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922B1 - 수기된 입력의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수기된 입력의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922B1
KR100234922B1 KR1019960703795A KR19960703795A KR100234922B1 KR 100234922 B1 KR100234922 B1 KR 100234922B1 KR 1019960703795 A KR1019960703795 A KR 1019960703795A KR 19960703795 A KR19960703795 A KR 19960703795A KR 100234922 B1 KR100234922 B1 KR 100234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handwriting input
original
recognized
handwrit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네쓰 구직
알란 폴 후프
존 엘. 씨 세이볼드
Original Assignee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2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 G06V30/1423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the instrument generating sequences of posi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handwri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일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해 1개 이상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또는 잉크의 블록을 연결시킬 것인가 또는 결합시킬 것인가를 선택할수 있게 하기 위해 수기 입력을 편집하는 선택권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어서 연결된 세그먼트는 단일의 분리된 세그먼트로서 나타나며 수기 입력을 수신하는 기능을 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채용된 수기 입력의 기계적 인식의 방법에 의해 단일의 분리된 세그먼트로서 해석된다.

Description

수기된 입력의 연결 방법
기계로 하여금 인간의 수기를 인식하게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며, 최근에 펜-입력 전산 처리 디바이스(pen-based computing device)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해결되어야 할 중요한 문제점이 되었다. 인간의 수기에 대한 기계적 인식은 현재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인간의 수기에 대한 기계적 인식에 대하여 현재 적용되고 있는 한 예는 뉴톤(Newton) 제품 및 다른 타입의 펜 입력 전산 처리 디바이스 같은 개인용 디지털 보조 장치(personal digital assistant)에서 찾을 수 있다. 통상 이러한 타입의 제품은 사용자가 수기할 수 있는 터치 감응 스크린을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는 영숫자 입력 같은, 수기 입력을 디지타이즈하고, 그 후에 수기의 정보 내용을 인식하고자 입력을 처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종래 기술의 수기 인식 기술 중 한 기술에 따르면, 각각의 영숫자 문자의 특징을 차례차례 최적으로 판별하며, 결과적으로 인식 작업의 결과를 포함하는 문자의 배열을 얻는다. 이러한 방법에는 많은 결점이 있다. 이것은 인식 대상인 기입 입력(본 예에서는 영숫자 문자)의 공간적 경계를 식별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경계가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는 경우, 일부가 소실되거나 인접한 문자로부터의 관계없는 부분과 결합하게되기 때문에 문자를 정확하게 인식하기란 불가능하다.
인간의 수기의 기계적 인식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점 중에 하나는 한 입력의 끝과 다음 입력의 시작을 인식하는 능력이다. 예를 들어, 중요한 문제는 하나의 수기 입력 세그먼트, 단어, 또는 영숫자 입력의 끝을 다음의 수기 입력 세그먼트, 단어, 또는 영숫자 입력의 시작의 위치로부터 알아내는데에 있다. 수기 입력이 열악하게 인식되면, 수기 입력의 정보 내용이 열악하고, 비정확하게 해석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열악한 필체 또는 수기 습관 등의 사용자 또는 입력 디바이스의 열악한 입력 습관 때문이다. 수기 입력의 기계적 인식은 수기 입력의 단일 세그먼트를 2개 이상의 세그먼트들로 부정확하게 분할시킬 수 있으며, 그것들을 2개 이상으로 분할된 그 자체로 인식한다. 대안으로, 사용자는 그러한 세그먼트들이 개별적인 수기 입력 세그먼트로서 입력된 후에 1개 이상의 수기 입력 세그먼트를 결합 또는 연결시킬 필요성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입력 디바이스가 인식 및 표시를 위해서 하나 이상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를 결합하여 단일의 연속적인 분리된 세그먼트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수기 입력의 정보 내용에 대한 보다 정확한 해석을 제공하는 선택 입력 편집 인스트럭션을 사용자 또는 입력 디바이스가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수기 인식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수기 인식(handwriting recognition)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기 입력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discrete continuous segment)의 선택 입력 및 편집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의 흐름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디스플레이의 그래픽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디스플레이의 그래픽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디스플레이의 그래픽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대체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디스플레이의 그래픽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대체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디스플레이의 그래픽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대체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디스플레이의 그래픽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대체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디스플레이의 그래픽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대체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디스플레이의 그래픽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대체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디스플레이의 그래픽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대체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디스플레이의 그래픽도.
