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523A -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및 워크 분류 배출 방법 - Google Patents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및 워크 분류 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523A
KR20110059523A KR1020100107948A KR20100107948A KR20110059523A KR 20110059523 A KR20110059523 A KR 20110059523A KR 1020100107948 A KR1020100107948 A KR 1020100107948A KR 20100107948 A KR20100107948 A KR 20100107948A KR 20110059523 A KR20110059523 A KR 20110059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workpiece
discharge
compressed air
discharg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6080B1 (ko
Inventor
도모유키 고지마
노리아키 이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Publication of KR20110059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71Sor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성 향상과 장치 전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및 워크 분류 배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한 해결 수단으로서,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50)은, 워크(W)를 수납하는 워크 수납 구멍(3)이 형성된 반송 테이블(2)과, 워크(W)를 측정하는 워크 측정부(7)와, 반송 테이블(2)의 반경방향 바깥쪽에 설치되며 워크 수납 구멍(3)측으로 개구되는 복수의 개구부(8x)를 갖는 배출 블록(81)을 구비하고 있다. 배출 블록(81)의 각 개구부(8x)는 워크(W)의 복수의 분류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또한 각 개구부(8x)는 대응하는 워크 수납 상자(115)에 배출 파이프(85, 86)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배출 블록(81)은 다열로 설치된 복수의 개구부(8x)를 갖는 복수의 기본 계층(81A)을 다단으로 적층함으로써 구성된다. 워크 측정부(7)로부터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부(9)가 반송 테이블(2)을 회전시키고, 또한 배출 블록(81)을 수직방향으로 이동해서, 워크 수납 구멍(3) 내의 워크(W)를 대응하는 분류의 개구부(8x)에 위치맞춤한다.

Description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및 워크 분류 배출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LASSIFYING AND CONVEYING WORK}
본 발명은, 전자 부품 등의 워크(work)를 분류해서 배출하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및 워크 분류 배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산성 향상과 장치 전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및 워크 분류 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칩(chip)형 전자 부품 등의 워크를 반송 테이블의 외주부에 설치된 워크 수납 구멍에 흡착유지해서 반송하면서 전기적 특성 측정을 행하고, 워크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워크를 미리 정해진 복수의 분류로 나누고, 각 분류에 대응하는 수납 상자에 워크를 배출 파이프를 통해서 배출하는 워크 분류 배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분류 수(數)가 증가하면 수납 상자의 수가 증가한다. 이 때문에 수납 상자에 대응해서 배출 파이프를 개별적으로 설치하면 반송 테이블의 워크 수납 구멍의 수를 배출 파이프의 수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어, 반송 테이블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이 경우에는, 장치의 대형화와 고가격화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수납 상자의 수가 증가되었을 경우에도, 반송 테이블로부터 워크를 배출하는 배출 파이프의 수를 적게 하고, 수납 상자에 가까운 위치에서 배출 파이프를 분기해서 수납 상자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접속하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러한 워크 분류 배출 장치(100)는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검사물로서의 칩형 전자 부품(이하 워크)을 간헐 반송해서 측정을 행하는 인덱스 테이블(102)과, 이 인덱스 테이블(102)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측정을 마친 각 워크(W)를 측정 결과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 장치(103)를 갖고 있다.
도 31에 있어서, 흡착 노즐(108)에 흡착된 워크(W)는 인덱스 테이블(102)의 간헐 회전에 의해 반송되고, 측정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측정이 행해진다. 각 워크(W)는 측정 결과에 따른 복수의 분류마다 분배되고, 분배 장치(103)에 의해 각 분류에 대응한 워크 수납 상자(115A)에 저류(貯留)된다.
분배 장치(103)는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워크 수납 상자(115A)마다 대응한 복수의 분배 부재(114)를 갖고, 각 분배 부재(114)는 분배구(114A)를 상방(上方)을 향해서 지면(紙面)에 평행한 방향 및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분배 부재(114)의 상면(上面)은 분배구(114A)에 의해 형성된 구면(球面) 형상 오목부(114B)를 형성하고 있다. 개방 위치 B에는, 워크(W)를 보내주기 위해서 1개의 투입관(112)이 설치되고, 그 하단부(112B)의 외주부에는 환상(環狀)의 구면 시일(seal) 부재(123)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투입관(112)의 하단부(112B)에 접속된 요동관(113)이, 모터의 작용에 의해 구면 시일 부재(123)를 중심으로 해서 지면에 평행한 방향 및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요동하고, 구면 형상 오목부(114B)에 근접한 요동관(113)의 하단부(113B)를 각 분배구(114A)의 근접 상방 위치에 위치시킨다.
측정 장치로부터의 각 워크(W)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 장치는 모터를 동작시킨다. 이것에 의해, 각 워크(W)가 분배되어야 할 분배구(114A)의 근접 상방 위치에, 요동관(113)의 하단부(113B)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인덱스 테이블(102)이 워크(W)를 개방 위치 B까지 반송한 후에, 흡착 노즐(108)의 부압(負壓)을 해제해서 노즐(111)로부터 압축 공기를 분출하여 워크(W)를 투입관(112) 내로 보낸다. 이 경우, 당해 워크(W)는 투입관(112)을 통과한 후에 요동관(113)과 그 분배구(114A)를 거쳐서, 측정 결과의 분류에 대응하는 워크 수납 상자(115A)에 저류된다.
일본국 특개2006-78347호 공보
이러한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31에 있어서 워크(W)를 워크 수납 상자(115A)에 배출할 때, 워크(W)는 일단, 1개의 투입관(112)을 통과한 후, 각 워크 수납 상자(115A)에 대응하는 분배구(114A)에 안내된다. 이 때문에, 상이한 워크 수납 상자(115A)에 수납되는 워크(W)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투입관(112)의 출구를 워크(W)가 통과한 후에 다음 워크(W)를 배출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는, 투입관(112)에 워크(W)가 보내지고나서 나갈 때까지의 통과 시간이 대기 시간으로 되어, 장치의 처리 속도의 고속화가 곤란해진다.
고속화 때문에 이 통과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투입관(112)의 전장(全長)을 짧게 할 필요가 있어, 장치내 각 기구의 배치가 제약을 받는다. 또한, 요동관(113)의 하단부(113B)를 분배구(114A)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시간도 대기 시간으로 되어, 장치의 처리 속도의 고속화가 곤란해진다. 고속화 때문에 이 이동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요동관(113)을 광범위에 걸쳐 고속 이동시키는 기구가 필요해져서, 장치의 비용 상승으로 이어진다.
또한, 워크(W)의 분류의 발생 빈도에는 일정한 경향이 있기 때문에, 각 워크 수납 상자(115A)에 균등하게 워크(W)가 수납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은 특정한 몇 개의 분류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그들 분류에 대응하는 워크 수납 상자(115A)에 수납되는 워크(W)가 많아지므로, 요동관(113)의 하단부(113B)는 당해 워크 수납 상자(115A)에 접속된 분배구(114A)의 위치로 이동하는 빈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장치의 처리 속도의 고속화를 위해서는, 이들의 발생 빈도가 높은 분류에 대응하는 워크 수납 상자(115A)에 접속되는 분배 부재(114)의 분배구(114A)를 서로 근접시켜서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렇게 했을 경우에도, 요동관(113)의 하단부(113B)가 상이한 분배구(114A) 사이를 이동하는 시간을 제로(zero)로 하는 것은 불가능해서, 장치의 처리 속도의 고속화에 한계가 있다.
