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179A -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179A
KR20140019179A KR1020120085863A KR20120085863A KR20140019179A KR 20140019179 A KR20140019179 A KR 20140019179A KR 1020120085863 A KR1020120085863 A KR 1020120085863A KR 20120085863 A KR20120085863 A KR 20120085863A KR 20140019179 A KR20140019179 A KR 20140019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handwriting
text
input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851B1 (ko
Inventor
강창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5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851B1/ko
Priority to EP13179092.5A priority patent/EP2696272A3/en
Priority to US13/957,798 priority patent/US9535508B2/en
Publication of KR20140019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손글씨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손글씨의 입력 크기와 기준 크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확인된 손글씨의 입력크기와 상기 기준 크기의 크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차이 미만이면, 상기 입력된 손글씨를 상기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METHOD FOR KEY INPUTTING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에서 터치펜을 이용하여 손글씨(Handwriting)를 입력하여 사용할 때, 입력된 손글씨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가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Tablet) 등의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면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은 멀티미디어의 이용 및 게임의 플레이를 포함한 다용도 기기로서 대중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의 전자기기 대부분은 물리적인 키보드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노트북과 같이 물리적인 키보드를 가지는 전자 장치와 비교할 때 문서 작성과 같은 생산적인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최근의 휴대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펜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펜을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펜을 이용하여 문서 작성 또는 그림 그리기 등의 용도로도 휴대단말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터치펜을 이용한 문서 작성에 관한 종래 기술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필기를 이미지 형태로 저장하는 기술을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필기를 텍스트 인식 기능을 통해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 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터치펜을 이용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손글씨(필기: Handwriting)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종래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손글씨의 입력 크기와 상관없이 같은 크기의 텍스트로만 변환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글씨가 인식되어 변환된 텍스트의 크기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텍스트의 크기와 관련된 메뉴에서 텍스트의 크기를 재설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터치펜을 이용하여 손글씨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메뉴 등의 별도 설정없이도 손글씨를 입력함과 동시에 변환되는 텍스트의 크기(예를 들어, 글꼴 크기)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발명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터치펜을 이용한 문서 작성 기술을 보완하여, 터치펜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입력되는 텍스트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 발명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손글씨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손글씨의 입력 크기와 기준 크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확인된 손글씨의 입력크기와 상기 기준 크기의 크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차이 미만이면, 상기 입력된 손글씨를 상기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최초의 손글씨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최초로 입력된 손글씨의 입력 크기를 기준 크기로 설정하고, 상기 최초로 입력된 손글씨를 상기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최초의 손글씨 이후에 입력되는 손글씨의 입력 크기와 상기 기준 크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이후에 입력된 손글씨의 입력크기와 상기 기준 크기의 크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차이 미만이면, 상기 이후에 입력된 손글씨를 상기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손글씨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모드로 진입하면, 손글씨를 입력받는 영역에 하나 이상의 기준선을 표시하는 과정과, 손글씨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손글씨가 통과하는 상기 기준선의 개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손글씨를 상기 통과하는 기준선의 개수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손글씨를 인식하여 텍스트를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텍스트의 크기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내지 제3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내지 제4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내지 제4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리더기,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될 수 있으며, 도1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송수신부(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2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입력된 손글씨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한 후에, 손글씨에서 텍스트로 변환되어 입력된 변환 결과(즉, 텍스트)를 소리 정보로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손글씨가 정확하게 인식되어 텍스트로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키입력부(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 또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0)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키입력부(27)는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키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50)는 키입력부(27)의 키입력 기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손글씨를 입력하고 입력된 손글씨가 텍스트로 변환되어 입력되는 도중에,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27)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텍스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한 손글씨가 사용자가 의도한 텍스트로 입력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키입력부(27)를 통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메모리(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30)는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등의 외장형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30)는 HDD(Hard Disk Drive) 및 SSD(Solid State Disk) 등과 같은 디스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손글씨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서 