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068B1 - 문자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068B1
KR900002068B1 KR1019860005077A KR860005077A KR900002068B1 KR 900002068 B1 KR900002068 B1 KR 900002068B1 KR 1019860005077 A KR1019860005077 A KR 1019860005077A KR 860005077 A KR860005077 A KR 860005077A KR 900002068 B1 KR900002068 B1 KR 90000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size
input
data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632A (ko
Inventor
모또시 구리하라
요시가쯔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와타리 스기이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와타리 스기이찌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87000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33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06V30/347Sampling; Contour coding; Stroke ex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6Matching; Classification
    • G06V30/387Matching; Classification using human interaction, e.g. selection of the best displayed recognition candid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문자 입력장치
제 1 도 및 제 2 도는 종래의 문자입력장치에 문자크기에 대한 입력방식의 다른 일례를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3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도시된 문자입력장치에서 입력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제 5 도는 제 4 도에 도시된 입력장치에서 위치입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
제 6 도는 제 3 도에 도시된 문자입력장치에서 제어장치의 내부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제 7 도는 제 3 도에 도시된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외부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사전데이터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8a 도 내지 제 8b 도는 제 3 도에 도시된 문자입력장치에서 문자인식을 위한 방향값의 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9 도는 제 3 도에 도시된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1문자가 입력되어 인식되는 동시에 그 문자의 크기가 결정되어 표시되기 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 10a 내지 제 10e 도는 제 3 도에 도시된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1문자가 입력되어 그 문자의 크기가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11 도는 문자열 데이터의 구성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제 12 도 및 제 1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정전형 서판(tablet)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위치입력장치 12 : 제어장치
13 : 외부기억장치 14 : 표시장치
21 : 입력장치 31 : 도전막
32 : 스페이서(spacer) 41 : 입력부
42 : 인식처리부 43 : 문자크기처리부
44 : 출력부 45 : 내부기억부
451 : 위치데이터버퍼영역 452 : 사전데이터버퍼영역
453 : 문자크기대응테이블영역 454 : 출력버퍼영역
51 : 자획수 52 : 방향성분정보
53 : 문자코드 151,152 : 투명유리판
153,154 : 투명전극 55,56 : 쉬프트레지스터
57 : 쉬프트콘트롤러 58 : 전극펜
59 : 증폭기 60 : 여파기
61 : 카운터
본 발명은 위치(좌표)입력장치를 가지고 묘사되는 문자를 인식한 다음 해당문자를 입력시켜 주기위한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위치(좌표)입력장치를 사용하여 묘사된 문자의 크기를 판별하게 함으로써 입력문자의 크기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된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서의 작성이나 편집을 실행할 수 있는 워드프로세서에는 한국어와 일본어, 영어 및 중국어등과 같은 여러종류의 문자가 사용되고 있는 바, 예컨대 일본어 워드프로세서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종래 문자입력장치에는 처리문서의 표시를 실행하기 위해 문자표시장치(character display)가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문자표시장치는 문자가 표시되는 위치와 표시문자의 크기가 일정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표시문자의 크기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줄 수가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일본어 워드프로세서에서는 처리문서가 일정한 크기의 표시문자로 표시되는데, 통상적인 경우 손으로 쓰거나 인쇄를 한 문서에는 여러가지의 문자가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일본어 워드프로세서에서는 위와 같이 여러가지 크기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서의 작성을 문자표시장치에서 실행하기 위한 특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바, 즉 2문자분의 표시영역을 사용하여 횡방향에 대해 통상문자의 2배크기를 갖는 배각문자(enlarged character)를 지정하거나 1/2문자분의 표시영역을 사용하는 반각문자(condensed character)를 지정해서 여러가지 크기의 문자를 뽑아낼 수 있도록 연구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비트맵 표시장치(bitmap display)가 보급되고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크기의 문자를 임의의 위치로부터 표시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문자크기의 지정방법도 여러종류로 사용될 수 있게 연구되어 왔다.