예를 들면, 최근의 발광 다이오드 등의 워크를 분류해서 배출하는 워크 분류 배출 장치에 있어서의 분류 수는 128, 256 또는 512 등과 같이 매우 커지고 있어, 이들 분류 수에 대응한 워크 분류 배출 장치를 종래 기술에 의해 실현하려고 하면, 장치의 가격이 매우 높아지는 동시에, 동작의 고속화가 매우 곤란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발생 빈도가 높은 분류에 대응하는 워크 수납 상자(115A)는 조기에 가득 채워지기 때문에, 장치의 전원을 차단해서 장치를 정지시키고, 가득 채워진 워크 수납 상자(115A)를 빈 새로운 워크 수납 상자(115A)로 교환하는 작업이 발생한다. 그때, 분배구(114A)가 개구 상태이기 때문에, 교환 작업 중에 먼지 등의 이물이 분배구(114A)로부터 들어가서, 워크 수납 상자(115A)에 혼입할 우려가 있다.
교환 작업 이외의 작업, 예를 들면 장치의 보수 점검 작업의 경우도 장치의 전원을 차단해서 장치를 정지시키기 때문에, 마찬가지의 상황이 된다. 또한, 장치에 어떠한 트러블이 발생해서 긴급 정지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상황이 된다. 이렇게 먼지 등의 이물이 분배구(114A)로부터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장치가 정지했을 때 분배구(114A)를 막는 기구가 필요해져서, 장치의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워크의 분류 수가 증가했을 경우에도 반송 테이블의 워크 수납 구멍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또한 배출 처리 속도가 저하할 일이 없고, 게다가 발생 빈도가 높은 분류에 대응하는 워크 수납 상자에 고속으로 워크를 배출할 수 있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및 워크 분류 배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테이블 베이스와, 테이블 베이스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부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개구되는 동시에 워크가 수납되는 복수의 워크 수납 구멍이 형성된 반송 테이블과, 반송 테이블의 워크 수납 구멍 내의 워크에 대하여 전기적 특성 측정을 행하는 워크 측정부와, 반송 테이블의 반경방향 바깥쪽이며 워크 측정부의 하류측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워크 수납 구멍 측으로 개구되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배출 블록과, 반송 테이블의 워크 수납 구멍 내의 워크를 대응하는 개구부로 배출하기 위해 압축 에어를 분출하는 압축 에어 분출 장치와, 워크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반송 테이블, 배출 블록 및 압축 에어 분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배출 블록의 각 개구부는, 워크의 복수의 분류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각 개구부는 대응하는 워크 수납 상자에 배출 파이프를 통해서 접속되고, 배출 블록은 개구부가 반송 테이블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열(多列)로 형성된 복수의 기본 계층(階層)을 수직방향으로 다단(多段)으로 적층해서 구성되고, 배출 블록의 개구부는, 반송 테이블의 워크 수납 구멍과 동일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워크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부는 반송 테이블을 회전시키고, 또한 배출 블록을 수직방향으로 이동해서, 워크 수납 구멍 내의 워크를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분류의 개구부에 위치맞춤하고, 위치맞춤된 당해 워크를 압축 에어 분출 장치로부터의 압축 에어에 의해, 개구부 및 배출 파이프를 통해서 워크 수납 상자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워크의 분류는 n개(자연수) 있고, 배출 블록의 개구부는 워크의 분류에 대응하는 n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반송 테이블 근방에 워크 수납 구멍 내의 워크가 압축 에어에 의해 배출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워크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각 배출 파이프는, 그 일부가 탄성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배출 블록의 이동을 이 탄성 파이프에 의해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탄성 파이프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전원 차단시 또는 긴급 정지시에 있어서, 제어부는 배출 블록을 강하시키고, 모든 개구부가 테이블 베이스 외주면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발생 빈도가 높은 분류에 대응하는 개구부는, 동일한 기본 계층 중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한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을 이용한 워크 분류 배출 방법에 있어서, 워크 측정부에 의해 반송 테이블의 워크 수납 구멍에 수납된 워크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공정과, 워크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부에 의해, 반송 테이블을 회전시키고, 또한 배출 블록을 수직방향으로 이동해서, 워크를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분류의 개구부에 위치맞춤하는 공정과, 위치맞춤된 당해 워크를 제어부에 의해, 압축 에어 분출 장치로부터의 압축 에어에 의해, 개구부 및 배출 파이프를 통해서 워크 수납 상자로 배출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방법이다.
본 발명은, 워크의 분류는 n개(자연수) 있고, 배출 블록의 개구부는 워크의 분류에 대응하는 n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방법이다.
본 발명은, 반송 테이블 근방에 워크 수납 구멍 내의 워크가 압축 에어에 의해 배출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워크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방법이다.
본 발명은, 전원 차단시 또는 긴급 정지시에 있어서, 제어부는 배출 블록을 강하시키고, 모든 개구부가 테이블 베이스 외주면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방법이다.
본 발명은, 발생 빈도가 높은 분류에 대응하는 개구부는, 동일한 기본 계층 중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워크의 분류 배출 장치에 있어서 분류 수가 증가했을 경우에, 배출 블록을 구성하는 기본 계층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대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송 테이블의 워크 수납 구멍의 수를 증가할 필요는 없고, 따라서 반송 테이블의 직경을 증가할 필요가 없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워크 수납 구멍으로부터 각 워크 수납 상자까지를 개별의 배출 파이프에 의해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워크 수납 구멍 내의 워크를 배출 블록의 개구부로부터 동시에 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워크가 워크 수납 구멍으로부터 배출된 후, 즉석에서 다음 동작으로 이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배출 처리 속도가 저하하지 않고, 게다가 발생 빈도가 높은 분류에 대응하는 워크 수납 상자에 고속으로 워크를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의 (a)∼(f)는 본 발명에 의한 배출 블록의 승강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의 (a), (b)는 반송 테이블의 외주부와 워크 수납 구멍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배출 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9의 (a)∼(c)는 기본 계층 유닛을 이용한 배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배출 블록에 접속된 배출 파이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워크의 분류 배출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및 워크 분류 배출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50)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외주면(1a)을 갖는 테이블 베이스(1)와, 테이블 베이스(1) 위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부(2a)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개구되는 동시에 워크(W)가 수납되는 워크 수납 구멍(3)이 형성된 반송 테이블(2)과, 반송 테이블(2)의 외주부(2a) 근방에 설치되며, 워크 수납 구멍(3) 내의 워크(W)에 대하여 전기적 특성 측정을 행하는 워크 측정부(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반송 테이블(2)에는, 워크 수납 구멍(3) 내의 워크(W)에 대하여 압축 에어를 분사해서 후술하는 개구부(워크 배출구)(8x)로 배출하는 압축 에어 분출 장치(분출 구멍)(10)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워크 측정부(7)의 하류측에, 복수의 개구부(워크 배출구)(8x)를 갖는 배출 블록(81)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배출 블록(81)의 각 워크 배출구(8x)는, 워크 수납 구멍(3)측으로 개구되는 동시에, 반송 테이블(2)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열(8열)로, 또한 수직방향을 따라 다단(4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배출 블록(81)은 다열(8열)로 형성된 워크 배출구(8x)를 갖는 기본 계층(81A)을 수직방향으로 다단(4단)으로 적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 블록(81)의 워크 배출구(8x)는, 미리 정해진 워크(W)의 복수의 분류에 대응해서 설치되는 동시에, 워크 배출구(8x)는 대응하는 워크 수납 상자(115)에 배출 파이프(85)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워크 배출구(8x)는 반송 테이블(2)의 워크 수납 구멍(3)과 동일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워크 측정부(7)로부터의 측정 결과는 제어부(9)에 송신되고, 제어부(9)는 워크 측정부(7)로부터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반송 테이블(2), 배출 블록(81) 및 압축 에어 분출 장치(1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9)는 워크 측정부(7)로부터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반송 테이블(2)을 회전시키고, 또한 배출 블록(81)을 수직방향으로 이동해서, 워크 수납 구멍(3) 내의 워크(W)를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분류의 워크 배출구(8x)에 대하여 위치맞춤을 행하고, 위치맞춤된 당해 워크(W)를 워크 배출구(8x) 및 배출 파이프(85)를 통해서 압축 에어 분출 장치(10)로부터의 압축 에어에 의해 워크 수납 상자(115) 내로 배출한다.