PMOLED 또는 AMOLE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표시부(50)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 방식 또는 전자유도식 등의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하여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손글씨로부터 인식된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는데, 표시되는 텍스트의 텍스트 크기는 텍스트 크기는 여러 종류의 단위(예를 들어, px 또는 pt 또는 em의 단위를 가짐)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px의 단위를 통해 표시(입력)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는 정전식과 전자유도식 어느 하나의 방식만을 사용하거나 두 가지 방식을 혼용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를 이용하여, 제어부(10)는 터치스크린에 대응되는 전용의 터치펜(51)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손글씨)을 인식함과 동시에, 필압(세게 또는 약하게 누름)에 따라 사용자의 손글씨가 굵게 입력되는지 얇게 입력되는지 인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손글씨(Handwriting)는 터치스크린용 터치펜을 통해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터치펜은 터치펜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예를 들어,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의해 대체되어 사용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손글씨 입력의 용이성 및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펜(51)을 이용하여 손글씨를 입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입력부(27) 또는 표시부(5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전환 및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손글씨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손글씨의 입력 크기와 기준 크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확인된 손글씨의 입력크기와 상기 기준 크기의 크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차이 미만이면, 상기 입력된 손글씨를 상기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과정의 수행과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제어부(10)의 상세한 동작은 후술되는 바를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도 1의 블록도에는 블루투스 모듈, 카메라 모듈, Wi-Fi 모듈,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지자계 센서 및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수신기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는 장치들이 미도시 되었으나, 이들 미도시된 장치들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에 포함되어 대응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내지 제3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201-S204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손글씨가 입력되면 입력된 손글씨의 입력 크기 및 기준 크기를 확인하여, 손글씨의 입력 크기와 기준 크기의 크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차이 이상인지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도 3a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을 다시 한번 살펴보면, 종래기술은 손글씨를 입력받는 영역(300)에 사용자가 손글씨를 입력하면, 입력된 손글씨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한 후에, 손글씨로부터 변환된 텍스트가 입력(표시)되는 영역(310)에 변환된 텍스트를 입력하지만, 입력되는 손글씨의 입력 크기를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를 제안하며, 먼저 제1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텍스트를 입력하는 모드(예를 들어, 이메일 또는 채팅)에서 사용자는 터치펜(51) 또는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손가락)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손글씨(Hand Writing)를 자동으로 텍스트로 변환해주는 기능의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
손글씨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기능이 실행되어 손글씨를 입력하는 영역(300)과 변환된 텍스트가 표시되는 영역(310)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도 3a에 도시된 320a와 같은 손글씨를 입력할 수 있다. 손글씨(320a)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입력된 손글씨(320a)의 입력 크기(예를 들어, 입력된 손글씨의 세로 크기)와 도 3a에 도시된 예와 같은 기준 크기(350)의 크기를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기준 크기(350)는 사용자가 손글씨를 입력할 경우에 미리 설정된 다양한 시각 효과(예를 들어, 흐릿하게 표시)를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준 크기에는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가 설정되어 있다. 이 때,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는 변경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기준 크기(350)에 미리 설정된 텍스트 크기(예를 들어, 6px의 크기를 가지는)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를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손글씨의 입력시 기준 크기(350)와 비슷한 입력 크기로 손글씨를 입력하면, 기준 크기에 설정된 텍스트 크기(예를 들어, 6px)의 텍스트로 손글씨가 변환되어 입력됨을 미리 인지(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글씨를 입력함에 있어서 기준 크기(350)을 참조하여 자신이 입력하는 손글씨가 어떠한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되어 입력될지를 추측(예측)하면서 손글씨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어떠한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될지 예측하는 것을 용이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예와 같이 기준 크기(350)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350a)를 기준 크기(350)과 함께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기준 크기(350)와 비슷한 입력 크기로 손글씨를 입력하면, 텍스트 크기(350a)에 대응되는 6px의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손글씨가 변환되어 입력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크기(350) 또는 텍스트 크기(350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3a 내지 도 3c에 표시된 것처럼 손글씨를 입력 받는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고, 별도의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기준 크기(350) 또는 텍스트 크기(350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정 시간 표시된 후에 더 이상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의 표시 요구 이전에는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도 2 및 도3a 내지 도 3c를 통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력된 손글씨의 입력 크기와 기준 크기(350)의 크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차이를 넘느냐 넘지 않느냐의 여부에 따라, 손글씨로부터 변환되는 텍스트의 텍스트 크기가 상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S204 단계에서 입력된 손글씨의 입력 크기와 기준 크기의 크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차이 이상인지 미만인지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S205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이전 단계들의 확인 결과로부터 입력된 손글씨를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204 단계에서의 미리 설정된 차이를 미리 설정된 크기 차이가 20%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할 경우, 기준 크기(350)보다 20% 미만의 크기 차이로 작거나 크게 입력된 손글씨는 기준 크기(350)에 설정된(대응되는) 텍스트 크기(예를 들어, 6px)의 텍스트로 변환되어 입력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기준 크기와 비슷한 크기로 입력되는 손글씨는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되어 입력된다.
