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337A -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337A
KR20140043337A KR1020137029051A KR20137029051A KR20140043337A KR 20140043337 A KR20140043337 A KR 20140043337A KR 1020137029051 A KR1020137029051 A KR 1020137029051A KR 20137029051 A KR20137029051 A KR 20137029051A KR 20140043337 A KR20140043337 A KR 20140043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sheet
temperature
p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9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8677B1 (ko
Inventor
토시히코 오오이
히데시 후지사와
아키히코 후루타
스스무 사토
토루 이모카와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코우반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코우반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코우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3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질량%로, Al : 3∼6%, Mg : 0.2∼1.0%, Ni : 0.01∼0.10%를 포함하며, Fe를 0.10% 이하로 조정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욕에, 강판을 침입시키고, 끌어올려, 냉각해서, 강판 표면에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을 형성한다. 이때, 도금욕의 욕온은 420∼520℃, 그 도금욕 중에 침입하는 강판의 판온은 420∼600℃ 범위의 온도이면서, 도금용의 온도 이상이 되도록 조정한다. 이에 의해, 도금층 중의 Fe분이 2.0g/㎡ 이하이고, 도금층과 강판의 계면에, 두께 : 0.05∼1.0㎛의 Ni 농화층을 가지며, 가공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이 된다.

Description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MOLTEN ZN-AL-BASED ALLOY-PL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WORK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건축, 토목, 가전 등의 용도에 적합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공성 향상 및 가공부의 내식성 향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건재(建材), 가전, 자동차 등의 분야에서는, 용융 Zn계 도금 강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용융 Zn계 도금 강판에는, 주로 내식성에 우수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건축 분야에서는 용융 Zn계 도금 강판을 소정 형상으로 성형 가공하여, 지붕, 벽 또는 구조체 등의 부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용도 쪽의 용융 Zn계 도금 강판에는 내식성이 우수한 것에 더하여, 가공성이 우수한 것, 나아가 가공부의 내식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건재나 가전 분야에서는 무도장(無塗裝)으로 사용되는 것도 많아, 그 경우에는 외관의 균일성이나 내흑변성(耐黑變性)에도 우수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금속 광택을 가진 미려한 도금 외관과, 우수한 내흑변성을 가진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강판을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욕에 침지한 후, 그 도금욕으로부터 꺼내고, 250℃까지, 냉각 속도 1∼15℃/s의 범위에서 냉각하여, 강판 표면에, Al : 1.0∼10%, Mg : 0.2∼1.0%, Ni : 0.005∼0.1%을 포함하고, 잔부가 Zn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여, 금속 광택을 가지는 미려한 도금 외관과, 우수한 내흑변성을 가지는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을 얻는다고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도금 후의 냉각 속도를 상기의 특정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Mg과 Ni의 상승 작용에 의해, 도금 최표층부(最表層部)에의 Ni 농화(濃化)가 촉진된다고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 Zn계 도금 강판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도금 강판은, 강판 표면에, 질량%로, Al : 1.0∼10%, Mg : 0.2∼1.0%, Ni : 0.005∼0.2%을 포함하고, 잔부가 Zn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을 가지며, 또한 도금층과 베이스 강판과의 계면(界面)에 Ni 농화층을 가지는 도금 강판이다. 이에 따라, 가공성이 우수한 도금층이 되며, 가공부에서의 크랙 발생이 억제되고 베이스 강판의 부식이 억제되어, 우수한 가공부 내식성을 가진 도금 강판이 된다고 되어 있다.