그런데 반송 테이블(2)은 테이블 베이스(1)와 거의 동일 직경을 갖고, 반송 테이블(2)의 외주부(2a)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워크(W)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워크 수납 구멍(3)이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워크 수납 구멍(3)은 반송 테이블(2)의 외측을 향해서 개구해 있다. 반송 테이블(2)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 장치의 작용에 의해 중심축(4)의 주위로 시계방향(도 1의 화살표 A)으로 간헐 회전한다. 그 때 원심력에 의해 워크(W)가 워크 수납 구멍(3)으로부터 튀어나가지 않도록, 워크 수납 구멍(3) 내의 워크(W)는 도시되지 않은 진공 발생원으로부터의 진공 흡인에 의해, 중심축(4)의 방향으로 흡착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크(W)는 도시되지 않은 부품 피더(parts feeder)에 투입되고, 거기로부터 리니어 피더(5)에 옮겨실려서, 반송 테이블(2)을 향해 일렬로 반송된다. 그리고, 워크 수납 구멍(3)의 개구에 대향하는 분리 공급부(6)의 작용에 의해, 워크(W)는 워크 수납 구멍(3)에 개별적으로 수납된 후, 반송 테이블(2)의 간헐 회전에 의해 반송된다.
워크 수납 구멍(3) 내의 워크(W)가 워크 측정부(7)에 도달하면, 워크 측정부(7)의 도시되지 않은 측정 기구에 의해 워크(W)의 전기적 특성이 측정된다. 측정되는 특성은 워크(W)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며, 예를 들면 워크(W)가 저항이면 저항치의 측정, 워크(W)가 콘덴서이면 누설 전류의 측정, 워크(W)가 발광 다이오드이면 광강도의 측정 등이다.
측정이 종료한 워크(W)는, 각각 상술한 배출 블록(81)으로 이루어지는 배출부(8a, 8b)에 도달하고, 워크 측정부(7)로부터의 각 워크(W)의 측정 결과에 따라, 제어부(9)에 의해 미리 정해진 복수의 분류로 나뉘어, 당해 분류에 대응하는 워크 수납 상자(115)를 향해서 배출된다.
도 1에 있어서, 2개의 배출부(8a 및 8b)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은 일례이며, 배출부(8a, 8b)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은 평면도이기 때문에, 반송 테이블(2)과 거의 동일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테이블 베이스(1)는 반송 테이블(2)에 가려져서, 직접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워크 수납 구멍(3) 내에 수납된 워크(W)는 바깥쪽으로부터 볼 수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의 워크 수납 구멍(3)의 상면은 반송 테이블(2) 상면의 커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덮여 있다.
다음으로 배출부(8a, 8b)의 상세를, 도 1의 화살표 S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로서의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편의상 배출부(8a)만을 도시하고, 배출부(8b), 리니어 피더(5), 분리 공급부(6), 워크 측정부(7)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부(8a)는 반송 테이블(2)의 가장자리와 근소한 극간을 두고 대향하는 배출 블록(81)으로 이루어지고, 배출 블록(81)의 반송 테이블(2)에 대향하는 전면(前面)에, 워크 수납 구멍(3) 내의 워크(W)를 워크 수납 상자(115)를 향해서 배출하는 상술한 복수의 워크 배출구(8x)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 블록(81)은 도 2의 화살표 T의 방향으로부터 본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테이블(2)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8개의 워크 배출구(8x)를 갖는 기본 계층(81A)을 4층 적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출 블록(81)은, 구동 기구(81a)에 의해, 수직방향(도 2의 화살표 C)으로 일체로 되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각 기본 계층(81A)에 설치된 8개의 워크 배출구(8x)에 (1)∼(8)의 번호를 붙이고, 각 기본 계층(81A)에 I∼IV의 번호를 붙이고 있다.
어떤 워크 수납 구멍(3)에 수납된 워크(W)를, 워크 배출구(8x)에 위치맞춤시켜서 배출할 경우, 우선 반송 테이블(2)을 회전시켜서 (1)∼(8)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반송 테이블(2)을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배출 블록(81)을 승강시켜서 I∼IV 중 어느 하나의 기본 계층(81A)을 반송 테이블(2)과 동일 수평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배출시켜야 할 워크(W)를 워크 배출구(8x)에 대향해서 위치맞춤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도 1에 나타내는 제어부(9)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기본 계층(81A)의 반송 테이블(2)과 반대측의 배면에는, 워크 배출구(8x)에 연통하고, 워크 배출구(8x)로부터 기본 계층(81A) 내에 들어간 워크(W)를 각 워크 배출구(8x)에 대응하는 워크 수납 상자(115)에 안내하는 튜브(85)가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85)는 기본 계층(81A)의 배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신장되어, 거의 90도 방향을 바꾸어서 하향으로 되고, 신축 가능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코일 튜브(86)를 통해서 수평하게 고정되어 설치된 지지대(87)에 상방으로부터 접속된다. 지지대(87)의 하방(下方)에는, 코일 튜브(86)에 연통하는 중계 튜브(88)가 접속되고, 중계 튜브(88)는 더 하방에 위치하는 워크 수납 상자(115)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튜브(85)와, 코일 튜브(86)와, 중계 튜브(88)에 의해 워크(W)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파이프(85, 86, 88)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반송 테이블(2)의 외주부(2a)와, 워크 수납 구멍(3)의 상세를 도 4의 (a), (b)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도 4의 (a)는 워크 수납 구멍(3)에 워크(W)가 수납되어 있지 않을 때의 형태를 나타내고, 또한 도 4의 (b)는 워크 수납 구멍(3)에 워크(W)가 수납되어 있을 때의 형태를 나타낸다.
워크 수납 구멍(3)의 벽면 중, 반송 테이블(2)의 중심에 가까운 벽면(3a)에는, 도시되지 않은 압축 에어 발생원에 연통하는 분출 구멍(10)이 설치되고, 워크 수납 구멍(3)이 배출 블록(81)의 워크 배출구(8x)에 대향했을 때에 압축 에어를 도 4의 (a)의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분출한다. 이 압축 에어의 작용에 의해, 워크 수납 구멍(3) 내의 워크(W)는 워크 배출구(8x)를 향해서 보내진다.