그런, 키보우드를 사용하고 있는 문자크기의 입력방법으로 대표적인 것들은 입력시에 문자의 크기를 지정함에 따라 이후 입력되는 문자가 그 크기에 맞게 셋팅된다. 이와 같은 경우 문자크기의 지정방법에는 문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속성정보를 수치로 입력하여 지정하는 방법과,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여러가지 크기의 사각형을 다양하게 표시하여 메뉴선택에 따라 이들중으로부터 1개를 선택하여 지정하는 방법 및,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1종류의 문자를 여러가지 크기로 표시하고 메뉴선택에 따라 이들중 1개를 선택하는 방법등이 있다.
또한, 이미 입력된 문자의 크기와 다른 크기로 나중의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는 문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속성정보를 전술한 바 있는 3종류중 어느 한 방법으로 지정하여 고칠 수 있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문자의 크기를 변경시킬 때에는 변경시킬 때마다 문자 입력전에 그 크기를 지정할 필요가 있게되고, 그에 따라 빈번하게 문자의 크기를 변경시켜 주어야 할 때에는 그때마다 문자의 크기에 대한 지정이 필요하게 되므로 장치의 조작성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과 같은 비트맵 표시장치가 보급됨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로 임의의 크기에 대한 문자의 표시를 용이하게 할 수 있기는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자크기의 지정방법은 조작성이 나쁘므로 문자입력장치의 성능을 충분히 같아 종래 문자의 크기의 지정조작시에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서판(tablet)과 같은 펜 또는 소정의 펜형태의 필기구가 입력면에 접촉됨에 따라 그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입력시키는 위치입력장치가 문자 처리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 위치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장치의 입력면위에 문자를 묘사함에 따라 그 위치데이터가 실시간(real time)내에 읽혀지고 그 데이타가 해석되어, 입력된 문자가 어느위치에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는 온라인 문자인식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문자인식장치에서는 펜이 온상태로 될때부터 오프상태로 되기까지(즉, 펜이 입력면에 접속되고부터 해당 입력면에서 떨어지기까지)가 1개의 자획(stroke)으로 판정되고, 그에따라 자획수 및 각 자획을 구성하고 있는 방향정보 또는 일련의 방향정보에 대한 열(列)이 해석됨에 따라 묘사되는 문자가 인식되게 된다.
그런데,이와 같은 온라인 문자인식에 따른 종래의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도 문자크기의 지정은 전술한 바있는 키보우드에 의한 입력경우와 마찬가지의 3종류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바, 이는 문자크기의 지정과 문자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행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문자입력장치를 사용하고 있을때에 문자크기의 지정조작에는 키보우드입력의 경우와 마찬가지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서판과 같은 위치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문자인식 및 해당문자의 문자크기를 판별하도록 해서 손으로 쓰는 것과 거의 마찬가지의 조작만으로도 문자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도록 된 입력조작이 용이한 문자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서판과 같은 위치입력장치에서 입력되는 위치데이터를 실시간내에 읽어들여서 해당위치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획등의 정보에서 해당위치 입력장치의 입력면위에 묘사되는 문자를 온라인 인식하는 동시에, 해당문자를 입력할 때의 위치데이터로부터 그 문자의 크기를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에 따라 문자의 크기를 선정하여 인식된 문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속성정보로 해당문자의 정보에 대응시켜 입력시키게 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위치입력장치(11)는 입력면에서 좌표위치 검출기능을 구비하여 해당입력면 위에서 펜 또는 소정의 펜형상의 필기구로 지정되는(즉, 펜등으로 누르고 또는 펜등이 접촉될때)좌표위치데이터를 입력하게 되고, 이에 상기 위치정보 입력장치(11)에서 입력된 위치데이터는 제어장치(12)에 써넣게 되며, 상기 제어장치(12)는 위치입력장치(11)에서 입력된 위치데이터로부터 묘사된 문자를 인식한 다음 문자의 크기를 판별하게 된다.
