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594A -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594A
KR20140043594A KR1020120109212A KR20120109212A KR20140043594A KR 20140043594 A KR20140043594 A KR 20140043594A KR 1020120109212 A KR1020120109212 A KR 1020120109212A KR 20120109212 A KR20120109212 A KR 20120109212A KR 20140043594 A KR20140043594 A KR 20140043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unit
electronic
electronic components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200B1 (ko
Inventor
장현삼
유병소
이병식
Original Assignee
(주)큐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큐엠씨 filed Critical (주)큐엠씨
Priority to KR1020120109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2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4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72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 G01R31/2879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related to electrical aspects, e.g. to voltage or current supply or stimuli or to electrical lo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복수의 전자부품을 일괄적으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을 분류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제시한다.

Description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APPARATUS FOR TESTING AND SORTING ELECTRONIC COMPONENTS}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검사한 후 특성 별로 분류하는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전자부품은, 제작이 완료된 후, 각각의 특성을 판별하기 위하여 검사되며, 검사가 완료된 전자부품은 각 특성 별로 분류되는데, 전자부품을 검사한 후 특성 별로 분류하기 위한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가 사용된다.
전자부품 분류장치로,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1797호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이 통과하는 이동관과, 이동관의 내부에 공기를 분사하여 전자부품을 이송시키는 공기분사기기가 마련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검사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하나씩 개별적으로만 분류하였기 때문에, 복수의 전자부품을 분류하는 데에 긴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시예는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가 완료된 전자부품이 특성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는,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공급유닛과, 상기 공급유닛에 의하여 공급된 상기 전자부품을 반송하는 반송유닛과, 상기 반송유닛에 의하여 반송되는 상기 전자부품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전자부품의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유닛과, 상기 검사유닛에 의하여 검사된 상기 전자부품을 개별적으로 분류하는 제1분류유닛과, 상기 검사유닛에 의하여 검사된 상기 전자부품을 복수로 분류하는 제2분류유닛으로 구성되는 분류유닛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복수의 전자부품을 일괄적으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을 분류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는, 전자부품이 흡착되는 흡착부재를 턴테이블상에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써, 전자부품의 측면 및 하면으로의 전류인가가 가능하고, 전자부품의 측면 및 하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전자부품을 흡착부재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전자부품에 대한 검사 및 분류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흡착노즐을 승강시키고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하여 복수의 전자부품을 흡착부재상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의 공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는, 전자부품을 개별적으로 분류하는 제1분류유닛 및 복수의 전자부품을 그룹으로 분류하는 제2분류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소정의 특성에서 배출량이 많은 전자부품은 제1분류유닛을 이용하여 분류하고, 소정의 특성에서 배출량이 적은 전자부품은 제2분류유닛을 이용하여 분류할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을 분류하는 동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배출량이 많은 전자부품을 제2분류유닛을 이용하여 분류할 때 발생하는 분배부재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여 전자부품의 분류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분배부재의 구동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는, 제1분류유닛에 경사부가 마련된 가이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전자부품의 배출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전자부품의 배출경로를 마련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는, 제2분류유닛이 분배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전자부품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전자부품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서로 일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분배부재의 변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2분류유닛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튜브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튜브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튜브의 장력변화를 방지할 수 있고, 튜브와 수납통 사이의 연결을 보상해주기 위한 가이드튜브 등의 부가적인 부품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에서 공급유닛의 픽커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에서 반송유닛의 턴테이블, 흡착부재 및 유로부재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유로부재가 확대되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에서 분류유닛의 제1분류유닛이 유로부재와 함께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에서 분류유닛의 