일반적으로, 개시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수기 입력을 편집하는 선택권을 제공하여서 사용자가 단일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를 형성하도록 1개 이상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또는 잉크의 블록을 연결시킬 것인가 또는 결합시킬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의 연결된 세그먼트는 단일의 분리된 세그먼트로서 나타내어지며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와 같은 수기 입력을 받아들이는 기능을 하는 디바이스에 채용되는 수기 입력의 기계적 인식의 방법에 의해 단일의 분리된 세그먼트로서 해석된다. 다음으로 단일의 분리된 세그먼트의 인식의 결과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수기 입력은 영숫자이며, 가로 방향을 따라 필기하며, 필시 방향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다. 상기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수기 입력과 인식의 결과는 동시에 서로 인접하여 병렬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인접 병치(close juxtaposition)는 사용자가 수기 입력의 처리 및 인식의 에러를 교정할 시에 원래의 수기 입력을 참조할 수 있게 한다.
통상, 수기 문자 입력은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의 형태로 사용자로부터 모아진다.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는 1획 이상의 팬 스트로크로 구성되며, 여기서 펜 스트로크는 펜이 디지타이징 타블렛 또는 종이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와 접촉하는 동안에 펜에 의해 남겨진 자취이다. 한 획(stroke)은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된 점들의 시퀀스로서 나타내어진다. 각 점은 X 좌표 및 Y 좌표에 의해 최소한으로 묘사된다. 획은 디지타이징 타블렛을 사용하여 전자적으로 캡쳐(capture)되거나, 또는 대체 실시예로서 스캔된 또는 팩스된 이미지로부터 라인 검출(line detection)의 프로세스를 통해서 도출될 수 있는데, 입력을 전자적으로 캡쳐하는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1개 이상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는 인식되는 수기 입력의 유닛이다. 수기 입력은 수기 입력; 전자 입력; 스탬프 입력과 같은 압력을 통해서 캡쳐진 입력; 팩시밀리, 페이저, 또는 다른 디바이스 같이 전자적으로 수신된 입력; 등등의 전자적으로 캡쳐되는 입력이다.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상 보통 수기 입력은 필기 방향(writing direction)으로 정의된 방향의 필기축(writing axis)을 따라 나타내어진다. 필기축은 수기 입력이 첨가되는 라인이다. 필기 방향은 각각의 연속된 필기 입력이 첨가되는 방향이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 수기 입력은 일반적으로 가로 필기축을 따라 첨가되며 각각의 연속된 영숫자 입력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필기 방향으로 이전의 입력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후속된다. 많은 다른 대체적인 필기축 및 필기 방향이 본 발명의 교시의 구성으로 가능하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필기축은 가로 방향이며, 수기 입력은 일련의 단어들을 형성한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가로 방향으로 입력된다. 양호한 대체 실시예에서, 필기축은 가로 방향이며, 수기 입력은 일련의 분절 문자(separate character)들을 형성하는 데, 이 문자들을 영숫자문자, 중국어 등의 언어에서 발견될 수 있는 표의 문자, 또는 서지 통신(written communication)의 문자 또는 기호 들의 여러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이 대체 실시예에서, 출력은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가 분절 문자에 속하는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양호한 대체 실시예에서, 필기축은 세로 방향이며 수기 입력은 일련의 분절 문자를 형성하는 데, 이 문자는 영숫자 문자, 표의 문자 또는 다른 수기 입력일 수 있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필기축은 세로 방향이며, 출력은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가 분절 문자에 속하는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양호한 대체 실시예에서, 단어들 또는 숫자 들의 세로 방향 리스트 같이 수기축은 세로 방향이며 수기 입력은 일련의 분절단어, 영숫자 입력, 또는 다른 수기 입력을 형성한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필기축은 세로 방향이며 출력은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가 분절 단어와 같은 분절 수기 입력에 속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그리고 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몇가지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서 어떤 각도의 기록축도 가능하며 수기 입력은 보다 일반적으로 1개 이상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분리된 엘리먼트(문자 및 단어 외의 것들을 포함하여)에 상응시킴에 따라 보다 일반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여러 실시예에 대한 방법의 응용은 사용된 좌표 시스템을 변환시키는 것만이 요구되며 그러한 수정은 나타내어진 교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개인용 디지털 어시스턴트(PDA)는 참조 번호(100)로 표시된다. 표시된 PDA(100)는 포괄적인 표현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Newton@또는 다른 개인용 디지털 보조 장치 디바이스 또는 다른 펜 입력 전산 처리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단어와 같은 것의 입력이 적합한 수조작 철심(hand manipulated stylus) 또는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수기 입려될 수 있는 하우징 또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그러한 PDA 및 펜 입력 전산 처리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1개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디지털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 나타난 교시에 따라 쉽게 프로그램될 수 있는 전산 처리 플랫포옴을 포함한다.