또, 외부기억장치(13)에는 문자인식을 행할 때에 사용되는 사전데이터가 기억되고 있고, 표시장치(14)에는 인식된 문자가 판별결과에 대응하는 크기로 표시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문자입력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시기능을 구비한 입력장치(2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입력장치(21) 표시장치(14)와 위치입력장치(11)가 일체화된 것으로,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예컨대 액정표시장치로 이루어진 표시장치(14)의 표시면위에 투명재료로 이루어진 판상의 위치입력장치(11)가 장착되어 구성되고 있다.
상기 위치입력장치(11)는 소위 감압형(저항치형)인 서판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제 5 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1쌍의 도전막(31)이 그물코 형상의 스페이서(32 ; spacer)를 통해 서로 대향되게끔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32)에 의해 형성되는 1쌍의 도전막(31)간격은 수 10㎛로 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한쪽의 도전막(31)을 바깥측으로부터 펜으로 누르면 다른쪽의 도전막(31)에 접촉되므로 양쪽의 도전막(31) 사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는 도통된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전압강하가 도전막(31)의 4변에서 측정됨에 따라 도통점의 위치가 검출된다.
한편, 상기 입력장치(21)는 돗트 또는 문자를 액정에 표시하는 동시에 그 표시면위에 대응해서 위치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게되고, 또 상기 입력장치(21)에 의하면 위치입력과 동시에 그 입력장치를 액정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입력장치(11) 위치에서 문자를 묘사하게 되면 그 궤적이 표시되어 마치 지면위에 문자를 묘사하듯이 손으로 쓰는 입력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장치(12)는 제 6 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입력부(41)와 인식처리부(42), 문자크기처리부(43), 출력부(44) 및 내부기억부(45)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입력부(41)는 위치입력장치(11)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좌표데이터를 읽어들여서 내부기억부(45)의 위치데이터 버퍼영역(451)에 기억시킨다.
또, 인식처리부(42)는 위치데이터 버퍼영역(451)의 데이터를 해석하여 해석될 데이터를 사용하여 해당되는 사전데이터를 외부기억장치(13)로부터 독출하고 내부기억부(45)의 사전데이터 버퍼영역(452)에 기억시킨다. 그 다음에 내부기억부(45)에 있는 사전데이터 버퍼영역(452) 내용을 참조해서 입력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코드를 추출시키므로 내부기억부(45)의 출력버퍼영역(454)에 기억시키게 하는데 상기 인식처리부(42)의 동작에 따른 사전데이터 버퍼영역(452)에는 외부 기억장치(13)의 사전일부가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문자크기처리부(43)는 내부기억부(45)에 있는 위치데이터 버퍼영역(451)의 데이터로부터 입력의 각 자획에 대해서 X좌표 및 Y좌표에 대한 최대값과 최소값을 조사함에 따라 묘사된 문자의 크기를 산출하게 된다.
계속해서 문자크기처리부(43)는 위와같이 산출된 크기에 대응하는 문자의 크기를 내부기억부(45)에 있는 문자크기대응 테이블영역(453)을 참조해서 결정함 후 해당문자 크기의 정보를 출력버퍼영역(454)에 기억시키고, 또 출력부(44)는 인식처리부(42) 및 문자크기처리부(43)에서 각각 얻어지는 문자코드 및 문자크기의 데이터를 출력버퍼영역(454)에서 꺼내어 표시장치(145)를 출력한다.
상기 표시장치(14)는 상기 출력부(44)로부터 공급된 문자코드에 대응하는 문자를 공급된 문자크기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크기로 표시하게 된다.