제2분류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6 및 도 7의 제2분류유닛의 동작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는,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공급유닛(10)과, 공급유닛(10)에 의하여 공급된 전자부품을 반송하는 반송유닛(20)과, 반송유닛(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전자부품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전자부품의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유닛(30)과, 검사유닛(30)에 의하여 검사된 전자부품을 특성 별로 분류하는 분류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급유닛(10)은, 복수의 전자부품이 수용되며 회전되는 볼피더(11)와, 볼피더(11)의 일측에 배치되며 볼피더(11)로부터 이송되는 전자부품을 일렬로 공급하는 라인피더(12)와, 라인피더(12)의 단부에 배치되어 라인피더(12)상의 전자부품을 순차적으로 반송유닛(20)으로 공급하는 픽커(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볼피더(11) 내로 복수의 전자부품이 반입되면, 볼피더(11) 내의 전자부품은 볼피더(11)의 회전에 의하여 볼피더(11)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다가 라인피더(12)에 안내되어 순차적으로 픽커(13) 쪽으로 이송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커(13)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131)과, 지지축(131)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전자부품(P)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노즐(132)과, 지지축(131)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것과 함께 지지축(131)을 단속적으로 회전시키는 지지축구동장치(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축구동장치(133)로는, 예를 들면,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하는 승강장치와 회전모터가 조합된 구성 또는 회전모터와 회전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가 조합된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지지축(131)이 하강하는 동작, 라인피더(12)상의 전자부품(P)이 흡착노즐(132)에 흡착되는 동작, 지지축(131)이 상승하는 동작, 지지축(131)이 회전하는 동작, 지지축(131)이 하강하는 동작, 흡착노즐(132)에 흡착된 전자부품(P)이 흡착노즐(132)로부터 이탈되어 후술하는 턴테이블(21)상의 흡착부재(23)에 흡착되는 동작을 통하여, 전자부품(P)이 픽커(13)에 의해 공급유닛(10)으로부터 반송유닛(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유닛(20)은, 원판형상의 턴테이블(21)과, 턴테이블(21)을 단속적으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회전장치(22)와, 턴테이블(21)상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공급유닛(10)의 픽커(13)에 의하여 공급된 전자부품(P)이 흡착되는 흡착부재(23)와, 흡착부재(23)상에 흡착된 전자부품(P)에 에어를 분사하여 전자부품(P)을 흡착부재(23)로부터 이탈시키는 에어분사장치(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재(23)는 턴테이블(2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흡착부재(23)의 상단에는 전자부품의 하면이 부착되도록 평면형상의 흡착부(231)가 마련되며, 흡착부(231)에는 진공원(미도시)과 흡입유로(232)를 통하여 연결되는 흡입구(233)가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구(233)에 작용되는 부압에 의하여 전자부품이 흡착부(231)에 흡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착부재(23)가 턴테이블(21)상에 설치되고, 흡착부재(23)의 상단에 전자부품이 부착되는 흡착부(231)가 마련되는 구성은, 턴테이블(21)의 상면에 전자부품의 크기에 대응되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안착홈의 내부에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구성에 비하여, 전자부품의 크기에 큰 제한이 없으므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전자부품을 검사하여 분류하는 데에 있어 유리하다.
또한, 턴테이블(21)상에 흡착부재(23)가 설치되는 구성은, 전자부품이 흡착부재(23)에 흡착된 상태에서 전자부품의 둘레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전극이 전자부품의 측면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전원과 연결되는 프로브핀이 용이하게 전자부품의 전극과 접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흡착부(231)의 폭(Ws)은 흡착부(231)에 흡착되는 전자부품(P)의 폭(Wp)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극이 전자부품(P)의 하면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전원과 연결되는 프로브핀이 전자부품(P)의 하측으로 개방된 영역(A)을 통하여 전자부품(P)의 전극과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자부품(P)의 하면 중 흡착부(231)에 흡착되지 않은 일부분이 개방된 영역(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이 노출된 일부분을 향하여 에어가 분사될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P)의 측면뿐만 아니라 전자부품(P)의 하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전자부품(P)을 흡착부재(23)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흡착부(231)의 둘레에는 에어분사장치(24)에 의하여 분사되는 에어를 흡착부(231)에 흡착된 전자부품(P) 쪽으로 안내하는 경사면(23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사된 에어가 경사면(234)에 안내되어 개방된 영역(A)을 통하여 전자부품(P)의 하면 중 흡착부(231)에 흡착되지 않은 일부분과 충돌할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이 흡착부재(23)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분사장치(24)는, 에어공급원(미도시)과 배관(244)을 통하여 연결되며 내부에 흡착부재(23)에 흡착된 전자부품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241) 및 전자부품(P)이 배출되는 배출구(242)가 형성되는 유로부재(2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로부재(243)는 턴테이블(21)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흡착부재(23) 중 일부의 흡착부재(23)를 복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로부재(243)는 턴테이블(21)과 별도로 마련되는 지지부재(245)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턴테이블(21)은 단속적으로 회전되는 반면, 유로부재(243)는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부재(243)는 검사가 완료된 전자부품이 흡착부재(23)로부터 이탈되어 배출되는 배출영역(D)에 배치된다. 공급유닛(10)에 의하여 전자부품이 흡착부재(23)로 공급되는 공급영역(S) 및 검사유닛(30)에 의하여 흡착부재(23)에 흡착된 전자부품이 검사되는 검사영역(T)에서는, 흡착부재(23)가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공급영역(S) 및 검사영역(T)에는 유로부재(242)가 배치되지 않는다.