일본 특개 2008-138285호 공보 일본 특개 2010-255084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Ni을 함유하는 Zn-Al-Mg계 조성의 도금층으로 하는 것에 의해, 주로 내흑변성이 향상된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도금층 중의 Fe 양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없다. 예를 들면, 도금욕 중에 포함되는 Fe가 과잉으로 도금층 중에 취입되어, 도금층과 기판(基板) 사이의 계면에 두껍게 합금상(合金相)이 형성된 경우에는, 구부림 등의 가공을 행했을 때, 도금층에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크랙이 생긴 부위에서는 도금층이 얇아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스 강판이 노출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로 제조된 도금 강판에서는, 가공성이 떨어지고, 가공부의 내식성이 당연히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가공성이 우수하며, 또한 가공부 내식성이 우수한 도금 강판이 얻어진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는 도금층 중의 Fe 양에 대해서 어떠한 언급도 없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로 제조된 도금 강판과 마찬가지로, 도금욕 중의 Fe가 과잉으로 도금층 중에 취입되어, 예를 들면 구부림 등의 가공을 행했을 때, 도금층에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가공성이 저하함과 아울러, 가공부의 내식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도금욕에의 강판의 침입판온(侵入板溫) 450∼600℃, 도금욕 온도 400∼550℃의 범위에서, 판 두께, 라인 속도에 따라, 그것들을 적정 온도로 제어한다는 기재가 있을 뿐, 구체적인 제조 방법에 대한 명확한 기재도 없어, 불명확한 상태이다. 특허문헌 2에는, 더욱이, 제조 방법에 대해 효과의 확인도 이루어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우수한 내식성과 우수한 가공성을 겸비하는,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의 내식성, 가공성에 미치는 각종 요인에 대해 열심히 연구했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도금층의 밀착성, 내식성, 또한 가공 후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도금욕 조성을, Ni을 적정량 함유하는 Zn-Al-Mg계 합금 도금 조성의 도금욕으로 한 후에, 그 도금욕의 욕온을 적정 범위의 온도로 하고, 그 도금욕에 기판이 되는 강판을 침입시킬 때, 침입하는 강판의 온도(판온)를 적정 범위 내로 하면서, 도금욕의 욕온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이 좋다는 것에 생각이 미쳤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도금층과 기판인 강판(기초 강판)의 계면에 Ni 농화층을 적정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찾아내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도금층의 가공성을 안정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금층에 포함되는 Fe 양을 도금층의 단위 면적당 2.0g/㎡ 이하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찾아내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도금층에 포함되는 Fe는 도금욕 중의 Fe가 응고하여 도금층에 취입된 것으로, 도금층 중의 Fe 양을 원하는 값 이하로 조정하는 데에는, 도금욕의 Fe 농도를 적절하게, 구체적으로는 질량%로 0.05% 이하로 조정하면 좋다는 것을 찾아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식에 기초하여, 더 검토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기판이 되는 강판을, 질량%로, Al : 3∼6%, Mg : 0.2∼1.0%, Ni : 0.01∼0.10%를 포함하고, 잔부 Zn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가지는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욕에, 침입시키고, 끌어올려, 냉각해서, 상기 강판의 표면에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는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욕을, Fe를 0.10% 이하로 조정하여 이루어지는 도금욕으로 한 후에, 그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욕의 온도를 420∼520℃ 범위의 온도로 하고, 그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욕 중에 침입하는 상기 강판의 온도를 420∼600℃ 범위의 온도이면서, 상기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욕의 온도 이상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2) 기판인 강판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질량%로, Al : 3∼6%, Mg : 0.2∼1.0%, Ni : 0.01∼0.10%를 함유하고, 잔부 Zn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의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을 가지는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으로서, 상기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이, Fe를 2.0g/㎡ 이하로 조정하여 이루어지는 도금층으로, 상기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과 상기 강판의 계면에, 두께 : 0.05∼1.0㎛의 Ni 농화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
본 발명에 의하면, 내식성이 향상함과 아울러 가공성도 향상하여, 우수한 내식성과 우수한 가공성을 겸비하는,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을 용이하게, 더욱이 값싸게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금층의 밀착성이 향상한다는 효과도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이하, 본 발명 도금 강판이라고도 한다)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기판으로 하는 강판을, 예를 들어, 연속식 용융 Zn 도금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욕 중에 침입시킨 후, 끌어올려, 냉각해서, 강판 표면에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을 형성한다.
기판으로 사용하는 강판은, 그 종류, 조성에 대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고, 용도에 따라, 공지의 열연 강판, 냉연 강판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먼저, 기판인 강판은, 예를 들어, 연속식 용융 Zn 도금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원하는 가열 온도까지 가열된다. 가열 온도는, 사용하는 강판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되며,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강판을 도금욕에 침입할 때에, 강판 온도(판온)를 원하는 온도로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적어도 도금욕에 침입할 때의, 원하는 강판 온도(판온)를 확보할 수 있는 가열 온도로 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소정 온도로 가열한 강판은, 소정의 조성, 욕온으로 유지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욕에 침입하여, 표면에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을 형성한다.