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 및 펜 입력 전산 처리 디바이스와 같은 디바이스들은 본 발명의 교시의 실행을 조정하기 위해 래디 플랫포옴(ready platform)을 포함하는 반면에, 본 명세서에 나타난 교시는 다양한 다른 동작 환경 하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한 환경의 어떤 예는 디지타이징 스크린이 있는 또는 디지타이밍 입력면에 접속된, 또는 팩스된 또는 스캔된 이미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디지털 또는 대화식 텔레비젼, 모뎀, 페이저, 또는 다른 수기 입력을 캡쳐해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1개 이상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의 수기 입력 또는 잉크의 블록들에 적용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6에서, 수기 영문자 입력의 3개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또는 잉크의 블록 S1, S2및 S3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1에서 S1, S2및 S3는 각각 Sn, Sn+1, 및 Sn+2에 상응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수기 입력, 필기축, 및 필기 방향이 도 1 내지 도 7에서와는 달리 변화하는 본 발명의 대체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 3개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S1, S2및 S3로 구성된 수기 입력은 PDA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디바이스에 의해 기입된다(110). 수기 입력의 기입 후에, 입력은 대응하는 수기 입력에 대응하거나, 또는 이러한 수기 입력을 나타내는 영문자 인식을 제공하도록 PDA 또는 채용된 다른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수기 인식 방법에 의해 해석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인식된 각각의 S1, S2및 S3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130). 양호하게는, 상술된 바와 같이, 인식된 S1, S2및 S3는 원래의 수기 입력의 디지타이즈된 표현에 병렬로 인접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일단 인식된 결과가 디스플레이되면(130)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인식된 S1, S2및 S3를(130) 입력할 것인가, 또는 편집할 것인가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선택 중에 입력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 각각의 S1, S2및 S3에 대한 인식이 디스플레이되면(148) 프로세스가 정지한다(148).
그러나,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연결 인스트럭션이며(150)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S1, 및 S2를 연결시키라는 명령인 경우, 단일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가 Sx가 형성된다. 연결 인스트럭션(150) 이후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원래의 수기 입력 S1, 및 S2의 디지타이즈된 표현은 사용자에게 단일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Sx를 표시하면서 단일의 연속 수기 입력으로서 그래픽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155)(도 6 및 도 7 참조). 상기 단일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Sx는 상술된 수기 인식 방법(120)에 따라 PDA 또는 다른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수기 인식 방법에 의해 해석된다(160). 본 발명의 교시는 다양한 필시 인식 방법들에 채용될 수 있다. 인식된 Sx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170), 양호하게는, 인식된 Sx는 상술된 바와 같이(130), 원래의 수기 입력 S1및 S2의 디지타이즈된 표현 또는(155)에 설명된 바와 같이 원래의 수기 입력의 연결된 S1및 S2의 디지타이즈된 표현에 인접하여 병렬로 디스플레이된다(170). 일단 인식된 Sx이 디스플레이되면(170), 사용자는 다시 선택 입력을 입력할 수 있고(180), Sx를 다른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예를 들어 S3, 또는 Sn+2과 연결시키기 위해 반복 선택 입력 인스트럭션을 입력할 수 있다(190). 본 발명의 양호한 방법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가 더이상 연결 인스트럭션을 선택하지 않거나, 또는 더이상 연결시키기 위한 개별적으로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가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연결시키기 위해 1개 이상의 선택 입력 인스트럭션을 지속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4에서, 도 1에 설명된 바와 같은 그래픽도가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주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S1, S2및 S3는 분리 세그먼트 Sa, Sb, 및 Sc로서 인식된다. 이것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S1, S2및 S3를 에워싸는 점선은 S1, S2및 S3를 포함하는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를 보다 명확하게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된 것이다. Sa, Sb, 및 Sc는 각각 S1, S2및 S3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 인식의 결과를 나타낸다(도 1, 130). 사용자, 또는 입력 디바이스는 선택 입력 인스트럭션을 입력하는 기회가 주어진다(도 1, 140). 만약 사용자가, 또는 입력 디바이스가 연결 인스트럭션 입력을 선택하는 경우, 이어서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S1및 S2는 도 3에 도시된 단일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Sx를 형성하도록 연결된다(도 1, 150). 세그먼트 Sx는 입력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수기 인식 방법에 따라 단일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로서 해석된다. 인식된 Sx는 사용자에게 또는 입력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다. 