한편, 유로부재(243)가 배출영역(D)에 있는 흡착부재(23)를 복개하므로, 유로(241)를 통과하여 흡착부재(23)에 흡착된 전자부품(P)을 향하여 분사되는 에어의 유동공간이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으므로, 이 유동공간에서의 에어의 유동이 외부의 환경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분사된 에어의 힘이 전자부품(P)에 적절하게 가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부품(P)이 흡착부재(23)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유로(241) 및 배출구(242)는 복수의 흡착부재(23)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마련된다. 따라서, 원호형상의 유로부재(243)를 복수의 흡착부재(23)를 복개하도록 설치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하여, 전자부품(P)을 흡착부재(23)로부터 이탈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241)를 통과한 에어가 전자부품(P)의 하면 쪽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241)는 에어의 유동방향을 따라 전자부품(P)의 하측을 향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241)의 경사각은 약 5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로(241)를 통과한 에어는 전자부품(P)의 하면 중 흡착부(231)에 흡착되지 않는 일부분으로 유동할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P)이 흡착부재(23)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검사유닛(30)은 턴테이블(21)의 단속적인 회전에 의하여 턴테이블(21)의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전자부품의 특성을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이 발광다이오드인 경우, 검사유닛(30)은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연결한 후 발광다이오드의 통전여부와 같은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제1검사부(31)와,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연결한 후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광의 휘도, 색도 등의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는 제2검사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검사유닛(30)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검사유닛(30)에 제1검사부(31) 또는 제2검사부(32)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유닛(40)은, 전자부품이 배출되는 배출영역(D) 내에 배치되어, 흡착부재(23)로부터 이탈된 전자부품을 특성 별로 분류하여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분류유닛(40)은, 복수의 흡착부재(23) 중 일부의 흡착부재(23)와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전자부품을 하나씩 개별적으로 분류하는 제1분류유닛(50)과, 제1분류유닛(50)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복수의 흡착부재(23)와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전자부품을 분류하는 제2분류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특성에서 배출량이 많은 전자부품은 제1분류유닛(50)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분류할 수 있고, 소정의 특성에서 배출량이 적은 전자부품은 제2분류유닛(60)을 통하여 일괄적으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분류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류유닛(50)은, 반송유닛(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전자부품(P)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며 전자부품(P)이 유입되는 유입구(511)를 가지는 가이드부재(51)와, 가이드부재(51)의 유입구(511)로 유입된 전자부품(P)이 통과하는 튜브(52)와, 튜브(52)의 출구(522)와 연결되어 튜브(52)를 통과한 전자부품(P)이 수납되는 수납통(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1)의 유입구(511)는 유로부재(243)의 배출구(24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배출구(242)로부터 배출되는 전자부품(P)이 유입구(511)로 유입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1)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12)를 가지며, 연장부(512)의 일단에는 튜브(52)가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1)에는 유입구(511)로 유입된 전자부품(P)의 이동방향을 튜브(52)의 입구(5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경사부(513)가 마련될 수 있다. 