또한, 테이블 베이스(1) 중, 워크 배출구(8x)에 대향하는 워크 수납 구멍(3)의 반송 테이블(2)의 외주부(2a)에 가까운 개소에는, 상방을 향해서 광을 발사하는 광원(11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광원(11a)의 상방에 위치하는 워크 수납 구멍(3)의 바로 위의 위치에는, 광원(11a)으로부터 발사된 광을 검지하는 광검지기(11b)가 설치되어 있다. 이 광원(11a)과 광검지기(11b)에 의해, 워크 수납 구멍(3) 내의 워크(W)의 유무를 검지하는 워크 센서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블 베이스(1) 중 워크 수납 구멍(3)의 하면에 있어서 광원(11a)의 바로 위에 대응하는 부분, 및 커버(도시하지 않음) 중 워크 수납 구멍(3)의 상면에 있어서 광검지기(11b)의 바로 아래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빈 워크 수납 구멍(3)이 워크 배출구(8x)에 대향한 상태로 광원(11a)으로부터 발사된 광이 광검지기(11b)에서 검지되도록 검출 구멍(12a 및 12b)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a)와 같이, 워크 수납 구멍(3) 내에 워크(W)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광원(11a)으로부터 발사된 광은 검출 구멍(12a 및 12b)을 통과해서, 광검지기(11b)에 의해 검지된다(화살표 D). 이것에 대하여 도 4의 (b)와 같이 워크 수납 구멍(3) 내에 워크(W)가 존재할 때에는, 광원(11a)으로부터 발사된 광은 검출 구멍(12a)을 통과한 후에 워크 수납 구멍(3)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광검지기(11b)에 의해 검지될 일은 없다(화살표 E).
이러한 구조에 의해, 워크 수납 구멍(3) 내의 워크(W)가 워크 배출구(8x)로부터 튜브(85), 코일 튜브(86), 중계 튜브(88)를 경유해서, 워크 수납 상자(115) 내에 배출되었는지가 검지된다.
도 3의 (a)∼(f)는, 배출 블록(81)이 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승강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 1에 있어서의 X-X 단면도이다. 도 3의 (a)에 있어서, 배출 블록(81)의 4층의 기본 계층(81A) 중, 도 5에 나타낸 기본 계층 I이 반송 테이블(2)의 워크 수납 구멍(3)과 대향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분출 구멍(10)으로부터 워크(W)에 압축 에어가 분사되면, 도 3의 (b)와 같이 워크(W)는 배출 블록(81) 내에 보내진다. 도 3의 (c), (d), (e)는 각각, 배출 블록(81)의 4층의 기본 계층(81A) 중, 도 5에 나타낸 기본 계층 II, III, IV가 반송 테이블(2)의 워크 수납 구멍(3)과 대향하고 있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3의 (a) →도 3의 (c) →도 3의 (d) →도 3의 (e)의 순서로 배출 블록(81)은 하강하고, 이것에 따라 신축 가능한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는 코일 튜브(86)가 수축되고, 기본 계층(81A)의 배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며, 약 90도 하방으로 방향을 바꾼 튜브(85)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코일 튜브(86)는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외주에 극간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도 4의 (a)의 분사 구멍(10)으로부터 워크(W)를 향해서 분사된 압축 에어가 워크(W)에 계속되어서 워크 배출구(8x)로부터 튜브(85)를 거쳐서 코일 튜브(86)에 도달했을 경우, 이 압축 에어가 코일 튜브(86)의 극간으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어, 워크 수납 상자(115) 내에 워크(W)가 낙하할 때에 워크(W)의 상방으로부터 압축 에어가 보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워크(W)는 자연 낙하에 가까운 상태가 되고, 새롭게 워크 수납 상자(115)에 수납되는 워크(W)가 압축 에어에 밀려서 워크 수납 상자(115)의 내벽 또는 이미 워크 수납 상자(115)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에 충돌해서 손상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이미 워크 수납 상자(115)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에 압축 에어가 맞아서, 이 워크(W)가 다시 날려 올라가는 등의 우려도 없어진다.
또한 도 3의 (f)는, 배출 블록(81) 전체가 반송 테이블(2)보다 하방의 테이블 베이스(1)의 외주면(1a)에 대향해서 정지해 있는 형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는 보수 점검 등을 위해 장치의 전원을 껐을 때, 또는 어떠한 트러블이 발생해서 장치가 긴급 정지했을 때의 상태이다. 제어부(9)의 작용에 의해 이 위치에서 정지함으로써, 모든 워크 배출구(8x)를 테이블 베이스(1)의 외주면(1a)에 의해 막아서 워크 배출구(8x)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이 워크 수납 상자(115)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 블록(81)에 튜브(85)를 접속하는 동시에, 이 튜브(85)를 대직경 튜브(85A)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해도 된다. 또한, 대직경 튜브(85A)는 지지대(87)에 고정되어 있다.
도 30에 있어서, 배출 블록(81)의 승강에 따라, 튜브(85)가 대직경 튜브(85A)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튜브(85)의 외경은, 대직경 튜브(85A)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있어서, 테이블 베이스(1)의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반송 테이블(2)의 외주부(2a)에 설치된 워크 수납 구멍(3)에 워크(W)가 수용되고, 도시되지 않은 구동 장치의 작용에 의해 반송 테이블(2)은, 중심축(4)의 주위에 시계방향(도 1의 화살표 A)으로 간헐 회전한다.
그리고 워크 수납 구멍(3) 내의 워크(W)가 워크 측정부(7)에 도달하면, 이 워크 측정부(7)에 의해 워크(W)의 전기적 특성이 측정되고, 측정이 종료한 워크(W)는 배출부(8a, 8b)에 도달한다. 워크(W)는 워크 측정부(7)로부터 제어부(9)에 송신된 각 워크(W)의 측정 결과에 따라, 제어부(9)에 의해 미리 정해진 복수의 분류로 나뉘고, 당해 분류에 대응하는 워크 수납 상자(115)를 향해서 배출된다.
각 배출부(8a, 8b)는, 도 5의 정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8)의 8개의 워크 배출구(8x)를 갖는 I∼IV의 4개의 기본 계층(81A)을 포함하는 배출 블록(81)으로 이루어져 있다.
배출부(8a, 8b)를 구성하는 배출 블록(81)은, 구동 기구(81a)에 의해, 수직방향(도 2의 화살표 C)으로 일체로 되어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 블록(81)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 즉 승강에 의해, 도 3의 (a), (c), (d),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테이블(2)의 워크 수납 구멍(3) 내의 워크(W)와, I∼IV의 기본 계층(81A)의 워크 배출구(8x)를 각각 대향할 수 있다.
이렇게, 배출 블록(81)을 복수의 계층(도 5에 있어서는 I∼IV의 4층)의 기본 계층(81A)에 의해 구성하고, 일체로 승강시켜서 워크 배출구(8x)와 워크 수납 구멍(3) 내의 워크(W)를 자유롭게 대향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미리 정해진 분류 수가 커져도, 1개의 계층의 기본 계층(81A)에 형성된 워크 배출구(8x)의 수(도 5에 있어서의 (1)∼(8))를 증가시키지 않고, 계층 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워크 배출구(8x)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분류 수가 커져도 반송 테이블(2)의 워크 수납 구멍(3)의 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즉 반송 테이블(2)의 직경을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배출 블록(81)은 단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구동 기구(81a)의 구조가 간단해서, 이동에 요하는 시간도 짧다.
다음으로 배출부(8a, 8b)에 있어서의 워크(W)의 분류 배출 방법에 대해서, 도 6∼도 28에 따라 상세히 기술한다. 도 6∼도 28은, 반송 테이블(2)과 배출부(8a, 8b)의 위치 관계를, 도 2의 화살표 T의 방향에서 본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배출부(8a, 8b)는 각각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8)의 8개의 워크 배출구(8x)를 갖는 I∼IV의 4층의 기본 계층(81A)을 포함하는 배출 블록(81)으로 이루어지고, 워크 배출구(8x)의 총 수에 상당하는 32개의 워크 수납 상자(115)에 워크(W)를 배출할 수 있다. 즉, 배출부(8a, 8b)를 합해서 64개의 워크 수납 상자(115)에 워크(W)를 배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도 1의 워크 측정부(7)에 있어서의 워크(W)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워크(W)를 미리 정해진 64개의 분류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도 6∼도 28은, 각 배출부(8a, 8b)의 워크 배출구(8x)를, 도 5와 마찬가지로 가로 8개 세로 4개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가로방향의 워크 배출구(8x)에 (1)∼(8)의 번호를 붙이고, 세로방향의 기본 계층(81A)에 I∼IV의 번호를 붙이고 있다. 그리고, 각 배출부(8a, 8b)의 워크 배출구(8x)에는, 분류 수인 1∼64가 통과 번호로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배출부(8a)의 I(3)은 분류 3에 상당하고, 배출부(8b)의 III(6)은 분류 46에 상당한다.
