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162A - 토출 용기 - Google Patents

토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162A
KR20140043162A KR1020147005492A KR20147005492A KR20140043162A KR 20140043162 A KR20140043162 A KR 20140043162A KR 1020147005492 A KR1020147005492 A KR 1020147005492A KR 20147005492 A KR20147005492 A KR 20147005492A KR 20140043162 A KR20140043162 A KR 20140043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contents
gas
in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덴미 구와가키
마사시 후쿠모토
Original Assignee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6683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4316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65D83/006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a flexible bag being expelled by the contracting forces inherent in the bag or a sleeve fitting snugly around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적층 박리 구조의 토출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의 전부를 토출시키기 쉽게 하여 잔류량을 적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내용기(11) 내에 기체가 수용되어 기체 스페이스(S)가 형성되어 있고, 기체의 용량은 내용기(11)의 용량의 4% 이상이다. 기체는, 토출구(14)로부터 내용물(M)을 토출시키기 위해 당해 토출 용기를 기울여 토출 자세로 하였을 때, 내용기(11) 내를 빠르게 이동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체가 기체 주머니에 밀봉되어 있어도 되고, 내용기(11) 내에 형성된 기체실에 기체가 밀봉되어 있어도 된다.

Description

토출 용기 {DISPENSING CONTAINER}
본 발명은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적층 박리 구조의 토출 용기에 있어서의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용기를 주로 압박함으로써 내용액을 주출하도록 한 토출 용기로서, 종래, 내용액이 수용된 내용기(내층)와, 상기 내용기가 적층된 외용기(외층)를 갖는 적층 박리 용기(디라미네이션 용기 등이라고도 불림)가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적층 박리 용기에 있어서, 내용기는, 내용액의 감소에 수반하여 오므리기 변형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외용기는, 탄성 변형되는 재료로 형성되고, 토출된 내용액에 따른 양의 외기를 외기 도입 구멍으로부터 흡기하고, 내용기와의 사이에 도입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일본 특허 제4024396호 공보 일본 특허 제3688373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적층 박리 용기(디라미네이션 용기)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용기를 강하게 파지하여 내용물을 전부 토출시켰다고 생각된 경우에도, 당해 내용물이 어느 정도(일례로서 5∼6% 정도) 내용기 내에 잔류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용물의 전부를 토출시키기 쉽게 하여 잔류량을 적게 할 수 있도록 한 적층 박리 구조의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다양한 검토를 행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적층 박리 구조의 토출 용기(디라미네이션 용기)는, 예를 들어 액상 식품을 토출시켰을 때에 공기가 내용기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당해 액상 식품 등의 내용물의 산화를 억제하는 등, 외기와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에 큰 특징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용기를 아무리 강하게 파지하여 내용물을 다 사용하고자 해도 어느 정도가 용기 내에 잔류해 버리는 경우가 있어, 우수한 용기이면서도, 사용을 종료하고자 하는 단계일 때에는 사용자에 대해 불만감을 갖게 해 버리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 착안하여, 내용물을 가능한 한 간단히 다 사용하는 것에 대해 검토를 거듭한 본 발명자는, 이러한 과제의 해결에 결부되는 지식을 얻는 것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식에 기초하는 것으로, 내용물이 수용됨과 함께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오므리기 변형되는 가요성의 내용기 및 상기 내용기가 내장되어 있고, 탄성 변형되어 상기 내용기와의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 구멍이 형성된 외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와,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천장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토출 캡과, 외부와 흡기 구멍을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과, 상기 외기 도입 구멍과 흡기 구멍의 연통 및 그 차단을 전환하는 공기 밸브부를 구비하는 토출 용기이며, 내용기 내에 기체가 수용되어 기체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고, 기체의 용량이 내용기의 용량의 4% 이상이라고 하는 것이다.