경사부(513)는 유입구(511)를 통하여 대략 수평방향으로 유입되는 전자부품(P)의 이동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하여, 유입구(511)로 유입된 전자부품(P)을 튜브(52)의 입구(521) 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사부(513)를 마련함으로써, 전자부품(P)의 배출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고, 튜브(52)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P)의 배출경로를 마련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제1분류유닛(50)은 턴테이블(21)상의 하나의 흡착부재(23)에 대응되는 하나의 가이드부재(51)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흡착부재(23)에 각각 대응되도록 턴테이블(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51)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류유닛(60)은, 반송유닛(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전자부품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고, 전자부품이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구(611)가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분배부재(61)와, 분배부재(61)의 복수의 유입구(611)와 각각 연결되며, 유입구(611)로 유입된 전자부품이 통과하는 복수의 튜브(62)와, 복수의 튜브(62)의 출구와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튜브(62)를 통과한 전자부품이 수납되는 복수의 수납통(미도시)과, 복수의 유입구(611) 중 일부의 유입구(611)가 반송유닛(20)에 의하여 반송된 전자부품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분배부재(61)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튜브(62)와 복수의 수납통을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마련하여, 하나의 튜브(62)를 통과한 전자부품이 하나의 수납통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튜브(62)의 개수에 비하여 적은 개수의 수납통을 마련하고, 두 개 이상의 튜브(62)를 통과한 전자부품들이 하나의 수납통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분배부재(61)는, 복수의 유입구(611)가 형성되며 턴테이블(21)상의 흡착부재(23)에 대향하는 대향면(612a)을 가지는 제1부(612)와, 제1부(612)로부터 대략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튜브(62)가 통과하는 관통공(613)이 형성되는 제2부(614)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부(612)의 대향면(612a)은, 수평방향으로는 턴테이블(21)의 원주와 대응되는 오목한 곡면을 가지며, 수직방향으로는 턴테이블(21)에 대하여 볼록한 곡면을 가진다. 이에 따라, 분배부재(61)가 회전될 때, 제1부(612)의 대향면(612a)이 턴테이블(21)과 충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부재(61)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복수의 유입구(511) 중 하나의 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입구(511)가 유로부재(243)의 배출구(242)와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전자부품이 하나의 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입구(511) 내로 그룹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공(613)에는 복수의 튜브(62)가 관통됨에 따라 복수의 튜브(62)가 정렬된다. 따라서, 분배부재(61)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튜브(62)가 휘거나, 서로 간섭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전자부품이 복수의 튜브(62)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회전장치(64)는, 분배부재(61)와 연결되는 구동축(641)과, 구동축(641)과 연결되어 구동축(641)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6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축(641)과 회전모터(642)는 벨트(643) 및 풀리(644)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축(641)과 회전모터(642)는 기어, 링크 등 다양한 전동기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회전모터(642)에는 인코더와 같은 회전모터(642)의 회전각 변위를 측정하는 회전각측정기구(645)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각측정기구(645)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로부터 분배부재(61)의 현재의 위치 및 회전된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복수의 유입구(511)의 위치를 유로부재(243)의 배출구(242)의 위치와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장치(64)에는 구동축(641)의 회전변위를 감지하는 회전감지기구(64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회전감지기구(646)는, 구동축(641)과 연결되어 구동축(641)과 함께 회전하며, 적어도 하나의 슬롯(646a)을 가지는 회전부재(646b)와, 회전부재(646b)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발광부(646c) 및 수광부(646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감지기구(646)는 발광부(646c)에서 발광된 광이 회전부재의 슬롯을 통과하는지 여부 및 통과하는 횟수를 감지하여 구동축(641)의 회전여부 및 회전량을 계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회전감지기구(646)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감지기구(646)로서, 발광부(646c) 및 수광부(646d)를 가지는 광센서를 대체하여 초음파센서, 자외선센서 또는 적외선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 등, 구동축의 회전여부 및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장치(64)에 회전감지기구(646)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분배부재(61)의 현재의 위치 및 회전된 각도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분배부재(61)를 초기의 위치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장치(64)에는 구동축(641)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기구(64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토퍼기구(647)는, 