여기에 배출부(8a, 8b)의 배출 블록(81)은, 모두 I의 기본 계층(81A)의 워크 배출구(8x)가 반송 테이블(2)과 동일 높이로 되는 상태, 즉 도 3의 (a)에 나타내는 상태가 초기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어부(9)가 구동 기구(81a)를 제어함으로써 배출 블록(81)이 승강하고, 도 3의 (c), (d), (e)의 각 상태로 이행한다. 또한, 도 6∼도 28에 있어서 반송 테이블(2)의 워크 수납 구멍(3)을 상기 워크 배출구(8x)와 마찬가지로 가로 일렬로 나타내고, 각 워크 수납 구멍(3)은 하측에 기록한 알파벳(alphabet)의 소문자에 의해 식별되며, 워크 수납 구멍(3)에는 수납되어 있는 워크(W)의 배출처를 나타내는 분류 번호(1∼64 중 어느 하나)가 부여되어 있다.
간략화를 위해, 도 6∼도 28에 있어서 워크 수납 구멍(3)의 수는 a∼r의 18개로 한정되어 있다. 반송 테이블(2)이 도 2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간헐 회전하면, 도 6∼도 28에 있어서, 반송 테이블(2)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진행한다. 도 6에 있어서, 워크 수납 구멍(3)(a, b, c, d …)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의 분류 번호는, 순서대로 1, 5, 14, 10 …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워크 수납 구멍 a의 워크(W)는 워크 배출구 1 즉 배출부(8a)의 I(1)로부터 배출되고, 워크 수납 구멍 b의 워크(W)는 워크 배출구 5 즉 배출부(8a)의 I(5)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편의상, 예를 들면 도 6에 있어서 반송 테이블(2)은 배출부(8a, 8b)의 바로 아래에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배출부(8a, 8b)의 기본 계층 I에 설치된 워크 배출구 I(1)∼I(8)(분류 번호 1∼16)과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고 있다. 도 7∼도 28에 대해서도, 반송 테이블(2)과 배출부(8a 및 8b)의 위치 관계는 마찬가지이다.
이하, 도 6∼도 28까지 순서대로 설명하지만, 간략화를 위해, 「워크 수납 구멍」을 「수납 구멍」, 「워크 배출구」를 「배출구」라고 기재한다.
도 6의 초기 상태로부터 반송 테이블(2)이 간헐 회전하면, 도 7의 상태로 된다. 여기서, 반송 테이블(2)의 수납 구멍 a의 워크(W)는, 배출되어야 할 배출구 1(배출부(8a)의 I(1))과 대향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는, 이것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수납 구멍 a와 배출구 1에 음영을 넣고 있다. 이하, 도 8∼도 28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경우에는 대응하는 수납 구멍과 배출구에 음영을 넣고 있다.
제어부(9)는, 워크 측정부(7)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의해, 수납 구멍 a의 워크(W)가 배출되어야 할 배출구가 1임을 인식하고 있으므로, 도 7에 있어서 수납 구멍 a와 배출구 1이 대향한 상태에서, 도 4의 (b)의 상태에 있는 수납 구멍 a 내의 워크(W)를 향해서, 도 4의 (a)에 있어서의 분출 구멍(10)으로부터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압축 에어를 분출하여, 당해 워크(W)를 배출구 1에 보낸다. 이때, 광원(11a)으로부터 나온 광은, 도 4의 (b)의 화살표 E의 방향으로부터 도 4의 (a)의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변화되어, 워크(W)가 수납 구멍 a로부터 배출구 1에 보내진 것을 검지한다.
이 검지 결과는 제어부(9)에 송신되고, 도 7에 나타내는 단계에서 그 외에 배출해야 할 워크(W)가 없음을 제어부(9)가 확인하면, 제어부(9)는 반송 테이블(2)을 간헐 회전시켜서 도 8의 상태로 이행한다.
도 8에 있어서, 수납 구멍 b는 배출구 1과 대향하고 있다. 이때, 제어부(9)는 수납 구멍 b 내의 워크(W)가 배출구 5에 배출됨을 인식하고 있어, 가령 도 8의 상태에서 배출부(8a)의 배출 블록(81)을 승강시켜도, 수납 구멍 b와 대향하는 배출구는 17(II(1)), 33(III(1)), 49(IV(1)) 중 어느 하나이기 때문에, 제어부(9)는 도 8의 상태에서 배출되는 워크(W)는 없다고 판단하여, 반송 테이블(2)을 간헐 회전시켜서 도 9의 상태로 이행한다.
도 9에 있어서, 수납 구멍 b 및 c 내의 워크(W)에 대해서, 제어부(9)는 도 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출되는 워크는 없다고 판단하여, 반송 테이블(2)을 간헐 회전시켜서 도 10의 상태로 이행한다.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제어부(9)는 각 도면의 상태에서 배출되는 워크(W)가 없다고 판단하여, 반송 테이블(2)을 간헐 회전시켜서 도 12의 상태로 이행한다. 여기서 도 12에 있어서 수납 구멍 b의 워크(W)는, 배출되어야 할 배출구(5)(배출부(8a)의 I(5))와 대향하고 있다. 그래서 제어부(9)는, 도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출 구멍(10)으로부터 압축 에어를 분출하여, 당해 워크(W)를 배출구 5에 보낸다. 그리고 광원(11a)과 광검지기(11b)에 의해 워크(W)가 수납 구멍 b로부터 배출구 5에 보내졌음을 검지하고, 이 검지 결과는 제어부(9)에 송신되며, 도 12에 나타내는 단계에서 그 외에 배출해야 할 워크(W)가 없음을 제어부(9)가 확인하면, 제어부(9)는 반송 테이블(2)을 간헐 회전시켜서 도 13의 상태로 이행한다.
도 13∼도 16에 있어서는, 도 8과 마찬가지로, 제어부(9)는 각 도면의 상태에서 배출되는 워크(W)는 없다고 판단하여, 반송 테이블(2)을 간헐 회전시켜서 도 17의 상태로 이행한다.
도 17에 있어서, 수납 구멍 h 내의 워크(W)가 배출되어야 할 배출구 20(배출부(8a)의 II(4))은, 배출부(8a)의 배출 블록(81)을 하강시킴으로써, 수납 구멍 h와 대향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9)는 구동 기구(81a)를 제어해서 배출부(8a)의 배출 블록(81)을 하강시켜, II의 기본 계층(81A)을 반송 테이블(2)과 동일한 높이로 한다. 그리고, 도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출 구멍(10)으로부터 압축 에어를 분출하여, 당해 워크(W)를 배출구 20에 보낸다. 그리고 광원(11a)과 광검지기(11b)는, 워크(W)가 수납 구멍 h로부터 배출구 20에 보내졌음을 검지하고, 이 검지 결과는 제어부(9)에 송신된다.