적층 박리 용기는, 내용기에 외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내용물과 외기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한 구조에 특징의 하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특징을 역으로 이용하여, 굳이 처음부터 내용기 내에 기체를 수용하여 기체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내용물보다도 기체 쪽이 압축되기 쉬우므로, 사용자가 내용물을 다 사용하고자 하여 용기를 파지하였을 때, 당해 기체는, 내용물을 밀어내도록 작용한다. 또한, 최종적으로는, 당해 기체 스페이스의 기체가 내용물의 대체로서 내용기 내에 남는다. 따라서 내용물의 전부를 토출시키기 쉬워, 잔류량이 종래보다도 적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층 박리 용기의 내용기 내에 자연히 공기가 들어가 버린 경우와는 달리, 내용기 내에 소정 용량 이상의 기체 스페이스를 의도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당해 기체 스페이스의 기체를 내용물의 대체로서 내용기 내에 잔류시켜, 내용물의 전부를 토출시키기 쉽게 한다고 하는 소기의 작용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기체는, 토출구로부터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 당해 토출 용기를 기울여 토출 자세로 하였을 때, 내용기 내를 빠르게 이동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토출 용기에 있어서는, 기체가 기체 주머니에 밀봉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는, 본 발명에 관한 토출 용기에 있어서, 내용기 내에 형성된 기체실에 기체가 밀봉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체실이 내용기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의 전부를 토출시키기 쉽게 하여 잔류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도 1은 토출 용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토출 용기에 있어서의 내용물의 토출시의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내용물의 토출 후, 토출 용기가 복원될 때의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오버 캡이 덮인 상태의 토출 캡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오버 캡을 개방한 상태의 토출 캡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오버 캡을 개방한 상태의 토출 캡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오버 캡을 개방한 상태의 토출 캡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오버 캡이 덮인 상태의 토출 캡의 일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토출 용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토출 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토출 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토출 용기의 바닥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토출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 용기(10)는 내용물(M)이 수용됨과 함께 내용물(M)의 감소에 수반하여 오므리기 변형되는 가요성이 풍부한 내용기(11)와, 내용기(11)가 내장됨과 함께 탄성 변형 가능한 외용기(12)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13),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에 장착되고, 내용물(M)을 토출하는 토출구(14)가 형성된 토출 캡(15), 토출 캡(15)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오버 캡(16)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용기 본체(13)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오버 캡(16)은 천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오버 캡(16)을 토출 캡(15)에 장착한 덮개 덮임 상태에 있어서, 이들 용기 본체(13) 및 오버 캡(16)의 각 중심축이 공통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8 등 참조). 이하, 이 공통축을 용기축(O)이라 하고, 용기축(O) 방향을 따라 오버 캡(16)측을 상측, 용기 본체(13)의 도시하지 않은 바닥부측을 하측이라 하고, 또한 용기축(O)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이라 하고, 용기축(O)을 중심으로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 한다.
또한, 오버 캡(16)은 힌지부(16a)에 의해 토출 캡(15)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도 2 등 참조). 내용물(M)을 토출구(14)로부터 토출시킬 때 오버 캡(16)이 방해되지 않도록, 이 힌지부(16a)는 토출구(14)가 하방을 향하도록 토출 용기(10)를 기울여 토출 자세로 한 상태에서 토출구(14)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용기 본체(13)는 내용기(11)가 외용기(12)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소위 디라미네이션 보틀로 되어 있다. 상기 용기 본체(13)는, 예를 들어 공압출 성형한 2층 구조의 패리슨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성형된다. 외용기(12)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수지제나 폴리프로필렌수지제 등으로 됨과 함께, 내용기(11)는, 예를 들어 외용기(12)를 형성하는 수지에 대해 상용성이 없는 폴리아미드계의 합성 수지제나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제 등으로 되어 있다.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통부(17)와, 하측에 위치하고 상통부(17)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된 하통부(18)를 구비하는 2단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2 등 참조). 상통부(17) 중, 외용기(12)로 구성된 부분(이하, 외측 상통부라 함)(17a)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상통부(17a)에 있어서, 수나사부(29)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내용기(11)와의 사이에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도 3 등 참조). 수나사부(29)에 있어서 흡기 구멍(19)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용기축(O)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상통부(17a)의 내주면은 원통면으로 되고, 이 내주면에, 상통부(17) 중, 내용기(11)로 구성된 부분(이하, 내측 상통부라 함)(17b)이 적층되어 있다(도 2 등 참조). 내측 상통부(17b)의 상단부는,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폴딩되어 외측 상통부(17a)의 개구 단부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토출 캡(15)은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를 폐색하는 속마개 부재(21)와, 상기 속마개 부재(21)를 덮음과 함께 토출구(14)가 형성된 천장이 있는 통 형상의 본체 통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도 2 등 참조). 속마개 부재(21)는 외주연부가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의 개구 단부 상에 배치된 마개 본체(47)와, 상기 마개 본체(47)로부터 세워 설치된 연통 통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마개 본체(47)는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 내에, 상기 입구부(13a)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내통부(24)와, 내통부(24)의 상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의 개구 단부 상에 배치된 플랜지부(25)와, 플랜지부(25)의 외주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된 외통부(26)와, 내통부(24)를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포위하도록 플랜지부(25)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고,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 내에 액밀하게 끼워 맞추어진 중간 통부(27)를 구비하고 있다(도 2 등 참조). 이들 내통부(24), 플랜지부(25), 외통부(26) 및 중간 통부(27)는 용기축(O)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26)의 하단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하방을 향해 개방되는 외기 유통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24)의 바닥 벽부에는, 상기한 연통 통부(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바닥 벽부에는, 내용기(11) 내 및 연통 통부(22) 내의 양쪽에 개방되는 관통 구멍(42)이 관통되어 있다. 상기 관통 구멍(42)은, 예를 들어 용기축(O)을 중심으로 하여 균등하게 배치된 복수의 작은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도 2 등 참조).