구동축(641)과 연결되어 구동축(641)과 함께 회전하며 구동축(641)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된 위치에 한 쌍의 홈(647a)이 형성되는 회전블럭(647b)과, 회전블럭(647b)의 한 쌍의 홈(647a)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위치가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바(647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기구(647)는 구동축(641)이 비정상적으로 회전할 때, 회전블럭(647b)의 홈(647a)에 고정바(647c)의 일단이 밀착되면서 회전블럭(647b)의 회전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구동축(641)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구동축(64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본 발명은 상기한 스토퍼기구(647)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회전장치(64)에 스토퍼기구(647)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분배부재(61)의 비정상적인 회전을 방지하여, 분배부재(61) 및/또는 전자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입구(511)를 유로부재(243)의 배출구(242)와 일치시킬 수 있도록, 분배부재(61)가 상측방향으로 회전되거나 하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상태에서는 분배부재(61)가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 분배부재(61)의 초기 회전 시, 분배부재(61)의 변위를 줄이는 데에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소정의 특성에서 배출량이 많은 전자부품이 유입되는 유입구(611)는 분배부재(61)의 중앙에 배치되고, 소정의 특성에서 배출량이 적은 전자부품이 유입되는 유입구(611)의 상측이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분배부재(61)의 회전변위를 줄이는 데에 있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2분류유닛(60)은 분배부재(61)의 회전에 의하여 복수의 유입구(611)가 복수의 배출구(242)와 일치되도록 위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전자부품이 복수의 배출구(242)로부터 배출된 후 복수의 유입구(611)로 유입된 후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전자부품을 그룹으로 배출 및 분류할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분배부재(61)가 회전되는 방식의 제2분류유닛(60)은, 분배부재가 상하방향으로 병진하는 구성에 비하여, 분배부재(61)의 변위를 줄일 수 있어, 제2분류유닛(60)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분배부재(61)가 회전되는 방식의 제2분류유닛(60)은 분배부재(61)의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분배부재(61)가 회전될 때 튜브(62)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튜브(62)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튜브(62)의 장력변화를 방지할 수 있고, 튜브(62)와 수납통 사이의 연결을 보상해주기 위한 가이드튜브 등의 부가적인 부품이 요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분배부재(61)의 초기의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은, 분배부재(61)를 상측(또는 하측)으로 최대로 위치시키고 하측(또는 상측)으로 최대로 위치시키면서 회전각측정기구(645) 및/또는 회전감지기구(646)를 통하여 회전모터(642)의 회전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분배부재(61)의 최상위치 및 최하위치를 판별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진행된다. 이와 같이, 분배부재(61)가 회전되는 방식의 제2분류유닛(60)은, 회전모터(642)와 연결된 회전각측정기구(645) 및/또는 회전감지기구(646)를 이용하여 분배부재(61)의 초기의 위치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분배부재가 상하방향으로 병진하는 구성은 분배부재의 초기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최상의 위치와 최하의 위치에 복수의 감지센서가 요구되지만, 분배부재(61)가 회전되는 방식의 제2분류유닛(60)은, 이러한 복수의 감지센서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구성을 단순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분배부재(61)가 회전되는 방식의 제2분류유닛(60)은, 분배부재가 상하방향으로 병진하는 구성에 비하여, 분배부재(61)의 변위를 줄일 수 있으므로, 분배부재(61)의 초기의 위치를 설정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분배부재(61)가 회전되는 방식의 제2분류유닛(60)은, 분배부재(61)를 구동하는 데에 회전모터(642)의 회전력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분배부재가 상하방향으로 병진하는 구성에서 적용될 수 있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구가 요구되지 않아 구성을 단순화 및 소형화시킬 수 있으며, 운동을 변환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없애 전자부품의 분류동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분류유닛(50)은 검사유닛(30)과 인접한 위치에서 전자부품의 이동방향으로 검사유닛(30)의 하류에 배치되며, 제2분류유닛(60)은 전자부품의 이동방향으로 제1분류유닛(60)의 하류에 배치된다. 제1분류유닛(50)는 턴테이블(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고, 제2분류유닛(60)도 턴테이블(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제1분류유닛(50) 및 제2분류유닛(60)이 함께 구비되는 구성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분류유닛(60)만이 구비되는 구성도 이용될 수 있다.
