다른 언어의 문서로 변환 저장함으로써 문서 암호화에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 문자 입력 영역에서 한영 문자 모드의 잘못된 사전 설정에 의한 입력오류를 방지하고, 사용자가 한글로 입력할 부분에 영자로 또는 그 반대로 잘못 입력하였더라도 이를 입력 중에 선택에 의해 기존 입력한 문자들이나 문장의 상호 변환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마우스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마우스 커서 제어부(10)와, 상기 마우스 커서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이동하는 마우스 커서와 연동하면서 현재의 한영의 입력 모드를 표시하는 한영 모드 표시부(12)와, 상기 마우스 커서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이동하는 마우스 커서와 연동하면서 이미 입력된 문자를 지정된 변환 범위 만큼 다른 모드로 변환되도록 선택하는 한영 변환 선택부(13)와, 상기 마우스 커서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이동하는 마우스 커서와 연동하면서 이미 입력된 영문의 대문자/소문자를 지정된 변환 범위 만큼 다른 모드로 변환되도록 선택하는 영대/영소 변환 선택부(14)와, 입력된 문자의 문자 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범위를 선택하는 변환 범위 선택 관리부(15)와, 입력된 문자의 변환 선택에 따른 처리를 하는 변환 신호 처리부(16)와, 한영 모드 표시, 한영 변환, 영대/영소 변환 처리를 제어하는 문자 입력 제어부(11)를 포함하고, 마우스 커서 제어부(10)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 입력이 특정 횟수 이루어지면 상기 한영 모드 표시부(12),한영 변환 선택부(13),영대/영소 변환 선택부(14)의 표시가 고정되도록 하여 마우스 커서의 이동 및 클릭에 의해 동작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한영 모드 표시부(12)가 텍스트 입력 창의 마우스 커서 바로 위에서 이동 위치에 따라 함께 움직인다. 상기 한영 모드 표시부(12)의 위치는 마우스 커서의 바로 위를 기본으로 하되, 사용자에 의해 마우스 커서에서의 거리와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한영 모드 표시부(12)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입력 문자 모드가 한글인지 영문인지를 표시하는 버튼과, 대문자인지 소문자인지 표시하는 버튼이 있고, 이를 클릭하면 모드의 상호 변환 가능하다.
한영 모드 표시부(12)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마우스 커서와 함께 나타나도록 하는 기능과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그리고 한영 변환 선택부(13)는 한영 모드 표시부(12)와 함께 위치하여 마우스 커서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며, 디스플레이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환 범위를 지정하는 단어변환, 문장변환, 전체변환 버튼이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중 사용자가 한글 모드에서 입력된 문자열을 영자로 변환하고자 할 경우나 그 반대의 경우, 한/영 키를 조금 길게 누르거나 또는 단어변환 단추를 누르면 최근 입력된 한 단어가 자동 변환된다.
그리고 영자에서 한글로 변환 시 한글 글자를 완성하지 못한 최근 마지막의 입력 문자들도 한글 입력으로 인식하여 계속 한글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영 키를 약간 길게 누르거나 문장변환 버튼을 누르면 최근 입력된 한 문장의 변환이 가능하고, 한/영 키를 더 길게 누르거나 전체 변환 버튼을 누르면 전체의 입력 문자열을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환은 반복해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버튼을 통한 변환 직후에 마우스 커서는 직전의 입력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즉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변환 범위의 단위는 한글과 영어에 따라 다르게 구분된다.
단어 변환시의 단위는 한글은 어절이고, 영어는 단어이다.
한글은 어절 단위로 띄어쓰기를 하므로 어절의 구분은 공백으로 하고 영어는 단어 단위로 띄어쓰기를 하며 구분은 공백으로 한다. 그러므로 단어변환의 경우에는 이전의 공백까지 변환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문장 변환의 경우에는 영어는 문장 구분을 문장 종료 구두점(.)(!)(?)으로 하고, 한글은 문장종결어미 다음의 구두점(.)(!)(?)으로 하여 문장 변환시에 구두점 이후를 변환한다.
한글 종결어미의 종류는 다음과 같고 이와 같은 한글 종결어미는 사전으로 사용한다.