본체 통 부재(23)는 용기축(O)과 동축에 배치된 천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 통 부재(23)의 주위벽부(23a)의 내주면에는,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의 수나사부(29)에 나사 부착된 암나사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위벽부(23a) 중, 암나사부(30)가 형성된 나사 부분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하단부 내에는,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에 있어서의 하통부(18)가 기밀 상태로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나사 부분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상단부 내에는, 속마개 부재(21)의 외통부(26)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토출 캡(15)의 천장면부(31)에는, 내용물(M)을 토출하는 토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도 5 등 참조).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용기(10)에 있어서, 이 토출구(14)는 용기축(O)과 동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도 2 등 참조), 상기 용기축(O)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토출 캡(15)의 천장면부(31)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외기 도입용 돌기(33)가 형성되고, 상기 외기 도입용 돌기(33)에 외기 도입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도 2 등 참조). 내용물(M)이 외기 도입 구멍(34)으로부터 흡입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이 외기 도입용 돌기(33)는 토출구(14)로부터 내용물(M)을 토출시키기 위해 당해 토출 용기(10)를 기울여 토출 자세로 한 상태에서, 당해 토출구(14)보다도 높아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도 2 등 참조).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기 도입용 돌기(33)는 토출구(14)와 힌지부(16a) 사이에 세워 설치되도록 형성되어, 외기 도입 구멍(34)은 천장면부(31)보다도 높아지는 위치에 상기 천장면부(31)로부터 공간적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령 토출구(14)로부터 액이 흘려진 내용물(M)이 토출 캡(15)의 외면에 부착되었다고 해도, 당해 액이 흘려진 내용물(M)이 외기 도입 구멍(34)으로부터 흡입되기 어렵다. 또한, 외기 도입 구멍(34)은 토출구(14)로부터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 당해 토출 용기(10)를 기울여 토출 자세로 하였을 때, 상방에 개방된 상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기 도입용 돌기(33)의 연직 상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 등 참조).
상술한 외기 도입용 돌기(33)의 구체적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 캡(15)의 직경 방향[용기축(O)에 수직인 방향]의 두께보다도 둘레 방향으로의 길이가 긴, 토출구(14)를 중심으로 한 원호를 따라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이와 같은 형상의 외기 도입용 돌기(33)에 의하면, 액 흘림 등으로 인해 토출 캡(15)의 외면에 부착된 내용물(M)이 외기 도입 구멍(34)에 접근하는 것을 저지하여 당해 외기 도입 구멍(34)으로부터 흡입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기 도입용 돌기(33)는 토출구(14)를 중심으로 한 원호를 따라 만곡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토출 캡(15)에는, 덮개 덮임 상태시의 오버 캡(16)이 결합되는 결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 캡(15)의 천장면부(31)의 주위에, 직경 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차부에 의해, 덮개 덮임 상태시의 오버 캡(16)이 결합되는 결합부(32)가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5 등 참조).
또한, 천장면부(31)는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용기(10)에 있어서는, 천장면부(31) 중, 토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와 외기 도입용 돌기(33)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를 제외한 부분이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액 흘림 등을 한 내용물(M)이 토출 캡(15)의 천장면부(31)에 부착되었다고 해도 한번에 닦아낼 수 있는 등, 닦아내기가 용이하다.
천장면부(31)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고, 외경이 후술하는 외부 끼움 통부(40)의 내경과 동등하게 된 수용 통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부(32)에는, 내부가 상기 토출구(14)로 된 토출통(36)이 관통되어 있다.
또한, 토출통(36) 내에는, 오버 캡(16)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된 내측 시일 통부(시일부)(37)가 끼워 맞추어진다(도 1, 도 5, 도 8 등 참조). 또한, 내측 시일 통부(37)의 주위에는, 오버 캡(16)의 이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된 환 형상 돌기부(38)가 형성되어 있다(도 5 등 참조).
또한, 오버 캡(16)에는, 당해 오버 캡(16)이 토출 캡(15)에 장착된 상태일 때 외기 도입 구멍(34)을 덮는 외기 도입 구멍 시일부(39)가 형성되어 있다(도 8, 도 9 참조). 토출 용기(10)의 미사용시나 반송시 등에 있어서 오버 캡(16)을 토출 캡(15)에 장착한 상태로 해 두면, 이 외기 도입 구멍 시일부(39)가 외기 도입 구멍(34)으로부터 내용물(M)이 예기치 않게 흡입되는 것을 회피한다(도 4, 도 8 참조).
여기서 속마개 부재(21)와 본체 통 부재(23) 사이에는, 속마개 부재(21)의 연통 통부(22)에 외부 끼움된 외부 끼움 통부(4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외부 끼움 통부(40)는 용기축(O)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고, 외부 끼움 통부(40)의 하단부는, 연통 통부(22)에 외부 끼움됨과 함께 속마개 부재(21)의 내통부(24) 내에 끼워 맞추고, 외부 끼움 통부(40)의 상단부는, 본체 통 부재(23)의 수용 통부(35)에 외부 끼움되어 있다.
외부 끼움 통부(40)의 용기축(O)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에는,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환 형상의 공기 밸브부(41)가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3 참조). 공기 밸브부(41)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고, 흡기 구멍(19)과 외기 도입 구멍(34)의 연통 및 그 차단을 전환한다.
