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699A -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699A
KR20130139699A KR1020120063392A KR20120063392A KR20130139699A KR 20130139699 A KR20130139699 A KR 20130139699A KR 1020120063392 A KR1020120063392 A KR 1020120063392A KR 20120063392 A KR20120063392 A KR 20120063392A KR 20130139699 A KR20130139699 A KR 20130139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program
arrangement posi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120063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9699A/ko
Publication of KR20130139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는 입력단위의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상기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 별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를 인식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배열위치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로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종류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의 배치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와 배치를 가지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장치에 등록할 수 있으며, 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위치를 입력상태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황에 따라 배열상태가 변경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전자기기는 정보의 표시 및 입력기술의 발달로 인해 종래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식에서 키패드를 생략하여 화면을 크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입력방식이 많이 이용된다.
그런데 터치스크린 방식을 이용하는 종래의 문자입력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는 언어 및 기호별로 항상 고정된 위치에 해당 입력단위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의 종류나 사용자의 입력의도 및 입력상황, 예를 들어 단순히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와 수식을 입력하는 경우 각각의 상황에 무관하게 고정된 위치에 입력단위가 존재하여 입력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문자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종래의 문자 입력장치에서는 문자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가 항상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며 사용자의 손과 같은 입력주체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이더라도 잘못된 입력가능성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종류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의 배치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와 배치를 가지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장치에 등록할 수 있는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위치를 입력상태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입력단위의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상기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 별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를 인식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배열위치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로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된 배열위치에 따른 문자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입력단위의 기본 배열위치 및 상기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배열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변경된 배열위치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특정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키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열위치를 저장하는 배치파일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상기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상기 배치파일은 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가 기입력된 문자열과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기입력된 문자열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입력된 문자열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단위를 입력받는 입력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단위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가 기입력된 문자열과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단위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단위를 입력받는 입력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한편,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입력단위의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램 별로 저장하는 단계; 프로그램의 실행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배열위치를 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의 문자 입력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에 의하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종류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의 배치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와 배치를 가지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장치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에 의하면, 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위치를 입력상태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시의 각 구성 간의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 사용되는 배치파일이 형성되어 로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표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표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표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의 문자 입력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저장부(10)와 제어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터치방식에 의해 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휴대전화, PDA, 스마트폰, 태블릿PC 뿐만 아니라 ATM 단말기, 내비게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0)는 입력단위의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입력단위의 배열위치는 현재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와 무관하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프로그램이란 장치 내에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며, 입력단위란 문자 입력단위 뿐만 아니라 특수한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키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위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0)는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과 그에 대응하는 입력단위의 배열위치를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한다. 즉,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각각의 키패드의 기설정된 배열위치에 매칭되는 입력단위가 프로그램 별로 저장된다. 여기서, 키패드의 기설정된 배열위치와 입력단위는 일대일 또는 일대다의 관계가 될 수 있는 바, 하나의 배열위치에 여러 개의 입력단위가 매칭되어 프로그램의 동작상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입력단위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에 기본적으로 표시되는 입력단위는 통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한글자음과 한글모음 또는 알파벳 등이 기본값으로 저장되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0)에는 키패드의 배열위치 및 이에 대응하는 입력단위 뿐만 아니라 키패드에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스킨 정보도 저장될 수 있으며, 특정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에 대한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0)는 제어부(2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다양한 정보 역시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20)는 ROM(Read Only Memory) 또는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램 별로 저장부(10)에 저장하고,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실행여부를 인식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배열위치를 저장부(10)로부터 로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는 키패드의 표시 및 동작을 제어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부(10)로부터 로드된 배열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부(20)는 입력단위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한다. 이로써,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의 배치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는 문자 및 기능키 등의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터치패널, 액정패널, 백라이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터치패널로부터 발생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0)에 마련된 신호선에 의해 제어부(20)로 전달된다.
문자와 기능키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위의 배열위치는 프로그램의 개발시에 미리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입력단위를 원하는 배열위치에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제어부(20)는 사용자가 입력단위의 배열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선택한 다음 선택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표시되는 입력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입력단위를 선택하여 배열위치를 정함으로써, 자신의 취향에 맞는 입력단위의 배열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는 입력단위를 통해 문자나 기능키 등의 배열위치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단축키 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즉, 프로그램 별로 특정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키의 키 조합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재설정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단축키를 다시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20)는 프로그램 별 기본 단축키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새롭게 설정된 단축키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부(10)에 저장한 후 디스플레이부(30)로부터 단축키 실행을 위한 입력이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기본 단축키 입력 메시지를 해당 프로그램으로 송신한다.
한편, 입력단위의 배열위치 설정은 문자 입력장치(100)가 아닌 웹사이트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통신부(40)를 통해 서버(200)로부터 배열위치를 저장하는 배치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배열위치를 저장하는 배치파일을 서버(200)로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프로그램 별로 특정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키 정보 역시 통신부(40)를 통해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서버(200)에 업로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서버(200)에 저장되는 배치파일은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파일에 포함되는 이미지 파일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꾸미는 스킨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웹사이트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스킨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에서 프로그램 실행시의 각 구성 간의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제어부(20)는 입력단위의 배열위치를 저장하는 기본 배치파일을 저장부(10)로부터 로드한다. 이후 제어부(20)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인식되는 경우, 이미 로드된 배치파일을 언로드한 다음 실행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입력단위의 배열위치가 저장된 새로운 배치파일을 저장부(10)로부터 로드한다. 만일, 배치파일 내에 단축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0)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단축키가 입력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기설정 단축키 정보를 실행 중인 프로그램으로 전달한다.
제어부(20)가 프로그램의 실행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은 사전에 정의된 메시지 구조에 의해 실행된 프로그램으로부터 프로그램 실행에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과 운영체제가 프로그램의 실행여부를 제어부(20)에 알려주는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에 사용되는 배치파일이 형성되어 로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배열위치(Key arrays)가 원 모양의 8개의 입력버튼이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일예로 하지만 이는 정사각형이나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파일은 입력단위(Keys)와 배열위치(Key arrays)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즉, 입력단위와 배열위치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매칭정보를 제어부(20)가 저장부(10)로부터 로드하여 디스플레이부(30)의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에서 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표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는 입력 인터페이스(I)가 기입력된 문자열의 마지막 부분, 즉 커서의 위치에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I)가 우측으로 이동하거나 입력 인터페이스(I)가 디스플레이부(30)의 중앙에 고정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기입력된 문자열 자체가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기입력된 문자열과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입력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표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는 입력 인터페이스(A)와 사용자로부터 문자 또는 기능키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영역(B)을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A)를 주시하면서 입력영역(B)을 손이나 펜으로 터치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와 같이 입력 인터페이스(A)가 디스플레이부(30)에 고정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기입력된 문자열 자체가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인터페이스(A)와 입력영역(B)의 위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며 별도로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표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인터페이스(A)와 입력영역(B)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와 같이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문자의 입력에 따라 문자입력 인터페이스(I)가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입력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20)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크기와 위치정보 및 입력영역의 크기와 위치정보 역시 프로그램 별로 매칭하여 저장부(10)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로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의 문자 입력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20)가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입력단위의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램 별로 저장한다(S810). 여기서, 입력단위의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는 문자 입력장치(100)가 아닌 서버(200)를 통해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며,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단축키 정보 또는 스킨 기능을 가지는 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20)는 프로그램의 실행여부를 인식하고(S820), 단계 S820의 인식을 통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배열위치를 로드한다(S830).
마지막으로, 제어부(20)는 단계 S830에서 로드된 배열위치에 기초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한다(S840). 여기서, 입력 인터페이스는 기입력된 문자열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입력 인터페이스와 입력영역이 디스플레이부(30) 내에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 : 저장부 20 : 제어부
30 : 디스플레이부 40 : 통신부
100 : 문자 입력장치 200 : 서버
A, I : 입력 인터페이스 B : 입력영역