양호하게는, 인식된 Sx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수기 입력 S1및 S2의 디지타이즈된 표현에 인접시켜서 병렬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4에서, 사용자 또는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부가적인 선택 입력 인스트럭션이 입력되고, 입력이 연결 인스트럭션인 경우,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Sx[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는 Sx1로 할당됨(여기서 Sn=Sx, 도 1, 190)]는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S3와 연결된다. 상기 조합은, 도 4에 인식된 세그먼트 Sx2로서 도시된 새로운 단일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를 형성하는데, 여기서 Sx2=Sx1+S3이다. (도 1, 190에서 Sn의 값은 Sx의 값으로 할당되며, Sn+1의 값은 Sn+2의 값으로 할당된다.) 양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인식된 Sx2는 사용자 또는 입력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다. 보다 양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Sx2는 결합된 수기 입력 Sx1의 디지타이즈된 표현 및 원래의 수기 입력 S3의 디지타이즈된 표현에 인접하여 병렬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장점은 사용자 또는 입력 디바이스가, 단일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Sx를 반복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무한한 양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Sn, Sn+1, Sn+2, ‥ 등을 반복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보다 양호하게는, 사용자 또는 입력 디바이스는, 단일의 분리된 세그먼트 Sx를 반복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무한한 양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를,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으로 Sn, Sn+/-1, Sn+/-2, ‥ 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대체적인 선택은 사용자가 다양한 편집 능력을 갖도록 한다.
도 5에서, 본 발명의 대체 실시예가 그래픽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대체적인 선택된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상술된 것과 거의 유사하다. 그러나, 이 선택된 대체 방법에 따라, 사용자는 연결시키게 될 1개 이상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도 1의 (110) 내지 (130)의 단계는 거의 유사하다고 가정한다. 이 양호한 대체 실시예에서, 사용자 선택 입력이 입력되며, 선택입력은 연결 인스트럭션이다(도 1에서 단계 (140) 내지 (150)). 그러나, 이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도 5의 연결 인스트럭션은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S2, 및 S3를 S1과 동시에 연결시키기 위한 인스트럭션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S2=Sn; S3=Sn+1; 그리고 S1=Sn-1이다.] 이에 의해 1개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Sx를 형성하기 위해 2개 이상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를 연결시킨다. 이어서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Sx는 도 1의 (140) 내지 (190)의 단계에 보인 방법에 거의 유사한 방법으로 프로세스된다. 이 양호한 실시예의 장점은 사용자가, 단일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 Sx를 형성하기 위해 동시에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으로, 즉 Sn, Sn+/-1, Sn+/-2, ‥ 의 방향으로 문한한 양의 분리된 연속 세그먼트를 연결시킬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이 양호한 대체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집 능력을 제공한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그래픽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연결 인스트럭션이 선택된 후에(도 1, 150), 원래의 수기 입력 S1, 및 S2의 디지타이즈된 표현은 사용자에게 단일의 연속 수기 입력으로서 점 J에서 연결된 모습으로 그래픽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데, 연결된 S1, 및 S2는 단일의 분리된 세그먼트 Sx로 표현된다. 양호하게는, 인식된 Sx는 S1, 및 S2의 연결된 수기 입력의 디지타이즈된 표현에 인접하여 병렬로 디스플레이된다. 본 양호한 실시예는 필기축, 필기 방향, 또는 수기 입력의 특징에 상관없이 좌표 시스템의 수정에 의해 본 발명의 교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대체 실시예가 그래픽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양호한 대체 실시예들은 설명을 위해 예로 든것이며, 본 발명의 교시의 다양한 양호한 실시예 및 양호한 대체 실시예를 한정시킬 수는 없다. 도 8 및 도 9는 도 1 내지 도 7에 토의된 것들과 거의 유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이지만,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수기 입력은 문자를 나타내며, 필기축은 세로 방향이며, 필기 방향은 세로 방향이다. 본 양호한 대체 실시예에서, 연결을 인스트럭팅하는 선택 입력이 입력된다. 수기 입력 S1및 S2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기 입력의 단일의 연속 세그먼트 Sx를 형성하기 위해 연결된다. 이어서 단일의 연속 세그먼트 Sx가 인식되고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방법과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자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10 내지 도 11에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들과 거의 유사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나타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수기 입력은 문자를 나타내며, 필기축은 우측으로부터 좌측이며 필기 방향은 세로 방향이다. 이 양호한 대체 실시예에서, 연결을 인스트럭팅하는 선택 입력이 입력된다. 수기 입력인 S1, S2, 및 S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기 입력의 단일의 연속 세그먼트 Sx를 형성하기 위해 연결된다. 이어서 단일의 연속 세그먼트 Sx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방법과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자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다.