또한, 속마개 부재(21)에는, 토출통(36)과 내용기(11) 내를 연통하는 연통 오목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연통 오목부(43)는 연통 통부(22)의 내부에 의해 구성되고, 용기축(O)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기축(O) 방향과, 연통 오목부(43)의 축선 방향은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연통 오목부(43)는 토출통(36)보다도 하측, 즉 용기축(O) 방향을 따른 내용기(1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연통 오목부(43)의 내용적은, 토출통(36)의 내용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속마개 부재(21)의 연통 통부(22) 내에는, 용기축(O) 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고, 용기축(O) 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여 당해 연통 오목부(43)를 개폐하는 밸브체부(44)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체부(44)는 용기축(O)과 동축에 배치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용기축(O) 방향의 상측 단부(상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환 형상의 플랜지부를 갖는 형상으로 규제되어 있다. 이 밸브체부(44)에 대해 연통 통부(22)의 환 형상의 상단부면이, 당해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밸브체부(44)를 수용하는 밸브 시트(밸브 누르개)로서 기능한다. 이때, 밸브체부(44)의 외주면과 연통 오목부(43)의 내주면이 접촉하기 어려운 구조로 해도 되고, 밸브체부(44)의 바닥면이, 마개 본체(47)에 있어서 연통 통부(22)보다도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촉하지 않는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밸브체부(44)의 상단부는, 연통 통부(22)의 상단부면에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상단부면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부(44)의 상단부에는, 밸브체부(44)와 외부 끼움 통부(40)를 연결하는 연결편(45)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연결편(45)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도시한 예에서는 3개 설치되어 있고, 각 연결편(45)은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연결편(45)의 양단부의 용기축(O) 방향의 위치는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부(44), 외부 끼움 통부(40), 연결편(45) 및 공기 밸브부(41)는 일체로 성형되고, 연결체(48)를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토출 용기(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토출 용기(10)로부터 내용물(M)을 토출할 때에는, 우선, 토출 캡(15)으로부터 오버 캡(16)을 제거한다. 그 후, 토출구(14)가 수평면보다도 하방을 향하도록 토출 용기(10)를 기울여 토출 자세로 한 상태에서, 토출 용기(10)를 직경 방향의 내측에 압입되도록 가압하여 스퀴즈 변형(탄성 변형)시키고, 내용기(11)를 외용기(12)와 함께 변형시켜 감용시킨다.
그러면, 내용기(11)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내용기(11) 내의 내용물(M)이 관통 구멍(42)을 통하여 밸브체부(44)를 압박하게 되어, 연결편(45)이 탄성 변형되어 밸브체부(44)가 용기축(O) 방향을 따라 내용기(11)의 외측을 향해 미끄럼 이동되어, 연통 오목부(43)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내용기(11) 내의 내용물(M)이, 관통 구멍(42), 연통 오목부(43), 외부 끼움 통부(40) 내 및 토출구(14)를 통하여 외부에 토출된다(도 2 참조).
그 후, 토출 용기(10)의 압입을 정지하거나 해제함으로써, 내용기(11) 내의 내용물(M)에 의한 밸브체부(44)에의 압박력을 약화시키면, 토출 용기(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밸브체부(44)가 용기축(O) 방향을 따라 내용기(11)의 내측으로 미끄럼 이동한다(도 3 참조).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부(44)가 연통 오목부(43) 내에 진입하면, 밸브체부(44)의 외주면이 연통 오목부(43)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연통 오목부(43)와 상기 밸브체부(44) 사이의 간극이 폐색된다. 이에 의해, 본체 통 부재(23)와 속마개 부재(21) 사이에, 내용기(11)로 복귀되지 않았던 내용물(M)이 잔존하는 내공간(46)이 형성된다. 이 내공간(46)은 토출구(14)에 연통함과 함께 밸브체부(44)를 구획벽의 일부로 하고, 상기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오목부(43)와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내공간(46)이 형성된 후, 상기 밸브체부(44)가 계속해서 연통 오목부(43) 내를 용기축(O) 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 상기 미끄럼 이동에 수반하여 내공간(46)의 내용적이 증대하게 된다. 이에 의해, 토출구(14) 내의 내용물(M)이 내공간(46) 내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토출구(14) 내에 외부로부터 공기(A)를 흡인할 수 있다.