도 3a 및 도 3b를 통해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손글씨 320a 및 330a의 입력 크기는 18% 정도 크게 입력되어, 기준 크기(350)보다 미리 설정된 차이(예를 들어, 20%의 크기 차이) 미만으로 크게 입력된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손글씨 320a 및 330a가 각각 A 및 B라는 텍스트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하고, 기준 크기(350)에 설정된 텍스트 크기(예를 들어, 6px)의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바에 따라, 입력된 손글씨 320a 및 330a는 320b 및 330b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텍스트로 입력되며, 텍스트의 텍스트 크기는 6px의 크기를 가질 것이다.
S206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이전 단계에서 입력된 손글씨의 입력크기와 기준 크기의 크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차이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입력된 손글씨를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보다 미리 설정된 차이 이상의 크기 차이만큼 증가된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S206 단계는 S205 단계와 상반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손글씨의 입력 크기가 기준 크기보다 미리 설정된 차이 이상일 경우에 해당한다.
도 3c를 통해 살펴보면, 입력된 손글씨(340a)의 입력 크기가 기준 크기(350)보다 20% 정도 크게 입력되어, 미리 설정된 차이(예를 들어, 20%) 이상으로 차이 나게(도 3c에서는 크게)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입력된 손글씨(340a)를 기준 크기(350)에 설정된(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보다 크기 차이만큼 증가된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입력된 손글씨(340a)보다 기준 크기(350)보다 20 퍼센트 크게 입력되었을 경우, 제어부(10)는 도 3c에 도시된 기준 크기(350a)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6px)보다 20퍼센트 증가된 크기(7.2px)의 텍스트로 입력된 손글씨(340a)를 변환하여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즉, 도 3c에 도시된 340a의 손글씨는 340b의 텍스트로 입력되며, 340b의 텍스트는 7.2px의 텍스트 크기를 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입력된 손글씨를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보다 작거나 큰 텍스트 크기의 테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할 경우,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보다 텍스트 크기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할 때 반올림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된 것 처럼 기준 크기(350a)보다 20퍼센트 이상 크기가 크게 입력된 손글씨(340a)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기준 크기(350a)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6px)보다 20퍼센트 증가된 크기인 7.2px의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를 입력하는 대신에, 7px의 텍스트 크기를 가지는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c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표시중인 기준 크기를 참조하여 변환될 텍스트의 텍스트 크기를 예측하면서, 손글씨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내지 제4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401-S404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최초의 손글씨를 입력받고, 최초로 입력된 손글씨의 입력 크기를 확인하여 손글씨의 입력 크기를 기준 크기로 설정하고, 최초의 손글씨를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하는 모드(예를 들어, 문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에서 손글씨를 입력하는 영역에 대해서 최초의 손글씨(520a)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손글씨(520a)의 입력 크기(예를 들어, 세로 픽셀 크기)를 확인한다. 이후, 제어부(10)는 최초의 손글씨(520a)의 입력 크기를 기준 크기로 설정한다. 이 때,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는 시스템 설정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하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6px의 텍스트의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후, 제어부(10)는 최초로 입력된 손글씨(520a)를 기준 크기로 설정한 후에, 520b로 도시된 것처럼 손글씨(520a)를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예를 들어, 6px)의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S405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최초의 손글씨(520a)가 입력된 후에 추가적인 손글씨가 입력되는지 확인하고,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도 2의 S202 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되는 손글씨의 입력 크기에 기반하여 입력된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c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기준 크기가 미리 설정된 경우에 해당하는 실시예이고,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d를 통해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기준 크기가 최초의 손글씨로부터 설정되는 실시예이다. 따라서, S405 단계 이후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를 통해 대부분 이해될 수 있지만, 간략하게 다시 한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손글씨(520a)가 기준 크기로 설정되면, 이후에 입력되는 손글씨는 기준 크기의 크기와 입력되는 손글씨의 입력 크기와의 크기 차이에 따라 상이한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되어 입력된다.