다음으로, 이 상태에서 수납 구멍 e 내의 워크(W)가 배출되어야 할 배출구 39(배출부(8a)의 III(7))는, 배출부(8a)의 배출 블록(81)을 다시 하강시킴으로써, 수납 구멍 e와 대향한다. 이를 위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9)는 구동 기구(81a)를 제어해서 배출부(8a)의 배출 블록(81)을 하강시켜, III의 기본 계층(81A)을 반송 테이블(2)과 동일한 높이로 한다. 그리고, 도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출 구멍(10)으로부터 압축 에어를 분출하여, 당해 워크(W)를 배출구 39에 보낸다. 그리고 광원(11a)과 광검지기(11b)는 워크(W)가 수납 구멍 e로부터 배출구 39에 보내졌음을 검지하고, 이 검지 결과는 제어부(9)에 송신된다.
여기서, 도 17 및 도 18에 있어서, 반송 테이블(2)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수납 구멍 h와 수납 구멍 e로부터 2개 연속해서 워크(W)를 배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도 30에 있어서 워크(W)를 상이한 워크 수납 상자(115)에 연속해서 배출할 때에, 워크(W)가 일단 투입관(112)을 통과한 후에 각 워크 수납 상자(115)에 대응하는 분배구(114A)로 안내된다. 이 때문에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투입관(112)의 출구를 워크(W)가 통과했음을 검지하고 나서, 투입관(112)을 다음으로 워크(W)를 배출하는 분배구(114A)까지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워크 수납 구멍(3)으로부터 워크 수납 상자(115)까지의 배출 파이프의 경로가 모두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워크 수납 구멍(3)으로부터 워크(W)가 배출된 것을 광원(11a)과 광검지기(11b)가 검지하면, 즉석에서 배출 블록(81)을 승강시켜서, 다음으로 워크(W)를 배출하는 워크 배출구(8x)를 워크 수납 구멍(3)에 대향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워크(W)를 배출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이 시간 단축의 효과는, 반송 테이블(2)의 정지 중에 배출하는 워크(W)의 수가 늘어나는 만큼 커진다.
도 18에 있어서, 수납 구멍 e 내의 워크(W)가 배출되면, 제어부(9)는 이 상태로부터 배출부(8a, 8b)의 배출 블록(81)을 승강시켜도, 그 외에 배출할 수 있는 워크(W)가 없음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9)는 반송 테이블(2)을 간헐 회전시켜서, 도 19의 상태로 이행한다.
도 19에 있어서, 배출부(8a)의 배출 블록(81)을 상승시켜서 I의 기본 계층(81A)이 반송 테이블(2)과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한다. 이 경우, 수납 구멍 i, j의 워크(W)는, 각각 배출되어야 할 배출구 4, 3(배출부(8a)의 I(4), I(3))과 대향하고 있다.
그래서 제어부(9)는 구동 기구(81a)를 제어하여, 배출부(8a)의 배출 블록(81)을 상승시켜서 I의 기본 계층(81A)이 반송 테이블(2)과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하고, 도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출 구멍(10)으로부터 압축 에어를 분출하여, 당해 워크(W)를 배출구 4, 3에 보낸다. 그때, 분출 구멍(10)으로부터 압축 에어를 분출하는 타이밍은, 수납 구멍 i, j에 대하여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워크(W)를 워크 수납 상자(115)에 배출할 때에, 워크(W)는 일단 투입관(112)을 통과한 후에 각 수납 상자에 대응하는 분배구(114A)에 안내된다. 이 때문에, 상이한 워크 수납 상자(115)에 워크(W)를 연속해서 배출할 경우에는, 투입관(112)의 출구를 워크가 통과했음을 검지하고 나서, 투입관(112)을 다음으로 워크를 배출하는 분배구(114A)까지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워크 수납 구멍(3)으로부터 워크 수납 상자(115)까지의 배출 파이프의 경로가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기본 계층(81A)에 속하는 복수의 워크 배출구(8x)에 워크(W)를 배출할 경우, 동시에 워크(W)를 배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워크(W)를 배출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이 시간 단축의 효과는, 반송 테이블(2)의 정지 중에 동일한 기본 계층(81A)으로부터 배출하는 워크(W)의 수가 늘어나는 만큼 커진다. 따라서, 발생 빈도가 높은 분류에 대응하는 워크 배출구(8x)를, 도 19에 있어서의 배출구 4, 3과 같이 동일한 기본 계층에 설치해 두면, 이 시간 단축의 효과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도 19에 있어서, 광원(11a)과 광검지기(11b)는 워크가 수납 구멍 i, j로부터 배출구 4, 3에 보내졌음을 검지하고, 이 검지 결과는 제어부(9)에 송신되어, 도 19에 나타내는 단계에서 그 외에 배출해야 할 워크(W)가 없음을 제어부(9)가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9)는 반송 테이블(2)을 간헐 회전시켜서, 도 20의 상태로 이행한다.
도 20에 있어서는, 수납 구멍 d 내의 워크(W)가 배출구 10(배출부(8b)의 I(2))으로부터 배출되고, 반송 테이블(2)은 간헐 회전하여, 도 21의 상태로 이행한다. 도 21 및 도 22에 있어서는, 배출되는 워크(W)는 없고, 반송 테이블(2)은 간헐 회전해서 도 23의 상태로 이행한다. 도 23에 있어서는, 수납 구멍 c 내의 워크가 배출구 14(배출부(8b)의 I(6))로부터 배출되고, 반송 테이블(2)은 간헐 회전해서 도 24의 상태로 이행한다.
도 24에 있어서는, 수납 구멍 n 내의 워크(W)가 배출되어야 할 배출구 52(배출부(8a)의 IV(4))는, 배출부(8a)의 배출 블록(81)을 하강시킴으로써 수납 구멍 n과 대향한다. 동시에 수납 구멍 g 내의 워크(W)가 배출되어야 할 배출구 43(배출부(8b)의 III(3))은, 배출부(8b)의 배출 블록(81)을 하강시킴으로써 수납 구멍 g와 대향한다.
배출부(8a와 8b)의 각각의 배출 블록(81)은 개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고, 또한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송 테이블(2)과 동일 높이에 있는 기본 계층(81A) 내의 배출구(8x)로의 워크(W)의 보내기를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출부(8a)의 배출 블록(81)을 하강시켜서 IV의 기본 계층(81A)을 반송 테이블(2)과 동일한 높이로 하고, 이것과 동시에 배출부(8b)의 배출 블록(81)을 하강시켜서 III의 기본 계층(81A)을 반송 테이블(2)과 동일한 높이로 하면, 수납 구멍 n 내의 워크(W)를 배출구 52에 보냄과 동시에, 수납 구멍 g 내의 워크(W)를 배출구 43에 보낼 수 있다.
이렇게, 배출부(8a, 8b)가 각각 독자의 배출 블록(81)을 가짐으로써, 워크(W)의 배출 시간의 단축을 행할 수 있다.
도 24에 있어서의 워크(W)의 배출 후, 제어부(9)는 이 상태로부터 배출부(8a, 8b)의 배출 블록(81)을 승강시켜도, 그 외에 배출할 수 있는 워크(W)가 없음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9)는 반송 테이블(2)을 간헐 회전시켜서, 도 25의 상태로 이행한다.
도 25에 있어서, 수납 구멍 q 내의 워크(W)가 배출되어야 할 배출구 2(배출부(8a)의 I(2))는, 배출부(8a)의 배출 블록(81)을 상승시킴으로써 수납 구멍 q와 대향한다. 동시에 수납 구멍 f 내의 워크(W)가 배출되어야 할 배출구 61(배출부(8b)의 IV(5))은, 배출부(8b)의 배출 블록(81)을 하강시킴으로써 수납 구멍 f와 대향한다.