여기서,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오목부(43)가 폐색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13)의 압박을 해제하면, 내용기(11)가 감용 변형된 채 외용기(12)가 복원 변형되려고 한다. 이때, 내용기(11)와 외용기(12) 사이에 부압이 발생하고, 이 부압이, 흡기 구멍(19)을 통하여 공기 밸브부(41)에 작용함으로써, 공기 밸브부(41)가 개방 상태로 된다. 그러면, 외기 도입 구멍(34), 외기 유통 구멍(28), 연통 홈(20) 및 흡기 구멍(19)을 통하여 외용기(12)와 내용기(11) 사이에 외기가 흡입된다(도 3 참조). 그리고 외용기(12)와 내용기(11) 사이의 내압이 대기압까지 상승하면, 공기 밸브부(41)가 복원 변형되어 흡기 구멍(19)과 외부를 차단한다. 이에 의해, 내용물(M)의 토출 후에 내용기(11)의 감용 형상이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다시 용기 본체(13)의 외용기(12)를 스퀴즈 변형시키면, 공기 밸브부(41)는 차단 상태로 되어 있는 점에서 외용기(12)와 내용기(11) 사이의 내압이 정압으로 되고, 이 정압에 의해 내용기(11)가 감용 변형되고, 전술한 작용에 의해 내용물(M)이 토출된다.
또한, 내용물(M)을 토출한 후,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오목부(43)가 폐색되기 전에, 토출 용기(10)의 압입을 정지할 뿐만 아니라 해제도 한 경우, 내용기(11)가 외용기(12)에 추종하여 복원 변형되려고 한다. 그러면, 내용기(11) 내의 압력이 저하되어 부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 부압이 밸브체부(44)에 작용함으로써, 밸브체부(44)가 용기축(O) 방향을 따라 내용기(11)의 내측을 향해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토출 용기(10)에 의하면, 내용물(M)의 토출 후, 토출구(14) 내의 내용물(M)이 내공간(46) 내에 들어가, 토출구(14) 내에 외부로부터 공기(A)를 흡인할 수 있으므로, 내용기(11)로 복귀되지 않았던 내용물(M)이 토출구(14) 내에 잔존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내용물(M)의 토출 후, 내용물(M)이 토출구(14)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42)이 연통 오목부(43)보다도 소경이므로, 밸브체부(44)가 의도하지 않고 상기한 축선 방향을 따른 내용기(11)의 내측으로 변위되려고 해도, 밸브체부(44)의 플랜지부가, 마개 본체(47)에 있어서 연통 통부(22)의 환 형상의 상단부면에 접촉하게 되어, 밸브체부(44)의 전술한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당해 토출 용기(10)의 미조작시에, 밸브체부(44)가 마개 본체(47)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오목부(43)와 관통 구멍(42)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M)을 토출하여 상기한 내공간(46)이 형성된 후, 밸브체부(44)가 복원 변위할 때에, 상기 밸브체부(44)가 연통 오목부(43) 내를 용기축(O)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공간(46)의 내용적을 확실하게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술한 작용 효과를 현저하게 성공시킬 수 있다.
또한, 오버 캡(16)에 내측 시일 통부(3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오버 캡(16)을 폐쇄한 상태에서 토출구(14)로부터 내용물(M)이 예기치 않게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M)의 토출 후, 내용기(11)로 복귀되지 않았던 내용물(M)이 토출구(14) 내에 잔존하기 어렵게 되어 있으므로, 내용물(M)의 토출 후에 오버 캡(16)을 토출 캡(15)에 장착시키고, 내측 시일 통부(37)를 토출구(14) 내에 끼워 맞추게 하였을 때에, 내측 시일 통부(37)에 의해 내용물(M)이 토출구(14)로부터 외부에 밀려나오거나, 내측 시일 통부(37)에 내용물(M)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 10 등에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내용기(11) 내에 미리 기체를 수용하여 기체 스페이스(S)를 형성하고 있다(도 10, 도 11 참조). 이 기체 스페이스(S)에 있어서의 기체는 내용물(M)보다도 압축되기 쉬우므로, 특히 내용물(M)이 적어진 단계에 있어서, 사용자가 내용물(M)을 다 쓰려고 하여 토출 용기(10)를 가압하였을 때(스퀴즈 변형시켰을 때), 내용물(M)을 보다 효과적으로 토출시키도록 작용한다.
기체 스페이스(S)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기체는 내용물(M)보다도 비중이 가벼운 점에서, 토출 캡(15)이 위를 향하도록 토출 용기(10)가 놓인 통상 상태에 있어서, 기체 스페이스(S)는 내용물(M)보다도 연직 방향 상방의 헤드 스페이스로서 존재하고 있다(도 11 등 참조). 여기서, 토출구(14)가 수평면보다도 하방을 향하도록 토출 용기(10)를 기울여 토출 자세로 하면, 기체 스페이스(S)는 당해 토출 용기(10)의 바닥부를 향해 내용기(11) 내를 이동한다. 이와 같은 토출 자세로 사용자가 토출 용기(10)를 가압하면, 토출구(14)로부터 내용물(M)만이 토출되고, 기체 스페이스(S)를 형성하는 기체는 내용기(11) 내에 남는다.