제1분류유닛(50)은 소정의 특성에서 배출량이 많은 전자부품을 분류하기 위하여 이용되며, 제2분류유닛(60)은 소정의 특성에서 배출량이 적은 전자부품을 분류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소정의 특성에서 배출량이 많은 전자부품을 제1분류유닛(50)을 이용하여 하나씩 개별적으로 분류하는 경우에는, 제2분류유닛(60)을 이용하여 그룹으로 분류하는 경우에 비하여, 배출량이 많은 전자부품을 제2분류유닛(60)으로 분류할 때 발생하는 분배부재(61)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여 전자부품의 분류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분배부재(61)의 구동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볼피더(11)의 내부에 복수의 전자부품이 수용되면, 볼피더(11)와 라인피더(12)의 동작에 의하여, 볼피더(11)에 수용된 복수의 전자부품이 라인피더(12)를 따라 일렬로 픽커(13) 쪽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라인피더(12)의 단부로 공급된 전자부품은, 픽커(13)의 흡착노즐(132)의 승강동작 및 회전동작을 통하여, 라인피더(12)로부터 흡착부재(23)로 이송된 후, 흡착부재(23)의 흡착부(231)에 흡착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턴테이블(21)의 단속적인 회전에 의하여 흡착부재(23)에 흡착된 전자부품이 턴테이블(21)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전자부품이 제1검사부(31) 및 제2검사부(3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전자부품의 특성이 측정된다.
그리고, 특성의 측정이 완료된 전자부품이 제1분류유닛(50)에 의하여 분류되는 대상인지 또는 제2분류유닛(50)에 의하여 분류되는 대상인지 여부가 판정되며, 이러한 판정결과에 따라 전자부품이 제1분류유닛(50) 또는 제2분류유닛(60)으로 이동된 후 특성 별로 분류된다.
전자부품이 제1분류유닛(50)에 의하여 분류되는 특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전자부품이 제1분류유닛(50)의 가이드부재(51)의 유입구(511)에 위치될 때, 에어공급원의 동작에 의하여 에어가 유로부재(243)의 유로(241)를 통과한 후 전자부품으로 분사되며, 이에 따라, 전자부품이 분사된 에어의 힘에 의하여 흡착부재(23)로부터 이탈된 후, 유로부재(243)의 배출구(242)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구(242)를 통하여 배출된 전자부품은 가이드부재(51)의 유입구(511)로 유입되고, 가이드부재(51) 및 튜브(52)를 통과한 후, 수납통(53)에 수납된다.