종류
평서형 -다,-네,-(으)오,-(으)ㅂ니다,-습니다, 등
감탄형 -는구나, 는구려, 등
의문형 -느냐,-는가,-오(소),-(으)ㅂ니까,-나, 등
명령형 어라,-게,-오,(으)십시오, 등
청유형 자,-세,(으)ㅂ시다, 등
그리고 전체 변환의 경우에는 변환 단위없이 입력된 모든 내용을 변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체 변환은 해당 문서의 암호화를 목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 변환을 문서 암호화를 위하여 실행한 경우에는 추후 문서의 사용시에 역으로 문자코드의 전체변환 과정을 거쳐 암호화를 해제한다.
예를 들어, 한글 문서를 영어 문자 코드로 변환하여 저장하면 즉시 해독이 어려우므로 암호화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변환과정에서 간단한 비트 이동(bit shift) 연산을 수행하면 암호화의 효과가 배가된다. 암호 해독을 위한 변환정보를 파일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도 있지만, 문서로부터 얻어낸 정보(가령, 파일 이름, 파일 이름의 길이, 문서의 크기 등)에 기초하여 비트이동의 수를 선택하여 변환하면, 추후 변환정보가 필요없이 암호화 해제가 가능하므로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인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영대/영소 변환 선택부(14)는 한영 모드 표시부(12)곁에 위치하여 마우스 커서와 함께 이동하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aps Lock 키를 이용하여 조금 길게 누르면 단어의 대소문자 변환, 약간 길게 누르면 문장 모두의 대소문자 변환, 더 길게 누르면 전체의 대소문자 변환이 가능하고, 대소문자 변환 버튼을 눌러 동일한 실행을 할 수 있으며, 마우스 커서도 입력 위치로 자동 이동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장 입력 장치는 텍스트 입력시에 설정되어 있는 한영모드를 입력 커서 위치에서 즉시 알 수 있어서 입력 오류를 방지하고, 잘못 입력하였어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호 자동 변환이 가능하다.
그리고 한/영 입력상태의 표시가 텍스트 입력부와 멀리 떨어진 윈도우 작업표시줄 위에 위치하지 않고 입력 커서 위치에서 즉시 알 수 있어서 한/영 입력 상태를 바로 알 수 있다.
한/영 자동 변환 기능이 직전에 입력한 한 단어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변환 범위를 지정하여 문장 전체에 적용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한 단어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는 순간 자동으로 단어 한/영 변환 기능 수행, 즉, 영어로 “gksrmf"이라고 입력해야 ”한글“로 자동 변환되며, ”gksr"를 입력하면 “한ㄱ”로 변환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문장 입력 장치는 유한상태기계(Finite State Machine)인 오토마타를 응용하여 사용함으로써 ”gksr"를 입력해도 “한ㄱ”로 변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문자입력의 동적인 상태 전이(State Transition)를 나타내기 위하여 오토마타를 응용하여 한영(영한)간의 즉시 변환이 가능하다.
Figure 112009054961211-pat00001
표 2의 오토마타는 시작 상태(0)로부터 문자코드의 입력에 따른 산태전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태(9)는 문장의 종결을 나타내고, 상태(13)까지 전이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태(3), 상태(6), 상태(8), 그리고 상태(12)는 한글 음절이 완성된 것을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오트마다를 이용하면, 예를 들어, (한) "반갑다. 한ㄱ"와 (영)"qksrkqek gksr" 인 경우에, 이전의 문장 이후의 새문장이나 어절(단어)에 대한 변환을 "한ㄱ"과 "gksr"간에 할 수 있으며, 전체 변환을 "반갑다. 한ㄱ"와 "qksrkqek gksr"간에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도 2에서와 같이 문자 입력 모드가 실행되면(S201), 한영모드 표시 기능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여(S202) 사용자가 한영모드 표시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마우스 커서 위치를 검출한다.(S203)
마우스 커서 위치가 검출되면 마우스 커서와 연동되도록 한영모드를 표시한다.(S204)
상기 한영 모드의 표시창은 마우스 커서의 상하좌우의 어느 한부분에 인접한 위치에 표시된다. 표시 위치 및 크기는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마우스 커서의 움직임, 형태에 따라 여러가지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한영 변환기의 표시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05)
사용자가 한영 변환기의 표시를 선택한 경우에는 마우스 커서의 위치를 검출하고 마우스 커서와 연동되도록 한영 변환기를 표시한다.(S206)
마찬가지로, 한영 변환기도 마우스 커서의 상하좌우의 어느 한부분에 인접한 위치에 표시된다. 표시 위치 및 크기는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마우스 커서의 움직임, 형태에 따라 여러가지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영대/영소 변환기의 표시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07)
사용자가 영대/영소 변환기의 표시를 선택한 경우에는 마우스 커서의 위치를 검출하고 마우스 커서와 연동되도록 영대/영소 변환기를 표시한다.(S206)
마찬가지로, 영대/영소 변환기도 마우스 커서의 상하좌우의 어느 한부분에 인접한 위치에 표시된다. 표시 위치 및 크기는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마우스 커서의 움직임, 형태에 따라 여러가지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한영모드 표시, 한영 변환기의 표시, 영대/영소 변환기의 표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문자 입력이 이루어지고,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 입력에 의해 한영모드 표시, 한영 변환기의 표시, 영대/영소 변환기의 표시가 고정된 상태에서 마우스 커서의 이동 및 클릭에 의한 문자 변환신호가 입력되면(S209), 변환 선택 범위를 확인한다.(S210)