이 토출 용기(10)에 있어서는, 내용물(M)이 적어짐에 따라, 내용물(M)의 잔량에 대한 기체 스페이스(S)의 비율이 커지기 때문에, 가압시에 압축된 기체 스페이스(S)에 의한 내용물(M)의 밀어내기 작용(토출시키는 작용)이 커진다. 따라서, 특히 내용물(M)이 적어진 단계에 있어서, 가압되어 압축된 기체 스페이스(S)는 내용물(M)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어내어 토출시키도록 작용한다. 또한, 최종적으로는, 당해 기체 스페이스(S)의 기체가 내용물(M)의 대체로서 내용기(11) 내에 남는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토출 용기(10)에 의하면 내용물(M)의 전부를 토출시키기 쉬워, 잔류량을 종래보다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체는, 토출구(14)로부터 내용물(M)을 토출시키기 위해 당해 토출 용기(10)를 기울여 토출 자세로 하였을 때, 내용기(11) 내를 빠르게 이동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기체의 이동 속도는, 당해 기체의 용량, 내용기(11)의 형상 등에 의해 변할 수 있지만, 크게는 내용물(M)의 점도에 영향을 받는다. 내용물(M)의 전부를 토출시키기 쉽게 하여 잔류량을 적게 한다고 하는 관점으로 보면, 내용물(M)의 점도는, 당해 기체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어느 범위 내의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제2 실시예 참조).
또한, 내용물(M)의 구체예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화상액, 가공 전분 혼합물, 액상 식품, 간장 함유 조미료(청징한 조미료의 일례이며, 간장 자체를 포함함) 등 다양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기체의 구체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질소 가스 등, 내용물(M)을 산화시키는 등의 반응성이 낮은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까지는 내용기(11) 내에 내용물(M)과 함께 기체를 수용하는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기체 스페이스(S)를 상술한 바와는 다른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체가 밀봉된 기체 주머니(50)를 내용기(11) 내에 수용함으로써 기체 스페이스(S)를 형성할 수 있다(도 12 참조). 이와 같은 토출 용기(10)에 있어서는, 내용물(M)의 전부를 토출시킬 때까지 내용기(11) 내에 기체 스페이스(S)가 유지된다. 기체 주머니(50)의 재질이나 형상은, 토출 용기(10)를 기울이는 등을 하였을 때에 당해 기체 주머니(50)가 내용기(11) 내를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내용기(11) 내의, 예를 들어 바닥부에 기체실(51)을 형성하고, 당해 기체실(51)에 기체를 밀봉함으로써 기체 스페이스(S)를 형성할 수도 있다(도 12 참조). 기체실(51)은 내용기(11)의 내부를, 예를 들어 가요성의 필름으로 구획하는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토출 용기(10)에 있어서도, 내용물(M)의 전부를 토출시킬 때까지 내용기(11) 내에 기체 스페이스(S)가 유지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자는, 토출 용기(디라미네이션 용기)(10)의 내용기(11)의 용량에 대해 몇% 이상의 기체 스페이스(S)를 형성하면 적합한지의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방법>
200㎖, 250㎖의 2종류의 토출 용기(10)의 질량을 측정하고, 기체 스페이스(S)의 용량을 바꾸어 내용물(액)을 충전하고, 전부 배출하였다. 1큰술(15㎖)씩, 14∼17회에 나누어 배출을 행하였다. 내용물(M)을 배출할 수 없게 된 시점에서 질량 측정하고, 잔액량을 산출하였다. 따라서 토출 용기(10) 내의 잔액과, 토출 캡(15) 내의 잔액도 함께 결과에 나오게 되었다.
<결과>
시험 결과를 도 14에 나타낸다. 이 시험 결과로부터는, 기체 스페이스(S)를 형성하는 기체의 용량이 내용기(11)의 용량의 4% 이상[S/(M+S)가 4% 이상]인 경우에, 내용물(M)의 잔액량을 극히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자는, 내용물(M)의 점도의 차이에 의해, 내용물(M)의 전부를 토출시키기 쉽게 하여 잔류량을 적게 한다고 하는 효과가 어느 정도 다른지 확인하기 위해 검증하였다. 여기서는, 고점도 액상 식품으로서, 폰즈 젤리를 사용하였다.
<시험 방법>
폰즈 젤리를 토출 용기에 충전하고, 제1 실시예의 시험 방법과 마찬가지로 배출을 행하였다.
<결과>
기체 스페이스(S)가 4% 이상에서 마찬가지로 내용물(M)의 잔액량을 적게 할 수 있었다.