당 분야의 업자라면 개시된 발명이 여러가지 방법으로 수정될 수 있으며 상기 언급되고 상술된 양호한 형식 이외의 많은 실시예들을 가정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해질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 범위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의의 및 범위에 속하는 모든 발명의 변경들 및 그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6)

  1. 수기(handwriting) 입력의 인식을 촉진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원래의 수기된 입력에 상응하는 일련의 데이터 포인트를 포함하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을 표시하는 단계, 인식된 단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에 상응하는 단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단어를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과 병렬로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과 공간적으로 정렬된 상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분할된 수기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을 분할하는 분할 코맨드를 실행한 후에 상기 인식된 단어가 분할되며 분할된 인식된 부분들은 상기 분할된 수기 입력과 병렬로 상기 분할된 수기 입력의 대응 부분과 공간적으로 정렬되어 표시되는 수기 입력의 인식 촉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단어는 상기 분할된 수기 입력 밑에 표시되는 수기 입력의 인식 촉진 방법.
  3. 수기 입력의 인식을 촉진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원래의 수기 입력에 상응하는 일련의 데이터 포인트를 포함하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을 표시하는 단계, 인식된 단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에 상응하는 단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단어를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과 병렬로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과 공간적으로 정렬된 상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연결된 수기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을 연결하는 연결 코맨드를 실행한 후에 상기 인식된 단어가 연결되고 연결된 수기 입력과 병렬로 표시되는 수기 입력의 인식 촉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단어는 상기 연결된 수기 입력 밑에 표시되는 수기 입력의 인식 촉진 방법.
  5. 원래의 수기 입력의 하나 이상의 연속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에 대응하는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처리 회로, 및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과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에 대응하는 인식된 문자를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과 병렬로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과 공간적으로 정렬된 상태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처리 회로는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을 연결하는 연결 코맨드에 응답하여 연결된 인식된 단어를 상기 연결된 수기 입력과 병렬로 표시하는 장치.
  6. 원래의 수기 입력의 하나 이상의 연속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처리할 수 있고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에 대응하는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처리 회로,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과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에 대응하는 인식된 문자를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과 병렬로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과 공간적으로 정렬된 상태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처리 회로는 상기 원래의 수기 입력을 분할하는 분할 코맨드에 응답하여 분할된 인식된 단어를 상기 분할된 수기 입력과 병렬로 표시하는 장치.