예를 들어, 도 5b는 입력된 손글씨(530a)의 입력 크기와 기준 크기(520c)의 크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차이 미만(예를 들어, 20% 미만)일 경우에 대한 예시도이다. 따라서, 손글씨(530a)의 입력에 따라 입력되는 텍스트(530b)는 520b의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 크기로 입력될 것이다.
또 다른 예로, 도 5c 및 도 5d는 입력된 손글씨(540a) 및 손글씨(550a)의 입력 크기와 기준 크기(520c)의 크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차이 이상일 경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c는 입력된 손글씨(540a)가 기준 크기(520c)보다 22% 정도 크게 입력되어, 미리 설정된 차이 이상(예를 들어, 20% 이상)으로 크게 입력되었기 때문에, 손글씨(540a)는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 보다 22% 증가된 텍스트 크기(즉, 7.32px)의 텍스트(540b)로 입력될 것이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텍스트(540b)는 반올림 기능에 의해 7.32px 대신에 7px의 텍스트 크기로 입력될 수 있다.
도 5d는 입력된 손글씨(550a)가 기준 크기(520c)보다 20% 정도 작게 입력되어, 미리 설정된 차이 이상(예를 들어, 20% 이상)으로 작게 입력되었기 때문에, 손글씨(550a)는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 보다 20% 감소된 텍스트 크기(즉, 4.8px)의 텍스트(550b)로 입력될 것이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텍스트(550b)는 반올림 기능에 의해 4.8px 대신에 5px의 텍스트 크기로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도 5b 내지 도 5d에서, 손글씨(530a)가 입력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준 크기(520c)를 표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기준 크기는 최초의 손글씨(520a)로부터 설정된 것이다. 따라서, 도 5b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기준 크기는 최초 손글씨(520a)와 유사한 형태(또는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 또한 520d와 같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내지 제4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손글씨로부터 텍스트를 입력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601-S602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손글씨-텍스트 변환 모드로의 진입이 확인되면, 손글씨를 입력받는 영역에 하나 이상의 기준선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입력되는 손글씨를 텍스트로 자동 변환하는 어플리케이션(또는 메뉴)의 실행 요청과 같이, 손글씨-텍스트 변환 모드로의 진입 요청이 확인되면, 제어부(10)는 손글씨를 입력하는 영역(700)과 손글씨로부터 변환된 텍스트가 표시되는 영역(710)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0)는 손글씨를 입력하는 영역(700)에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기준선(예를 들어, 720 내지 740)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각 기준선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예를 들어, 721 내지 741)도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기준선은 상단 기준선과 하단 기준선의 쌍(pair)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대응되는 텍스트 사이즈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단 기준선(720a) 및 하단 기준선(720b)의 쌍으로 구성되는 기준선은 대응되는 8px의 텍스트 사이즈(721)가 함께 표시되고, 상단 기준선(730a) 및 하단 기준선(730b)의 쌍으로 구성되는 기준선은 대응되는 10px의 텍스트 사이즈(731)가 함께 표시되고, 상단 기준선(740a) 및 하단 기준선(740b)의 쌍으로 구성되는 기준선은 대응되는 12px의 텍스트 사이즈(741)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예와 같이, 기준선을 쌍으로 구성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상단 기준선과 하단 기준선 사이에 손글씨를 입력함으로써, 입력한 손글씨가 어떠한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되는지 손쉽게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720a 및 720b의 선 사이에 손글씨를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손글씨가 8px의 텍스트 크기를 가지는 텍스트로 변환될 것임을 예측할 수 있으며, 730a 및 730b의 선 사이에 손글씨를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손글씨가 10px의 텍스트 크기를 가지는 텍스트로 변환될 것임을 예측할 수 있으며, 740a 및 740b의 선 사이에 손글씨를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손글씨가 12px의 텍스트 크기를 가지는 텍스트로 변환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기준선 각각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되어, 사용자가 각 기준선을 용이하게 구분(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기준선 별로 기준선의 색상 또는 기준선의 종류가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S603-S605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손글씨가 입력되면 손글씨가 통과하는 기준선의 개수를 확인하여, 입력된 손글씨를 상기 통과하는 기준선의 개수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전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글씨를 입력하는 영역(700)에 표시된 기준선을 참조함으로써 손글씨가 어떠한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될지를 예측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751a의 손글씨와 같이 720의 기준선을 통과하지 않도록 손글씨를 입력할 수도 있고, 752a의 손글씨와 같이 720의 기준선만을 통과하도록 손글씨를 입력할 수도 있고, 753a 및 754a의 손글씨와 같이 720 및 730의 기준선을 통과하도록 손글씨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 7c에서, 720 내지 740의 기준선이 표시된 상태에서 751a 내지 754a와 같은 손글씨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입력된 손글씨를 입력된 손글씨가 통과하는 기준선의 개수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0)는 입력된 손글씨가 기준선을 여러 개 통과할수록 입력된 손글씨를 증가된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기준선을 통과하지 않은 751a의 손글씨가 8px의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되어 입력되도록 제어하며, 그 결과 571b와 같은 텍스트가 입력된다. 즉, 571b의 텍스트는 8px의 텍스트 크기를 가진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0)는 하나의 기준선(즉, 720의 기준선)만을 통과한 752a의 손글씨가 10px의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되어 입력되도록 제어하며, 그 결과 572b와 같은 텍스트가 입력된다. 따라서, 752b의 텍스트는 10px의 텍스트 크기를 가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0)는 두 개의 기준선(즉, 720의 기준선)을 통과한 753a 및 754a의 손글씨가 12px의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되어 입력되도록 제어하며, 그 결과 753b 및 754b와 같은 텍스트가 입력된다. 따라서, 753b 및 754b의 텍스트는 12px의 텍스트 크기를 가지게 된다.