Claims (12)

  1. 입력단위의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상기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 별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를 인식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배열위치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로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된 배열위치에 따른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단위의 기본 배열위치 및 상기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배열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변경된 배열위치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키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열위치를 저장하는 배치파일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파일은 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가 기입력된 문자열과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기입력된 문자열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입력된 문자열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단위를 입력받는 입력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10.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단위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가 기입력된 문자열과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11.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단위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단위를 입력받는 입력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12.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입력단위의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램 별로 저장하는 단계;
    프로그램의 실행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배열위치를 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의 문자 입력방법.
KR1020120063392A 2012-06-13 2012-06-13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 KR20130139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92A KR20130139699A (ko) 2012-06-13 2012-06-13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92A KR20130139699A (ko) 2012-06-13 2012-06-13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699A true KR20130139699A (ko) 2013-12-23

Family

ID=4998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392A KR20130139699A (ko) 2012-06-13 2012-06-13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96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9397B2 (en) Data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N108121457B (zh) 提供字符输入界面的方法和设备
US8381119B2 (en) Input device for pictographic languages
US20120260218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customized navigation
EP2487561A1 (e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EP2796993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n initial setting
CN105630327B (zh) 便携式电子设备和控制可选元素的显示的方法
US10387033B2 (en)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US2014021828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ontrol interface and methods therefor
US20130050098A1 (en) User input of diacritical characters
CN104808807A (zh) 用于汉字拼音输入的方法和装置
CN103309457A (zh) 一种输入法面板的设置方法及系统
US9747002B2 (en) Display apparatus and image representation method using the same
EP26155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yboard layout using touch
KR102466990B1 (ko)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236967A1 (en) Virtual keyboard for writing programming codes in electronic device
CN116324684A (zh) 用于操作电子装置的数字键盘的电子装置和方法
CN103383627B (zh) 用于在便携式终端中输入文本的方法和设备
KR101313287B1 (ko) 문자 입력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101204151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JP2013182342A (ja)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30139699A (ko)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문자 입력방법
CN105808067A (zh) 一种图标移动方法及终端
US20150347004A1 (en) Indic language keyboard interface
KR102130045B1 (ko)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