배출부(8a와 8b)의 배출 블록(81)의 승강은 개별적으로 행할 수 있고, 또한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송 테이블(2)과 동일 높이로 되는 기본 계층(81A) 내의 배출구(8x)에 워크(W)를 동시에 보낼 수 있으므로, 배출부(8a)의 배출 블록(81)을 상승시켜서 I의 기본 계층(81A)을 반송 테이블(2)과 동일한 높이로 하고, 이것과 동시에 배출부(8b)의 배출 블록(81)을 하강시켜서 IV의 기본 계층(81A)을 반송 테이블(2)과 동일한 높이로 한다. 이것에 의해, 수납 구멍 q 내의 워크(W)를 배출구 2에 보냄과 동시에, 수납 구멍 f 내의 워크(W)를 배출구 61에 보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9)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부(8a)의 배출 블록(81)을 하강시킴으로써, 수납 구멍 m 내의 워크(W)가 배출되어야 할 배출구 22(배출부(8a)의 II(6))가 수납 구멍 m과 대향한다고 판단하여, 배출부(8a)의 배출 블록(81)을 하강시켜서 II의 기본 계층(81A)을 반송 테이블(2)과 동일한 높이로 하고, 수납 구멍 m 내의 워크를 배출구 22에 보낸다.
제어부(9)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부(8a)의 배출 블록(81)을 더 하강시킴으로써, 수납 구멍 l 내의 워크(W)가 배출되어야 할 배출구 39(배출부(8a)의 III(7))가 수납 구멍 l과 대향한다고 판단하여, 배출부(8a)의 배출 블록(81)을 하강시켜서 III의 기본 계층(81A)을 반송 테이블(2)과 동일한 높이로 하고, 수납 구멍 l 내의 워크를 배출구 39에 보낸다.
이때 제어부(9)는 이 상태로부터 배출부(8a, 8b)의 배출 블록(81)을 승강시켜도, 그 외에 배출할 수 있는 워크(W)가 없음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제어부(9)는 반송 테이블(2)을 간헐 회전시켜서, 도 28의 상태로 이행한다. 도 28에 있어서, 수납 구멍 o, p, r의 워크(W)는, 각각 배출되어야 할 배출구 37, 36, 34(배출부(8a)의 III(5), III(4), III(2))와 대향하고, 수납 구멍 k의 워크(W)는, 배출되어야 할 배출구 57(배출부(8b)의 IV(1))과 대향하고 있다. 거기에서 제어부(9)는, 이들 워크(W)를 동시에 각 배출구(8x)에 보낸다. 이 경우도, 도 19에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발생 빈도가 높은 분류에 대응하는 배출구(8x)로서, 동일한 기본 계층(81A)에 설치된 배출구 37, 36, 34를 할당해 두면, 배출 시간의 단축 효과가 현저해진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워크의 분류 수가 증가했을 경우에도, 반송 테이블의 워크 수납 구멍의 수를 증가시킬 일 없고, 또한 배출 처리 속도를 저하시킬 일은 없다. 게다가 발생 빈도가 높은 분류에 대응하는 워크 수납 상자 내에 고속으로 워크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초기 상태로서 기본 계층 I를 반송 테이블(2)과 동일한 높이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초기 상태로서 II 내지 IV 중 어느 하나의 기본 계층(81A)을 반송 테이블(2)과 동일한 높이로 해도 되고, 또한 배출부(8a와 8b)의 초기 상태를 개별적으로 설정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출부(8a)를 증설해서 분류 수의 증가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배출부(8a, 8b)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최근의 발광 다이오드의 측정 분류 장치와 같이 분류 수가 128, 256 또는 512 등으로 매우 큰 경우여도, 각각의 분류 수에 대하여 32 분류에 대응하는 배출부를 4개, 8개, 16개 설치함으로써, 저비용이며 고속 동작이 가능한 분류 배출 시스템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개별적으로 승강 가능한 배출부(8a, 8b)의 수를 2개로 하고, 각 배출부(8a, 8b)에 32개의 워크 배출구(8x)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개별적으로 승강 가능한 배출부(8a, 8b)의 수 및 각 배출부(8a, 8b)에 설치되는 워크 배출구(8x)의 수는, 각각 2개 및 32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배출부(8a, 8b)에 설치된 모든 워크 배출구(8x)가 워크 수납 상자(115)에 연통하고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분류 수가 54개일 경우에는, 배출부(8a, 8b)에 설치된 64개의 워크 배출구(8x) 중, 54개를 워크 수납 상자(115)에 연통시키고, 나머지 10개의 워크 배출구(8x)는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즉, n을 자연수라고 했을 때, 워크 배출구(8x)를 n개 설치, n개의 워크 배출구(8x)에 접속된 배출 파이프(85)의 수의 합계가 분류 수 이상이도록 하면 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배출 블록(81)을 구성하는 기본 계층(81A), 튜브(85), 코일 튜브(86), 지지대(87), 중계 튜브(88)를 모아서 1개의 부재로서 작성하고, 이 부재를 접속해서 증설 또는 삭감함으로써 분류 수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응해서 워크 배출구(8x)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분류 수에 따라서 최적인 배출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예를 도 29에 나타낸다. 도 29의 (a)에 나타내는 기본 계층 유닛(810)은, 기본 배출 블록 편(片)(81B)과, 튜브(85B)와, 코일 튜브(86B)와, 지지대 편(87B)과, 중계 튜브(88B)를 일체로서 포함하고 있다.
기본 배출 블록 편(81B)은, 상면과 하면에 접속용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상하방향으로 적재 접속해서 서로 고정 가능하다. 또한, 지지대 편(87B)은 도 29의 (a)의 좌면 및 우면에 접속용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좌우방향으로 접속해서 서로 고정 가능하다.
이 기본 계층 유닛(810)을 이용해서 I∼IV의 4층으로 이루어지는 배출 블록(81)을 구성한 것을 도 29의 (b)에 나타내고, 또한 마찬가지로, 이 기본 계층 유닛(810)을 이용해서 I∼V의 5층으로 이루어지는 배출 블록(81)을 구성한 것을 도 29의 (c)에 나타낸다.