도 7d를 참조하여 S603-S605 단계를 다시 한번 살펴보면, 720a 및 720b의 기준선 사이에 입력되어 기준선을 통과하지 않고 입력된 손글씨(755a)는 8px의 텍스트 크기를 가지는 755b와 같은 텍스트로 변환되어 입력된다.
또한, 730a 및 730b의 기준선 사이에 입력되어 하나의 기준선만을 통과(720a 및 720b의 기준선을 통과)하여 입력된 손글씨(756a)는 10px의 텍스트 크기를 가지는 756b와 같은 텍스트로 변환되어 입력된다. 또한, 740a 및 740b의 기준선 사이에 입력되어 두개의 기준선을 통과(720a 및 720b의 기준선과 730a 및 730b의 기준선을 통과)하여 입력된 손글씨(757a)는 12px의 텍스트 크기를 가지는 757b와 같은 텍스트로 변환되어 입력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4)

  1.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손글씨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손글씨의 입력 크기와 기준 크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확인된 손글씨의 입력크기와 상기 기준 크기의 크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차이 미만이면, 상기 입력된 손글씨를 상기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손글씨의 입력크기와 상기 기준 크기의 크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차이 이상이면, 상기 입력된 손글씨를 상기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보다 상기 미리 설정된 차이 이상의 크기 차이만큼 증가된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글씨를 입력받는 과정은,
    상기 손글씨의 입력을 위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기준 크기를 표시하고, 상기 손글씨를 입력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크기는 상기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5.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최초의 손글씨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최초로 입력된 손글씨의 입력 크기를 기준 크기로 설정하고, 상기 최초로 입력된 손글씨를 상기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최초의 손글씨 이후에 입력되는 손글씨의 입력 크기와 상기 기준 크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이후에 입력된 손글씨의 입력크기와 상기 기준 크기의 크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차이 미만이면, 상기 이후에 입력된 손글씨를 상기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이후에 입력된 손글씨의 입력크기와 상기 기준 크기의 크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차이 이상이면, 상기 이후에 입력된 손글씨를 상기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보다 상기 미리 설정된 차이 이상의 크기 차이만큼 증가된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크기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크기를 표시한 후에 상기 최초의 손글씨 이후의 손글씨를 입력받고, 상기 이후에 입력된 손글씨의 입력 크기와 상기 기준 크기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크기는 상기 최초에 입력된 손글씨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크기는 상기 기준 크기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10.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손글씨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모드로 진입하면, 손글씨를 입력받는 영역에 하나 이상의 기준선을 표시하는 과정과,
    손글씨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손글씨가 통과하는 상기 기준선의 개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손글씨를 상기 통과하는 기준선의 개수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손글씨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손글씨를 입력받는 영역에 하나 이상의 기준선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기준선 각각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를 해당 기준선과 함께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선 각각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선 각각은 상단 기준선과 하단 기준선의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된 손글씨가 통과하는 상기 기준선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텍스트 크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입력된 손글씨를 상기 증가된 텍스트 크기의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KR1020120085863A 2012-08-06 2012-08-06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KR102040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863A KR102040851B1 (ko) 2012-08-06 2012-08-06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EP13179092.5A EP2696272A3 (en) 2012-08-06 2013-08-02 Character input method in portable terminal
US13/957,798 US9535508B2 (en) 2012-08-06 2013-08-02 Key input method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863A KR102040851B1 (ko) 2012-08-06 2012-08-06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179A true KR20140019179A (ko) 2014-02-14
KR102040851B1 KR102040851B1 (ko) 2019-11-06

Family

ID=48949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863A KR102040851B1 (ko) 2012-08-06 2012-08-06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35508B2 (ko)
EP (1) EP2696272A3 (ko)