<점도 측정 결과>
폰즈 젤리
·B형 점도계 25℃ 로터 No.3-12회전으로 측정
3500cp
·B형 점도계 25℃ 로터 No.3-30회전으로 측정
1840cp
간장
25℃, No.1 spindle 사용, 회전 수 60rpm
사용 기기:브룩 디지털 점도계 LVDV―1
점도 Brix
·간장 A:0.91cP 37.42%
·간장 B:0.73cP 32.21%
·간장 C:1.05cP 39.37%
내용물(M)의 전부를 토출시키기 쉽게 하여 잔류량을 적게 한다는 관점으로부터 하면, 전부 토출 가능한 액상 식품은 폰즈 젤리보다 점도가 낮은 물질 모두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화상액, 가공 전분 혼합물, 액상 식품 등을 내용물로 하는 적층 박리 구조의 토출 용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10 : 토출 용기
11 : 내용기
12 : 외용기
13 : 용기 본체
13a : 입구부
14 : 토출구
15 : 토출 캡
19 : 흡기 구멍
31 : 천장면부
34 : 외기 도입 구멍
41 : 공기 밸브부
50 : 기체 주머니
51 : 기체실
M : 내용물
S : 기체 스페이스

Claims (7)

  1. 내용물이 수용됨과 함께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오므리기 변형되는 가요성의 내용기 및 상기 내용기가 내장되어 있고, 탄성 변형되어 상기 내용기와의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 구멍이 형성된 외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와,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천장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토출 캡과,
    외부와 상기 흡기 구멍을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과,
    상기 외기 도입 구멍과 상기 흡기 구멍의 연통 및 그 차단을 전환하는 공기 밸브부를 구비하는 토출 용기이며,
    상기 내용기 내에 기체가 수용되어 기체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체의 용량이 상기 내용기의 용량의 4% 이상인, 토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 당해 토출 용기를 기울여 토출 자세로 하였을 때, 상기 내용기 내를 빠르게 이동하는 것인, 토출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가 기체 주머니에 밀봉되어 있는, 토출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 내에 형성된 기체실에 상기 기체가 밀봉되어 있는, 토출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실이 상기 내용기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토출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액상 식품인, 토출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간장 함유 조미료인, 토출 용기.
KR1020147005492A 2011-08-05 2012-07-20 토출 용기 KR201400431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71850 2011-08-05
JP2011171850A JP6336702B2 (ja) 2011-08-05 2011-08-05 吐出容器
PCT/JP2012/068481 WO2013021802A1 (ja) 2011-08-05 2012-07-20 吐出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162A true KR20140043162A (ko) 2014-04-08

Family

ID=4766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492A KR20140043162A (ko) 2011-08-05 2012-07-20 토출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15313B2 (ko)
EP (1) EP2740688B1 (ko)
JP (1) JP6336702B2 (ko)
KR (1) KR20140043162A (ko)
CN (1) CN103764516B (ko)
ES (1) ES2609353T3 (ko)
TW (1) TWI552927B (ko)
WO (1) WO20130218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936A1 (ko) * 2015-10-27 2017-05-04 이병희 식품용기 토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32658A1 (en) * 2013-07-30 2015-02-04 ainia Dispensing container and method of filling the container
EP3050815B1 (en) * 2013-09-27 2019-11-20 Kyoraku Co., Ltd. Layer separating container
ES2674380T3 (es) 2013-11-27 2018-06-29 Kyoraku Co., Ltd. Recipiente deslaminable
WO2015080015A1 (ja) 2013-11-27 2015-06-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そのピンホールチェック方法、及びその加工方法
JP6177704B2 (ja) * 2014-02-10 2017-08-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クイズ注出用中栓
TWI642600B (zh) * 2014-02-12 2018-12-01 日商京洛股份有限公司 積層剝離容器,其針孔檢查方法,及其加工方法
JP5871084B2 (ja) * 2014-05-27 2016-03-01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流動性内容物の充填方法
CN109229696B (zh) 2014-10-07 2020-05-15 京洛株式会社 层叠剥离容器的制造方法、层叠剥离容器的漏气检查方法
JP6761159B2 (ja) 2014-11-19 2020-09-2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KR101969919B1 (ko) 2015-01-23 2019-04-17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적층박리용기
JP6489851B2 (ja) * 2015-01-30 2019-03-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6537319B2 (ja) * 2015-03-30 2019-07-03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
USD798712S1 (en) * 2015-04-01 2017-10-03 Kikkoman Corporation Container lid
JP2016216124A (ja) * 2015-05-26 2016-12-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EP3305673B1 (en) 2015-05-28 2019-09-25 Kyoraku Co., Ltd. Double container
EP3385181B1 (en) 2015-12-03 2020-05-27 Kyoraku Co., Ltd. Lamination separable container
JP6973987B2 (ja) 2016-02-04 2021-12-01 小橋工業株式会社 農作業機の使用方法
KR102453071B1 (ko) 2016-04-15 2022-10-07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적층박리용기
JP6820169B2 (ja) * 2016-08-31 2021-01-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6914634B2 (ja) * 2016-10-14 2021-08-04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スタック型二重構造容器成形用プリフォーム
US11155398B2 (en) 2017-04-05 2021-10-26 Kikkoman Corporation Dispensing container