도 29의 (b)에 나타내는 I∼IV 및 도 29의 (c)에 나타내는 I∼V의 각 부는, 상기 커넥터에 의해 접속되어 서로 일체화되어 있고, 도 1에 나타낸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50)의 상하방향 또는 반송 테이블(2)의 외주방향에 있어서의 스페이스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 있어서, 기본 계층 유닛(810)을 증설 또는 삭감하고, 분류 수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서 자유롭게 워크 배출구(8x)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1 : 테이블 베이스
2 : 반송 테이블
3 : 워크 수납 구멍
7 : 워크 측정부
8a, 8b : 배출부
9 : 제어부
10 : 분출 구멍
11a : 광원
1lb : 광검지기
50 :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81 : 배출 블록
81A : 기본 계층
85 : 튜브
86 : 코일 튜브
87 : 지지대
88 : 중계 튜브
8x : 워크 배출구
810 : 기본 계층 유닛
W : 워크

Claims (12)

  1.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테이블 베이스와,
    테이블 베이스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부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개구되는 동시에 워크가 수납되는 복수의 워크 수납 구멍이 형성된 반송 테이블과,
    반송 테이블의 워크 수납 구멍 내의 워크에 대하여 전기적 특성 측정을 행하는 워크 측정부와,
    반송 테이블의 반경방향 바깥쪽이며 워크 측정부의 하류측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워크 수납 구멍 측으로 개구되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배출 블록과,
    반송 테이블의 워크 수납 구멍 내의 워크를 대응하는 개구부로 배출하기 위해 압축 에어를 분출하는 압축 에어 분출 장치와,
    워크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반송 테이블, 배출 블록 및 압축 에어 분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배출 블록의 각 개구부는, 워크의 복수의 분류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각 개구부는 대응하는 워크 수납 상자에 배출 파이프를 통해서 접속되고,
    배출 블록은 개구부가 반송 테이블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열(多列)로 형성된 복수의 기본 계층(階層)을 수직방향으로 다단(多段)으로 적층해서 구성되고,
    배출 블록의 개구부는, 반송 테이블의 워크 수납 구멍과 동일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워크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부는 반송 테이블을 회전시키고, 또한 배출 블록을 수직방향으로 이동해서, 워크 수납 구멍 내의 워크를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분류의 개구부에 위치맞춤하고, 위치맞춤된 당해 워크를 압축 에어 분출 장치로부터의 압축 에어에 의해, 개구부 및 배출 파이프를 통해서 워크 수납 상자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워크의 분류는 n개(자연수) 있고, 배출 블록의 개구부는 워크의 분류에 대응하는 n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반송 테이블 근방에 워크 수납 구멍 내의 워크가 압축 에어에 의해 배출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워크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배출 파이프는, 그 일부가 탄성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배출 블록의 이동을 이 탄성 파이프에 의해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탄성 파이프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 차단시 또는 긴급 정지시에 있어서, 제어부는 배출 블록을 강하시키고, 모든 개구부가 테이블 베이스 외주면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발생 빈도가 높은 분류에 대응하는 개구부는, 동일한 기본 계층 중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8. 제 1 항에 기재된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을 이용한 워크 분류 배출 방법에 있어서,
    워크 측정부에 의해 반송 테이블의 워크 수납 구멍에 수납된 워크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공정과,
    워크 측정부로부터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부에 의해, 반송 테이블을 회전시키고, 또한 배출 블록을 수직방향으로 이동해서, 워크를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분류의 개구부에 위치맞춤하는 공정과,
    위치맞춤된 당해 워크를 제어부에 의해, 압축 에어 분출 장치로부터의 압축 에어에 의해, 개구부 및 배출 파이프를 통해서 워크 수납 상자로 배출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워크의 분류는 n개(자연수) 있고, 배출 블록의 개구부는 워크의 분류에 대응하는 n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반송 테이블 근방에 워크 수납 구멍 내의 워크가 압축 에어에 의해 배출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워크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전원 차단시 또는 긴급 정지시에 있어서, 제어부는 배출 블록을 강하시키고, 모든 개구부가 테이블 베이스 외주면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발생 빈도가 높은 분류에 대응하는 개구부는, 동일한 기본 계층 중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분류 배출 방법.
KR1020100107948A 2009-11-27 2010-11-02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및 워크 분류 배출 방법 KR101176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0340 2009-11-27
JP2009270340A JP5294213B2 (ja) 2009-11-27 2009-11-27 ワーク分類排出システムおよびワーク分類排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523A true KR20110059523A (ko) 2011-06-02
KR101176080B1 KR101176080B1 (ko) 2012-08-23

Family

ID=4423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948A KR101176080B1 (ko) 2009-11-27 2010-11-02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및 워크 분류 배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94213B2 (ko)
KR (1) KR101176080B1 (ko)
CN (1) CN102170767B (ko)
TW (1) TWI42284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3594A (ko) * 2012-09-28 2014-04-10 (주)큐엠씨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KR20160119516A (ko) * 2015-04-06 2016-10-14 나승옥 워크 외형검사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0300B2 (ja) * 2011-02-07 2014-11-26 澁谷工業株式会社 振り分け装置
JP2015505516A (ja) * 2012-02-07 2015-02-23 イスメカ セミコンダクター ホールディング エス アーIsmeca Semiconductor Holding Sa 部品仕分け用装置
WO2014010720A1 (ja) * 2012-07-12 2014-01-16 株式会社ヒューモラボラトリー チップ電子部品の検査選別装置
KR101636434B1 (ko) * 2012-11-05 2016-07-05 이스메카 세미컨덕터 홀딩 에스.아. 부품의 성능 테스트용 어셈블리
TWI583965B (zh) * 2013-07-15 2017-05-21 Humo Laboratory Ltd Inspection and sorting device for wafer electronic parts
TWI555584B (zh) * 2014-03-04 2016-11-01 All Ring Tech Co Ltd Sorting machine shunt discharge pipe quick release method and device
TW201613699A (en) * 2014-10-02 2016-04-16 All Ring Tech Co Ltd Electronic component sorting method and device
JP6879822B2 (ja) * 2017-05-18 2021-06-02 株式会社 東京ウエルズ ワーク外観検査装置およびワーク外観検査方法
CN108521756B (zh) * 2018-06-15 2023-10-20 南通金泰科技有限公司 一种装拆料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2380A (ja) * 1986-07-26 1988-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Icデバイス・テスト・ハンドラ−装置
JPH1190348A (ja) * 1997-09-09 1999-04-06 Salvagnini It Spa ワークピース仕分け装置
JP3446598B2 (ja) * 1998-03-23 2003-09-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部品の移載装置
JP2002214283A (ja) * 2001-01-19 2002-07-31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特性測定装置および選別装置
JP4346912B2 (ja) * 2003-01-20 2009-10-21 株式会社 東京ウエルズ 真空吸引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474612B2 (ja) * 2004-09-09 2010-06-09 澁谷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分類装置
JP5028589B2 (ja) * 2006-10-10 2012-09-19 株式会社 東京ウエルズ ワーク排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3594A (ko) * 2012-09-28 2014-04-10 (주)큐엠씨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KR20160119516A (ko) * 2015-04-06 2016-10-14 나승옥 워크 외형검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40085A (en) 2011-11-16
JP5294213B2 (ja) 2013-09-18
CN102170767B (zh) 2014-07-30
KR101176080B1 (ko) 2012-08-23
JP2011112553A (ja) 2011-06-09
CN102170767A (zh) 2011-08-31
TWI422842B (zh) 201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080B1 (ko) 워크 분류 배출 시스템 및 워크 분류 배출 방법
US7119299B2 (en) Work inspection system
KR101960662B1 (ko) 물품분류장치 및 그 운전방법
JP2005219002A (ja) 素子分別収納装置
KR100904869B1 (ko) 워크 배출 장치
CN208516356U (zh) 以空气为动力的可防止细小弹簧缠绕的分选输送机
ITMI20102331A1 (it)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il controllo e l'alimentazione ad una roccatrice automatica di spole provenienti alla rinfusa dalla filatura
TW201638600A (zh) 電子元件分類方法及裝置
JP2022508708A (ja) 部品を取り扱う際に使用され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5630300B2 (ja) 振り分け装置
JP2014024623A (ja) ワークの分類装置
US4854453A (en) Article selecting and conveying system
KR20100115305A (ko) 워크 반송 장치 및 워크 반송 방법
TWI722682B (zh) 電子元件搬送方法與設備
KR101168230B1 (ko) 칩형 led 테스트 핸들러
CN208193294U (zh) 一种胶囊包装机
TWI727520B (zh) 電子元件搬送方法及電子元件搬送裝置與搬送設備
US11541425B2 (en) Sorting method for hollow bodies and sorting device
TW201543046A (zh) 電子元件之搬送、分類方法及裝置
KR101852073B1 (ko) 전자부품 분류장치
KR101011797B1 (ko) 전자 소자 분류 장치
CN209736119U (zh) 分类料盒装置
KR20120115804A (ko) 발광소자 분류장치 및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KR20130137812A (ko) 분류장치
CN115338609A (zh) 一种钢珠分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