강판이 침입하는,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욕의 조성은, 질량%로, Al : 3∼6%, Mg : 0.2∼1.0%, Ni : 0.01∼0.10%를 포함하며, 잔부 Zn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금욕은, 또한, Fe를 0.10% 이하로 조정한 도금욕으로 한다.
도금욕의 조성 한정의 이유는 다음과 같다. 또한, 조성에 대한 질량%는 단순히 %로 기재한다.
Al : 3∼6%
도금욕 중에 포함되는 Al이 3% 미만에서는, 얻을 수 있는 도금층과 베이스 강판(기판)의 계면에 Fe-Al계 합금층이 두껍게 형성되기 쉽고, 도금층의 가공성이 저하된다. 한편, Al이 6%를 넘어 다량으로 함유되면, 도금층에서의 Zn의 희생 방식 작용이 작아지고, 도금 강판 단면부(端面部) 등의 내식성이 저하된다. 또한, 도금욕 중의 Al이 6%를 넘으면, Al을 주체로 한 탑 드로스(top dross)가 발생하기 쉬워져서, 얻을 수 있는 도금층의 외관 성상이 저하한다. 또한, 얻을 수 있는 도금층의 내흑변성이 저하하고, 또한, Zn-Al-Mg의 3원공정(3元共晶, ternary eutectic)의 형성이 많아져, 도금층의 가공성이 저하한다. 이 때문에, 도금욕 중의 Al은 3∼6% 범위로 한정했다.
Mg : 0.2∼1.0%
형성되는 도금층의 내식성, 특히 내흑변성 향상을 위해, Mg를 도금욕 중에 함유시킨다. 도금욕 중의 Mg 함유량이 0.2% 미만에서는, 얻을 수 있는 도금층의 내식성 향상 효과가 적다. 한편, Mg가 1.0%를 넘으면, 얻을 수 있는 도금층 중에 Zn-Al-Mg계 3원공정의 형성이 너무 많아져서, 도금층의 가공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점에서, 도금욕 중의 Mg는 0.2∼1.0% 범위로 한정했다.
Ni : 0.01∼0.10%
Ni는, 얻을 수 있는 도금층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 도금욕 중에 함유시키지만, Ni가 0.01% 미만에서는 내식성 향상 효과가 적다. 한편, Ni가 0.10%를 넘어 다량으로 함유되면, 얻을 수 있는 도금층의 표면이 과잉으로 활성화되어, 부식되기 쉬워져서, 초기에 백청(white rust)이 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도금욕 중의 Ni는 0.01∼0.10% 범위로 한정했다.
상기한 이외의 잔부(殘部)는, Zn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더구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도금욕은, 또한, Fe를 질량%로, 0.10% 이하로 조정한다. 도금욕 중에는, Fe분은 특별히 첨가하고 있지 않다. 다만, 도금욕에 침지한 강판으로부터, 도금 처리시에 Fe분이 용출(溶出)하여, 도금욕 중에 존재한다. 도금욕 중에 포함된 Fe분은, 강판 표면에 부착된 도금욕이 응고되어 도금층을 형성할 때에 도금층 중에 취입된다. 도금층 중에 다량의 Fe가 취입되면, 합금상이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도금층의 가공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이러한 도금층의 가공성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도금층 중에 포함되는 Fe 양을 소정값(2.0g/㎡) 이하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도금층 중에 포함되는 Fe를 이와 같은 소정값 이하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도금욕의 Fe 농도를 0.10% 이하로,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도금층 중의 Fe 양은, 도금층 두께에 의존하므로, 여기서는 단위 면적당 함유량(g/㎡)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으로 조정된 도금욕의 온도를 420℃∼520℃ 범위의 온도로 조절한다. 도금욕의 욕온이 420℃ 미만에서는, 욕온이 너무 낮아, 도금욕의 점성이 크게 되어, 소정의 도금 처리를 할 수 없게 된다. 한편, 520℃를 넘어 고온이 되면, 도금욕의 산화가 현저하게 이루어져, 드로스(dross)의 발생이 현저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도금욕의 욕온은 420℃∼520℃ 범위의 온도로 한정했다.