외부기억장치(13)는 제 7 도에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듯이 정보를 기억하는 바, 해당정보는 자획부(51)와 방향성분정보(52) 및 상기 방향성분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코드(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향성분정보(52)는 예컨대 제 8a 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자획의 싯점부터 종점까지를 구성하는 1개 이상의 선분방향을 제 8b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값 또는 그 조합으로 표현하며 상기 방향값을 순차적으로 열거하는 방향값의 열로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각 문자에 대응하는 방향성분정보(52)는 1개 이상의 방향값의 열로 구성되어 있고, 해당외부기억장치(13)에는 상기 방향성분정보(52)에 대응하여 문자코드(53)가 기억되어 있다.
위와 같은 문자입력장치에 따른 입력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9 도는 1문자가 묘사될 때 그 문자를 인식하여 문자코드를 판정한 다음 문자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먼저 제어장치(123)가 기동되면 그 내부에 있는 인식처리부(42)가 동작되어 내부기억부(45)의 위치데이터 버퍼영역(451)과 사전데이터 버퍼영역(452) 및 출력버퍼영역(454)이 초기화 된다(제 71 단계).
이어 인식처리부(42)로부터 입력부(41)에 제어가 이동되므로 상기 입력부(41)에 의해 위치입력장치(11)의 상태가 점검되어 펜에 따른 입력의 온/오프상태가 점검되게 된다(제 72 단계).
펜입력이 온상태로 될 때에는 상기 입력부(41)에서 그 좌표위치데이터가 읽어지므로 위치데이터 버퍼영역(451)에 기억되게 되고(73 단계), 이때 직전에 기억된 위치데이터와 비교하여 좌표위치가 어느값 이상으로 떨어지고 있는 경우에만 기억되게 된다.
만약에 그렇지 않으면 동일점이 여러개 기억되게 되므로 위치데이터 버퍼영역(451)의 용량이 충분하지 않게 된다. 또, 펜입력이 오프상태로 될때, 그 직전에 펜온상태가 있으면 자획의 단락이라고 판정하여 위치데이터 버퍼영역(451)에 단락데이터를 추가기억 시킨다(74 단계).
이와 같이 해서 복수개의 자획으로 이루어진 문자가 묘사되는 경우 각 자획의 좌표위치데이터가 단락데이터로 분리되어 위치데이터 버퍼영역(451)에 기억되게 된다. 그 다음 입력부(41)는 1문자의 종료를 펜오프 상태의 시간폭 또는 글 첫머리점의 위치와 그 이전에 기억되어 있던 위치데이터의 떨어진 상태로부터 판정하게 된다(75 단계).
한편, 1문자가 종료했다고 판정하게 되면 그 다음에 인식처리부(42)에서는 위치데이터 버퍼영역(451)의 데이터가 해석된다. 우선 단락데이터가 조사되어 자획수가 판정된 다음 각 자획에 대해 자획을 구성하고 있는 각 좌표위치데이터로부터 2점사이의 방향값이 구별되므로 방향값의 열데이터가 작성되면, 이어 방향값의 열데이터를 조사하여 동일 방향값이 이어지는 경우는 1개의 방향값으로 대표시킴에 따라 방향값의 열데이터를 압축하게 된다.
계속해서 인식처리부(42)는 외부기억장치(13)로부터 자획부(51)에 대응하는 방향성분정보(52) 및 문자코드(53)로 이루어진 사전데이터를 사전데이터 버퍼영역(452)에 기억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해서 얻어지는 방향값의 열데이터와 상기 사전데이터 버퍼영역(452)의 방향성분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맞추어 본다.
이렇게 서로 맞추어 본 결과 일치하는 것이 있는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문자코드(53)가 추출되어 출력버퍼영역(454)에 기입되고(76 단계), 또 완전하게 일치하는 것이 없을 때에도 허용범위내에서 유사한 것이 있으면 그 문자코드가 추출된다.