CA3058875C (en) * 2017-04-05 2023-03-07 Kikkoman Corporation Food and beverage composition contained in double-layered container
DE102017121702B4 (de) * 2017-09-19 2019-07-11 Inotech Kunststofftechnik Gmbh Spenderbehälter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 Spenderbehälters
JP2019206360A (ja) * 2018-05-29 2019-12-05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
IL269047B (en) * 2019-09-01 2022-02-01 Ronen Rimon Issue container
JP7422356B2 (ja) 2020-01-31 2024-01-26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
JP7427335B2 (ja) * 2020-03-26 2024-02-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入り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14002A (fr) * 1961-11-24 1963-01-04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distribuer une substance non compacte
US3937364A (en) 1975-04-03 1976-02-10 Hershel Earl Wright Foam dispensing device
AR206747A1 (es) 1975-04-03 1976-08-13 Hershel Earl Wright Dispositivo surtidor de espuma
JPS6243660U (ko) * 1985-08-30 1987-03-16
JP2569369B2 (ja) 1989-06-23 1997-01-08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醤油の製造法
JPH047443U (ko) * 1990-04-28 1992-01-23
JPH0614078U (ja) * 1991-08-05 1994-02-22 良康 住吉 二重構造容器
DE4332885A1 (de) * 1992-09-28 1994-03-31 Colgate Palmolive Co Eindrückbarer Abgabebehälter für fließfähige Stoffe
JPH08164954A (ja) * 1994-12-15 1996-06-25 Yoshida Kogyo Kk <Ykk> チューブ容器
JP3688373B2 (ja) 1995-12-22 2005-08-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押出注出可能とした積層剥離容器
JPH09278024A (ja) * 1996-04-10 1997-10-28 Mitsubishi Gas Chem Co Inc 液体または半液体物質の充填方法
JP4024396B2 (ja) 1998-07-31 2007-12-19 花王株式会社 櫛付塗布用具
JP2001106263A (ja) * 1999-08-02 2001-04-17 Kao Corp 二重容器
JP4580524B2 (ja) * 2000-09-12 2010-11-17 株式会社日本点眼薬研究所 フィルター付き吐出容器
JP4749572B2 (ja) * 2001-03-13 2011-08-17 大成化工株式会社 分与容器の口栓構造
JP4030013B2 (ja) * 2001-05-07 2008-01-09 ウエラ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一定量の液体製品を取り出し、かつ適用するための容器
JP2003063576A (ja) * 2001-06-15 2003-03-05 Taisei Kako Co Ltd 分与容器
EP2210815B1 (en) * 2001-08-31 2013-05-15 Yoshino Kogyosho Co., Ltd. Pouring vessel
JP2005350090A (ja) * 2004-06-09 2005-12-22 Mitsukan Group Honsha:Kk 液体食品の熱可塑性樹脂製容器充填方法
US20090308888A1 (en) 2004-11-15 2009-12-17 Teikokumedix Co., Ltd Package filled with gel or paste content and gas
JPWO2006064567A1 (ja) * 2004-12-16 2008-06-12 テイコクメディックス株式会社 ゲル状またはペースト状の内容物と気体を封入した包装物
JP4883506B2 (ja) * 2006-12-28 2012-02-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2009149322A (ja) * 2007-12-19 2009-07-09 Kao Corp スクイズボトル
JP2009149327A (ja) * 2007-12-19 2009-07-09 Kao Corp デラミ容器
JP5295901B2 (ja) * 2009-07-31 2013-09-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当該注出キャップ付き二重容器
JP5579421B2 (ja) * 2009-11-30 2014-08-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不正開封防止機構付きヒンジキャップ
US8464908B1 (en) * 2011-02-17 2013-06-18 Norman W. Tabor Multi-directional fluid dispenser
US8430107B2 (en) * 2011-03-11 2013-04-30 Yu Chang Esthetics Consultant Co., Ltd. Foam output device easy to produce fo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936A1 (ko) * 2015-10-27 2017-05-04 이병희 식품용기 토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09353T3 (es) 2017-04-19
US9315313B2 (en) 2016-04-19
CN103764516B (zh) 2015-10-14
TW201313561A (zh) 2013-04-01
JP2013035557A (ja) 2013-02-21
US20140190992A1 (en) 2014-07-10
TWI552927B (zh) 2016-10-11
EP2740688A4 (en) 2015-04-08
WO2013021802A1 (ja) 2013-02-14
JP6336702B2 (ja) 2018-06-06
EP2740688B1 (en) 2016-10-12
EP2740688A1 (en) 2014-06-11
CN103764516A (zh)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3162A (ko) 토출 용기
JP5295460B2 (ja) 吐出容器
JP6283431B2 (ja) 吐出容器
EP3060496B1 (en) Compressible valve for a pressurized container
CN109715516B (zh) 排出容器
KR101543192B1 (ko) 토출 용기
JP6059489B2 (ja) 吐出容器
EP2774871A1 (en) Discharge container
US10781017B2 (en) Cap and discharge container
KR20190020115A (ko) 토출 용기
AU2016281708A1 (en) Valve stem for a compressible valve
JP2016216124A (ja) 吐出容器
JP6475542B2 (ja) 吐出容器およびその吐出キャップとオーバーキャップ
JP5883626B2 (ja) 吐出容器
CN114007949B (zh) 双层容器用注出盖以及双层容器
JP6710468B2 (ja) 吐出容器
JP2020193026A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7261056B2 (ja) 吐出容器
JP2019116313A (ja) 吐出容器
JP7291556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7181844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7265416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2021070511A (ja) 注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