이러한 조성, 욕온으로 조정된 도금욕에, 기판이 되는 강판을 침입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도금욕에 침입하는 강판의 온도(판온)를, 420∼600℃ 범위이면서, 도금욕의 욕온 이상의 온도로 조정한다. 침입하는 강판의 판온이, 도금욕 욕온 미만에서는, 도금욕의 욕온이 점차 저하되어 가기 때문에, 도금욕의 점성이 커지게 되어 조업에 지장을 초래한다. 한편, 600℃를 넘으면, 도금욕의 욕온이 점차 상승한다. 이 때문에, 도금욕에 침입하는 강판의 온도(판온)는, 420∼600℃ 범위이면서, 도금욕의 욕온 이상의 온도로 한정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조성의 도금욕을 상기한 범위의 욕온으로 하고, 또한, 도금욕에 침입하는 강판의 온도(판온)를, 420∼600℃ 범위의 온도로, 그리고 도금욕의 욕온 이상이 되도록 조정한다. 이에 의해, 도금욕과 강판 표면의 계면에서 합금 원소의 확산이 발생하여, 도금층과 강판(기판)의 계면에 적절한 Ni 농화층의 형성이 촉진된다. Ni 농화층의 형성에 의해, 도금층에 기판에 도달하는 것과 같은 흠집이 생겼을 경우에도, 또는, 가공에 의해 도금층에 크랙이 생겼을 경우에도,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범위에서, 도금욕 조성, 도금욕의 온도 및 침입하는 강판의 판온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Ni 농화층의 두께를 적절한 0.05∼1㎛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도금욕에 침입한 강판은 이어서, 도금욕으로부터 끌어 올려져, 냉각된다.
상기한 공정에서 제조되는 본 발명 도금 강판은, 적어도 한쪽 표면에, 질량%로, Al : 3.0∼6.0%, Mg : 0.2∼1.0%, Ni : 0.01∼0.10%을 함유하고, Fe를 2.0g/㎡ 이하로 조정한, 잔부가 Zn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의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을 가지며, 도금층과 강판의 계면에, 두께 : 0.05∼1㎛의 Ni 농화층을 가지는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이다.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의 조성 한정 이유는, 상기한 도금욕 조성의 한정 이유와 같기 때문에, 생략한다. 또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의 부착량은, 통상대로, 용도에 따라 설정하면 되며,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다만,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의 부착량은, 한 면당 30∼300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금층의 부착량이 30g/㎡ 미만에서는, 도금층 두께가 부족하여, 원하는 내식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한편, 300g/㎡을 넘으면, 도금층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도금층이 박리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 도금 강판은, 도금층과 베이스 강판(기판)의 계면에 Ni 농화층을 가진다. 이에 의해, 도금층에 베이스 강판(기판)에 도달하는 것과 같은 흠집이 들어간 경우나, 혹은, 가공에 의해 도금층에 크랙이 생긴 경우라도, 도금층의 내식성을 유지할 수 있다. Ni 농화층의 두께는, 0.05∼1.0㎛ 범위로 한다. Ni 농화층의 두께가 0.05㎛ 미만에서는, 도금층과 베이스 강판(기판)의 반응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도금 밀착성이 부족하다. 한편, 1.0㎛을 넘어 두껍게 성장하면, 도금층의 가공성이 저하한다. 이러한 점에서, 도금층과 베이스 강판(기판)의 계면에 형성되는 Ni 농화층의 두께를 0.05∼1.0㎛ 범위로 한정했다.
또한, Ni 농화층은, 도금욕 중의 Ni와 강판 표면의 Fe의 합금화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도금욕 온도와 강판 및 침입판온을, 상기한 바와 같이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Ni 농화층의 두께를 소정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냉연 강판(판 두께 : 0.5㎜, 미 소둔)을 기판으로 하여, 그 기판을, 도금욕에 침입할 때에, 표 1에 나타내는 침입시의 강판 온도(판온)가 되도록, 가열한 후, 표 1에 나타내는 각종 조성, 욕온의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욕에 침입시키고, 끌어올려, 냉각해서, 기판 표면에, 표 2에 나타내는 부착량의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을 형성했다. 얻어진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에 대해, 우선, 도금층을 용해하여, 통상 방법으로 의해, 도금층의 성분을 분석했다. 또한, 얻어진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에 대해, 도금층 단면의 조직 관찰, 가공성 시험 및 가공부의 내식성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이 했다.