그리고, 전자부품이 제2분류유닛(50)에 의하여 분류되는 특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전자부품이 제2분류유닛(50)의 분배부재(61)의 유입구(611)에 위치될 때, 에어공급원의 동작에 의하여 에어가 유로부재(243)의 유로(241)를 통과한 후 전자부품으로 분사되며, 이에 따라, 전자부품이 분사된 에어의 힘에 의하여 흡착부재(23)로부터 이탈된 후, 유로부재(243)의 배출구(242)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구(242)를 통하여 배출된 전자부품은 분배부재(61)의 유입구(611)로 유입되고, 튜브(62)를 통과한 후, 수납통(미도시)에 수납된다. 여기에서, 전자부품이 분배부재(61)에 인접되게 이동되기 전에, 전자부품이 그 특성에 맞는 수납통(미도시)과 연통된 유입구(611)와 일치될 수 있도록 분배부재(61)가 미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는, 전자부품이 흡착되는 흡착부재(23)를 턴테이블(21)상에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써, 전자부품의 측면 및 하면으로의 전류인가가 가능하고, 전자부품의 측면 및 하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전자부품을 흡착부재(23)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전자부품에 대한 검사 및 분류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흡착노즐(132)을 승강시키고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하여 복수의 전자부품을 흡착부재(23)상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의 공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는, 전자부품을 개별적으로 분류하는 제1분류유닛(50) 및 복수의 전자부품을 그룹으로 분류하는 제2분류유닛(60)을 구비함으로써, 소정의 특성에서 배출량이 많은 전자부품은 제1분류유닛(50)을 이용하여 분류하고, 소정의 특성에서 배출량이 적은 전자부품은 제2분류유닛(60)을 이용하여 분류할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을 분류하는 동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배출량이 많은 전자부품을 제2분류유닛(60)을 이용하여 분류할 때 발생하는 분배부재(61)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여 전자부품의 분류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분배부재(61)의 구동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는, 제1분류유닛(50)에 경사부(513)가 마련된 가이드부재(51)를 구비함으로써, 전자부품의 배출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전자부품의 배출경로를 마련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는, 제2분류유닛(60)이 분배부재(61)의 회전에 의하여 전자부품이 배출되는 배출구(242)와 전자부품이 유입되는 유입구(611)를 서로 일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분배부재(61)의 변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2분류유닛(60)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튜브(62)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튜브(62)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튜브(62)의 장력변화를 방지할 수 있고, 튜브(62)와 수납통 사이의 연결을 보상해주기 위한 가이드튜브 등의 부가적인 부품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된 복수의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10: 공급유닛 13: 픽커
20: 반송유닛 21: 턴테이블
23: 흡착부재 24: 에어분사장치
30: 검사유닛 40: 분류유닛
50: 제1분류유닛 60: 제2분류유닛

Claims (13)

  1.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공급유닛;
    상기 공급유닛에 의하여 공급된 상기 전자부품을 반송하는 반송유닛;
    상기 반송유닛에 의하여 반송되는 상기 전자부품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전자부품의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유닛; 및
    상기 검사유닛에 의하여 검사된 상기 전자부품을 개별적으로 분류하는 제1분류유닛과, 상기 검사유닛에 의하여 검사된 상기 전자부품을 복수로 분류하는 제2분류유닛으로 구성되는 분류유닛을 포함하는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복수의 전자부품이 수용되는 볼피더;
    상기 볼피더로부터 이송되는 전자부품을 일렬로 공급하는 라인피더; 및
    상기 라인피더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라인피더상의 전자부품을 순차적으로 상기 반송유닛으로 공급하는 픽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커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전자부품이 흡착되는 복수의 흡착노즐; 및
    상기 지지축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지지축을 단속적으로 회전시키는 지지축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유닛은,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을 단속적으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회전장치;
    상기 턴테이블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배치되어 상기 공급유닛에 의하여 공급된 상기 전자부품이 흡착되는 흡착부재; 및
    상기 흡착부재상에 흡착된 상기 전자부품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흡착부재로부터 이탈시키는 에어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전자부품이 흡착되도록 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흡착부의 폭은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는 상기 전자부품의 폭에 비하여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의 둘레에는 상기 에어분사장치에 의하여 분사되는 에어를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전자부품 쪽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장치는, 상기 흡착부재를 복개하도록 배치되고, 에어공급원과 연결되는 유로 및 상기 전자부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유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흡착부재에 흡착된 상기 전자부품의 하측을 향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류유닛은,
    상기 반송유닛에 의하여 반송되는 상기 전자부품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부품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전자부품이 통과하는 튜브; 및
    상기 튜브의 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튜브를 통과한 상기 전자부품이 수납되는 수납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전자부품의 이동방향을 상기 튜브의 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경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류유닛은,