이와 같이 해서 입력된 문자가 인식되게 된다. 계속해서 문자크기 처리부(43)로 제어가 이동하게 되고, 상기 문자크기처리부(43)에서는 위치데이터버퍼영역(451)에 데이터로부터 자획마다 X좌표 및 Y좌표에 대한 최대값과 최소값을 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구해진 각 자획의 최대값과 최소값내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을 추출하게 되고, 이들 최대값과 최소값으로부터 묘사된 문자의 크기가 구해지게 된다.
상기 문자크기의 산정에 대해 제 10a 도 내지 제 10(e) 도를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0a 도에 도시되어 있는 문자(C1)의 크기를 구하는 것으로서, 상기 문자(C1)는 제 10b 도 내지 제 10(d) 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3개의 자획(S1∼S3)으로 구성되고, 위와 같은 3개의 자획(S1∼S3)이 입력되면 각각의 x,y좌표에서의 최대값 및 최소값이 구해지게 된다.
결국 제 1 자획(S1)에 대해서는 (P1x,P1y) 및 (Q1x,Q1y)이고, 제 2 자획(S2)에 대해서는 (P2x, P2y) 및 (Q2x, Q2y)이며, 그리고 제 3 자획(S3)에 대해서는 (P3x,P3y) 및 (Q3x,Q3y)으로 각각 구해진다.
계속해서 이들 자획(S1-S3)에 대해 얻어지는 값으로부터 x,y좌표에서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결국 제 10(e) 도에 도시되어 있는 (P1x,P1y) 및 (Q3x,Q3y)가 구해지게 되고, 이들 좌표데이터인(P1x,P2y) 및 (Q3x,Q3y)로부터 문자(C1)의 크기가 구해지게 된다.
계속해서 구해진 문자의 크기에 대응하는 문자크기의 정보가 문자 크기대응 테이블(453)을 참조해서 구해지게 되고, 구해진 문자크기의 정보가 제 9 도의 77단계에서 인식되는 문자의 속성으로 하여 문자코드(53)에 대응시켜 출력버퍼영역(454)에 기억되며(77단계), 또 문자크기 대응테이블영역(453)에는 문자크기대응 테이블이 77단계에서 선행되어 기억되거나 설정된다.
상기 문자크기대응 테이블은 입력면에서 묘사된 문자의 크기로부터 표시(또는 인자)할 때의 문자크기를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묘사된 문자의 크기가 예컨대 10mm-15mm각의 경우는 4mm각으로 표시(또는 인자)되도록 문자크기의 정보가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허용되는 범위에 있으면 묘사문자크기에 불균형으로 있어도 선정되는 문자크기는 일정하게 된다.
한편, 문자크기가 판정되면 출력부(44)로 제어가 이동하게 되고, 상기 출력부(44)에 의해 출력버퍼영역(454)의 문자코드(53)와 그 속성값인 문자크기의 정보가 표시장치(14)에 출력되므로 상기 표시장치(14)에 표시된다(78 단계). 이리하여 묘사된 문자는 그 크기에 따른 크기로 표시되게 된다. 또한, 본 문자입력장치에 의해 지정되는 문자크기의 정보는 통상적인 경우 프린터등에 의해 인자되는 문자의 크기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입력된 문자열을 처리(예컨대 표시와 편집, 인자등)할 때에는 문자의 속성이 부가되는 데이터로 취급되는 바, 즉 일반적인 문자열의 데이터는 제 11 도와 같이 제어코드(CTL)와 속성값(AT1-AT7) 및 문자코드(S ; CC1-CCn)로 구성된다.
상기 속성값(AT1-AT7)은 종서/횡서속성과 문자간격속성, 행간격속성, 문자열의 선두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속성, 문자크기속성, 문자색소성 및 자체속성 등으로 구성되고, 그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문자크기의 정보는 문자크기속성(AT3)에 셋팅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바, 그 요지에 포함되는 범위내에서 여러종류로 변형시켜 실시할 수가 있다. 예컨대 입력된 문자의 크기에 따라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를 변환시킬 수 있겠지만 그것도 일정한 문자의 크기에 표시하는가를 절환선택하여 얻도록 해도 바람직하다.