(1) 도금층 단면(斷面)의 조직 관찰
얻어진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으로부터 조직 관찰용 시험편을 채취하고, 판 두께 방향 단면을 연마하여, 주사형 전자 현미경(배율 : 2000배)을 이용하여, 10 시야 이상에서, 도금층 단면의 조직을 관찰하고, Ni를 분석하여, Ni 농화층의 유무와, 그 두께를 측정하여, 평균 두께를 산출했다. 또한, 「Ni 농화층」이란, 주사형 전자 현미경의 에너지 분산형 X선 분석 장치로 Ni의 피크가 검출되는 영역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2) 가공성 시험
얻어진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으로부터 시험편 JIS 5호 인장 시험편을 채취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 중에, 눈으로 도금층 표면을 관찰하고, 도금층 표면에서 크랙이 확인 가능한 왜곡량(크랙 발생 왜곡량, strain-amount)을 구하여, 도금 강판의 가공성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이 했다.
평가 ◎ : 크랙 발생 왜곡량이 20% 이상
평가 ○ : 크랙 발생 왜곡량이 10% 이상 20% 미만
평가 △ : 크랙 발생 왜곡량이 5% 이상 10% 미만
평가 X : 크랙 발생 왜곡량이 5% 미만
(3) 가공부의 내식성 시험
얻어진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에 1R-180°구부림을 부여한 후, JIS Z 2371 규정에 준거하여 염수 분무 시험을 실시했다. 염수 분무 조건은, 분무액 : 5% 식염수, 온도 : 35℃, 시험 시간 : 1000h로 했다. 시험 후, 시험편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빨간 녹 발생률(면적률)을 구하여, 가공부의 내식성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이 했다.
평점 ○ : 빨간 녹 발생 없음
평가 △ : 빨간 녹 발생률 1∼50%
평점 X : 빨간 녹 발생률 51% 이상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본 발명예는 모두, 가공성, 가공부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으로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는, 가공성이 저하되어 있거나, 가공부 내식성이 저하되어 있거나, 또는 양자 모두 저하되어 있다.

Claims (2)

  1. 기판이 되는 강판을, 질량%로, Al : 3∼6%, Mg : 0.2∼1.0%, Ni : 0.01∼0.10%을 포함하고, 잔부 Zn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가지는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욕에, 침입시키고, 끌어올려, 냉각해서, 상기 강판 표면에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는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욕을, Fe를 0.1% 이하로 조정하여 이루어지는 도금욕으로 한 후에, 그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욕의 온도를 420∼520℃ 범위의 온도로 하고, 그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욕 중에 침입하는 상기 강판의 온도를 420∼600℃ 범위의 온도이면서, 상기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욕의 온도 이상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2. 기판인 강판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질량%로, Al : 3∼6%, Mg : 0.2∼1.0%, Ni : 0.01∼0.10%을 포함하고, 잔부 Zn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의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을 가지는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으로서,
    상기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이, Fe를 2.0g/㎡ 이하로 조정하여 이루어지는 도금층으로, 상기 용융 Zn-Al계 합금 도금층과 상기 강판의 계면에, 두께 : 0.05∼1.0㎛의 Ni 농화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
KR1020137029051A 2011-05-30 2012-05-29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8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0550 2011-05-30
JP2011120550A JP5649179B2 (ja) 2011-05-30 2011-05-30 耐食性と加工性に優れた溶融Zn−Al系合金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2/064344 WO2012165644A1 (ja) 2011-05-30 2012-05-29 耐食性と加工性に優れた溶融Zn-Al系合金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337A true KR20140043337A (ko) 2014-04-09
KR101598677B1 KR101598677B1 (ko) 2016-02-29

Family

ID=47259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051A KR101598677B1 (ko) 2011-05-30 2012-05-29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JP (1) JP5649179B2 (ko)
KR (1) KR101598677B1 (ko)
CN (1) CN103562430B (ko)
AU (1) AU2012263323B2 (ko)
MY (1) MY161932A (ko)
SA (1) SA112330553B1 (ko)
SG (1) SG194952A1 (ko)
TW (1) TWI484068B (ko)
WO (1) WO201216564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092A (ko) * 2015-04-08 2017-09-1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Zn-Al-Mg계 도금 강판 및 Zn-Al-Mg계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KR20180039107A (ko) * 2015-09-29 2018-04-17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Mg 함유 Zn 합금 피복 강재