KR1019960703795A 1994-11-14 1995-11-14 수기된 입력의 연결 방법 KR100234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39,524 US5737443A (en) 1994-11-14 1994-11-14 Method of joining handwritten input
US8/339,524 1994-11-14
PCT/US1995/014760 WO1996015506A1 (en) 1994-11-14 1995-11-14 Method of joining handwritten inp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4922B1 true KR100234922B1 (ko) 1999-12-15

Family

ID=2332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795A KR100234922B1 (ko) 1994-11-14 1995-11-14 수기된 입력의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5737443A (ko)
EP (1) EP0739520B1 (ko)
JP (1) JPH09507936A (ko)
KR (1) KR100234922B1 (ko)
CN (1) CN1118774C (ko)
AU (1) AU696122B2 (ko)
CA (1) CA2178962C (ko)
DE (1) DE69523137T2 (ko)
WO (1) WO19960155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7443A (en) * 1994-11-14 1998-04-07 Motorola, Inc. Method of joining handwritten input
GB9701793D0 (en) 1997-01-29 1997-03-19 Gay Geoffrey N W Means for inputting characters or commands into a computer
US6408092B1 (en) * 1998-08-31 2002-06-18 Adobe Systems Incorporated Handwritten input in a restricted area
US6337698B1 (en) * 1998-11-20 2002-01-08 Microsoft Corporation Pen-based interface for a notepad computer
US7091959B1 (en) * 1999-03-31 2006-08-15 Advanced Digital Systems, Inc.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for form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manipulation
US6424743B1 (en) * 1999-11-05 2002-07-23 Motorola, Inc. Graphical handwriting recognition user interface
US6826551B1 (en) * 2000-05-10 2004-11-30 Advanced Digital Systems, Inc. System, computer software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textual electronic message from an input to a pen-enabled computing system
US6798907B1 (en) * 2001-01-24 2004-09-28 Advanced Digital Systems, Inc. System, computer software produc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processing handwritten data
US20020107885A1 (en) * 2001-02-01 2002-08-08 Advanced Digital Systems, Inc.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processing form data
KR100562421B1 (ko) * 2001-03-28 2006-03-22 주식회사 디오텍 전자 잉크 방식을 이용한 잉크 에디터 시스템의 잉크 데이터 처리 방법
CN1190721C (zh) * 2001-08-08 2005-02-23 国际商业机器公司 协同手写输入的系统和方法
EP1475741B1 (en) * 2003-05-08 2005-12-21 Orange S.A.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7372993B2 (en) * 2004-07-21 2008-05-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esture recognition
US7639876B2 (en) * 2005-01-14 2009-12-29 Advanced Digita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handwritten information with one or more objects
US7720286B2 (en) * 2005-05-25 2010-05-18 Advanced Digita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handwritten information with one or more objects via discontinuous regions of a printed pattern
US7502017B1 (en) 2007-11-20 2009-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andwriting recognizer user interface methods
CN101547252A (zh) * 2008-03-28 2009-09-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通信装置及信息输入方法
TWI478074B (zh) 2010-12-01 2015-03-21 Inst Information Industry 文字辨識方法、裝置以及儲存其之電腦可讀取紀錄媒體
US20140118314A1 (en) * 2012-10-26 2014-05-01 Livescribe Inc. Multiple-User Collaboration with a Smart Pen System
US9495620B2 (en) 2013-06-09 2016-11-15 Apple Inc. Multi-script handwriting recognition using a universal recognizer
KR102005878B1 (ko) * 2013-06-09 2019-07-31 애플 인크. 실시간 필기 인식 관리
US9898187B2 (en) 2013-06-09 2018-02-20 Apple Inc. Managing real-time handwriting recognition
KR102240279B1 (ko) * 2014-04-21 2021-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927971B2 (en) * 2014-12-05 2018-03-27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chart object
DK179374B1 (en) 2016-06-12 2018-05-28 Apple Inc Handwriting keyboard for monitors
US11194467B2 (en) 2019-06-01 2021-12-07 Apple Inc. Keyboard management user interfaces
US11341569B2 (en) * 2019-10-25 2022-05-24 7-Eleven, Inc. System and method for populating a virtual shopping cart based on video of a customer's shopping session at a physical store
CN111475234B (zh) * 2020-04-10 2023-01-10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字符串传递方法、装置、计算机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8102A (en) * 1983-01-19 1988-01-05 Communication Intelligence Corporation Process and apparatus involving pattern recognition
JPH0650538B2 (ja) * 1984-03-28 1994-06-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手書き文字・図形認識の認識モード指定方法
DE3523042A1 (de) * 1984-06-28 1986-01-02 Canon K.K., Tokio/Tokyo Bildverarbeitungssystem
CA1223366A (en) * 1984-09-27 1987-06-23 Abijah S. Fox System for automatic adjustment and editing of handwritten text images
US4680803A (en) * 1984-12-17 1987-07-14 Nc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image data for character recognition
US4764972A (en) * 1985-05-23 1988-08-16 Nec Corporation Continuous characters recognition system