또 입력된 문자의 크기는 문자의 종류 또는 사용자에 의해 크게 변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실시예에서 도시되도록 입력된 문자의 크기에 대응하여 출력된 문자의 크기를 일률적으로 결정한 만큼 안되며, 또 인식을 위한 표준패턴에 종속하여 문자마다 기본의 문자크기를 등록해 놓게 되므로 인식결과에 따라 그 문자가 판정된 후, 종속정보로써 문자크기의 정보를 독출하여 입력되는 문자의 크기와 비교함에 따라 출력되는 문자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X방향 및/또는 Y방향에 대해서의 크기가 통상적인 문자에 비해 특히 작은문자(예컨대 "-","1",",",","등)에 따른 문자크기의 오판정을 방지할 수가 있게되고, 또한 문자크기의 정보는 문자의 높이와 문자의 폭을 독립해서 표현/기억하는 경우와, 문자의 높이 및 폭을 모두 갖는 문자의 크기를 표현/기억하는 경우에도 바람직하게 된다.
더우기 문자의 표준패턴을 임의적으로 사전에 등록하도록 하거나 사용자 특유의 자체 및/또는 크기에 의해 표준으로 되는 문자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해도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입력장치(11)로써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기적 접촉에 의해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가 아니고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해 위치를 검출하는 정전형서판을 사용해도 좋다.
즉, 정전형서판은 제 12 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1쌍의 투명유리판(151)(152)을 구성하면서 이들 유리판(151)(152)의 각 한쪽면에 상호 평행으로 한 다음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띠형상의 투명전극(153)(154)이 각각 설치되어진다. 이들 2장의 투명유리판(151)(152)이 투명전극(153)(154)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치시켜 중첩시키고, 이때 양쪽의 투명전극(153)(154) 사이는 도시되어 있지 않는 절연보호막에 의해 절연되어 진다.
위와 같은 전극부는 제 13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회로에 의해 구동된다. 즉, 투명전극(153)(154)은 쉬프트레지스터(55)(56)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쉬프트레지스터(55)(56)는 쉬프트 콘트롤러(57)에 의해 소정의 쉬프트 클록마다 순차적으로 쉬프트됨에 따라 순차 전압이 인가된다.
이로부터 상기 전극(153)(154)의 전압변화가 검출용전극펜(58)에서 정전결합에 따라 검출되고, 상기 검출전압은 증폭기(59)에서 증폭된 후 여파기(60)에서 잡음성분이 제거되어 카운터(61)에 입력된다.
상기 카운터(61)는 전극(153)(154)의 쉬프트횟수를 계수하고, 상기 카운터(61)의 계수값에 따라 여파기(6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위치의 좌표정보가 얻어진다. 또한 위치입력장치(11)와 표기장치(14)는 필연적으로 일체화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일본어와 영어 및 중국어와 같은 문자의 워드프로세서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일본어와 영어 및 중국어와 같은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라면 어떠한 시스템에 대해서도 적용시킬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문자입력과 동시에 문자의 크기를 지정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통상적으로 종이에 손으로 쓰는 것과 마찬가지로 큰문자를 묘사하면 큰문자크기의 정보가 입력되는 한편, 작은 문자를 묘사하면 그런대로 작은문자크기의 정보가 입력된다. 따라서, 여러가지 크기의 문자가 혼재하는 문서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문자입력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문자크기의 지정코멘드 입력조작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문자의 입력조작이 용이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묘사되는 문자를 인식하여 해당문자를 입력시키기 위한 문자입력 장치에 있어서, 입력면에 대한 접촉조작의 지시위치에 대응되는 좌표값을 입력시키기 위한 위치입력수단(11)과, 상기 위치입력수단(11)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좌표값의 열을 해석하여 대응되는 문자코드를 구하는 인식처리수단(42), 상기 좌표값의 열(列) 분포범위를 판별하고 해당분포범위의 크기에 대응되는 문자크기의 정보를 구하는 문자크기처리수단(43) 및, 상기 인식처리수단(42)에서 구해진 문자코드를 상기 문자크기 처리수단(43)에 의해 구해지는 문자크기의 정보에 따른 문자의 크기로 표시하는 표시수단(14)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크기 처리수단(43)은 위치입력수단(11)의 입력좌표에 대한 좌표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구하고, 그 차이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문자의 크기를 판별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14)이 액정 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입력수단(11)과 상기 표시수단(14)의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입력수단(11)은 상기 표시수단(14)의 표시화면 위에 설치되어진 투명하고 판상(板狀)인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KR1019860005077A 1985-06-26 1986-06-25 문자 입력장치 KR900002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37950 1985-06-26