    상기 반송유닛에 의하여 반송되는 상기 전자부품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부품이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구가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분배부재;
    상기 복수의 유입구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전자부품이 통과하는 복수의 튜브;
    상기 복수의 튜브의 출구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튜브를 통과한 상기 전자부품이 각각 수납되는 복수의 수납통; 및
    상기 복수의 유입구 중 일부의 유입구가 상기 반송유닛에 의하여 반송된 상기 전자부품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분배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분배부재와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변위를 감지하는 회전감지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분배부재와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KR1020120109212A 2012-09-28 2012-09-28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KR101931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212A KR101931200B1 (ko) 2012-09-28 2012-09-28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212A KR101931200B1 (ko) 2012-09-28 2012-09-28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594A true KR20140043594A (ko) 2014-04-10
KR101931200B1 KR101931200B1 (ko) 2018-12-24

Family

ID=5065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212A KR101931200B1 (ko) 2012-09-28 2012-09-28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2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968B1 (ko) * 2020-02-04 2021-08-06 김승현 부품 발사장치
KR20220097295A (ko) * 2020-12-29 2022-07-07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복렬 투입 구조를 구비한 배터리 검사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1383A (ja) * 2001-12-14 2003-07-02 Unitec:Kk 素子搬送分別装置
KR20100074983A (ko) * 2008-12-24 2010-07-02 미래산업 주식회사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KR20110048318A (ko) * 2009-11-02 2011-05-11 미래산업 주식회사 발광소자 분류장치 및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KR20110059523A (ko) * 2009-11-27 2011-06-02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및 워크 분류 배출 방법
JP2011123032A (ja) * 2009-12-14 2011-06-23 Hi-Mecha Corp 電子部品の分類装置
KR20110128035A (ko) * 2010-05-20 2011-11-2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전자부품 분류장치
KR20120040555A (ko) * 2010-10-19 2012-04-27 (주)디알시스템 칩형 led 테스트 핸들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1383A (ja) * 2001-12-14 2003-07-02 Unitec:Kk 素子搬送分別装置
KR20100074983A (ko) * 2008-12-24 2010-07-02 미래산업 주식회사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KR20110048318A (ko) * 2009-11-02 2011-05-11 미래산업 주식회사 발광소자 분류장치 및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KR20110059523A (ko) * 2009-11-27 2011-06-02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및 워크 분류 배출 방법
JP2011123032A (ja) * 2009-12-14 2011-06-23 Hi-Mecha Corp 電子部品の分類装置
KR20110128035A (ko) * 2010-05-20 2011-11-2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전자부품 분류장치
KR20120040555A (ko) * 2010-10-19 2012-04-27 (주)디알시스템 칩형 led 테스트 핸들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968B1 (ko) * 2020-02-04 2021-08-06 김승현 부품 발사장치
KR20220097295A (ko) * 2020-12-29 2022-07-07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복렬 투입 구조를 구비한 배터리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200B1 (ko) 201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138B1 (ko) 태양전지 시험장비
US9874597B2 (en) Light-emitting device test systems
KR101020703B1 (ko)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및 발광소자 분류방법
CN112642731A (zh) 联合检测装置及硅片智能分选机
KR20190143078A (ko) Led 모듈 검사 및 포장 시스템
KR101931200B1 (ko)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KR20100043509A (ko)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JP2005219002A (ja) 素子分別収納装置
KR101216365B1 (ko) 소자핸들러 및 소자이송방법
KR101009618B1 (ko) Led 검사장치
KR100836832B1 (ko) 전자부품의 외관 검사장치
KR20140059875A (ko)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KR102042099B1 (ko)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KR20140059874A (ko)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TWM513359U (zh) Led封裝晶片檢測裝置
KR101090745B1 (ko) 발광소자 수납장치, 발광소자 분류장치 및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KR20120115804A (ko) 발광소자 분류장치 및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KR101328659B1 (ko) 차량용 연료분배관의 연결캡 검사장치
JP2004356139A (ja) 部品実装装置及び方法
KR101055219B1 (ko) 발광소자 분류장치 및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KR20100045230A (ko)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KR20120117021A (ko) 발광소자 분류장치 및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KR20100074983A (ko)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KR20190138939A (ko) 일련의 비전 검사 수단을 이용하는 인서트 너트 선별 장치
KR101206765B1 (ko)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