KR20190116470A (ko) * 2017-03-17 2019-10-14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도금 강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2546A1 (fr) * 2013-10-09 2015-04-16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L. Tôle à revêtement znaimg à flexibilité améliorée et procédé de réalisation correspondant
KR102297298B1 (ko) * 2019-12-06 2021-09-03 주식회사 포스코 굽힘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178A (ja) * 1992-09-04 1994-03-29 Sumitomo Metal Ind Ltd ドロス除去方法
JP2001262303A (ja) * 2000-03-21 2001-09-26 Kawasaki Steel Corp 溶融めっき性に優れた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2008138285A (ja) 2006-11-10 2008-06-19 Jfe Galvanizing & Coating Co Ltd 溶融Zn−Al系合金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55084A (ja) 2009-04-28 2010-11-11 Jfe Galvanizing & Coating Co Ltd 溶融Zn系めっき鋼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6339A (ja) * 2003-11-14 2005-06-09 Nisshin Steel Co Ltd 耐黒変性に優れた溶融Al含有亜鉛合金めっき鋼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178A (ja) * 1992-09-04 1994-03-29 Sumitomo Metal Ind Ltd ドロス除去方法
JP2001262303A (ja) * 2000-03-21 2001-09-26 Kawasaki Steel Corp 溶融めっき性に優れた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2008138285A (ja) 2006-11-10 2008-06-19 Jfe Galvanizing & Coating Co Ltd 溶融Zn−Al系合金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55084A (ja) 2009-04-28 2010-11-11 Jfe Galvanizing & Coating Co Ltd 溶融Zn系めっき鋼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092A (ko) * 2015-04-08 2017-09-1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Zn-Al-Mg계 도금 강판 및 Zn-Al-Mg계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KR20180039107A (ko) * 2015-09-29 2018-04-17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Mg 함유 Zn 합금 피복 강재
KR20190116470A (ko) * 2017-03-17 2019-10-14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도금 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62430B (zh) 2015-11-25
MY161932A (en) 2017-05-15
SG194952A1 (en) 2013-12-30
SA112330553B1 (ar) 2015-07-09
TW201303077A (zh) 2013-01-16
AU2012263323B2 (en) 2015-07-02
JP5649179B2 (ja) 2015-01-07
JP2012246547A (ja) 2012-12-13
AU2012263323A1 (en) 2013-11-21
CN103562430A (zh) 2014-02-05
WO2012165644A1 (ja) 2012-12-06
TWI484068B (zh) 2015-05-11
KR101598677B1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0231B2 (en) Hot-dipped steel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4584179B2 (ja) 耐食性および加工性に優れた溶融Zn−Al合金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5649181B2 (ja) 耐食性に優れた溶融Zn−Al系合金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18469B1 (ko) 용융 아연 도금 강판
JP5672178B2 (ja) 外観均一性に優れた高耐食性溶融亜鉛めっき鋼板
KR102384093B1 (ko) 란탄을 포함하는 희생 음극 보호 코팅을 구비한 강 시트
KR102384674B1 (ko) 내식성, 내골링성, 가공성 및 표면 품질이 우수한 도금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WO2010082678A1 (ja) 耐食性に優れる溶融Zn−Al−Mg−Si−Cr合金めっき鋼材
KR20140007964A (ko) 외관 균일성이 우수한 고내식성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090142616A1 (en) Hot-dip zn-al alloy-plated steel material with excellent bending workabilit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1692175B1 (ko)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과 그 제조 방법
CN108350554B (zh) 镀覆钢板
KR20140043337A (ko)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용융 Zn-Al계 합금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TWI521092B (zh) 熔融Al-Zn系鍍覆鋼板及其製造方法
CN111492087B (zh) 抗焊接液化脆性和镀覆附着性优异的铝合金镀覆钢板
WO2015055285A1 (en) Steel substrate with zinc alloy coating
JP6668453B2 (ja) 亜鉛−マグネシウム−ガルバニール処理溶融めっき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こうしためっきを備えた平鋼製品
JP2007314858A (ja)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182188B (zh) 一种热浸镀锌铝镁镀层钢板及其制备方法
JP2004131818A (ja) 加工性と耐食性に優れた溶融Sn−Zn系めっき鋼板
KR101629260B1 (ko) 용융도금욕 조성물
JP2006274406A (ja)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2006219686A (ja) 耐食性に優れた表面層改質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148713A (ja) 溶融Al−Zn系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