JP60137950A JPS621086A (ja) 1985-06-26 1985-06-26 文字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632A KR870000632A (ko) 1987-02-19
KR900002068B1 true KR900002068B1 (ko) 1990-03-31

Family

ID=1521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077A KR900002068B1 (ko) 1985-06-26 1986-06-25 문자 입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206829A3 (ko)
JP (1) JPS621086A (ko)
KR (1) KR900002068B1 (ko)
CN (1) CN861043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179A (ko) * 2012-08-06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KR20150027885A (ko) * 2013-08-29 2015-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필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027B2 (ja) * 1987-08-05 2000-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文字処理方法
KR900700973A (ko) * 1987-12-11 1990-08-17 시우 창 로 문자인식장치
JP3362913B2 (ja) * 1993-05-27 2003-01-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手書き文字入力装置
JP2939147B2 (ja) * 1994-12-29 1999-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手書き文字入力表示装置および方法
CN102156608B (zh) * 2010-12-10 2013-07-24 上海合合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多字符连续书写的手写输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0061A (en) * 1981-03-12 1982-09-16 Fuji Xerox Co Ltd Character shaping device
JPS58214972A (ja) * 1982-06-09 1983-12-14 Hitachi Ltd オンライン手書き文字認識装置
JPS5927382A (ja) * 1982-08-02 1984-02-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文字入力方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179A (ko) * 2012-08-06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KR20150027885A (ko) * 2013-08-29 2015-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필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1086A (ja) 1987-01-07
KR870000632A (ko) 1987-02-19
CN86104397A (zh) 1986-12-24
EP0206829A2 (en) 1986-12-30
EP0206829A3 (en) 198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3278A (en) Handwritten character size determination apparatus based on character entry area
JPH0981320A (ja) ペン入力式選択入力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234922B1 (ko) 수기된 입력의 연결 방법
KR900002068B1 (ko) 문자 입력장치
JPH11305896A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記憶媒体
CN109478120B (zh) 电子设备的输入方法及系统
JPH03150625A (ja) 命令入力装置
CN104869268B (zh) 显示控制装置、图像形成装置及显示控制方法
JP2013206349A (ja) 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タッチパネル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媒体
JP6524302B2 (ja) 入力表示装置及び入力表示方法
JPS5975376A (ja) オンライン手書文字認識装置
JP2579748B2 (ja) 手書き文字入力装置
JPH05282128A (ja) 手書き文字入力方式及び装置
JPS62197882A (ja) 文章入力装置
JP2902817B2 (ja) 手書き文字入力装置
JPS61196387A (ja) 情報処理方法
KR20010001460A (ko) 필기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JPH01277921A (ja) 書画情報入力装置
JP3251974B2 (ja) データ処理装置の命令認識方法
JPH0527914B2 (ko)
JPH06266886A (ja) 手書き文字入力の文字認識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S61193227A (ja) 文字枠表示方法
JP2013206351A (ja) 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タッチパネル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媒体
JPS61177528A (ja) 感圧式描画入力装置
JPS61220078A (ja) オンライン文字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