그리고 선택된 범위의 문자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른 모드의 문자로 변환한다.(S211)
이와 같은 한영모드 표시, 한영 변환기의 표시, 영대/영소 변환기의 표시 그리고 문자 변환은 문자 입력 모드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화되면서 계속된다.(S212)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컴퓨터 문자 입력 영역에서 한영 문자 모드의 잘못된 사전 설정에 의한 입력오류를 방지하고, 사용자가 한글로 입력할 부분에 영자로 또는 그 반대로 잘못 입력하였더라도 이를 입력 중에 선택에 의해 입력한 문자들이나 문장의 상호 변환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문자 입력 모드가 실행되면, 한영모드의 표시,한영 변환기의 표시,영대/영소 변환기의 표시중에서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마우스 커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상기 마우스 커서와 연동되도록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표시를 하는 단계;상기 표시된 창을 통하여 문자 변환신호가 입력되면 변환 선택 범위를 확인하는 단계;선택된 범위의 문자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른 모드의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상기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실행을 위한 다른 내용들이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마우스 커서 제어부 11. 문자 입력 제어부
12. 한영 모드 표시부 13. 한영 변환 선택부
14. 영대/영소 변환 선택부 15. 변환 범위 선택 관리부
16. 변환 신호 처리부

Claims (11)

  1. 문자 입력 모드에서 마우스 커서와 연동되도록 현재의 한영의 입력 모드를 표시하는 한영 모드 표시부;
    마우스 커서와 연동하면서 이미 입력된 문자를 지정된 변환 범위 만큼 다른 모드로 변환되도록 선택하는 한영 변환 선택부;
    마우스 커서와 연동하면서 이미 입력된 영문의 대문자/소문자를 지정된 변환 범위 만큼 다른 모드로 변환되도록 선택하는 영대/영소 변환 선택부;
    입력된 문자의 문자 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범위를 단어변환, 문장변환, 전체변환 단위로 선택하는 변환 범위 선택 관리부;
    입력된 문자의 변환 선택에 따른 문자 변환 처리를 하고, 전체 변환을 문서 암호화를 위하여 실행하는 경우에는 문서의 문자코드변환과 문서 정보를 이용한 비트이동(bit shift) 연산을 수행하여 저장하는 변환 신호 처리부;
    마우스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 입력에 의해 상기 한영 모드 표시부,한영 변환 선택부,영대/영소 변환 선택부의 표시가 고정되도록 하여 마우스 커서의 이동 및 클릭에 의해 동작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우스 커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영 모드 표시부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입력 문자 모드가 한글인지 영문인지를 표시하는 버튼과, 영문의 입력 모드가 대문자인지 소문자인지 표시하는 버튼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을 클릭하면 모드의 상호 변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3. 문자 입력 모드가 실행되면, 한영모드의 표시,한영 변환기의 표시,영대/영소 변환기의 표시중에서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마우스 커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마우스 커서와 연동되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표시를 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창이 마우스 오른쪽 버튼 입력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마우스 커서의 이동 및 클릭을 통하여 문자 변환신호가 입력되면 변환 선택 범위가 단어변환, 문장변환, 전체변환의 단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선택된 범위의 문자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른 모드의 문자로 변환하고, 선택된 범위가 전체변환이고 전체 변환을 문서 암호화를 위하여 실행하는 경우에는 문서의 문자코드변환과 문서 정보를 이용한 비트이동(bit shift) 연산을 수행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영 모드, 한영 변환, 영대/영소 변환을 위한 표시창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위치가 마우스 커서와 함께 연동되어 표시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위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변환시의 단위는,
    한글은 어절이고 영어는 단어이고, 단어변환시에 이전의 공백까지 변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변환의 경우에 문장 단위 구분을,
    영어는 문장 종료 구두점(.)(!)(?)으로 하고, 한글은 문장종결어미 다음의 구두점(.)(!)(?)으로 하여 문장 변환시에 구두점 이후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8. 삭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변환을 문서 암호화를 위하여 실행한 경우에는 암호화된 문서를 해제하기 위하여,