JPS6274181A (ja) * 1985-09-27 1987-04-04 Sony Corp 文字認識装置
US4972496A (en) * 1986-07-25 1990-11-20 Grid Systems Corporation Handwritten keyboardless entry computer system
EP0264872B1 (en) * 1986-10-20 1994-01-12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input processor
JPS63158678A (ja) * 1986-12-23 1988-07-01 Sharp Corp 単語間スペ−ス検出方法
JPS63182793A (ja) * 1987-01-26 1988-07-28 Sharp Corp 文字切り出し方式
JP2713911B2 (ja) * 1987-07-08 1998-02-16 株式会社東芝 郵便物処理装置
US4953225A (en) * 1987-10-16 1990-08-28 Sharp Kabushiki Kaisha Handwritten character-recogniz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displaying character frames
JPH01112388A (ja) * 1987-10-26 1989-05-01 Ricoh Co Ltd 文字認識処理方法
US5001765A (en) * 1989-01-05 1991-03-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st spatial segmenter for handwritten characters
US5005205A (en) * 1990-01-12 1991-04-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andwriting recognition employing pairwise discriminant measures
JP3190074B2 (ja) * 1991-09-11 2001-07-16 株式会社東芝 手書き入力装置
US5287415A (en) * 1991-10-24 1994-02-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astic prototype averaging in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US5315667A (en) * 1991-10-31 1994-05-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using a prototype confusability dialog
US5848187A (en) * 1991-11-18 1998-12-08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and manipulating spreadsheet cell data
JPH05290221A (ja) * 1992-04-15 1993-11-05 Pioneer Electron Corp オンライン手書文字認識装置
US5452371A (en) * 1992-05-27 1995-09-19 Apple Computer, Inc. Method of aligning shapes on a display of a computer system
US5321768A (en) * 1992-09-22 1994-06-14 The Research Found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System for recognizing handwritten character strings containing overlapping and/or broken characters
US5613019A (en) * 1993-05-20 1997-03-1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spacing, storing and recognizing electronic representations of handwriting, printing and drawings
US5517578A (en) * 1993-05-20 1996-05-14 Aha! Softwar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ing and manipulating electronic representations of handwriting, printing and drawings
US5500937A (en) * 1993-09-08 1996-03-19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an inked object while simultaneously displaying its recognized object
JPH07325881A (ja) * 1994-05-31 1995-12-12 Fujitsu Ltd 文字入力装置
US5737443A (en) * 1994-11-14 1998-04-07 Motorola, Inc. Method of joining handwritten input
CA2178959C (en) * 1994-11-14 2000-05-16 Kenneth J. Guzik Method of splitting handwritten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96122B2 (en) 1998-09-03
JPH09507936A (ja) 1997-08-12
EP0739520A1 (en) 1996-10-30
WO1996015506A1 (en) 1996-05-23
CA2178962A1 (en) 1996-05-23
US5903666A (en) 1999-05-11
DE69523137D1 (de) 2001-11-15
CA2178962C (en) 1999-09-28
CN1138908A (zh) 1996-12-25
DE69523137T2 (de) 2002-05-29
US5737443A (en) 1998-04-07
EP0739520A4 (en) 1997-07-23
AU4157796A (en) 1996-06-06
CN1118774C (zh) 2003-08-20
EP0739520B1 (en) 200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4922B1 (ko) 수기된 입력의 연결 방법
AU690781B2 (en) Method of splitting handwritten input
US6600834B1 (en) Handwrit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character segmentation user interface
EP0657798B1 (en) Unintended results detection in a pen-based computer system
JP4350109B2 (ja) 走査された及びリアルタイムの手書き文字の識別を行う文字認識システム
US7394934B2 (en) Recognition of electronic ink with late strokes
JP2700130B2 (ja) 手書き文字の認識システム及び認識方法
US4813078A (en)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KR20100135281A (ko) 손으로 그려진 표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및 툴
CA21633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ing and manipulating electronic representations of handwriting, printing and drawings
US6282316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at use handwritten gestures for editing
EP151305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recognition
EP0549507A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predominate and non-predominate color coded characters fo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CN102541393A (zh) 手写体文字编辑方法
CN114241486A (zh) 一种提高识别试卷学生信息准确率的方法
EP1978471A2 (en) Presenting recognised handwritten symbols
JP2633523B2 (ja) 手書き画入力装置
JPH08297718A (ja) 文字切り出し装置及び文字認識装置
Mandal et al. A Novel Approach of Normalization for Online Handwritten Characters using Geometrical Parameters on a 2D Plane
JP3139701B2 (ja) ファジィベクトルによるオンライン手書き入力文字認識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記録媒体
JPH0658689B2 (ja) 線図形分離装置
JPH0896082A (ja) 文字認識装置及び文字認識方法
Oksuz et al. Computer vision based text and equation editor for LATEX
JPH09114915A (ja) 高速数字イメージ分類校正の方法による数字識別コンピューター・システム
JPH1153471A (ja) 手書き文字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