KR (1) KR102040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7137B2 (en) * 2014-12-23 2018-07-31 Lenovo (Singapore) Pte. Ltd. Directing input of handwriting strok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188A (en) * 1987-06-24 1989-01-06 Fujitsu Ltd Handwritten information input device
KR900002068B1 (ko) * 1985-06-26 1990-03-31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문자 입력장치
JPH05282091A (ja) * 1992-04-02 1993-10-29 Mitsubishi Electric Corp 任意サイズ文字の入力装置
KR20050053498A (ko) * 2003-12-03 2005-06-08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잉크의 스케일링된 텍스트로의 대체
US20080240569A1 (en) * 2007-03-29 2008-10-02 Kabushiki Kaisha Toshiba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10157615A1 (en) * 2009-12-30 2011-06-30 Rimai Donald S System for generating personalized documen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9119B2 (ja) * 1994-05-16 1999-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手書き文字入力表示装置および方法
IL112420A (en) * 1995-01-23 1999-05-09 Advanced Recognition Tech Handwriting recognition with reference line estimation
US6661409B2 (en) * 2001-08-22 2003-12-09 Motorola, Inc. Automatically scrolling handwritten input user interface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the like
JP4050055B2 (ja) * 2002-01-10 2008-02-20 株式会社リコー 手書き文字一括変換装置、手書き文字一括変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561145B2 (en) * 2005-03-18 2009-07-1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invoking an electronic ink or handwriting interface
KR20090046142A (ko) * 2007-11-05 2009-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필체 자동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101119373B1 (ko) * 2010-07-09 2012-03-06 삼성전기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터치패널의 작동방법
US8571321B2 (en) * 2010-07-26 2013-10-29 Casio Computer Co., Ltd.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5848946B2 (ja) * 2011-10-21 2016-01-27 シャープ株式会社 入出力システム、入出力システム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068B1 (ko) * 1985-06-26 1990-03-31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문자 입력장치
JPS642188A (en) * 1987-06-24 1989-01-06 Fujitsu Ltd Handwritten information input device
JPH05282091A (ja) * 1992-04-02 1993-10-29 Mitsubishi Electric Corp 任意サイズ文字の入力装置
KR20050053498A (ko) * 2003-12-03 2005-06-08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잉크의 스케일링된 텍스트로의 대체
US20080240569A1 (en) * 2007-03-29 2008-10-02 Kabushiki Kaisha Toshiba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10157615A1 (en) * 2009-12-30 2011-06-30 Rimai Donald S System for generating personalized docu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37211A1 (en) 2014-02-06
EP2696272A2 (en) 2014-02-12
EP2696272A3 (en) 2017-11-15
KR102040851B1 (ko) 2019-11-06
US9535508B2 (en)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5858B2 (e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CN108121457B (zh) 提供字符输入界面的方法和设备
KR20130089486A (ko)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
EP267013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video in portable terminal
KR20130116462A (ko)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N105373330B (zh) 用于在电子设备中处理字母输入的电子设备和方法
KR102102663B1 (ko)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
KR102216127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70004220A (ko)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20140027838A (ko) 멀티 터치를 이용한 핸드 라이팅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제어 방법
US107759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text in portable terminal
US2014018069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040851B1 (ko)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US2016010355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003259B2 (en) Modifier key input on a soft keyboard using pen input
KR20130081502A (ko) 아이템의 스크롤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044667A (ko)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91943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20084507A (ko) 터치 스크린의 접촉 방향성을 이용한 영상 확대/축소 장치 및 그 방법
KR10191951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5010170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스처 입력 처리 방법
US20190087080A1 (en)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20150022597A (ko) 필기체 입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30139699A (ko)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
KR20110079988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