    문서 정보를 이용한 비트이동(bit shift) 연산과 문서의 문자코드변환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여 암호화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영 변환, 영대/영소 변환은 반복하여 실행될 수 있고, 변환 직후에는 마우스 커서가 직전의 입력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문자 입력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1.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6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9 항 또는 제 10 항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판독할 수 있고,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90084038A 2009-09-07 2009-09-07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137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038A KR101137415B1 (ko) 2009-09-07 2009-09-07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038A KR101137415B1 (ko) 2009-09-07 2009-09-07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231A KR20110026231A (ko) 2011-03-15
KR101137415B1 true KR101137415B1 (ko) 2012-06-14

Family

ID=4393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038A KR101137415B1 (ko) 2009-09-07 2009-09-07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4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4667A (ko) 2012-10-05 2014-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97227B1 (ko) * 2019-05-23 2020-12-31 한국과학기술원 문자 변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20220128892A (ko) 2021-03-15 2022-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오타 보정 방법
KR102568363B1 (ko) * 2021-11-15 2023-08-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환키 인터페이스를 갖는 컴퓨터 입력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4092A (ja) 1997-05-29 1998-12-18 Just Syst Corp 文字入力・変換モード表示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文字入力・変換モード表示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20004008A (ko) * 2000-06-29 2002-01-16 구문수 마우스 커서를 이용한 입력문자 정보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4092A (ja) 1997-05-29 1998-12-18 Just Syst Corp 文字入力・変換モード表示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文字入力・変換モード表示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20004008A (ko) * 2000-06-29 2002-01-16 구문수 마우스 커서를 이용한 입력문자 정보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231A (ko) 201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475B1 (ko) 다언어 환경을 갖는 장치를 위한 입력 방법
JP5802292B2 (ja) 共有された言語モデル
US20130007606A1 (en) Text deletion
KR20080094785A (ko) 문서 개관 스크롤바, 스크롤바 렌더링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JP5761687B2 (ja) 数式出力コンピュータ、数式出力方法、数式出力プログラム、および数式出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20170308510A1 (en) Display and selection of bidirectional text
US9547639B2 (en) Typing error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JP2006164238A (ja) タッチパッド入力情報の処理方法及びタッチパッド入力情報の処理装置
JP2012243229A (ja) 入力訂正を行う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101137415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201209889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7193849A (ja) かな漢字変換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7452553B2 (ja) 入力表示システム、補助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200896A (ja) 文字入力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318022A (ja) 文字変換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8036787A (ja) 情報処理装置、文字列の表示制御方法、文字列編集用プログラム
JP4429398B2 (ja) かな漢字変換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70117339A (ko) 스마트 커서
JP2009104345A (ja) 文字列変換装置
JP5880168B2 (ja) 入力支援プログラム、入力支援装置、及び入力支援方法
JP4584370B2 (ja) コンピュータ、そのコメント表示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3012525B2 (ja) 文字処理方法とその文字処理装置
US201101051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haracter capitalization in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6089973B2 (ja) 端末装置、画面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4599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